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건설시장의‘뉴 노말(New Normal)’

지난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을 계기로 시작된 미국발 금융위기는 글로 벌 금융위기로 확산되었다. 이번 금융위기는 주변부가 아니라 세계경제의 중심부 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촉발되었고, 금융부문뿐만 아니라 유럽과 일본 등 선진 국 경제 전반의 침체(Recession)를 초래하였다. 개도국의 경우, 비록 침체 국면까 지는 아니어도 전반적인 성장세 둔화가 야기되었다. 금융부문 외에 가장 큰 충격 이 가해진 영역은 주택・건축・개발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건설시장이었다. 이번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된 것은 미국 주택시장의 침체였지만, 미국과 유사하게 부 동산 거품이 잔뜩 끼어 있었던 아일랜드・스페인 등 유럽 국가는 물론 두바이 같 은 중동지역의 일부, 그리고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부동산시장도 큰 폭 의 조정과정을 거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건설시장도 전반적인 글로벌 경제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의 전 세계적 확산시기인 2008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크게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금융위기 전후의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 변화를‘뉴 노말(New Normal)’이라는 단어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이번 금융위기는 일시적・표피적 인 변화가 아니라 근본적・구조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위기가 극복되더라도 다시 과거로 되돌아 갈 수 없다. 뉴 노말이란 이처럼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구조적 인 변화가 일상화되어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건설시장 의 동향과 전망도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다. 글로벌 건설시장의 뉴 노말은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이상호|GS건설경제연구소장

(2)

글로벌 건설시장의 성장세 축소 내지 정체 장기화 Global Insight(2009)에 따르면, 금융위기 이전 인 2003~2008년에는 글로벌 건설시장의 연평 균 성장률이 4%를 상회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인 2008~201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2.2%

로 전망되었다. 특히 주택을 포함한 건축시장의 경우 2003~2008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2.9%였 지만, 2008~2013년에는 0.9%로 성장률이 떨 어질 전망이다.

선진국 시장 침체 대비 신흥시장 성장세 지속

미국・EU・일본과 같은 선진국 건설시장의 성 장률은 상당기간 위축 내지 정체 상황을 벗어나 기 어려운 반면, 중국・인도・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이다. 성장하는 신흥시장에서 수주와 매출을 얼마나 늘릴 수 있 는지가 글로벌 건설업체로의 도약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본다.

부동산 재고조정 장기화 및 과도한 부채 축소

과잉 공급된 부동산의 가격하락세가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공급 위축과 재고조정 과정이 2013 년까지도 지속될 전망이다. 주택 모기지 (Mortgage) 등 민간부문의 부채나 경제위기 극 복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 과정에서 불거진 국가 부채 모두가 축소・조정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수요 위축과 과잉공급 상황의 장기화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높은 실업률과 부채 축소

에 따라 기존의‘(만성적인) 초과수요・공급부 족’상황을 전제로 한 정부정책과 기업 경영전략 모두 변화가 필요하다.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초점고객 이동

금융위기 이전에는 전 세계적으로 고소득층 (High End Market)을 대상으로 한 고가 호화주 택, 대형 평형 중심의 건설시장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저소득층 내지 개도 국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저가 주택(Low Cost Housing or Affordable Housing) 시장 등 이 활성화될 것이다.

재정사업 위축과 민간투자 활성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G20을 비롯한 대부 분의 국가들은 정부재정사업을 크게 확대하였 다. 그 결과 심각한 글로벌 경제위기는 벗어났으 나, 최근 들어 그리스・스페인 사례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재정지출 과다로 인한 국가부채 문 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2010년 하반기부터 는 출구전략과 더불어 재정건전화를 위한 긴축 정책으로 정책방향의 선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글로벌 건설시장은 재정사업이 위축되는 대신, BOT・BTO・IPP 등 다양한 이 름 의 민 간 투 자 사 업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이 활성화될 것이다.

민-관 협력 강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건설시장 성장은 정부 보다는 민간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3)

2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늘어났고, 특히 G20을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 정부 간의 공조도 활성화되었 다. 국내 건설업체의 아랍에미 리트(UAE) 원전수주 사례나 최근의 브라질 고속철도 수주 경쟁에서 보듯이, 향후 글로벌 건설시장은 민간건설업체와 정 부 간 협력을 통한 수주나 사업 창출 사례가 증가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글로벌 건설시 장의 뉴 노말은 금융위기 이후 의 동향이지만, 글로벌 경제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도 지속될 전망이다.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

1. 지역별・부문별 동향

세계적 경기예측기관인 Global Insight(2009)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3~2008년간 연평균 4%를 상회하는 성장률을 보이던 글로벌 건설시장이 2008~2013년간에는 2%대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비주거와 주거 부 문을 포함한 건축시장은 2013년 이후에 성장세를 회복할 전망이고, 중국・인도 를 비롯한 아시아・중동・남미 등 신흥시장과 인프라시장의 성장세가 2008년 이 후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뚜렷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2. 글로벌 건설업계 동향

미국의 건설・엔지니어링 전문지인「ENR(Engineering News Record)」이 선정 한 225대 해외건설업체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2009년에는 글로벌 금

<그림 1> 지역별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과 전망

자료: Global Insight. 2009. Global Construction Outlook.

자료: Global Insight. 2009. Global Construction Outlook.

190

170

150

130

110

90

70

50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Asia

MidEast and Africa South America

Eastern Europe North America Western Europe Non-Japan Asia

<그림 2> 부문별 글로벌 건설시장 동향과 전망

8%

7%

6%

5%

4%

3%

2%

1%

0%

Total Nonresidential Structures

Infrastructure Residential

2003-08 2008-13 2013-18

(4)

융위기로 인해 해외매출액 3,838억 달러, 매출 액 성장률은 전년 대비 0.4%로 사실상 정체상태 를 보였다. 2004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 록했던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해외매출 비중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처음으로 줄 어든 것이다. 이와 더불어 2009년에 225대 해외 건설업체의 국내매출액 성장률이 8.2%였다는 사실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해외매출액 성장 률(0.4%)과의 차이가 이처럼 큰 이유는 각국마 다 경기부양 목적으로 인프라 투자가 늘어났다

는 사실과 함께 자국업체 보호정책이 작용한 결 과로 볼 수 있다. 글로벌 경제회복이 이루어질 때까지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해외건설시장에서의 수주경쟁도 그만큼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부문별 매출액 추이를 보면, 최근 5년간 발전(28.6%), 석유화학 (24.4%), 교통부문(20.6%)은 연평균 전체 매출 액 성장률(18%)을 상회하였다. 하지만 2009년 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한 사업부문은 발

2004

502.3 562.8

651.2 827.0

964.9

33.3

167.5 189.4 224.4

310.2

382.4 383.8

33.7 34.5

37.5 39.6

38.2

2005 2006 2007 2008 2009

자료: ENR. 각 연호. 자료: ENR. 각 연호.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13.4 19.8

13.1

11.5 18.5

14.3 38.2

23.3 21.1

11.3 8.2

0.4

<그림 5>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부문별 매출액 추이

(단위: %)

80 70 60 50 40 30 20 10 0 -10 -20

자료: ENR. 각 연호.

발전 석유화학 교통 환경 건축 제조/산업

33.6 28.6

0.6 24.4

7.9 20.6

-12.6 16.9

-8.6 15.6

-18.4 11.9 평균 CAGR: 18.0%

‘04 ‘05 ‘06 ‘07 ‘08 ‘09 CAGR

(5)

2

전과 교통부문뿐이다. 이 중 특 히 두드러지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영역은 발전부문이다.

2008년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발전부문 매출액은 267억 달러 였고, 2009년에는 357억 달러 로 33.6%의 성장률을 기록했 다. 2010년 이후에도 발전부문 의 성장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 인다.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수주 액 및 수주액 성장률 추이도 매 출액과 유사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다만, 수주액은 매출액의 선행지표이기 때문에 2007년을 정점으로 해외수주액 비중이 줄 어들고 있으며, 해외수주액 성 장률도 2008년부터 국내보다 떨어지기 시작했다. 해외수주액 비중의 하락폭이나 국내수주액 성장률과의 격차는 2009년 들 어 현격해졌다.

글로벌 건설시장의 향후 전망

1. 지역별・사업부문별 전망

글로벌 경제의 침체와 함께 글로벌 건설시장도 2010년까지는 침체국면이 지속되 다가 2011년부터 다시 성장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Global Insight에 따르면, 2010년 글로벌 건설시장의 성장률은 -0.4%(2005년 불변가격 기준)로 전망되지 만, 2011년에는 글로벌 경제회복에 따라 4.9%로 반전되다가 향후 4%대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한다. 2010년 이후 인프라 부문, 아시아・중동・남미

<그림 6>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수주액 추이

(단위: 10억 달러, %)

자료: ENR. 각 연호.

자료: ENR. 각 연호.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합계

510.3

32.6 35.4

39.6

42.8 41.5

38.7

166.4 220.0 300.2

420.0 472.1 484.6 621.7

758.6 981.8

1,136.6 1,250.8

해외 해외비중

<그림 7> 225대 해외건설업체의 수주액 성장률 추이 (단위: %)

합계

10.4 16.9

14.1 22.6

18.3

12.4 14.4

7.4 22.8

32.2 36.5

39.9 해외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6)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고, 2011년 이후에 는 주거용 건축부문도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2. 중동 시장 전망

2010년에는 중국 건설시장이 미국을 제치고 세 계 제1의 건설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건설시장은 외국 건설업체들에게

사실상 개방되어 있지 않다.1)국내 건설업체들의 주력 해외건설시장은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국가를 중심으로 한 중동 시장이며, 그 비중은 해외수주 실적의 70%를 상회하고 있다.

고유가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두바이를 제외한 중동 국가 대부분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을 크게 받지 않았다. 중동 국가들은 산업 다변화를 위한 중장기 개발전략에 따라 전통적인 석유・

Total Resi dential Infrastructure Nonresidential structure

2010 2011 2009-14 2009-19

6

4

2

0

-2

-4

-6

자료: Global Insight. 2010・5. Global Construction Outlook. 자료: Global Insight. 2010・5. Global Construction Outlook.

10

5

0

-5

-10

-15

<그림 10> GCC 국가별 계획된 프로젝트 규모

(단위: 백만 달러)

<그림 11> GCC 국가별 건설투자 전망(2010~2015년) (단위: 백만 달러)

자료: MEED. 2010・5. MEED Insight. 자료: MEED. 2010・5. MEED Insight.

1) Global Contruction Perspectives and Oxford Economics. 2010. Global Construction 2020.

Asia

2009 2010 2011 2012

South

America Eastem

Europe Western Europe North

America MidEast

and Africa

UAE

Saudi Arabia

Qatar

Oman

Kuwait

Bahrain

O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Bahrain Kuwait Oman Qatar Saudi Arabia UAE Water and Waste

Contracts awarded 2005-2010

Projects planned or announced 2010-2015 Petrochemicals

Oil/Gas production Infrastructure Industrial Construction Alternative Energies Refining Power

450000

400000

350000

300000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0

Value of Gcc profects by status 2005-2015

(7)

2

가스 플랜트 부문 외에 건설 및 인프라, 발전 등 다양한 부문의 인프라에 지속적 으로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예컨대, 2010~2015년에 GCC 국가의 대부 분은 2005~2010년 동안보다 더 많은 건설투자를 할 예정이다. 특히 사우디아라 비아, UAE, 쿠웨이트, 카타르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3. 글로벌 인프라시장 전망

당분간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사업부문은 인프라시장이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2005~2030년간 글로벌 인프라 시장의 규모는 약 41조 달러라고 한다. 이 중 물시장이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그 다음은 발전(22%)시장이다. 녹색성장이 강조되면서 철도시장의 비중도 전 세 계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도로나 공항・항만시장의 성장세는 그 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맺음말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건설시장의 동향과 전망을 볼 때, 다음 5가지를 이 글의 결 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세에 따라 해외건설시장의 급격한 성장세도 기대 하기 어렵다. 따라서‘저성장 기조의 장기화’라는 뉴 노말을 염두에 두고,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해외사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저성장 시기의 핵심적인 성장 전략 중 하나는 인수・합병(M&A) 전략이다. 경영난에 처한, 미국 등 선진국의 엔지니어링 업체 간 M&A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진국 건설시장은 침체가 지속되는 반면, 신흥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 다. 한때 국내 건설업체들도 미국・EU・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지만, 시장의 성숙도나 중장기 전망에 비추어 볼 때 신흥시장 진출확 대 노력이 여전히 중요하다. 건설시장 자체의 규모는 중국이 제일 크지만, 법・제 도적 장벽 등으로 인해 외국 건설업체들에 개방된 시장이 아니다. 따라서 국내 건 설업체들은 전통적인 주력 시장이라 할 수 있는 중동 시장을 중심으로, 최근 급격 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북아프리카 및 중남미, 동남아 시장으로 진출지역을 다 변화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주택・건축・개발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과잉공급의 여파에 시달리고 있

(8)

다. 따라서 상당기간 동안 재고조정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건설업체들은 물, 발전, 철도(고속철도, 지하철) 등과 같이 성 장하는 인프라시장에 대한 진출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11년부터는 전 세계적인 긴축재정과 출구전략이 가시화되면서 재정사업이 크게 위축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비단 그리스와 같이 국가 부채가 심각한 수준인 나라뿐만 아니라 중동 국 가들과 같이 상대적으로 재정 여력이 풍부한 나 라들도 민간투자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 라 국내 건설업체들도 해외 민간투자시장에 대 한 참여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국내 건설업체 단독으로가 아니라, 다양한 협력을 통한 해외건설시장 진출확대 노 력이 중요하다. UAE 원전수주 사례에서 보듯이 정부 및 공기업과의 협력이 중요하며, 해외 태양 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는 타업종과 의 협력도 필요하다. 한 가지 더 강조한다면, 중 국 등 개도국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한 제3국 진 출이다. EPC 플랜트 시장을 제외하고, 이미 해

외 토목・건축시장에서 국내 건설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이 상실된 지 오래되었다. 시공기술의 경 쟁력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국보다 나 을 게 없다. 설계, 엔지니어링, CM・PM 등 소 프트웨어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 등 개도국 업체와 함께 제3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거나 현 지 업체들을 시공업체로 활용할 수 있어야 글로 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2010년 9월 말 확정된 2011년 예산(안)을 보 면, 유일하게 SOC 예산만 3.2% 줄었다. 2010

~2014년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SOC 예 산 증가율이 연평균 -1.7%로 감소한다. 경제위 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늘렸던 SOC 투자를 이제부터 정상화한다는 취지이지만, 이 는 결국 국내 건설시장이 2011년부터 본격적인 감소세에 직면하게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 같은 시점에서 해외건설시장 진출확대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과제다.

올해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이미 5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연말까지 700억 달러를 달성할 것이 라는 사실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사람이 있을

자료: Financial Times. 2010. 6월 7일자. 자료: Financial Times. 2010. 6월 7일자.

10 8 6 4 2 -

발전 도로/철도 공항/항만

북미 중남미 유럽 아시아/오세아니아 기타

도로/철도 19%

4%

발전 22%

55%

(9)

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중 약 70~80%는 플랜트 실적이다. 토목・건축부문의 해 외수주실적이 급격하게 늘어나지 않는다면, 국내 건설업체의 생존 문제는 심각해 질 수밖에 없다. 글로벌 인프라시장의 동향과 전망을 면밀히 분석하여 토목・건 축부문도 플랜트에 버금가는 해외수주실적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G20 의장국으로서 정부 간 포괄적인 개발협 력 연계의 강화를 통해 건설업체의‘+30억 신흥시장’진출확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2

참고문헌

삼성경제연구소. 2010・3. 위기 이후 세계경제의‘뉴 노멀’

이상호. 2010・2. 2010 해외건설시장 전망 및 진출확대전략. 해외건설협회.

_______. 2010・4.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건설산업 선진화 과제(안). 건설산업비전포럼.

ENR. 각 연호.

Financial Times. 2010. 6월 7일자.

Global Construction Perspectives and Oxford Economics. 2010. Global Construction 2020.

Global Insight. 2009. Global Construction Outlook.

MEED. 2010・5. MEED Insight.

참조

관련 문서

Zao Wou-Ki generated the best H1 result for the entire Asian continent in Hong Kong; 53% of Zhang Daqian’s turnover was hammered there, and lots of new

Should the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deteriorate, it may even rise, especially as gold volatility historically exhibits a positive skew in such circumstances,

지난 10월 발간된 국제통화기금의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사회간접자본 투자 를 강조하면서 글로벌 사회간접자본구상 (Global Infrastructure Initiative: GII)를

38) 글로벌 금융위기의 근본적 원인이 정부정책의 실패에서 기인했다는 사실에 대한 내용은 Stan J.. 그리고 금융기관의 경영자들이 이러한 고위험의 주택담보대출을 다양한

2장 글로벌 e-비즈니스와 협업 비즈니스 정보시스템의 종류..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우주항공 산업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이 차세대 혁신 산업으로 인식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분야이다.. 우리나라 역시 6개의 미래유망신기술(6T) 중 하 나로

[그림 8]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정리 [표 5] 디지털 전환 확산 시나리오 별 가계소득 분배 효과 전망 8. BASE (정책

• 우리나라가 오픈데이터 선도 국가가 되기위해서는 강력한 추진의지를 바탕 으로 지속적으로 지원하고,훈련을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