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안전보건의 역할과 전망)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고 알려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2000년대 들어 더욱 거세진 세계화의 물결에 따라 기업들은 물론 일반 대중의 본 격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의 Enlon社 및 WorldCom社의 분식회계 사건, Nike 社 의 아동노동 사건, 일본 유키지루시(雪印)유업의 우유식중독 사건 및 우리나라의 CJ푸드시스템에서 발생한 급식식중독 사건 등 일련의 사건들은 기업이 이윤추구와 함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 경우 기업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도 있음을 잘 보 여주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이유는 기업이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 로부터 이윤을 창출하기 때문에 사회와의 관계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기업생존을 위한 기업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의 기업들 역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 생존을 모색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행동․윤리강령 제정, 사회공헌활동 등 다양한 노력을 전개 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경영활동에 관한 국제 경제사회의 실천 적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는데 2007년으로 예정되어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CSR 관련 국제표준 제정 움직임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본 논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개념과 이를 실천 하기 위한 경제․환경․사회적 측면의 국제적인 합의 및 가이드라인에 대해 알아보 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안전보건의 역할과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1. 서론

전통적인 관점에서 기업은 “이윤의 획득을 목적으로 운용하는 자본의 조직 단위”로 정의되고 있다. 기업은 자본주 의의 첨병으로서 역할을 해 왔으며 생 산력의 수준이 낮은 시대에서는 기업 활동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적 갈등이 심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세계화 (Globalization)로 상징되는 현대의 경제 는 세계가 일종의 거대한 단일시장으로 통합 진행되어 지구상의 모든 구성원에 게 절대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다. 따

라서 가장 중요한 경제 주체로서 세계 화에 중심에 서 있는 기업이 미치는 경 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은 급속히 증 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해, 기업의 목적은 이윤을 추 구하고, 주주의 장기적인 가치를 극대화 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우리는 그와 동 시에 기업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가지 게 되는데 그것은 ‘기업의 사회적인 책 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 엔론(Enron), 나이키(Nike), 필 립 모리스(Philip Morris), 엑손(The Exxon Valdez) 등과 같은 많은 거대기

(2)

시각 연구자 설 명

이해관계자 측면

Blomm &

Gundlach (2001)

“기업이 이해관계자에게 지는 책임은 법적인 것을 넘어선 의무이며, 이러한 의무를 이해하는 것은 기 업이 장기적이고 사회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최대 화하고 잠재적인 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사회 책임 측면

McGuire et al.

(1988)

“경제적 및 법적 의무를 넘어선 전체 사회에 대한 의무이다”

업이 신문지상을 오르내리며 엄청난 사 회적 파장을 일으킴으로써, 기업의 무책 임성(irresponsibility)으로 인해 여러 사 회문제를 낳았으며, 이러한 사례는 국내 기업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이익 창출과 사회적 책임 간에는 어떤 상호관계가 있을까?”

이것은 또한 “경영의 관점에서 어떤 의 미를 가지고 있는가?” 라는 문제는 기 업의 본질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에 대한 고찰과 기업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예; Triple Bottom Line) 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큰 틀 안에서 중요한 일부인 안전보건의 역할과 전망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정 의 및 개념

1990년대 들어 부각되기 시작한 ‘기업 의 사회적 책임’의 개념은 수많은 언론 보도와 민간단체․국제기구 등을 통해 실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는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개별기업이나 국제기관들은 이와 관련한 강령, 원칙,

기준과 같은 규범을 마련하고 많은 회 의를 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의 사 회적 책임 및 관련 용어들이 국내외 언 론 및 학계에서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 지만,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이 혼재하여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다른 견 해는 서로 다른 정의를 부여하게 되는 데, 전통적인 기업관점에서 CSR을 정의 한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법적 요 구사항을 준수하고 주주의 가치를 극대 화하는 것이다’라고 요약된다. 다른 견 해에 의하면 ‘CSR은 법이 요구하는 이 해관계를 넘어서는 사회적 선(social good)을 이루기 위한 활동’으로 정의된 다.

그리고 위와 같은 정의와 함께 ‘기업 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는 용어의 정 확한 개념 또한 중요하다. 현재 CSR을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시각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이해관 계자 관점, 사회책임 관점, 윤리적 관점 과 위험관리 관점, 기업시민주의 관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3)

<표 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다양한 이해 Carroll (1991)

“경제적 책임(이익 극대화), 법적 책임(법, 규제준 수), 윤리적 책임(윤리적 기준 준수), 자선적 책임 (지역사회공헌) 등 네 가지 책임으로 구성된다.”

Davidson (1994)

“민간 기업이 사회 전체와 사회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원에게 빚을 진 것에 대한 책임을 의미한다.”

이진규, 조준학 (1997)

“기업이 자신이 속해있는 지역사회, 문화사회, 더 나아가서 지구촌 전체에 대한 법, 윤리, 경제와 관 련된 책임이다. 이는 전체 사회발전을 위한 기업과 사회의 공동 책임이다.”

Petkoski &

Twose (2003)

“종업원과 가족, 지역사회 등과 함께 삶의 질을 향 상시켜 사업을 번창시키는 동시에 사회발전을 달성 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에 기여하 는 기업의 활동이다.”

McWilliams &

Siegel (2001)

“기업이 갖고 있는 직접적인 이해관계와 법이 정한 규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서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기업의 행동이다.”

윤리 측면

McFarland (1982)

“개인, 조직, 사회의 각종 제도가 상호의존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기업이 도덕적, 윤리적, 경제적 가 치를 기준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위험관리 측면

Mohr et al.

(2001)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거 나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기업시민 주의 측면

Marsden (2000)

“기업은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가진 법적인 인격체 로서 지역공동체의 구성원이자 시민이다.”

Maignan &

Ferrell (2000)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기업에게 요구하는 경제적, 윤리적, 자유 재량적 책임을 이행하는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개념들은 나름대로의 경로에 따라 발전해 왔지만, 새롭게 등 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이슈(상호 관련 된)를 포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권, 윤리 등 사회적 책임에서 출발한 CSR 은 이제는 환경과 경제적 책임을 통합 하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국내의 지속발전기업협의회(KBCSD)

의 경우 CSR은 일반적으로 ‘이윤창출을 통한 주주가치 증대 및 법 준수와 같은 경제․법률적 영역을 벗어나 주주뿐만 아니라 소비자, 지역사회와 같은 광범위 한 이해관계자, 더 나아가 사회전체의 이익을 위해 기업이 자발적이며, 책임감 있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전개하는 다양 한 사회․환경․이니셔티브 및 이에 대

(4)

한 의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 요소

기업의 생산 활동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해 지면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특히 환경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지구의 환경 오염에 대한 이슈는 인류의 생존과 직 결되고 이는 다시 기업의 활동근거가 사라지는 위기를 초래하므로 Freeman (1984)은 ‘이해관계자 중심의 관점에서 기업은 주주에 대한 책임만이 있는 것 이 아니라 기업의 활동으로 인하여 영 향을 받거나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주 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대하여 균형 잡힌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하였 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박애 주의적 관점에 그 뿌리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문제는 과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변화된 기업환경과 기업의 생존을 위한 새로운 목표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업으로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 하여 사회의 일부로서 기업이 갖는 역 할과 위치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의 변 화를 요구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적 대응을 하여야만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보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접 근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1) 주주 중심 접근법

CSR과 관련된 가장 실질적인 문제로 서 경영자와 주주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 해의 불일치, 즉 대리인 문제(agent problem)이다. 주주 중심의 관점에서 CSR을 고려하는 기업은 기업 소유주의 장기적 이윤을 극대화 하는 것까지만 사 회적 책임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2) 이해관계자 중심의 접근법

주주 뿐만 아니라 기업활동에 이해관계 를 갖는 당사자들의 관점에서 기업의 사 회적 책임을 재구성한다. 주주 중심의 접 근법에 경제적 계약을 근거로 한다면 이 해관계자 중심의 접근법은 사회적 계약을 기반으로 한다.

3) 사회구성원 접근법

사회구성원 접근법에서는 기업을 ‘자연 인과 동등한 하나의 인격체’로 간주하는데 여기서 ‘인격체’의 의미는 법적인 주체가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실질적인 주체를 의미한다.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간의 권리와 의무가 존재하듯이 사회구 성원이자 사회 조직으로서 기업의 권리와 의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업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사회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일정하게 기여해야 한 다는 것이다.

Keijzer(2002)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과 기업의 지속가능성 개념이 각기 다 른 길을 거쳐 왔지만 최근에는 통합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였다. 과거 에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환경적 측면 과 연관 지어 설명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인권과 같은 사회적 측면과 관 련 지어 언급하였지만 요즈음은 두 개

(5)

<그림 1> CSR의 세 가지 요소: Triple Bottom Line

념이 거의 동의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두 개념의 미묘한 차이를 구분하 자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투 명성,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지속가 능경영 보고서 등에 초점을 더 두고 있 는 반면 기업의 지속가능성은 기업의 가치 창출, 환경경영, 인적자원 관리 등 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지속가능 성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하여 Wempe와 Kaptein(2002)은 <그 림 1>에서처럼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위해 지속가능성을 적극적인 목표로 두 고 기업이 Triple Bottom Line의 유형 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간매개체 로 표현하였고, Linnanen과 Panapanaan (2002)는 기업의 책임과 지 속가능성을 구분하여 평면상에 지속가 능성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3가지 측면을 기업이 고려해야 하는 책임으로 나타내고 전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기 업의 지속가능성을 묘사하였다.

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해

2006년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중․고 등학교에서 발생한 단체급식 학생들의 식중독 사고는 학교 급식 공통 메뉴 운 영에 따른 대단위 식재료 처리장 및 물 류관리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동일 식재 료에 문제가 있었음이 알려지게 되었고 이 학교들에 급식을 공급하던 CJ푸드시 스템은 운영, 유통 상의 문제뿐만 아니 라, 첫 사고 발생 후 모든 학교에 급식 을 중단하지 않아 사태를 키웠다는 점 에 대해 대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감수해야만 했 다. 사고 직후 증권시장에서는 경쟁업체 인 신세계 푸드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 게 되었으며 CJ푸드시스템은 결과적으 로 기업의 이미지 훼손 및 영업정지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례는 1989년, ‘공업용 우 지라면’ 파동으로 1천여명의 인원감축과 공장 가동중단, 시장점유율 하락으로 후 발업체인 농심에게 현재까지도 업계1위 를 내주고 있는 삼양식품의 예, 1991년, 두산전자의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 2004년의 ‘쓰레기 단무지’ 사건을 비롯, 최근 폭력사건으로 경영자의 윤리에 문 제가 제기되고 있는 한화그룹에 이르기 까지 실로 다양하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되는 리스크를 간과하는 경우 기업 의 파산과 같은 극단적인 결과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경영자는 환경이나 사회 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자원을 ‘비용’이라고 생각해왔다.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이나 단순히 규제에 순

(6)

응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불필요한 것이 라는 인식하에 환경규제 수준이 낮고 사회적 비용이 적게 드는 저개발국에게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해 왔 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속가능 경영을 추구하는 초기에는 비용이 들지 만 어떤 시점을 지나면 기업성과로 이 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비즈니스에서 CSR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이 중요한 이 유는 위험과 기회가 상당부분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결국 ‘투자’로 인식하고 경영의 핵심요 소로 이해하는 것이다.

5.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보고

1990년대 이후 다국적기업들은 물론 선진국과 개도국의 상당수 기업들을 중 심으로 기업 활동의 환경․사회적 영향 에 대한 기업보고(Corporate Reporting) 가 하나의 중요한 관행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기업들이 자사 기업 활동 의 사회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는 압력이 노동조합을 중 심으로 거세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 업이미지나 브랜드가치를 보호하고 소 송 등의 위험관리차원에서 이루어진 측 면도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보고는 ‘사회적보고 (Social Reporting)'라고도 부르며, 기업 의 경제․환경․사회적 영향에 대한 정 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보고(Sustainability Reporting)'라고도 한다. 또 기업의 재무․환경․사회적 성 과를 연관 지어 다루기 때문에 ‘Triple Bottom Line Reporting'이라고 부르기 도 한다.

이러한 보고에 있어서, 기업들마다 상 이한 방식과 기준으로 보고함에 따라 통일성을 기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일부 기업들은 회계업체와 공 동으로 국제적으로 합의된 보고기준을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6.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지표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있어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그 책임의 이행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일이다. 기업의 사회 적 책임의 중요성이 커지고 그 이행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스스로 기업 활동성 과를 감시․평가할 수 있는 특수한 경 영방식이나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스스로 기업 활 동성과를 감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든 가장 대표적인 기관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이며, 이 기관에서 개발한 ‘지속가능성보고 가이드라인 (Sustainability Reporting Guideline)'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SA8000은 사회․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사회책임투자(SRI)'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행동을 유도하고 있다.

6.1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는 1997년에 UNEP과 더불어 CERES에 의해 형성되었다. 첫 번째 공 식 가이드라인이 출간되었을 때, 1998년 2월에서 1999년 3월에 걸쳐 엄청난 지 적과 비판을 받았다. GRI는 초기에 환 경 분야에 집중하였으나, 1998년부터 사

(7)

회지표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GRI의 목 표는 명확하면서도 단순한데, 그것은

“기존의 재무 보고서와 동일한 수준의 환경 및 사회보고의 툴을 개발하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GRI의 핵심개념은 다음과 같다.

○ 경제적: 임금, 노동생산성, 일자리 창출, 아웃소싱 지출, R&D 지출, 교육 및 인적 자원에 대한 투가 등을 포함. 경제적 요소는 재무정 보를 포함.

○ 환경적: 대기, 수질, 토지, 생물 다 양성, 인간 보건에 대한 공정, 제 품 및 서비스의 영향 포함.

○ 사회적: 작업장 안전보건, 종업원 유지, 노동권, 인권, 임금 및 작업 장 조건 등을 포함.

GRI의 조사에 의하면 GRI 기준은 Microsoft, Nike, Gap 등을 비롯, 850개 이상의 기업이 사용하고 있으며 Dow Jone' Index 기업의 69%, S&P 100 기 업의 60%가 GRI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고 한다.

GRI 보고서 작성 프레임워크는 전 세 계의 다수 이해관계자들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직의 지 속가능성 성과보고 및 업종별 참고자료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GRI는 2002년의 GRI Guideline 2002를 걸쳐 2006년에는 G3 Guideline을 발표하였다. G3의 원칙은 자가진단 테스트(self-test)를 통해 보고 서 작성자들이 보고서 내용과 보고서 작성방법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2002년의 가이드라인

에 비해 지표의 수가 97개에서 79개로 축소되었으며 지표부분은 두 가지 메인 요소인 매니지먼트 접근 정보공개 (Disclosure on Management Approach) 와 성과지표(Performance Indicators)로 구성되었다.

6.2 SA8000

SA8000은 미국의 인권단체인 SAI (Social Accountability International)가 1997년 전 세계적으로 근로자의 인권 근로조건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기업, 노 동조합, NGO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표준으로 ISO 9000 및 14000 등 ISO 표준과 유사하다. 아동노동, 강제노동, 안전보건, 결사의 자유 및 단체교섭권, 차별대우, 징계관행, 근로시간, 임금, 경 영시스템 등 9가지 분야를 다루고 있다.

세계인권선언 관련 ILO 협약들과 ISO 9000을 기초로 개발되었으며, ISO 9000과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근로자나 NGO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듣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가 불만 을 제기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어 야 한다는데 차이가 있다.

6.3 사회책임투자(SRI)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에서 ‘사회책 임투자(SRI)'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기업이 주도적으로 전개하는 다른 사회적 책임 활동과는 달리, SRI는 기 업이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투자자들이 투자결정을 내리 는 것을 말하는데 투자자에는 개인투자 자는 물론 기업, 대학, 병원, 재단, 보험

(8)

회사, 연기금, 비영리기관, 교회 등의 기 관투자자들이 포함된다. 이들은 ‘사회적 투자자(social inves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SRI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기업에 투자하려는 투자펀드 들이 등장했으며,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사회․환경적 성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 하는 업체들도 늘어났다. 선진국뿐만 아 니라 자본시장의 세계화에 따라 신흥국 가와 개도국의 기업들에게도 점차 영향 력이 커져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장 하성 펀드’와 같은 사례를 통해 SRI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

6.4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

최근의 투자자들은 투자 포트폴리오 를 다각화 하면서 기업의 지속가능성 경영(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 ment: CSM)에 선두에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기업의 지속가능성(CS)은 주주가치 (shareholdervalue)를 증가시키는 것을 중요 목적으로 한다. 기업의 주요 목적 인 부의 창출(wealth creation)을 결국 투자개념(investment concept)에 접목시 킨다는 점이다.

최근에 등장한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 DJSIs)는 기업 지속가능성 경 영(CSM)을 실행하고 있는 기업들과 우 수 성과와 동시에 선호하는 리스크-수 익률에 따른 수익을 바라는 투자자들 사이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다리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기업 지속 가능성 경영(CSM) 성과가 평가되고,

수량화되며, 등급화를 통한 정량화가 되 기까지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그룹지표 와 스위스 SAM(Sustainability Asset Management)의 기업 지속성 경영평가 를 통한 결과이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지속가능성 경영성과를 과거까지 거슬 러 올라가며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다 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는 하나 의 글로벌 지표와 세 개의 지역별 지수 (북아메리카,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지 수· 그리고 미국 지수)로 구성되어 있 다. 위 4가지 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다 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 (DJSI)는 가격 수익률과 총 수익률 형태로 산출되고, 미국 달러화와 유로화로 표기되며 총 100개의 지수를 형성한다.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는 기업 지속가능성 경영(CSM)의 요소들 에 집중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투자 자들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기업 지 속가능성 경영(CSM)은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으로 매우 매력 있는 대상인데, 그 이유는 장기적인 주주가치 상승에 있다. 스위스의 SAM 지속가능성 그룹 에 따르면 기업의 지속가능성 경영 (CSM)의 성과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 적 발전에 따른 리스크(Risk)를 관리하 고 동시에 기회(Opportunity)를 포착함 으로써 장기적 주주가치를 성취하기 위 한 비즈니스 접근” 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의는 이미 1987년에 발간된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정의한 지속 가 능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SD) 의 개념에 기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9)

7.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CSR 지수 평 가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수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가이드라인이다. GRI 가이드 라인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성과(3 중 핵심)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성 보 고서 작성지침을 말한다. 이러한 구조가 선택된 것은 지속가능성을 정의하는 데 가장 인정받는 접근방식을 반영해야 하 기 때문이다.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 해서는 현재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요구들 간의 복잡한 관계를 미래의 Needs를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잘 조 화시켜야 한다. 지속가능성을 3개의 독 립된 요소들(경제적, 환경적, 사회적)로 정의를 하게 되면 각 요소들을 통합된 모습이 아닌 고립시켜서 생각을 하게 되기가 쉽다. 그렇지만 3중 핵심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를 얻은 시작 지점이고 복잡한 사안에 착수하는 합리적인 시작 점이라는데 상당한 정도의 합의를 이끌 어 낼 수 있다.

따라서 GRI 가이드라인은 기업의 지 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목표 대비 성과 를 어떻게 잘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합의의 전개방향과 그 궤를 <그림 2>

와 같이 하고 있다.

<그림 2>와 같이 CSR 지수는 경제 적, 환경적, 사회적 성과(3중 핵심)를 중 심으로 하고 있으며 사회적 책임 분야 의 한 부분으로 안전보건 관련 지수가 있는 것이다.

즉 안전보건은 손해 또는 손실을 발 생시키는 위험이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보건수준에 대한 유

일한 직접 측정은 발생 손해 또는 손실 을 기준으로 하게 되며, 손실감소 행위 에서 안전보건수준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간접 측정은 안전 보건위원회의 구성과 활동, 노사참여 및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실행에 대한 부 분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CSR의 세 가지 분류 중 사회 분야에 대한 항목으 로 안전보건 지수를 만들어 종업원의 노동여건과 관행 강화가 다루어지고 있 다.

안전보건의 강화는 단순히 사고예방 과 손실비용의 감소 차원만이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의 종업원에 대한 책임을 준수하고 그들의 노동여건과 인권을 보 호하는 의미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결 론적으로 종업원의 건강과 안전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이 증진될 수 있으며 기 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요소 가 되기 때문이다.

(10)

<표 2> GRI Guideline 2002의 안전보건수준 지수

핵심지표 부가지표

보건과 안전 LA5. 산업재해와 질병기록과 통지에 대한 사례. 그리고 사례들이 ILO Code of Practice on Recording and Notifica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and Disease에 어떤 관계 가 있는지

LA14. 산업조건관리 시스템을 위한 ILO 가이드라인 준수를 보여주는 증거

LA6. 경영진과 종업원 대표로 구성된 공식 합동 보건안전 위원회의 설명. 그 리고 그러한 위원회가 커버하는 인력 의 비중

LA15. 작업 중 보건과 안전을 다루는 노조 또는 자발 노조 참여직원 (Bona-fide worker)와의 공식 합의에 대한 설명. 그러한 합의에 의해 커버되 는 인력의 비중

LA7. 표준부상, 손실일수, 결근율과 작 업관련 사상자 수(하청 계약 근로자 포 함)

LA8. HIV/AIDS에 대한 정책과 프로그 램(작업장과 그 이상 대상) 설명

<그림 2> CSR 지수 평가 모델

(11)

<표 3> G3 Guideline의 안전보건수준 지수

핵심지표 부가지표

직장보건 및 안전 LA7. 부상, 직업병, 손실일수, 결근 및

업무관련 재해 건수(지역별)

LA6. 노사 공동 보건안전 위원회가 대 표하는 직원 비율

LA8. 심각한 질병에 관해 직원 및 그 가족 그리고 지역주민을 지원하기 위 한 교육, 훈련, 상담, 예방 및 위험관리 프로그램

LA9. 노동조합과의 정식 협약 대상인 보건 및 안전 사항

GRI Guideline 2002에서의 안전보건 수준에 대한 지수는 위의 <표 2>에 나 타나 있으며, G3 Guideline의 안전보건 지수에 대해 <표 3>에 나타나있다.

8.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 국 내 현황

2007년 현재 GRI에는 국내 18개 기업 의 35개 CSR 보고서가 등재되어 있으 나 이는 미국, 영국, 일본 등과 같은 선 진국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며 보고서의 내용 또한 충실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GRI Guideline 2002를 사용하여 국내 발간 보고서 내용 중 안전보건 항목의 가이드라인 부합율을 조사한 2006년 윤 석준 등의 연구에서(당시 GRI에 등재되 어 있는 14개 업체의 최신 보고서를 대 상으로 연구 수행) 안전보건 정책 및 계획, 활동 목적을 기술한 업체는 60%

에 불과했으며, 가이드라인에서 요구하 는 재해 발생율에 대한 언급을 다루고 있는 보고서는 36%였다. 안전보건위원

회에 대한 언급은 이보다 더 낮은 22%

로 조사되었으며, HIV/AIDS에 대한 언 급은 5%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는 안전보건에 대한 국내 CSR 보고 서의 낮은 관심과 안전보건에 대한 국 내 기업의 인식 부족을 보여주는 사례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표 4>에 나타 나 있으며 Guideline 2002를 바탕으로 한 세부 항목은 Occupational accidents, Health and safety committees, Standard injury, HIV/AIDS, OSHMS, Trade union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는 기업들의 복리후생제도와 사회 공헌활동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기재하 고 있는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2)

<표 4> Description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cording to the GRI guidelines and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Korea and Japan

Contents

All types (n=50)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

(n=30)

Tertiary industries

(n=20)

n % n % n %

GRI guidelines

Occupational accidents 10 20 6 20 4 20 Health and safety committees 11 22 6 20 5 25 Standard injury 9 18 6 20 3 15

HIV/AIDS 1 2 1 3.3 0 0

OSHMS 7 14 4 13.3 3 15

Trade unions 7 14 4 13.3 3 15

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보건의 역할과 전망

안전보건 분야의 경우 종업원의 건강 과 안전 확보를 통한 생산력 향상 및 경쟁력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이에 대한 평가가 쉽지 않고 성과에 대 한 직접적인 이익의 산출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업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과 통신의 발달로 정보의 전달 과 참여가 손쉬워진 오늘날의 시민사회 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 업은 비난과 지탄을 막을 수 없게 되며,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무한경쟁체제에 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과 같이 수치화

되고 계량화된 지수를 만족시키지 못하 는 경우 기업의 이미지는 그 기업의 생 존여부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노동 분야와 관련된 논의에서, 안전보건의 강화는 산 업재해, 손실일수, 결근율 및 제품의 불 량율 등으로 인한 기업의 리스크 요인 을 저감하는 것은 물론 종업원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준수하여 이를 통한 기 업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데 초점이 모아져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 경영에 있어 핵심 이해관계자로서 종업원과 그 가족, 나아가 지역사회를 바라봄으로써 모든 이해관계자 구성원의 발전과 합의 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 적 책임에 대한 안전보건 분야의 관심 과 관련연구 및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13)

하겠다.

참고문헌

김용진, 지속가능경영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5.

대한상공회의소, 우리기업의 사회책임경영 현황 및 전망, 2006.

신혜영, 환경경영요인이 지속가능발전 효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4.

윤석준 등,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Korean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KRX) First Section, 2006.

이수열, 지속가능경영과 기업사회책임의 이론적 배경과 의제, 2004.

이형준, 서영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무엇인가, 한국경영자 총협회 부설 노동 경제 연구원 2004.

Freeman, R.E., Strategic manage-

ment: a stakeholder approach,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1984.

Health & Safety Executive UK,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business econimic performance; An econometric study, 2006.

K.J. Zink. From industrial safety to corporate health management, 2006.

Linnanen, L. and V. Panapanaan, Roadmapping CSR in Finish companies,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2002.

참조

관련 문서

사막 여행을 위하여 운동화에 구멍을 냄 적합한 Permeation membrane 개발 세계적인 운동화 Brand 개발. ■ 관심 대상 : Sponge pad를 대처할 수 있는 신소재 온난화

둘째, 내재가치 Q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 및 Logit분석 결과, 비대칭적 규제제도하에서 대기 업집단 소속기업 및 대규모기업의 투자는 성장기회를 잘 반영하여

은행의 주식소유에 대한 우려는 독일과 일본의 역사적 경험 을 통해서 이미 검증된 바 있다 먼저 독일의 역사적 경험을 살. 펴보면 기업의 주식소유가 허용됐던

이러한 위기와 지각 변동을 겪으며 기업들은 새로운 경쟁구도로 재편되는데 , 시장선도자와 후발주자 간 순위의 변화에서부터 산업의 경쟁구도가 새로운

그런데 영국의 경우 대기업에서만 IFRS 전환으로 재량적 발생액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과 호주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 는 아시아

국 기업의 역동성이 저하하고 있다 기업의. 서는 기업의 진입퇴출률이 떨어지고 일자리의 재 배치율이 저하하였으며 중소기업 규모에서 대기 , 업으로 이행하는

잘 작동하는 경쟁적 질서(Well-Functioning Competitive Order)는 잘 만들어진 계약 법, 재산법, 불법행위법, 상법 등과 같은 법적 틀(Legal Framework)에 기반을

또한 즉각적으로 미국법무부와 연 방거래위원회를 동원하여 철강회사들에 대한 가격공모와 담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