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0년 8월 2010

2010 년

8

8 월

석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중첩된 면을 통한 구조적 움직임의 조형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장 원 석

장 장 원 원 석 석

(3)

중첩된 면을 통한 구조적 움직임의 조형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formative symbolism of structural movement in overapped planes

- Focused on one's own art work -

년 월 일 2010년 8월 25일 2010

8

25

일 2010 8 25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장 원 석

장 장 원 원 석 석

(4)

중첩된 면을 통한 구조적 움직임의 조형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

지도교수 김 익 모 지도교수 김 익 모 지도교수 김 익 모

이 논문을 미술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 .

년 월 2010년 4월 2010

4

월 2010 4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미 술 학 과

장 원 석

장 장 원 원 석 석

(5)

장원석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장원석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장원석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위원장 위원장 ( ) ( ) ( ) 인 인 인 위 원

위 위 원 원 ( ) ( ) ( ) 인 인 인 위 원

위 위 원 원 ( ) ( ) ( ) 인 인 인

년 월 2010년 5월 2010

5

월 2010 5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제 장 서 론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절 연구방법 및 내용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 장 본론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 절 구조적 근거로서 중첩된 이미지 1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 중첩된 면과 기계적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사적 근거 ·4

가. 입체파(1908~1914)에서 중첩된 면···4

나. 다다이즘(1916~1922)에서 기계적인 면···10

중첩된 이미지를 활용한 작가 연구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5.12~) ···14

나.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 1908 ~ 1997) ···19

제 절 현대미술에서의 면의 표현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면의 정의와 역할 1.

···

21

현대미술에서 면의 상징성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제 장 본인의 작품 분석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7)

제 절 본인작품에서의 조형적 상징에 관한 분석 1 · · · · · · · ·28 소재를 통한 상징적 표현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가. 선, 원 ···29 나. 질감···32

기계적 이미지의 유기적 상징성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가. 기계적 이미지 ···34 나. 기계이미지의 유기적 상징성···36

판화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질감표현

3. · · · · · · · · · · · · · · · · · · · · · · · · ·39 제 절 구체적 작품분석의 예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작품

1. 1 『 Movement in structure - 07272 』 · · · · · · · · · · · · · · · · ·46 작품

2. 2 『 Movement in structure - 07815 』 · · · · · · · · · · · · · · · · ·48 작품

3. 3 『 Movement in structure - 07550 』 · · · · · · · · · · · · · · · · ·49 작품

4. 4 『 Movement in structure - 07451 』 · · · · · · · · · · · · · · · · ·50 작품

5. 5 『 Movement in structure - 06521 』 · · · · · · · · · · · · · · · · ·52

제 장 결 론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참고도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8)

ABSTRACT

A study on formative symbolism of structural movement in overapped planes

- Focused on one's own art work -

by Jang won-seok

Advisor : Prof. Kim ik-mo Department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re were many cases of art's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through art history and its reflection of human life including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trends of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It also means that art is the mirror of reflecting the reality and has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The greatest innovation in contemporary painting may be considered as the destruc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space and the awareness of necessarily generated flatness.

(9)

In modern times, the goal of artistic behaviors is the encounter between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 and external world surrounding it and it has developed the contemporary art to the diverse aspects.

Today, individualistic trend of contemporary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chanical culture has heightened the sense of alienation among people, inhuman industrialization has resulted into pureness of human being due to uniform and pluralistic pursuit of ideal and resultant confusion of selfish ego and body and mind, and people has been changed into a part within a framework of great structure.

This study considers all space we live in as an aggregate moving within a framework of structure and tries to reorganize life made of the organization of selfish structure living in the reality through the combination and dissolution of reiterated surfaces and repetition with the researcher's figurative language and reinterpret its meaning newly.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ubjective will of formation and the view of the researcher's works and worl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works.

(10)

제 장 서론 1 ( 緖論 )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현대사회는 과학과 기계문명의 발달로 인해 개인주의 성향이 팽배해 졌 다. 이 속에서 인간은 무의미하게 반복되는 무료한 일상에 권태로운 삶을 살고 있음에도 그곳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아이러니한 공간에서 생활하 고 있다. 인간 스스로 고립되는 인간소외가 비인간적 상황과 함께 삭막한 현실 속에서 인공화 되어가고 본래의 모습과 존재가치를 상실해가고 있다 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인의 작업이 시작되었다. 현대 사회는 큰 구조라는 틀 안에서 가공된 하나의 부속품처럼 잘 짜여진 구조에 익숙해져버린 인 간들을 공간적 차원으로, 하나의 면으로 상징화 하였다. 이러한 여러 면 들이 서로 간에 중첩되어 하나의 조형성을 띄게 된다.

본인은 이와 같은 작업의 진행과정에 미친 영향으로 입체주의와 다다이 즘을 들 수 있다.

입체주의 큐비즘 는( ) 2차원적인 평면에 유기적 통합된 3차원적 면이 아 니라 4차원성을 표현하며 대상을 왜곡하고 분해하였으며 사물을 단면으로 분할하여 면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기하학적 형태로 결 정화 됐으며 이러한 단면들이 면과 면들로써 중첩되고 화면에 표현되어졌 다. 이는 현대의 작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 하나의 사조인 다다이즘 미술가들의 공통점은 모더니즘의 전통을 이 어받아 새롭고 도전적인 자세를 취하고, 기존관념에 도전 하고자하는 의 지를 가졌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들의 목적은 기존문화에 대한 철저 한 부정 더 나아가 기존 문화에 대한 파괴에 있다 그리고 합리주의적이, . 고 이상적인 아카데미 미술에 대한 거부로 그들은‘우연의 원리’를 선택 했다.

(11)

그들 중 한스 아르프, 프란시스 피카비아는 화면에서 기계적인 이미지들 의 상징성을 하나의 형태들로 표현하는 구성 또는 무정형적인 구성을 취 하였다. 이러한 상징적인 조형성은 20세기 미술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 다. 이는 본인의 작업성을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본인의 작품이 현실과 소통하게 하는 창이 될 수 있는지 고찰 해보자 한다.

본인의 작품분석을 통해 본인 작품 활동의 세계관을 정리하여 타인과 현실에서 소통이 가능한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제 절 연구방법 및 내용 2

본 논문은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데 본인 작품이 형성 된 이론적 맥락을 제시한 부분과 이를 통해 본인 작품을 분석한 부분이 다.

이론적 맥락을 제시한 부분에서는 첫째로 대상을 왜곡하고 분해하여 사 물을 단면으로 분할하여 면을 확장시켜 면, 둘째로 면들의 중첩으로 인한 기하학적 형태로 결정화한 입체주의의 중첩된 면과 기존관념에 도전하고 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기존문화에 부정과 파괴를 꾀했던 다다이즘의 상 징적 무정형 또는 기계적인 면의 형태의 구성을 통한 작품의 형성 배경을 알아보고 여러 기법을 통한 면의 표현과 구체적 작품을 통한 면의 상징 성, 그리고 현대 작가들에게 나타나는 면의 상징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그리고 본인 작품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작품에서 보이는 조형적 상징 성 선( , 면 원, ), 질감, 기계적 이미지 톱니( , 나사 의 의미와 중첩된 면과) 기계적 이미지에서의 유기적 상징성과 판화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질감 표현에 관하여 정리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2006년부터 2007년 사이에 제작한 작품 5점을 예로들어 설명함으로서 그 이해를 돕고자 하였 다.

본인은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는 오늘의 상황 속에서 본 연구의 작업과 정신에 시사점을 유추하고 회화의 기본적인 조형요소인 면

(12)

의 특성을 연구하여 면으로 표현된 본 연구자의 작업을 분석, 고찰 해보 자 하였다. 그리고 주제의 표현 요소인 면을 기초로 한 본연구자의 작업 을 통해 내면의식의 발현과 감정표출을 이룰 수 있었음을 본 연구의 의의 로 삼았다.

전체적인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개별적인 사항들을 종합하여 본인 작품 의 제작과 분석에 의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여, 지금까지의 작업들이 폭 넓 고 깊이 있는 조형 활동을 위한 출발임을 밝히면서 본 논문의 연구를 마 치고자 하였다.

(13)

제 장 본론 2 ( 本論 )

본인의 작업에 있어 중첩된 면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본론에서는 이러한 면들에 관하여 먼저 정의와 역할에 대해 고찰해보고 본인의 작업 에 영향을 미치게 된 사조로써 입체주의와 다다이즘을 예로 들어 설명한 다. 입체주의에서는 시대적 배경과 기하학적 형태로 결정화 되는데 단면 들이 면과 면들로써 중첩되고 화면에 표현되어지는 경향들을 서술 하였으 며,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기계적 이미지 즉, 다다이즘에서의 기계적 이미지에 관한 시대적 배경 및 활동사항 등을 서술하고 기계적인 이미지, 들의 상징성을 하나로 표현하는 조형성을 통해 본인의 작업성을 알아보는 계기마련과 또한 본인의 작품분석을 통해 본인 작품 활동의 세계관을 정 리하여 타인과 현실에서 소통이 가능한 방법적 탐구와 전체적인 연구과정 에서 나타난 개별적인 사항들을 종합하여 본인 작품의 제작과 분석에 의 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제 절 구조적 근거로서 중첩된 이미지 1

중첩된 면과 기계적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사적 근거 1.

가 입체파. (1908~1914)에서 중첩된 면

본인의 작업에 있어 영향을 받은 사조 중에 입체파를 들 수 있다. 본인 의 작업은 면들에 대한 형태들의 단순화 중첩된 면들과 기하학적인 형태, 그리고 정면뿐만 아닌 측면 두께 의 표현에서 보여주는 형식은 입체파에( ) 서의 표현방식으로 하고 있는 형태들의 단순화, 기하학적 형태, 중첩된 면을 통한 조형성, 색채를 통해 공간관계의 한정 등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본인이 추구하는 점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점에 입체주의가 형성되게 된 시대적 배경 및 추구한 이념 등과 함께 초기입체파와 분석적

(14)

입체파 그리고 종합적입체파에 대해 알아본다.

입체파(Cubism)는 1908년부터 1914년 사이에 프랑스 파리를 기점으로 하여 유럽지역에 파급된 미술혁신 운동으로, 인간형상을 위한 고전적 규 범과 일점원근화법의 공간적 환영주의로 지속된 르네상스 이래 500년간의 미술전통을 파괴하고 시점의 다각화와 분할된 투시법이라는 새로운 공간 인식에 의해 창출된 새로운 미술전통의 한 주류이다.

예술사상 15세기 원근법을 제 의 혁명이이라 한다면 그 이후 제 의 혁1 2 명은 20세기 초 입체주의라 할 정도로 현대의 추상예술을 잉태시킨 입체 파가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하다. 파블로 피카소(Pablo Ruiz Picasso

와 조르주 브라크 를 중심으로 나

1881~1973) (Georges Braque,1882~1963)

타난 입체파의 출현은 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시발점으로 인식되고 있 다.

브라크 와 피카소는 폴 세잔(Paul Cezanne,1839~1906)1)의 영향으로 단 일시점의 원근법에서 벗어나 다시점의 표현방법으로 변화시켜 매우 복합 적이며 혼합된 이미지를 창출해내었다. 세잔느는 모든 자연을 원통, 구, 원뿔로 단순화시켜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기 위해 인위적인 명암을 만들거 나 형태를 왜곡시켜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세잔의 입방체 중심의 회화 는 사물의 형태를 복수의 시점에서 보는 구도상의 연구는 입체파, 추상미 술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대상의 외형에서 잡아낼 수 있는 객관적시 각의 결과와 대상에 대한 작가 자신의 지적 세계를 동시에 표현함으로써 세기 추상미술이 가지고 있는 객관과 주관의 동시성을 선구적으로 보여 20

주었다.2)

세잔의 이론에 영향을 받는 입체파회화는 다시점이 한 화면에 표현된 다. 대상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단면 앞( , 뒤, 옆, 측면 등 을 동시적)

1) 폴 세잔(Paul Cezanne) :프랑스 화가 근대 회화의 아버지 후기인상주의의 대표적 작가, , . 입체주의와 대상의 객관적 진실을 표현하려는 현대미학의 뿌리를 제시 인상주의 이후 젊은 작, 가들에게 새로운 실험의 장을 마련해준 작가 피카소를 중심으로 한 입체파의 전개가 그 대표적. 인 예이다.

2) 피터페일 저 송은경 역, , 세잔느를 찾아서, 서울 문학사상사, 1998,p.34.

(15)

으로 보여주면서 화면 안에서 변화되어 새롭게 재구성 되었다. 이것은 대 상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르네상스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변형되고 동시적 이며, 모순되지 않은 모든 시각적인 개념들을 지적사고를 통하여 설명하 고 있는 것이다.3)

그 결과 입체파는 대상의 본질을 탐구하여 기본개념을 파악하려는 자세 를 가지려 했다. 사물의 양상은 때와 장소마다 변하지만 본질은 그대로이 다. 대상을 다시점으로 보고 기하학적 형태로 해체, 환원시키고 재구성하 는 것이다. 즉, 회화평면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통합된 선과 면의 추상적 인 배열을 통하여 회화의 공간이 완성된다는 의미이다.4) 3차원 개념에 시간이 부가된 4차원의 개념은 입체파를 형성했으며, 이러한 4차원의 표 현을 취한 입체파 회화는 시각적이라기보다는 이지적, 관념적인 사상의 예술이며, 르네상스 이래 조형예술의 근본을 뒤흔든 혁명적인 사상으로 이루어진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 원근법은 한 개의 시점에 의한 공간 해석이었기 때문에 일단 그 려진 작품은 고정된 감상자의 시선으로만 보여졌으나 입체파에서 보여지, 는 선은 정면과 측면을 동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형체는 정면에서 보여지며 전경에 있는 사물은 평면적 위에( 서 내려다보는 으로 보여진다) . 감상자의 시야는 수많은 서로 다른 시점으로 확대되어 보이는데, 마치 감 상자가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위와 아래를 동시적으로 보 여주고 있다. 이것은 그림이 존재할 수 있는 요소로 구성되어지는 평면들 과는 근본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일련의 색의 정면성으로 왜곡 절단, , 변 형 시키게 된 것이다. 즉 알아보기 쉬운 주제들이 화면 안에서 변화되어 재구성되어 있고 또한 색채의 정면성으로 단편화되어 구성되어진다 이것. 은 대상을 관찰하는데 있어서 르네상스적인 시각으로부터 작가자신을 완 전히 해방시킨, 변형되고 동시적이며 모순되지 않은 모든 시각적인 개념 들을 기하학적인 투시법의 주관적인 사고를 수단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는

3) H H.Arnason 저 강화진 역, , 현대미술사, 서울 형설출판사, 1979,p.106.

4) L.벤투리 저 김기수 역, , 미술 비평사, 서울 문예출판사, 1988,p.348.

(16)

것이다.

세기 이후 현대회화의 중요한 현상중의 하나는 물체자체의 본질을 탐 20

구하여 형태의 구성을 추구하는 경향이다.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면에서는 색을 이용한 면으로 이루어진 회화이며 색채가 갖고 있는 절대적인 가치 와 표현적인 직접성에 눈을 돌렸다.

입체파의 조형적 공간에 있어 평면상의 존재는 점이나 선과 면뿐이기 때문에 정해진 평면상의 공간에 균형 잡힌 질서로서 선이나 면을 분할하 였다. 입체파는 시각적 원근법의 단절과 동시표현의 새로운 회화적 공간 을 창조한 것이며, 원근법의 부정은 당연히 화면의 평면화를 가져왔고 대 상의 동시표현은 시간적 계속의 관념을 회화에 불러들였던 것이다. 입체 파들은 물체의 여러 단면을 한 면에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중첩된 면들로 구성되어지며 하나의 조형성을 갖춘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이는 이전의 물체와 같은 시점에서 보는 표현방법은 필요 없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러 각도에서 보는 진실을 하나의 화면에 공존시킴으로서 대상에 대한 진실을 강하게 표현할 수 있고 감상자에게도 대상에 대한 설명을 보다 더 진실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5)

입체파는 시대적으로 초기 입체파와 분석적 입체파 그리고 종합적 입체 파를 나눌 수 있다. 초기입체파 시기(Early Cubism Period, 1907~1909) 는 세잔에게서 영향을 받은 브라크 도판[ 1]와 피카소에 의해 시작된다. 대 상의 자연형태를 요약, 단순화 시켰으며 단일시점에 의한 원근법적 시각, 이 아닌 다시점을 이용해 사물의 본질적인 형태를 한 화면에 표현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는 사실주의에서의 광선. , 명암, 원근, 질감 채색, 법을 무시하고 본질적인 모습을 원, 원통 원추라고 정의하였던 세잔느의, 이론을 심화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들은 기하학적 구체, 삼각추, 원 통형, 입방체등을 응용하여 대상을 마무리 했다. 1907년 피카소의 (아비 뇽의 처녀들 도판)[ 2]을‘입체파의 초기단계를 조사할 때 매우 중요한 사

5) 이재민 저,입체주의의 오브제에 있어 꼴라쥬 기법에 대한 연구,동국대, 석사학위 논문, 1985,p.10.

(17)

전이다 라 말을 했듯이 입체파 회화의 원형이 되며’ , 그 특성을 구체적으 로 볼 수 있다.

분석적 입체파시대(Analytical Cubism, 1910~1912)는 1909년부터 기하 학분석의 엄격한 형식이 적용되어 본격적인 입체파가 시작되었으며, 이 경향은 1910년 이르러 더 한층 본격화되어 과거의 시각적 영상을 아낌없 이 파괴하고 수많은 면과 선이 중첩되어졌다. 1910 ~1912년 년에 이르는 이 시기가 입체파의 제 기로써 이 시기의 작품들은 자연형체를 해체하고 우2 리의 지성에 의해 해체된 면을 자유로이 재조합 시키면서 새로운 미를 발견하도록 하였다. 이른바 과학적, 분석적 입체파라는 것이다.

도판 원탁 브라크

[ 1] , , 1911 [도판 아비뇽의 처녀들 피카소2] , , 1907 분석적 입체파 시대에서는 초기의 밀폐된 형태들을 포기하고 평면구조 에 중심을 두어 형체가 세밀하게 결정화되고 사물은 현저하게 해체되어 작품해독이 어려운 경향을 가지며, 원근법무시, 평면적 표현, 직선의 도 입, 면 분할 형태의 재구성을 실행한 시대가 된다. 입체파는 사물을 단편 으로 분할하여 면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단편들은 중첩되고 공통적으로 중첩된 부분을 양보하지 않으려 할 때 공간적 차원 의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투명성이 부여. 되거나 단편들의 모서리가 서로 유출되어 해체됨으로써 불투명성을 띄기 도 한다 또한 대상을 파악하는데 있어. , 각 부분을 기하학적 형태로 환원 시켜 봄으로써 구조적인 파악이 용이하게 된다는 사실 즉 입방체나 구나,

(18)

원통형 등을 사용하여 3차원적인 감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종합적 입체파시대(Synthetic Cubism,1912~1914)에서 배제 되었던 색채가 부활되어 평면적인 색면 구성과 함께 사실적인 대상 또는 화면에 신문지나 벽지, 악보 등 인쇄물을 붙이는 꼴라쥬(Collage)기법이 쓰인 종합적 입체파 시대가 형성되었다. 즉, 풀로 붙인 벽지나 신문지 같 은 오브제는 3차원의 세계에 속하는 오브제인 동시에 2차원적인 캔버스의 세계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오히려 전통적이며 실험적이 이였다 그리하여 어떠한 형태의 재료이든 손에 잡히는 대로 자유롭게 모든 조형 수단을 총동원하여 세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자율구성의 충동은 재료의. 해방과 동시에 더 이상 대상을 분석적인 방법에 의해 추출하지 않고 오히 려 분해된 대상의 단편으로 새로운 형식적 실체를 종합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입체주의 전개과정이 대상의 해체에서 출발하였다면 시 각적 요소의 첨가로부터 기인되는 종합적 입체주의 시대는 화면질서의 구 축에서 출발하였다고 보여진다. 이것은 입체주의 대가인 브라크의 말대로 일화적 사실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회화적 사실을 구성하고자

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6)

결과적으로 입체주의 미학의 전개는 대상을 철저히 분석한 시기를 분석 된 대상, 즉 기본적인 기하학적 화면구성에 부분적이나 구체적 이미지와 색채를 도입시켜 다시한번 분명한 형태로 부활시킨다는 종합의 시대에 이 르러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이 도입한 실재의 오브제들은 자연을 재현하는 역할이 아닌 회화공간에서 새로운 조형요소로써 재탄생 되었다.

회화에서 실질적인 대상은 추상적 요소인 선, 면, 색채 등일 뿐이며 오브 제들도 그러한 조형요소의 하나로서 회화 공간을 완성시키고 있는 것이 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체주의 조형은 독창적이고 반 자연주의적인 규범을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미술창작의 메커니즘에 대한 한계를 무너

6) 이동근,큐비즘(cubism)회화의 조형성을 응용한 연대의상디자인,계명대, 석사학위 논문, 2004.p.19.

(19)

뜨림으로써 보다 큰 영역을 전제시킨 자율성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 다.

나. 다다이즘(1916~1922)에서 기계적인 면

본인의 작품에서는 중첩된 면을 통한 기계적 이미지가 주를 이룬다 작. 품형성에 큰 영향을 받은 사조로 앞서 거론한 입체주의의 중첩된 면과 기 계적 이미지의 다다이즘을 들 수 있다 다다이즘은 급속도로 발전한 산업. 과 기계기술의 급성장으로 인한 현대문명에 대한 인간의 내면변화와 전쟁 으로 인한 현대문명에 대한 인간의 내면변화가 전쟁으로 인한 인간의 가 치관을 변화시킨 당시 사회적인 분위기에 편승하여 급속히 퍼진 운동이 다 본인 또한 급속히 발전된 현대사회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획일적이. 며 황량하고 고독한 도시에서 은익 되듯 들어서 있는 사람들의 따스한 여 유보다는 쓸쓸한 절박함, 도시안의 차갑고 이기적인 조직체로 이루어진 삶들을 표현하고 있으며 현대를 구조라는 틀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구, 체적인 심리상태 및 인간 본질들을 상징적 기계이미지로 표현하였다 또. 한 다다이즘에서 기계적 이미지를 이용한 작품구성 및 사회비판적인 현실 반대에 대한 작품의 구성방식은 본인의 작업에서 추구하는 이론적 배경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다다이즘의 시대적 배경과 기계적 이미지에 관한. 내용들에 입각한 다다이즘의 기계적 이미지에 관한내용을 서술한다.

다다이즘은 제 차 세계대전 중인1 1915년경 유럽의 독일, 프랑스, 스위 스 등지와 미국에서 일어난 반 예술 운동으로 10년 정도 지속됐다. 산업 혁명 이후 급속히 변화한 물질과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합리적이라고 생 각되었던 문명이 1차 세계대전을 야기하고 지적, 문화적, 사회적 체계를 붕괴 시키게 되었다. 지식인들은 전쟁을 통해 일종의 세계평화나 정의 구 현을 꿈꾸었지만 그들의 기대와는 달리 전쟁은 온 세계를 파괴시킬 뿐이 었고, 급속도로 발전한 산업과 기계기술의 급성장은 그 기계에 의해 무너 지고 종교나 합리적인 사고, 인간적인 가치들은 대량 학살되고 부정되었

(20)

다. 기성의 모든 도덕적, 사회적, 속박으로부터 정신을 해방시키고자 전 쟁을 피해 스위스 취리히에 모여든 젊은 예술가들은 1916년 2월 볼테르에 서 개인의 진정한 근원에 충실한 다다이즘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것이 다다이즘 운동의 시작으로 보여진다.

부정정신 에서 출발한 다다이즘은 기존의 모든 가치를 부정하였고

‘ ’ ,

그 결과 다다이즘 작가들은 스스로 다다이기를 거부하였다. 이들의 부정 정신은 반 예술적, 부르주아적 태도로 나타났다. 즉, 다다이즘의 부정정 신은 부르주아적 예술관 즉 예술이 인간정신의 더할 수 없이 높은 표현이 라는 예술관을 거부하고 예술과 일상생활을 동일한 차원에서 보는 반예술 이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모든 것이 부정된 이상 모든 것을 소유할 수 도 있다는 역설적 논리를 지닌다. 프란시스 피카비아(Francis Picabia, 1879~1953)7)가 주라(le Jura)를 여행했던 1913년에 우리는 훗날 ‘다다 운동으로 지칭될 것의 최초의 조짐을 발견하였다’고 하였다.8)

다다이즘 작가들은 성격, 내력, 인생관의 다양성, 아니 그 불일치가 바 로 긴장을 낳으며, 마침내 균형이 잡힌 막강한 에너지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라는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1888~1976)의 말처럼 그들의 개성과 긴장감, 압축된 사회적 분위기가 취리히에서 다다운동이 일어나기 에 적합한 여건을 만들게 되었다. 이렇듯 다다이즘은 스위스로부터 독일 을 거쳐 대부분의 중부 유럽 국가들로 퍼져나갔으며, 1920년부터1923년 사이에 파리에서 극에 달하게 됐다. 다다이즘 그룹은 경우에 따라 몇몇 나라에서는 다른 전위 운동으로 나타나는데 베를린에서는 구성파(constru

네덜란드에서는 신조형주의 이탈리아에서

ctivism), (Ñéo-plasticisme),

는 미래파(Futurism)로 진행 되었으며, 이러한 예술그룹의 전위운동은 세 계적인 규모의 다다이즘이 탄생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다이즘은 르네상스 이후에 정착된 기존의 통념과 질서를 환골탈태 시

7) 프란시스 피카비아 : 프랑스의 화가 인상주의로 시작하여 입체파 황금분할파 오르피즘. , , ,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까지 모던 아트 전반에 관심을 보였다 미국과 스페인. , 파리 등지에서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8) 한스 리히터 저 김채현 역, ,다다 예술과반예술- , 미진사, 1994,p.39.

(21)

키기 위해서 결정론에 대해 비결정론을, 범주에 대해 탈 범주를, 예술에 대해 반 예술을 내세웠다.

즉 다다이즘은 예술, 예술가 더 나아가서는 일반의 일정 범주 테두리( 속에 가둬버리는 힘찬 도전 예술 신비와 절제된 파괴행위이자 예술과 삶 을 일체화 시키려는 절실한 노력의 형성 이였다. 다다이즘 작가들 중 특 징적이며 본인의 작업에 근접한 작가로 프란시스 피카비아와 한스 아르프 를 들 수 있다.

프란시스 피카비아(Francis Picabia)는 기계 그림을 일찍이 1915년에 처음 나왔는데, 이것은 취리히 다다운동이 실제 창설되고 이름 지어지기 몇 달 전의 일이었다. 그리고 이런 작품이 반 예술적이라 말할 수 있다 면, 그것은 취리히와 베를린 다다이스트들이 자신들의 작품에 채택하고 있던 반 예술적 개념과는 아주 다른 의미에서 비롯 됐다고 할 수 있다.

피카비아의 기계그림은 전통 회화에 대한 일종의 선언으로, 이는 현대 기 계공학 시대를 위한 미학적인 회화 표현을 찾아내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 다. 그가 친구들의 초상화를 마치 기계 설계도처럼 보이게 그렸다는 사실 은 다다이즘 작가들의 전형적인 허무주의적 태도와 일치하는 듯이 보였 다. 이 시기의 그의 작품은 만 레이(Man Ray, 1890~1976)9)와 마르셀 뒤 샹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내부의 알력에도 불구하고 다다운동이 불러일으 킨 국제적인 통합력의 증거이다.

피카비아의 작품 중 크기나 형식과 복합적인 제작 방식 및 색채의 사용 에서 1917년에 제작된 사랑의 퍼레이드‘ ’는 일련의 기계 그림들 가운데 서 중심적인 작품이다.[도판3] 많은 다다이즘 작가들의 작품에서와 마찬 가지로 작품에 피카비아는 작품제목을 그림 속에 써넣었다. 이것은 관람 자와 작품 사이에 일종의 거리감을 조성함으로써 모티프에 정서적으로 접 근하는 것을 일체 막으며, 또한 어떠한 회화적인 움직임도 없이 완전히 객관적이고 기계적이며 몰개성적인 화풍을 선호한 꾸밈없는 제작방식도

9) 만 레이 : 미국의 사진작가 ·화가 다다이즘 운동을 추진했으나. 1924년경부터는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가하였다. 이 때부터 사진에 의한 빛의 조형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레이요그래프

를 창시했다 (rayograph) .

(22)

이와 같은 의도를 충족시켜준다고 했다. 하지만 작품의 제목에는 성적인 암시가 뚜렷하다. 큰 크기의 이 작품에서 프란시스 파카비아는 사랑의‘ 퍼레이드 장치를’ 제한된 공간 안에 설치해놓았다. 좀 더 가까이 들여다 보면, 이 기계는 두 개의 요소로 구 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하나는 회색 이고 다른 하나는 다(多)색인데, 이 둘은 기계적 장치들로 연결되어 있 다 그 두 부분은 사랑의 퍼레이드. ‘ ’ 를 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의요소라고 각각 볼 수 있다. 피카비아의 기계이 미지는 사실상 현대 산업사회에 대한 풍자적인 기록이며 그 안에서의 성

역할에 대한 상징이다

(性) .

한스 아르프(Hans Arp,1887.~1966) 의 작품들은 부조형식을 띄는데, 나 사를 박아 덧붙인 후 채색을 한 나무판 자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여나가는 작 업이다.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이러한 부조형식의 작품들의 요소들이 밋밋 한 뒷벽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대신에 작품의 외부 윤곽선들은 주변 공간에 불규칙적 하게 배합되어 있다.

미술작품으로서 이것은 새로운 경험이었고 중요한 형식적인 통찰 이였 다. 또한 조립과 채색에 대해서도 한스 아르프는 일체 환영을 제거하려했 다. 물질적인 나무판자 구조물은 채색에도 불구하고 그 두드러진 속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채색된 붓 자국과 함께 무심한 장인의 솜씨를 엿보게 한다. 작품들의 표현 형식은 추상이다. 그러나 여전히 유 기적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이런 작업의 배경은 유럽의 전쟁터에서 자행 되는 비인간적인 살인 행위에 대립하는 평화롭고 윤리적인 이미지를 자연 에서 찾았다. 이런 점에서 아르프의 태도는 비록 그가 전쟁에 대한 혐오 감을 표현하는데 전혀 색다른 조형언어를 구했다 할지라도 취리히와 베를

[도판3]사랑의 퍼레이드 피카비아, , 1917

(23)

린의 동료 다다이즘의 작가들과 일치 했다. 이렇듯 다다이즘에서 보여지는 기계적 이미지는 하나의 미술적 사조 로 현대미술의 급진적 움직임에 영향 을 주게 되었다.

중첩된 이미지를 활용한 작가 연구 2.

앞서 본인의 작업에 영향을 미친 두 사조를 고찰 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첩된 이미지를 활용한 작가들 중 기하학적 부조회화(1970~1975)에서의 중첩된 면들과 조형성을 보여주는 프랭크 스텔라와 재료의 투명성을 이용 하여 중첩된 면들을 보여주는 빅토르 바자렐리의 작가연구를 통해 본인이 추구하는 작업의 객관적 근거와 미술사적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가 프랭크 스텔라. (Frank Stella, 1936.5.12~)

프랭크 스텔라는 미술사적으로 추상표현주의가 미술계를 주도하면서 확 립된 스타일로 자리 잡은 후 내부적으로는 점점 안일한 반복이나 모방을 일삼았던 시기인 1950년대 말에 등장하였다. 그런 만큼 이 때는 타락해 가는 추상표현주의를 대체할 무엇인가 새롭고 다른 것이 절실히 요구되던 때이기도 했다.10) 스텔라는 1950년대 검은 줄무늬로 이용한 작품을 통해 움직일 수 없는 당위성을 주장 하였으며, 이러한 스텔라의 작업은 모더니

도판 에낙의 눈물 한스 아르

[ 4] , 프,1917

(24)

스트로서의 출발이 되었다.

년대에 들어 시각적 공간에 대한 탐구가 진행 되면서 많은 화가들 1960

이 평면성을 시각적 공간의 창조를 위한 하나의 조건으로 생각한 것에 비 해 프랭크 스텔라는 1960년대의 그의 전 작품을 통해 평면성에 대한 관 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11) 1960년대를 선도한 스텔라 초기작품들은 제퍼스 존스(Jasper Johns 1930~)의12) 작품에서 힌트 얻은 것으로 객관 성을 지향하는 미니멀아트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미니멀리즘은 1960년 대를 대변할만한 획기적 예술로서 자기표현을 최소한으로 억제했다 서술. 적 내용과 장식성이 제거되고 시각적으로 가장 단순한 간결함 속에 대상 의 함축된 의미로 표현되어 졌다.

본인의 작품에서도 대상의 본질을 단순화하여 기하학적인 면들과 질감, 기계적인 이미지들을 이용한 작품이 형성되며, 본인이 추구하고자한 대상 의 함축적 의미가 작품에 단순화되어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스텔라의 흑색회화(Black painting)는 차원적 그림의 시각적 환영성을 거부하 3

면서 단색(Monochrome)의 색채와 단순한 줄무늬의 방법으로 회화 패턴의 평면성의 확보라는 점에서 1960년대의 그 어느 미 술가의 작품보다 두드러진다. 그중에서도 특히 흑색 회화 는 다른 어느 화가의 작‘ ’ 품보다도 진전된 평면성을 보여주고 있다 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도판.[ 5]

10) 이재영,프랭크스텔라의 회화작품연구, 강원대 교육학석사학위논문, , 2008, p.1 11) 정무성,프랭크스텔라(Frank Stella) 1960년대 작품연구, 미술사연구회, 1992,

p.97

12)제퍼스 존스(Jasper Johns 1930~) : 미국의 화가로 팝아트의 선구적 작품을 발표했다 국가 표. · 적 숫자 등을 사물과 회화 이미지로 융합한 새로운 시야를 개척함으로써 기존 전위예술의 주· 류였던 추상표현주의를 네오 다다이즘으로 발전시켰다

도판 탬파 캔버스에 붉

[ 5]Frank stella, , 은 납, 1963.

(25)

년대 작품은 대단히 구조적이며 형태학적인 표현을 개척해 간다

1970 .

기하학적인 이미지들로서의 단순한 패턴을 사용하고 비대칭과 상관적인 구조를 더욱 발전시켰다. 스케일의 정확성, 물질의 현전성을 구가하며, 이러한 조형어법을 토대로 해서 심도 높은 추상의 세계로의 진입을 시도 하게 된다 그의 이러한 시도가 회화의 순수영역을 이탈하여 조각과 건축. 의 영역으로부터 많은 내용을 도입하게 된다.

이 시기는 단순히 추상에 머물러 있지 않으며 새로운 이동을 시작하여 어느 때보다 더욱 커다란 변모를 보이는 시기라 하겠다 스텔라의 작품에. 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단순화시킨 면의 분할에서 작업이 시작되었다면 본인의 작품은 면과 그 면에서의 선을 이용한 연 장선의 혼합된 이미지로 구성된다. 면에서 파생된 연장선들은 직선과 곡선 그 리고 도형적인 형태들로 기하학적 면 분할에 또 다 다른 기하학적 면들의 연결고리로 작용하게 된다.1996년부터 시작되는

불규칙 다각형 시리즈

‘ Irregular Polygone Series'[도판6][도판7], '각 도기시리즈, Protactor Seroes'[도판 등의 이전의8] 좌우대칭의 형식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모습의 기하학적 형태의 특징을 보여줌으로서 형태

도판

[ 7]Frank stella, conway I, 1966 fluorescent alkaloid & epoxy paint on canvas.

도판

[ 6]Frank stella, Moultonboro Ⅲ 1966, fluorescent alkaloid & epoxy paint on canvas.

도판

[ 8]Frank stella, Harran , 1967, Polymer and fluorescent Polymer paint on canvas.

(26)

자체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켰다. 그 동안 배제되어 왔던 회화와 시각적 환영성의 관계를 불가피한 필연성으로 수용하면서 실제적 공간이 나타난 다. 여기에서의 공간감은 화면의 평면성을 유지하면서 이루어낼 수 있는 3차원의 실 제적 공간이다. 이러한 인식을 한 차원 진 전시켜 전체화면을 구성하는 단위 요소로 서의 형태들을 3차원 공간 속에 여러 각도 로 배치함으로서 부조회화를 이룩하였다 이시기의 스텔라 작품 중 두드러진 양식적 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 작품을 선정하여 특징을 이해하는 도구로 삼는다.

폴란드인 마을 시리즈

' , Polish Village 도판 도판 은 히 Series, 1971~1973'[ 9][ 10]

틀러에 의해 파괴되어버린 17~19세기의 교회당의 명칭을 채택하여 시리지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11가지의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경직된 초기 기독교의 엄숙한 직선이 채택되어 주요한 모티브로 사용되어 오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작품들은 건축적인 기하학적 직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예 비적 드로잉을 행하고 그것을 통해서 재 료들은 자르고 일정한 규칙에 의해 각도 를 부여하여 재조합한다. 일정한 규격이 나 대칭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공간에 드로잉을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건 축물의 골격이나 창문 등의 구조에서 발 췌한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하고 계획된 이 미지를 사용하여 공간의 구조에서 드러나 는 특수한 상황을 연출하고, 평행선, 교 차, 예각과 둔각, 면들의 중첩된 구조에 서 다양한 배합에 의한 배치, 면들의 배치 등이 두드러진다. 처음에는 재료가 얇은 것들이어서 평면적으로 느껴질

도판

[ 9]Frank stella, kozangrodek, 1971 1974 Mixed media on wood

도판

[ 10]Frank stella, Lanckorona, 1971 -1974 Mixed media on canvas

(27)

뿐이었으나 이후 두꺼운 재료들이 채택되면서 개별적인 요소들의 특징을 더욱 강조 하였다. 칠이 된 종이와 캔버스를 다른 캔버스에 부착하였으며 판지류에서 목재를 사용했는데 이러한 꼴라쥬의 재료는 압축판지 섬유판 등을 사용하여 비대칭구성을 이루어 (Pressboard), (fiberboard)

실제적 공간이 형성 되었다.13)

스텔라는 이 시리즈에서 지어진 회화 (Picrure Building)라고 하였고 회‘ 화를 짓고 채색한다는 것은 내게 매우 적합한 일이었다. 고 말한다.14) 이러한 그의 관심은 결국 평면보다는 공간으로 또한 건축적인 방향으로 모아진다고 하겠다.15)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적구조는 본인만의 작업 형태로 우리 가 살아가는 모든 공간을 구조로 인식하여 그 구조 틀 속에서 움직이며, 살아가는 인간들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집합체라 정의 한다. 현대 인들의 감정을 하나의 질감형태로 구성되어지며, 중첩된 면들은 다양한 형식들로 배치된다. 현실에 기반을 두고 도시의 빌딩이나 그 곳에서 살아 가는 현대인들의 일상과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기하학적인 선과 면을 이용한 조형언어로 결합하여 그 의미를 확장한다.

요컨대 196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성격에서 볼 때 기존의 2 차원 평면을 추구하던 추상회화를 벗어난 혁신은 전반적 미술 변화에 중 심을 이루고 있다. 1970년대 중반 스텔라의 작업은 어느 시기보다 커다란 변화의 시기로 회화에 시각적 암시를 통한 공간을 도입한다. 실제적 무게 에도 불구하고 스텔라 작품은 대규모 크기와 파격적 중량감으로 형식주의 모더니즘에서 주장했던 제한적 2차원의 평면성에 전격적으로 도전하고 있 다.

본인의 작품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기하학적 면들의 중첩은 작품 화 되는데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적 면들의 중첩과

13) William Rubin, Frank stella 1970-1987,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1987, p.p.22-36.

14) William Rubin, Frank stella 1970-1987,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1987, p.p.14.

15) 금춘화,「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작품 연구, 모더니즘에서 포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 , 2004, p.p.42~45.

(28)

확장, 해체 등의 내용은 본인의 작업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나 빅토르 바자렐리. (Victor Vasarely, 1908 ~ 1997)

빅토르 바자렐리는 정밀하고 간결한 표현기법으로 새로운 예술경향을 열었다 최최의 시각 예술이라고 한 직조를 위한 스케치. ‘ , 1932’[도판11]

은 네모형태의 그리드 형식인데, 네모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변화를 주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적 율동감과 사각형 사이의 명암 대비로 인해 어둡게 보이 도록 하였다.

바자렐리는 1935년 이래 계속해서 흑과 백으 로 된 시각적 자극물에 나타난 효과에 대해 연구했으며, 생략된 리듬과 기하학적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시각적 모호성과 혼란을 작품의 소재로 삼았다.16) 사실적인 회화와 시 각적 회화를 결합해 대중적인 회화로 발전시 킨 순수한 형과 순수한 색으로 세계를 완전히‘ 표현할 수 있다 고 말하기도 했다’ .17)

년대 후반에 그는 기하학적인 방식들과 1940

색채가 복잡하고 다양한 교환을 염두에 둔 작 품들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런 요소들로 시각 적인 조화와 긴장을 조성하여 투명색과 불투명 색상들이 겹쳐지고 부드럽게 중첩되면서, 공 간에서의 특수한 성격을 드러냈다. 시각적 조 화와 긴장은 본인의 작품에서도 두드러지게 나

타난다 중첩된 면은 확장과 해체 등을 통해. 긴장감이 나타나게 되며, 면들에서의 질감과

16) Nikos & Nikos stongos, Concept of modern art , New Y ork, 1981, p.241.

17) 박기웅,현대 미술이론2 , 서울형설 출판사, 2003, p.188.

도판 빅토르 바자렐리 직조를

[ 11] ,

위한 스케치, 1932

도판 빅토르 바자렐리 [ 12]

투명, 1932

(29)

기계적 이미지는 중첩된 면들과 연결되어 조형성을 이루며 공간적 특수성 을 띄게 된다.

년 작품에서는 투명한 그림 투명 도판 을 그렸는데 원형이

1953 ‘ ’[ 12] ,

계속해서 돌아가는 듯한 착각을 주고 중앙부분에선 이중으로 중첩된 느낌 을 주는 사각모양이 나타난다. 시각적인 착시현상이 일어나도록 하였으 며, 섬세한 시각적인 투명체를 나타내었다. 돌아가는 프로펠러 형태의 선 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이 원근법적으로 공간 깊숙이 들어가며, 평행적 원 근인 공간 시스템으로 지각경험을 표현하고 있다.18)

년대 작업에서는 환상적인 추상을 표현하여 1959

시각적 움직임이 보이는 추상적인 형태를 3차원 적인 회화로 발전시킨 플라스틱을 이용한 작품을 보였으며, 그 후 기본 모티브를 반복하여 사방으 로 증식시켜 나가는 가운데 조금씩 변화시키는 일련의 반복적 작업방식을 사용했다. 바자렐리가 추구하는 작품세계는 오로지 시각적 착시현상에서 의 중첩된 평면에서 공간적 표현을 추구하고 있 다 도판.[ 13]

바자렐리는 조형단위의 재현성에 있어서 독립 된 색채와 형태의 특징을 궁극적으로 구현하고 있 는데 이러한 특징은 당시의 기하학적 추상의 경향을 이어받은 것이다 그. 러나 구성주의자들과 같이 예술을 정치적인 이념의 수단으로 삼지 않았으 며 예술의 순수성과 독자성을 고수 하면서 작품의 조형성을 대중화 시키, 고자 하였다.19) 바자렐리의 미학은 근본적으로 착시에 있으며 가능한 착, 시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다.20)

빅토르 바자렐리의 작품은 재료의 투명성을 이용한 작품들의 중첩된 이

18) 윤종수,Optical Art에 관한 연구,경남대 석사학위논문, , 1990, p.23.

19) 윤난지,바자렐리의 씨네티즘에 제시된 미술과 사회의 통합 에 관한 연구 에 관한 연구 ,1984.

20) 박은정, 회화에 있어서 투명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 2008,p.p12~14.

도판 빅토르 바자렐리

[ 13] ,

Eyudevert, 1929, Mixed technique on canvas.

(30)

미지 활용 및 하나의 조 형성을 가지는 작품으 로 표현되어진다 도판.[ 14] 또한 옵아트의 작품 을 통해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특수한 시각효과 를 노리는 옵티컬 문양의 사용으로 진보적이고 모던한 분위기를 추구했던 1960년 패션에 좋은 모티브로 작용하게 되었다.

제 절 현대미술에서의 면의 표현 2

면의 정의와 역할 1.

본인의 작품에서는 기초적인 면들의 중첩과 결합 해체 등에 의한 면들, 로써 하나의 조형성을 지니는 작품으로 변모하게 된다 각기 다른 면들의. 조합, 면의 형태들 간에 변화를 통한 면들의 중첩을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본인의 작품에서의 면은 기초적인 조형성을 이루는 요소이자 본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기하학적 형태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인의 작업에서 면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으며 그렇기에 면에 대 한 정의와 역할의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점이 이동한 궤적이 선인데 면은 선이 이동한 궤적으로, 면은 색이나 구조의 차이를 갖지 않는 공허한 상태이며, 엄밀하게 평면인 상태로 있을 때 가장 순수하게 된다 직선은 면을 분할하고 평면은 공간을 바꿀 수 있.

도판 빅토르 바자렐리 [ 14]

Nives, 1949~1929 Mixed technique on canvas.

(31)

다. 이것이 본래의 의미에서 면의 형식이다.21) 즉 점이나 선은 면을 형 성하는 요소이며, 선의 이동은 면을 성립하게 하는 요소로써 존재한다. 면은 2차원적 개념으로 어떤 사물의 일반적인 테두리에 의해 정해진 것을 말하며 주로 선에 의해 주위의 공간에서 독립된 존재로 구획되며, 공간을 분할하는데 쓰이는 가장 두드러진 형식이다. 면에 대한 여러 정의들은 선 에 대한 여러 정의들에 대응한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 ~ BC 322)는 선을 한 방향으로 일차원으로 뻗어 있는 것이나 한 방향으로 이어진 것, 또는 한 방향으로 자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면은 두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 또는 두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정의 했다.

유클리드(Euclid, BC 330~BC 275)22) 는 면이 길이와 폭만을 가지고 있 는 것이라고 말을 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는 폭이라는 말을 면의 특징처럼 쓰고 있으며, 면과 똑같은 뜻으로 이 말을 쓰기도 했다. 또한 선이 움직 이면 면을 낳는다는 일반적인 설명을 한 그는 귀납적으로 면이란‘입체의 끝’이고 입체를 잘랐을 때 생기는 단면‘ ’이라고 말하고 있다. 선은 면 과 면이 만나는 지점으로 간주하지만 사실 면 자체이며 색채와 질감은 면 이 가지는 다양한 모습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면은 선과 점에서 느낄 수 없는 원근감을 포함하며, 색채효과에 의해 공간감이나 입체감도 표현한 다.23) 이러한 면은 선에 있어서의 접속의 무한성만큼이나 형태의 무한성 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한계가 상당히 크다.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는 평면은 형식을 받아 들이는 두 개의 가능성을 갖는데 하나는 형식을 둘러싸는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형식 그 자체로서 존재한다고 말을 했다.24) 즉 하나는 경계 지움

21) 김현화, 20C 미술사 추상미술의 창조와 발전- , 한길아트, 1999, p.109.

22) 유클리드 : BC 300년경에 활약한 그리스의 수학자. 그리스기하학, 즉 유클리드기하 학 의 대성자이다 . 그의 저서 기하학원본 은 기하학에 있어서의 경전적 지위 (經 的 地位)를 확보함으로써 유클리드라 하면 기하학과 동의어로 통용되는 정도에 이르고 있다.

23) 박선의 최호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미진사, 1999, p.37.

24) 바실리 칸딘스키 : 현대추상미술의 선구자인 러시아 출신의 프랑스 화가.

(32)

이고 다른 하나는 선의 흐름과 견주어지는 면의 흐름이다. 모든 면의 형 태는 단독으로 그 자체의 생명과 존재의 권리를 가지고 있고, 형태요소 자체의 고유한 개념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했다. 면은 작품의 내용을 담 는 물질적인 평면을 뜻하며, 점의 확대, 선의이동이나 폭의 확대 등에 의 해서 성립된다.

이처럼 2차원의 면의요소 위에서 우리는 더 나아간 조형행위를 덧붙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은 풍부한 표면의 변화와 양감을 가지면서 공간 조형물로서 재탄생 하게 된다.

현대미술에서 면의 상징성 2.

본인의 작품형성에 있어서 앞서 두 사조를 언급하였다. 사조에서도 특 히 작가들의 표현방식들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대표적인 작가로 바실리 칸딘스키와 피에트 몬드리안, 페르낭 레제를 들 수 있으며, 추상적표현 양식과 작품 안에서 면들의 상징적 요소들을 알아본다.

바실리 칸딘스키 (1866~1944)는 1895년 프랑스 인상파 미술전람회에서 끌로드 모네(Claude Monet:1840~1926)의 작품‘건초더미 연작’을 도판[ 보고 추상에 대해 눈뜨기 시작하였다 년 이후부터 그의 풍경화

15] . 1908

는 선과 색채가 추상형태로 보여졌으며 1910년 작품들부터 본격적인 추상 미술이 시작되었고 자연과 상관 없는 점, 선, 면의 형태와 색채 만으로 조화가 구성되어 표현되 어지는, 즉 개성과 완전히 분리 된 추상작품을 연구하였다. 칸 딘스키는 예술연구에 있어서 일 반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예술요소

도판 두 건초더미 모네

[ 15] , ,1891

(33)

인 구성 물질을 알아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기본 요소는 다른 요 소들과 우선적으로 구분되는 점 선, , 면이라고 규정하였다.25)

도판 은 적극적으로 추상표 [ 16]

현주의를 전개해 나간 칸딘스키 는 이 시기에 매우 중요한 작품 들을 많이 제작했다. 불규칙한 선과 형태, 색채가 서로 응집하 기도 하고 교감하며, 내적인 감 흥이 자유롭게 작품에 나타내었 다. [도판17]은 노랑을 주조로 한바탕 위에 빨강과 파랑이 간 결하게 자리 잡은 위에 직선 곡선 원 등이 여러 가지 형태로서 각기 다, , 른 성격을 가지면서 기하학적인 요소가 강한 왼쪽 부분과 오른쪽의 유기 적이고 불규칙한 현장의 연출로 화면은 성격이 다른 형태들로 양분되고 있다 이렇게 대립되고 있는 것들과 총체적인 통합으로써의 노력이 강조. 되고 있다. ‘대립과 모순 이것이 우리들의 하모니인 것이다 이러한 하모’ . 니에 바탕을 둔 색채와 데생의 결합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다만 그때 이들 색채

도판 노랑 빨강 파랑 칸딘스키

[ 17] , , 1925

와 데생은 각각 독립적이면서 내적 필연성에 따라 나타나며 그리하여 그, 곳에 탄생하는 공통의 생명 속에 하나의 전체를 형성한다 즉 회화라고.

25) 바실리 칸딘스키 저 차봉희 역, , 점 선 면․ ․ , 열화당, 1983.

도판 검은 점 칸딘스키

[ 16] ,

(34)

부르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라고 칸딘스키는 말했다.' .

피에트 몬드리안(Pieter Cornelis Mondriaan:1872~1944)은 자연의 외 형을 환기시키는 모든 대상을 제거하고 수직선의 만남이 만드는 사각형의 형태들과 색채의 상호반응을 연구하였으며 다다이즘의 합리적이고 논리적 인 특성인 기하학적 면 분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1919년까지 는 신조형주의 원칙에 입각한 비대칭 리듬을 표현하였으며 1920년부터는 선적 구성이 사각형의 면의 구성으로 전화되는 표현방식을 띠었다.

도판 구성 몬드리안 도판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몬드리안

[ 18] 2, , 1930 [ 19] , .1942

몬드리안의 작품은 신지학(神智學)에 바탕을 둔 철학과 종교적 감정을 내포한 추상적 세계를 추구하였다 우리가 보는 모든 사물의 외양이 다름. 에도 그 본질들은 조화 상태에 있다고 믿고 실제 숨겨진 구도 및 보편적 조화에 도달하기 위해 색채에 있어서 적 청 황의 삼원색과 흑색 백색, , , , 회색 그리고 무채색과 균형 있는 반대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몬드. 리안 회화의 특성은 자아를 초월한 순수한 보편과 객관적 윤리성을 지녔 으면서도 엄격하고 금욕적이며 주지주의적인 기하학적 추상의 세계를 표 현한 것이다 도판[ 18][도판19]

도판 나무 몬드리안

[ 20] ,

(35)

도판 은 몬드리안의 추상화의 과정을 잘 나타낸 예로 자주 쓰이고 [ 20]

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추상화 단계가 높아지며, 얼핏 봐도 맨 우측의 그림과 맨 좌측의 그림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에 있는 그림만 놓고 본다면 저게 나무를 추상화한 것이라고 단숨 에 이해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건 사물의 특징만을 그려놓았기 때문이다. . 그래서 전혀 다른 느낌의 이미지가 만들어진 것이다.

페르낭 레제(Joseph Fernand Henri Leger:1881~1955)는 입체주의 구 성주의 추상적이고 단순화 양식화된 무대장치 그리고 현대 상업화적 포( , ) 스터에 영향을 주었다 피카소와 인상파 마티스 세잔의 영향을 받은 입. , 체파 운동의 핵심적인 인물로 현대 추상화의 길을 연 화가다 그의 입체, . 파적 스타일은 관 모양으로의 특성화나 분열된 형태였다 도판.[ 21][도판22]

도판 페르낭레제 도판 페르낭레제

[ 21] La Noce, ,1911 [ 22]Women in Blue, 1912 차 세계대전 후 레제는 현대적이고 기계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또

1 .

한 사업적인 세상으로부터 많은 상징물을 사용하였다. [도판23][도판 도판 와 같은 그림에서 그는 납작한 형태 강하고 날카로운 윤곽

24][ 24] ,

선과 인간과 기계가 결합된 형태로 표현했다

페르낭 레제는 1930년대부터 곡선을 자주사용하고 동적인 구도를 취,

(36)

도판 페르낭레제 도판 페르낭레 제 [ 23] The Mechanic, ,1920 [ 24] Three Women, ,1921

하여 심리적인 표현을 더 하였다 그는 이처럼 단순함 명암이나 명쾌한. 색채로 대상을 간명하게 나타냈고 기하학적 형태를 좋아했다. 기계적인 동적미를 흡수하여 명쾌 한 구도로 정물, 인물을 그렸다. 이런 레제의 작 품은 네덜란드의 신 조형 주의와 소련의 구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본인도 페르 낭 레제 작품에서 본인의 작업에서 기초작업을 하 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직, 선과 곡선 그리고 중첩된 면들의 기하학적 형태들의 습작들을 통해 본인의 기초적인 작품 드로잉이 나오게 된 동기라 할 수 있다.

도판 페르낭레제

[ 25] The city, ,1919

(37)

제 장 본인의 작품 분석 3

제 절 본인작품에서의 조형적 상징성에 관한 분석 1

소재를 통한 상징적 표현 1.

본인은 시골에 태어나 자연과 함께 살아왔다. 5학년 때 도시로 오게 되 었으며 도시는 본인에게 전혀 낯선 곳 이였다, . 수많은 사람들, 차들, 집 들은 본인에게는 신비스럽고 다른 한편으론 무서움의 대상이자 새로운 존 재들로 인식되었다. 도시생활은 본인으로 하여금 모든 것을 수용하게 하 였고 현재 도시라는 문명 속에서 보내고 있으며, 성장과정에서 도시문명 의 증식 자연에( 反하여 을 보아왔다) . 도시문명에 적응 후 그러한 현상은 너무도 자연스러워 보였고 문명의 발달만이 부지불식간에 순회라고 생각 되었다 그 외의 사고는 차단되어 있었고 인식 조차할 수 없는 요소였다. . 때때로 본인이 태어난 곳에서 자연과 마주할 때에는 본인이 이전에 지 내왔던 문명의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곳은 보다 자연에 귀착되어 있 었으며, 사람들 또한 자연에 순응하며, 언제든지 자신의 의지로 한 발짝 만 뒤로 물러서면 자연을 벗할 수 있는 곳이다. 이렇듯 도시문명에 섞여 살아왔던 본인에게는 자연이 숨 쉬는 공간으로서 어렸을 때의 생각에 의 한 동경의 대상 이였다 즉 사람이 어떤 환경에 귀속되어 있을 때는 자신. 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그 환경에 대한 분석이나 인지는 불필요한 요소인 것이다, .

그러나 어떠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자신의 환경이 바뀌면서 또한 그 장소가 상대적으로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 때 사람들은 이러한 분석적 인식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본인은 다시 계속적인 도시 생활 속에 돌아왔고 사람들의 개인 주의적 성향과 획일적인 삶 속에 섞여 생활하는 동안 도시 또한 더욱더

참조

관련 문서

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바꾸기 위해 어 떻게 행동 수정이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보기를 제시 한다..  가장

만일, 관 련이 있는 경우에는, RASFF를 기동시키기 위해 가맹국의 중앙관청까지 보 고하여야

□ ICT 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개선이 다른 분야에서의 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동효과에 대한 고려가 에너지 및 자원의 수요가 포화상태인 선진국

직선적이고 평면적으로 구성된 한복은 착용함으로써 곡선적이고 입체적인 다양한 선을 이루게 된다.외형에 나타나는 유연한 한복의 선은 무엇보다도 한복의 아름다

I 한 대상에 관해 말하거나 언급하기 위해 우리는 그 대상의 이름이나 그 대상을 지칭하는 어떤 다른 방식의 언어적 표현을 흔히 사용한다.. 대개 사용되는 이름이나

더불어 나노기계의 일종인 드론이 우리생활에 사용됨으 로써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화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부정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해보면서 첨단기술제

: 매뉴얼을 이용한 단순한 연구장비의 숙달이 아니라 그 자체를 연구의 한 단계로서 오실로스코프와 파형발생기를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합과 맥놀이

다양한 종류의 로봇이 우리의 주변에 있다.. 로봇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