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반인의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ilot study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일반인의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ilot study1"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일반인의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ilot study

1

조수미1·이은주2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1 경북대학교 간호대학2

Phenomenological Study of Public's Experiences on Patient Safety at Hospital Setting: Pilot study

Sumi Cho¹ · Eunjoo Lee²

1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Doctoral stud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sumer'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 hospital qualitatively. Method: Three individuals with a recent hospitalization participated in depth interviews. Three participants described about their specific hospital experiences related to safet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Result: Four basic themes were identified: 1) Insufficient information: All participants felt unsafe when they had to make decision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2) Trust with medical staffs: All participants worried about over supply of expensive treatments.

3) Competency and experiences of medical staff: Participants worried about the mistakes done by medical staffs due to fatigue, overwork, and lack of experiences. 4) Risk of infection and physical injury:

Participants expressed worries about unclean environments, hand hygiene of medical staffs, risk of fall, and threaten from unknown people. Conclusion: Participants agreed that they couldn’t ask medical professionals anything even if unsafe procedure performed them.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have attitude on patient safety and permit them to ask any questions related to patient safety freely. This study results may help to understand how consumers’experiences on safety influence their overall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care they received.

Key words: Patient safety, Qualitative study 국문주요어 : 환자안전 질적연구,

Corresponding author : Lee, Eunjoo

소속 : Gukchaebosang ro 680, Jung gu, Daegu 700 422

Tel: +82-53 420 4934 Fax: 82-52-425 1258 E-mail: jewelee@knu.ac.kr Received : Jun 30, 2015 Revised : Aug 10, 2015 Accepted : Sep 1, 2015

(2)

연구의 필요성 1.

미국의학 도서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서 제공하는 문헌 데이터 베이스 Pubmed에서 Patient 라는 제목의 문헌을 검색하면 천 건이 넘을 정

Safety 5

도로 환자 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1]. 하지만 환자 안전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 은 예방 가능한 유해 사건들의 유형에 대해 조사하거 나 혹은 환자 안전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과 환자 안, 전문화 그리고 환자 안전에 대한 교육 효과 등에 대, 해서 조사하는 등 의료제공자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 었다[2 5]. 환자가 의료의 중심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환자가 그들의 안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환자안전을 위해 스스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6].

환자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환자 스스로가 의료팀 의 한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 보건기구(World Health 와 미국 질병 관리 및 예방 본부 Organization, WH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Joint Commission, National patient safety 등의 다양 한 기관들에서는 환자 안전에 대해 환자가 알아야 하 고 질문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교육자료를 제시하고 있다[7]. 선행 연구에 의하면 의료진이 생각하는 환자 안전은 주로 환자의 결과적 측면에 중점을 두는 반면 에 일반인들은 치료의 과정적 측면이나 의료진과의, , 의사소통이 환자 안전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측면이라 고 생각하여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8].

따라서 일반인들이 환자 안전에 대해서 어떤 경험을 하였고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 인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기반하여 교육 자료를 설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안전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 하는 것은 의료에 대한 확신과 만족도 치료 과정에, 대한 불만처럼 환자 결과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기 때 문에 지속적인 질 향상 노력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 환자 및 환자를 방문( 한 자 이 병원을 이용하면서 안전하거나 안전하지 못) 했다고 느꼈던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의료 진들이 환자안전향상을 위한 전략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당신은 병. 원에서 어떤 경우에 안전하다 혹은 안전하지 못하다고 느꼈는가 이다?’ .

연구방법

연구 설계 1.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환자 안전에 대한 경험을 있 는 그대로 파악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는 현상학적 연 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 2.

본 연구참여자는 A시에 거주하고 있는 30대 주부로 최근 2년간 본인이 입원을 한 경험이 있거나 가족이, 입원을 한 적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 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참여를 동의한 자 로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자로 하였 다 연구참여자 명 모두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 , 37 세로 나타났다 학력은 모두 대졸이었으며 종교는 기. , 독교가 명이었고 명은 비종교인이었다1 2 .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3.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면담시 작 전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면담내용은,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필, 요 시 어느 때라도 철회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술된 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자료 수집 방법 4.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13 11월 한달 동안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 횟수는 참여자 별로. 1회씩

(3)

수행되었고 1회 면접 시 1.5시간 시간을 소요하였다2 . 참여자의 동의 하에 면담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면담 직후 연구자에 의해 필사되었다 면담 시 연구참여자. 가 자유로이 이야기할 수 있도록 참여자의 집에서 개 방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방법 5.

일반인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면담진행 과정에 대한 필사본과 메모를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Colaizzi[9]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였 . 즉 전사한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반복하여 읽 으면서 의미있는 진술을 도출하고 도출된 진술을 비, 교하면서 의미를 파악하고 파악된 의미에 따라 주체, 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발견된 주제의 적절. 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연구자와 논의를 통한 수정과정을 거쳐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진술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녹음한 대화 내용들을 옮겨 적어 정독하는 방식으로 여러 번 읽었다.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미있 는 진술을 도출하기 위해 대상자의 진술 내용을 꼼꼼 히 살펴보고 주제어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 또한 의미있는 진술을 주제어로 변형하는 단계에서 연구자 가 현상학적 환원의 자세[9]로 연구 참여자의 기술로

돌아가 본질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질적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면담이 진행 되는 동안 연구 참여자와 허용적이고 안전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노력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의 경 험이 사실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의 경험과 느낌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들에게 연구자가 분석한 내용을 보여주고 진술한 내용 의 진실성을 검증 받았다 또한 면담과정에서도 유사. 한 질문을 반복하여 일관성 있는 대답이 나오는 지에 대한 확인과정을 겪었다 또한 면담과정 동안 연구자. 의 개인적인 편견을 제외하고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자신들의 언어로 표현하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 였다.

질적 연구방법에서는 연구자가 도구가 되기 때문에 연구자의 연구 수행능력이 요구된다 연구자는 박사과. 정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강의를 받았으며 자료 수집, 전에 환자 안전에 대한 문헌 고찰을 충분히 하였다.

연구결과

환자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주 제모음은 4개로 불충분한 정보 의료진에 대한 신뢰, , 의료진의 능력과 경력에 대한 고려 감염 및 신체 손, 상의 위험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Table 1).

Themes Categories

1 Insufficient information 1) Lack of information acquired from medical staffs 2) Lack of information on medication and discharge

2

Trust with medical staffs 1) Fear on the business oriented intention by medical staffs 2) Unfaithful and distrustful attitude of medical staffs 3) Understanding and accepting attitude of medical staffs 3 Competency and experiences of medical staff 1) Lack of experiences and competency of medical staff

4

Risk of infection and physical injury 1) Unclean environment 2) Risk of infection 3) Risk of physical injury

4) Unknown threaten from other people who share room together Table 1. Themes and categories of the study

(4)

주제모음1:불충분한 정보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가 부족한 것 1)

참여자들은 질병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고 의료진 으로부터 자세한 설명을 듣는 것이 안전을 위해서 필 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대학병원으로. 옮겨야 할지 있던 병원에서 계속 진료를 받아야 할, 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리, 고 수술을 받아야 할 지 말아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 는 순간에 올바른 결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충 분히 제공받지 못한 채로 결정을 내리게 되는 상황이 안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였다.

어떻게 보면 환자의 판단에 맡긴다라는 이런 무책임 .. 그런 중립적인 마음으로,,, 내가 보기에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거에요.. 그러니까 의사 본인은 그게 중립적인 상태였을 지는 몰라도 내가 보기에는 충 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생각을 해요 근데 의. 사들이 대부분 그런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중립. 적이다 그런데 정보를 굉장히 조금만. ,, 후유증 같은 건 환자가 감당해야 하는 건데 의사가 그거 얘기해주지 않 으면 어떻게 아냐고 그런 게 부족한 것 같아요. .

나는 환자에게 주어지는 정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을 했어요.. 알아야지 환자가 선택해야 하는 부분 이 분명히 있잖아요 그래서 굉장히 중요한데 조금이. 라도 자기가 책임을 질 소지가 있으면 차단하고 나중 에 알려주고 저걸 왜 이제 얘기해주지?

저는 병원에서 정보를 많이 줄 때 그때가 내가 가장 안전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아요.

2) 투약 및 퇴원교육에 대한 자세한 정보

참여자는 복약 지도와 퇴원 시에 자세한 정보를 제 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였다 기존에 다니. 던 병원에서는 받지 못했던 자세한 설명과 교육 자료 를 다른 병원에서 받은 경우 더욱 안전하다고 생각하 였다.

울엄마 ***병원 입원했을 때는 조제약을 받잖아요 그때 약 사진 약 효능 약의 부작용을 다같이 프린트, , 해서 주더라구요 그리고 퇴원할때도 무슨일이 있으면. 이쪽으로 연락을 주시고 담당 간호사 이사람한테 전, 화하시고 퇴원할때 상세하게 먹는 약이랑 해서 다 설, 명을 꼼꼼하게 해주더라구요 정말 여기는 좋은 병원. 이구나 생각을 했어요.

주제모음2:의료진에 대한 신뢰 장사 속 병원에 대한 두려움 1)

참여자들은 의료진에 대한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였 다 의료진이 환자의 이익이 아니라 개인의 이익을 위. 해서 환자에게 수술이나 처치를 받을 것을 권유한다고 느낄 때 자신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가 나와서 병원을 갔는데 수술을 하자는 식 으로 그래서 제가 물어봤어요 수술을 안하면 어떻게. . 되는데요 그랬더니 갑자기 벙진 얼굴로 나를 보는 거? 에요 딱 그거죠. .. 정보를 가르쳐줄 의향도 없고 묻지 도 않는 해야되면 왜 해야되고 안했을 때는 어떤 부. 분에 문제가 있고 이런 것에 대해서는 얘기를 안하는 거죠 한참을 머뭇거리다가 얘기하는 데 큰문제가 아. 닌 거에요.. 그래서 안할래요 그랬더니 그 때 딱 느낌. 이 어땠냐면 아 장사를 하는구나 그 느낌을 받았어! . . 그러니까 나의 안전이 문제가 아니라 이 사람들 이 장사를 하는구나.. 그런 느낌 장사를 그런 생각 많. 이 하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이 사람의 환자의 안전( ) 과 건강이 아니라 병원은 장사를 하는구나 이런 두. . 려움을 병원에서 사람들이 조금씩 갖고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어요.

허리가 아파서 한 병원을 갔는데 그 시술 안하면 곧 죽을 것처럼 나한테 꼭 하라고 그랬는데 대학병원 가 니까 할 필요없다고 하지 말라고 전 사기꾼 같았어. .

한 참여자는 제왕절개를 하기 전날 피임수술을 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서 병원 직원 한 명이 와서 물어 보았다고 하였다 참여자는 하겠다고 대답을 하고 다.

(5)

음날 수술 직전에 담당 주치의가 피임수술을 하고 나 면 허리가 많이 아플텐데 담당의사와 상의도 하지 않 고 결정을 했느냐는 말을 들었다고 하였다 병원에서.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 본인에게 수술 후 합병증에 대 한 충분한 정보를 일부러 제공하지 않아 본인의 안전 을 위협받았다고 생각하였다.

전날 그 사람은 세일즈를 한 거죠 나한테 와서 그. . 런 정보를 주지 않았던 거지 이 수술을 했을 때 이런. 좋은 점이 있고 이런 부작용이 있다는 정보를 주지 않 은 거죠.. 묻지 않으면 주지 않고 물어서도 흔쾌히 대 답해주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아요.

의료진의 불친절 2)

참여자는 의료진의 친절한 태도 또한 환자 안전과 관련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의사가 환자의 마음을 헤아리고 친절한 태도를 보인다고 느낄 때 환 자는 더욱 편안한 마음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생 각하였다.

의사가 너무 성의 없이 어린애가 처음 겪은 일이고. 얼마나 당황스러워요 의사가 환자의 마음을. 10분의 1 이라도 이해해주면 절반이 낫는다는 말이 있잖아요.

의사가 너무 건방진거에요 너무 성의가 없어 설명도. . 똑바로 안해주고. 진료실 나와서 엄청 울고.

의료진의 친절 3)

참여자는 걱정되고 불안한 환자의 마음을 의료진이 이해해주고 있다고 느낄 때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진 료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친절 또한 안전에 있어서 중요 한 경험으로 지적하였다.

소아과 가면 우리 아이 전담하는 대머리 의사가 있어 .. 진료할 때 청진기를 손에 꼭 쥐고 있다가 해줘요..

이 의사는 이렇게 꼭 청진기를 손에 대었다가 해줘요.

너가 이랬구나 오 미안미안 한번만 해볼게 미안해 미안 해 하면서 해주는데 너무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요.

근데 대학병원 간호사들이 싸가지가 없어 고학력에. 다가 월급 많이 받고 그래서 그런가 백프로 다 그런

건 아닌데 좀 그래 친절한 간호사도 많은데 아닌 경. 우도 많잖아요.

친절한 것도 솔직히 중요해요 친절하지 않으면 사. 람들 그 병원 안 가지 사람들 심리가 그렇잖아요 친. . 절하지 않고 대기시간 길어지고 그러면 힘들죠 마음. 이 편하고 몸이 편해서 간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신 경들이 다 예민하단 말이죠.

주제모음3:의료진의 능력과 경력에 대한 고려

참여자들은 의료진 개인의 경력과 능력 그리고 의, 료진의 실수에 환자 안전여부가 달려있다고 생각하였 다 의료진이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환자 안전에 있. 어서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아침에 수술을 해야지 안전하다.. 오후에는 아무래도 피곤해질 수도 있고 나만 하고 있는 생각인지 어른들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생각인지는 모르겠는데 의사의 몸 상태에 대해서 내 몸이 좌지 우지 하는 거니까 의사 가 과로를 하거나 하지는 않은 상황이었으면 좋겠다 수. 술은 남자가 했으면 좋겠다는 그런 게 있더라구요.

흔히 큰 병원이라고 말하는 대학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가 더욱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였고 의사의 실력, 과 능력이 환자 안전에 있어서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 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의사의 경력이 더 많을수록 더. 욱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안전에 대한 80 90% 는 시설이나 이런 것보다는 내 병에 대한 것 그리고 의사의 능력에 달려있는 것 같아 요 경력 능력 이런 거. , .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은 기구나 시설도 있겠지만 일단 의사가 검증된 의사라는 그게 큰 것 같아요 큰 병원에 가는 이유는 그런 것도 있어요 나이 많은 의. 사는 젊은 의사는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을 해요 의사. 경력이나 졸업한 학교명이 병원에 걸려있으면 확인하 고 그런것을 사람들이 많이 보는 것 같아요.

(6)

주제모음4:감염 및 신체 손상의 위험에 대한 두려움

지저분한 병원 1)

참여자들은 병원의 위생과 청결이 안전을 위한 중요 한 요소라고 대답하였다 입원실 환경과 청소 상태. , 의료진 가운의 청결 등이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나는 병원엘 가서 깨끗하고 좋다라는 생각을 한적이 한번도 없어요 청소도 너무 대충하는 것 같고 얼마. 전에 안과에 다녔는데 거기는 엄청 철저하더라고 안. 과 검사대에 이마를 이렇게 대는 곳 있잖아요 거기를. 환자 한 명 검사할 때마다 꼭 소독솜으로 닦더라고..

그러니까 더 안전한 병원 같더라고.

병원 갔다가 병 옮겠다 2)

참여자들은 다른 환자들로부터 병이 옮을 수도 있다 는 불안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병원 환경에 대한. 염려를 병원 갔다가 병이 더 옮겠다 하는 말로 표현 하였다.

종합병원 같은 데는 온갖 환자들이 다 모여있잖아요.

그래서 왠지 옮을 것 같은 느낌 아닌 것 아는 데 거기. 가면 병을 옮겨 올 것 같은 그런 불안함도 있었어요..

대기실에서도 뭔가 분류가 좀 되었으면 좋겠어요.

보건소에 아기 예방접종을 하러 갔는데 할아버지 할머 니들이 거기 의자에 옆에 앉아서 콜록콜록 대고 있으 니까 여기 있다가는 안되겠다 빨리 나가자 나가자 하 고 나왔다니까요 거기서 병 옮아올 것 같아요 전염. . 이나 많이 안좋은 사람들은 좀 따로 앉거나 그런건 안 되나요?

참여자는 의료진이 손을 씻어야 하고 환자에게 접, 촉된 기구로 인해 감염이 될 수도 있음을 인지하고 있 었다 하지만 알고 있는 사실을 의료진에게 요구하지. 는 못하였다.

그 병원 나 진료보더니 손 엄청 깨끗이 씻더라구요.

그때 여름이었고 내가 샌들을 신고 갔으니 당연히 만 지고 나서 손을 씻어야지.. 근데 진짜 깨끗하게 씻더 라구요. 다른 병원에서는 손을 잘 씻는 것을 전 못 본 것 같아요 의사도 그렇고 간호사도 그렇고 솔직. . 히 소아과 같은 경우는 다 감염에 대한 보균자인건데 체온계 같은 것도 그렇잖아요 이놈 찌르던 거 닦지도. 않고 저놈 지르고 그러잖아요 근데 안과 갔을 때는. 그걸 체온계를 꼭 닦고서 재보더라구요 역시 여기는( ) . 다르구나 했어요.

하지만 닦아 달라고 얘기 해보지는 않았어요 저사. 람 진상 떨고 깔금 떨고 피곤하게 한다 그럴까봐서요.

남들 다 안하는 거 나만 하면은 그런게 있잖아요 그. 게 기본인 것 같은데 안 지켜지니까 말은 못하고.

신체손상의 위험 3)

참여자는 신체적인 안전 또한 환자 안전과 관련된 경험으로 생각하였다 자녀가 진료를 받던 도중 침대. 에서 떨어질 번했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소아과 갔을 때 간호사인지 조무사인지 애가 한창 뒤집기 할 때였는데 애를 가로로 눕혀야 안떨어지는데 세로로 눕혔던 거야 애가 완전 떨어질 번 했잖아요. . 의사가 놀라서는 애를 낳아봐야 알지 안키워봐서 간호 사가 몰랐다는 식으로 얘기를 하더라고.

낯선 사람들과 한 병실에서 생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4)

참여자는 같은 병실에서 함께 생활하게 되는 보호자 들의 신변이 확실하지 못하다는 점과 병원에는 신분, 이 확인되지 않은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 간다는 점에 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하였다.

병원 같은 경우에는 솔직히 누가 나가고 들어오는 지에 대해서 모르잖아요.. 몇 호 가세요 이 거 없잖? 아요 신분. .. 오는 사람에 대한 신분을 알 수가 없고. 어쨌든 같이 잠을 자는 사람들이잖아요. 6인실 같으면 그런 사람들에 대해서 별의별 사람들이 오는데 밤에

(7)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환자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 대해 연구한 국 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은 의료진과의 대인관계 작용 에 더욱 큰 중점을 두었고 서비스의 질을 중요시하였 다 의료진이 친절하고 검사가 지연되지 않는 것이 더. 욱 안전하다고 생각하였다[6, 8, 10]. 친절을 중요한 측면으로 보았다는 점에서는 일부 공통된 결과를 보였 다고 볼 수 있지만 의료진이 환자가 아닌 병원의 이, 익을 위해서 환자들에게 처치 등을 권할 수도 있다고 느꼈을 때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였다는 점은, 국내 의료환경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질병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 낄 때 혹은 의료진 사이에 정보의 전달이 제대로 되, 지 않다고 생각할 때가 안전하지 못하다고 여겨진다는 점은 기존 연구들[8,10]에서 확인한 점과 공통되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본인의 질병과 관련된 충분한 정, 보를 제공받고 교육받는 것이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환 자 안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점으로 인식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의료진에 대한 신뢰가 환자안전을 평가하는 요소로 연구 참여자들은 판단하였다. Schlenker [11]은 신뢰 를 위험한 상황에서 타인이 제공하는 불확실한 환경 적 상태와 이에 수반되는 결과에 대한 정보에 대한 믿 음 으로 정의하였다 즉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문성이 . 부족한 상태에서 참여자들은 불확실성을 경험하게 되 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환자에게 위협으로 받아들이게, 되어 자신이 곤란한 지경이나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 고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진과의 신뢰관계는. 해당 병원을 재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은 데에도 중 요한 영향을 미친다[12,13]. 따라서 의료진에 대한 신뢰 는 의료진에 대한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게 하고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안전이 위협받지 않게 느끼게 되 므로 의료진의 환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은 안전한 병원 환경 구축을 위해서도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요소이다.

의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이 병원의 인 Rathert [10]

력이 부족한 것에 대해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보호자가 있는, 것이 더욱 마음이 놓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 력부족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으며 의료진의 전문, 성과 경력이 충분하다고 생각되는 곳에서 더욱 안전하 다고 생각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외 연구에 도출된 개념과는 상이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병원의 청결과 위생과 관련한 사항을 안전과 관련하여 중요한 측면으로 생각 하고 있었으며 이점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언급되, 지 않은 점이다 참여자는 병실이 지저분하고 먼지가. 많을 때 안전하지 못하다고 하였으며 다른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병이 옮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 었다 또한 의사가 손씻기를 잘하는 경우 더욱 안전하. 다고 생각하였고 당연한 것이라고 여겼지만 손을 씻, 지 않는 경우에 요청을 해본 적은 한번도 없었다고 대 답하였다 소아과에서 의료진이 손을 씻지 않고 고막. 체온계를 닦지 않고 쓰는 것이 내키지 않았음에도 유 난 떠는 보호자로 보일까 봐서 닦아줄 것을 요청하지 는 못하였다고 하였다.

일반인들은 깨끗한 환경에 대해서 병원균의 전파 경 로 무균적 수행 등과 같이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단계, 까지 접근하지는 못하였지만, 병원의 위생과 청결이 환자 안전에 충분히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었 다 병원에서 흔히 일어나고 있는 병원 내 감염은 환. 자 안전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임은 확실하다[2].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인들에게 이와 관련한 정보를 구 체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을 보인다.

참여자는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질 번한 경험을 이야 기 하면서 안전하지 못한 경험으로 얘기하였다. 낙상 과 관련된 사항은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예방가능 한 의료 사고로 확인된 바 있다[2]. 선행 연구에서 물리적 인 안전이 환자가 생각하는 주요 요소로 확인된 바 있 [14].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서 더욱 많이 알리고 낙, 상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의료진은 손을 씻어야 하고 병, 실은 청결히 유지되어야 하며 비침습적 도구라도 여, 러 환자가 함께 쓰지 않는 것이 좋다는 사실을 생각하 고 있으면서도 의료진에게 건의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

(8)

다 이점에 대해서는. Howard의 연구에서도 지적한 바 있다[15]. WHO, CDC, National Patient Safety The 에서 예방 가능한 의료 사고를 방지 Joint Commission

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에게 의문점은 항상 질문하고 본 인의 안전을 위해 의료진이 지켜야 할 사항이 지켜지 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우 반드시 요청하라고 교육하 고 있다[7]. 하지만 실제로는 환자들이 알고 있는 사실 에 대해서도 의료진에게 요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환자 또한 의료팀 구성원의 일원으로써 본인. 의 권리를 주장하고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잘못되었, , 다고 생각하는 점에 대해서 당당하게 요청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환자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경험이 무엇인지 의미의 본질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환, 자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환자 안전 교육자료 개발 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 다.

그 결과 불충분한 정보 의료진에 대한 신뢰와 의료, 진의 능력과 경력에 대한 고려 그리고 감염과 신체, 손상 위험에 대한 두려움으로 개 범주로 나타났다4 .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참여자를 명으로 하였으3 며 연구결과가 포화상태가 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파, 일럿 연구에 그친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환자. 안전에 대한 일반인의 경험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시 도된 국내 첫 연구라 할 수 있겠다 일반인들의 환자. 안전에 대한 경험에 대해 더욱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서는 많은 수의 대상자를 포함하여 포화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갖는 간호학적 의의는 환자가 의료 팀원의 한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환자 안전을 증진시, 키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이 들이 받아들이고 경험한 환자 안전이라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자료를 만들고 관련 사항을 개선시키는 것이 필요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현재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 로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과 환자 안전 문화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많이 있어왔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는 개발되어 있지 않 으므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구조화된 도구 개발을 위한 추후 연구 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환자 안전에 대한 일반인들의 경험은 향후 일반인들의 환자 안전 문화에 대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보인다 또한 환자 안전 증진을 위한 일반인 대. , 상의 교육자료는 일반인들이 환자 안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사정한 후에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환자 안전 증진을. , 위해 환자 자신의 권리를 자연스럽게 주장할 수 있는 병원 안전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ference

1. Wachter RM. Patient safety at ten: Unmistakable progress, troubling gaps. Health Affairs.

2010;29(1):165 73.

2. Grasha AF. Into the abyss: Seven principles for identifying the causes of and preventing human error in complex systems. American Journal of Health System Pharmacy. 2000;57(6):554 64. 3. James JT. A new, evidence based estimate of

patient harms associated with hospital care.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3;9(3):122 8.

4. Jansma JD, Wagner C, Bijnen AB. Residents’

intentions and actions after patient safety education.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1;10:350.

5. Leape LL, Berwick DM. Five years after to err is human.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5;293(19):2384 90.

6. Rathert C, Huddleston N, Pak Y. Acute care patients discuss the patient role in patient safety.

Health Care Manage Rev. 2011;36(2):134 44.

(9)

7. Rainey H, Ehrich K, Mackintosh N, Sandall J.

The role of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in

‘speaking up’about their own safety a qualitative study of acute illness. Health Expectations.

2013;18:392 405.

8. Weingart SN, Price J, Duncombe D, Connor M, Sommer K, Conley KA, et al. Ponte PR. Patient‐

reported safety and quality of care in outpatient oncology.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07;33(2):83 94.

9. Colaizzi, FU.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 King M, editors. Existential Phenome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1978.

10. Rathert C, Brandt J, Williams ES. Putting the

‘patient’ in patient safety: A qualitative study of consumer experiences. Health Expectations.

2012;15(3):327 36.

11. Schlenker BR, Helm B, Tedeschi, JT.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ituational variables on behavioral tru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3;25(3): 419 27.

12. Kim, Y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Patien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t in a Hospital [master’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2. p. 1 82.

13. Yang, JY. The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ust and health service satisfactio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p. 1 76. 14. Dowell D, Manwell LB, Maguire A, An PG,

Paluch L, Felix K, et al. Urban outpatient views on quality and safety in primary care. Healthcare Quart. 2005;8(2):2 8.

15. Howard M, Fleming ML, Parker E. Patients do not always complain when they are dissatisfied:

Implications for service quality and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3;9(4):224 31.

참조

관련 문서

갑상선 전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질병 경험에 대한 탐구는 현상 이해를 기초로 하며, 경험의 본질은 객관화할 수 없는 것이므로 고유한

[r]

 농어촌 지역에 대한 사업 비중을 설정하고, 농어촌 수혜자 만족도 조사 등을 진행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빈곤층 가정 청소년이 경험한 경험세계를 통해 신빈 곤층 가정 청소년의 욕구경험 등 개인 내적인 문제와 사회내적인 문제를 함께 고찰

(아)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후회와 반성이 약하면서 자신 삶의 일부로도 받아들 이지 못하고,주변의 무관심과 갈등 속에서 부정적으로 변화하면서 생활에 부적응하지

셋째,지체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한 현행 치료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치 료지원 관련 전문가와 교사의 관심과 이해 부족이다.치료사 인력구축에 있 어서는 치료사의

본 연구의 무용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요인에서 ‘그렇다’와 ‘보통이 다’에 대한 인식으로 분포되었다. 이는 무용수업의 효율적인 시수와 비중에 대한

지체부자유학교 고등부를 졸업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은 재학 당시 학교 교육에 대한 경험에 있어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그 부모는 학교 교육에 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