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김수영 - 한국 뮤지컬의 아시아 진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김수영 - 한국 뮤지컬의 아시아 진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뮤지컬의 아시아 진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뮤지컬시장을 중심으로 -

김수영1)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국내 뮤지컬의 해외진출 배경 2. 국내 뮤지컬의 중국 진출 현황 3. 연구의 목적

Ⅲ. 결론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뮤지컬 장르는 공연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주요 콘텐츠 분야로 각광 받고 있으며 국내 뮤지컬 시장 역시 최근 수 년 간 지속적 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발표한 "2015뮤지컬 실태조사"에 의하면 국내 뮤지컬 시장 규모는 2010년 1,618억 원에서 2014년 3,259억 원으로 5 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9.1%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뮤지컬 분야 매출은 전체 공연예술분야 매출의 80%에 육박한다. 이는 뮤지컬이 공연

1)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공연예술센터 전임연구원

논문투고일 : 2015.11.15 심사완료일 : 2015.12.05. 게재확정일 : 2015.12.14

시장의 대표적 문화콘텐츠로서 그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뮤지컬 산업은 높은 성장세와 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공연시장의 성장 을 선도해 나가고 있는데 이런 비약적인 시장의 발전에는 뮤지컬 제작 기법의 향상, 투자 환경의 전문화/다양화, 전문 공연장 확대 등 다양한 요 인이 어우러져 발생한 결과이며 규모의 성장을 이룬 가장 큰 원인으로는 2002년 오페라의 유령을 시작으로 대형 해외 라이선스 작품의 티켓 파워 가 시장의 규모를 키운 것과 더불어 창작 뮤지컬 작품 제작 편수도 꾸준 히 늘어났고 이를 통해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인 성장이 이루어 진 것으 로 볼 수 있다.

뮤지컬 시장은 이렇듯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실제 뮤지컬을 기획 ‧ 제작하고 있는 업계 관계자들이 체감하는 것은 이처럼 긍정적이지 만은 않다.2) 인프라 증가로 시장 규모는 성장했지만 제작비 상승으로 인 한 제작 환경의 악화로 수익률이 나빠지면서 소규모의 단체들은 공연을 제작하기 힘든 상황까지 이르렀다.

현 시장에서 수익을 내는 작품은 주로 해외 대작 라이선스 작품, 몇몇 대형 제작사들이 만드는 블록버스터 작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다수의 영세 제작사들이 비슷한 소재와 한정된 예산으로 만든 소규모 작품들은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내 뮤 지컬 시장은 장기적으로 뮤지컬 관객의 지속적인 관심 확보 및 신규 관 객 유입을 유치하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렇게 국내 관객의 폭에 비해 공급이 과잉되고 있는 공연계의 과다경 쟁, 라이선스 뮤지컬로 편향된 시장, 제작비 상승에 따른 제작여건 악화 등의 고질적인 문제들은 뮤지컬 시장 성장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 속에서 최근 국내 뮤지컬 제작자들은 해외시장으로 눈 을 돌리고 있다. 특히, 아시아권 진출이 늘어나면서 해외시장 개척도 활 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 뮤지컬시장의 새로운 대안이자 구조 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공연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4 상반기 중소기업 건강도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에 의하면 이전반기에 대비해서 경기가 악화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72.4%를 차지하였음. 이는 ‘12년, ’13년에 비해 올 상반기는 매우 저조한 실정임.

(2)

2. 연구의 목적

드라마 및 K-pop 한류의 붐을 타고 국내 창작 뮤지컬이 일본과 중국 을 중심으로 아시아에서 호응을 얻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교류하고 있 다.

특히 중국의 경우 국내 뮤지컬의 진출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한중 FTA협상 타결에 따라 여러 방면으로 진출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거대한 시장과 자본력은 국내 제작사들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 뮤지컬 공연자체의 힘만으로 해외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 아니고 K-pop 및 드라마 한류 스타에 기대어 누리는 인기이기 때 문에 지속가능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뮤지컬 산업이 해외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장 전반의 개념 규정, 환경 분석 등 창작 뮤지컬의 해외진출 활로 모색을 위한 실질 적인 연구나 그와 관련한 정책 수립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간으로 국내 뮤지컬의 해외 진출 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살펴보고,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해외시장에서 지 속적으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국내 뮤지컬의 효과적인 해외 진출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국내 뮤지컬의 해외진출 배경

뮤지컬 시장은 매출규모 및 작품 수에 있어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증 가 추세에 있으나, 그에 비해 수요의 증가는 공급의 증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0년 사이 뮤지컬 작품 수는 50여편에서 400여편으로 8배 가량 증가 한데 반해 시장규모는 1,000억원에서 3,000억원 수준으로 3배 증가하는

수치를 보이고 있어3) 국내 뮤지컬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볼 수 있다.4)

작품 수는 급증했지만 배우는 한정돼 있기 때문에 흥행을 이끌어 줄 만한 뮤지컬 스타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고 그로인해 뮤지컬 제작비는 10년 전에 비해 5배가량 증가했으며 배우와 스태프의 인건비가 제작비의 40%, 많게는 절반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현 시장에서 수익을 내는 작품은 주로 해외 대작 라이센스 작품, 몇몇 대형 제작사들이 만드는 블록버스터 작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다수의 영세 제작사들이 비슷한 소재와 한정된 예산으로 만든 소규모 작품들은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내 뮤 지컬 시장은 장기적으로 뮤지컬 관객의 지속적인 관심 확보 및 신규 관 객 유입을 유치하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국내 뮤지컬의 관객층이 20~3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어 관광 객이 많은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와 달리 한국은 국내 관객으로 좌석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3개월 넘게 공연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문화관광연구 원이 추정한 2010년 기준 국내 뮤지컬 관람객은 530만 명으로 같은 기 간 브로드웨이는 관광객만 710만 명이 넘어섰다.5)

또한 경기의 여파와 세월호사건과 메르스 등 사건 ‧ 사고의 영향을 직 접적으로 받는 공연산업의 특성상 국내 시장만으로는 대형 창작뮤지컬을 제작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국내 내수 시장의 규모는 한정적이며 유료관객의 수도 높지 않고 해외 뮤지컬의 경우 성공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적 수익률은 10~15%를 넘기 어려운 상황이다.6)

3) 2014년 제 3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 행사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한국 뮤지컬의 미래를 말한다” 토론회 중 송승환(PMC프러덕션 예술감독) 발제내용

4) 뮤지컬 업계가 위기에 직면한 것은 지나치게 많은 작품을 만들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동 아일보가 뮤지컬 업계 관계자 20명을 대상으로 뮤지컬 산업의 문제점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2개 씩 복수 응답), 제작자들은 ‘과다한 작품 수’(15명)를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이어 제작비 상승과 배우·스태프 부족, 투자 부족과 관객 부족 순이었다.

5) 김정은, 손효림, “외화내빈 뮤지컬산업. 장기공연 힘든 공연 환경”, 동아일보(온라인), 2014년 7월 23 일. http://news.donga.com/3/all/20140723/65379902/1

6) 박민선, “왜 공연예술한류에 주목 하는가-산업화_케이뮤지컬의 진출, 공연산업의 신호탄“, 예술경영지

(3)

이에 많은 뮤지컬 관계자들은 국내외 뮤지컬 산업의 외향적 성장뿐만 아니라 공연산업계의 창작, 유통, 향유의 선 순환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내수시장 한계를 뮤지컬 시장의 저해요인으로 인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뮤지컬 수요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시 장 개척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K-POP,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류 콘텐츠를 원작으로 하고 한류 스타가 출연하는 뮤지컬의 해외 시장, 특히 아시아 시장 진출 활발해지고 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 중국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 관객의 유입이 증가되고 2011년 <영웅>의 뉴욕 공연을 비롯해 <빨래>, <궁>,

<미녀는 괴로워>, <런투유(스트릿 라이프)>, <광화문연가> 등 일본 및 중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한·중 합작법인 방식 으로 중국에 공연장 설립과 공연 중계가 가능해졌으며 엔터테인먼트 분 야에서도 국내 기업이 중국 내 기업 지분을 49%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되 었다. FTA 체결과 함께 성장 가능성이 커진 대표적인 시장은 뮤지컬이 다. 중국 뮤지컬 시장은 아직 영화와 음악에 비해 규모가 미미하지만 반 대로 성장가능성이 다른 영역보다 큰 분야로 최근 국내 뮤지컬 작품들이 중국에서 높은 관객 동원력을 보여주며 발전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7)

이처럼 국내 뮤지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외진출이 가 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 콘텐츠에 호감도가 높고 국 민들의 소득향상으로 인해 문화소비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원센터(온라인), 2013년 2월 21일

http://webzine.gokams.or.kr/01_issue/01_01_veiw.asp?idx=1057&page=1&c_idx=47&searchString 7) 김형민, “한·중 FTA로 국내 엔터업체 中진출 꿈틀, '中뮤지컬 성장 가능성 커'”, 조선Biz, 2014sus 11

월 14일.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1/14/2014111402507.html

2. 국내 뮤지컬의 중국 진출 현황

중국은 혁․개방 이후 경제 발전으로 소득이 증가하여 문화소비 욕구가 높아지고 콘텐츠 수요가 폭증하여 문화시장이 확대되었으나, 문화산업 육 성 부재, 문화콘텐츠 생산 및 유통 구조의 낙후 등으로 말미암아 자국의 문화 콘텐츠로는 소비자의 욕구를 채워줄 수 없었으므로 외국의 문화상 품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1990년으로 접어들면서 한국 드라마가 중국 전역에 지역방송을 통하여 전파를 탄 것이 한류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많은 드라마와 K-POP, 예능프로그램까지 다양한 국내콘텐츠들이 중국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의 창작 뮤지컬의 중국 진출이 확대되 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중국의 공연시장은 타 콘텐츠 분야에 비해 초기단 계로 전국 범위의 뮤지컬시장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소비수요가 크고 경제가 발달한 베이징, 상하이 위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 내 공연데이터 및 공연시장 동향을 연구하는 중국의 전문연구기 관인 도략연예산업연구중심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중국 뮤지컬 시장 의 공연수입은 2013년 2.34억 위안(약 415억원)을 정점으로 2014년에 는 전년대비 33%하락한 1.87억 위안(약 331억원)으로 추정된다.8)

국내시장에 비해서는 작은 규모이지만 중국 정부의 문화정책 확대로 문화체육분야 예산이 매년 약 15% 이상 증가9)하고 있고 중국의 GDP상 승과 더불어 중화권 시장으로 범위를 넓혀나갈 경우 중국 공연시장 규모 는 2020년에는 4조원 이상의 시장10)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국내기업들도 중국 뮤지컬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시도하고 있 다. CJE&M은 2010년 11월 중국 문화부 산하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중 국 최대 미디어그룹인 상하이동방미디어유한공사와 공동 투자한 합자회 사 아주연창문화발전유한공사(아주연창)를 설립하여 2011년 중국식으로

8)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시아 뮤지컬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4, p42.

9)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시아 뮤지컬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4, p48.

10) 한국콘텐츠진흥원,「중국 콘텐츠산업동향」6호, 2013, p16.

(4)

현지화한 ‘맘마미아’를 약 3개월간 190여회, 관객수 13만명을 동원하였 다. 또한 2013년 국내 창작뮤지컬 ‘김종욱 찾기’를 중국어 버전인 ‘첫사 랑 찾기’로 각색, 상하이에서 5개월동안 160회를 공연하여 국내 창작뮤지 컬로는 최초로 장기공연을 진행하였으며, 국내 스태프와 중국의 연출가가 참여한 ‘공주의 만찬’이라는 한중합작 창작 뮤지컬을 선보이기도 했다.

CJE&M 이외에 중국과 활발할 교류를 하고 있는 곳은 공연 배급 ․ 유 통 전문회사 뮤지컬서비스(대표 김중종)와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DIMF. 이하 딤프)가 있다.

뮤지컬서비스는 한국의 공연제작사 스펠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한 ‘광화문 연가2’, 창작뮤지컬 ‘쌍화별곡’, 정동극장 한국 전통 뮤지컬 ‘미소-배비장 전’의 중국 진출을 진행하였으며 딤프는 중국 동관시와 ‘상호문화교루와 뮤지컬공연산업의 발전을 위한 협약’을 맺고 중국의 송레이 그룹의 ‘나 비’, ‘사랑해 테레사’ 작품에 지원을 하였고, 국내 뮤지컬 ‘투란도트’를 중 국 동관뮤지컬페스티벌의 폐막작으로 선보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국내의 뮤지컬이 중국에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최초로 중 국에 진출한 작품으로는 2001년 8월 한국, 중국, 일본의 3개 단체가 공 동으로 제작한 ‘바다를 넘는 정령(숲으로 간 도깨비)’로 추정되고 있다.

그 이후 2001년 극단 학전의 ‘지하철 1호선’과 2003년 서울예술단의 ‘로 미오와 줄리엣’ 등의 작품이 투어공연을 진행하였으며 라이선스 공연은 2013년 아주연창의 ‘첫사랑 찾기’를 시작으로 2014년 ‘총각네 야채가게’

를 중국식으로 현지화한 ‘토마토 쉽지 않아’, ‘오리지널 어린이 캣츠’가 있 다.

이와 같이 초청, 합작, 라이선스 판매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2014년 12월 기준 총 14개의 작품이 진출하였으며 작품별 진출방식은 아래의 표 와 같다.

작품명 제작사 연도 진출방식 중국 제작사

1 바다를 넘는 정령

(숲으로 간 도깨비) 나이테 2001 합작 어린이예술극장

2 지하철 1호선 극단 학전 2001 초청 중국대외연출공사

3 로미오와 줄리엣 서울예술단

2003 초청 베이징 세기극원 2004 합작 상하이 예해극원

4 하늘의 열쇠 공연기획열 2007 합작 중국복리회 아동예술극장

5 공길전 서울예술단

2007 초청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2008 초청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6 브레멘음악대 유열컴퍼니 2011 초청 상하이 국제아동희극 페스티벌

7 투란도트 ( 사 ) 대 구 국 제 뮤 지컬페스티벌

2012 초청 중국동관뮤지컬페스티벌 2014 초청 중국상하이국제아트페스티벌

8 미용명가 극단 뉴컴퍼니

2012 합작 중국강소공연그룹연극단 2013 초청 상하이당대국제연극제

9 로스트 가든 카프리즘 2013 자체제작 없음

10 쌍화별곡 판엔터테인먼트 2013 합작 보리극원, 중국불교협회

2014 합작 보리극원, 중국불교협회 11 광화문연가2 스펠엔터테인먼트 2013 초청 항주극원, 국제연출극원연맹

12 첫사랑 찾기

(김종욱 찾기) CS 2013 라이선스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2014 라이선스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13 토마토 쉽지 않아

(총각네 야채가게) 라이브 2014 라이선스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14 오리지널 어린이 캣츠 극단 뮤다드 2014 라이선스 쥬청왕샤오청보아동예술극단

<표 2-1> 작품별 진출 방식11)

중국과의 교류는 2001년부터 시작이지만 최근 5년 사이 작품 편수가 증가하였고, 진출 방식도 기존 초청방식에서 합작, 자체제작, 라이선스방 식으로 확대되고 있다.

11)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시아 뮤지컬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4, p143.

(5)

작품 진출 이외에도 국내의 크리에이티브 및 기술 스태프 등의 인력 진출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 JinDian Factory의 작품 ‘상하이탄’에 예술고문(故김효경), 제작감 독, 조명디자이너, 음향디자이너 등 한국 스태프 등이 참여하였다.

중국은 현재 뮤지컬 초기단계로 자체적으로 제작 할 수 있는 환경적, 기술적 상황이 좋지않으며 공연에 대한 노하우와 크리에이터가 많지 않 아 국내의 공연제작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강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중 화권에서 우리 뮤지컬의 확산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3. 중국 뮤지컬시장 진출방안 제언

중국은 정치ㆍ경제적 측면에서의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문화, 가 치, 정책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여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문화시장의 활성화로 국민들의 정신적 측면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으며 동시에 자국문화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규제정책도 함께 하고 있다.

이에 우리의 뮤지컬이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제언 해보고자 한다.

1) 공동작업을 통한 현지화

국내 뮤지컬작품이 중국에 진출할 초기에는 문화교류의 일환으로 초청 방식이 많았으나 최근 중국의 문화소비가 확대되면서 그들의 문화와 정 서가 반영된 작품을 원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자체제작 방식의 경우 현지의 제도와 문화, 정서 등에 대한 이해부족으 로 관객들의 공감을 얻기 어려우며 제작과정 및 홍보․마케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뮤지컬 관객의 확보를 위해서는 문화적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현지 기업과 협업의 형태가 효과적인데 라이선스 계약이나

공동제작과 같은 공연이 이상적인 방안일 것이다.

라이선스의 경우 중국시장에 익숙한 스토리로 구성하거나 원작의 내용 이나 캐릭터를 수정하여 현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지 제작사와의 전략적 제휴(공동제작)를 통한 현지화는 서로 다른 문화적차이로 인한 정서적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뮤지컬 시장 의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효과적인 중국 진출을 위해서는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현 지화를 위한 합리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중국의 정서나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허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뮤지컬 전문 인적교류의 확대

중국의 뮤지컬시장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5년이 미만으로 크리에이 티브 인력이나 배우, 기술스태프 등의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양성기관도 많지 않아 국내의 우수한 인력들이 중국의 공연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것도 한국뮤지컬의 또 다른 중국진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내 뮤지컬관련 인력 진출 및 인적 교류의 확산은 한 ․ 중 양국 간의 창작 뮤지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발점이 될 수 있다.

3) 진출 확대를 위한 정부의 방안 강화

중국문화산업은 아직 국가정부, 지방정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민간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는 않은 상황으로 민간이 주도하고 있 는 국내의 시장 상황과는 큰 차이가 있다.

CJ와 같은 대기업들은 정부주도하의 중국의 문화시장과 부딪힐 수 있 는 역량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국내의 공연시장을 이끌어가는 공 연전문기업들은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중국에 진출하기는 쉽지 않다.

(6)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예술위원회 등 국가의 문화산업관련 부서들에서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국정부와 업무를 협조할 수 있는 시 스템을 만드는 것이 실제적인 공연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한류의 붐을 이끌었던 성장 동력은 소비자 및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어 인기에 의한 성공이라고 하면 앞으로는 보다 광범위하게 국 내의 지역이 아닌 글로벌화 된 시각으로 우수한 작품 개발과 육성에 역 점에 두어 이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Ⅲ. 결론

뮤지컬 산업은 고위험 고수익 군에 속하는 콘텐츠 산업이다. 국내 시장 규모가 불과 수년 만에 연 3천억원 이상의 규모로 성장하였고, 수천편의 작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관객층이 두텁지 않은 국내 시장에서 수익 을 내는 작품, 그리고 수익이 나더라도 장기간 지속되는 작품이 나오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뮤지컬 산업의 외향적 성장뿐만 아니라 공연산업계의 창 작, 유통, 향유의 선 순환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는 국내 시장은 물론이고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한 해외진 출 전략 및 방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k-pop, 드라마 등 인접 장르의 한류로 활성화 된 해외 진출은 한류스 타 캐스팅에 의존한 진출이 크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진출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 알 수 없으므로 지속될 수 있는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 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뮤지컬의 해외진출 배경과 중국 진출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공연시장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언해 보았다.

첫째, 중국의 제도와 문화, 정서 등에 대한 이해로 문화적 이질감을 줄 일 수 있는 라이선스 계약이나 공동제작 형태의 공연이 활성화 되어야한

다. 둘째, 국내의 우수한 인력들이 중국의 공연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인적교류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차원으로 해외시장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국정부와 업무를 협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우리 뮤지컬이 국제적인 콘텐츠로서 그 위상을 확대시켜 나갈 수 있는 또 다른 발판이 되어 줄 것이다.

향후 국내 뮤지컬 제작사들의 중국 진출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 다. 브로드웨이의 뮤지컬과 같이 뮤지컬의 해외시장 진출은 향후 국가 브 랜드 향상은 물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해내는 고부가가치 상품임을 감안 할 때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제도적인 장치와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글로벌하게 통용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의 보유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중국의 거대한 시장과 자본력이 국내 뮤지컬만이 가지고 있는 창의력 과 다양성, 제작 역량과 시스템이 더해진 뮤지컬은 아시아의 대표 콘텐츠 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의 성공적인 중국진출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 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했던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향후에도 중국, 더 나아가 아시아 시장으로의 뮤지컬 진출 연구는 체계 적인 정량적 조사 연구와 더불어 더욱 다양하고 다각적인 관점으로 전문 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고 산업정보 공유 등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결과는 한중 양국의 문화산업 발전을 위 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7)

■ 참고문헌

<보고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시아 뮤지컬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4 한국콘텐츠진흥원,「중국 콘텐츠산업동향」6호, 2013

<기사>

박민선, “왜 공연예술한류에 주목 하는가-산업화_케이뮤지컬의 진출, 공연산업 의 신호탄“, 예술경영지원센터(온라인), 2013.02.21

김정은, 손효림, “외화내빈 뮤지컬산업. 장기공연 힘든 공연 환경”, 동아일보(온 라인), 2014.07.23

김형민, “한·중 FTA로 국내 엔터업체 中진출 꿈틀, '中뮤지컬 성장 가능성 커 '”, 조선Biz, 2014.11.14

■ 국문초록

한국 뮤지컬의 아시아 진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뮤지컬시장을 중심으로 -

김수영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의 해외진출 배경과 중국 진출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공연시장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 였다.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첫째, 중국의 제도와 문화, 정서 등에 대한 이해로 문화적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라이선스 계약이나 공동제작 형태 의 공연이 활성화 되어야한다. 둘째, 국내의 우수한 인력들의 인적교류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차원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고 중국정부와 업무를 협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다.

향후 국내 뮤지컬 제작사들의 중국 진출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 다. 뮤지컬의 해외시장 진출은 국가 브랜드 향상은 물론 향후 경제적 이 익을 창출해내는 고부가가치 상품임을 감안할 때 글로벌하게 통용될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의 보유가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뮤지컬 업계의 발전 방안으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뮤지컬, 창작뮤지컬, 해외진출, 중국뮤지컬산업, 문화교류

(8)

■ Abstract

A Study on the expansion of Korea Musicals into Asia Market

- Focus on China Musical Market

Kim, Soo-You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Overseas Expansion in Korea Musical Industry and entry situation of Korea musical in China, and suggest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Musical Industry in China musical market.

For successful entry into China musical market, first, to understand with cultural differences about the social institution, culture, emotion in China, the type of license contract and co-production which can reduce cultural differences is recommended. Second, human resource network based on exchange and collaboration should be built with both country.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oversea market and build the system which can collaborated with China government.

Korea musical production for entering China musical market will be rapidly increased in the future. Musical industry can improve national brand, create high value‐added cultural industries, above all, the high quality contents that can be used globally should be possessed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earch result would provide musical market a new way of development in future.

Key words : Musical, Korea musical, Expansion of korea musicals, China Musical Industry, Cultural Exchange

참조

관련 문서

Especially the program musical style he employed in poetic and musical expressions, along with his uniquely orchestrated music can be referred to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listening, reading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who enrolled in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answers of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e 'Meeting First, Key-issue Agreement Later&#34; approach of the US and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revision,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Also a great play is expected to accord with the intention of composer by the research of musical language in violin Sonata Op.12, No.2. 저작물의 DB구축

purpose of introducing the representative lawsuits in such a tre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cases and judicial issues in

Musical essence of typical trot is the Japanese pentatonic minor scale that exclude the fourth and seven notes, but major trot is done in pentatonic major scale.. Such

Tha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ilitary strategy in North Korea on Jeong Eun Kim era from Military Science point of view by analyzing th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