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만과 위장관 운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비만과 위장관 운동"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6;48:89-96

□ REVIEW □

서 론

비만은 궁극적으로 지나치게 칼로리 섭취가 많거나 비균 형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적을 때 발생한다. 칼로리 섭취 면 에서 볼 때 위장관은 음식 섭취 및 소화와 영양분 흡수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장관의 생리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잘 조율된 정상적인 위장관 운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위장관 운동은 영양분을 처리 하고 흡수하는 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식욕(appetite)과 포만(satiety)을 조절하는 데 관계한다. 음식물 섭취와 소화 에 대한 정보는 위장관과 간으로부터 뇌의 일정 부분에 전

달되어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을 강력하게 조절함으로써 전 체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특히 배고 픔과 포만감은 위 운동과 감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비만 환자에서 여러 위장관 운동의 변화가 보고되어 왔으 며 이들 변화의 의미에 대해서는 아직 잘 이해되고 있지는 않으나 비만 발생과 유지, 또한 식습관 변화에 중요한 요인 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비만 환자에서 발생하는 위장관 운동의 변화 를 체계적으로 알아보고 이들 변화의 조절을 통한 비만 치 료 응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비만과 위장관 운동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이 준 성

Obesity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Joon Seong Lee, M.D.

Institute for Digestive Research,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 Chun 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Gastrointestinal (GI) motility has a crucial role in the food consumption, digestion and absorption, and also con- trols the appetite and satiety. In obese patients, various alterations of GI motility have been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GERD and esophageal motor disorders in obese pati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popula- tion. Gastric emptying of solid food is generally accelerated and fasting gastric volume especially in distal sto- mach is larger in obese patients without change in accommodation. Contractile activity of small intestine in fast- ing period is more prominent, but orocecal transit is delayed. Autonomic dysfunction is frequently demonstrated in obese patients. These findings correspond with increased appetite and delayed satiety in obese patients, but causes or results have not been confirmed.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these altered GI motility have been devel- oped using botulinum toxin, gastric electrical stimulation in obese patients. Novel agents targeted for GI hormone modulation (such as ghrelin and leptin) need to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6;

48:89-9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Obesity; Satiety; Gastric emptying; Accommodation; Gastric electrical stimulatio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연락처: 이준성, 140-743,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연구소, 소화기병센터 Tel: (02) 709-9868, Fax: (02) 709-9696

E-mail: joonlee@hosp.sch.ac.kr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Correspondence to: Joon Seong Lee, M.D.

Institute for Digestive Research, Digestive Disease Center, Soon Chun Hyang University Hospital, 657, Hannam-dong, Yongsan-gu Seoul 140-743, Korea

Tel: +82-2-709-9868, Fax: +82-2-709-9696 E-mail: joonlee@hosp.sch.ac.kr

(2)

90 대한소화기학회지: 제48권 제2호, 2006

본 론

1. 비만과 식도 운동의 변화

위식도역류질환이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3,4 최근 노르웨이의 65,000명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 의하면 신체비만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미 만인 사람에 비해 고도비만, 즉 신체비만지수가 35 이상인 경우 역류의 위험도는 남녀 각각 3배와 6배 증가하였다.3 비만 환자에서 왜 위식도역류질환이 잘 발생하는지 그 이 유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비만 환자에서 하부식도괄 약근압은 정상인과 비슷하거나 약간 낮게 보고되어 있어 비 만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의 주된 요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구에서는 비만 환자에서 위의 기저압이 정상 대조군 에 비해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5 아직 연구된 바는 없으나 위의 기저압이 높고 자주 과식을 하게 되면 일과성 하부식 도괄약근 이완(transient low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 tLESR)의 빈도가 많아지므로 위식도역류의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열공탈장(hiatal hernia)도 비만 환자에서 더 흔 히 발생하므로 위식도 역류질환의 발생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6 즉, 위식도 접합부가 횡격막 위로 올라가면서 위저 부가 위의 흉곽내 낭을 이루어 위 내용물이 쉽게 역류하며, 또한 열공탈장으로 횡격막 각(crural diaphragm)의 역류 방지 기능이 소실되고 역류후 산 청소능에 장애가 온다. 비만 환 자는 호기와 흡기 중 위-식도 간의 압력 경사가 큰 경향을 보이며,7 따라서 증가된 복압이 하부식도괄약근압보다 높아 지거나 하부식도괄약근의 위치가 전위되어 역류를 더 조장 하는 요인이 된다.8

비만에 의해 위식도역류질환이 발생하였는지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비만 환자에서 체중감소 후 위식도역류질환이 개 선되어야 하는데 위식도역류질환을 동반한 비만 환자에서 2-6개월의 단기간 체중감소 후 관찰한 두 연구에서는 역류 증상, 역류 횟수와 역류기간, 하부식도괄약근압 등에는 변 화가 없었다.9,10 그러나 비만과 위식도역류와의 관계를 정립 하기 위해서는 여러 인자들을 고려한 잘 계획된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비만 환자에서는 식도내압검사에서 여러 가지 이상 소견 이 발생한다. 한 연구에서 심한 비만으로 수술 예정인 환자 61명에서 식도내압 검사는 반수 이상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 였는데 저압성 하부식도괄약근, 고압성 하부식도괄약근, 미 만성 식도경련, 호두까기 식도, 비효율 식도운동, 비특이 식 도운동장애 등의 소견이었다.11 수술 예정인 심한 비만 환자 345명을 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서는 약 1/4에서 비정상적인 식도내압검사 소견을 보였는데 하부식도괄약근압의 저하가 18%로 가장 흔한 이상 소견이었다.12 이와 같은 비만과 식

도기능장애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2. 비만과 위 운동기능의 변화

1) 비만과 위 배출 시간

위 배출 과정은 포만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위 배출 조절은 장관이 지나치게 고삼투 용액으로 채워지거나 소화능력을 넘어서는 영양분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 할을 하며, 체순환 등에 적합하도록 영양분 배출 속도를 조 절한다. 또한 위내에 미즙(chime)이 오랫동안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포만감을 유지시켜 음식 섭취의 빈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비만과 위 배출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다소 다른 결과 들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비만 환자에서 액상 성분 의 위 배출은 정상인과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고형식의 위 배출은 비만 환자에서 유의하게 빠르다.13-15 이와 같이 빠른 위 배출은 포만감을 느끼는 기간을 줄이며 다음 음식을 먹 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으 며 이는 체중이 감소된 후에도 변하지 않아 다시 비만을 유 도할 수 있다.

비만 환자에서 위 배출의 이상 소견이 비만 자체의 내인 적인 요소인지 체중 증가에 따라 이차적으로 발생한 현상인 지를 알기 위해서는 비만 환자에서 비만 개선 후 위 배출 이상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시행한 몇몇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체중감소 전후에 위 배출 속도에 변화가 없다는 보고가 있 는 반면,16 식이요법 4개월 후 현저한 체중감소 후에 위 배 출이 지연되었거나17 공회장우회술(jejuno-ileal bypass) 9개월 후 위 배출이 지연되었다.18 그러나 위 배출시간의 개인내 분산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13%에 이르므로 연구에 오차를 보일 수 있고,19 공회장우회술과 같은 경우 회장 말 단에 도달하는 지방과 탄수화물 등이 회장 억제반사(ileal break)를 유발하여 위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또한 실제 비만에서는 초기의 위 배출과 전 체 위 배출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즉, 초기의 위 배출이 빠르다면 위에서 유래하는 복부 팽만감과 같은 증상은 감소 하겠지만 소장 상부는 음식물의 부하로 인해 더 큰 증상 반 응이나 포만감을 일으킨다. 특히 고삼투성 음식물의 경우 소장의 양적 팽창을 더 유발할 것이다. 한 연구에서 이런 현 상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19명의 비만 환자와 12명의 나이 와 키가 잘 짝지어진 마른 사람에서 위 배출을 비교해 보았 을 때 체중감소 전에는 비만 환자에서 첫 30분 동안 위 배 출이 많이 일어났고 이는 식후 팽만감 및 포만감 감소와 관 련 있었다. 이들 비만 환자가 16주간의 식이요법으로 평균 19 kg의 체중감소를 보인 후 다시 8주간의 체중 안정기를

(3)

이준성. 비만과 위장관 운동 91

거치고 위 배출 시간을 검사해 보았을 때 첫 30분간의 위 배출이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전체 위 배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0 즉 비만 남자에서 첫 30분의 고형식에 대 한 위 배출이 증가되어 있으나 현저하고 지속적인 체중감소 후에 위 배출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2) 비만과 위 전기활성도의 변화

비만과 위 전기활성도(electrical activity)에 관한 연구는 많 지 않으나, 비만 소아에서 주된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을 포함한 음식물을 주었을 때 식후 전기활성도는 정상체중아 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소아에서는 위전도(electrogas- trography)의 어떤 변수와도 신체비만지수(BMI)가 관련을 보 이지 않았다.21 그러나 비만 성인에서는 식전 및 식후 위전 도 모두에서 정상 위서파(gastric slow wave)의 빈도가 유의 하게 감소하며 느린 위서파(bradygastria) 백분율이 증가하였 고, 고형식에 대한 위 배출이 유의하게 빨랐다.22 비만 환자 에서 이와 같은 위전도 변화의 의미는 아직 잘 모른다. 느린 위서파 빈도가 감소되었을 때 강한 위 전정부의 수축과 관 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직 그 의미는 명확치 않다.23 실제로 비만 환자에서 위전도 측정은 복벽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 위와 피부 기록전극과 거리가 멀어 측정이 어려우므 로 위전도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가 크게 감소 할 것이므로 결과해석에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24

3) 비만과 위의 용적, 위 적응의 변화

비만이 지나친 칼로리 섭취에서 발생한다는 면에서 볼 때 위 용적이 큰 경우 매번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양이 많으므 로 비만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성립한다. 또한 음식을 섭취하면서 발생하는 위의 팽창은 팽만감이나 포만 감을 일으키는데 위 용적이 큰 경우 상대적으로 팽만감이나 포만감은 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음식물 섭취로 팽만감 및 포만감을 일으키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음식에 의한 위 팽창은 위의 신장수용기(stretch receptors)를 자극하여 미 주신경 방전을 유발하며 이는 시상하부신경세포(hypothala- mic neuron)를 활성화하여 포만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 다.25

비만 환자의 부검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간, 소장, 췌장 등 복강 내 장기들이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무겁다고 보고하고 있으나26 다른 연구에서는 위의 크기가 매우 다양 하여 체중과 관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 위 속에 라 텍스 풍선(latex balloons)을 넣고 물로 채워서 위의 용적을 조사한 연구에서 최대로 참을 수 있는 물의 양을 위의 용적 으로 보았을 때 비만 환자에서 정상체중인에 비해 유의하게 위의 용적이 컸다.28 다른 연구에서 정상 여성, 비만 여성, 신경성거식증 여성에서 분당 100 mL 속도로 위 속의 풍선

으로 물을 채워 넣었을 때 최대 인내치로 나타낸 위의 용적 은 거식증, 비만, 정상 여성의 순으로 컸으며 따라서 위의 용적은 체중보다는 폭식 행동에 더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하였다.29 또한 비만 환자에서 위의 용적이 크다면 비만이 개선된 후에 위의 용적이 변하는지 알아보았을 때 4주간 식 이요법으로 체중감소가 평균 9.1 kg이었던 비만 군에서 위 용적의 현저한 감소를 보여줌으로써 위 용적의 증가는 비만 의 원인이라기 보다는 결과라고 주장하였다.30

그러나 폴리에틸렌 풍선(polyethylene balloon)을 이용하여 물 대신 공기를 넣는 바로스타트 연구에서 비만 환자의 기저 위 긴장도(basal gastric tone), 식후 위 적응(accommodation), 팽창에 대한 지각반응(perception) 등은 정상인과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31 이와 같이 바로스타트 연구 결과가 물 채운 라텍스 풍선의 결과와 다른 이유는 라텍스의 경우 위 전체 를 채운 반면 폴리에틸렌 풍선은 위저부만이 대상이라는 차 이가 있고, 라텍스는 자체의 내부 순응도(intrinsic compli- ance)를 가지는 반면 폴리에틸렌은 그렇지 않다는 차이 등 이 있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도관을 위 속에 넣는데 따른 반사이완 등을 배제하지 못하는 문제점, 즉 비만 환자에서 위내 삽관이나 풍선 팽창에 따른 반사 이완이 더 현저하게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문이 있으며, 앞서 소 개한 체중 감소 전후의 위 용적 비교연구 또한 복압의 역치 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양이 복벽의 두께 차이에 따라 영향 을 받으므로 문제가 있다.32

따라서 이러한 연구에는 보다 생리적인 방법이 필요한데, 초음파를 이용한 소아비만 연구에서 공복 시 위전정부 면적 이 넓을수록 신체비만지수가 증가함으로써 비만에서 위용 적이 큰 결과와 일치하였다.33 최근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술(99mTc-SPECT)을 이용한 위 용적 검사가 개발됨에 따라 이를 이용해 보다 생리적인 연구가 가능해졌는데, 김 등의 연구에서 중등도 비만 환자와 정상체중인에서 공복 시와 식 후 위 용적을 비교했을 때 공복 시와 식후의 전체 위 용적 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공복 시 원위부 위 용적이 비 만 환자에서 더 크게 관찰되었다.34 이와 같이 라텍스 연구 와 차이를 보이는 이유로는 대상이 심한 비만이 아닌 중등 도 비만이었다는 점, 시험식의 용량과 칼로리가 식후 위 용 적의 변화를 보기에 적었다는 점과 방법의 차이 등을 들 수 있다.24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원위부 위가 근위부 위에 비 해 증상유발에 더 중요하다는 점35에 비추어 볼 때 원위부 위의 용적이 큰 경우 팽만감이나 포만감을 유발하기 위해서 는 많은 양의 음식이 필요할 것이며 따라서 비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만에 대한 위 용적과 신체비만지 수의 각각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36에서 신체비만지수가 증가 할수록 포만감이 늦게 발생하였고, 과체중이나 비만 환자가 정상체중인에 비해 최대 포만감에 이르기 위해 평균 225±

(4)

9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8, No. 2, 2006

57 kcal을 더 섭취했다. 공복 시 위 용적이 클수록 포만감이 늦게 발생하였는데 이 효과는 신체비만지수와 무관하였다.

신체비만지수와 공복 시 위 용적이 클수록 포만감이 늦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복 시 위 용적을 변화시키 는 기전이 포만감에 영향을 줄 것을 시사한다.32,36

비만 환자에서 위 용적 또는 원위부 위 용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위 용적의 증가가 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인 지 단순히 반복되는 과식에 반응하여 발생한 적응의 결과인 지는 아직 잘 모른다.

3. 비만과 소장 운동기능의 변화

소장 운동은 섭취한 영양소의 이동과 흡수를 조절하며 나 아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소장 안에 영양소가 있 음으로써 위장관 운동의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데 실제 위 배출을 조절하는 주된 기전이 되며 지연된 위 배출은 지속 적인 위의 팽만과 포만감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억제성 되 먹이기 효과(negative feedback effect)는 소장으로 배출된 내 용물의 칼로리와 소장에 노출된 길이에 비례한다.37 또한 소 장 안에 영양소가 있음으로써 여러 소화관 호르몬의 분비를 유발하는데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이 대표적인 예 로 이는 직접적으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고 간접적으로 는 구심성미주신경(vagal afferent neuron)을 통해 포만감과 음식물 섭취를 조절한다.38

비만 환자에서 소장운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 다. 한 연구에서는 공복 시의 운동장애로 이동성위장관복합 운동(migrating motor complex, MMC) 제1기가 소실되고, 제2기 가 길어지며, 제3기는 더 원위부에서 시작되고, 빈도가 줄어 들며, 제3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청 모틸린(motilin) 농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39,40 이와 같이 비만 환자에 서는 소장의 수축활동이 공복 시에 더 현저한데 이는 소장 에서 더 효율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배고픈 욕구를 더 유발하기 위한 것인지는 잘 모른다. 전자 의 경우 공복 시에 수축운동이 더 활발하게 되면 음식물이 흡수되기 전에 필요한 과정을 더 빠르게 유도할 것이며 따 라서 영양소의 흡수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의 생체이용률이 최대가 될 것이라는 추정을 의미한다.40 정상 체중 사람에서 체중과 키는 음식물의 소장 처리과정과 관련이 있는데 키가 클수록 소화액 분비 반응과 담낭의 배출이 더 빠르며 상부 소장의 통과시간이 빠르다. 그 결과 많은 음식물이 흡수되 지 않은 채로 하부소장으로 유입되는데 이는 하부소장의 흡 수면적이 훨씬 크기 때문에 키 큰 사람에서는 더 빨리 영양 소의 소장흡수가 일어남을 의미한다.41

소장통과시간이 빠른 경우 영양소의 흡수가 적게 되므로 체중감소가 유발될 것이며, 반대로 소장통과시간이 느릴 경 우 영양소의 흡수가 증가되어 체중이 증가하여 비만을 유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렙틴-결핍 비만 쥐(leptin-deficient obese mice)를 이용한 연구에서 공장의 콜레시스토키닌에 반응이 증가되어 있고, 상부 소장의 통과시간이 빠르게 나타났지만 전체 소장 통과시간은 지연된 소견을 보여주어 앞서 소개한 연구의 키 큰 사람에서와 마찬가지로 더 빠른 소장 흡수에 적합한 조건임을 보여주었다.42 초기의 비만 연구에서는 락 튤로스 호기검사를 이용하여 구강-맹장 통과시간을 측정했 을 때 비만 환자에서 유의하게 지연됐으나,43 이후의 연구에 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14,44 수소호기검사를 이용한 저 지방 및 고지방 스프의 구강-맹장 통과시간은 나이와 성별 을 짝지은 정상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45 아직까지 는 비만과 소장 통과시간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며 호기검사보다는 보다 정확한 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법 등 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 비만과 대장 운동기능의 변화

일반적으로 비만 환자에서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률이 3배까지 증가하며 비만 환자에서 대장운동의 변화도 발생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대 장 반사(gastrocolonic reflex)에 의해 대장운동이 활발해지는 데 이때 대장의 긴장도(tone)가 증가하고, 이주성으로 긴 극 파를 갖는 돌발파(migrating long spike bursts)가 나타나며, 전 파성의 분절수축들이 나타난다. 반면에 대장이 팽창하면 상 부 위장관 운동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생리 현상으로 볼 때 비만 환자에서도 어떤 대장운동의 변화가 있어서 상부 위장 관의 포만감 조절과 소장 안에서 영양소의 흡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 다.

5. 비만과 자율신경계의 변화

비만 환자에서 미주신경 의존 위장관기능의 변화가 나타 난다. 따라서 비만 환자에서 변형 헛급식(modified sham feeding)을 유도하면 위산분비가 줄어들고 췌담도계에 별다 른 반응을 보이지 않게 된다.46,47 비만 환자에서 여러 가지 자율신경장애가 폭넓게 나타나지만48 위장운동에 대한 영향 은 명백하지 않다. 한 연구에서는 비만환자에서 식도통과시 간의 감소와 자율신경장애가 모두 존재하지만 이 둘간에 직 접적인 관계는 관찰되지 않았으나,49 RR 간격과 같이 간접 적인 자율신경 검사를 이용했으므로 향후 췌장폴리펩티드 (pancreatic polypeptide) 혈중치와 같이 복부 미주신경에 대 한 검사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동물실험에서는 복내측시상하부(ventromedial hypothalamus, VMH) 손상 비만 쥐에서 미주신경 분포가 고인슐린혈증, 과 식 및 비만의 발생에 필수적이며, 이때 미주신경 절단술을 하면 복내측시상하부 손상 쥐의 특징인 비만의 발생이 방지

(5)

Lee JS. Obesity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93

된다.50 실제로 미주신경 절단술이 비만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수술 후 환자는 음식물 섭취가 감소하면서 체중감소 가 나타나는데,51 이는 미주신경의 여러 작용이 저하되면서 발생할 것으로 생각한다.

6. 비만과 위장관 호르몬, 펩티드의 변화

많은 위장관 호르몬 또는 펩티드가 위장관 운동과 관련이 있고, 이들은 음식섭취와 관련되어 분비되며 포만감과 음식 섭취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Fig. 1).

현재까지 콜레시스토키닌, 성장억제호르몬(somatostatin), 뉴 로텐신(neurotensin), 위억제폴리펩티드(gastric inhibitory poly- peptide), 펩티드와이와이(peptide YY) 등이 연구되어 왔고, 최근에는 성장호르몬분비촉진인자(ghrelin)가 발견되면서 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Ghrelin은 모틸린(motilin)과 염기서열이 유사하고, 순환 변화를 갖고, 위 배출을 촉진시 키고, 둘 모두 위장관에서 분비되며, 서로 수용체에 교차연 결(cross-binding)이 된다는 점에서 많은 흥미를 유발해 왔으 며 ghrelin이 증가하면 위 배출이 빨라지고 위 적응은 감소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52,53 Ghrelin과 렙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종설의 다른 장을 참조하기 바란다.

결 론

비만은 위장관 운동기능에 여러 가지 변화를 유발하며 이 러한 변화들이 비만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것인지, 아 니면 위장관 운동의 변화가 비만을 초래하는데 중요한 역할 을 하는 것인지는 아직 잘 모른다. 대체적으로 비만 환자에 서 위식도역류와 식도운동기능이상이 잘 발생하고, 고형식 에 대한 위 배출이 빨라지고, 위의 용적 특히 공복 시 원위 부의 위 용적이 크며, 위 적응에 대해서 변화가 없고, 공복 시 소장운동은 활발하고, 소장통과시간은 지연되어 있으며, 자율신경계의 이상이 잘 동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 은 이상 소견은 대체적으로 포만감 발생을 지연하며 영양소 의 흡수를 극대화함으로써 비만의 발생과도 유관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보다 적절한 방법으로 심한 비만 환자들을 대 상으로 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비만에 따른 위장관 운동의 변화를 바꿈으로 써 비만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다. 먼저 위 전정부에 보튤 Fig. 1. Gastrointestinal factors for the regulation of appetite. Hormonal fac- tors including ghrelin, somatostatin, GIP, CCK, amylin and GRP, and mechanical factors including fundic volume, antral stretch and gastrointes- tinal motility and neural factors inclu- ding ANS and ENS.

GIP,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CCK, cholecystokinin; GRP, gastrin releasing peptide; ANS, autonomic nervous system; ENS, enteric nervous system.

(6)

94 대한소화기학회지: 제48권 제2호, 2006

리눔 독소(botulinum toxin)를 주입함으로써 비만 환자에서 빨라진 위 배출을 느리게 하여 포만감, 조기만복감 등을 유 도하는 방법으로 성공적인 치료 예가 보고되었다.54 또한, 위 전기자극(gastric electrical stimulation)을 이용하는 법으로 위마비증 환자에서 이용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위의 장막 에 심은 자극기를 통해 단펄스형(short-pulse trains) 또는 장 펄스형(long pulses)의 자극을 이용한다.24 단펄스 자극의 경 우 위의 긴장도를 감소하여 위의 팽창을 유도하며, 이와 같 이 자극으로 유도된 위의 팽창은 위벽의 신장수용체(stretch receptor)를 자극하여 포만감을 유발하며 체중감소를 일으킨 다. 또한 단펄스 자극은 식후 위 서파 발생을 방해하고, 전 정부의 수축을 저하시키며, 소화관펩티드를 변화시킨다.55-57 반면에 장펄스 자극은 위의 전정부를 자극함으로써 위 빈맥 (tachygastria)을 유발하고 역행성 전파를 일으켜 위 배출을 저해함으로써 포만감과 체중감소를 일으킨다.58 마찬가지로 소장 전기자극을 이용한 치료가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한 ghrelin 길항제나 leptin 촉진제 또는 민감제(sensitizers), PYY3-36 촉진제, GLP-1 촉진제 등과 같은 소화관 호르몬 경 로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의 개발 등이 향후 연구과제가 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1. Moran TH. Cholecystokinin and satiety: current perspectives.

Nutrition 2000;16:858-865.

2. Friedman MI, Harris RB, Ji H, Ramirez I, Tordoff MG. Fatty acid oxidation affects food intake by altering hepatic energy status. Am J Physiol 1999;276:R1046-R1053.

3. Nilsson M, Johnsen R, Ye W, Hveem K, Lagergren J. Obe- sity and estrogen as risk factors for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s. JAMA 2003;290:66-72.

4. Locke GR 3rd, Talley NJ, Fett SL, Zinsmeister AR, Melton LJ 3r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gastroeso- phageal reflux. Am J Med 1999;106:642-649.

5. Hou XH, Xie XP, Xu H, Chen JD. Exaggerated gastric accommodation in patients with obesity. Gastroenterology 2004;

126(abstr):481A.

6. Stene-Larsen G, Weberg R, Froyshov Larsen I, Bjortuft O, Hoel B, Berstad A. Relationship of overweight to hiatus hernia and reflux oesophagitis. Scand J Gastroenterol 1988;

23:427-432.

7. Mercer CD, Wren SF, DaCosta LR, Beck IT. Lower eso- phageal sphincter pressure and gastroesophageal pressure gra- dients in excessively obese patients. J Med 1987;18:135-146.

8. Sugerman HJ, DeMaria EJ, Felton WL 3rd, Nakatsuka M, Sismanis A.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and cardiac

filling pressures in obesity-associated pseudotumor cerebri.

Neurology 1997;49:507-511.

9. Murray FE, Ennis J, Lennon JR, Crowe JP. Management of reflux oesophagitis: role of weight loss and cimetidine. Ir J Med Sci 1991;160:2-4.

10. Kjellin A, Ramel S, Rossner S, Thor K. Gastroesophageal reflux in obese patients is not reduced by weight reduction.

Scand J Gastroenterol 1996;31:1047-1051.

11. Hong D, Khajanchee YS, Pereira N, Lockhart B, Patterson EJ, Swanstrom LL. Manometric abnormalities and gastroeso- phageal reflux disease in the morbidly obese. Obes Surg 2004;

14:744-749.

12. Suter M, Dorta G, Giusti V, Calmes JM. Gastro-esophageal reflux and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in morbidly obese patients. Obes Surg 2004;14:959-966.

13. Wright RA, Krinsky S, Fleeman C, Trujillo J, Teague E. Gas- tric emptying and obesity. Gastroenterology 1983;84:747-751.

14. Horowitz M, Collins PJ, Shearman DJ. Effect of increasing the caloric/osmotic content of the liquid component of a mixed solid and liquid meal on gastric emptying in obese subjects.

Hum Nutr Clin Nutr 1986;40:51-56.

15. Duggan JP, Booth DA. Obesity, overeating, and rapid gastric emptying in rats with ventromedial hypothalamic lesions.

Science 1986;231:609-611.

16. Hutson WR, Wald A. Obesity and weight reduction do not influence gastric emptying and antral motility. Am J Gastro- enterol 1993;88:1405-1409.

17. Tosetti C, Corinaldesi R, Stanghellini V, et al. Gastric empty- ing of solids in morbid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20:200-205.

18. Naslund E, Gryback P, Backman L, et al. Distal small bowel hormones: correlation with fasting antroduodenal motility and gastric emptying. Dig Dis Sci 1998;43:945-952.

19. Choi MG, Camilleri M, Burton DD, Zinsmeister AR, Fors- trom LA, Nair KS. [13C]octanoic acid breath test for gastric emptying of solids: accuracy, reproducibility, and comparison with scintigraphy. Gastroenterology 1997;112:1155-1162.

20. Verdich C, Madsen JL, Toubro S, Buemann B, Holst JJ, Astrup A. Effect of obesity and major weight reduction on gastric emptying.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0;24:

899-905.

21. Riezzo G, Chiloiro M, Guerra V. Electrogastrography in healthy children: evaluation of normal values, influence of age, gender, and obesity. Dig Dis Sci 1998;43:1646-1651.

22. Jones TF, Lin Z, Sarosiek I, Moncure M, McCallum RW.

Assessment of gastric emptying and myoelectric activity in the morbidly obese patients. Gastroenterology 2001;120(abstr):

(7)

이준성. 비만과 위장관 운동 95

1500A.

23. Chen JD, McCallum RW. Clinical applications of electro- gastrography. Am J Gastroenterol 1993;88:1324-1336.

24. Xing J, Chen JD. Alterations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obesity. Obes Res 2004;12:1723-1732.

25. Deutsch JA, Young WG, Kalogeris TJ. The stomach signals satiety. Science 1978;201:165-167.

26. Naeye RL, Roode P. The sizes and numbers of cells in vis- ceral organs in human obesity. Am J Clin Pathol 1970;54:

251-253.

27. Cox AJ. Stomach size and its relation to chronic peptic ulcer.

AMA Arch Pathol 1952;54:407-422.

28. Granstrom L, Backman L. Stomach distension in extremely obese and in normal subjects. Acta Chir Scand 1985;151:

367-370.

29. Geliebter A, Hashim SA. Gastric capacity in normal, obese, and bulimic women. Physiol Behav 2001;74:743-746.

30. Geliebter A, Schachter S, Lohmann-Walter C, Feldman H, Hashim SA. Reduced stomach capacity in obese subjects after dieting. Am J Clin Nutr 1996;63:170-173.

31. Klatt S, Pieramico O, Guthner C, et al. Proximal gastric motility functions are normal in severe obesity. Digestion 1997;

58:115-119.

32. Park MI, Camilleri M. Gastric motor and sensory functions in obesity. Obes Res 2005;13:491-500.

33. Chiloiro MCaroli M, Guerra V, Lodadea Piepoli A, Riezzo G.

Gastric emptying in normal weight and obese children-an ultrasound stud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23:

1303-1306.

34. Kim DY, Camilleri M, Murray JA, Stephens DA, Levine JA, Burton DD. Is there a role for gastric accommodation and satiety in asymptomatic obese people? Obes Res 2001;9:655- 661.

35. Caldarella MP, Azpiroz F, Malagelada JR. Antro-fundic dys- functions in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2003;124:

1220-1229.

36. Delgado-Aros S, Camilleri M, Cremonini F, Ferber I, Ste- phens D, Burton DD. Contributions of gastric volumes and gastric emptying to meal size and postmeal 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2004;127:1685-1694.

37. Lin HC, Doty JE, Reedy TJ, Meyer JH. Inhibition of gastric emptying by glucose depends on length of intestine exposed to nutrient. Am J Physiol 1989;256(2 Pt 1):G404-G411.

38. Peikin SR. Role of cholecystokinin in the control of food intake. Gastroenterol Clin North Am 1989;18:757-775.

39. Pieramico O, Malfertheiner P, Nelson DK, Glasbrenner B, Ditschuneit H. Interdigestive gastroduodenal motility and cycl-

ing of putative regulatory hormones in severe obesity. Scand J Gastroenterol 1992;27:538-544.

40. Wisen O, Hellstrom PM.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obesity.

J Intern Med 1995;237:411-418.

41. Johansson C, Ekelund K. 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the gastric and intestinal handling of an oral caloric load. Gut 1976;17:456-462.

42. Kiely JM, Noh JH, Graewin SJ, Pitt HA, Swartz-Basile DA.

Altered intestinal motility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J Surg Res 2005;124:98-103.

43. Basilisco G, Camboni G, Bozzani A, Vita P, Doldi S, Bianchi PA. Orocecal transit delay in obese patients. Dig Dis Sci 1989;

34:509-512.

44. Wisen O, Johansson C.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obesity:

motility, secretion, and absorption following a liquid test meal.

Metabolism 1992;41:390-395.

45. Sasaki H, Nagulesparan M, Dubois A, et al. Hyperinsulinemia in obesity: lack of relation to gastric emptying of glucose solution or to plasma somatostatin levels. Metabolism 1983;

32:701-705.

46. Wisen O, Rossner S, Johansson C. Gastric secretion in mas- sive obesity. Evidence for abnormal response to vagal stimu- lation. Dig Dis Sci 1987;32:968-972.

47. Wisen O, Rossner S, Johansson C. Impaired pancreatico- biliary response to vagal stimulation and to cholecystokinin in human obesity. Metabolism 1988;37:436-441.

48. Peterson HR, Rothschild M, Weinberg CR, Fell RD, McLeish KR, Pfeifer MA. Body fat and the activ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N Engl J Med 1988;318:1077-1083.

49. Surrenti E, Ciancio G, Carloppi S, et al. Autonomic nerve dysfunction in pathologically obese patients. Dig Liver Dis 2002;34:768-774.

50. Powley TL, Opsahl CR. Ventromedial hypothalamic obesity abolished by subdiaphragmatic vagotomy. Am J Physiol 1974;

226:25-33.

51. Kral JG. Vagotomy for treatment of severe obesity. Lancet 1978;1:307-308.

52. Asakawa A, Inui A, Kaga T, et al. Ghrelin is an appetite- stimulatory signal from stomach with structural resemblance to motilin. Gastroenterology 2001;120:337-345.

53. Inui A, Asakawa A, Bowers CY, et al. Ghrelin, appetite, and gastric motility: the emerging role of the stomach as an endocrine organ. FASEB J 2004;18:439-456.

54. Rollnik JD, Meier PN, Manns MP, Goke M. Antral injections of botulinum a toxin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n Intern Med 2003;138:359-360.

55. Cigaina V. Gastric pacing as therapy for morbid obesity:

(8)

9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8, No. 2, 2006

preliminary results. Obes Surg 2002;12(suppl):12S-16S.

56. Ouyang H, Yin J, Chen JD. Therapeutic potential of gastric electrical stimulation for obesity and its possible mechanisms:

a preliminary canine study. Dig Dis Sci 2003;48:698-705.

57. Cigaina V, Hirschberg AL. Gastric pacing for morbid obesity:

plasma levels of gastrointestinal peptides and leptin. Obes Res 2003;11:1456-1462.

58. Xing J, Brody F, Brodsky J, et al. Gastric electrical stimu- lation effects on canine gastric emptying, food intake, and body weight. Obes Res 2003;11:41-47.

참조

관련 문서

Conclusion: The mean CGRP level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 headache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out headache. There

Taylor Series

In practice, the  equalization basin  volume will be larger 

In addition, if the patients had a high MPV level (cut-off value of 7.95 fL) without low-dose aspirin therapy, they were at risk for ischemic stroke, especially in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Results: In this research, in the group with fibromyalgia patients group,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atients group and without systemic autoimmune

~ a volume which is fixed in space and through whose boundary matter, mass, momentum, energy can flow. ~ The boundary of control volume is

The feature of the highest temperature is that temperature fluctuation is sharpest in the winter and spring when the change of barometer is big becaus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