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6장 6.1 외부성의 의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6장 6.1 외부성의 의미"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6장

6.1 외부성의 의미

- 어떤 행위가 혜택이나 손해 가져다 주면서 ( 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뜻)

- 외부효과의 예로 자주 들어지는

- 외부성의 유형 :

(2) 생산과정서 일어나는 것 vs 소비과정에서 일어나는 것

(3) 실질적인(real, 기술적) 외부성 vs 금전적인(pecuniary) 외부성 * 상대가격구조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금전적 외부성.

(4) 사용재적(depletable) 외부성 vs 공공재적(undepletable) 외부성 * 외부효과가 비경합성을 갖고 있는가의 여부

(2)

- 하고 있음. 생산물에 대한 수요곡선은 우하향. 한계비용 곡선(PMC)도 우상향하도록 그려져 있음.

- 하는 F점에서 이루어

짐. 균형산출량은 가 된다.

- 사회적으로 볼 때 효율적 배분은 사회적 한계비용(SMC)에 입각해 찾아져야 함.

의 조건이 성립하는 G점이 사회적 최적배분점이며 이때의 생산량은 . - 그림을 보면 가 보다 명백히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생산량 로 변화시킬 때 나오는 사회적 후생의 변화는 다음 두 가지.

하나는 공해물질 배출이 줄어서 생기는 사회적 이득인데 이는 사다리꼴 의 면적. 또 하나는 더 적은 양의 비누를 생산하고 소비하게 되는 것. 이로 인한 소비자의 후생손 실은 삼각형 GIF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 결국

.

(3)

- 이 분석은

결국 방출억제와 관련된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여 가장 바람직한 수준을 선택해야 함.

- 이 결론은 우리가 지금 오염배출량이 오직 생산수준과 관계를 맺는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나 오는 것이 아님. 생산자의 정화노력(abatement activities)수준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 경우 도 마찬가지.

6.3 문제해결의 여러 방법

시장을 활용하는 방식

- 결국 문제는 시장가격이 사회적 비용을 부정확하게 전달하기 때문에 생긴 것임.

기업가의 개인적인 생산비용이 사회적 생산비용보다 낮은 데 문제가 있음.

(1) 환경세 부과

- 이 문제 해결 제의. 환경세를 포함한 생산비용에 입각하

여 의사결정을 하게 되면 사회적 비용에 입각해 결정한 것과 대등한 것임을 증명.

- 그러면

생산자가 최적생산수준( )을 자발적으로 선택. 환경세를 부과하면 비누생산자가 인식하는 개 인적 한계비용곡선은 점선의 곡선이 됨.

(4)

☺ 환경세 부과가 완벽한 대책이 될 수 없음은 분명하나, 위와 같은 문제는 다른 어떤 대책에 서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음. 결국 문제되는 것은 다른 대안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목적 을 달성할 수 있느냐임.

(2) 오염허가서 발급

- 사회적으로 적정수준이라고 생각되는 오염물질수준에 준하는 양만큼의

시장기구를 통해 배급하는 경우, 공해세의 경우와 비슷한 결과 기대 가능.

- 그러나 실질적인 관점에서 허가서제도가 더욱 많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음.

- 반면에 다음과 같은 :

- 1993년도부터 Chicago의 Board of Trade를 통해 오염면허 거래 시작.

직접통제방식

- 오염물질 배출량을 하거나,

- 이 방법은 어차피 경직성을 띨 수밖에 없으며, 특히 오염의 발생자가 여러 기업일 경우 비효 율적으로 운영될 가능성.

-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까지 나와 있음. (Oates, 1985)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Pigouvian tax나 licensing scheme을 더욱 지지.

(5)

소유권의 확립

- 바다에는 주인이 없어 누구나 거기에 나가 고기를 잡으면 자기 것이 되기 때문에 자연히 남획하게 되는 결과가 나타남.

-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가축에게 풀을 뜯기는 땅에 너무 많은 가축을 풀어 놓아 얼마 되 지 않아 그 땅이 황무지로 변해 버리는 경우도 비슷한 사례.

이 현상이

- 소를 방목하는 데 사용할 목초지를 공동으로 구입. 송아지 한 마리를 구입하는 데는 α원 이 소요. 방사된 송아지의 숫자가 커질수록 송아지 한 마리당의 평균생산이 하락. 평균생산 곡선(average product curve, AP)이 우하향.

- 한계생산곡선(marginal product curve, MP)은 평균생산곡선의 아래쪽에 위치. 방목되는 송아지의 수를 한 마리 늘리는 데 소요되는 한계비용은 바로 송아지의 가격과 같으므로 한 계비용곡선은 높이가 α인 수평선.

- 이 마을 사람 전체의 입장에서 본다면 총생산에서 총비용을 뺀 잉여가 가장 크게 되는

(6)

성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 발견.

-

예컨대 송아지 한 마리당 그림에서 β의 길이로 나타나 있는 크기의 요금을 내야 한다면 이 요금을 포함한 송아지 사육의 한계비용은 ( α + β). 사람들 은 이 한계비용곡선 이 평균생산곡선과 교차하는 수준에서 방사하는 송아지의 수를 선 택할 것인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것은 효율적인 송아지의 수 와 정확히 일치.

-

- 어느 강변에 위치해 있는 화학공장(A)과 그 강에서 잡히는 물고기 요리 전문점(B)의 경우.

만약 A, B가 하나의 소유주 아래 통합되어 있는 것이라면 화학공장은 오염물질 방출을 스스로 억제할 것임. 이런 경우라면 소유권 재배분을 통한 내부화 달성 가능.

- 그런데 수많은 주민들의 식수가 문제되는 상황이라면 소유권의 재배분은 적용하기 힘들 것 임. 이때는 강물 그 자체에 대한 소유권을 명백하게 정의하는 방식으로 해결 시도하는 것이 바 람직.

-

- 이러한 협상가능성은 소유권이 화학공장에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

코우즈정리

: 일반적인 명제로서,

- Coase는 하고, 이해당사자들은

자원의 배분에 관해 상호이득이 되는 어떤 합의에 도달할 유인을 갖게 된다고 주장.

- 이 상호성은 정부는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그 역할을 한정시켜야 한다 함.

- 그러나 많은 문제점 가진 주장.

1) 이해당사자가 누구인가?

2) 거래비용의 문제

3) 이해당사자들의 협상이 과연 공정한 결과를 가져 오는가? (힘의 논리, 정부의 중립성) 4) 상호성이라는 개념 그 자체. E.Mishan이 지적한 바와 같은 쾌적권(amenity right)이 더 합당하지 않은가?

참조

관련 문서

Parliamentary Secretary for Regional Transport Mr Stephen Bromhead, MP Parliamentary Secretary for Education Mr Kevin Conolly, MP Parliamentary Secretary to the

1-1 System Verification 1-2 Output Power 1-3 Occupied Bandwidth 1-4 Hopping Frequency Separation 1-5 Number of Hopping Channels 1-6 Average Time of Occupancy 1-7

[r]

15 단어는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일어와 둘 이상의 형태 소로 이루어진 복합어로 나눌 수 있는데, 복합어는 다시 어 근과 어근으로 구성된 합성어와 어근과 접사로 구성된 파생

다음 대화에서 B의 대답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 오..

[r]

프레스 가황은 프레스 내에 열과 압력을 공급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스 가황은 유압에 의해서 압 착, 탈착하는 두 개 이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판은 보통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