•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D연구결과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D연구결과보고서"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통약자를 위한 VGI 플랫폼 기술 및 앱 개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래창조과학부

(2)

연차보고서

사업명 I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교통약자를 위한 VGI 플랫폼 기술 및 앱 개발

(영문) Development of Volunteered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 Technology and Application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책임자 유기윤

참여기관

(책임자) ㈜시터스 (이준표)

총수행기간 2014. 04. 01. ~ 2016. 02. 29. ( 23 개월)

협약기간 2014. 04. 01. ~ 2015. 02. 28. ( 11 개월) 해당년도

수행기간 2014. 04. 01. ~ 2015. 02. 28. ( 11 개월) 협약기간

총사업비(천원)

정 부

출연금 1,000,000 민 간 부담금

현금 33,400

1,334,000 현물 300,600

해당연도 사업비(천원)

정 부

출연금 500,000 민 간 부담금

현금 16,700

667,000 현물 150,300

키워드 (6 ~ 10개)

교통약자,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VGI 플랫폼, 경로안내 시스템, 데이 터 모델, 장애인용 네트워크

정보통신·방송연구개발 관리규정 제33조에 의거하여 연차보고서 8부를 제출합니다.

2015년 1월 30일 총괄책임자: 유 기 윤 (인)

주관기관장: 박 노 현 (직인/인감)

정보통신기술진흥원장 귀하

(3)

Ⅰ. 해당 연도 추진 현황

Ⅰ-1 기술개발 추진 일정

일련

번호 개발 내용 추진 일정(개월) 달성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 1 선험적 장애인

경로안내 서비스

분석 100%

2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연구 100%

3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안내 융합 기술

개발 100%

4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입출력

인터페이스 표준안 100%

5 VGI 플랫폼 설계 100%

6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100%

※ 개발내용의 경우 사업계획서 내용에 근거하여 작성할 것

당초계획 개발내용

(4)

Ⅰ-2 해당 연도 추진 실적

1. 선험적 장애인 경로안내 서비스 분석

○ 국내외 장애인 경로안내 서비스 분석

- 서울시 장애인 맞춤 내비게이션1)은 서울시가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편의를 돕 기 위해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서울 주요 시설에 있는 장애인편의시설 위치 정보를 제공 하는 서비스이며, 장애인 운전자에게 이들 시설정보를 고려하여 경로안내를 제공함

- 해운대 해수욕장 이동편리 경로 안내 서비스2)는 해운대 해수욕장을 이용하는 휠체 어 장애인들에게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휠체어 사용자들이 해수욕장에 접근하는 과정까지의 휠체어 리프트, 승강기, 경사로 등과 같은 시설물의 위치를 제공하 며, 구간의 이동 편의성을 3단계(이동 곤란, 이동 가능, 주의)로 구분하여 안내함

그림 1. 서울시 장애인 맞춤 내비게이션 서비스 그림 2. 해운대 해수욕장 이동편리 경로 안내

- 스마트서울맵3)은 시내 대피시설, 작은도서관, 착한가게, 공공 무료 와이파이 장소 등 과 같은 공공서비스를 손쉽게 지도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여러 종류의 테마 서비스 중 장애인 편의시설을 하나의 테마로서 제공하고 있음. 장애인 이 이용 가능한 판매시설, 화장실, 주차장, 숙박시설, 문화시설, 음식점, 지하철 등의 7종 류 편의시설의 위치를 제공하고 있음

1) http://seoulwelfare.tistory.com/entry/서울시-전국-최초-장애인맞춤-내비게이션-서비스-실시 2) 에이블뉴스 (2013.5.), 지체장애인을 위한 앱 개발 현황, http://abnews.kr/VGz

3) 스마트서울맵, http://campaign.agora.media.daum.net/cureseoul

(5)

그림 3. 스마트서울맵 애플리케이션 중 장애인 편의시설 메뉴

- 독일의 Barrierefreie Routenplanung4)은 독일 본 지역의 OSM을 이용하여 네트워 크를 구축한 다음 도로객체의 속성별 이동 가능 권고 사항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 하며, 사용자의 조건에 부합하는 최적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함

- 독일의 WheelGuide 서비스5)는 다름슈타트 대학교를 대상으로 휠체어 경로 탐색 서 비스를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제공함. Barrierefreie Routenplanung과 유사하나, 주요 지점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직관적인 이동성 파악이 용이함

그림 4. Barrierefreie Routenplanung 서비스화면 그림 5. WheelGuide 서비스 화면

- 일본의 자율이동지원 프로젝트6)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수단, 이동 경로에 관한 사전 정보, 이동 도중의 긴급 지원 정보, 목적지 주변의 POI 정보, 표지, 목적지의 시설 공간내부 정보 등을 휴대전화나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실외 내비게이션은 물론 지하철 역사 등 실내에서도 경로 탐색 서비스를 제공함

4) http://www.rollstuhlrouting.de/

5) http://www.heinzweber.eu/Leitbild/Wheelguide-130703.pdf 6) http://www.jiritsu-project.jp

(6)

그림 6. 일본 자율이동지원 프로젝트

- 스웨덴의 e-Adept7)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교통약자 전용 내비게이션으로 스마트폰의 GPS와 관성 시스템을 결합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경로 제공이 가능함

- 유럽연합의 HaptiMap project8)는 LBS를 이용한 장애인들의 접근권 향상을 목적으 로 시작된 다국적 연구집단에 의해 진행된 대규모 프로젝트로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 구축에서 음성 경로 안내와 같은 서비스 인터페이스까지 포괄 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음

- Pocket navigator는 HaptiMap Project의 성과물로서 개발된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로서, 스마트폰의 진동을 이용하여 이동 과정 중의 방향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기능 을 제공함

7) Electronic Assistance for Disable and Elderly Pedestrians and Travelers

8) HaptiMap Consortium (2012), HaptiMap-D4.4 Accessible map and LBS content guidelines, Project report.

(7)

그림 7. e-Adept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그림 8. Pocket Navigator 서비스 화면

○ 국내외 VGI 플랫폼 관련 서비스 분석

- 국내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 관련 시설물 정보를 사용자 참여 기법으로 구축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커뮤니티매핑센터에서 제작한 장애인 접근성 지도9)가 있음

그림 9. 커뮤니티매핑 기법을 이용한 장애인 이용가능 식당 및 문화시설 지도

- OSM for the blind10)는 대표적인 참여형 공간정보인 OSM(OpenStreeMap)을 통하 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되는 LBS에 OSM 을 활용하는데 있어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함

- Wheelmap11)은 지도를 배경으로 휠체어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POI 위치정보를 인터넷과 스마트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330,000개 이상의 POI 가 VGI에 의하여 등록되어 있으며 매월 약 22,000명이 이용하고 있음. 하지만 POI를 중

9) 장애인 접근성 지도, http://www.imkorea.org

10) http://wiki.openstreetmap.org/wiki/OSM_for_the_blind 11) http://www.wheelmap.org/

(8)

심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이 휠체어 이용자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경로나 경로 상의 지형지물 정보는 제공하지 않음

그림 10. Wheelmap POI 접근성 정보 등록 기능 화면

그림 11. Wheelmap 모바일 앱 화면

○ 시사점 및 본 연구개발과의 차별성

- 이동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보행자를 위한 별도의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 대신 주로 차량용 네트워크에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가 결 합된 데이터를 이용한 보행자용 경로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임. 본 연구개발에서는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구축한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인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임

- 장애인 이동시설물DB는 주로 현지조사에 의한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축되고 있으 나 비용이 과다하여 전국적 수준의 실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음. 따라서 사용자 참여로 구축하는 프로토타입 연구와 시제품이 개발되어 적용 중 이나 이러한 방식의 데이터 수집은 데이터의 검증이 깊이 있게 되지 않으므로 정확성에 한계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사용자 참여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기획·개발하고자 하며, 이 때 자발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 1)맵매 칭에 의한 정확한 보행자 네트워크상의 시설물 위치 결정, 2)동영상의 촬영을 통한 이용 자의 인지판단을 보조하는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상당부분 극복하고자 하 였음

- 국외에서는 HaptiMap 등 장애인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시작 단계에 있으나, 대부분 장애인 이동지원시설이 네트워크와 완전한 결합을 이루지 못한 상태여서 경로안내와는

(9)

보도설치및 관리지침

도로안전 시설설치및관

리지침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설치 관리매뉴얼

교통약자의이 동편의증진법

시행규칙

장애없는 보도디자인 가이드라인

장애물없는생 활환경인증제 도 자체평가서

1/18 이하 1/18 이하 1/18 이하 1/18 이하 - 1/24 ~ 1/18 이하

1/25 이하 (노약자, 휠체어 이용자

1/50 이하)

1/25 이하 1/25 이하 1/25 이하 - 1/50 ~ 1/24 이하 연석

높이

15cm ~

25cm 25cm 이하 25cm 이하 25cm 이하 - -

낮추기 -

차도 단차 3cm 이하

차도 단차 2cm 이하, 연석기울기

1/12 이하

차도 단차 2cm 이하, 연석기울기 1/12 이하

차도 단차 2cm 이하, 연석기울기

1/12 이하

단차 2cm 이하 표 1.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지침 및 매뉴얼

별도로 장애인 이동지원시설에 대한 정보를 분리하여 활용하는 상태임. 이에 따라 본 연 구개발에서는, 장애인 이동지원시설과 네트워크 정보와의 완전한 결합을 통한 내비게이 션 사전 시뮬레이션을 지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통약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경로안내를 선택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음(2차년도)

2.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연구

○ 보행 제약 사항을 고려한 보행자 접근성 모델 연구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과 관련하여)

- 국내의 경우,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 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편의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에 의하여 각종 시설물 및 건물 에 설치되고 있음

- 또한 서울특별시에서 시행 중인 ‘서울형 장애물 없는 건물 인증제’에서도 건물 안팎 에 대하여 장애인 편의 시설의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를 서울시가 평가하고 인증하기 위한 인증 심의 기준을 마련하였음

- 이외에도 장애인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는 이동 시설물에 관 련된 지침 및 매뉴얼들을 공시하였는데, 여기에는 보도의 기울기, 연석높이, 경사로, 점형 블록, 보행안전지대, 음향 신호기 등을 중심으로 기준을 제시하고 있음(표 1)

(10)

보도설치및 관리지침

도로안전 시설설치및관

리지침

교통약자 이동편의 시설설치 관리매뉴얼

교통약자의이 동편의증진법

시행규칙

장애없는 보도디자인 가이드라인

장애물없는생 활환경인증제 도 자체평가서

경사로 -

1/12 이하 (도로의 경우

1/20)

- - - -

점형

블록 -

황색, 가로 30cm

× 세로 30cm

횡단보도 진입부에 2단설치

횡단보도 진입부에 2단설치

보차도 경계석 포함

차도로부터 30cm 이상 이격

-

보행

안전지대 - - 지면높이

2.1m 초과

지면높이 2.1m 초과

지면높이 2.5m 초과

지면높이 2.5m 초과

음향

신호기 - -

횡단보도 1.0m 이내,

지면높이 1.5m

횡단보도 1.0m 이내,

지면높이 1.0 ~ 1.2m

- -

- 사용자를 위한 시설물 정보 서비스 중 스마트서울맵에서는 앞서 살펴본 법이나 지 침, 매뉴얼 등에서 언급된 장애인 관광지(장애인 주차구역, 접근로, 출입구단자제거, 장애 인용승강기, 화장실, 매표소, 시각장애인 편의, 청각장애인 편의, 안내서비스, 휠체어 대 여, 장애물) 정보와 장애인 편의시설(숙박시설, 음식점, 영화관/공연장, 쇼핑/마트, 공영주 차장, 은행, 의료, 공공기관, 교육/보육, 이미용실, 기타, 공영화장실)정보를 제공

- 커뮤니티매핑센터에서는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POI 기반으로 각 시설물별 접근성 현 황을 편의시설 정보와 함께 실제 조사하여 구축하였음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을 정의하고 이를 일 부 선험적인 경로안내 서비스나 맵에서 제공하고 있음. 그러나 이는 단순히 POI 정보를 맵 상에 표시하고 개별적인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서, 장애인 네트 워크 데이터와의 결합이 되어있지 못하여 이를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로 보기는 어려움.

결국, 국내에서는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임.

- 국외 사례로서, e-Adept Projet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기존 보행자 네트워크에 이 동불가 지형지물, 이동위험 지형지물 정보를 확장하여 구축하면서 동시에 이동비용 정보 를 추가한 데이터모델을 마련하였음. 서비스 이용자는 프로파일 설정을 통하여 이동비용 은 물론, 이동불가 또는 이동위험 지형지물을 선택하여 경로 탐색에 반영할 수 있음

(11)

그림 12. e-Adept 장애인 데이터 모델

- HaptiMap Project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동자의 접근성에 대한 데이터 모델을 정의 하고자, 국내외 표준 및 지침들을 참고하여 그림 13과 같은 데이터 모델을 도출

그림 13. HaptiMap Project의 접근성 데이터 모델

- 국외 사례로는 위와 같이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한 데이터모델이 개발되어 있으나, e-Adept Projet의 경우 그 대상 범위가 보행 장애물에 한정되어 있으며, HaptiMap Project는 다양한 유형의 시설물을 포괄하나 장애인에 관련된 부분만 놓고 보면 시설물 유형이나 속성항목이 세분화되어 있지는 않고(승강기/에스컬레이터/경사로 등) 국내 도심 지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데이터모델을 참조하되 항목을 세분화 및 조정하고 속성항목 등을 국내 실정에 맞게 보강하여 장애인용 데이터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음

(12)

이동 편의시설 상세 내용 비고

보도

포장 상태 양호

불량

폭이 좁은 구간 보행자길의 유효폭이 1.2m 미만(휠체어가 다닐 수 없는 폭)인 경우

-

급경사

기준: 휠체어 이동 여부 아니오

표 3.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의

- 장애인용 이동 지원시설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법제적인 규정과 함께 프로토타입 의 서비스에서 보듯이 장애인용 편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속성이 나타나 있음.

본 연구개발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장애인용 이동 지원시설을 정의하고 그 주요 속성들을 도출하였음

- 본 연구에서는 실외 공간 및 실내가 연결되는 출입구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공원, 공공건물 및 공중 이용시설, 공공주택에 대해서 편의시설의 유형과 설치기준을 조사하였 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 정보 구축 항목을 도출하였음

- 따라서 교통약자를 위한 경로안내 서비스를 위하여 VGI 플랫폼에서 수집될 데이터 는 표 2와 같이 공간적 범위와 관련성이 높은 매개시설과 내부시설의 일부로 한정함

종류 상세 내용

매개시설 주출입구접근로, 높이차이 제거

내부시설 주출입문, 일반출입문, 복도, 계단, 경사로, 승강기, 휠체어리프트 표 2. VGI 플랫폼에서 수집될 장애인 편의시설 종류

- 기존 법이나 지침에서 정의하고 있는 매개시설에서는 본 사업은 보행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제외하며, 또한 내부시설은 역사나 지하보 도, 건물의 출입구(문)와 내부시설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 시설물을 대상으로 함

- 매개시설과 내부시설에 교통약자의 보행에 영향을 끼치는 도로 시설물을 포함하여 장애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되어야 하는 장애인 이동 편의시설을 다음 표 3과 같이 정의하였음

(13)

이동 편의시설 상세 내용 비고

계단

휠체어 리프트

계단/경사로 혼용

횡단보도

휠체어가 이동 불가능한 높이차이(2cm 이상)인 경우

차량 진입 억제봉 적합 규정 간격인 1.5m 이상인 경우 부적합

지하보도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자동문

육교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지하철역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자동문

건물 주출입구

휠체어가 이동 가능한 높이차이(2cm 이하)인 경우

-

자동문 안내 도우미가 있거나 비상통화장치가

설치된 경우 자동문 유

자동회전문은 자동문 아님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엘리베이터 연결 시설물 유형

지하철역 육교 교량

교량

엘리베이터

경사로

(14)

○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제안

- 앞에서 선정한 편의시설 항목을 바탕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특히, 노약자, 신체가 불 편하거나 휠체어로 이동하는 장애인의 경로안내를 위한 VGI 플랫폼에서 구축될 장애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였음

그림 14. 본 과제의 VGI 플랫폼에서 구축될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 본 데이터모델은 HaptiMap Project의 보행자/자전거 접근성 데이터모델(그림 13)을 기초로 하되, 육교·엘리베이터 등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이동 지원시설 정보 항목들을 보 강·상세화하였으며, 특히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여 이동 유형을 분류하고 보도·지하철역 등의 시설물은 국내 실정에 맞도록 속성 항목을 추가 및 조정하였음

- 이렇게 도출된 네트워크 데이터모델은 국내 기존의 POI 기반 데이터모델과는 달리 보행자 네트워크와 완전히 결합 가능하기 때문에 경로안내에 곧바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선진국에서 연구·개발된 데이터모델과 비교하여도 시설물 정보의 다양성 및 장애인 적합 성 측면에서 개선된 형태임

(15)

3.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안내 융합 기술 개발

○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안내를 위한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교통약자용 보행자 네 트워크 DB) 생성 기술 개발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서울시를 대상으로 구축한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를 기반으 로 하여 VGI 플랫폼에서 취득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를 융합하기 위한 기술을 개 발하였음

- 이 기술은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 위에 새로 취득한 보행 장애 및 지원 시설물들의 위치정보를 중첩하고, 동일 좌표체계로의 변환, 시설물의 구간 데이터 추출, 기존 네트워크 데이터 위에 안착, 객체 연결 및 분할을 통한 위상구조 재설 정 등의 세부 기술들을 포함하고 이를 통하여 장애인용 경로안내 서비스에서 즉시 활용 할 수 있는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그림 15. 보행자 네트워크와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융합 기술 개요

- 전체 프로세스는 크게 입력 데이터의 전처리, 유효점 추출을 통한 예비 링크 생성, 매칭 된 예비 링크를 기반으로 장애 시설 링크와 노드 생성, 매칭되지 않은 예비 링크를 기반으로 새로운 장애 시설 링크와 노드 생성으로 구성

(16)

그림 16.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안내를 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

① 입력 데이터

- Raw GPS 데이터 : 사용자가 입력을 시작한 후 입력을 종료했을 때까지 취득된 GPS 포인트의 집합으로, 각 포인트는 (X, Y, Z) 좌표와 취득시간, 장애시설물의 상세정 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

- 실시간 맵매칭 된 GPS 데이터 : 클라이언트 내부에서 처리된 실시간 맵매칭 과정을 거쳐 위치가 보정된 GPS 포인트 데이터

- 장애시설 위치/ 속성정보 : 장애시설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와, 시설물의 속 성 정보(장애 요인과 통행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서울시를 대상으로 구축한 데이터로, 포인트 형태의 노드(Node)와 선 형태의 링크(Link)로 구성

② 입력 데이터 전처리

- GPS 신호의 오차로 인해 이상치에 해당하는 포인트 발생하므로, 포인트 사이의 간 격이 평균에 비해 훨씬 큰 값을 가지는 점을 제거

(17)

- 기 구축된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는 폴리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기울기를 가지는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하여 전처리(그림 17)

그림 17. 링크를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하는 예시

③ 예비 링크 생성

- GPS 포인트와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세그먼트들과의 기하학적 특성(거리와 방향) 차이를 계산하기 위해 차이지수(Difference Index)12)를 활용하여, 각 포인트에 대해 최 소 차이지수 값과 그 때의 링크 세그먼트의 ID를 속성 필드에 저장

- 표 4와 같이 3가지 기준에 의해 취득된 GPS 포인트 중 유효점을 추출하여 최소 차 이지수 값을 가지는 링크 세그먼트 위로 유효점 이동

기 준

1 이전 포인트와 이후 포인트와의 거리 차이가 큰 포인트

2 방향의 전환각이 큰 지점의 포인트

3 속성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의 포인트

표 4. 유효점 추출 기준

- 위치가 조정된 유효점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예비 링크를 생성하며, 이 때 각 예 비 링크는 2개의 장애시설 유효점으로 구성

- 각 예비 링크와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세그먼트 간의 매칭 관계를 활용하여 듀얼 라인과 교차로 오류를 해결(입력 데이터 자동 보정 기술)

④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DB 구축

- 기존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세그먼트와 매칭되는 예비 링크 중 장애시설의 속성을 가진 예비 링크 추출

12) 포인트와 라인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며, 포인트는 가장 작은 차이지수 값을 가지는 인접 라인 위에 존재함을 의미(박슬아, 2014)

(18)

- 추출된 예비 링크의 시작점과 끝점을 새로운 노드로 생성하여 기존 노드 레이어와 병합한 후 속성정보를 정리하여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의 노드 DB를 구축

- 새롭게 구축된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의 노드를 활용하여 기존의 보행자 네트 워크의 링크를 분절하고, 시작과 종료 노드에 장애시설 속성이 존재하는 링크는 해당 장 애시설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DB를 구축

⑤ 새로운 링크 생성(추가 연구)

-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와 장애시설의 위치/속성 정보의 융합 과정에서의 매칭 오류 보완을 위한 추가 연구 수행

- 기존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세그먼트와 매칭되지 못한 예비 링크는 새로운 보도의 생성 등으로 인해 기존 네트워크에 없는 새로운 링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

- 이에 따라, 해당 예비 링크 중 장애시설 속성을 가지는 링크의 경우에는 연장선을 생성하여 기존 링크와 교차시킨 후 교차 지점에 새로운 노드를 생성

- 이 때 발생하는 기준선 미달 오류(undershooting error)나 기준선 초과 오류 (overshooting error)의 수정 필요

- 그러나 해당 프로세스의 경우에는 새로운 링크 생성을 위한 임계점 결정을 위해 충 분한 장애시설 정보가 필수적이므로, VGI 플랫폼 개발 이후 사용자들의 활발한 데이터 제공이 필요(현재는 개념적 처리 프로세스 제안 수준)

○ 사용자 입력 데이터 자동 보정 기술 개발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위상적/논리적 오류를 탐지하고, 이를 자동으로 수정 하기 위한 알고리즘 연구를 수행함

- 기 구축된 보행자 네트워크는 ‘듀얼라인’과 ‘교차로’라는 특수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 함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오류 수정 단계가 필요

(19)

듀얼라인 오류 교차로 오류 표 5.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오류 예시

- 입력 데이터의 특수성을 고려한 듀얼라인 오류 자동 수정 알고리즘은 그림 18과 같

그림 18. 듀얼라인 오류 자동 수정 알고리즘

- 듀얼라인 오류의 경우에는 이동 경로에 의해 기존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 세그먼트 와 매칭되어야 하는 예비 링크가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한쪽의 포인트 군을 다른 한쪽으 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류를 수정하고, Loop를 통해 자동으로 수정 가능

- 기존 보행자 네트워크의 교차로 노드와 매우 인접한 유효점의 경우에는 해당 유효점 을 인접한 교차로 노드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동한 유효점을 새로운 노드로 생성한 후 예비 링크를 재생성하여 오류 수정

(20)

○ 개발 기술 적용 결과

- 서울시 송파구 마천동을 대상으로 GPS 데이터와 장애시설 위치/속성 정보를 수집하 여 개발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적용 대상지의 특성은 표 6과 같음

테스트 블록 당 평균 건물 층수

연결 링크 수가 3개

이상인 노드 비율 보행 지원 시설

마천동 평균 2.68층

(최소 1층∼최대 19층) 0.64 지하철역

(엘리베이터) 표 6. 개발 기술 적용 대상지의 특성

- 데이터 수집 결과는 그림 19와 같으며, 전처리 수행 결과, 전체 15635개의 GPS 포 인트 중 이상치인 1154개의 포인트가 제거

그림 19. GPS 데이터 수집 결과

- 개발 기술을 적용하여 마천동의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안내를 위한 장애인용 네트워 크 데이터(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DB) 생성 결과는 그림 20과 같음

(21)

그림 20. 마천동의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생성 결과

○ 개발 기술의 정량적 평가

-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생성된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DB를 정량적으로 평가 하여 개발 기술의 적합성을 확인하여야 하며, Wiedman, C.(2003)가 제안한 지표을 기반 으로 생성 네트워크의 기하 완전성과 기하 정확성에 대한 평가 필요

- 그러나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DB의 부재로 인해 참조 자료의 평가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

- 이에 따라 입력 데이터와 처리 프로세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참조 자료의 평가 방 법을 바탕으로 ‘장애 구간 생성률’의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실제로 마천동에 대해 교통약 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DB를 구축한 후 해당 지표에 의해 평가 수행

- 장애 구간 생성률은 실제 장애 구간 개수 대비 개발 기술에 의해 구축된 장애 구간 개수를 의미(식 1)

 

     

       

(식 1)

(22)

- 시범 구축 지역인 마천동에 대한 평가 결과, 전체 101개의 장애 구간 중 개발 기술 에 의해 80개의 장애 구간이 구축되었으며, 이는 약 80%(79.2%)의 생성률에 해당

- 이 기술을 활용하여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지역에 대하 여, 현장에서 수집한 시설물들의 위치정보를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끊어짐 없이 융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하여 VGI 플랫폼 사용자는 보행 장애물 및 지원 시설물 정보가 반영된 교통약자용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음

4.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입출력 인터페이스 표준안

○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목표 및 고려사항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입출력 인터페이스 표준안의 마련을 위해서는 먼저 장애인 이 동 지원시설/장애물에 대한 정의가 필요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에 필요한 정보는 우선 실외로 한정하여 건물의 주출입 구, 지하보도, 지하철 입구까지 포함하는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또한 수집될 정보의 형태 는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 중 공간적 범위와 관련성이 높은 매개시설과, 내부시설 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여야 함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은 앞서 장애인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연구에서 정의한 바에 따라, 입력할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을 크게 보도, 계단, 횡단보도, 지하보도, 육교, 지하철역, 건물 주출입구, 엘리베이터, 교량 등 9가지 시설로 분류

- 분류된 각각의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에 대해 휠체어 통행 가능 여부, 포장상 태 불량, 턱(높이차이) 유/무, 폭이 좁은 구간, 급경사 등의 속성정보 값을 설정. 계단, 지 하보도, 육교 등 연결시설들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등 지원시설의 유무 를 표기하도록 하였음

- 가장 대표적인 장애인용 접근성 어플리케이션 Wheelmap의 경우, 접근성 정보가 건 물 출입구에 해당하는 정보뿐이고, 출입구에 대한 접근성 정보도 모두 접근 가능, 제한적 접근 가능, 접근 불가의 3가지로만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서 실제 사용자들이 접근 성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음. 그에 반해 제안하는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입출력 인터 페이스에서는 장애인들이 실제로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여 다양한 정보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음

(23)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안전행정부에서 고시한 “모바일 어플 리케이션 접근성 지침13)”,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지침14)”을 최대한 준 수하는 범위 내에서 설계

- 특히 연구의 최종 성과물인 웹 앱 형태의 VGI 플랫폼의 주요 사용 대상자들이 교통 약자들임을 고려하여,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15) 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설계

- 전체 입출력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음

① 먼저 시설추가를 통해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을 입력하는 프로세스로 진입 ② GPS 좌표 취득을 위해 실제 통행 가능 여부를 묻고 그에 따라 GPS 궤적 또는 사 용자가 직접 입력한 위치 정보를 획득

③ 속성 입력 프로세스에서는 GPS 궤적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위치 정보에 어 떤 지원시설/장애물 인지, 어떠한 이유로 통행에 어려움이 있는지 등을 입력

④ 출력 프로세스에서는 입력된 정보를 지도 위에 출력

그림 21.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 입출력 프로세스 1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07호, 2013.8.19.) 14)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지침 (행정안전부고시 제2011-37호, 2011.9.5.)

15)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 (미래창조과학부고시 제2013-106호, 2013.8.19.)

(24)

○ 기능 설계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장애물 입출력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입,출력 기 능들이 어떻게 동작할지를 결정하는 단계가 필요

- 입력 기능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하는 중에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을 맞닥뜨렸을 경 우, 해당 시설을 어떻게 쉽고 편하게 입력하게 해 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

- 입력해야 할 정보는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위치정보, 종류, 세부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위치정보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별도의 입력 절차가 없이 자동 으로 사용자의 GPS 궤적을 그대로 입력하고,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따로 이동지원 시설/장애물의 위치정보를 입력하게 함

- GPS 궤적이 입력된 후,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종류와 세부 속성을 입력하는 프로 세스가 등장하고, 입력 완료 후 입력된 정보들을 보여주는 출력 인터페이스가 나오도록 설계

○ 화면 설계

- 기능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동작하게 될 입,출력 화면을 설계

- 입,출력 화면 설계를 위해, Wheelmap16)등 대표적인 장애인용 위치기반 어플리케이 션의 사례들을 검토, 반영

그림 22. Wheelmap 작동 화면

16) http://wheelmap.org/

(25)

- 주 메뉴는 최종 성과물인 웹 앱 형태의 VGI 플랫폼을 가정하여, 지도보기, 시설 추 가, 경로 안내, 설정의 4가지로 구성

- 지도 메뉴로 들어갔을 시, 지도와 함께 시설추가와 경로안내 메뉴가 항상 나타나고, 현위치, 지도 확대/축소의 지도 컨트롤 메뉴가 함께 나타남

- 주 메뉴에서 시설추가를 선택하는 것과 지도 화면에서 시설추가를 선택하는 것은 결 과적으로 동일하게 작동함

- 먼저 실제 통행 가능 여부를 묻는 팝업이 등장하고, 실제 통행 가능 여부에 따라 수 동으로 위치를 입력하는 화면 또는 GPS 기록을 시작하는 화면으로 전환

- GPS 기록으로 넘어갔을 경우, 동영상을 함께 녹화할 것인지를 묻고, GPS 기록과 함 께 동영상이 녹화됨

- 기록 종료를 누르면 GPS기록과 동영상 녹화가 정지되면서,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환

-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종류를 선택하면, 해당 시설의 속성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전 환. 이 화면에서 휠체어 통행 여부는 필수 선택 요소이므로 라디오 버튼으로 선택하게 하고 기타 요소들은 복수 선택도 가능한 속성이므로 체크박스 형태로 나타냄

- 속성 입력화면에서 완료를 누르면 바로 화면이 전환되면서 입력한 이동지원시설/장 애물이 지도에 출력됨

- 경로 안내 기능은 2차년도에 구현 예정

(26)

그림 23.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화면

○ 사용성 평가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평가 방법에는 크게 전문가들에 의한 시스템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분석적 평가방법과 실제 사용자들에 의한 시스템 평가방법인 실증적 평가방 법이 있음

- 이동지원시설/장애물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실제 사용자들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실증적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

- 사용성 평가는 사용자 참여 기법으로 교통약가를 위한 보행 관련 시설물 정보를 구 축하고 있는 커뮤니티매핑센터17)를 통해서 평가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17) http://www.cmckorea.org/

(27)

요구사항 ID 요구사항 레벨 VGI-CITUS VGI 플랫폼 설계와 프로토타입 개발 및 멀티옵션 경로안

내 기능시현시스템 개발 2

VGI-CITUS-1 웹앱 형태의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 및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DB 구축용 VGI 플랫폼 설계 3

VGI-CITUS-1-1 VGI 플랫폼 요구사항 분석 4

VGI-CITUS-1-1-1 요구사항기술서  5

VGI-CITUS-1-1-2 업무프로세스정의서 5

VGI-CITUS-1-1-3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  5

VGI-CITUS-1-2 정의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및 장애인 이동 지원 시설 입출력 표준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플랫폼 설계 4

VGI-CITUS-1-2-1 인터페이스설계서 5

VGI-CITUS-1-2-2 아키텍처정의서 5

VGI-CITUS-1-2-3 데이터베이스설계서 5

VGI-CITUS-1-2-4 컴포넌트명세서 5

VGI-CITUS-2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3

VGI-CITUS-2-1 VGI 플랫폼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지구 선정 4 VGI-CITUS-2-2 안드로이드 모바일에서 구동이 가능한 웹 앱 형태의 플

랫폼 프로토 타입 구현 4

VGI-CITUS-2-2-1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 지도에 표출 기능 5 VGI-CITUS-2-2-2 입력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공유 기능 5 VGI-CITUS-2-2-3 사용자의 개인위치정보 제공 동의 확인 기능 5

VGI-CITUS-2-3 VGI 플랫폼 구현 문서 4

VGI-CITUS-2-3-1 프로그램코딩 5

VGI-CITUS-2-4 TTA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에서 검증 수행 4 표 7. VGI 플랫폼의 1차년도 구현 요구사항 목록

5. VGI 플랫폼 설계

○ VGI 플랫폼 요구사항 분석

- 요구사항기술서: 앞서 설계한 사항을 바탕으로, 시제품 개발 시 충족되어야 하는 요 구사항을 도출하고 요구사항기술서를 작성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입출력 기능,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를 지도에 표 출하는 기능, 입력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전체 공유 기능, 사용자의 개인위치정 보 제공 동의 확인 기능 등이 제공되어야 함

- 구체적인 시스템 분석설계에 앞서 요구사항을 다음 표 7과 같이 도출하였음

(28)

요구사항 ID 요구사항 레벨

VGI-CITUS-2-4-1 시험결과서 5

VGI-CITUS-3 멀티옵션 경로안내기능 구현시스템 개발 3

VGI-CITUS-3-1 VGI 플랫폼에서 구축된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POI)

지도 표출 기능 4

VGI-CITUS-3-2 VGI 플랫폼에서 구축된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POI)

검색 기능 4

○ 정의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및 입출력 표준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플랫폼 설계

- 앞에서 작성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표준안을 바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 계서 작성 및 화면 디자인

그림 24. VGI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서

(29)

-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운영되는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시스 템의 각 구성요소의 세부사항 및 상호작용 관계를 정의하여 아키텍처 정의서 작성

- 아키텍처정의서: 아키텍처는 크게 Google, VWorld 등의 Map Server와 VFS와 RESTful을 처리하는 VGI Server,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VGI 앱으로 구성되며 아래 그림과 같음

그림 25. VGI 플랫폼 아키텍처 정의서(일부)

-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되고 처리 및 저장되는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서 작성

- 엔티티간 관계성 및 계층구조를 정의하여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를 도 식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테이블 명세서를 작성하였음

그림 26. VGI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의 ERD

(30)

-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실제 개발 작업을 위하여, 시스템을 개별 컴포넌트 단위 로 분할하여 각 동작 기능별 작업 주체, 프로세스 흐름, 호출 함수, 기능 등을 정의하여 컴포넌트 명세서 작성

그림 27.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메인 화면

그림 28.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시설추가 화면

그림 29.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지도 화면

그림 30.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설정 화면

(31)

컴포넌트 ID 컴포넌트명 개요 COM-MAIN-001 메인기능 메인 메뉴 기능을 제공한다.

COM-ADD-001 시설추가

시설추가 메뉴가 나온다. 사용자는 세부 시설물 종류를 선택하여, 종류별 세부 항 목을 기입한다.

COM-VIEW-001 지도화면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화면이 표출된 다. 주변 장애시설물을 표출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COM-SET-001 설정 디폴트 항목 설정, 사용자 계정 관리 등 등을 설정한다.

표 8. VGI 플랫폼 컴포넌트 목록 및 기능

6.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 VGI 플랫폼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지구 선정

- 본 과제에서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 및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시범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폼의 기반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 본 VGI 플랫폼 및 향후 개발될 교통약자용 내비게이션의 주 사용자층 및 주요 시설 물 설치기준을 고려하였을 때, 장애인 복지시설과의 연계성이 중요한 지역을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음

- 서울시 25개 구를 대상으로 장애인 복지지설 현황 및 편의시설 설치율을 조사·분석 한 결과18), 노원구·강서구·송파구 등이 많은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그 중에서도 장애인 1인당 복지지설 수가 가장 많은 송파구를 선택하였음. 송파구 관 내 26개 행정동 중 송파인성장애복지관(송파구 마천로61길 26 (211-90호))이 위치한 마 천1동 지역을 시범사업지구로 선정하였음

○ 안드로이드 모바일에서 구동이 가능한 웹 앱 형태의 플랫폼 프로토타입 구현

-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 지도에 표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드로이드 앱에서 웹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Cordov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였으며, 웹뷰에 지도를 HTML5 방식으로 표현할수 있는 OpenLayer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OpenGeo서버에 접속하고 OpenStreetMap을 띄워 저장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에 관련한 정보를 지도에 표출시킴

18) 서울특별시 서울통계, http://stat.seoul.go.kr/

(32)

그림 31. VGI 플랫폼의 클라이언트 아키텍처

- 입력한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공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버에 PostgreSQL 기반의 PostGIS 서비스를 구축하고 Data를 송수신하기 하기위한 RESTful 포맷의 API를 사용하도록 VGI AppServer를 구축하였음.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앱을 통 하여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의 입력 및 수정, 삭제, 검색 등을 하고 모든 Data는 구축된 VGI AppServer를 통하여 전달되어 PostGIS 서버에서 처리됨

그림 32. VGI 플랫폼의 서버 아키텍처

- 사용자의 개인위치정보 제공 동의 확인 기능은 VGI 플랫폼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 수집이 없이는 위치정보법에 의거해 서비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의를 한 경 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처리를 했으며 해당 확인 정보는 앱과 서버에 모두 저장함

- 개인위치정보 제공이 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경우 서버에서는 앱에 위치 정보를 요청 하지 않으며 사용자 앱에서도 서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음

(33)

○ VGI 플랫폼 구현 문서

-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 소프트웨어공학센터19)를 통하여 소 프트웨어 품질관리 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체계적인 품질관리계획 수립 및 작업산출물을 작성함

○ TTA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에서 검증 수행

- 본 과제에서 개발된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TTA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20)에 의뢰하여 GS시험·인증 서비스를 통하여 품질 인증 및 기능 검증

- 현재(2015.1.31.) 시험 수행 절차 진행 중으로, 인증 완료 후 시험성적서 및 시험결 과서 제출 예정

7. 멀티옵션 경로안내 기능 시현 시스템 개발

○ VGI 플랫폼에서 구축된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POI) 지도 표출 기능

-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에 구축된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여 장애인 이동지원 시설 의 정보를 표출하며 추후 경로 안내 기능 개발에 최적화 되도록 고려함. OpenGeoSever 의 WFS를 이용하여 POI 및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를 표출하고 경로 안내 기능과 결

○ VGI 플랫폼에서 구축된 장애인 이동지원시설 정보(POI) 검색 기능

-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에 구축된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여 장애인 이동지원 시설 의 정보를 검색하며 추후 경로 안내 기능 개발에 최적화 되도록 고려함. VGI AppServer 를 이용하여 RESTful API를 사용

19) http://www.sw-eng.kr 20) http://sw.tta.or.kr

(34)

구분

국제 특허 국내 특허

출원 등록 출원 등록

1차년도 1

구분

학술대회 발표 학술지 발표

국내 국외 국내

국외

SCI(E) 비 SCI

1차년도 4 1

Ⅱ. 기술개발결과

1. 논문 실적

○ 국내 발표 (4건)

- 김지영, 유기윤, 2014, 길찾기 관점에서의 도로명판의 설치위치 분석, 2014 대한토 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311-312.

- 방윤식, 유기윤, 2014, 도로 네트워크의 영역 기반 매칭을 이용한 이종 공간정보 데 이터 통합 기법, 2014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613-614.

- 이재은, 유기윤, 2014, 교통약자용 경로안내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설계,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03-104.

- 박슬아, 방윤식, 유기윤, 2014, 교통약자 맞춤형 보행자 수준 네트워크 생성 기법,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09-110.

○ 국외 SCI(E) (1건)

- Jiyoung Kim, Yong Huh, Jung Ok Kim, and Jae Bin Lee, 2015, Proposal for the Generation of Network Data for Pedestrians in South Korea Using Large-scale Map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Published Online, 2015.

2. 특허 실적

○ 국내 특허 출원 (1건)

- 유기윤, 김지영, 방윤식, 이재은, 박슬아, 내비게이션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기반 사 용자 참여형 장애시설 정보 구축방법, 출원절차 진행 중

(35)

구분 기술문서

1차년도 1

3. 기술개발 실적

○ 기술문서 발간 (1건)

- 방윤식, 박슬아, 김지영, 이재은, 유기윤, 2015,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핵심 기술(ISBN: 978-89-6207-052-1 93530), 도서출판 관악.

4. 시제품 개발

○ 시제품 개발 (1건)

- “Smart Wheel”: 교통약자를 위한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 (모바일 앱) 개발

(36)

그림 33.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모바일 앱) 화면

[(a): 초기 화면, (b): 메인 메뉴, (c): 입력 방법 선택, (d): 수동 입력, (e): 위치 조회, (f):

시설물 종류 선택, (g): 시설물 상세정보 입력, (h): 설정]

- TTA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에서 GS시험·인증 서비스 진행 중이며, 인증 완료 후 시험성적서 및 시험결과서 별도 제출 예정

5. 신규고용실적

- 참여기업인 ㈜ 시터스에서는 VGI 플랫폼 개발 및 경로안내 시스템 개발 시 준수해야 하는 국가 표준관련 기술 개발을 위하여 신규 인력(박정미)을 채용하였음

(37)

Ⅲ. 결론 및 차년도 계획

1. 결론

-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 지원시설물 정보 구축을 위한 VGI 플랫폼의 개발을 목표로, VGI 플랫폼에 적용될 핵심기술 개발 및 VGI 플랫폼 설계, 프로토타입 SW 개발을 완료 하였음

- 선험적 장애인 경로안내 서비스 및 VGI 플랫폼 구축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 및 서비스의 동향 및 한계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과제의 추진방향을 설정하 였음

-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자 접근성 모델을 연구하고 다양한 사례에서 활용한 지원시설물 구축 기준을 참조하여, 교통약자 유형별 장애인 이동 지원시설을 정의하고 장애인용 네 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제안하였음

- 기존 구축된 보행자용 네트워크 데이터와 VGI 플랫폼에서 취득될 장애인 이동 지원 시설 정보를 융합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은 수집된 정보의 오류 탐지 및 자동 수정 기법을 포함함

- VGI 플랫폼의 이동 지원시설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이에 관한 표준 안을 제안하였음

- 정의된 데이터모델 및 데이터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VGI 플랫폼에 관한 시스템 설계(요구사항 분석, 분석설계) 및 설계서 작성

- 안드로이드 OS 모바일에서 구동이 가능한 웹앱 형태의 VGI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구 현하였음. 이 프로토타입은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입출력 및 지도 표출 기능, 정보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함

- 프로토타입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은 차년도에 개발될 멀티옵션 경로안내 기능이 탑재될 수 있도록 이동 지원시설 정보의 조회 및 검색 기능을 포함하여 향후 경로안내 서비스로서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

수치

그림  4.  Barrierefreie  Routenplanung  서비스화면 그림  5.  WheelGuide  서비스  화면
그림  6.  일본  자율이동지원  프로젝트     -  스웨덴의  e-Adept 7)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교통약자  전용  내비게이션으로  스마트폰의  GPS와  관성  시스템을  결합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경로  제공이  가능함     -  유럽연합의  HaptiMap  project 8) 는  LBS를  이용한  장애인들의  접근권  향상을  목적으 로  시작된  다국적  연구집단에  의해  진행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그림  7.  e-Adept  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서비스 그림  8.  Pocket  Navigator  서비스  화면
그림  13.  HaptiMap  Project의  접근성  데이터  모델
+7

참조

관련 문서

국내 정부는 기술 선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양자정보통신 기술 표준화 및 인증 제도를 마련해야 함 최근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생산전략 : 사업전략 및 기업전략의 절대적인 부분으로서, 조 직목적과 이념을 반영하고, 장기적·지속적 경쟁우위 및 조직성 과에 기여하기 위한 생산역량의 개발

• 대체에너지개발, 에너지 효율화, 탄소저감기술의 개발, 탄소포집 및 저장, 탄소를 원재료로 이용하는 기술 개발 등에 지원하는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모듈 제조 공정. BIPV 적합성

국산 사이클로트론의 해외 시장 진출 및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해서 한국원자력의 학원 NCT용 사이클로트론 개발과 같은 미래 기술 개발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ㅇ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식생활교육 확대가 필요하고, 교육콘텐츠의 지속적 개발 , 매체의 다양화, 온라인 플랫폼 활용

중대사고 환경하에서 생존 가능 필수 계측기 개발 및 고장·탐지 진단 기술 개발 없음 사고 극복 위한 필수기기 가용성 증진 기술 개발 없음..

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 및 노드 인증 최적 기법 개발 연구 핵심원천기술 기밀성이 향상된 블록체인 플랫폼 연구 및 개발 핵심원천기술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