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81)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 험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 다. 그러므로 연구 대상자 수와 범위를 확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2.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치료를 받은 고위험신 생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므로 차후 조사 시, 입원부터 퇴원 시점 까지 조사 시점을 보완한 연구를 제언한다.

3. 본 연구에 사용된 간호지지 측정 도구는 국외를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므로, 추후 국내 실정에 맞는 간호지지 측정 도구의 개발 또는 수정에 대한 연구 를 제언한다.

4. 고위험신생아 부모의 애착 형성을 위하여 간호요구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지지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지현, 손현미, 변신연, 한규민. (2021).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를 위한 직접 모유수유 프로그램의 효과: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한국간호과학회, 51

(1), 119-132.

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김은경, 김태임, (2011).

신생아 간호.

경기도: 군자출판 사

김아림, 탁영란. (2015). 신생아 집중 치료실 퇴원 후 미숙아 영아 어머니의 모 성 역할 발달.

여성건강간호학회, 21

(4), 308-320.

김아림, 탁영란. (2018). 한국판 산후 모아애착 발달 척도의 타당성 검증.

한국 아동간호학회, 39

(1), 129-143.

김은숙, 김은영, 이지연, 김진경, 이현주, 이승희, 원하연. (2009). 지지간호가 미 숙아 어머니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

(3), 157-170.

김은숙, 이영희, 이은정, 이정윤. (2019).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 신감과 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병원간호사 회

, 25(1), 25-33.

김은숙, 조용애. (2017). 미숙아 아버지의 캥거루 케어 경험이 부성 애착에 미치 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 10

(2), 45-55.

김진후 (2019). 관광·호텔 분야의 조절회귀분석: 3단계 위계적 절차 사용이 필 요한가?.

한국관광학회, 43

(6), 169-183.

김태임 (2000).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한국아동간 호학회, 6

(2), 224-239.

박보라 (2020). 국내 캥거루케어 중재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인문사회21, 11

(6), 1499-1510.

방경숙, 강현주, 이부현, 귄미경. (2016). 미숙아로 출생한 영아의 6개월 발달 관 련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22

(3), 199-206.

배병렬 (2015).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

. 서울: 청람.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

(4), 1147-1168.

성미혜, 안난사, 장미숙. (2004).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 아버 지의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10

(3), 251-261.

신영희, 임정희, 김가은. (2018).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불안, 우울 및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 과.

한국아동간호학회

, 24(2). 252-261.

오금숙, 임지영, 조인숙, 함옥경. (2010).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신생아 의 부모 스트레스의 비교. 

가정간호학회지

17

(1), 12-20.

윤소연, 박정옥, 이혜정, 민아리. (2019). 미숙아 어머니의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사회적 지지가 퇴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간호학회, 25

(4).

417-424.

이수진, 최은경, 박정옥, 김희순. (2019). 신생아집중치료실 미숙아 부모의 자율 면회 방문 현황과 부모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

25

(4), 377-387.

이정애, 박인숙, 문영숙, 이남형. (2007).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 의미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7

(4), 431-441.

이창희, 장미희, 최용성, 신현숙. (2019). 고위험 신생아 부모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과 부모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간호학회

, 25(2), 184-195.

임정희, 김가은, 신영희. (2016). 캥거루 케어가 미숙아와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 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17(3), 599-610.

장미영 (2009). 캥거루식 돌보기가 미숙아의 성장과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5

(4), 335-342.

채진영, 박유정.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23

, 101-120.

최은아, 이영은. (2018). 신생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에 대한 어머니 경험. 

한국아동간호학회

24

(4), 407-419.

통계청 (2020). 인구동향조사(2017-2020년). Retrieved June, 17, 2021,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INH_1B8000F_0 1&conn_path=I2

한규은 (2001).

모성 자존감 및 모성 민감성과 모아 애착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수연 (2012).

고위험 신생아 아버지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간호지지.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수연, 채선미. (2016). 고위험신생아 아버지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간호지지. 

한국아동간호학회

22

(3), 190-198.

황영희, 박선정. (2018).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산 학기술학회논문지

,

19

(6), 231-239.

황현숙, 김희순, 유일영, 신현숙. (2013).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 스. 

한국아동간호학회

19

(1), 39-48.

황현주, 정옥분. (2006).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과 관련 변인. 

인간발달연 구

13

, 95-115.

Ainsworth, M. S.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44

(4), 709.

Al Maghaireh, D. F., Abdullah, K. L., Chan, C. M., Piaw, C. Y., & Al Kawafha, M. M. (2016).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exploring parental experienc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5

(19-20), 2745-2756.

Arockiasamy, V., Holsti, L., & Albersheim, S. (2008). Fathers’ experienc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earch for control. 

Pediatrics

121

(2),

215-222.

Bonacquisti, A., Geller, P. A., & Patterson, C. A. (2020). Maternal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maternal-infant attach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 sychology, 38

(3), 297-310.

Bowen, S. M., & Miller, B. C. (1980).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as related to presence at delivery and preparenthood classes: A pilot study. 

Nursing research

29

(5), 307-311.

Bowlby, J. (1977).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I.

Aetiology and psychopathology in the light of attachment theor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0

(3), 201-210.

Bry, A., & Wigert, H. (2019). Psychosocial support for parents of extremely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BMC psychology, 7

(1), 76.

Curley, M. A., & Meyer, E. C. (2016). Upholding Family-Centered Care in the Face of High-Consequence Pathogens--Thinking Inside the Room.

JAMA Pediatrics, 170

(3), 298-299.

Chiara, I., Caterina, C., Valeria, B., Elonora, M., Emanuela, C., Francesca, C.,

& Gianluca, L. (2016). Mothers and fathers in NICU the impact of preterm birth on parental distress.

Europe’s Journal of Psychology

,

12

(4). 604-621.

Eom, J. H., & Im, Y.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and Confidence in Paternal Role Perceived by Korean Fathers of High Risk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49

, 21-28.

Franck, L. S., & Axelin, A. (2013). Differences in parents', nurses' and physicians' views of NICU parent support.

Acta Paediatrica

,

102

(6).

590-596.

Folkman, S., & Lazarus, R.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pp.

150-15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Gangi, S., Dente, D., Bacchio, E., Giampietro, S., Terrin, G., & De Curtis, M.

(201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arents of premature birth neonat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82

, 882-885.

Ghadery-Sefat, A., Abdeyazdan, Z., Badiee, Z., & Zargham-Boroujeni, A.

(2016).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fant attache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supportive nursing care.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

21

(1). 71-76.

Greenberg, M., & Morris, N. (1974). Engrossment: The newborn's impact upon the father.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4

(4), 520-531.

Greene, M. M., Rossman, B., Patra, K., Kratovil, A. L., Janes, J. E., &

Meier, P. P. (2015). Depressive, anxious and perinatal post-traumatic distress in mother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the NICU.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36

(5), 362-370.

Gribble, K. (2016). Promoting attachment in foster parents: What we can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Adoption &

Fostering

,

40

(2), 113-127.

Harris, R., Gibbs, D., Mangin-Heimos, K., & Pineda, R. (2018). Maternal mental health during the neonatal period: Relationships to the occupation of parenting.

Early Human Development, 120

, 31-39.

Heo, Y. J., & Oh, W. O. (2019).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 particip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parents on partnership, attachment infant growth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95

, 19-27.

Heure, L. (1993). Parental stressor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Nursing, 19

(2), 128-131.

Hopkins, J., Miller, J. L., Butler, K., Gibson, L., Hedrick, L., & Boyle, D. A.

(2018).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xiety and distress symptoms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36

(4), 381-392.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Hynan, M. T., Mounts, K. O., & Vanderbilt, D. L. (2013). Screening parents of high-risk infants for emotional distress: Rationale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Perinatology

33

(10), 748-753.

Ionio, C., Colombo, C., Brazzoduro, V., Mascheroni, E., Confalonieri, E., Castoldi, F., & Lista, G. (2016). Mothers and fathers in NICU: The impact of preterm birth on parental distress. 

Europe's Journal of Psychology

12

(4), 604-621.

Jones, L., Woodhouse, D., & Rowe, J. (2007). Effective nurse parent communication: A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in the NICU environmen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9

(1-3), 206-212.

Klaus, M. H., & Kennell, J. H. (1976).

Maternal-infant bonding: The impact of early separation or loss on family development.

Saint Louis: Mosby.

Leahy-Warren, P., Coleman, C., Bradley, R., & Mulcahy, H. (2020).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within the first-year post discharge from NICU: social support, attachment and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

(1), 260.

LeDuff, L. D., Carter, B. M., Cunningham, C. A., Braun, L. A., & Gallaher, K. J. (2020). NICU Fathers: Improving the Quality of Paternal Support in the NICU.

Advances in Neonatal Car

e, 1-12.

Linde, K., Lehnig, F., Nagl, M., & Kersting, A. (2020). The association between breast feeding and attachment: A systematic review.

Midwifery, 81

, 1-16.

Miles, M. S., Carlson, J., & Brunssen, S. (1999). The nurse parent support tool.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4

(1), 44-50.

Miles, M. S., Funk, S. G., & Kasper, M. A. (1992). The stress response of mothers and fathers of preterm infan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5

(4), 261-269.

Miles, M. S., Funk, S. G., & Carlson, J. (1993). Parental Stressor Scal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ing research, 42

(3). 148-152.

Miles, M. S., Holditch-Davis, D., Schwartz, T. A., & Scher, M. (2007).

Depressive symptoms in mothers of prematurely born infant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28

(1), 36-44.

Mosher S. L. (2017). Comprehensive NICU Parental Education: Beyond Baby Basics.

Neonatal Network, 36

(1), 18-25.

Müller, M. E. (1994). A questionnaire to measure mother-to-infant attach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

(2), 129-141.

Pineda, R., Guth, R., Herring, A., Reynolds, L., Oberle, S., & Smith, J.

(2017). Enhancing sensory experiences for very preterm infants in the NICU: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Perinatology

37

(4), 323-332.

Pennestri M. H, Gaudreau H., Bouvette-Turcot A. A., Moss E., Lecompte V., Atkinson L, Lydon J, Steiner M, Meaney MJ; Mavan Research Team. (2015). Attachment disorganization among childre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reliminary results.

Early Human Development

,

91

(10), 601-606.

Rogers, C. E., Kidokoro, H., Wallendorf, M., & Inder, T. E. (2013).

Identifying mothers of very preterm infants at-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and anxiety before discharge.

Journal of Perinatology,

33

(3), 171-176.

Roque, A. T. F., Lasiuk, G. C., Radünz, V., & Hegadoren, K. (2017). Scoping review of the mental health of parents of infants in the NICU.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46

(4), 576-587.

Sannino, P., Giannì, M. L., De Bon, G., Fontana, C., Picciolini, O., Plevani, L., Fumagalli, M., Consonni, D., & Mosca, F. (2016). Support to mothers of premature babies using NIDCAP method: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Early Human Development, 95

, 15-20.

Schaffer, H. R., & Emerson, P. E. (1964). The development of social attachments in infancy.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 1-77.

Schenk, L. K., Kelley, J. H., & Schenk, M. P. (2005). Models of maternal-infant attachment: a role for nurses. 

Pediatric Nursing

31

(6), 514-517.

Tahirkheli N. N., Cherry, A. S., Tackett, A. P., McCaffree, M. A., &

Gillaspy, S. R. (2014). Postpartum depress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urrent per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6

, 975.

Tandberg B. S., Sandtrø H. P., Vårdal M., & Rønnestad A. (2013). Parents of preterm evaluation of stress and nursing support.

Journal of Neonatal Nursing

,

19

(6), 317-326.

Tomlin, A. M., Deloian, B., & Wollesen, L. (2016). Infant/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Beyond the NICU.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16

(4), 309-315.

Treherne, S. C., Feeley, N., Charbonneau, L., & Axelin, A. (2017). Parents' Perspectives of closeness and separation with their preterm infants in the NICU.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46

(5), 737-747.

Turner, M., Chur-Hansen, A., Winefield, H., & Stanners, M. (2015). The assessment of parental stress and suppor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using the Parent Stress Scale -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omen and Birth, 28

(3), 252-258.

Twohig, A., Reulbach, U., Figuerdo, R., McCarthy, A., McNicholas, F., &

Molloy, E. J. (2016). Supporting Preterm Infant Attachment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taff Perception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37

(2), 160-171.

Upham, M., & Medoff-Cooper, B. (2005). What are the responses & needs of mothers of infants diagnos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0

(1), 24-29.

Weis, J., Zoffmann, V., Greisen, G., & Egerod, I. (2013). The effect of person‐centred communication on parental stress in a NICU: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cta Paediatrica

102

(12), 1130-1136.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연구대상자 설명문

귀하께 본 연구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본 연구에 참가하실 것을 결정하기 전에 본 연구가 왜 실시되며 무엇을 어떻게 하게 될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이번 연구의 내용과 이 연구에 참여하실 경우, 귀하의 역할과 연구의 진 행과정 등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마련한 것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본 대상 자 설명서를 읽으시고, 원하신다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 상의하셔도 됩니다. 또한, 궁 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시험 책임자나 다른 시험담당자에게 질문하신 후 심사숙고 하 시어 이번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연구 제목

고위험 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

2. 연구 책임자

연구 책임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송주은 교수

연구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수희

3. 임상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애착, 간호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토대로 고위험 신생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과 관련된 부모의 경험을 이해하고 부모-신생아 간의 애착 형성 및 가족 적응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4. 임상연구 참여대상자 수 및 참여기간

1)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대략의 대상자수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아주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의 부모 152명을 진행하게 됩니다.

2) 대상자의 연구참여 예상기간

연구기간은 대략 1년으로 귀하는 단 1회의 설문조사로 연구 참여가 완료됩니다.

5. 임상연구의 절차 및 방법

본 연구의 설문지에는 고위험 신생아 및 부모의 일반적 특성 26문항, 부모 스트레스 26문항, 애착 26문항, 간호지지 21문항으로 총 9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문지를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0-25분입니다. 본 설문지는 옳고 그른 대답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솔직하게 빠지는 문항 없이 응답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연구에 참여하길 원하는 경우 설문을 작성하여 주시기 바라며, 작성하신 설문지는 밀봉된 봉투에 보관할 것입니다.

6.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부작용, 위험과 불편함

연구 기간 중 사소한 불편감을 느끼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연구자에게 알려주시기 바 랍니다.

7.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이득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 귀하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없을 수도 있으나, 귀하의 솔직하 고 성의있는 답변은 고위험 신생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애착의 관계에서 간호지지의 조 절효과를 파악하여 부모-신생아 간의 애착 형성 및 가족 적응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8. 연구 참여 비용 및 금전적 보상

1) 연구 참여 시 예상되는 비용

귀하가 연구에 참여하는데 지불할 비용은 없습니다.

2) 금전적 보상

귀하는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4000원 상당의 커피 기프티콘을 지급 받게 될 예정입니 다.

9. 손실에 대한 보상

연구 기간 중 저희는 귀하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10. 자발적 참여 및 동의 철회

귀하는 언제라도 연구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 며,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나 연구 참여가 중단되는 경우 연구담당자는 귀하의 의학정보 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수집된 정보는 보존 기한(종료 후 3년)이 지난 후 폐기 할 것입니다.

11. 인체유래물 보존 및 폐기 등에 관한 사항

해당없음

12. 인체유래물과 그로부터 얻은 정보(유전정보) 제공에 관한 사항

13. 인체유래물연구를 비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인체유래물 등의 폐기 또는 이관에 관한 사항

해당없음

14.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정보의 보관, 관리 및 폐기 등에 관한 사항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자료는 본 연구에 등록된 연구책임자 또는 연구책임자로부터 위임 받은 연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도록 보완을 유지하여 적절하게 보관하고, 연구정보가 포함된 설문지는 밀봉된 봉투에 넣어 보관할 것입니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본 연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여 보관하고, 연구 정보가 포함된 PC의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수집된 정보의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할 것입니다. 관련 법률 및 규정에 따라 수집된 모든 정보는 연구 종료 시점으로부터 3년 후에 폐기할 예정입니다.

15. 사생활 및 기밀유지에 관한 사항 관한 사항

본 연구의 일부로 여러분의 개인기록, 의료기록, 검사결과, 건강정보 등이 수집되며, 수집된 정보는 모니터요원, 점검을 실시하는 자, 심사위원회 및 관련 정부기관 등에서 대상자의 비밀보장을 침해하지 않고 관련법 또는 규정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연구 실시의 절차와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열람될 수 있고, 본 동의서에 서명하는 것이 이러한 자료의 열람을 허용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대상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비밀로 보장될 것이며, 연구결과가 출판될 경우에도 대상자의 신원은 비밀 상태로 유지될 것입니다.

귀하는 언제라도 연구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 연구담당자는 여러분의 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며, 기 수집된 정보는 분석에 이용하지 않고 보존 기한(종료 후 3년)이 지난 후 폐기할 것입니다.

16.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 3자 제공에 관한 사항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8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