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8. 세균학 각론 (5) (5) 스피로카이타세아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8. 세균학 각론 (5) (5) 스피로카이타세아이"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8. 세균학 각론 (5)

(2)

스피로카이타세아이

(3)

스피로카이테세아이(Spirochactaseae)

스피로카이테세아이(Spirochactaseae)

트레포네마속(Treponema)

1. Treponema pallidum

보렐리아속(Borrelia)

1. Borrelia burgdorferi

2. Borrelia recurrentis

렙토스피라속(Leptospira)

1. Leptospira interrogans

(4)

트레포네마 속(Treponema species)

그람 음성이나 충분히 염색되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

Long, slender, flexible, spiral- or corkscrew-shaped rods 높은 운동성

배양되지 않음

(5)
(6)

매독균(Treponema pallidum)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인간의 기생균이고 성적 접촉으로 전염(여성의 질과 자궁경부, 남성의 성기)

• 감염 병변은 주로 생식기의 피부와 점막에 나타남.

• 혈관과 혈관주위 조직에 병변을 유발

• 피부의 기질(matrix)을 파괴시키는 hyaluronidase를 분비함으로써 감염이 쉽게 전파 (매독균이 체내에 침입하면 신속히 증식 후 1차병변이 생기기전 에 혈관주위 림프절과 순환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짐)

• 내편모(endoflagella, axial filaments)를 가짐 : 균의 outer sheath의 바로 밑 에 있으며, 운동성을 제공

T. pallidum은 초기 감염장소에서 증식하고 림프를 경유하여 혈액으로 전파.

• 3~4주 이내에, 1기 병변인 굳은 궤양 (hard chancre) 형성

• 굳은 궤양에서 많은 수의 매독균, 단핵구, 림프구 및 형질세포가 발견

(7)

매독균(Treponema pallidum)

• 1기 매독의 2~10주 이후에 2차 병변 나타남

 red maculopapular rash --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보여지며,

 pale, moist papule -- 주로 항문성기부분(condylomas), 겨드랑이, 구강

• 1차와 2차 병변 모두 매독균이 많으며, 매우 감염성이 높음

• 2차 병변은 매독성 간염, 뇌수막염, 신장염, 또는 맥락 망막염과 같이 전신적으로 침범

• 2차 병변에 감염된 사람의 대략 40%에서 제3기 매독 병변으로 진행되는데 신경계, 심혈관계 병변의 퇴행성 변화, 그리고/또는 간, 피부, 뼈에서의 육아 종 병변(granulomatous lesions)인 고무종(gummas)의 발달을 특징으로 함

• 고무종(gumma)은 심한 괴사와 약간의 거대세포가 관찰되나 매독균은 거의 존재하지 않음

(8)

매독균(Treponema pallidum)

매독syphilis

제 1기 (primary syphilis) :

• 감염 후 2~3주의 잠복기를 거쳐 처음에는 구진(papule), 나중에는 굳은궤양 이 성기주위 피부나 점막에 나타남

• 굳은궤양/경성하감(hard chancre)은 통증이 없으며 단단하고 붉은색을 띠는 병변 하나만 발생

• 전신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대부분 국소림프절 종대 관찰

• 1차 병변 부위는 감염력은 매우 높으나 자연적으로 없어져서 치료된 것으 로 오인할 수 있음

(9)

매독균(Treponema pallidum)

매독syphilis

제 2기(secondary syphilis) :

• 1기 매독의 2~10주 후 2기 매독증상 나타남

• 굳은궤양/경성하감(hard chancre) 등 초기증상이 소실되고 약 2~3개월 지나면 매독균이 혈행하여 전신에 피부와 점막에 발진을 형성하고, 림프절 종창, 관절통 등을 동반

• 주증상: 발열, 인후통, 전신림프절증, 두통 및 발진

• 1기 매독의 굳은 궤양과 함께 2기 매독의 피부나 점막에 생긴 병변도 매우 높은 감염력이 있음

 혈액 내 또는 피부 매독진에서 매독균이 검출되고 혈액 내에서 매독항체(IgG, IgM)가 증명

(10)

매독균(Treponema pallidum)

매독syphilis

제3기(tertiary syphilis) :

• 치료하지 않은 2기 매독환자의 1/3이 3기 매독으로 진행

• 제2기에서 대개 2~3년 지나면 피부, 점막, 뼈, 각종 내장에 특유한 고무종 (gumma)과 같은 궤양을 형성

 고무종은 지연성 과민반응의 결과로 피부등에 생기는 병변임

• 고무종은 대부분 괴사로 진행되어 흉터를 남기고 조직의 파괴가 심함

 매독균은 검출되지 않음

• 혈액 내 항체증명 시 양성반응

(11)

매독균(Treponema pallidum)

매독syphilis

말기매독(late syphilis)/변성매독 :

• 3기 매독을 치료하지 않으면 ½정도에서 말기 신경매독으로 진행

• 중추신경계의 변성병변을 일으키며 마비성 치매dementia paralymica, 척수 로babes dorsalis(척수매독), 진행마비general paresis 등 발생

• 심혈관매독에서는 매독성 대동맥염 및 매독성 폐동맥염이 발현되며, 염증 에 대한 협착으로 협심증과 심부전이 유발되어 사망가능

(12)

매독균(Treponema pallidum)

선천성 매독congenital syphilis

• 매독에 걸린 임산부는 태반을 통해 10~15주된 태아에게 매독균을 전염

• 매독감염은 태아가 사망, 유산, 사산아의 원인

 치료하지 않은 경우 사망률이 25%, 40%에서 여러 말기 선천매독의 징후 가 나타남

• 선천매독 초기증상: 간비종대, 황달, 용혈성 빈혈, 폐렴, 긴뼈의 다발성 병터, 피부병터, 고환종괴 등

• 산모가 임신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선천성 매독을 방지할 수 있음

(13)

매독균(Treponema pallidum)

Treatment

• penicillin G는 선택약

• Erythromycin이나 tetracycline은 페니실린 알러지 환자 에게 사용.

Prevention

• 백신 또는 예방약 없음

• 매독으로부터의 예방은 안전한 성활동.

• 임신 중 적절한 항생제 치료는 선천성 매독을 예방할 수 있음.

Laboratory identification

• 매독균은 그람염색 도말표본에서 보이지 않고, 임상 검체물의 암시야 현미 경관찰은 motile spirochetes볼 수 있음.

• 매독균은 시험관내에서 배양되지 않음.

(14)

혈청학적 검사 :

1) 비 매독항원 검사 :

 VDRL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test)  RPR (Rapid Plasma Reagin) 신속 혈장 리아진 검사  Wasserman test 바세르만 반응 검사

2) 매독항원 검사:

 FTA-ABS 매독 형광항체흡수 검사법

 TPI(Treponema pallidum immobilization test)트레포네마 부동화 시험,  TPHA test 트레포네마 감작혈구응집검사

(15)

VDRL검사

•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ies test 약어

• 카르디올리핀, 콜레스테롤, 레시틴으로 구성되는 항원액과 피검혈청을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소량씩 섞어서 실시하는 응집실험으로 매독진단에 신속한 선별검사법

•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에 의해 고안

(16)

보렐리아 속(Borrelia species)

그람 음성이나, 염색이 잘 되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봐야 함 Long, slender, flexible, spiral-or corkscrew-shaped rods

높은 운동성

배양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걸림

(17)

Borrelia burgdorfer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작은 참진드기 tick (속 lxodes)에게 물림으로써 사람에게 전파

• 감염용량을 전달 하기 위해 적어도 24시간 이내에 균을 먹은 진드기 이어야 함.

B. burgdorferi spirochete의 저장소 : 사슴, 쥐, 다른 설치류, 새.

B. burgdorferi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되지 않음.

라임병 lyme disease

질병의 제1기 :

• 진드기에게 물린 3~22일 후에 시작

물린 곳은 깨끗한 중앙으로 하여 원형의 발진(erythema chronicum migrans) , 특징적인 홍반red circular rash을 동반.

• 감기와 같은 증상이 발진과 동반함

• 림프나 혈액을 통하여 근골격계, 피부, 중추신경계, 심장, 다른 장기로 전파됨.

(18)

Borrelia burgdorferi

라임병 lyme disease

질병의 제 2기 :

• 증상이 시작되고 몇 주에서 몇 달 후에, 관절염, 관절통, 심장문제, 수막염 과 같은 신경학적 문제와 같은 증상과 함께 시작됨.

질병의 제 3기 :

• 몇 달에서 몇 년 후에 나타나며, 만성 관절염 및 진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19)

Borrelia burgdorferi

Treatment

• cephalosporins, amoxixillin, dosycycline 등은 라임병의 초기단계에서 유용

• 만약 관절염적 증상이 이미 나타났다면, 항생제의 장기복용으로 사용됨.

Prevention

• 가장 좋은 예방법 : 옷을 입어서 진드기에게 피부를 노출하지 말고, 곤충 퇴치제를 사용함

(20)

Borrelia recurrentis

• 이(body louse)-매개 유행성재귀열의 원인균

• 사람만이 보균숙주

• 유행성재귀열의 증상:

- 잠복기 약 1주

- 첫 증상: 갑자기 발병, 오한, 지속적인 고열, 빈맥, 두통 및 근육통 등을 호소

 3~7일 정도 첫증상이 지속되다가 병원체가 혈액에서 제거되면 없어짐

 대개 열이 떨어지고나면 다음 발열기 때가지 무증상기가 5~9일 지속

 다시 열이 발생하면 첫 발열기보다는 재발되는 발열기에서의 발열기간은 짧 고, 증상도 가벼우며, 발열기와 발열기 사이의 기간도 점차 짧아짐

(21)

렙토스피라 속(Leptospira species)

그람 음성이지만, 염색이 잘 되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봐야함 Long, very slender, flexible, spiral-or corkscrew-shaped

rods

높은 운동성

특별한 배지에서 배양

(22)

Leptospira interrogans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은 1886년 Weil씨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어 황 달 및 신장염과 관련된 열성질환이 발생

• 저장소 : 많은 야생동물과 가축

• 보균숙주가 광범위한 인수공통질환으로 사람에게 주로 질병을 일으키는 균 은 L. interrogans

• 사람에게 전파되는 방법 : 오염된 음식의 섭취나 물 또는 음식물에 접촉되면 상처가 난 피부나 코와 입 등의 점막을 통해 균이 체내에 침입

• 여러 주 동안 고여있는 물에서 생존하지만, 건조에 민감함

• 세균염색이 잘 되지 않아 암시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음

• 절대산소균으로 28~30℃에서 가장 잘 증식하며, 발육 최적의 pH 7.2~7.4

(23)

Leptospira interrogans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점막이나 상처가 난 피부를 통해 침입한 균은 혈액을 따라 중추신경계를 포함한 모든 조직으로 퍼질 수 있음

• 주요 임상증상:

- 1~2주의 잠복기 후에 갑자기 발열과 오한이 동반되면서 균혈증 시작 및 전신근육통이 심하게 나타남

- 두통, 메스꺼움, 구토와 뇌막자극으로 오는 경부강직, 소화기장애 등이 나타남

- 균은 빠르게 증식하여 작은 혈관의 내피를 손상시켜 수막염, 심부전 및 출혈

• 질병의 초기에 혈액과 척수액에서 균을 확인할 수 있음 질병의 말기에 소변에서 균을 확인할 수 있음

(24)

Leptospira interrogans

• 렙토스피라증은 전세계적으로 발생

• 제3군 법정감염병

• 국내에서는 주로 8월~12월에 주로 발생하며 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함

 추수기

• 환자는 40세 이상이 87%로 가장 많으며, 농부에서 많이 발생

 들쥐의 서식 및 배설물, 물과 논밭에 있는 흙의 오염으로 오염환경에 노출 된 농부가 위험성이 높음

• 치료 및 관리

• 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IV투여

• 야생설치류나 개, 돼지, 소 등이 사람에 대한 주요 감염원이므로 감염동물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이나 토양 등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 추수기에 논이나 밭에서 일할 때 긴 소매 옷을 입고 장화와 장갑을 착용

(25)

그 밖에 우리가 알아야 하는 균

(26)

lipid-rich세포벽(mycolic acids 미콜산) 때문에 그람 염색이 되지 않음 항산성(acid fast) 염색

길고, 가늘고, 부동 막대균 호기성균, 건조함에 대한 내성

Lowenstein-Jensen agar-M. tuberculosis 를 배양 M. Leprae는 배양되지 않음

마이코박테리움 속

(Mycobacterium species)

(27)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구조와 생리

• 항산성 막대균

• 세포벽은 그람양성균과 유사한 펩티도클리칸층에 다당류(arabinogalactan) 이 있고 끝에 미콜산(mycolic acid)이 결합되어 기본 골격을 이룸

• 결핵균의 최적 증식온도: 35~37℃ (30℃이하, 42~45℃에서 증식하지 않음)

• 산소균으로 산소공급이 풍부한 조직(폐상엽, 신장, 뇌 및 골수 등)에 많은 병터를 형성함

• 저온살균(60℃에서 20분 내)시 사멸, 자외선 조사에 매우 약함

• 에탄올, 아세톤 및 포름알데히드에 쉽게 살균

• But 건조, 산성, 알칼리 및 암모니아 화합물에 대해 일반세균에 비해 내성이 훨씬 강함

 건조 객담 내에 6~8개월, 객담의 건조 비말 내 8~10일간 생존가능

(28)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발병기전과 면역

• 결핵균에 감염된 후 3~6주이내에 세포면역이 활성화되어 균을 제어

 약 5%의 감염자는 활동결핵(active tuberculosis)으로 진행

• 결핵균이 숙주의 대식세포에서 살아남아 생존하고 성장함 (잠복감염 상태)

• 대식세포에서 활동하지 않으면서 수십년간 남이 있을 수 있음

• 인체 면역억제상태는 M. tuberculosis를 재활성화 시킴

 빈곤, 영양결핍 및 인구과밀 등의 환경요인도 결핵을 확산시킴

• 전파는 기침의 aerosol droplets

•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고 환기가 되지 않을 때 발생

• 주요한 만성적 세균성 질병이며, 전세계적 감염에 의해 죽음을 일으킴

(29)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발병기전과 면역

결핵균의 발병기전:

(1) 결핵균이 포식소체와 용해소체와의 융합을 막아 숙주의 큰포식세포 내에서 살 수 있는 능력

(2) 결핵균은 포식소체의 성숙과 산성화를 막고, 용해소체의 산성 가수분해 효소와 활성산소의 작용으로부터 결핵균의 손상 회피능력

• 폐로 들어온 결핵균 중 일부는 살아 남아 큰포식세포의 세포질에서 증식하 고 동시에 림프절에 결핵항원이 전달되어 T세포가 활성화됨  감염 2~3주 에 항원특이세포면역이 발달되고, 세포 안에 결핵균을 가지고 있는 꽈리큰 포식세포, 상피모양세포(epithelioid cell), Langhans거대세포와 CD4+, CD8+, NK T세포가 둘러쌓아 육아종 형성

(30)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발병기전과 면역

결핵균의 발병기전:

• 세포매개면역으로 큰포식세포를 활성화시켜 탐식한 결핵균을 죽이고, 지연 과민으로 결핵균을 탐식한 큰포식세포의 손상과 육아종 중심부에 괴사 발생

• 1차 병터의 중심부가 괴사되면서 결핵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감염은 휴면기 잠복결핵이 되며, 대부분 섬유화 및 석회화로 치유되고 1차 병터 부위가 확장되어 공동을 형성

• 공동 내의 결핵균은 증식이 계속되어 활동결핵으로 진행되며 객담과 함께 배출

• 제3군 법정감염병, 결핵은 진단 후 1주일 이내 국가에 보고해야 함

(31)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임상특성

• 소아에서 폐결핵 - 초기 감염된 결핵

- 호흡기로 전파되어 폐에 가장 많이 침범

- 폐 중엽 및 하엽에 병터를 형성하고 인접 림프절로 결핵균이 전파되어 림프 절 종창을 발생  림츠절염의 석회화 및 건락화로 결핵균이 오랫동안 생존가 능함(Ghon lesion)

- 소아 결핵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흔하며, 발열, 기침 및 식욕부진이 발생

• 성인에서 폐결핵

- 재활성 또는 재감염 결핵

- 한쪽 또는 양쪽 폐상엽 꼭대기 구역이나, 뒤분절에서 시작

- 중심 건락괴사가 있는 육아종이 특징적임  더 진행시 공동 형성

- 증상: 기침과 객담 가장 흔함(각혈), 식욕부진, 피곤, 체중감소, 흉통 및 미열

(32)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임상특성

• 결핵균은 다른 조직에 전파됨 :

만성 폐렴chronic pneumonitis, 결핵성 골수염tuberculous osteomyelitis, 결핵성 수막염tuberculous meningitis을 일으킴.

• 만약, 활동성 결핵이 몸 전체적으로 생기게 된다면 가장 심각한 상태는 속립(좁 쌀) 결핵(military tuberculosis)이 발생되는 것임

치료 및 관리

• 장기간의 combined antibiotic treatment (최소 6개월이상) :

isoniazid(INH), ethambutol(EMB), streptomycin(SM), pyrazinamide(PZA), rifampin(RFP)  4가지 이상의 약물들 병용

• MDR-TB의 발생과 AIDS환자의 발생 증가로 결핵발병률 증가하고 있음

(33)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치료 및 관리

• BCG

- M. bovis를 담즙산이 함유된 액체배지에서 11년(1902~1913)에 걸쳐 130회 계대하여 얻은 약독 생균백신

- 결핵 유병률이 높은 국가에서 신생아 예방접종 필수적 (우리나라)

- BCG접종자는 PPD에 대한 피내반응검사가 양성으로 나타나, 결핵검진에 혼동을 줄 수 있음

(34)

투베르쿨린 피부검사

(Tuberculin skin test, PPD test, Mantoux test)

검사목적 : (1) 결핵균 감염경험의 유무 (2)폐질환의 감별 PPD 국제단위 : 2mg/ml (100,000 TU) *TU=tuberculin unit 검사단위 :

0.1ml에 1TU가 함유된 1차 농도, 5TU가 함유된 중간농도, 250TU가 함유된 2차 농도가 사용

일반검사 :

중간농도(5TU)가 사용되며, 과민반응이 있는 대상자에는 1차 농도(1TU)가 사 용되며, 중간농도에 반응이 없는 대상자는 2차 농도(250TU)가 사용

검사판정 : PPD 0.1ml(5TU)를 피내 접종한 후, 48~72시간에 경결의 크기

10mm이상 : 양성반응, 5~9mm : 의양성반응 , 4mm이하 :음성반응

(35)

PPD 양성반응의 의미 :

• 과거에 결핵균에 노출되어 감염되었던 경험이 있음을 의미

• 교차항원성 MOTT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에 감염되었던 경험이 있음도 배제할 수 없음

• 현재 감염되었음을 의미하지 않음

• 투베르쿨린양성 반응은 결핵균 감염 후 4~6주에 나타남

• 결핵의 임상소견이 있을 때만 진단적 가치가 있음

(36)

항산성 염색방법

Acid-fastness staining (Ziehl-Neelsen method)

(37)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나병균(한센균) : 낮은 감염률

• 전파 : 장기간의 접촉을 통해 사람 사이에서 전파

(예, 나병환자의 피부병변 삼출물과 다른 사람의 벗겨진 피부를 통해서)

한센병(나병)

 나병은 말초신경과 피부의 만성적 육아종 상태:

결핵 나병: 숙주세포의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파괴되어, 코와 외이와 같은 비교적 차가운 피부, 정소 및 표면의 신경종말에서 large macular plaques가 발생함(감각손실).

나병종 나병: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심하게 침체되어있고, 매우 느리지만 진행성이며, 병변 부위와 혈액에서 많은 나병균이 있음.

(38)

작은 원형 및 난형의 균

외피(envelope)는 2개의 이중 지질막

절대적 세포내 기생균, 인공배지에서 발육하지 않음

이 균은 세포내 액포(endocytic vacuoles)에서 복제하고, 특징적인 세포질내 봉입체(cytoplasmic inclusion bodies)를 형성함

제한된 대사작용으로 에너지 대사에 사용되는 ATP를 자체생산하지 못하고 기생하는 숙주세포로부터 ATP를 취하여 증식

그람염색 안되며, 요오드염색, 김사염색, 면역형광항체법

클라미디아 속(Chlamydia species)

(39)

클라미디아의 형태 2종류 : 증식양상에 따라

기본소체(elementary body, EB) :

-- 세포밖에서 증식조건이 나쁠 때 분열하지 않고 단단한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음.

-- 자체가 증식할 수 없으나 감염성이 있어 감수성이 있는 세포에 접촉 후 세포내 이입(endocytosis)에 의하여 세포질내로 들어가 용해소체와 결합하여 포식용해소 체를 형성하여 포식작용에 저항하며 증식함

망상체(reticulate body, RB) :

-- 세포침입후 6~8시간 후, 세포질 내에서 RNA함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신진 대사가 활발한 망상체를 형성.

-- 이분법으로 증식시작, 감염48~72시간 후 망상체는 다시 기본소체로 재구성됨.

C. trachomatis는 글리코겐과 비슷한 물질을 분비하여 요오드에 염색되는 봉입체를 형성.

C.pneumoniae / C. psittaci는 요오드에 염색되지 않는 봉입체를 형성하여 김사(Giemsa)염색 을 하여 관찰함

(40)

Chlamydia trachomatis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사람숙주

• 인체의 특수 세포에만 감염됨 : 요도, 자궁경관, 난관, 자궁내막, 직장, 기관지, 결막 등의 점막에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킴

• 침범부위에 심한 염증반응을 일으켜 중성구와 림프구 및 형질세포 등의 침윤을 일으킴

• 재감염시 염증반응에 의한 조직파괴가 심하여 재감염에 의한 트라코마는 실명을 초래하고, 부고환 및 난관에 감염되면 불임 초래

• 주로 사회경제학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많이 유행

C. trachomatis에 의한 성병질환은 국내에서 비임균성 성병의 50%이상을 차지

• 여성에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산전관리에 필수검사로 시행해야 함

(41)

비임균성 요도염 (Nongonococcal urethritis, NGU)

C. trachomatis 는 미국에서 가장 흔히 성행위를 통해 전염되는 박테리아 질병인 비임균성 요도염(NGU)의 가장 흔한 원인 요인

• 개인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고 남,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

• 반복적 or 만성적으로 C. trachomatis에 노출되면 불임이나 자궁 외 임신 가능

• 여성은 골반염증질환(PID)로 발전 가능함

트라코마(Trachoma)

• 단순한 눈의 자극에서 실명까지의 범위에 이르는 증상을 가진 안구감염 (만성 각결막염증,chronic keratoconjunctivitis) 유발

• 국내 보고사례 없음

• 개발도상국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음

• 감염된 사람 및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 파리에 의해 전파

(42)

Inclusion conjunctivitis of the newborn 신생아 봉입체 결막염 (ICN)

C. trachomatis에 감염된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산도를 통해 통과하는 동안 감염

• 대개 자가 치유되는 급성, 화농성 결막염을 유발함

Lymphograuloma venereum 성병림프육아종증 (LGV)

C. trachomatis은 침습적이고 성병인 LGV를 유발

• 이 질병은 미국에서 흔하지 않음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에선 풍토병)

• LGV는 외음부에서 일시적인 구진(papule)을 특징으로, 서혜부와 직장주의 림프절에 통증성 국소부종이 1~2개월 정도 수반됨

• 국소적인 림프 배액이 차단될 수 있음

Treatment

• doxycycline과 같은 Azithromycin, erythromycin, tetracycline은 클라미디아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

• 비뇨기계통의 성병질환의 경우 반드시 성관계 파트너도 함께 치료

(43)

Chlamdophila pneumoniae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 사람을 숙주로, 일반적으로 호흡비말(respiratory droplets)에 의해 옮겨짐

Chlamydia는 에너지기생균이고, 성장을 위해 외인성의 ATP와 NAD+가 필요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infection

C. pneumoniae는 전세계적으로 호흡기감염의 중요한 원인

• 인두염(pharyngitis), 후두염(laryngitis), 기관지염(bronchitis), 간질성 폐렴 (interstitial pneumonia)를 유발

• 유행성 전염병(Epidemic outbreak)으로 발생되고 있음

• 우리나라에도 C. pneumoniae의 항체 보유율이 청장년층 50~60%이며, 노인층은 80%수준에 이름

• 집단감염은 군 신병훈련소, 탁아소 및 노인정에서 간혹 발생하기도 함

(44)

Chlamdophila psittac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앵무(새)병psittacosis(ornithosis)

• 감염된 조류(앵무새와 같은)의 배설물이나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오염된 먼지의 흡입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질병(zoonotic diswase)

• 사람의 C. psittaci 감염은 호흡기관이 표적: 마른기침과 감기와 같은 증상, 폐의 침윤 유발

• 간과 비장의 확대도 자주 발생

• 우리나라에서 공식적 인체감염보고 없음

Treatment

• Tetracycline과 doxycycline 선택약

• erythromycin 대체치료요법 : 심각한 상황에서는 효능이 적을 수 있음

(45)

세포벽 없고 3층 세포막(trilaminar cell membrane)을 단위막으로 싸여있음.

스테롤(sterols)을 포함(증식에 필요성분)

펩티도글라이칸 세포벽이없어 그람염색으로 보이지 않음 Giemsa, Dienes염색법으로 염색 잘됨

125mm정도 바이러스크기와 비슷, 운동성 없음 다형성적인 모양(막대도 아니고 구형도 아님)

콜로니(colonies) : 계란 후라이 모양

PPLO 배지에 배양 (인공배지에서 자기 증식 능력을 가진 가장 작은 세균)

미코플라스마 속(Mycoplasma species)

(46)

Mycoplasma pneumoniae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M. pneumoniae는 사람의 입과 비뇨생식기관의 정상세균총

• 다른 Mycoplasma 균종은 통성혐기성균이나 M. pneymoniae는 절대호기성균

• 전파 : 호흡기비말(respiratory droplets)

M. pneumoniae는 membrane-associated cytoadhesin(P1)이 있어, 섬모성 기관지 상피세포(ciliated bronchial epithelial cells)에 부착하고 섬모운동을 억제함  그 결과 기관지조직에서 감염반응 초래

원발성 비정형 폐렴(Primary atypical pneumonia)

• 하부호흡기관지의 질병은 M. pneumoniae의 감염이 가장 잘 알려짐

• “움직이는 폐렴”: 증상과 징후가 약하고, 환자가 아픈 동안에도 걸어 다닐 수 있기 때문

(47)

Mycoplasma pneumoniae

• 기관지염(bronchitis), 인두염(pharyngitis)과 비화농성 중이염(nonpurulent otitis media)도 발생시킬 수 있음

• 질병의 높은 발병률 : 어린이와 청년들(6~20세)에서 발생함

Laboratory identification

•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염색이 되지 않아 일반현미경 검사는 진단에 의미 없음

M. pneumoniae에 대한 완전히 일치하는 항체를 이용한 혈청학적 검사로 감 염 세균동정

M. pneumoniae 는 배양하기 어려움

(48)

그람음성이나 염색이 잘 안됨 작고, 막대균 같거나 구간균 모양 살아있는 숙주세포 안에서만 성장

절대적 세포내 기생균이므로 일반적으로 배양되지 않음 감염된 곤충(tick, mite, louse, flea)에 의해 전파됨

리케차 속(Rickettsia species)

(49)

1. 티푸스 군 (Typhus group)

1)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louse-borne typhus) 2) 발진열(Murine Typhus, Flea-borne typhus)

2. 발진열 군 (Spotted fever)

1) 록키산 발진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Tick-borne Typhus) 2) Rickettsial pox

3. Scrub typhus군

1) 쯔쯔가무시병(Scrub typhus, Tsutsugamushi disease)

(50)

R. prowazeki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Louse-borne Typhus)

• 매개체 : 이(louse)에 의해 전파

• 임상증상 :

- 잠복기 : 10~14일

- 초기증상: 두통, 오한, 발열; 이후 점차 전신 근육통, 오한, 발열, 심한 전두통, 관절통 등

- 발병 4~7일 후 : 발진티푸스의 특징적인 증상인 피부질환이 관찰됨.

- 처음에는 홍반으로 나타나나 점차 진전 되어 점상 또는 반상출혈로 발전됨 - 발진은 처음 몸통에서 시작되어 점차 팔다리로 진행됨

. -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저혈압, 빈뇨가 발생하며 드물게 피부나 손가락의 괴사가 관찰됨

(51)

-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 약 3주정도 지속되며, 치사율은 약 10~40%

- 감염에서 회복된 환자는 수년간 발진티푸스에 대한 방어면역 능력을 지니나 일부는 수년 또는 수십 년 후 질병이 나타남 (Brill-Zinsser씨 병)

Laboratory identification :

환자 혈청내 R. prowazekii에 대한 항체를 간접형광현미경법으로 관찰

Treatment & Prevention :

-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이 치료에 효과적임 - ciprofloxacin도 유용한 치료제임.

- 발진티푸스에 노출될 위험이 많은 사람에게 포르말린 처리를 한 발진티푸스 백신을 사용할 수 있음.

(52)

R. typh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발진열(Murine Typhus, Flea-borne Typhus)

• 매개체 : (쥐) 벼룩 (살충제를 사용하거나 쥐를 방제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

• 역학 :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며, 국내에서도 매년 상당수의 환자가 발생 봄과 가을철에 많이 발생

• 임상증상 :

- 잠복기 : 1~2주

- 일반적으로 발진티푸스보다 증상이 가벼우며 발열, 두통, 전신발진 등이 갑자기 나타남

- 특징적인 발진은 발병 3~5일 사이에 몸통에서 먼저 관찰, 점차 팔다리에서도 관찰됨.

- 발진열은 비교적 경한 질병으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에도 약 3주 정도면 치유가 되며, 이때 치사율은 약 2%정도 임

(53)

Rickettsia rickettsi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R. rickettsii는 감염된 나무진드기 혹은 개의 진드기에 쏘여서 사람에게 전염

• 순환기계를 통해 모세혈관을 따라 있는 내피세포에서 기생하며, 최후에 숙주의 세포를 죽임

• 그 결과 피부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의 국소 트롬빈(혈전생성효소)을 형성함

• 많은 출혈과 혈류장애에 의해 질병의 증상 나타남

록키산 발진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Tick-borne Typhus)

• 잠복기는 약 2~12일이며, 갑자기 고열, 권태감, 두통, 오한 발생

• 발병 2~4일 후에 발진이 나타나며, 발목 또는 손목 주위에서 처음 시작하여 점차 전신으로 퍼짐

• 이 발진은 반점(macular)에서 시작하여, 병리학적으로 점상출혈(petechial)이나 명백한 출혈로 진행

(54)

• 치료하지 않으면 감염은 심부전 및 신부전을 초래

• 이 질병은 어린이나 10대 청소년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지만,

• 사망률은 (5~30%) 4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높음

Treatment

• 선택약 : doxycycline, chloramphenicol ; 초기감염에 투약

• 진단은 항체를 이용한 검사를 근거해서, 치료의 결정은 과거력이나 진드기 접촉 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임상을 기반으로 내려져야 함

Prevention

• 미국에서 승인된 항리켓차 백신이 없으며, 예방약도 없음

• 예방법 : 매개체 조절, 노출피부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옷입기, 접촉된 진드기의 즉각적인 제거

(55)

R. akar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리케치아 두창 (Rickettsial pox)

• 발진과 진드기가 물은 주위에 나타나는 가피(eschar)가 특징적임.

• 비교적 약한 임상증상을 보이는 질환

• 국내에서는 들쥐(Microtus fortis pelliceus)에서 R. akari가 분리된 적이 있어 발생가능성은 높으나 환자발생은 확인되지 않음.

R. akari에 감염된 진드기(mite)에 물려 감염됨.

• 이 진드기는 집쥐 등에 기생하나 집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에는 사람을 물어 질병을 전파함.

• 알을 낳아 후대에 전파함

• 환자는 수포성 발진, 국소 림프절병증 및 가피가 특징적으로 나타남

(56)

• 잠복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가피가 관찰된 후 약 3~7일에 갑작스 런 발열, 오한, 두통이 나타남

• 발열 후 2~4 일 : 전신에서 반점 구진형 발진이 관찰됨.

• 이 발진은 곧 수포성 발진으로 진행하며,

• 비교적 가벼운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망한 예는 없음.

Treatment :

• etracycline, chloramphenicol이 치료에 효과적임

• ciprofloxacine도 유용한 치료제임.

• 쥐를 방제하고 살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질병발생 예방에 도움이 됨.

(57)

O. tsutsugamushi

Pathogenesis & Clinical Significance

쯔쯔가무시병(Scrub typhus, Tsutsugamushi disease)

•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일반에게 알려진 질환으로 국내에서는 1985년부터 환자발생이 보고되고 있음

• 현재 국내에서 연간 약 3~5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

• 병명 쯔쯔가무시는 일본에서 유래된 것으로 위험하다의 “쯔쯔가”와 벌레의

“무시”를 합쳐 만든 합성어로 벌레에 물려 감염되는 질병이란 뜻임

• 영어명 ‘scrub typhus'는 관목을 제거하고 이를 경작지로 만들 때 이 질병이 주로 발생하여 붙여진 이름

• 그러나 이 질병은 관목 숲 뿐만 아니라 삼림, 해변 등에서도 감염될 수 있는 질환

(58)

• 국내는 물론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각국, 인도, 파키스탄, 호주북부, 남태평양 연안도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주로 10~12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나 다른 기간에도 산발적으로 환자가 발생

•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에서 질병이 발생하며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서도 많은 환자가 발생

• 도시민들은 성묘나 야외 나들이를 통해 감염

O. tsutsugamushi에 감염된 진드기는 알을 통하여 후대로 세균을 전파.

• 이 진드기들은 주로 들쥐의 체액을 섭취하거나 조류를 포함한 기타 동물의 체액을 섭취함

• 이 진드기들은 초원, 풀밭, 삼림, 정원, 강 언저리, 해변의 모래사장 등 여러 곳에서 분포

• 사람은 O. tsutsugamushi가 감염된 Leptotrombidium진드기가 물었을 때 감염

(59)

• 사람의 접히는 부분으로 이동하여 사타구니, 겨드랑이, 젖가슴밑(여자의 경 우) 등 피부와 피부가 접히는 부분과 허리띠 주위에서 주로 체액을 섭취하 므로 이 부위에 가피(eschar)가 많이 발생함

O. tsutsugamushi에는 혈청학적 반응성이 서로 다른 여러 혈청형이 존재:

국내에는 Boryong형(전국적 분포), Karp형, Gilliam형, Yonchon형(경기, 강 원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분포)이 주로 분포함

O. tsutsugamushi는 전신혈관의 내피세포에 염증을 일으킴

• 피부뿐만 아니라, 모든 장기에 혈관폐쇄, 미세혈전, 미세출혈을 일으키며 2차적으로 전해질 균형을 교란함

• 심한 경우에는 조직파괴, 쇼크, 뇌막염, DIC, 급성 호흡곤란증을 유발하여 환 자가 사망

(60)

• 진드기에 물린 2~3주 후에 갑작스런 발열, 오한, 두통이 나타남

• 기침, 오심, 구토 및 복통이 나타나기도 함

• 진드기가 물은 부위에는 구진성 발적이 나타나며 수포성 발진, 괴사성 검은색 가피로 변화

• 가피가 발생한 부위의 림프절에 림프절 병증이 나타나며,

• 발열 후 5~10일 사이에 몸통부터 반점상 또는 반점구진상 발진이 나타나 전신으로 확대됨

• 환자 중 약 40%는 폐렴증상을 나타내며, 환자의 약 10~20%는 정신 혼미, 발작 등 신경증상을 보임

• 가피와 발진은 쯔쯔가무시병을 진단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나 쯔쯔가무시병 환자임에도 발진 또는 가피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도 많음

• 질병이 심한 경우에는 DIC나 급성호흡곤란증으로 사망

•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의 사망률은 약 30%에 이름

(61)

Treatment :

• tetracycline, chloramphenicol이 효과적, ciprofloxacine도 유용함

• 일찍 질병초기에 치료하면 24시간 이내에 발열 등 임상 증상이 뚜렷이 개선

• 치료기간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병이 재발할 수 있음

Prevention :

• O. tsutsugamushi 56kDa 재조합단백을 사용한 예방 백신이 한국과 미국에 서 개발 중에 있음.

• 국내에서는 10~12월 사이에 쯔쯔가무시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므로

이 기간 동안에는 성묘나 나들이 갈 때 바지에 대님을 매고 손목이 꽉끼는 셔츠를 입는 것이 질병예방에 도움

• 국내에서는 이 질병이 빈발하고 있으므로 의료인들은 쯔쯔가무시병의 증상 적 특징 및 역학적 특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함

• O. tsutsugamushi 에는 여러 혈청형이 있고, 방어면역이 주로 혈청형 특이적이므로 한번 감염된 후에도 다시 감염될 수 있음

(62)

참고문헌 :

1. 제3판 간호미생물학(2014), 기초간호학회 및 대한미생물학회 지음, 엘스비어 코리아

2. 제7판 의학미생물학(2014), 대한미생물학회 지음, 엘스비어 코리아

참조

관련 문서

/ 내 부 바닥 한가운데에 경사지게 배수로를 파서 얼음 에서 녹은 물이 밖으로 흘러 나가도록 했다... / 토의 과정에

ƒ 개발프로젝트 중심의 임의적 단순협력체제에서 내부결속도 높은 제도적 통합 발전.. 경제협력의 구상. 2) 동북아 경제협력의

공사수급자가 신기술 등의 권리자와 기술사용에 관한 협의가 되지 않아 발주청에 변경을

/ 군사력이 약화되었고 전쟁에 대한 대비가 부족했다... / 문서에 조약의

따라서 버림, 반올림하여 백의 자리까지 나타낸 수가 같은 것은 ㉢입니다... 또한, 각각의 대응점에서 대칭의

http://blog.naver.com/op2330

그늘 에 주차된 자동차의 온도와 햇빛이 비치는 곳에 주차된 자동차의 온도가 다르다.. 불과 가까운 쪽에서 불에서 먼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정말 멋져 보였어.. 내가 너처럼 그림 그리기 를 좋아하면 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