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3)
(4)
(5)
(6)

목 차

ABSTRACT

제 장 서론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 목적 및 배경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 장 이론적 배경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 절 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공간의 정의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공간의 개념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건축적 공간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제 절 공간의 분류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공유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개인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제 절 파티션에 대한 일반적 고찰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한국 파티션의 역사적 고찰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파티션의 개념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파티션의 역할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파티션의 종류 및 형태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제 장 공유공간에서의 개인적 공간 보호를 위한 3

파티션디자인 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7)

제 절 개인적 공간 보호를 위한 디자인개념 1 · · · · · · · · · · · · · · · · · ·49 제 절 본 연구대상 파티션 디자인 배경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제 절 공유공간 내에서의 개인적 공간 보호를 위한 파티 3 션디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제 장 결론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참고 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부 록

(8)

표 목 차

표 프라이버시의 형태

< 1. > ···15

(9)

그 림 목 차

그림 브랜드 커피 전문점에 고객이 원하는 공간

< 1. > ···14 그림 에드워드 홀의 근접 학에 따른 물리적인 거리

< 2. > ···21 그림 병풍의 구조와 명칭

< 3. > ···25 그림 병풍의 쓰임

< 4. > ···26 그림 한국의 전통가옥 구조

< 5. > ···29 그림 소재에 따른 파티션의 종류

< 6. > ···31 그림 고정적인 파티션의 종류

< 7. > ···35 그림 이동식 파티션의 종류

< 8. > ···36 그림 파티션의 쓰임새

< 9. > ···37 그림 파티션의 쓰임새 가정

< 10. : > ···37 그림 스타벅스의 파티션

< 11. > ···39 그림 엔제리너스의 파티션

< 12. > ···40 그림 완전 차단하여 건너편과 분리한 것

< 13. > ···41 그림 벽과 같이 바닥에서 천정까지 막았지만 창살 같은 처리로 건너편

< 14.

이 보이는 파티션> ···42 그림 창 살모양 살대만 있어 창살사이로 건너편이 보이는 상징적인

< 15. ( )窓

파티션> ···42 그림 앉은키 높이에서 차단하고 그 위는 시각적으로 통과하는 것

< 16. > ··43

그림 벽과 같이 두터운 것이나 공유공간만을 차단하기 위해 얇게 칸막

< 17.

이 한 것> ···43 그림 서울과 광주지역의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 매장의 파티션 설치 여

< 18.

부> ···44 그림 서울과 광주지역의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 매장의 파티션 설치 개

< 19.

수> ···45 그림 공유공간의 파티션 형태 분류

< 20. > ···45 그림 상징적 경계의 벽

< 21. > ···48 그림 시각적 경계의 벽

< 22. > ···48 그림 시각적 차단의 벽

< 23. > ···48 그림 시각적 프라이버시의 정도

< 24. > ···49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목재

< 25. : > ···56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섬유

< 26. : > ···57

(10)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금속

< 27. : > ···57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아크릴

< 28. : > ···58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유리

< 29. : > ···59 그림 재료에 따른 파티션의 분류 기타

< 30. : > ···60 그림 브랜드 커피 전문점하면 떠오르는 색상

< 31. > ···60 그림 색상에 따른 매장 컨셉 분류

< 32. > ···61 그림 커피전문점에 따른 색상의 분류

< 33. > ···63 그림 문양의 분류 동물

< 34. : > ···65 그림 문양의 분류 식물

< 35. : > ···66 그림 문양의 분류 문자

< 36. : > ···66 그림 문양의 분류 기하학

< 37. : > ···68 그림 문양의 분류 기타

< 38. : > ···69 그림 현대문양의 분류

< 39. > ···69 그림 설치장소의 도면

< 40. > ···70 그림 카페 이용고객의 연령별 분류

< 41. > ···72 그림 카페 이용고객의 성별 분류

< 42. > ···72 그림 대 여성의 선호 색상 컬러

< 43. 20~30 > ···73 그림 카페 고객 월 평균 방문 횟수

< 44. > ···75 그림 카페 고객 이용 시간

< 45. > ···75 그림 타겟 소비자 이미지

< 46. > ···76 그림 타겟 소비자 색채

< 47. > ···76

(11)

작 품 목 차

작품사진

< 1. Flowery> ···80 작품사진

< 2. Happiness> ···82 작품사진

< 3. Dandelion> ···84 작품사진

< 4. Secret Tree> ···86

(12)

ABSTRACT

A Study on the Partition Desig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Space against Shared Space

Kim, Jung

Advisor : Prof. Kim Jung Pil Department of Industrial Craft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 industrialization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economic growth has provided a job for too many people, and has brought stability to their life. The increases of the female participation and of the time for leisure and changes in spiritual values and in lifestyle result to improvement of quality in life. So the resulting makes the consumers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need the space to meet their requirement.

Accordingly, by analyzing that what the current needs of consumers is and how their needs of the future will change, it ought to reduce that gap. Particularly, the space should be changed for the lifestyle and the needs of modern consumers. Since a user(or users) of a space want to have his(or their) own individuality, identity and stability in shared space, the space should be not just physical but also psychological. Exhibitions, museums, schools, libraries, theaters, restaurants, cafes(coffee shops) and so on might be tried to share.

This study researches the psychology of individuals and the concept

(13)

of "shared space", and then within a shared space focuses installing and designing a partition for the protection of privacy.

First, the object has two dimension ; Geographic area and Specific shared space. The former targets two cities. one is the "Seoul" where there are many citizen as the capital city and another is the

"Gwang-Ju" which is local. The later is two cafes ; the "Starbucks"

and the "Angel-in-us". Both have an exponential increases in recent years.

Second, the method is a little different between geographic areas. In Seoul, throughout telephone survey, researcher investigates whether each cafe has the partition in or not. In Gwang-Ju, researchers visit most of all cafes and check whether or not.

The partition should be designed by using the nature-oriented material like the "wood" harmonized with overall concept of shared space and by properly combining straights, curves, and plant patterns for visual interception. The partition should be below five fits to protect the privacy of individuals.

In this study, the partition design presented a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space against shared space will be conducted for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psychological comfort of individuals.

(14)

국문초록

공유공간에서의 개인적 공간 보호를 위한 파티션디자인 연구

김 정

지도교수 : 김 정 필 산업공예학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세기는 산업혁명 이후 테크놀로지 혁신에 기초한 21 (Techniqueㆍ技術)

공업화와 그에 따른 경제 성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으 며, 생활의 안정을 가져왔다. 그로 인한 여성의 사회진출의 증가와 여가 시간의 증대, 가치관의 변화, 생활패턴의 변화 등으로 삶의 질이 높아짐 에 따라 다양해진 문화는 경제적, 감성적 측면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 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소비자들의 욕구가 무엇인지 또한 미래의 욕구는 어떻 게 변화해 갈 것인가를 분석하여 그 간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 다. 특히 공간은 소비자들의 욕구와 생활패턴의 변화상이 가장 구체적으 로 반영되는 공간으로 현대인들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 할 수 있도록 공간 내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 때 공간 이용자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으 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과 아이덴티티 그리고 심리적 안정 감을 느껴 그 공간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여유와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 어야 한다. 공유공간을 알아보면 전시장, 박물관, 학교, 도서관, 공연장, 레스토랑(Restaurant), 카페(Cafe)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카페 중에서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 공간을 대 상으로 하며 지역은 서울과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심리를 고찰하고 공유공간 내에서 개인의 프라이

(15)

버시(Privacy)를 위해 공간보호를 할 수 있는 공유공간의 개념과 파티션 설치와 그에 따른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서울지역에 있는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에 전화설 문을 통해 공유공간의 파티션 유무를 파악하고, 광주광역시에 있는 매장 은 직접 방문하여 현재의 상황을 조사한다.

디자인은 전체적인 공유공간의 콘셉트(Concept)에서 어긋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주로 자연친화적 소재인 나무를 이용하여 곡선과 직선 그리고 식 물문양을 중심으로 시각적 차단을 주목적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지켜 질 수 있는 높이인 1500mm가 넘지 않는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공유공간에서 개인적 공간 보호를 위한 파티션디 자인 연구를 제시하게 됨에 따라 공유공간에서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 켜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파티션 디자인을 제시한다.

(16)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목적 및 배경

산업혁명 이후 테크놀로지(Technique ․ 技術) 혁신에 기초한 공업화와 그에 따른 경제 성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생활의 안정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적으로는 핵가족화나 독신화(獨身 그리고 이산가족 형태 등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급속히 확산되고 )

化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여유가 생기면서 개인적인 생활이 많아짐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이 달라지고, 다양해진 문화는 경제 적, 감성적 측면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하 게 되었다.

생활공간의 개념에 있어 21세기 이전에는 주거공간과 사무공간이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었던데 반하여 21세기에 들어서는 친구들과 노닥거리기 도 하고 책을 보고 일을 할 수도 있는 사무실과 집의 중간쯤인 새로운 공 간을 요구하고 있고 그 개념이 전개되고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H. Maslow)가 제시한 인 간의 기본 욕구 중에는 안정과 방어에 대한 방법으로 공간에 대한 소유욕 구가 있다고 한다. 인간은 공간 안에서 이것을 만족시키는 안식처를 찾고 자 하며 단순히 신체적 손상을 막기 위한 방어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확보하려는 수단으로 경계가 이용된다.1)

미국의 사회학자인 플로리다 대학의 레이 올든 버그(Ray Oldenburg)교 수가 1989년 그의 저서 「아주 좋은 장소(The Great Good Place)」에서

1) 아브라함 매슬로우(1908~1970):미국의 심리학자 철학자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설을 주도하였으· . 며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사랑 존중 그리고 궁극적으로 자기실현에 이르기까지 충족되, , 어야 할 욕구에 위계가 있다는 욕구' 5단계설 을 주장하였다' .-www.naver.com,백과사전.주거공 간사용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논문집 제”, 37 ,2004,p123.호

(17)

제 의 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3

제 3의 공간이란 공적공간과 개인적 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공유공간으 로 현대인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들고 그로 인해 정서적인 안정감과 풍요를 느끼게 해주는 공간이며 사람들에게 삶의 균형을 찾아 주기 위해 노력하는 공간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공간의 개념과 공유공간 내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를 위해 공간보호를 할 수 있는 파티션 설치에 대해 연구하고자한다.

공유공간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공유공간의 현장 답사를 통하여 개인들이 선호하는 자리의 상황을 파악하 고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는 공유공간 내의 개인적 공간이 확실하게 설정 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개인들은 공유공간 내에서 책이나 쇼핑백 등으로 가벽을 만들거나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여 화분이 있어 일부가 가려진 자 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행동은 타인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제한시킴으로 인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개인적 공간이란 개인 이라는 수식어 때문에 자칫 모든 상황에‘ ’ 서 개인에게 딸린 공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한 개인과 다른 개인과의 관련성이 있을 때만 그 의미를 띄게 되고 더 두각을 나타낸다, .

때문에 현대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많은 공유공간에 인위적으로 개인적 공간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현장의 상황은 고 정성 파티션의 설치나 화분으로 가벽 공간을 한정하는 벽으로 때로는 벽( 의 일부가 추가로 덧붙여지거나 그 구성과 성격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을 형성하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공유공간에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쉬기도 하고 일을 할 수 있 는 인위적인 개인적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개선과 연구를 하여 이 분야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18)

개인적 공간보호를 위한 공유공간을 연구함에 있어서 먼저 공유공간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면 전시장, 박물관, 학교, 도서관, 공연장, 레스토랑, 카페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카페 중에서 스타벅 스와 엔제리너스 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은 서울과 광주광역시를 중심 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서울지역에 있는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에는 전화설문을 통 해 공유공간의 파티션 유무를 파악하고, 광주광역시에 있는 매장은 직접 방문하여 현재의 상황을 조사 후 사진촬영을 한다.

이러한 현장조사를 토대로 파티션의 재료와 형태 및 재질감을 파악하고 파티션을 설치 유무에 따라 또 다른 하나의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 자가 느끼는 심리와 행동들에 대하여 분석하여 공간과 공간사이의 이질감 이나 경계 짓는 개념이 아닌 융화와 조화를 느낄 수 있는 파티션을 제시 하고자 한다.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1 ,

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물리적인 면에서의 자연과학적 건축적공간과

2 ,

심리적 측면의 철학적 공간개념, 그리고 공유공간과 개인적 공간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살펴본 후 파티션에 대하여 고찰한다.

장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공유공간에서 파티션 설치로 인해 공간 3

사용자가 느끼는 심리에 대해 살펴본 후 공유공간에서 개인적 공간 보호 를 위한 파티션 디자인에 대한 배경과 작품을 제시한다.

장에서는 공유 공간 내에서 파티션 설치 유 무에 따라 공간에서의 인간

4 ‧

행동과 사고를 정리한 후 파티션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공유공간 에서의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에 대해 제시한 후 결론을 도출 한다.

(19)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공간

1.

(空間)

의 정의

공간의 사전적 의미로는 아무것도 없는 비어있는 칸, 물리(物理)적으로 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범위,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그리고 물리학에서 물질이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 혹은 여러 현상이 일어나는 장소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 철학에서 시간과 함께 세계를 성립시키는 기본 형식“ , 직접적인 경험 에 의한 상식적인 개념으로서 상하ㆍ전후ㆍ좌우 3방향으로 퍼져있는 빈곳 을 의미한다.”2)고 한다.

오늘날의 공간은 개방과 폐쇄, 안과 밖, 공( )共 과 사(私), 균질(均質) 과 혼성(混成), 일반과 특수 등으로 이분화 되어 있다.

공간의 개념 2.

공간의 개념은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 리적 공간은 단순한 의미에서 비, 바람 등 외부의 여러 위험으로부터 인 간을 보호하는 벽, 울타리 등으로 둘러싸인 장소이며, 물리적으로 제한된 장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심리적 공간은 침범되지 말아야할 고유의 영역 으로, 그것은 보이지 않는다.

공간은 우주공간과 같이 광의(廣義)의 대단위공간도 있지만 여기서는 영 역 내 협의의 공간을 말하는데 여러 학자의 분류를 보면

2) 김해영,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 외부공간의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 ”, 학원, 2009,p7.

(20)

뉴먼

a. (O. Newman)

뉴먼은 개인적 공간, 반(半)개인적 공간, 반(半)공유공간, 공유공간으 로 나누었는데

반개인적 공간은 기숙사에서의 라운지, 복합 주거 군에서의 수영장,

혹은 주택정면의 잔디밭과 같이 다른 사람이 볼 수 있는 군집(群集)에 의 해 사적으로 소유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공유공간은 모퉁이 상점, 시골 선술집, 주택 정면의 보도 등과 같

은 장소를 말한다. 반공적(半公的) 공간은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지만 사 용자가 그것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유공간은 개인이나 혹은 집단에 의해 사용되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소유할 수 없고, 개인화되거나 소유권을 주장할 수도 없는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손세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소장

b. (孫世寬 ⋅ )

공적공간의 매개영역을 소속감의 정도, 이용, 점유방식 등에 의해 세 가 지로 나누었다.

정면 영역은 강한 소유의식을 가지고 습관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개인

별 특성영역을 말하는데 그 실례로는 집 앞 계단, 현관, 골목 등을 들 수 있다.

친밀 영역은 인간협력관계의 장소로서 소속감을 가지고 습관적인 사

회활동을 하는 특정집단 거주자의 영역이다.

활동 영역은 간헐적이지만 정기적으로 사용되는 공공인에게 개방된

공공관여장소로서 도보로 10분 이내의 거리이다. 공원, 동네교회, 시장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3)

c. (J. Lang)

서로 포개진 형태의 세 가지 공간적 수준을 구분하였다.

개인적 공간

‘ (Personal Space)’

3) 박정은, “주거지 보행공간의 공유영역체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p23-26.

(21)

작업 영역 혹은 거주 영역 또는 근린지구 영역이든지, 활발하게 방어

되는 공간인 가정생활 기점‘ (Home Base)’

개인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한 부분을 형성하는 행동 장치인 ‘가정생

활 범위(Home Range)’로 분류하였다.

포르테우스

d. (D. Porteous)

영역모델을 소형공간, 중간공간 대형공간으로 나누었다, .

소형공간은 유기체가 신체적 또는 심적인 고통 없이 생존하는데 필요

한 최소공간으로서 침해받지 않는 개인적 공간으로 정당하지 못한 침해에 대해 그것을 적극적으로 방어하는 지역을 말한다.

중간공간은 반영구적으로 점유하는 공간이고

대형공간은 유기체가 어떤 특정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소로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완벽하게 점유되고 방어되는 분리된 공간의 단위가 아니며 오히려 그 범위는 각기 다른 개개인들이 돌아다니며 집단들로 연 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분산되지 않는 공공의 지역이다.

가 물리적 개념으로서의 공간 .

자연과학의 한 부문인 물리적 공간에는 수학적 공간과 기하학적 공간이 있다.4)

수학적 공간 1)

수학적 공간은 점(點)을 원소로 하는 일반적인 집합으로의 추상공간이 며 도면에 의해 구체화된 실재 공간이다, .

기하학적 공간 2)

4) 편홍범, “건축공간의 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1992,p4.

(22)

기하학적 공간은 2차원, 3차원의 유클리드(Ευκλείδης ․ 그리스의 수학자, 기원전 365년 경 ~ 기원전 275년 경) 공간5)으로부터 유클리드의 공리를 뛰어넘은 리만(Riemann, Georg Friedrich Bernhard⋅독일의 수학 자, 1826~1866).공간6), 양자역학적 힐베르트(David Hilbert⋅독일의 수학 자, 1862~1943) 공간과 물리학적 접속 공간 등으로 적용범위가 급격한 연 구 성과에 힘입어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7)

추상적 공간 3)

뉴턴(Isaac Newton,1642~1727)8)의 절대공간은 무한의 균질한 연장으로 서 물체에 앞서 스스로 존재한다.

나 심리적 개념으로서의 공간 .

철학적 공간 1)

공간표상에서 출발한 경험적 공간으로 어떤 특별한 요소에 의해서 성격 이 부여된 선험적 공간과 심리학적 개념에서 출발한 시각과 촉각 등의 작 용에 의한 공간지각(空間知覺)에 입각한 개념적 공간이다.

동양에서는 노자(老子,B.C.550)철학이 공간에 대한 철학적, 현상학적 기초를 구축했다. 노자의 저서 「노자: Tao Teh Ching」 제 장에는 실재1

와 비실재 를 하나의 개념으로 결합했

(實在: Being) (非實在: Non Being)

5) 기하학에서 유클리드 공간은 유클리드가 연구했던 평면과 공간을 일반화한 것이다 이 일반화는. 유클리드가 생각했던 거리와 길이와 각도를 좌표계를 도입하여 임의 차원의 공간으로 확장한 것 이다 이는 직선은 차원 평면은 차원 공간은 차원을 의미한다. 1 , 2 , 3 .-www.naver.com 백과사전,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

6) 매 점의 작은 공간에서는 비슷하지만 공간 전체를 놓고 보면 휘어져 있는 공간으로 아인슈타인 공간 대칭 공간 준사영 공간· · (準射影空間) 등이 있다 또 리만기하학은 미분기하학 텐서기하학. · 등 넓은 응용 면을 가지고 있어 현재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www.naver.com백과사전.- 7) 편홍범, loc.cit, p4.

8) 뉴턴 영국의 물리학자 천문학자 수학자 근대이론과학의 선구자 수학에서 미적분법 창시 물리학· · · . , 에서 뉴턴역학의 체계 확립 이것에 표시된 수학적 방법 등은 자연과학의 모범이 되었고 사상면, , 에서도 역학적 자연관은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www.naver.com백과사전.

(23)

다. 즉,‘실재 와 비실재 는 인간 문명의 모든 발전을 통해서 강하게’ ‘ ’ 지속되어 오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개념으로 두 가지가 대립하고 있다.

도덕경 제 장은 두 가지 서로 대립하는 원리를 초월하는 내용을 담고 있11 다. 그것은 공간 속에 담겨진 공간의 우월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노자가 이미 깨닫고 있었던 것은 내분의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 지각할 수 있는 상대적 매스(mass)보다 한층 더 본질적이라는 것이었다. 내부공간과 외부 공간의 경계선상 경계 벽 에서 문이나 창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을 과도( ) 적인 공간(Transitional Space)으로 인식한다. 즉 그것은 외부와 내부의 결합인 동시에 분할이며 연속인 동시에 경계인 것이다.

노자는

, , ,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개의 수레바퀴살이 수레바퀴의 중심에 모인다

30 .

수레바퀴 중심축의 유용성(有用性)은 그 중심 구멍에 있다.

, ,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우리들은 진흙덩어리로 그릇을 만든다.

그릇을 쓸모 있게 하는 것은 그릇 내부의 빈 공간이다.

, ,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우리들은 방을 위해 문과 창을 만든다.

방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그 방의 아무것도 없는 빈공간이다.

,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그러므로 형체가 있는 것은 이로움을 지니지만 형체를 쓸모 있게 만드는 것은 무형(無形)의 것이다.9) 라고 공간에 대한 철학적 내용을 설파했다.

건축적 공간 3.

인간이 존재하고 있는 자연공간은 협의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공간과 분리시킬 수 없다. 공간이란 외적인 대상물도 아니며, 내적인 체 험도 아니다. 인간과 공간은 따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10) 수많은 종류

9) 老子,노태준 역, “道德經”, 흥신문화사, 1994,p45.

(24)

의 자연 공간들 가운데 인간에 의해 물리적이고 가시적으로 나타난 공간 이 건축공간이다. 이는 인간 자신의 경험과 지식, 상상력을 동원하여 공 간을 인지하고 습득한 공간을 뜻한다. 이것은 공간원형(原形)의 구체화이 며 인간 삶의 주된 대상이 된다.

건축공간은 건축물 자체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이다. 즉, 건축에서 공간 이란 감지할 수 없는 그 자체라기보다는 인식되어 질 수 있고, 경험되어 질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인 것이다.11)

가 건축적 공간의 기본 요소 .

바닥 1)

바닥은 공간형태를 바탕으로 천장과 벽의 경계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공 간을 한정한다. 경계를 이루는 표면으로서의 바닥은 기능과 물리적 질감 에 따라 바닥면, 마루, 마당, 중정(中庭)으로 표현 될 수 있으며, 높이의 차이와 경사를 가진 계단과 경사로도 포함한다. 12) 건축내의 바닥은 차갑 고 습한 대지로부터 실내를 차단시켜 주며 우리의 몸과 직접 접촉하는 곳 으로 특히 우리와 같이 실내에서 신을 벗고 생활하는 문화권에서는 그 의 미가 더욱 크다.

벽 2) ( )壁

벽은 동일한 장소를 벽 밖의‘저쪽’과 벽 안의‘이쪽’이라고 하는 두 공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벽을 설 치하는 인간의 의도는 물리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을 포함하여 자연환경이 나 외부로부터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고, 다른 세계와 가능한 차단하여 자 신의 보안성인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심신의 안정과 휴식을 가져다주며,

10) 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1927.

11) 김해영, op.cit ,p9.

12) 김해영, op.cit ,p15.

(25)

독립된 영역으로서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싶다는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건축에 있어 벽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분되고 형태와 구성에 따라 공간 의 소통과 분리의 기능을 가져다준다.

외벽은 내부공간을 구성해 주는 요소로 물리적 자연요소를 조절해주는 1 차적인 목적을 지니며 공간 구성요소로 구조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다.

내벽은 바닥과 천장을 이어주는 수직적인 지지역할을 한다. 그리고 바닥 과 천장이 한 면인데 비해 벽은 네 면으로 둘러 쌓여있으므로 구조체중에 서 면적이 넓고 시선이 많이 머무는 곳이다, .

벽은 인간의 시선과 동선에 대해서 단절과 유도의 기능을 하지만 그 분 리성의 정도는 벽의 높이 및 구성 재료의 물성에 의해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다.13)

따라서 재료 선택 시에는 내구성과 단열성, 차음성(遮音性), 흡음성, 내 화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완전한 폐쇄성을 지닌 높은 벽체일지라도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행위의 제약과 공간의 단절성은 가지고 있으나, 시각적인 경계는 부인되고, 연속되어 시각적으로 내 외부공간의ㆍ 융합을 시도한다.

천장 3) (天障)

천장은 공간의 크기를 한정하는 요소로 바닥면과 상호 작용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공간의 양( )量 을 조절할 수 있으며 벽과 함께 내부공간의 폐쇄성을 형성한다.

또한 기능과 물리적 성질에 따라 처마, 지붕면, 캐노피(canopy⋅天蓋) 등 으로 표현되어 질 수 있다. 이것들은 수평방향의 시각적 운동 또는 물리 적인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그 아래에 경계를 형성하여 공간을 구획하 고 천장 면은 벽과 상호 작용하여 방향성과 연속성을 가진다, .

천장은 태양, 눈, 비 등 자연현상으로부터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건물 13) 이재원, “건축 공간 구성에 있어서 영역성과 프라이버시 도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

학원, 1997,p25.

(26)

의 전체 형태와 구조체로서의 역할과 지지방법에 따라 다양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14) 그리고 형태와 색채의 다양성을 통하여 빛과 소리를 반사, 흡수함으로써 실내 분위기를 좌우하는 역할도 한다. 천장에는 조명기구를 부착하므로 천장의 색채나 질감이 실내 조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천장재 선택 시에는 각별히 색채에 신경을 써야하며, 조명계획과 함께 고 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입문 4)

건축의 경계는 입면(立面) 밖의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분절점(分節点) 에서 나타난다. 또한 분절점은 경계자체가 가지는 공간으로 내 외부공간ㆍ 과 접하면서도 내부이면서도 외부인 모호한 공간15)으로 여러 단계를 가진 다 내 외부공간은 경계 벽 에 의해 영역이 한정된다. ㆍ ( ) .

출입문은 벽이 차단하고 있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물리적인 경계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벽을 끊어 내부와 외부공간을 통과시키는 출입구로 개 방과 폐쇄에 의해 두 공간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조절의 역할을 하며, 가시적이거나 혹은 비가시적으로 나타난다. 출입문은 기능적인 역할과 상 징적인 이중의 의미체계를 가지고 있다. 출입문을 통과했다는 의미는 새 로운 영역으로 진입했다는 상징적이고 심리적인 변화를 주는 것이다. 출 입문을 통해 형성되는 경계는 방향성을 가지며 통로를 통해 선적(線的)인 축으로 연속된다.

창( )窓 은 환기, 조망의 목적으로 설치되지만 위치, 형식, 형태에 따라 건축의 외관과 내부공간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내 외부공간의 관계를 설ㆍ 정하기 위하여 창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크기에 따라 관계도 설 명되어 진다.

제 2 절 공간의 분류

14) 김해영, op. cit ,p19.

15) 육옥수, “경계와 관계에 따른 투명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21 , 2 ,권 호 2001,p633.

(27)

공유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가 공유공간의 정의 및 개념 .

공유공간은 인간 활동의 매개공간으로서 공간 구조와 표현기질이 인간 의 능동성을 부여하여 동적행위가 작용되는 동적 지향의 체험행위를 유발 하고, 인간과 공간이 작용을 동시에 하는 공간으로 외적 행위의 동적 작 용이 상호간에 일어나는 행위적 공간의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에 대한 공간의 반응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인간의 정서적 교감 이 일어나 행위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과정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상호 작 용성을 갖는다.16)

공유공간은 배타감, 심리적 중심성, 공간 통제도 등에서 개인적 공간보 다는 약하게 나타나는 영역으로 공유공간과 개인적 공간에 존재하므로 그 성격이 애매하고 아직 명확한 계획 개념이 정립되고 있지 않지만, 건물 내 전이 공간 이외의 공간이라 말 할 수 있으며, 사용면에서는 공용공간 이라 하고 소유 면에서는 공유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유공간은 한 가지 경계요소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 소들이 서로 상관성을 가지고 나타내는 공간 효과 안에서 공유 라는 인‘ ’ 간의 행태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오스카 뉴먼(Oscar Newman)에 따르면 공유공간의 사회적 교류는 집단 내에서 소속의식을 느끼게 하므로 구성원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으로 언급 한다.

공유공간의 건축적 의미는 일반적으로 거주자들이나 건물의 사용자들이 함께 쓰는 모든 시설과 영역을 뜻하며, 공유 건물 내에 제공된 각 공간으 로 볼 수 있다. 이들은 건축가나 공공 차원에서 먼저 계획되어 제공되며 근래에 와서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의해 다양하게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16) 김리나 관계적 경계 확장에 의한 매개적 공유공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실내건축설계학과 2008 PⅢ

(28)

이런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을 ‘함께 사용 한다’는 의미에서 공유일 뿐 그것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간의 친밀한 거리 를 형성하는 영역으로서‘ ’ 의 기능은 갖고 있지 못하다.

그리고 사회 ․ 문화적으로 상호작용의 필요성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요 구 등에 의해 제공 되어진 공유공간은 인간의 행태에 대한 충분한 고려 부족으로 이상에 그친 예들이 많다. 너무나 큰 규모로 제공된 광장은 대 화의 장이기보다는 소란스러운 곳이 되어버리고, 대화에 관한 상호작용을 기대했던 로비가 배회하는“ ”사람의 존재 때문에 미학적으로 조차도 호소 력이 없는 곳으로 지각되는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은 점에 기인하여 공유 공간의 건축적 의미는 사용자들의 거리를 개인의 거리 에서 사회적 협‘ ’ ‘ 의의 거리 나아가서 친밀거리’ ‘ ’로 좁힐 수 있고 시 지각적 체험에 의ㆍ 해 같은 공감대를 가지고, 같은 느낌을 공유할 수 있는 장소의 구심성을 갖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17)

공유 공간 형성을 위한 경계(境界)의 요건으로는

먼저, 사회적 측면에서 인간이 장소에 대하여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개 인화된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졌을 때, 공유공간의 상호작용은 활발해지 고, 건축적 측면에서 다가가기 쉬운 형태나 재료의 사용, 시각적 접근성 이 용이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는 장치, 마지막으로 사용자를 고려 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 공유공간의 현황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공유 공간 중에서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자리 잡은 카페라는 공간에 국한하여 그 현황을 조사하였다.

카페는 프랑스어로 커피‘ (Cafe)'를 뜻하는데, 어원상으로 볼 때 카페와 커피의 어원은 동일하며 카페는 커피라는 말로 환유화(換喩化)한 결과로 서 나온 표현이다. 이것이‘커피를 파는 집 라는 뜻으로 변한 것이다’ .18) 카페라는 공간은 단순히 차를 마시는 장소를 떠나 타인과 정보를 교환하 17) 조성룡, “공유영역”, spae9308,p70.

18) 안지윤, “카페 실내 공간 연출 최근 스타일 분석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 2007,p7.

(29)

고 공유하며 하나의 문화를 만들어 낸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사랑 방이라는 공간에서 차( )茶 를 마시며 개인적인 생활이나 손님들과의 만남 을 통하여 공유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고 현대에 들어서는 다방이 라는 공간에서 다른 사람과의 약속을 통한 만남의 장소나 친교의 장소로 서 공유공간의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카페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 도 있겠지만 코피스(Coffee+Office)족과 같이 개인적인 간단한 식사나 혼 자만의 시간을 통하여 독서나 업무를 보는 등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서 주 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 새로운 문화코드를 만든 스타벅스와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토종기 업의 엔제리너스에 대한 공유공간의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림 브랜드 커피 전문점에 고객이 원하는 공간

< 1. >19)

그림 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파티션

< 1>

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더불어 서적을 볼 수 있는 장 소나 스터디 룸에 대한 요구도 높이 나타나고 있다.

개인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19) 장희나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 건설대학원, 2010,p39.

(30)

프라이버시라는 용어는 사람의“ 눈을 피한다.”는 의미의 라틴어 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오늘날 국제목록

'privatue' . (International 에서는 모든 인권들 중에서 프라이버시를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 Catalog)

으로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20) 그러나 인간이면 누구나 갖고 싶어 하는 가치 혹은 상태라는 점에서 보편적 동의가 이루어질 것이라 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는 타인 혹은 타인의 집단이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으로 접근 할 때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볼 때 프라이버시란 개인의 정보를 공개하거나 차단하 는 기능이다. 라포포트(A. Rapoport)는 프라이버시를 “원하지 않는 상호 작용을 거부하고 원하는 상호작용을 취할 수 있는 선택(Options), 장치 방법 을 소유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상호작용을 통 (Devices), (Mechanisms)

제할 수 있는 능력 으로 정의했다” .

프라이버시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개념을 내포하게 되 는데 구체적인 형태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21)

프라이버시의 형태 구체적인 개념

고립(Solitude) 다른 사람들과의 시각적 접촉이나 관찰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고 혼자 있는 상태.

친밀(Intimacy)

같은 구성원들 간의 상호관계를 원활히 하고 다 른 사람이나 집단 간의 접촉이나 관찰로부터 자 유로운 상태.

익명(Anonymity)

공적인 장소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더라도 다 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주위를 의식하지 않고 혼 자 있는 상태.

보존(Reserve)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함께 있으면서 도 원하지 않는 접촉인 경우 심리적으로 무시해 버리는 것.

표 프라이버시의 형태

< 1. >22) 20) Michael J, “Privacy and Human Right", UNESCO, 1994.

21) I. Altman,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Book Cole publishing Company, California,1975, p18.

22) 김진경 오픈 오피스에서 프라이버시와 영역성에 관한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디,“ ”,

(31)

프라이버시의 기능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 과 자신의 행동을 구분하는 것이며 타인과의 경계를 설정하고 조절함으로 서 자기 인식을 확립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행 동체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타인과 상호접촉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한 다. 또 다른 기능으로서 자기 확신을 통해 타인에게 자신에 대한 심리적, 감정적인 면을 이해시키기도 한다. 프라이버시는 본다‘ , 보여진다.’라는 시각적 프라이버시와 듣는다‘ , 들린다.’의 청각적 프라이버시의 두 가지 면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적 프라이버시에 대해 언급하고 자 한다.

제임스 무어(James Moor, 1990)와 얼빙 올트먼(Lrving Altman, 1974) 등은 프라이버시를 정의함에 있어 접근통제의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제임스 무어는 프라이버시가 집단이나 개인 또는 그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정보가 외부의 침입이나 감시로부터 보호되는 경우에만 생기는 것이 라고 보았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제임스 무어의 정의는 두 가지 내용을 함축하는데 그 하나는 프라이버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사적인 상황“ 이라는 개념이 유용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프 (Private Situation)”

라이버시가 “제한된 접근(Restricted Access)”의 상태라는 것이다.23) 얼빙 올트먼은 프라이버시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보조하고 조절 하는‘경계조절 의 과정이라고 보았다’ . 그는 특히 공간적으로 개인이 갖 는 확보영역, 즉 개인적 공간(Personal Space)을 중심으로 프라이버시문 제를 다루었다. 그에 의하면 요구하는 프라이버시수준(Desired Privacy) 과 실제로 획득한 프라이버시수준(Achived Privacy)의 두 가지 양상이 일 치될 때 최적의 상태(Optimum)가 성립된다.

또한 프라이버시는

상호작용에 대한 욕구와 제한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하나의 사물(定)이 발전과정에서 내부에 존재하는 모순을 자각함으로써 스스로를 부정(反)하 게 되고, 이러한 모순에 부딪힘으로서 보다나은 제 의 단계3 ( )合 로 발전하

자인대학원, 2001,p13

23) 조동기, “정보화 사회에서의 개인의 정체성과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과정책연구”, 18 권 호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3 , , 1996.

(32)

는 과정, 즉 프라이버시의 확보는 상호접촉의 규제와 동시에 상호접촉의 요구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순간적인 이상적 수준에서 개인이 원하는 프라이버시의 정도가 개방과 폐쇄의 작용과 반작용으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것을 말한다. 풀이하면 적정수준의 개방(定)과 적정수준의 폐 쇄(反)는 절절한 수준의 유지( )合 하는 의미인 변증법적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개인의 바람직한 프라이버시 수준의 적합정도를 최고로 능률화하는 과정,

개인 혹은‘그룹’들과 다른 사람들 상호간의 투입(Input)과 산출 의 과정이다 얼빙 올트먼은 프라이버시 개념과 관련하여 다른 (Output) .

사람들에 대한 자신의 개방과 폐쇄, 개인적 접근에 관한 접근의 자유 등 을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조절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프라이버시가 단지 개인에 대한 접근이라는 현상과 일치하는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모든 프라이버시가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현상은 아니다. 왜냐하면 프라 이버시 문제는 강제적일 수도 있고 우연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라이버시 개념은 어느 하나의 장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는 없는 문제라 고 볼 수 있다.

프라이버시 대한 가치는 개인적 가치와 사회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 다.

프라이버시의 개인적 가치는 개인의 자율성, 존엄성, 정체성과 관련이 있으며 우선적으로 개인의 자율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라이버시 는 자신이 원하는 사람에게 원하는 것만 밝힐 수 있는 자유이며, 타인이 나 타 그룹 조직 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는 자유라고 할 수 있다( ) .

워런(S.Warren) 과 브랜다이스(L.Brandeis)가 발표한「The Right to 라는 논문에서 프라이버시를 인격불가침의 권리라고 하였다

Privacy」 .24)

불가침의 인격에 대한 개인적 권리의 인정은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과 양립이 가능하다. 개인이 자율성을 갖는다는 것은 한 개인이 누구와 어떤 종류의 관계를 맺을 것인지의 선택에 대한 통제력을 가진다는 것이 24) 이진태,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법과 기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2005.p6.

(33)

다. 정보와 공간은 관계를 매개한다. 따라서 한 개인이 자신에 대한 정보 와 공간에 접근하는 사람을 통제할 수 없을 때 그 개인은 자율성을 상실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은 공개를 꺼리는 자신만의 영역을 보장 받음으로써 개인의 개성(Personality)을 유지하고자 하며, 만일 이러한 개성을 침해당했을 때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벤(Stanley Benn)은“프라이버시는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에 기반을 둔 다. 방해 또는 해로운 결과를 가져올지에 관계없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은 개인의 존엄성을 모독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라이버시는 개인 나름대로의 가치, 신념, 개성을 갖는 독 특한 개인으로 발달하는 정체화의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 이 자신의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은 자기의 가치관이나 정체성에 기인한다.

웨스틴(Westin)은 자아정체성(Self-Dentity)을 프라이버시의 중요한 기 능들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프라이버시의 이론적 연구들에서 프라이버 시 조절의 궁극적 목적으로 자아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는바 사람의 심리 적, 감정적, 인식적 정의를 포함한다.25) 특히 오늘날 개인들이 경험하는 정체성의 위기는 정보화의 맥락에서 중요시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정보통 신의 발달에 따라 자아와 사회체계간의 상호의존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 졌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정체성은 개인이 갖는 특질이나 그 집 합이 아니라 개인의 삶의 과정에서 성찰적으로 이해한 자아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흔히 자아는 개인의 정체성‘ (Personal Identity)’으로 정체성 은 사회적 정체성‘ (Social Identity)’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반면 개인 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의 구분에 문제를 제기하는 입장도 있는바, 이 시각에서는 개인적인 의미라는 것이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강 조하며 따라서 개인적 정체성은 그것이 형성되는 사회적 맥락과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성찰적인 작업으로서의 자아는 어느 정도 비정형적 인 것이기 때문에 자아에 대한 정체성도 성찰적인 인식을 전제로 한다.

결국 개인은 프라이버시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정체를 형 25) 양희인, “프라이버시 침해 관련 태도와 행위에 관한 연구 정보 프라이버시와 공간프라이버시:

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2002,p10.

(34)

성하며 행위의 기준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라이버시의 사회적 가치는 친밀한 인간관계, 다양성 그리고 민주주의 등과 관련된다.

프라이버시는 우리가 소중하게 여기는 인간관계의 발달에 필수적인 것으 로써 친밀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며 관계에 있어서의 변 화는 상당한 정도로 개인이 다른 사람에 대해 확보하는 정보의 양과 종류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한 접근 거리의 정도가 갖는 기능일 것이다. 모든 것이 모든 사람에게 공개 혹은 개방된다면 한 개인이 접촉하고 있는 모든 사람이 그 개인에 대해 똑같은 것을 알고 있다면 다양한 사회적 관계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즉 극단적으로 볼 때, 개인은 모든 사람과 똑 같은 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관계를 유지하기 위 해 자신에 대한 정보 및 공간을 통제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즉 프라이버시의 가치는 우리와 우리에 대한 정보 및 공간에 접근하려는 사람들을 통제하는 능력과 다양한 사람들과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 간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개념에 근 거를 두고 있다.

가 . 개인적 공간의 정의 및 개념

개인적 공간은 로버트 솜머(R.Sommer,1929~1959)의 저서 ⌜개인의 공간 의 원제이며 그 속에 Personal Space, The behavioral basis of design」 ,

서 '침입자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사람의 신체를 둘러싸고 있는 보이지 않 는 경계의 구석을 말한다.

개인적 공간은 카츠(Katz,1973)가 만든 용어로 환경심리학에서의 사회 적 행태 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생각은 모두에게 주관적이다. 즉, 개인 적 공간이란 인간의 의식 및 행동을 규제하는 잠재적인 요소이며, 행태 특성 중 하나로서 자신의 주변에 보이지 않는 경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 체의 연장과 같이 느껴지는 영역으로 외부세계와의 완충지대(Body Buffer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지대가 침입을 받으면 마치 누가 자기

Zone) .

(35)

몸을 건드리는 것과 같이 느껴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방어기제(防禦機制 ․ 가 발생하게 된다

defense mechanism) .26) 이러한 논리는 인간의 의식 및 행동을 규제하는 잠재적인 요소가 되고 실제로 나타나는 행동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그 잠재력에 의해 인간을 원점으로서 인간의 주변에 보이 지는 않는 정해진 공간이 형성된다. 바로 이것이 퍼스널 스페이스

개인 공간 개체 공간 이다 (Personal Space ․ ․ ) .

이 개념은 그 뿌리를 생물학 (헤디거 Hediger,1950), 인류학 홀( 그리고 건축학 솜머 에도 두고 있기 때문에 심리 Hall,1968) ( Sommer,1959) , 학에만 독특하게 있는 개념은 아니다. 개인공간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과 학적 관심이 지난 20년 동안에 크게 고조되었다. 실제적으로, 1959년 이 래 이 분야에서 행해진 출간된 실험물은 300편이 넘는다.27)

쇼펜하우어의 우화에 나오는 호저처럼 사람들은 온정과 친근감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접근하고 싶었지만, 반면 서로 피해가 가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져 있으려고도 한다. 개인적 공간은 반드시 구형(球形)일 필요는 없 으며, 사방으로 같은 거리일 필요도 없다. 그것은 달팽이 껍질이나 비누 거품, 주위를 둘러싸는 특수한 분위기, 또는 숨 쉬는 방과 같은 것에 비 유된다.’고 소개되고 있다. 공간은 인간에게 있어서 행동과 의식에의 동 기가 되는 무엇인가를 주고 있다. 인간에게 행동의 동기를 주는 것은 구 축물과 가구 등의 물건 뿐 아니라 인간존재와 인간으로부터 거리 즉, 개 인공간도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같은 관점으로 에드워드 홀 (E. T. Hall,1914~1968)의 저서 ⌜숨 겨진 차원 (The Hidden Dimension)」에서 인간이 공간을 구조하고 사용하 는 방식에 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프록세믹스(Proxemics)라는 새로운 용어 를 마련하여 관찰하고 있다. 여기에서 저자는 현대사회에서 갈수록 심해 지는 타문화간 갈등의 한 요인이 개체간의 거리, 즉 공간을 지각하는 형 식의 문화적 차이에 있다고 보고 침묵의 언어‘ ’인 공간이 야기하고 있는 여러 역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을 동물행동학의 연

26) 오선경, “전시공간의 관람양상에 대한 환경 심리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개인 공간 유지성을 중- 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 2001,p8.

27) Aiello&Thompson, 1980b: Altman& Chemers,1980

(36)

구성과 등 다양한 실험과 관찰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언급되 고 있는 동물행동학을 기반으로 한 공간문제는 바로 인간사회에서 인간과 인간 사이에 거리를 두는 방법 등의 공간 사용법과 결부되어 그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고 서술되고 있으며, 결국 동물의 공 간감각에서 인간의 공간문제를 반추해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는 것이다.

그는 커뮤니케이션과 연관된 이러한 인간의 공간행동을 연구하는 영역을 프록세믹스라 명명하였다.28)

그림 에드워드 홀의 근접 학에 따른 물리적인 거리

< 2. >29)

아키야마 다카노리 는 공간학에의 초대 공간은 인간을 인간은 공

‘ ’ 「 - ,

간을 만든다.」라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인간의 개인공간에 대한 욕구를 스페이싱 의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스페이싱이란 동물의 생

‘ (Spacing)’ .

태를 관찰하고 있는 연구자들은 개체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개 체가 그 속에 들어오는 것을 방위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공간을 테리터리 라고 불렀다 거의 서로 맞닿아 떼 지어 사는 동물에서도 개 (Territory) .

체는 일정한 공간을 지키고 다른 개체를 그 이상으로 접근시키지 않으며 또 스스로 다른 개체에 접근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인간에게는 확고하지 않으면 안 될 공간은 사회생활을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한 개인을 위해서 라는 목적에 따라 크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는 모든 활동을 “스페이싱(Spacing)”이라고 할 수 있다.30)

28) 최우진, “물이미지와 큐브를 통한 자아존재성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6,p6.

29) 이희명 변상태, , “공공영역에서의 개인 공간 보호를 위한 행동 연구와 디자인 가이드 제안 카- 페테리아와 지하철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년10 , p384.월

30) 아키야마 다카노리 공간학에의 초대,“ ”,최광렬 옮김 서울, : 電波科學社, 1981,p15.

(37)

이와 같이 개인과 개인 사이에 유지는 간격을 개인적 거리(Personal 라 하며 개인 주변에 형성되어 개인이 점유하는 공간을 개인적 Distance) ,

공간이라고 한다.31)

개인적 공간은 방어(Protection)기능 및 정보교환(Communication)기능 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위협이 느껴지지 않을 때 개인 거리는 좁아질 수 있으며 위협 혹은 압박을 많이 느낄수록 먼 거리를 유 지하려 한다. 또한 개인공간의 거리는 정보교환수단 눈( , 코, 귀, 입, 피 부 의 선택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정보교환의 양과 질과) 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거리가 좁을수록 보다 사적이고 많은 양의 정 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보다 공적이며 제한된 양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인이 처한 주변상황, 개인적 차 이 물리적공간의 형태에 따라서 공간의 크기에 변화가 있다, .

커플의 경우 남녀의 거리는 서로 느끼는 매력도가 높을수록 좁아지며 연 령, 인종, 사회적 지위가 유사한 사람들 간의 거리는 유사하지 않은 사람 들 간의 거리보다 좁게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개인적 공간의 변수로는 인종 및 문화, 나이, 성격, 성(性)의 차이를 들 수 있 다. 내향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보다 먼 거리를 유지하고, 정서가 불 안정한 어린이는 안정된 어린이보다 장난감을 보다 멀리 떨어지게 위치시 킴이 관찰된다.

그리고 성인보다는 아이들이 인간에게는 물론이고 대상에게도 가까이 하지만 성인은 자기들끼리 보다는 아이들과 더 빈번하게 접촉한다.

그 외에도 간격은 개인의 기분이나 주변장(場)의 상태와 일치해서도 변 동되고 있다. 개인공간에 대해 원하지 않는 침입이 허용되는 상황도 있 다. 즉 엘리베이터, 극장 휴게실, 지하철, 식당의 판매대 등과 같은 행태 장치에서는 개인 공간의 침입이 용인된다. 물리적 변수는 주로 공간의 규 모에 관계되는데, 천장이 낮은 곳에서는 높은 곳보다, 작은방에서는 큰방 에서보다, 구석진 곳에서는 한가운데보다, 내부에서는 외부공간에서보다 좁은 거리를 유지함이 관찰된다.

31) 로버트 솜머 “개인의 공간Personal Space, The behavioral basis of design”,1991,p226

(38)

제 3 절 파티션에 대한 일반적 고찰

한국 파티션의 역사적 고찰 1.

파티션을 우리 조상들은 공간막이‘ ’,‘가리개,‘대발,‘병풍 등이란’ 단어로 사용하였다.

가 대발 .

․염(

簾 , a Bamboo Blind)

발이란 갈대 또는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만든 가리개로 여 름날 창문이나 대청에 쳐서 햇볕을 가리거나 실내장식 등에 사용되는 것 을 말한다. 죽렴(竹簾)은 대나무를 삼끈이나 실로 엮어 만든 대발을 말하 는 것이다. 대발은 뜻을 나타내는 대죽( )竹 부분과 소리를 나타내는 발 이 합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로 가늘고 긴 대오리나 갈대 같은 것으

( )簾 “

로 엮어 만든 물건 을 말하며” , “햇볕을 막고, 통풍이 잘 되게 하는 여 름철의 실내장식물로 무엇을 가리는데 사용 함.”32)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블라인드(Blind), 커튼(Curtain), 스크린(Screen), 쉐이드 가 있다

(Shade) .

대발의 재료인 대나무는 대가 성장을 멈춘 한 겨울에 직접 대밭에 나가 생김새를 살펴보고 10m 이상 자란 것으로 선택하여 채취한 후 2∼3년 생 대를 저장하여 순색이 되도록 그늘에서 말린 뒤 절단, 쪽살내기, 마디훑 음질, 잔살내기 조름질, , 엮음질의 순서로 제작한다.

대발의 종류로는 사용하던 용도에 따라 문발 문에 치는 발( ), 가마발 가마( 문에 드리우는 발), 어렴(御簾-궁전에 치는 발), 포렴(布簾-술집이나 복 덕방의 문에 간판처럼 늘인 베 조각) 등으로 불리고 재료에 따라 죽렴(竹 대나무로 엮은 발 가렴 과 노렴 갈대를 가늘게 쪼개어 엮

- ), ( ) ( -

簾 葭簾 蘆簾

은 발), 주렴(珠簾-구슬 따위를 꿰어 만든 발), 상렴(緗簾-누르스름한 빛 32) 한국어사전편찬회 한국어대사전,“ ”,서울 삼성문화사, ,1986,p166.

(39)

깔의 발) 등으로 불리며, 굵기에 따라서도 세렴(細簾-가는 대로 촘촘하게 엮은 발 으로도 불린다) .

나 방장 . ( 房帳 , Room Curtains)

방장은 “사람이 살거나 일을 하기 위하여 벽 따위로 막아 만든 칸 인” 방 과 둘러쳐서 가리게 되어 있는 장막 인 장 을 합한

‘ ( )’房 “ ” ‘ ( )’帳

의미로 겨울철 외풍을 막기 위하여 방문이나 창문에 치거나 두르는 휘“ 장33)”을 뜻한다. 비슷한 용도로는 한데에서 볕 또는 비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둘러치는 막을 의미하는 장막(帳幕)과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인 휘장(揮帳)이 있다.

방장의 종류로는 크게 막과 장으로 나눌 수 있다. 막(幕)의 종류로는 힐 막(纈幕-홀치기 기법으로 문양을 놓은 비단으로 만든 막), 수막(繡幕), 수도(繡圖)가 있으며 장(帳)의 종류로는 수장(纈帳)과 침장(寢帳-침대에 두르는 장 이 있다) .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집과 수레에 치던 문유(門 와 수장 장식하는데 사용되었던 수도와 수막이 있다 기법에 따라서

) , .

힐막 그 밖에 수막, 수도, 수장이 있고, 용도 및 재료에 따라서 면장(面 앞에 늘인 휘장 갑장 지장 이 있다

- ), ( ), ( ) .

帳 甲帳 紙帳 34)

다 병풍 . ( 屛風 )

국어사전에서는 “병풍 이란” (주로 집 안에서) 장식을 겸하여 무엇을 가리거나 바람을 막거나 하기 위하여 여러 쪽으로 접게 만들어 둘러치는 물건이라고 나와 있다. 그리고 한자로 병풍 이라는 단어를 풀이해보면“ ” 바닥 위에 판을 세우거나 의자나 침대 또는 어좌를 두르기 위해 여러 장 의 판을 이어붙인 물체를‘屛( )’병 이나‘ (障 장)’이라 하는데, 둘 다

가리개 또는 가리다 는 뜻이다 강희자전 에도 병

‘ ’ ‘ ’ . (康凞字典) ‘ (屛 )’

은 “은폐하다, 앞을 가리다, 울타리 치다, 겁내게 하다, 물리치다, 나무 33) 한국어사전편찬회,op. cit, p673.

34) 서지연, “한국전통공간막이에 나타난 조형디자인 조사연구 발과 방장을 중심으로- ”,2006,p10.

(40)

를 둘러친 숲 등의 뜻으로 풀이한다” . 이러한 해석을 살펴보면 병풍의 일 차적인 용도는 무엇을 가리거나 막기 위한 것이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려 장식을 겸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5)

병풍의 폭 350~450mm에 높이가 1600~1800mm 정도 되는 직사각형의 판이 옆으로 죽 이어 붙은 모양으로 폭의 개수는 짝수인 것이 특징이며 용도에 따라 폭의 개수나 높낮이를 달리한다.

병풍의 다른 명칭으로는 병장(屛障) 혹은 장풍(障風), 청방(淸防) 이라 고도 부른다.

그림 병풍의 구조와 명칭

< 3. >

병풍의 역사적 유래는 중국의 한 대(漢代)에 제소병풍이라 하는 것이 있었다고 전해진다.“예기(禮記)의 명당위에 천자부‘ (天子負) 부의(斧依) 남향이립(南鄕而立)’에서 부의(斧依) 유제(遺制)가 곧 병풍의 기원을 이 루는데, 여기서 부의라 함은 도끼(斧)의 모양을 자수로 짠 일종의 머리 병풍”을 의미한다.

병풍 문화가 일반생활에 널리 보급되고 화려했던 시대는 조선시대라 할

35) 김윤정, “병풍(屛風)의 기능에 대한 고찰”,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지논문 생활문물연구 제14 ,호 2004. p.90-107

(41)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 에는 여러 차례 병풍에 관한 내용이 적혀 있는」 데, 여러 가지 병풍의 종류와 제작에 관해 기록되어 있다.“궁중용 도서 서의 서원이 그린 수본을 수방에 수를 놓아 사용하였고, 일반인들은 광동 교 아래에 있는 병풍전에서 구하였다.”또한 유암 공만선의 「산림경제」 에서는 병풍을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분류한 사실로 보아, 제한된 신분계 층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전시대 보다는 병풍문화의 전성시대라 할 수 있다.36)

병풍의 쓰임 1)

36) 지영숙, “조선시대 자수병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공예과 직물디자인 학과, 1987, p.4

돌날

참조

관련 문서

제38조제2항에 따른 주의 이상의 위기경보가 발령되면 해당 감염병에 관하여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정보공개 및 삭제와 이의신청의 범위, 절차 및

기존의 감성분석 방법은 리뷰 전체의 감성 단어를 긍/부정 분류하였으나 드라마 리 뷰 특성상 개인의 취향에 즉 속성에 따라서 느끼는 감정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r]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업무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갈등 경험 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질적 연.. 따라

윤재원( 200 4) 은 ‘ 무용 활동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에서 무용전공자의 개 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에는 부분적으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즉,다양한 감정이 표현된 미술작품을 보면서 풍부한 정서를 기를 수 있고 감상 후에 갖게 되는 미적 정서의 고양은 심리적 만족감과 안정감을 갖게 하여

무게를 재기 위한 저울은 여러 분이 만들어야 합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부패 식품 및 오염 판별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 였고, 티라민 정량 분석을 위해 티라민과 반응하는 효소인 MAO 효소를 바이오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