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50)

F.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Ⅴ. 논의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스 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 구의 주요 결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스트레스, 간호지지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은 총점 평균 90.97점이었으며, 평 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48점(4점 만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김은숙 등 (2019)의 연구 평균 97.32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애착은 출생 후 접촉과 상호작 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되는데(Ainsworth, 1989) 주 양육자인 어머니는 아 버지에 비해 신생아와 접촉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어머니의 애착이 아버지보다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Heo & Oh, 2019)와 유사한 결과였으며, 본 연구는 고위 험신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김은숙 등(2019)의 연구에서는 미숙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부아애착은 고위험신생아의 출산으로 생길 수 있는 가족의 역할변화에 있 어 위기감을 감소시키고 가족 적응을 도우며, 아기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친다(Bowen & Miller, 1980). 또한, 아버지는 모아관계에 중요 한 영향을 끼치는 의미있는 사람으로, 부아애착은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를 형 성하는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성미혜, 안난사, 장미숙, 2004). 그러므로 간호 사는 아기와 가족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초기 아버지됨을 지지 해야 하며, 치료과정에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어 가족중심의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는 총점 평균 84.14점이었으며, 평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24점(5점 만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이창희 등(2019)의 연구 평균 3.39점과 유사하였으나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이수 진, 최은경, 박정옥과 김희순(2019)의 연구 평균 3.54점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위험신생아의 평균 재태 주수는 36주, 평균 출생 체중은 2614.25g이었으나 이수진 등(2019)의 연구에서 평균 재태 주수는 29주, 평균 출생 체중 1463.92g인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신생아의 재태 주수가 짧고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질병의 이환률과 사망 위험성이 증가하고, 아기의 중증 도 또한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높기 때문에(오금 숙 등, 2010; 한수연, 채선미, 2016; Chiara et al, 2016) 이러한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스트레스의 하부 영역별로는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 역할 변화’, ‘신생아 집중치료실 환경’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다. 선행연구(이창희 등, 2019; 한수연, 채선미, 2016) 와 유사한 결과였다. 아기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면 고위험신생아 부모 는 아기를 통증이나 고통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고, 도울 수 없다는 무기력함에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Roque et al., 2017)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모의 역 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고 양육 및 아기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Heure, 1993). 따라서 간호사는 고위험신 생아 부모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정서적 격려를 통해 부모의 스트 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간호지지 는 총점 평균 81.74점이었으며, 평균평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3.90점(5점 만점)으 로 중간보다 높게 간호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한수 연과 채선미(2016)의 연구 평균 3.90점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국외

연구(Franck & Axelin, 2013; LeDuff, Carter, Cunningham, Braun, &

Gallaher, 2020; Tandberg, Sandtrø, Vårdal, & Rønnestad, 2013)와 비교 시 낮 은 점수이다. 신생아집중치료실을 개방적으로 운영하는 외국과 달리 국내 신생 아집중치료실은 지정된 시간에, 제한된 인원만 면회가 가능하여 간호사로부터 충분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지각한 간호지지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도구적 지지 영역이 가장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결과들(LeDuff et al., 2020; Sannino et al., 2016)과 유사하였으며, ‘간호사는 아이를 잘 보살펴주었다’, ‘간호사는 아 이의 특별한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와 같이 아기에게 행해지는 간호사의 직접 간호에 대한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간호사는 내가 부모로서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었다’, ‘간호사는 내가 아이를 돌보는 과정에서 잘하고 있음을 알게 해주었다’와 같이 부모의 역량에 대한 간 호사의 피드백을 통해 부모의 역할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평가적 지지 와 아기의 행동이나 처치에 대한 정보적 지지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는 면회 시 부모에게 캥거루 케어, 수유 연습, 기저귀 교환 등과 같이 아기 돌보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긍 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부모로서의 자기정체감을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돕 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정보적 지지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해주어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또는 정보적 지지를 단독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같이 제공하였을 때 불안, 스트 레스의 감소 효과가 크다(Mosher, 2017). 고위험신생아 부모에게 주로 제공되 는 정보적 지지는 구두 설명이나 일관된 내용의 간단한 소책자, 동영상을 통해 제공되는데 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여 그들을 이해하고 간호요구를 확 인하여 개별적, 체계적으로 충분히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아기 중심이 아닌 아 기의 치료과정에 부모를 포함하여 가족중심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영향 요인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공호흡기 적용, 신생아 수술 력, 스트레스, 간호지지가 애착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지지는 고위 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애착을 높여주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모형의 설명력은 29.2%이었다.

먼저,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애착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β=-.26,

p

=.003) 이는 스트레스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선행연구들(김아림, 탁영란, 2018; Turner et al., 2015)의 결과와 일치하 였다.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아기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자체만으로도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며 재원 기간 동안 아기의 상태에 대한 걱정, 이에 대한 정보 부족,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된다(Heidari, Hasanpour, & Fooladi, 2017).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모가 아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애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Pennestri et al., 2015). 따라서 간호사는 고위험신생아와 부모의 애착 형성 및 가족 적응을 돕기 위해 그들의 스트레스를 사정하여 이를 적응 및 대처하기 위 한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지각한 간호지지는 애착에 직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β=.37,

p

<.001). 이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 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Twohig et al., 2016;

Ghadery-Sefat et al., 2016)의 연구에서 간호지지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요인 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간호사는 신생아의 입원부터 퇴원까지 신생아와 부모에게 가장 가까운 의료인으로서 그들의 간호 요구를 확인하고 긍 정적인 상호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고위험신생아 가족의 적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윤소연, 박정옥, 이혜정, 민아리, 2019). 그러므 로 간호사는 부모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제공, 캥거루 케어, 모유수유, 부모 역할 적응 격려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간호지지를 제공해야 하

는 것의 중요성이 설명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부모애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간호지지는 애착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했을 뿐 아니라, 고위험신 생아 부모의 스트레스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는데(β=.16,

p

=.036), 이는 간호지지가 애착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인 영향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고위험신생아 부모가 지각 한 간호지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이 줄어들며, 간호지지를 적 게 받았다고 지각한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스트레스로 인해 야기되는 애착 형성 의 저해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된 다 할지라도 스트레스를 완충할 수 있는 환경적 자원으로서 간호지지의 효과를 규명한 연구 결과(신영희 등, 2018)와 일치한다. 따라서 간호지지는 고위험신생 아 부모의 애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다 른 변수들의 강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어, 간호학적 중재 요소로서 의미가 크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통제변수 중 인공호흡기 적용(β=.22,

p

=.013)과 신생 아 수술력(β=.20,

p

=.014)이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인공호흡기와 같은 특수 장비의 사용과 신생아의 수술력은 아기의 중증도와 연관되는데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신생아 질병의 심각성이나 중증도가 높을수록, 아기의 상태에 대한 걱정이 깊을수록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인 감정이 증가한다(Tahirkheli, Cherry, Tackett, McCaffree, & Gillaspy, 2014). 또한, 인공호흡기 적용은 부모와 아기의 접촉의 질을 저하시키거나 기회 를 제한시킬 수 있고, 고위험신생아 부모는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 인공호흡기 소음과 낯선 기계 등으로 인해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최은아, 이은영, 2018; 한수연, 채선미, 2016; Rogers, Kidokoro, Wallendorf, & Inder, 2013) 애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간호사는 고위험신생아 부모에게 아기에게 행해지고 있는 처치와 부착된 의료기기, 아기의 수술과 관 련된 예후에 대한 교육요구를 사정하여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고위험신생아 부모-신생아 간 애착 형성 및 가족 적응을 위한 간호지지 중재안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 료실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 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러 지역과 기관을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 하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착은 다를 수 있으나 이를 모두 포괄하여 분 석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부모의 스트레스가 부아애착 혹은 모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구별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치료를 받은 고위험신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간호지지, 애착 정도를 조사한 것으로 차후 조사 시에는 입원부터 퇴원 시점까지 조사 시점을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 사용된 간호지지 측정 도구는 국외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간호지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므로, 국내에서의 고위험신생아 부모 가 지각하는 간호지지의 내용과는 다소 다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므 로 간호지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간호지지를 측정하 는 도구를 새로 개발하거나 기존 도구의 수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 각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