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군북 광산 주변지역 정화계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군북 광산 주변지역 정화계획"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 군북 얼음골 휴양지와 주변 농경지를 중심으로

2013.12.12 1

김재국 , 송동욱 , 유을준 , 김동억 , 박재찬 , 김미희

(3)

5.1 토양 정화

5.1.1 정화 공법 선정 5.1.2 정화 설계 5.1.3 예상 결과 5.2 지하수 정화

5.2.1 투수성 반응벽체 5.2.2 정화 설계

5.2.3 예상 결과

6.

참고 문헌

2.

기초 조사

2.1 샘플 채취 방법

2.2 광미장의 광물 찌꺼기 특성 2.3 샘플 채취 위치

2.4 지하수 특성

3.

오염도 조사

3.1 샘플 측정 결과 - 광미장

3.2 샘플 측정 결과 - 광산 주변 농경지 3.3 샘플 측정 결과 - 지하수

3.4 샘플 측정 결과 - 하천 퇴적토

4.

위해성 평가

4.1 위해성 평가 과정

4.2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토양 4.3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지하수

(4)

광산명 군북 광산 광종 금 , 은 , 동

소재지 경남 함안군 군북면 사촌리 , 오곡리 등록번호 제 1874 호 ,11693 호 외 4개

광산이력 1915년 7 월 등록 -> 1975 년 휴광 -> 광업권 소멸 -> 1995 년 9 월 신규등록 -> 1997년 10 월 소멸

광해현황 선광장 2 개소 , 폐석장 11 개소 , 광미장 4 개소 , 갱내수 3 개소

비고

1998년 환경부 폐금속광산 오염실태조사 오염원 확인 , 1999 년 광해 방지사업 실시 2009년 광해방지사업 완료 사업장에 대해 환경오염영향 조사를 수행 하여

토양 및 수질오염 확인

주요 생산량 1975년까지 생산량 26,246M/T, 평균 품위 Au 19.4 g/t, Ag 75.2g/t, Cu 7.9%

(5)

기후

- 온도는 계절간 기온 차가 큰 대륙성기후 -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비가 고르게 오는

해안성 기후

- 연 평균 강수량이 1551.1mm 로 많은 편

지형조건

- 중앙부에서 남북으로 뻗은 산지와 동쪽으로 뻗은 산지의 사이

- 광산 인근이 지천의 상류부

- 북쪽으로 낙동강본류와 이어지며 경작지와 시내 형성

(6)

1)

광미장

- 표토 (0~30cm) 채취 , 심도변화에 따른 오염을 위해 심도별 (1,2,3,4,5,6m) 채취

2)

광산 주변의 토양 및 수계를 따른 농경지

- 오염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위주의 선정

- 토양시료 채취기사용 표토 (0~30cm) 와 심토 (30~60cm) 총 18 개 지점

3)

하천 퇴적토

- 수계에서의 오염물질의 운반 매개체 및 잠재 오염원 .

- 오염원 하류 방향으로 500m 당 1점씩 총 8 점의 시료를 2mm(10mesh) 표준체로 채질하여 채취 .

4)

지하수 시료

- 광산 주변지역의 기존 관측정 2개소와 신설 관측정 5 개소에서 시료를 채취 . - 중금속 분석용 시료는 0.45 ㎛ membrane filter 를 이용하여 여과 .

- HNO3 를 첨가하여 pH 2.0 이하가 되도록 산 처리하여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시료병에 담아 냉장 보관 .

2.1 샘플 채취 방법

(7)

2.2 광미장의 광물찌꺼기 특성

주요 구성물 광물 찌꺼기로 석영

SiO2가 50%, Al2O3이 15.6%

평균 비중 2.69t/ ㎥ 일반토양수준

평균 함수비 33.19%

평균 단위 체적중량 1.788g/ ㎤

공학적 특성 실트질모래 (SM), 점토질모래 (SC)

투수계수 4.87 x 10-3

(8)

2.3 샘플 채취 위치

광미장

(9)

- 지하수위 : 지표 아래 1.8~3.2m

- 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아 건기에는 낮고 우기에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 .

2.4 지하수 특성

(10)

2.4 지하수 특성

(11)

3.1

샘플 채취 결과 - 광미장

광미 내 함량 배경토 함량 대책 기준치 비교

As 921.9mg/kg 7.5mg/kg 75mg/kg 122.1배

Cd 10.8mg/kg 0.6mg/kg 12mg/kg 18.4배

Cu 356.7mg/kg 30.8mg/kg 450mg/kg 11.5배

Pb 13.8mg/kg 15.7mg/kg 600mg/kg 0.8 배

Zn 19.9mg/kg 30.8mg/kg 900mg/kg 0.6 배

(12)

3.1

샘플 채취 결과 - 광미장

(13)

3.2

샘플 채취 결과

광산 주변 농경지

(14)

3.1 & 3.2

샘플 채취 결과

Sampl e I.D

0

~200

200

~400

400

~600

600

~800

800

~1,0 00

1,000

~1,2 00

1,200

~1,4 00

1,400

~1,6 00

1,600

~1,8 00

1,800

~2,0

00 Mean

Distance(m)

pH 6.1 4.8 5.2 5.0 5.3 5.7 5.9 5.4 5.2 4.9 5.4

As 620.9 31.1 32.5 45.9 19.4 22.8 21.4 23.5 15.3 5.6 83.84

Cd 9.2 1.5 1.6 1.8 0.8 1.0 1.2 1.4 1.1 0.4 2.0

Cu 351.9 202.6 146.6 132.3 126.8 77.3 70.9 82.0 100.8 30.8 132.2 Pb 13.8 14.3 15.8 16.1 16.3 14.7 16.5 22.9 17.4 16.4 16.4 Zn 24.0 43.2 43.1 40.5 46.4 32.3 34.7 51.7 49.4 45.2 41.1

0~200m 오염 집중

(15)

3.3

샘플 채취 결과 - 지하수

(16)

3.4

샘플 채취 결과 하천 퇴적토

(17)

4.1

위해성 평가 과정

 유해성 확인 (Hazard identification)

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 용량 - 반응평가 (Dose-response assessment)

 위해도 결정 (Risk characterization)

(18)

4.1

위해성 평가 과정

 미국 환경보호청 (EPA) 에서 관리 대상 화학물질 1 위로 선정

 International Agency for Reasearch on Cancer(IARC) 에서 무기비소를

피부암과 폐암에 대해 1 급 발암물질로 평가

(19)

4.1

위해성 평가 과정

 미국 환경보호청 (EPA) 과 국제암연구소 (IARC) 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 해물질 분류 등급과 일일섭취허용량을 기준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발암가능성과 위험성을 확인함

 용량 - 반응 평가 과정으로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제안한 평생 노출로 인 한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체중 당 참고 섭취량 (RfD) 을 고려한다 : 비소의 reference dose = 0.0003mg/kg/day

 위해도 결정은 발암잠재력 (SF) 을 이용하여 위해지수 (HI) 및 초과위해 발암도를 구하였다 .

: 비소의 slope factor = 1.5 kg-day/mg

(20)

4.2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토양

현장상황

• 오염물질 : 비소 ( 발암

• 성 )수용체 : 성인

• 노출경로 : 토양의 섭 취

입력변수

• 비소오염농도 = 1876.4mg/kg

• 토양 섭취율 = kg/day

• 평균기간 = 70 년

• 노출기간 = 30 년

• 노출빈도 = 350 일 / 년

• 체중 = 70kg

• reference dose = 0.0003mg/kg/day

• slope factor = 1.5 kg-day/mg

 

 오염농도에 따른 위해성

(21)

Cancer risk =

(70 kg)*(70 년 )*(365 일 / 년 )

  = CDI =

(70 kg)*(70 년 )*(365 일 / 년 )

= mg/kg/day  

HQ = Intake RfD

0.00055 0.0003

= = 1.83

(1876.4 mg/kg)*(350 일 / 년 )*(30 년 )*(50*10 kg/ 일 )*(1.5 kg-day/mg)-6 (1876.4 mg/kg)*(350 일 / 년 )*(30 년 )*(50*10 kg/

일 )

-6

 오염농도에 따른 위해성

4.2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토양

(22)

목표위해성 = 10

목표정화수준 = 23mg/kg

목표정화수준 = (10

-5)*(70 kg)*(70 년 )*(365 일 / 년 )

= 23 mg/kg

(350 일 / 년 )*(30 년 )*(50*10 kg/ 일 )*(1.5 kg-day/mg)-6

-5

4.2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토양

 목표 위해성 산정

(23)

현장상황

• 오염물질 : 비소 ( 발암

• 성 )수용체 : 성인

• 노출경로 : 물의 섭취

입력변수

• 비소오염농도 = 4.45mg/L

• 일일 물 섭취량 = 2L/ 일

• 평균기간 = 70 년

• 노출기간 = 30 년

• 노출빈도 = 350 일 / 년

• 체중 = 70kg

• reference dose = 0.0003mg/kg/day

• slope factor = 1.5 kg-day/mg

 오염농도에 따른 위해성

4.3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지하수

(24)

Cancer risk =

(4.45mg/L) *(350 일 / 년 )*(30 년 )*(2L/ 일 )*(1.5 kg-day/mg) (70 kg)*(70 년 )*(365 일 /

년 )

  = CDI =

(4.45 mg/L) *(350 일 / 년 )*(30 년 )*(2L/ 일 )

(70 kg)*(70 년 )*(365 일 / 년 )

= mg/kg/day  

HQ = Intake RfD

0.052 0.0003

= = 173.3

 오염농도에 따른 위해성

4.3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지하수

(25)

목표위해성 = 10

목표정화수준 = 0.0057mg/L

목표정화수준 =

(350 일 / 년 )*(30 년 )*(2L/day)*(1.5 kg-day/mg) (10-4)*(70 kg)*(70 년 )*(365 일 / 년 )

= 0.0057 mg/L

-4

4.3

위해성 평가 및 목표 위해성 산정 - 지하수

 목표 위해성 산정

(26)

정화공법 오염물질

처리능력 토양 특성

효율성 정화비용 정화기간 친환경성

토양세정법

(Soil Flushing) ◎ ○ △ ◎ △

토양세척법

(Soil Washing) ◎ ○ ○ ◎ ○

고형화 / 안정화

(Solidification/Stabilization) ◎ ○ ○ ◎ ○

식물재배 정화법

(Phytoremediation) ○ ◎ ◎ △ ◎

(Thermal Desorption)열탈착법 ○ ◎ △ ◎ △

5.1

토양 정화

5.1.1 정화 공법 선정

(27)

121,915 ㎥

5.1

토양 정화

5.1.2 정화 공법 설계

1

2

3

(28)

• 36,000 ㎥당 23 억 2 천만 원 ( 정화기간을 1 년으로 가정 )

• 121,915 ㎥ 오염 토양이므로 총 비용은 78.6 억 원

5.1

토양 정화

5.1.2 정화 공법 설계

(29)

• 입경 1-3mm 세척시 토사 내에 7.7% 잔류 ( 하동윤 , 2002)

• 자갈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 (SM,SC)

평균 620.9mg/kg 47.81mg/kg : 토양오염대책기준 75mg/kg 내 .

5.1

토양 정화 5.1.3 예상 결과

(30)

연속성 반응벽체 유도벽 부착형태

5.2

지하수 정화

5.2.1 투수성 반응벽체

반응물질과 반응하지 않고 반응벽체 위 , 아래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 지하수위보다 0.6m 위

,

대수층의 0.3m 아래 깊이까지 설치

1.2~3.5m 깊이의 반응벽체를 설치

(31)

반응 물질 특징

영가철 - pH 가 낮을수록 높은 제거효율을 가짐 .

- 염화 유기화합물 (TCE,PCE) 의 제거능력이 뛰어남 적철석 -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모래에 코팅이 쉽다 .

- 흡착 제거 중 안정한 형태를 띠고 있음 . 환원슬래그

- pH 가 높을수록 높은 제거효율을 가짐 .

- 비용 측면에서 우수함 . ( 영가철의 1/2000) - 장기적 운영 측면에서 유리 .

환원슬래그 선정

5.2

지하수 정화 5.2.2 정화 설계

(32)

• 지하수 내 As 농도가 87% 감소 ( 이수연 , 2010)

• 평균 0.36mg/L 0.047mg/L - 먹는 물 기준 0.05mg/L 이내 .

0 5 10 15 20 25 30

0 0.05 0.1 0.15 0.2 0.25 0.3 0.35 0.4

As

잔류 농도

먹는 물 기준

5.2

지하수 정화 5.2.3 예상 결과

(33)

1 분기 2 분기 3 분기 4 분기 1 분기 2 분기 3 분기 4 분기 1 분기 2 분기 3 분기 4 분기

1 지역 soil washing 정화

2014 년 2015 년 2016 년

1 지역 사전조사

2 지역 사전조사

2 지역 soil washing 정화

3 지역 사전조사

3 지역 soil washing 정화

투수성 반응벽체 설치 환원 슬래그 교체

(34)

•허선희 . 식물재배정화법을 이용한 폐광산 토양내 중금속 제거 연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2008.

토양복원 기술 및 사례집 . 환경부 . 2002.

이강호 . 폐금속광산 지역 주민의 중금속에 의한 건강위해성 평가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2013.

•오창환 . 군북광산 주변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오염 평가 . 2012.

•고일원 . 토양 / 지하수 환경의 투수성 반응벽체에서 나노크기의 적철석을 이용한 비소제거 . 2004.

•강창영 . 군북광산 광물찌꺼기의 공학적 특성 평가 . 2013

•환경백서 . 경상남도 환경정책과 . 2012.

•하동윤 . 폐광산 광미 및 주변 오양토염에 함유된 비소의 토양세척법에 의한 제거 특성 . 2002.

•김정대 . Soil Washing 을 이용한 폐광산에서 발생되는 광미 및 주변오염토양 처리 . 2002.

이성득 외 5 명 .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2012

이진수 외 1 명 . 오염된 토양 , 지하수 및 쌀의 인체노출에 따른 비소의 위해성 평가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2005.

•박정순 . 서울시 일부 대중교통수단 내 포름알데히드 농도변화와 위해성평가 .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교 . 2006.

이수연 . 오염지하수 처리를 위한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사용 가능성 검토와 개방형 투수성 반응벽체에 관한 연구 . 한양대학교 . 2010.

(35)

•환경부 . 복합오염토양정화용 다기능성 토양세척시스템의 상용화 연구 . 2009.

(36)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서울시 일부 대중교통수단 내 포름알데히드 농도변화와 위해성평가.. 복합오염토양정화용 다기능성 토양세척시스템의

치조골의 상실은 진행된 치주질환,사고로 인한 치조골 손상 및 치아상실,낭종 및 종 양등의 병소,전신질환에 의한 이차적인 치조골 소실등에 의하며 이에 의한 불충분한

○ 겨울철 한기유입에 의한 구름 발달 특성, 물리적 배경, 열린셀과 닫힌셀 구름의 주요 매개변수 및 분석 가이던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적 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및 언어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인터넷 이용 실태 관련 특성,건강 행태 관련 특성,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라서 카이제곱검정과 분산분석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to decontaminate radioactive materials such as cesium from contaminated soil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soil washing,

-태양광발전, 연료전지 실증단지 및 수소가스안전체험장 등의 주변 인프라를 활용한 현장 기술 취득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 충청권 51개

석사 생활을 하면서 후회되는 점이 많습니다.하지만 이미 시간은 지나갔고 후회해도 돌아오지 않을 시간입니다.많이 부족한 저를 따르고 도와준 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