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박 수 희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지도교수 송 주 은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학원

간 호 학 과

박 수 희

(4)

박수희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송 주 은 (인)

심 사 위 원 배 선 형 (인)

심 사 위 원 이 영 진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21년 07월 09일

(5)

감사의 글

졸업을 앞둔 시점에서 돌아본 2년 6개월은 힘들고 지치기도 했지만 많이 배우고 성장할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지난 시간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학업을 마치고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그분들의 도움과 격려가 있어 가능하였기에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글을 전하고자 합니 다.

부족한 저에게 아낌없는 가르침과 용기를 북돋아 주시며 이끌어주신 송주 은 교수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세심한 지도와 조 언을 해주신 배선형 교수님과 이영진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 니다. 더불어 학위과정동안 많은 가르침을 주신 유문숙 교수님, 송미숙 교수님, 현명선 교수님, 김춘자 교수님, 박진희 교수님, 유미애 교수님, 부선주 교수님, 안정아 교수님, 서은지 교수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대학원 진학을 고민했을 때, 저에게 용기와 기회를 주신 김혜정 파트장님 께 감사드립니다. 간호사로서 업무와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시고 응원해주신 홍혜전 파트장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함께 공부하고 의지 하며 서로에게 큰 힘이 되어준 최은희, 김미혜, 김연진, 이지연 선생님 고맙습 니다. 그리고 항상 곁에서 존재만으로도 힘이 되어주는 수현이와 현지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누구보다 대학원 진학을 기뻐해주고 항상 나의 선택을 응원해주는 아빠, 엄마, 자주 투닥거려도 사랑하는 원표, 영원한 우리 집의 막 둥이 준희에게도 깊은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일일이 언급하지 못했지만 논문을 완성하며 여기까지 올 수 있도록 도움 과 응원을 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21년 6월 연구자 박수희 올림

(6)

-국문요약-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 수 희

(지도교수 : 송 주 은)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애 착과 간호지지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9월 21일부터 2021년 2월 10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 147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스트레스는 Miles 등(1993)이 개발하고 Miles 등(2007)에 의해 수정, 보완된 도구를 김태임(2000)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애착은 Müller (1994)가 개발한 도구를 한 규은(2001)이 번안 및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간호지지는 Miles 등 (1999)이 개발하고 한수연(201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평균 84.14±13.73점(평점평균 3.23±0.53)으

(7)

로, 하위영역은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평균평점 3.52±0.63) 점수 가 가장 높았으며, 애착은 평균 90.97±7.56점(평균평점 3.48±0.48)이었다. 간 호지지는 평균 81.74±10.80점(평균평점 3.90±0.60)이고, 하위영역은 도구적 지 지(평균평점 3.97±0.66)가 가장 점수가 높았다.

2.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차이 를 분석한 결과, 재태 주수, 수유 방법, 인큐베이터 적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애착과 간호지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와 간호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 스트레스, 간호지지가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이 모형은 설명력은 29.2%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 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 아 수술력, 스트레스, 간호지지는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형성을 증진 시키기 위하여 지지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핵심어 : 애착, 스트레스, 간호지지, 고위험신생아 부모

(8)

차례

국문요약 ···ⅰ 차례 ···ⅲ 표 차례 ···ⅴ 부록 차례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문헌고찰 ··· 7

A.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 7

B.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 ··· 9

C.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 10

Ⅲ. 연구방법 ··· 13

A. 연구설계 ··· 13

B. 연구대상 ··· 13

C. 연구도구 ··· 15

D. 자료수집방법 ··· 16

E. 윤리적 고려 ··· 17

F. 자료분석방법 ··· 17

Ⅳ. 연구결과 ··· 19

(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9

B.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 23

C.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 25

D.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 27

E.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관계 ··· 29

F.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 31

Ⅴ. 논의 ··· 33

Ⅵ. 결론 및 제언 ··· 39

A. 결론 ··· 39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50

ABSTRACT ··· 68

(10)

표 차례

<표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 ··· 20

<표 2>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 ··· 22

<표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 24

<표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 26

<표 5>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 28

<표 6>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관계 ··· 30

<표 7>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 32

(11)

부록 차례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 50

<부록 2> 연구대상자 동의서 ··· 55

<부록 3> 설문지 ··· 56

<부록 4> IRB 심의결과 통지서 ··· 66

<부록 5> 스트레스, 간호지지 도구승인서 ··· 67

(12)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국내 합계 출산율은 2017년 1.05명,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으로 지속해서 감속하는 추세인 반면, 전체 신생아 중 37주미만으로 태어 난 미숙아의 비율은 2017년 7.58%, 2018년 7.72%, 2019년 8.05%로 점차 증가하 고 있는 추세이며, 2.5kg미만으로 태어난 저체중출생아는 2017년 6.16%, 2018년 6.19%, 2019년 6.58%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통계청, 2020). 고위험신생아는 출생 체중이나 재태 주수와 상관없이 출산과정 및 자궁 외 생활적응에서 야기 되는 상태나 환경으로 인해 질병의 이환이나 사망 위험이 높은 신생아를 의미 하며(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김은경, 김태임, 2011), 고위험신생아는 고도의 의 학적 기술과 간호를 필요로 하여 출생 후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이 불가피하 다.

고위험신생아의 출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은 부모에게 정신사회적 스 트레스와 출산 전후 애착 관계 붕괴를 초래하는 외상성 사건이다(Gribble, 2016; Twohig et al., 2016). 뿐만 아니라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부모-신생아 애 착 관계 발달을 위한 초기 민감 시기와 이행기를 신생아집중치료실이라는 특수 한 환경 속에서 아기와 신체적, 정서적으로 분리되어 부모애착 발달 위기를 경 험하는 애착발달 고위험군이다(Treherne, Feeley, Charbonneau, & Axelin, 2017). 특별히 애착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최초의 사회적 관계이며 (Bowlby, 1977), 부모와의 안정적인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된 애착은 신생 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Ainsworth, 1989). 통합적 애착이론 (Schenk, Kelley, & Schenk, 2005)에 따르면 애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 는 3가지 요소로 근접성(Proximity), 상호호혜(Reciprocity), 몰입(Commitment)

(13)

을 강조하였다. 부모는 신체적, 정서적 접촉을 통해 아기를 독립적 요구가 있는 개인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접촉을 통해 서로 반응하며 상호작용을 시작한다.

이는 선천적으로 획득되는 능력이 아닌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반복되는 학습을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모-신생아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형성된 애착은 부모의 역할변화 적응을 돕고, 신생아의 긍정적인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애착 형성의 민감기인 출산 직후부터 부모-신생아 간의 접촉과 상호작용은 부모자녀 애착 형성의 매우 중요한 환경적 요소가 된 다.

그러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는 제한된 면회시간으로 인해 부모와 접촉이 제한되며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환경, 아기의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 건강한 아기를 출산할 것이라고 기대했던 부모 역할의 상실 등으로 인해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는 건강한 신생아의 부모보다 더 높은 분노, 죄책감, 슬픔, 우울, 무기력감 등을 느낀다(Hynan, Mounts, & Vanderbilt, 2013; Ionio et al., 2016). 따라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와 부모가 건강 한 가족 단위 안에서 높은 삶의 질을 바탕으로 최적의 성장 발달, 전인적 건강 이 이루어지도록 돕기 위해서는 애착 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며 (Ghadery-Sefat, Abdeyazdan, Badiee, & Zargham-Boroujeni, 2016; Gribble, 2016),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애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서 설명된다.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는 질병과 치료과정에서 보여지는 신생아의 모습, 아기의 질병 및 예후에 대한 불안 등으로 인해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부모가 아기를 돌보는 양육 활동을 간호사가 수행하게 되어 정상적 인 가족 활동 및 부모 역할을 방해받게 되며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의료비 부 담, 정서적 지지 부족 등으로 인해 부모의 스트레스는 가중된다(최은아, 이영은, 2018; Al Maghaireh, Abdullah, Chan, Piaw, & Al Kawafha, 2016). 이러한 스 트레스는 부모와 신생아 사이의 상호작용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애 착 관계를 형성하는데 장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

(14)

형성 저해 등 가족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정애, 박인숙, 문영숙, 이 남형, 2007; 황현숙, 김희순, 유일영, 신현숙, 2013). 따라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다양한 환경적, 상황적, 개인적 스트레스를 적응 및 대처하여 부모-신생아 간 애착 형성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적지지 중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간호지지는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산후 우울을 감소시키고(김은숙 등, 2009), 양육효능감 증가와 불안, 우 울,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신영희, 임정희, 김가은, 2018) 정서적 적 응을 통해 부모-신생아 간의 애착관계 형성과 가족 적응을 돕는다(Arockiasamy, Holsti, & Albersheim, 2008).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간호사를 가장 도움이 되고 신뢰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이창희, 장미희, 최용성, 신현숙, 2019; 한 수연, 채선미, 2016), 간호사는 신생아와 가장 많은 접촉이 이루어지는 일차적 돌봄 제공자로서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부모가 신 생아집중치료실 환경 및 부모역할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효과적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Turner, Chur-Hansen, Winefield, & Stanners, 2015).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관련 연구의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면 신생아집 중치료실의 입원으로 인한 부모의 불안, 우울, 스트레스, 부모 역할 상실 등의 부정적 정서와 애착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김아림, 탁 영란, 2015; Bonacquisti, Geller, & Patterson, 2020). 이를 바탕으로 간호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주로 캥거루 케어(김은숙, 조용애, 2017;

박보라, 2020; 임정희, 김가은, 신영희, 2016), 모유수유(강지현, 손현미, 변신연, 한규민, 2021; Linde, Lehnig, Nagl, & Kersting, 2020), 교육프로그램(김은숙, 이영희, 이은정, 이정윤, 2019; 최효진, 신영희, 2013)에 관한 연구들로서, 고위험 신생아 부모가 경험한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에 대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 상으로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 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15)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 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을 파악한다.

2. 고위험신생아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을 파악한다.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한다.

C. 용어의 정의

1. 고위험신생아

1) 이론적 정의 : 고위험신생아는 출생 체중이나 재태 주수에 상관없이 출산 과정 및 자궁 외 생활 적응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호흡기 질환, 주산 기 가사, 황달, 감염 등과 같이 질병 이환이나 사망 위험이 높은 신생아를 말한다(김미예 등, 2011).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체중출생아, 미숙아와 출생 체중이나 재태 주수에 상관없이 호흡기 질환, 황달, 감염 등으로 수원시 소재의 A대학교 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치료를 받은 신생아를 의 미한다.

(16)

2. 스트레스

1) 이론적 정의 : 인간과 환경 간의 특수한 관계로서 환경적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이 충분하지 못할 때 발생되는 개인의 안녕을 위협하는 정신 현상으로서 개인에 의해 평가되는 것을 의미한다(Folkman & Lazarus, 1984).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 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며, Miles, Funk와 Carlson (1993)이 개 발한 도구를 Miles, Holditch-Davis, Schwartz와 Scher (2007)가 수정, 보완하고 김태임(2000)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항을 사용하여 구성한 신생 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 스트레스 측정 도구(Parental Stress Sca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SS: NICU)로 측정한 점수 를 의미한다.

3. 애착

1) 이론적 정의 : 애착이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최초의 사회적 관계로서, 민감한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되는 애정적 유대를 말한다 (Bowlby, 1977).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Müller (1994)가 개발한 모아애착 조사표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를 한규은(2001)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 간호지지

(17)

1) 이론적 정의 : 간호지지란 간호실무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자녀의 입원기 간 동안 간호사가 부모에게 제공하는 전문적인 지지를 의미하며, 정보적 지지, 정서적지지, 평가적 지지, 도구적 지지로 구분한다(Miles, Carlson,

& Brunssen, 1999).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Miles 등(1999)에 의해 개발된 간호사 부모 지지 도구인 Nurse-Parent Support Tool (NPST)를 한수연(2012)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18)

Ⅱ. 문헌고찰

A.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애착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최초의 사회적 관계로(Bowlby, 1977), 모아애착은 인간들 간에 존재하는 가장 친밀하고 의미 있는 관계이다 (Klaus & Kennell, 1976). 모아관계는 분만 후 시간에 따라 모아의 지속적인 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전되며 영아기 초기에 형성된 애착은 유아의 성장 발달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사회·정서적 발달과 인지발달을 예 측하는 주요한 개념이 되며 성인기까지 계속되는 성향을 지닌다(Ainsworth, 1989).

Schaffer와 Emerson (1964)은 모아애착이 형성되는 상호성의 역동과정을 통해 다수 애착이 가능하며, 모아애착 뿐만 아니라 아버지와 아기 사이의 부아 애착 형성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아버지와 아기 사이의 애착은 어머니와 아기 사이의 관계만큼 강할 수 있으며, 부아애착의 형성은 모성애착 시기와 거의 같 은 시기에 이루어진다(Greenberg & Morris, 1974). 부아애착은 아기의 출생으 로 생길 수 있는 가족의 역할변화에 있어 위기감을 감소시켜 가족 적응을 도우 며, 아동의 성역할 발달, 도덕적 발달, 인지발달, 사회적 성장과 발달,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Bowen & Miller, 1980).

Schenk 등(2005)의 통합적 애착이론은 부모와 아기의 애착 과정을 근접 성(Proximity), 상호호혜(Reciprocity), 몰입(Commitment)의 순환으로 설명하였 다. 근접성은 부모와 아기가 가까이 있음으로써 느끼는 신체적, 정서적 경험을 의미하며 접촉, 감정 상태, 개인적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접성은 아기를 보고, 만지고 안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자신이 부모라는 것을 느 끼며 애착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상호호혜는 부모가 아기의 행동에 세심

(19)

하고 적절하게 반응하고 아기는 이에 대한 부모의 행동을 통해 서로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애착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몰입은 애착 관계의 지속성을 말하 며, 부모와 가족의 삶에 아기가 중심이 되어 그 안에서 부모로서 자신의 역할 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근접성, 상호호혜, 몰 입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이를 통해 애착이 강화되고 애착은 부모로서의 능 력을 강화시키며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키고 부모-아기 간의 지속적인 유대관계를 유지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나 고위험신생아와 부모는 아기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으로 인해 부모-신생아 간 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경험한다(Pennestri et al., 2015). 고위험 신생아의 부모는 아기의 입원 기간동안 환경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면회로 조기 접촉의 기회가 박탈되고 상호작용의 기회가 감소되어 애착 발달 위기에 지속적으로 직면할 수 있다(Pennestri et al., 2015). Pineda 등 (2017)의 연구에 따르면 부모와 신생아 간의 신체적 접촉의 횟수와 질은 신생 아의 신경행동학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데 캥거루 케어와 같은 피부 접촉은 신경행동학적 예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4-5세까지의 발달에 장기적으로 영 향을 미친다. 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건강한 신생아 부모와 비교하였을 때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아기가 입원하게 되었다는 상실감과 죄책감, 아기의 건 강 상태와 관련된 슬픔, 우울감, 무기력함의 정도가 더 높으며(Greene et al., 2015), 이는 부모-신생아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저해하여 부모로서의 역할 적응을 어렵게 하고 아기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Ionio et al., 2016).

또한 대부분의 고위험신생아 부모들은 아기들이 인큐베이터에 있을 때에 는 빠른 시일 내에 퇴원하기를 바라나 막상 퇴원 시기가 다가오면 불안해하며 퇴원 시기를 뒤로 미루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장미영, 2009) 고위험신생아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면서 아기를 돌보는 양육 활동을 간호사가 대신 수 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모는 아기와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아 기와 상호작용하려는 요구가 줄어들며 퇴원 후에도 양육과정에서 아기의 건강

(20)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 어려움을 느껴 아기와의 애착 형성이 어렵게 된다(황현숙 등, 2013). 부모로서의 역할 변화에 적응을 하기 위 해서는 부모 또한 자녀 못지않게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매우 도움이 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이창 희 등, 2019; 한수연, 채선미, 2016), 신생아와 가장 많은 접촉이 이루어지는 일 차적 돌봄 제공자인 간호사는 아기의 출생 후, 부모와 신생아가 분리되는 상황 에서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부모-신생 아 간의 애착 형성을 위한 지지자로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B.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

고위험신생아는 출생 체중이나 재태 주수에 상관없이 출산 과정 및 자궁 외 생활 적응으로 야기되는 상태나 환경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 주산기 가사, 황달, 감염, 선천성 기형 등의 문제로 질병 이환이나 사망위험이 크고 특별한 간호를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진 신생아를 말한다(김미예 등, 2011).

고위험신생아 출산과 자녀의 신생아집중치료실로의 입원은 건강한 신생아 의 출산을 기대한 부모에게 예기치 못한 위기 사건이다(Hynan et al., 2013).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질병의 심각성과 같은 상황적 요소와 인공호흡기와 같은 의료 장비를 가진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를 포함한 신생아집중치료실의 물리적 환경, 분리로 인한 아기와의 관계, 부모의 역할 변화, 의료진과의 의사 소통, 면회 제한 등의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최은아, 이은영, 2018; 한수연, 채선미, 2016),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건강한 신 생아 부모보다 긴장, 우울, 분노, 무기력함의 정도가 더 높았다(Ionio et al., 2016).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아기의 출생 체중, 재태 주수, 아기의 중증 도, 수술 계획 유무, 인공호흡기 사용, 수유방법 등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의 차

(21)

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일반적 특성은 나이, 교육 수준, 종교, 경제 상태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오금숙, 임지영, 조인숙, 함옥경, 2010; 한수연, 채선미, 2016; Gangi et al., 2013).

부모와 신생아 간의 관계는 복잡한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 는데 밀접한 접촉과 물리적, 심리적 접근 가능성은 애착 발달을 위한 핵심 요 소로, 부모로서 정체성을 확립하여 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자원이 되며 생애 초기에 형성된 애착은 정서적 안정성, 타인과의 관계 형성, 사회 적응력 등 인 간의 전 생애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황현주, 정옥분, 2006). 이는 자녀에 대한 감정과 태도를 통해 표출되는 부모의 애착이 양육 태도에 영향을 미쳐 영아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방경숙, 강현주, 이부현, 권미 경, 2016). 부모가 영아에 대해 형성하는 애착이 영아의 생존과 발달에 중요하 게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부모의 심리적 상태는 매우 직접적으로 관 련이 있으며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지속될 경우, 부모-신 생아 간 상호작용의 질과 애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Roque, Lasiuk, Radünz, & Hegadoren, 2017). 이처럼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다양한 환 경적, 개인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이에 대한 적응 및 대처 능력 향상을 통 해 부모-신생아 간의 애착 증진을 위한 간호지지가 필요하다.

C.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간호지지는 사회적 지지의 한 형태로, 간호 실무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자 녀의 입원기간 동안 간호사가 부모에게 제공하는 전문적인 지지를 말한다 (Miles et al., 1999). Miles 등(1999)의 Nurse Parent Support Model은 House (1981)의 사회적 지지 개념적 모델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간호지지는 간호 사와 대상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과정으로 신뢰, 공감, 친밀감 등을 반영하 는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자기평가, 타인으로부터의 피드백 등을 포함한 평가

(22)

적지지, 문제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적지지, 실제적인 도움이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물질을 제공하는 도 구적 지지로 구분된다(House, 1981; Miles et al., 1999).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간호사로부터 아기의 건강 문제에 대한 정보뿐만 아 니라 아기 돌봄에 대한 지식, 부모 역할 변화에 대한 정보적 지지를 제공받길 원하며 자신의 의견을 경청하여 충분히 치료과정에 반영하고, 그들이 처한 상 황과 감정, 스트레스와 경험에 대해 대화하는 등의 정서적 지지를 받고 싶어한 다(Weis, Zoffmann, Greisen, & Egerod, 2013). 정보적 지지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해주어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정서적 지지 또는 정보적 지지를 단독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같이 제공하였 을 때 불안, 스트레스의 감소 효과가 크다(Mosher, 2017).

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부모역할 긴장을 초래하고 초기 부모역할 획득과정에서 정서적,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쳐 부모역할 자신감을 떨어뜨리게 된다(Eom & Im, 2019; Harris, Gibbs, Mangin-Heimos, & Pineda, 2018). 부모역할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아 기와의 조기 접촉이며, 부모와 아기의 친밀감을 강화시킬수록 부모역할 자신감 은 높아진다(Al Maghaireh et al., 2016; Harris et al., 2018). 부모가 아기 돌보 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 하는 평가적 지지는 간호사와 부모간의 상호협력적 관계를 형성하여 부모역할 자신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퇴원 후 가족의 성공적인 적응을 돕는다(Tomlin, Deloian, & Wollesen, 2016).

이러한 간호지지는 간호사와 부모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고,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충시켜 부모-신생아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애착 형성을 돕는다(박경임, 정용선, 2011;

Weis et al., 2013).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는 간호사 를 가장 도움이 되고, 신뢰가 높은 대상으로 인식하며 간호사는 부모가 스트레 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위치에 있어 간호지지는 고위

(23)

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형성과 가족 적응에 촉진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다(Jones, Woodhouse, & Rowe, 2007).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면 스트레스와 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채진 영, 박유정, 2016; Bonacquisti et al., 2020; Hopkins et al., 2018), 사회적 지지 와 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채진영, 박유정, 2016; 황영희, 박선정, 2018;

Leahy-Warren, Coleman, Bradley, & Mulcahy, 2020; Twohig et al., 2016), 캥 거루 케어, 통합적 입원 교육과 같은 간호중재와 관련된 연구(김은숙, 조용애, 2017; 박보라, 2020; 신영희 등, 2018; 임정희 등, 2016)가 주로 이루어졌다. 이 를 종합해볼 때 간호지지는 애착과 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 서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다.

(24)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을 파악하고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표 적 모집단으로 하였고,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A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아래의 선정 기준에 해당 하고 연구에 동의한 자로 편의표집 하였다.

1. 선정 기준

1) 저체중출생아, 미숙아 혹은 재태 주수와 출생 체중에 관계없이 신생아 질 환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치료받은 신생아의 부 모

2) 설문지를 읽고 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부모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부모

2. 제외 기준

1) 선천성 기형이 있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

2) 과거 다른 자녀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적이 있는 부모

(25)

3) 퇴원 후 재입원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초기에는 아기의 상태에 집중되어 충분한 간호지 지가 이루어지기 힘들며, 고위험신생아의 부모 또한 아기의 급성기 치료가 끝 난 이후 돌봄 활동에 참여를 원하고, 아기의 치료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원한다(Curley & Meyer, 2016). 간호지지 통한 부모-간호사 간의 상호 작용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접촉의 횟수와 기간이 중요하다(Bry

& Wigert, 2019). 이에 따라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치료받 은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를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천성 기형이 있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는 슬픔과 함께 기 대했던 건강한 아이에 대한 상실감,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 돌봄에 대한 어려 움, 불확실성, 분노 등을 경험하게 되어 일반적인 치료과정과 이에 따른 부모의 경험이 매우 다를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Upham &

Medoff-Cooper, 2005). 과거에 다른 자녀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적이 있거나 퇴원 후 재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경우 이미 익숙한 환경이라 신 생아집중치료실 환경에 대한 이해도와 스트레스 정도가 다를 수 있어 외생변수 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제외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05, 검정력 80%, 효과 크기(effect size) .15으로 다중회귀분석에 이 용할 예측변수 12개(출생 체중, 재태 주수, 진단명, 수유 방법, 수유 내용, 인큐 베이터 적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 수술 계획, 분만 형태, 계획된 임신, 유산 경험)로 하였을 때 최소 표본 수는 127명으로 나타났다.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총 152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한 152부 중 일부 문항에 응답이 누락된 5부를 제외한 147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26)

C. 연구도구

1. 스트레스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Miles 등(1993)에 의해 개발되 었으며, 김태임(2000)에 의해 한국어로 번안되었다. Miles 등(2007)에 의해 수 정·보완된 도구를 김태임(2000)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항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고위험신생아 부모 스트레스 측정도구(Parental Stressor Sca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SS: NICU)는 신생아집중치료실의 물리적, 심 리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모들의 인지 정도를 측 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도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환경에 관한 내용(5문 항), 아기의 외모와 행동, 처치와 관련된 내용(14문항), 부모와 아기와의 관계, 부모역할 변화에 관한 내용(7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별 요인에 대해서 ‘전혀 느끼지 않는다’를 1점, ‘매우 심하게 느낀다’를 5점으로 측 정하는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 다. Miles 등(2007)의 도구를 참고하여 문항의 내용이 신생아에게 해당되지 않 는 경우에는 ‘해당 없음’으로 표시하여 1점 처리하였다. 도구 개발 당시 Miles 등(199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4, 김태임(2000)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0 이었다. 본 연구의 하부 영역 신뢰도는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 .82,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 .89,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 .81이었다.

2. 간호지지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간호지지 측정도구(Nurse-Parent Support Tool)는 Miles, Carlson과 Brunssen (1999)이 개발한 간호사 부모지지 도구를 한수연

(27)

(201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1문항으로 정보적 지 지(9문항), 정서적 지지(3문항), 평가적 지지(4문항), 도구적 지지(5문항)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별 요인에 대해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를 1점,

‘항상 그렇다’를 5점으로 측정하는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지지가 많았음을 의미한다. Miles 등(1999)의 연구에서 개발 당시 도구의 Cronbach’s α

=.96, 한수연(201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94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3이었다. 본 연구의 하부 영역 신뢰도는 정보적 지지 .86, 정서 적 지지 .81, 평가적 지지 .80, 도구적 지지 .75이었다.

3. 애착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Müller (1994)가 개발한 모성 애착조사표(Maternal Attachment Inventory)를 한규은(2001)이 번안 및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의 그 렇지 않다’를 1점, ‘거의 항상 그렇다’를 4점으로 측정하는 Likert 척도로, 점수 가 높을수록 부모의 아기에 대한 애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Müller (1994) 연구에서 개발 당시 도구의 Cronbach’s α=.85, 한규은(2001)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8 이었다.

D.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2020년 9월 21일부터 2021년 2월 10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A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 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가 해당 병원의 간호본부와 신생아집중치료실 부서장에게 연구의 목적 및 절차, 윤리적인 부분을 설명하고 사전 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28)

대상자 선정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신생아의 부모가 신생아집중치료실 방문 시,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방법, 기간, 연구 참여로 얻는 이점에 대해 충 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를 받아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작성 은 신생아집중치료실 내에 위치한 면담실에서 시행되었으며, 시간은 약 25분정 도 소요되었다. 작성된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즉시 회수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E.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기관윤리심의위원회(AJIRB-SBR-SUR-20-182)의 승인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 목적과 내용, 개인정보 보호, 설문의 내용이 연 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설문 도중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고 어떠한 불이익도 발생하지 않을 것임을 명시한 설명문과 배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설문을 실시하였 다. 대상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수거하여 회수용 봉투에 담아 밀봉하였다. 연구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PC는 암호를 설정하여 본 연구자외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관리하였다.

F.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고위험신생아 및 부모의 일반적 특성,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은 실수, 백 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9)

2. 고위험신생아 및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은 Pearson correlation, t-test와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속변수로 상호작용변수를 구성할 경우, 독립변수와 상호작용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평균중심화(Mean centering)를 시행하여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줄이고자 하였다(배병렬, 2015; 서 영석, 2010).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 하여 김진후(2019)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종속변수와 통제변수(재태 주수, 수유 방법, 인큐베이터 적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를, 2단계에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조절변수 를 투입함으로써 종속변수에 대한 조절변수의 영향을 확인하며, 3단계에서 종 속변수와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변수(독립변수×조절변수)를 투입하여 회 귀식의 설명력을 보여주는 R²값의 변화량에 따라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 하였다.

(30)

Ⅳ. 연구 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전체 147명 중 남자(아버지)가 52명(35.4%), 여자(어머니)가 95명(64.6%)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3.63(±5.25)세 로, ‘30-39세’가 106명(72.1%)으로 가장 많았다. 맞벌이를 하지 않는 경우가 76 명(51.7%)이었으며, 교육 정도는 대졸 이상이 127명(86.4%)이었다. 종교는 없음 이 106명(72.1%)이었고, 가정 경제상태는 ‘중’이 121명(82.3%)으로 가장 많았으 며, 계획된 임신이 132명(89.8%)이었다. 평균 결혼 기간은 3.57±2.56년으로 ‘5년 미만’이 111명(75.5%)이었으며, 유산 경험이 없는 경우가 125명(85.0%)이었다.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3.18(±5.21)세로, ‘30-39세’가 71명(74.7%)으로 가 장 많았다. 맞벌이를 하는 경우가 48명(50.5%)이었으며, 교육 정도는 대졸 이상 이 82명(86.3%)이었다. 종교는 없음이 68명(71.6%)이었고, 가정 경제상태는 ‘중’

이 77명(81.1%)으로 가장 많았으며, 계획된 임신이 84명(88.4%)이었다. 평균 결혼 기간은 3.47±2.48년으로 ‘5년 미만’이 75명(78.9%)이었으며, 유산 경험이 없는 경 우가 83명(87.4%)이었다.

아버지의 평균 연령은 36.02(±5.72)세로, ‘30-39세’가 35명(67.3%)으로 가 장 많았다. 맞벌이를 하지 않는 경우가 29명(55.8%)이었으며, 교육 정도는 대졸 이상이 45명(86.5%)이었다. 종교는 없음이 38명(73.1%)이었고, 가정 경제상태는

‘중’이 44명(84.6%)으로 가장 많았으며, 계획된 임신이 48명(92.3%)이었다. 평균 결혼 기간은 3.77±2.73년으로 ‘5년 미만’이 36명(69.2%)이었으며, 유산 경험이 없 는 경우가 42명(80.8%)이었다.

(31)

<표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

(N=147)

변수 범주

전체 (n=147)

어머니 (n=95)

아버지 (n=52) 실수(%) or 평균±표준편차 (범위) 나이(세) 20-29세

30-39세 40세 이상

26 (17.7) 106 (72.1) 15 (10.2) 33.63±5.25

(20∼52)

22 (23.2) 71 (74.7) 2 (2.1) 33.18±5.21

(20∼50)

4 (7.7) 35 (67.3) 13 (25.0) 36.02±5.72

(21∼52)

맞벌이 유

71 (48.3) 76 (51.7)

48 (50.5) 47 (49.5)

23 (44.2) 29 (55.8)

교육 정도 고졸이하

대졸이상

20 (13.6) 127 (86.4)

13 (13.7) 82 (86.3)

7 (13.5) 45 (86.5)

종교 유

41 (27.9) 106 (72.1)

27 (28.4) 68 (71.6)

14 (26.9) 38 (73.1) 가정 경제상태 상

중 하

9 (6.1) 121 (82.3) 17 (11.6)

6 (6.3) 77 (81.1) 12 (12.6)

3 (5.8) 44 (84.6) 5 (9.6)

계획된 임신 유

132 (89.8) 15 (10.2)

84 (88.4) 11 (11.6)

48 (92.3) 4 (7.7) 결혼 기간(년) 5년 미만

5년 이상

111 (75.5) 36 (24.5) 3.57±2.56 (0.50∼12.17)

75 (78.9) 20 (21.1) 3.47±2.48 (0.50∼12.17)

36 (69.2) 16 (30.8) 3.77±2.73 (0.50∼12.17)

유산 경험 유

22 (15.0) 125 (85.0)

12 (12.6) 83 (87.4)

10 (19.2) 42 (80.8)

(32)

2.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성별은 남아가 90명 (61.2%)으로 여아보다 많았으며, 출생순위는 첫째가 107명(72.8%)로 가장 많았 다. 분만형태는 제왕절개가 87명(59.2%)으로 자연분만보다 많았으며, 수유 방법 은 경구수유가 93명(63.3%), 수유 내용은 혼합영양이 111명(75.5%)으로 가장 많았다. 인큐베이터를 적용하고 있는 신생아는 100명(68.0%)이었고, 20명 (13.6%)이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고 있었으며, 수술력이 있는 신생아는 14명 (9.5%)이었다. 평균 총 재원 기간은 15.07±17.78일이었으며, 평균 재태 주수는 36.64±3.36주이었고, 평균 출생 체중은 2614.25±806.05g이었다.

(33)

<표 2>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

(N=147)

변수 범주 실수(%) 평균±표준편차

(범위)

성별 남아

여아

90 (61.2) 57 (38.8)

출생순위 첫째

둘째 이상

107 (72.8) 40 (27.2)

분만형태 자연분만

제왕절개

60 (40.8) 87 (59.2)

수유 방법 위관수유

경구수유 위관+경구수유 금식

28 (19.0) 93 (63.3) 22 (15.0) 4 (2.7)

수유 내용 분유

혼합영양 모유

20 (13.6) 111 (75.5) 16 (10.9) 인큐베이터 적용 무

47 (32.0) 100 (68.0) 인공호흡기 적용 무

127 (86.4) 20 (13.6)

신생아 수술력 무

133 (90.5) 14 (9.5)

총 재원기간(일) 15.07±.17.78

(4∼89)

재태 주수(주) 36.64±3.36

(26.10∼40.60)

출생 체중(g) 2614.25±806.05

(730∼4580)

(34)

B.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은 <표 3>과 같다. 스트레 스는 평균 84.14±13.73점(평균평점 3.24±0.53)이었다. 하위 영역별 비교를 위해 평균평점을 산출한 결과,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가 3.52±0.6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3.23±0.43)’,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3.10±0.69)’에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간호지지는 평균 81.74±10.80(평균평점 3.90±0.60)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 균평점을 산출한 결과, 도구적 지지가 3.97±0.66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다 음으로 정서적 지지(3.89±0.66), 평가적 지지(3.68±0.78), 정보적 지지(3.50±0.5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애착은 평균 90.97±7.56점(평균평점 3.48±0.48)이었다.

(35)

<표 3>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N=147)

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평점평균±

표준편차 스트레스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

84.14±13.73 16.14±2.17 43.36±9.67 24.64±4.39

47.00 11.00 21.00 12.00

118.00 21.00 70.00 35.00

3.24±0.53 3.23±0.43 3.10±0.69 3.52±0.63 간호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도구적 지지

81.74±10.80 11.67±1.97 31.54±5.09 14.71±3.11 19.76±3.37

58.00 4.00 15.00

6.00 11.00

99.00 15.00 40.00 20.00 25.00

3.90±0.60 3.89±0.66 3.50±0.57 3.68±0.78 3.97±0.66 애착 90.97±7.56 68.00 94.00 3.48±0.48

(36)

C.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을 분석한 결과는 <표 4>

와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37)

<표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N=147)

변수 범주 실수 평균±표준편차 t or F

p

(Scheffeé)

성별 남자(아버지)

여자(어머니)

52 95

90.71±6.98 91.12±7.90

-0.31 .758

나이(세) 20-29세 30-39세 40세 이상

26 106

15

92.19±6.74 90.90±7.59 89.40±8.86

0.66 .516

맞벌이 유

71 76

90.27±7.76 91.63±7.36

-1.09 .276

교육 정도 고졸 이하

대졸 이상

20 127

92.90±4.47 90.67±7.91

1.83 .075

종교 유

41 106

89.90±6.96 91.39±7.78

-1.07 .288

가정 경제상태 상 중 하

17 121

9

90.71±7.12 91.15±7.60 89.11±8.46

0.31 .732

계획된 임신 유

132 15

90.85±7.61 92.07±7.35

-0.59 .556

결혼 기간(년) 5년 미만 5년 이상

111 36

90.81±7.76 91.47±7.01

-0.46 .650

유산 경험 유

22 125

90.64±7.69 91.03±7.57

-0.23 .822

(38)

D.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은 <표 5>와 같다. 고위험신생 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유 방법(F=5.27,

p

=.002), 인큐베이터 적용(t=-2.50,

p

=.007), 인공호흡기 적용(t=-3.81,

p

<.001), 신생아 수술력(t=-2.16,

p

=.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은 인큐베이터를 적용하지 않은 고위험신생아의 부모가 인큐베 이터를 적용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보다 애착이 높았으며, 인공호흡기를 적용 하지 않은 고위험신생아의 부모가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보 다 애착이 더 높았다. 또한, 수술력이 없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가 수술력이 있 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보다 애착이 높았다. 사후 검정 결과 수유 방법은 ‘위관 수유’, ‘위관+경구수유’보다 ‘경구수유’를 하는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이 높게 나타났다.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은 재태 주수(r=.216,

p

=.009)에 따라 차이 가 있었으며, 고위험신생아의 재태 주수가 길수록 부모의 애착이 높았다.

(39)

<표 5> 고위험신생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애착

(N=147)

변수 범주 실수 평균±표준편차 t or F

or r

p

(Scheffé)

성별 남아

여아

90 57

91.40±6.45 90.30±9.07

0.80 .427

출생순위 첫째

둘째 이상

107 40

90.62±8.16 91.90±5.64

-1.07 .287

분만형태 자연분만

제왕절개

60 87

91.98±7.47 90.28±7.59

1.35 .179

수유 방법 위관수유a 경구수유b 위관+경구수유c 금식d

28 93 22 4

87.57±6.82 92.75±6.32 87.86±10.60

90.50±8.70

5.27 .002 (a<b) (c<b)

수유 내용 분유

혼합영양 모유

20 111

16

91.80±6.29 91.18±7.45 88.50±9.58

1.02 .364

인큐베이터 적용 무 유

47 100

93.40±6.20 89.83±7.90

-2.50 .007

인공호흡기 적용 무 유

127 20

92.32±6.32 82.45±9.31

-3.81 <.001

신생아 수술력 무 유

133 14

91.65±6.65 84.57±12.06

-2.16 .049

총 재원 기간(일) -.129 .120

재태 주수(주) .216 .009

출생 체중(g) .106 .200

(40)

E.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관계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의 관계는 <표 6>과 같 다. 스트레스는 애착(r=-.360,

p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 스트레스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착은 신생아집중치료 실 환경(r=-.212,

p

=.010),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r=-.388,

p

<.001), 아기와 의 관계 및 부모역할변화(r=-.167,

p

=.043)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

간호지지는 애착(r=.258,

p

=.002)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지지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착은 정서적 지지 (r=.254,

p

=.002), 정보적 지지(r=.228,

p

=.005), 평가적 지지(r=.259,

p

=.002), 도구 적 지지(r=.184,

p

=.02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스트레스와 간호지지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r=.034,

p

=.685).

(41)

<표 6>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간 상관관계

(N=147)

변수 1 1-1 1-2 1-3 2 2-1 2-2 2-3 2-4 3

r(p)

1. 스트레스 1

1-1.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 .539

(<.001) 1

1-2.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 .944 (<.001)

.370 (<.001)

1

1-3.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역할변화 .778 (<.001)

.376 (<.001)

.570 (<.001)

1

2. 간호지지 .034

(.685)

-.021 (.798)

.015 (.857)

.084 (.313)

1

2-1. 정서적 지지 .016

(.851)

-.068 (.416)

-.003 (.971)

.086 (.300)

.814 (<.001)

1

2-2. 정보적 지지 .016

(.850)

.004 (.964)

-.014 (.863)

.099 (.234)

.951 (<.001)

.750 (<.001)

1

2-3. 평가적 지지 -.054

(.515)

-.047 (.573)

-.058 (.485)

-.023 (.778)

.884 (<.001)

.676 (<.001)

.800 (<.001)

1

2-4. 도구적 지지 .133

(.1090)

-.001 (.989)

.118 (.155)

.128 (.123)

.855 (<.001)

.601 (<.001)

.731 (<.001)

.652 (<.001)

1

3. 애착 -.360

(<.001)

-.212 (.010)

-.388 (<.001)

-.167 (.043)

.258 (.002)

.254 (.002)

.228 (.005)

.259 (.002)

.184 (.026)

1

(42)

F.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1단계에서는 재태 주수, 수유 방 법, 인큐베이터 적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의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Adjusted R²)은 19.4%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8.03,

p

<.001). 인공호흡기를 적용하지 않은 고 위험신생아의 부모가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에 비해 애착이 높았으며(β=.31,

p

=.001), 수술력이 없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가 수술력이 있는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보다 애착이 높았다(β=.19,

p

=.030).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스트레스, 간호지지를 투입하여 종속변수인 애착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회귀모형의 설명력(Adjusted R²)은 27.4%였으며, 스트레스(β=-.26,

p

=.005)와 간호지지(β=.36,

p

<.001)가 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F=8.87,

p

<.00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 스가 낮을수록, 간호지지가 높을수록 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회귀식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의 설명력(Adjusted R²)은 29.2%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8.52,

p

<.00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가 낮을 수록(β=-.26,

p

=.003), 간호지지가 높을수록 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β=.37,

p

<.001). 3단계의 회귀모형(Adjusted R²=.292,

p

<.001)이 2단계 회귀모형 (Adjusted R²=.270,

p

<.001)과 비교하였을 때 설명력이 2.2% 증가하였고,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F=8.52,

p

<.001). 상호작용변수(스트레스×간호지지)의 회귀계수 (β=.16,

p

=.036)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 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3)

<표 7>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N=147)

인큐베이터 적용하지 않은 군 § 인공호흡기 적용하지 않은 군 ††신생아 수술력 없는 군

변수 모형1 모형2 모형3

β t

p

β t

p

β t

p

(상수) 재태 주수 수유 방법

인큐베이터 적용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력††

스트레스 간호지지

스트레스*간호지지

.09 -.05 .06 .31 .19

1.01 -0.60 0.81 3.56 2.19

.316 .551 .420 .001 .030

.01 .00 .03 .25 .20 -.26 .36

0.09 0.05 0.42 2.99 2.45 -2.87 4.13

.932 .960 .674 .003 .016 .005

<.001

-.00 .00 .08 .22 .80 -.26 .37 .16

-0.03 0.02 1.00 2.53 2.50 -2.97 4.37 2.12

.974 .984 .318 .013 .014 .003

<.001 .036

F 8.03 8.87 8.52

p

<.001 <.001 <.001

Adjusted R2 0.194 0.274 0.292

△ R2 0.087 0.022

(44)

Ⅴ. 논의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스 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 구의 주요 결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스트레스, 간호지지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은 총점 평균 90.97점이었으며, 평 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48점(4점 만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김은숙 등 (2019)의 연구 평균 97.32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애착은 출생 후 접촉과 상호작 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되는데(Ainsworth, 1989) 주 양육자인 어머니는 아 버지에 비해 신생아와 접촉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어머니의 애착이 아버지보다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Heo & Oh, 2019)와 유사한 결과였으며, 본 연구는 고위 험신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김은숙 등(2019)의 연구에서는 미숙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부아애착은 고위험신생아의 출산으로 생길 수 있는 가족의 역할변화에 있 어 위기감을 감소시키고 가족 적응을 도우며, 아기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친다(Bowen & Miller, 1980). 또한, 아버지는 모아관계에 중요 한 영향을 끼치는 의미있는 사람으로, 부아애착은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를 형 성하는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성미혜, 안난사, 장미숙, 2004). 그러므로 간호 사는 아기와 가족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초기 아버지됨을 지지 해야 하며, 치료과정에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어 가족중심의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45)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총점 평균 84.14점이었으며, 평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24점(5점 만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이창희 등(2019)의 연구 평균 3.39점과 유사하였으나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이수 진, 최은경, 박정옥과 김희순(2019)의 연구 평균 3.54점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의 평균 재태 주수는 36주, 평균 출생 체중은 2614.25g이었으나 이수진 등(2019)의 연구에서 평균 재태 주수는 29주, 평균 출생 체중 1463.92g인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신생아의 재태 주수가 짧고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질병의 이환률과 사망 위험성이 증가하고, 아기의 중증 도 또한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오금 숙 등, 2010; 한수연, 채선미, 2016; Chiara et al, 2016) 이러한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스트레스의 하부 영역별로는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 ‘신생아 집중치료실 환경’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다. 선행연구(이창희 등, 2019; 한수연, 채선미, 2016) 와 유사한 결과였다. 아기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면 고위험신생아 부모 는 아기를 통증이나 고통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고, 도울 수 없다는 무기력함에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Roque et al., 2017)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모의 역 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고 양육 및 아기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Heure, 1993). 따라서 간호사는 고위험신 생아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정서적 격려를 통해 부모의 스트 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간호지지 는 총점 평균 81.74점이었으며, 평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90점(5점 만점)으 로 중간보다 높게 간호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한수 연과 채선미(2016)의 연구 평균 3.90점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국외

(46)

연구(Franck & Axelin, 2013; LeDuff, Carter, Cunningham, Braun, &

Gallaher, 2020; Tandberg, Sandtrø, Vårdal, & Rønnestad, 2013)와 비교 시 낮 은 점수이다. 신생아집중치료실을 개방적으로 운영하는 외국과 달리 국내 신생 아집중치료실은 지정된 시간에, 제한된 인원만 면회가 가능하여 간호사로부터 충분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지각한 간호지지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도구적 지지 영역이 가장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결과들(LeDuff et al., 2020; Sannino et al., 2016)과 유사하였으며, ‘간호사는 아이를 잘 보살펴주었다’, ‘간호사는 아 이의 특별한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와 같이 아기에게 행해지는 간호사의 직접 간호에 대한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간호사는 내가 부모로서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다’, ‘간호사는 내가 아이를 돌보는 과정에서 잘하고 있음을 알게 해주었다’와 같이 부모의 역량에 대한 간 호사의 피드백을 통해 부모의 역할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평가적 지지 와 아기의 행동이나 처치에 대한 정보적 지지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는 면회 시 부모에게 캥거루 케어, 수유 연습, 기저귀 교환 등과 같이 아기 돌보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긍 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부모로서의 자기정체감을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정보적 지지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해주어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또는 정보적 지지를 단독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같이 제공하였을 때 불안, 스트 레스의 감소 효과가 크다(Mosher, 2017). 고위험신생아 부모에게 주로 제공되 는 정보적 지지는 구두 설명이나 일관된 내용의 간단한 소책자, 동영상을 통해 제공되는데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여 그들을 이해하고 간호요구를 확 인하여 개별적, 체계적으로 충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아기 중심이 아닌 아 기의 치료과정에 부모를 포함하여 가족중심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영향 요인

(47)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 력, 스트레스, 간호지지가 애착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지지는 고위 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애착을 높여주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모형의 설명력은 29.2%이었다.

먼저,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애착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β=-.26,

p

=.003) 이는 스트레스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선행연구들(김아림, 탁영란, 2018; Turner et al., 2015)의 결과와 일치하 였다.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아기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자체만으로도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며 재원 기간 동안 아기의 상태에 대한 걱정, 이에 대한 정보 부족,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된다(Heidari, Hasanpour, & Fooladi, 2017).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모가 아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애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Pennestri et al., 2015). 따라서 간호사는 고위험신생아와 부모의 애착 형성 및 가족 적응을 돕기 위해 그들의 스트레스를 사정하여 이를 적응 및 대처하기 위 한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지각한 간호지지는 애착에 직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β=.37,

p

<.001). 이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 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Twohig et al., 2016;

Ghadery-Sefat et al., 2016)의 연구에서 간호지지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요인 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간호사는 신생아의 입원부터 퇴원까지 신생아와 부모에게 가장 가까운 의료인으로서 그들의 간호 요구를 확인하고 긍 정적인 상호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고위험신생아 가족의 적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윤소연, 박정옥, 이혜정, 민아리, 2019). 그러므 로 간호사는 부모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제공, 캥거루 케어, 모유수유, 부모 역할 적응 격려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간호지지를 제공해야 하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무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이 무용 몰입과 성취,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커뮤니케이션 원활성에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환경요인에 따른 무용만족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의 환경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다섯째,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 유무에 따른 집단비 교에서

본 연구는 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 이미지가 고객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는데 있어,병원 이미지를 형성하는 병원 서비스 품질이 어떠한 경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과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전도 모니터링 관 련 지식,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요자들의

본 연구는 전라남도 D지방의 노인 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 으로 일정기간 리듬댄스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 과를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일반적 특성, 전공 관련 요인과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여 의무기록사 선택에 영향 을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IPO 연도의 연구개발비 과대투자가 IPO 기업의 조기상장 폐지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결정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조기상장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