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인식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인식변화"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최근 전경련과 주한미국상공회의소가 공동 초청한 미국의 저명한 국제전 략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소장 존 햄리(John J. Hamre) 박사의 강연(9월 2일 신라 호텔)을 들을 기회가 있었 다. 강연이 있기 전 이미 수일 동안 강의 및 인터뷰를 통해 ‘북한이 김일성 100세가 되는 시점인 내년 4월 15일 이전에 무력 도발을 획책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미국은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처할 것이며 ‘필요하면 전쟁을 할 각오가 되어 있음’을 강조했던 존 햄리 소장은 9월 2일 조찬 강의에서도 한 미 동맹관계와 미국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의 중요성을 미국 전략이론가의 입장에서 분명한 논조로 설명했다.

존 햄리 소장은 미국 내 민주당 공화당 양당이 모두 혼란한 상황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외정책에 관해서는 견해의 일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전제 한 후, 미국의 외교정책 중에서도 동아시아 정책은 특히 사활적으로 중 요한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향후 10년 이내에 미중관계는 어려운 상황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금명간 2001년 발발했던 미국 정찰기와 중국 전투기의 충돌사건과 같은 무력 충돌도 재발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말한 다. 결국 중국의 부상에 대해 미국이 직접적으로 신경쓰지 않을 수 없을 것 이라는 언급이었다.

최근 미국사회에서는 전과 다르게 한국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

존 햄리 소장의 한국에 대한 언급은 최근 미국 사회 일각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한국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 확산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전문가들이 최근 한국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이 예사롭지 않 2011-09-16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인식변화

이춘근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

은 이유는 사실 지난 100년 이상 미국이 한국을 그렇게 중요한 나라라고 생 각한 적은 없었다는 현실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다.

1905년 카츠라 태프트 조약을 통해 미국은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 할 수 있는 길을 터 준적이 있었다. 2차 대전 이후 점령군으로 한국에 주둔했던 미 군은 철수하기 이전, 한국이 미국에게 얼마나 중요한 국가인지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본 적이 있었다. 조사 결과는 한국은 미국이 도와주어야 할 나라 16 개국 중에서 겨우 13등 정도에 불과 한, 그렇게 중요한 나라는 아니라는 것 이었다. 이 같은 보고서에 의거,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한국에 주둔했던 미 군을 1949년 11월 완전히 철수시켰던 것이다. 미군 철수 이후 겨우 반년 정 도가 지났을 때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한국전 발발 직후 불과 1주일 만에 미 국은 지상군의 한국 파견을 결정했었지만 당시 트루먼 대통령의 입장은 ‘작 은 전쟁’(한반도에서 예기된)을 사전에 잘 막지 못하면 그 작은 전쟁은 큰 전쟁(유럽 혹은 중동)으로 비화될지도 모른다는 이유 때문이었지, 한국 그 자체가 중요해서는 아니었다.

냉전(1950-1990)이 지속되는 동안, 미국사회 일각에서는 주한 미군을 철 수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주독 미군, 주일 미군 철수론 은 존재한 적이 전혀 없었는데 반해 주한 미군 철수론은 끊임없이 지속되었 던 이유는 문자 그대로 한국은 독일이나 일본과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중요 한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주한 미군 철수를 반대하는 미국 사람들이 내 건 이유는 한국 그 자체가 중요해서가 아니라 한국이 공산진영에 복속될 경 우, 미국이 사활적 이익으로 간주하는 일본의 방위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 이었다. 미국 사람들은 한국을 미국에게 사활적으로 중요한 이익(일본)을 지 키기 위해 필요한 파생적 이익(derived interest)이 걸려 있는 지역 정도로 생각해 왔다. 미국은 한미동맹을 귀찮은 부담쯤으로 여긴 적도 있었다.

이토록 별로 중요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이 최근 급 속히 달라지고 있다. 작년 가을 행해진 미국의 한 여론조사는 한국이 중요하 다고 대답한 미국인이 80%를 상회하며, 통일 이후에도 한미동맹이 유지되기 를 원하는 미국 시민들이 65% 정도에 이른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 주었다.

이제 미국은 한미동맹을 소중한 자산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음이 분명해 보인 다. 존 햄리 소장은 이번 연설에서 “독일주둔 미군을 철수시킬 수 있을지 몰 라도 아시아 주둔 미군은 철수시킬 수 없다.”는 결정적인 언급까지 했다. 그 는 한국은 미국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나라라는 사실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렇다면 미국이 한국을 이처럼 소중하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3)

대한민국의 국력증대가 미국이 우리를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도록 한 원동력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한국 스스로가 커진 결과다. 경제력, 군사력 등 국력의 제반 측면에서 한국은 미국이 소중한 파트너로 생각할 수 있을 정도 로 성장했다는 점이다. 미국은 그 동안 아시아에서 전략 균형을 유지하려 할 때 한국을 전략적 대상으로 고려한 적은 없었다. 중국과 일본만이 미국의 전 략적 고려 대상이었다. 한국은 무시해도 될 정도의 힘밖에 없는 나약한 대상 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미국은 한미동맹을 통해 아시아의 균형을 쉽 게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은 한미동맹을 중국의 도전에 효 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략적 자산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

미국이 우리를 소중한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우리 나라의 대전략을 위해 대단히 고무적인 일이다. 최근 우리는 급부상 하는 중 국의 위세 아래 주눅이 든 나머지 통일마저도 물 건너 간 것이라고 생각하 는 사람도 나올 정도였다.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는 이미 과거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던 시절의 허약한 국가가 아니다. 우리는 세계 최강 미국이 전략 적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한 나라로서, 앞으로 우리가 하기 나름에 따라 자유 민주통일을 이룩하고 동아시아 강대국 국제정치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우리 스스로도 강대국이 될 수 있는 문턱에 도달해 있는 나라가 되었다.

강대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문턱을 넘기 위해, 우리 국민들은 국내정치, 포퓰리즘에 목매달고 있는 지도자가 아니라 멀리 그리고 크게 내다 볼 줄 아는 정치 지도자를 갈망하고 있는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

•• 반면 과거 위기 시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이동량은 다시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며 특히 코로나19로 교외지역 및 자동차 이동을 선호하게 되면서 자동차

특히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일본인 아야 김은“시아버지로부터 한국전 기념비 건립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기부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한국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김완중 LA총영사는 격려사를 통해 수상자들의 한국어와 한국에 대한 사랑에 감사를 전하며, 이번 경험이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데 자산이 되기를

o 동 면담에서 잘마이 칼릴자드 미 특사는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에 대한 평가, 앞으로 미국의 아프간 내 평화 프로세스 발전에 대한, 그리고 동 관련 모든 이해... 당사자들과의

The Nepal Electricity Authority ("the Employer") invites sealed bids from eligible bidders for the construction and completion of Supply, Delivery,

Pisciotti에 대한 강제인도는 미국 독점금지국이 미국의 기업과 국민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국제카르텔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져준 것으로, 향후

중앙 정부가 규정한 장기 교통 계획 (Long-Range Transportation Plan), 교 통향상프로그램 (TIP) 그리고 State Air Quality Implementation Plan (SIP)의 교통분야의 개발에

4.. 또한 러시아 기업도 한국에 사무소 ,지사 및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직접적인 교역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으로 보임.. 또한 러시아 기업도 한국에 사무 소 또는 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