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형문화재는 살아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무형문화재는 살아있다."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무형문화재는 살아있다.

2015 년도한양대학교OCW 무형문화재춤분석

발표일 교 수

2015. 03.17

김 윤 지

(bluewave@hanyang.ac.kr)

(2)

1972년, 세계문화자연유산보호제도

1989년, 전통문화와 민속에 대한 보존 장치에 관한 권고안

1993년, 인간문화재

1998년,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

2001년, 한국-종묘제례 중국-곤극

일본-노 인도-쿠티야탐 2003년, 판소리

2005년, 강릉단오제 2009년, 처용무,강강술 래,제주칠머리영등굿,남 사당놀이,영산재

2014년, 농악

한국 무형문화재 보존제도의 소개로 인한 발전 및 확대

세계무형문화유산과 한국

1

(3)

춤의 뿌리는 하나이다.

2015 년도한양대학교OCW 무형문화재춤분석

발표일 교 수

2015. 03.17

김 윤 지

(bluewave@hanyang.ac.kr)

(4)

```

춤의 정의

2

「미(美)」․「무(巫)」․ 「기(妓)」․ 「무(舞)」의 사적 이해

‘미 (美) = ’羊‘+’大‘가 합쳐진 ’양이크면 곧 살쪄 아름다운 것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 제주(祭主)로 찬사(贊詞)하는 사람을 축(祝)이라고 하였다. 춤 을 추며 강신(降神)하게 하는 사람을 무(巫)라고 하였다. 갑골문(甲骨文)에 보면 ‘무 (巫)’자를 썼다. 상승조(商承祚)는 “이것은 신전 안에서 두 손으로 옥을 받들어 신을 섬기는 모양”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무(巫)는 각종 제사에 있어서 당연히 중요한 인 물이었다. 은(殷)에 이르러 여무(女巫)들은 창기들이 갖추어야 할 이른바 재(才), 정 (情), 색(色), 예(藝) 등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무(巫)는 아름답게 화장하고 노래하고 춤을 추어 사람을 감동시켰다. 초나라에서는 무(巫)를 영(靈)이라고 하였다. 초(楚) 나라 무녀(巫女)의 모습을 일컬어 “난향에 몸을 씻고 향수에 머리를 감고, 꽃 같이 아름다운 옷차림은 무녀의 화려함을 말하였다. 흐르는 듯 낮고 느린 가락과 생황과 비파를 뒤따라 노랫소리 높다고 한 것을 보면 가무가 성행했음을 말하고 있다. 승 풍재운(乘風載雲)은 음란의 뜻으로, 영(靈)으로 직업을 삼았음을 말하고 있다. 너 울너울 춤을 추어 신을 형상하고자 하였다. 신을 즐겁게 하는 것은 후세에 희극의 시초가 되었는데, 위와 같은 모습은 당시의 무녀들의 모습들이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곱게 화장을 하고 오방색의 화려한 옷으로 치장하여 춤을 추는 무녀는 조선후 기 무기의 유래 또는 역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미’의 어원적 근원으로서 ‘무녀’巫女는 미를 갖춘 춤을 추는 여자로

‘靈’의 기운을 전하는 인상과 예술적 상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

저자들이 말하는 우리들의 춤

3

김매자 『한국무용사』 장사훈『한국무용개론』 예술원(성경린 외)『한국무용사』 이병옥『한국무용사Ⅰ』

원시대 상고대

부족시대 1. 원시무용 2. 고조선 3. 중조선

4. 부여,예,삼한 등

삼국이전의 고대무속 무용발생의 계기 삼한의 무용

원시,상고시대의 무용 1.원시시대의 무용 2.고조선시대의 무용 3.성읍국가시대 무용

고대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삼국시대의 춤 1.고구려 춤 2.백제의 춤 3.신라의 춤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삼국시대의 무용 1.고구려시대 무용 2.백제시대 무용 3.신라시대 무용 (통일신라시대의 무용)

중세

고려시대 1. 당악무 2.향악무 3.의식무 4.민속무

고려시대의 춤 1.향악정재의 변천 2.당악정재의 변천

고려시대 1.궁중무용 2.민간무용

고려시대의 무용 1.제례의식무용 2.궁중무용 3.민간무용

근세

조선시대 1.정재 2.당악무 3.향악무 4.의식무 5.민속무

조선시대의 춤 1.조선초기 2.조선중기 3.조선후기

조선시대 1.태조-성종 2.연산군-정조 3.순조-고종

조선시대의 무용

<시기별><유형별>

1.전기 1.종교의식무용 2.중기 2.궁중무용 3.후기 3.민간무용 4.교방무용

근대 현대

한국무용의발달과 종류 1.궁중무용

2.민속무용 3.향토무용 4.의식무용

현재전승되는 춤 1.정재

2.일무 3.불교의식춤 4.무당춤 5.민속춤 6.탈춤 7.창작무

현대속의 전통계승 1.궁중무용의 계승 2.민간무용의 계승

요람기(26-45) - 혼미기(45-50)- 교체기(50-61) -성장기(61-71)

근대무용 현대무용

(6)

상고시대

[그림1] 신석기의 조개가면 [그림2] 청동기 시대의 팔두령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4

수렵 · 주술 · 전쟁을 위한 살기위한 생존수단의 움직임

이라면, 농경사회로 진화되는 고조선의 춤은 다소 구체화된 의식 형태로서 거듭난다.

(7)

[그림3] 고구려 벽화 [그림4] 신라의 토우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4

무복(舞服) · 무태(舞態) · 무인(舞人), 춤 공연 요소의 초대(初代) 양상

「향악잡영(鄕樂雜詠)」 - <금환 金丸>·<월전 月顚>·<대면 大面>·

<속독 束毒>·<산예 狻猊>

(8)

그림5<월야선유도> 그림6 <연광정 연회도>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4

그림5- 신광수의 관서악부(關西樂府)의 “영제교 머리에 기생 삼 백명

그림6 - 연광정 /대동강의 물결이 흐르는 천하절경의 누각

(9)

그림7 <탐락순력도> 그림8 <납량만흥>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4

그림7- 제주도 ‘정방폭포의 풍류 ’

그림8 -“무필대무(舞必對舞) 남불수(男拂袖) 여번수 (女翻手)”

춤은 반드시 마주 대하고 추는데, 남자는 소매를 떨치고 여자는 손을 뒤집는다

(10)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고전으로 본 춤의 사적조망

경도잡지‘법고’(琺鼓) = 신윤복 그림1 경도잡지 · 열양세시기 ‘각시놀음=그림3

한양세시기 · 세시잡영‘법고승’= 김준산 그림1

경도잡지‘대무’(對舞)= 신윤복 그림2

(11)

5 결 론

`

시대 내용 및 의미 용어 및 자료

선사시대

▼ 살기위한 본능적 움직임으로부터 시작

▼ 전투, 수렵, 주술을 위한 가·무·악의 총체적 양상

조개가면/팔두령 삼한시대

▼ 제천의식중심의 부여 <영고>, 고구려<동맹>,마한<천

군>, 예<무천> 등

▼ 민속예술 · 민속무용의 태동기

삼국지/위지 /후한서 고구려

▼ 농경생활과 밀착되어 세시마다 대동된 사교적 오락무

▼ 공연예술양상으로의 발전

무용총

백제

▼ 한·중·일의 춤과 음악의 활발한 교류

▼ 가·무·악의 총체적 양상

삼국사기/미마지

신라

▼ 총체적 예술양상의 구체화 및 명명화

▼ 민족예술의 자의식을 인식

토우/향악잡영

고려

▼ 신라의 유풍을 계승

▼ 총체적 예술양상 속에서의 춤 종목명 제시

▼ 국가적 행사의 분화로 인한 민속무용의 발전기반 조성

팔관회/연등회/산 대잡극

조선

▼ 민중문화의 수요 및 예술본연의 창작 욕구가 제고

▼ 세시문화의 활성화

▼ 민속무용의 발전기

중인/향기/재인교 방가요/한양가/동 경잡기/동국세시기

/회소무/어무상심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경영혁신 전략기법들중의 하나로서 Outsourcing(경영자원의 외 부조달)에 대해 도입하거나 도입하려는 기업들의 점증하고 있다... 당시의 계산센터의

전주대학교에서 진행하는 해외 봉사는 분명 봉사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만, 우리 학생들을 성장시키기 위한 교육으로서의 의미가 더 큰지도 모릅니다.. 그런 의미에서

후세에 입법폭주시대였다고 비난받지

성장과 분리 과정에 있기 때문에 감추어 왔던 고통스러운 문제를 부모나 형제자매에게 털어놓기는 극 히 힘듭니다 ..?. 우리 주변에 가해자의 가족이 있다면 ,

이와 같이 동화의 임직원 역시 동화를 가구브랜드 또는 목재브랜드라고 보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생활을 풍요롭고 즐겁게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브랜드’ 라는 정신을

위와 같은 사전 고지에도 프로그램에 미참여시 심사과정 및 결과에서 불이익을

DSA-MAC 프로토콜은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CSMA/CA)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가정을 하고 있다.. 제안하는

 가치는 가정관리의 기초가 되며 가정관리자에게 무엇이 바람직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나타내주는 기초적인 의미를 제공함---명시적인 상태로 밝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