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부분의 대퇴골 골절에 매우 유용한 치료법 으로 사용되고 있다.1-3) 순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전자하 골절 과 골간부 및 원위부 대퇴골 골절의 치료에 사용되었고 높은 골 유합과 낮은 감염율 및 부정 유합률을 나타내어 성공적인 치료법 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순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이전에 고관절 골절로 수술받아 내고정물이 고정되어 있거나 삽입물 주

위 골절, 원위부로 많이 치우친 대퇴골 골절에 그 사용이 제한되 는 단점이 있었다.4-6)

Green7)은 1970년에 최초로 원위 대퇴 과간 절흔을 삽입구로 하는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술식을 사용하였으며 이후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퇴 원위부 골절의 치료나 과상 골절의 치 료,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의 삽입물 주위 골절, 동측 경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와 동측 대퇴 경부 골절이 있는 경우 등에 유용하게 쓰여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 골절에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치료의 결과와 골유합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주한라병원 임상연구 윤리 심의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승인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ume 56 Number 4 2021 Received November 3, 2020 Revised December 6, 2020

Accepted April 4, 2021

Correspondence to: Seong-Tae K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eju Halla General Hospital, 65 Doryeong-ro, Jeju 63127, Korea

TEL: +82-64-740-5410 FAX: +82-64-743-3110 E-mail: ulsanos@naver.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3-2787-5475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김범수 • 김성태 • 신승엽 • 전성만

제주한라병원 정형외과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Bone Union When Treating Femoral Fractures with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Bum-Soo Kim, M.D., Seong-Tae Kim, M.D. , Seungyup Shin, M.D., and Seong Man Je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eju Halla General Hospital, Jeju, Korea

Purpose: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is commonly used to treat femoral shaft and distal femur fractures. The authors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bone union for thirty-five patients treated with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twelve months after the treatment wi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treatment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bone union and the patient’s age, sex, comminution of fracture, presence of open fracture, location of the fracture, and accompanying fractur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bone union time was 4.50 months. The period of bone union was unaffected by the age, sex, location, and presence

of open fractures but was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omminution and accompanying fractures.

Conclusion: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s effective for distal and shaft of fractures of the femur. The period of bone union is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omminution and accompanying fractures.

Key words: femur, fracture,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2)

번호 2019-L08-01) 2000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본원에 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수술을 받았던 환자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대퇴골 간부 및 원위부 골절 환 자 35예(34명)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삽입물 주 위 골절, 이전에 골절 치유 후 재골절된 경우, 병적 골절, 골절부 감염, 수술 시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DFN Dis- tal Femoral Nail (Synthes GmbH, Oberdorf, Switzerland), T2 (Stryker, Kalamazoo, MI, USA), ACE supracondylar nail (DePuy Synthes, Leeds, UK), IC supracondylar nail (Stryker, Kalamazoo, MI, USA) 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4 (22–81)세 였으며, 남자 19명(54%), 여 자 16명(46%)이었다. 수상 원인은 교통사고가 24예, 추락이 4 예였으며, 미끄러짐이 7예였다.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에 따른 대퇴골 골절 분류에서, 골절 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대퇴골 간부 골절 (32 type)이 16예로 32A가 10예, 32B가 3예, 32C가 3예였다. 간부-골간단 이행부 및 대퇴골 원위부 골절(33 type)은 19예로 33A가 14예 였으며, 33C가 5예였다. 개방성 골절은 4예가 있었는데, Gustilo Ander- son type II가 2예, IIIA 1예, IIIB 1예였다.

14예에서 동반 골절이 있었는데 3예에서 동측 경골 골절이, 2 예에서 반대측 대퇴골 골절이, 2예에서 쇄골 골절이, 1예에서 반 대측 경골 골절이, 1예에서 동측 대퇴경부 골절이 있었으며 1예 에서 동측 발목 삼과 골절이, 1예에서 전완부 골절이, 1예에서 동 측 종골 골절이, 1예에서 견갑골 골절이, 1예에서 동측 슬개골 골 절이 있었다. 5예는 관혈적 정복을 나머지 30예에서는 도수정복 후에 내고정을 시행하였다. 나선형 골절 등에서도 골절 정복을 위해서 골절부위를 열어 맞추지 않았고 도수정복을 한 뒤 확공 및 금속정 삽입 시에 도수정복이 유지되는 것을 영상 증폭기 감 시하에 확인하며 수술을 하였다. 관혈적 정복 5예 중 1예에서는 골절 정복을 위해 원형 강선고정(circlage wiring)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환자를 방사선 투과 수술대에서 앙와위 자세로 눕힌 뒤, 45° 각도의 삼각대를 슬와부 및 대퇴부에 받쳐 슬관절을 약 45°

굴곡 상태로 유지하여 비복근과 슬괵근에 의한 원위 골편의 후방 각형성을 최소화 한 상태로 수술하였다. 슬개건의 중앙에 종절개 를 하고, 대퇴골의 과간 절흔을 노출한 뒤에 영상증폭 장치를 보 면서 관상면 상으로는 과간 절흔의 중심부이며, 시상면 상으로는 Blumensatt

s line의 정점에 삽입점이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확 공기로 원위 골편을 확공하였다. 도수정복 혹은 관혈 정복 후 영 상증폭장치 감시하에 유도 강선을 근위 골편으로 삽입하였으며, 유도 강선을 따라 확공 후 10–13mm 두께의 금속정을 삽입하였 다. 원위부 고정은 25예에서 교합나사를, 10예에서 교합날을 사 용하여 2개 이상 삽입하였으며, 근위부 교합나사 또한 자유도수 법으로 1개 혹은 2개를 삽입하였다. 간섭나사(blocking screw)

를 사용하여 골절 정복을 하였던 예는 없었다. 수술 중의 하지 정 렬은 골절 부위의 정복이 정확한 경우는 정렬도 회복될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정복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는 회전 정렬은 수술 전 에 영상 증폭기에 정상 부위의 무릎이 정면을 향했을 때의 대퇴 근위부의 소전자 모양을 찍어 저장한 뒤 수술 부위의 소전자 모 양도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맞추도록 하였고 내반, 외반 변형은 영상증폭기를 위 아래로 움직여 보면서 정렬을 맞추도록 하였다.

골유합 여부는 일반 방사선 사진상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 진상 적어도 세 부위의 피질골의 골 연결이 이루어 지는 것을 골 유합으로 판단하였다. 환자들은 수술 후 2주에 일반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하였고 그 후로는 3주 간격으로 방사선 사진 촬영을 하여 골유합이 확인될 때까지 추시 관찰 하였다.

수술 후 마지막 추시 시점에서 슬관절 통증의 유무와 관절 운 동범위를 측정하였고 각 환자별 연령과 성별, 분쇄 여부, 개방성 골절 유무, 골절 위치, 동반 골절 유무를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에 대하여는 55세 미만인 군과 55세 이상인 군으로 분류하였고 골절 부위는 원위부 골절군과 간부 골절군으로 분류하였다. 골유 합 기간에 따라 평균 및 그 이하인 군과 평균을 상회하는 골유합 기간의 군으로 환자를 분류하였다. 환자의 연령과 성별, 분쇄 여 부, 개방성 유무, 골절 위치, 동반 골절 여부가 골유합 기간에 미 치는 영향을 다변량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만들어 평균 골절 유합일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골절 유합 기간에 차 이를 보이게 하는 변수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검정을 하였다. 단 변량 변수 유의 수준은 0.25보다 작으면 임상적으로 연관성이 있 는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에 포함시켰다.

통계적 분석은 측정값들을 SPSS/PC+ 통계 패키지(PASW Statistic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 하여 검정하였다. 각 검정에서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 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35예 중 3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골절 유합율은 91.4%였다.

불유합 3예는 수술 후 15개월, 17개월, 19개월 추시 관찰하였으 나 골유합이 되지 않았다. 2예가 위축성 불유합이 었고 1예가 비 후성 불유합이었다. 1예는 33C형의 분쇄 골절로 관혈 정복하여 관절면을 맞추고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연부 조직의 과도한 박리가 위축성 불유합의 원인으로 파악되었고 다 른 1예는 32C형의 분절 골절이었고 원위부는 골유합이 되었으 나 근위부는 분쇄골편이 있는 골절이었는데 골절부 안정성이 확 보되지 않아 비후성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1예도 32C형 의 분절골절이었으며 골절 원위부의 정복이 정확히 되지 않은 상 태였고 원위부 및 근위부 모두에서 위축성 불유합이 발생하였 다. 불유합 3예 중 2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의 파열이 발생하였

(3)

는데 이 중 1예는 불유합의 치료로 교합나사를 제거 후 역동화를 시키는 과정 중에 금속정이 파열되었다(Fig. 1). 원위 대퇴골 골 절 환자 5예와 대퇴간부 골절 환자 2예의 총 7예에서 슬관절 통 증을 호소하였는데 이 중 2예는 원위 교합 나사못의 돌출로 인한 통증이었는데 이는 대퇴골 원위부가 주로 해면골이라서 교합나 사를 강하게 잡아주지 못하는 것과 수술 시 과도하게 나사를 조 이면서 이완 현상이 나타나서 나사가 빠져나온 것으로 판단되었

으며(Fig. 2), 1예는 골절부위가 원위부라서 원위 골편을 잡기 위 해 골수강 내 금속정을 충분히 삽입하지 않은 이유로 금속정이 관절 내로 돌출된 경우였다(Fig. 3). 12예에서 후방각 변형이 있 었는데(Fig. 4), 평균 5.6° (1°–14°)였으며, 10° 이상의 경우는 4예 였다. 9예에서 내반 변형을 보였는데 평균 3.1° (2°–7°)였고 13예 에서는 외반 변형을 보였는데 평균 3.6° (1°–9.7°)였다. 3예에서 하지 단축을 보였는데 2예에서 9 mm, 1예에서 13 mm의 단축

A B C

Figure 1. Metal breakage occurred after retrograde intramedullary femoral nailing.

(A) Initial radiograph; (B) post opeative radiograph; (C) non-union and metal breakage occurred 17 months after surgery.

Figure 2. Distal locking screw protruded two months after surgery. The distal locking screw was changed to the angular stable locking screw. Bone union was achieved.

(4)

이 있었다. 골절 정복의 정도는 전후 면과 측면 사진에서 두 골편 간의 거리가 가장 먼 곳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는데 골편 간의 거 리가 1 mm 이상 5 mm 미만이 12예, 5 mm 이상 10 mm 미만 이 9예, 10 mm 이상 15 mm 미만이 11예, 15 mm 이상은 3예 (15.8 mm, 17.2 mm, 17.7 mm)였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4.5 개월(2–16개월)이었다. 관절운동 범위는 80도에서 140도까지로 평균 126.5도 였다. 1예에서 관절 운동 범위가 10도~90도로 제 한된 소견을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는 55세

미만의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이 4.95개월이었고 55세 이상의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은 3.59개월이었다. 남성의 골유합 기간은 평균 4.23개월이었으며 여성은 평균 3.94개월이었다. 분쇄골절 군의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이 5.49개월이었으며 단순 골절 군의 Table 1. Mean Union Time and the p-value of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ariable Time to union (mo) p-value

Age

15–55 4.95±4.73 0.223*

>55 3.59±2.00 Sex

Male 4.23±4.31 0.512 Female 3.94±1.66

Comminuted 5.49±4.84 0.043 Non-comminuted 3.25±1.69

Open fracture 5.94±6.95 0.231 Closed fracture 3.99±2.95

Proximal two-thirds 4.09±4.37 0.826*

Distal one-third 4.37±4.52

Accompanying fracture 5.40±4.67 0.036 No accompanying fracture 3.20±1.4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value by un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test; p-value by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test.

Figure 4. Posterior angulation occurred after retrograde intramedullary femoral nail fixation.

Figure 3. Intramedullary nail protruded and caused knee pain.

(5)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이 3.25개월이었다. 개방성 골절군의 골유 합 기간은 평균 5.94개월 이었으며 폐쇄성 골절 군의 평균 골유 합 기간은 평균 3.99개월 이었다. 골간부 및 근위부 골절 군의 평 균 골유합 기간은 4.09개월이었으며 원위 1/3 골절군의 경우 평 균 골유합 기간이 4.37개월이었다. 타 부위 골절이 동반된 골절 군의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이 5.40개월이었고 단독 대퇴골 골절 군의 경우 평균 골유합 기간이 3.20개월이었다. 유합 기간이 평 균 및 그 이하인 군과 평균을 상회하는 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에 나이, 성별, 분쇄 유무, 골절의 위치, 개방성 골절 유무, 동반 골절 유무 등의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및 골절 위치에 따른 p 값이 0.25보다 큰 것으 로 나와 이 두 군을 제외한 연령, 분쇄 유무, 개방성 골절 여부, 동 반골절 유무에 대하여 다변량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 하였다. 그 결과 골유합 기간이 평균을 기준으로 이하인 군과 상 회하는 두 군은 분쇄 여부 및 동반 골절 유무에 따라 통계적인 차 이가 나타났다(Table 1).

고 찰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초기에 대퇴골 원위부 과상 골절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점차로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이 용되었다. 동측의 경골 골절이 있거나 대퇴경부 골절이 있는 경 우, 삽입물 주위 골절이나 인공 관절 등의 기존의 삽입물이 있는 경우에 유용한 치료법으로 쓰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동측의 경골 골절이나 대퇴경부 골절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여 양호한 결 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위 대퇴골 골절은 금속판 고정으로 치료할 수 있으나 광범위 한 절개로 인한 조직 손상과 골 이식 등의 추가 작업이 요하는 수 가 많고 감염 등의 합병증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8,9) 이러한 경우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이 대안이 되는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역 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대퇴 간부 골절을 수술할 경우 다소 정복이 부정확하여도 금속정이 삽입되면서 정렬이 회복되면서 골절 정복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원위부 골절의 경우는 그렇지 않아 금속정이 삽입되기 전에 정확한 정복을 하도록 하였고 정복 을 하여도 유지가 힘든 경우는 경피적 금속 강선 등으로 금속정 삽입 통로를 피해 임시고정을 하는 방법으로 골절 정복 상태를 유지하면서 금속정 삽입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원위 골편이 작 거나 골다공증 등의 이유로 확실한 고정이 요구되는 경우는 교합 날과 교합 나사를 함께 삽입하여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Sung 등6)은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대퇴골 골절 치료 시 골유합 기간이 평균 17주(4.25개월)로 보고하면서 그 치료결 과가 만족스러움을 보고한 바 있다. Kim 등10)은 대퇴골 골절을 순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 시 평균 골유합 기간이 20.7 주(5.17개월)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 시에는 17.4주

(4.35개월)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 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골유합 기간이 4.50개월로 상기의 타 저자들과 유사한 유합 기간을 나타내었다.

불유합 3예 중 1예는 불유합과 함꼐 금속정 파손이 발생하였 는데 이는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의 문제라기보다는 역동화 방 법이 적적하지 않았던 것에서 기인하였는데(Fig. 1), 역동화를 위 한 나사못 제거를 원위부에서 시행하는 것이 나았을 것으로 보이 며 교합나사 두 개를 모두 제거한 것이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 시 부정 유합이 주요 합병증으로 보고되고 있다.11) 특히 시상면에서의 후방 각 변형이 많고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이 금속판 고정술보다 후방각 형성 이 더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12) 본 연구에서도 12예에서 후방각 변형이 있었는데 평균 5.6° (1°–14°)였으며, 10° 이상의 경우는 4 예였다. 골절시 비복근과 슬괵근에 의한 원위 골편의 견인은 후 방 각형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후방 각형성을 방지 하기 위해 수술 시 슬관절을 굴곡하여 비복근과 슬괵근의 긴장을 줄이도록 하고 삽입구 위치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Starr과 Bucholz13)는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의 합병증으로 삽입구가 십자인대에 인접한 까닭에 십자인대로의 장기적인 영 양공급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삽입구의 연골이 섬유 성 연골로 대치되어 슬개 대퇴 관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슬관절 내의 수술이 되기 때문에 관절 강직이나 슬개건의 절개에 따른 무릎 통증 등의 가능성을 제시한바 있다. Papadokostakis 등14)은 메타 분석에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치료 시 원위 대 퇴골 골절 환자의 16.5%가, 대퇴골간부 골절 환자의 24.5%가 무 릎 통증을 호소하였다고 하면서 통증의 원인은 나사못이나 금속 정에 의한 자극, 슬개 대퇴관절염,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등이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예(20%)에서 슬관절 통증을 호소하 였는데 5예가 원위부 골절, 2예가 간부 골절이었으며 나사못 돌 출로 인한 통증, 금속정의 돌출로 인한 통증이 원인이었고 관절 내 골절의 합병증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liatis 등15)은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의 삽입 시에 관절경하 에 진행한다면 절개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삽입구를 좀더 정확하 게 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방법은 고령의 환자와 원위부 골편 이 짧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 1예의 환자에서 금속정이 충분히 삽입되지 못하여 관절 내로 금속정이 돌출되었는데 이는 원위부로 많이 치우친 골절을 무리 하게 금속정 고정을 시행하여 원위 교합 나사못을 하나밖에 고정 하지 못하였고 금속정은 관절 내로 돌출이 되어(Fig. 3), 이 경우 금속판 고정술이 더 적절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였다. 수술 중에 금속정의 돌출 여부는 수술 시야가 좁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드나 관절경의 도움을 받아 수술을 하게 된다면 좀더 정확한 삽입구를 정하고 돌출 유무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 다.

(6)

Papadokostakis 등14)은 메타분석에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 정으로 치료한 원위 대퇴골 골절이 간부 골절보다 골유합 기간이 의미 있게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원위부 골절 의 골유합 기간이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는 아니었다. 원위부는 망상골이 풍부하여 골유합에 유 리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이 부위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분 쇄가 심한 경우가 많아 골유합 기간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보인 다.

분쇄상 골절의 경우 단순 골절에 비해 고에너지 손상이며 주변 의 연부조직과 혈관조직의 손상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골유합 기간도 더 길어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분쇄상 골절의 경우 골유합 기간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길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절에 대한 회복력이 감소하여 골유합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젊은 연령에서 골유합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 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지는 않았다. 이는 젊은 연령의 환자는 고에너지 손상을 주로 입어 분쇄가 심하거나 여타 다른 면에서 골유합이 저해될 수 있는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많은 것이 그 원인 일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동반 골절이 있는 경우는 조기 거동이 힘들고 골유합을 위한 적절한 체중 부하를 골절 부위에 줄 수 없는 점 등이 예상되며 골 유합 기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도 동반골절이 있는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골유합 기간이 길어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상환자의 숫자가 35예로 충분한 숫 자의 환자가 확보되지 못한 후향적 연구인 점이며 그 분석 및 결 과 신뢰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골절 유합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병력, 약물 복용력, 재활치료의 차이, 정복의 적절 성, 고정물의 안정성 등의 변수들이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분 석된 때문에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 다.

결 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퇴 간부 및 원위부 골절 치료에 효 과적 이었으며,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라 골유합 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thing to disclose.

ORCID

Bum-Soo Kim, https://orcid.org/0000-0002-3282-8617 Seong-Tae Kim, https://orcid.org/0000-0003-2787-5475 Seungyup Shin, https://orcid.org/0000-0002-8775-2373 Seong Man Jeon, https://orcid.org/0000-0002-0186-1617

REFERENCES

1. Brumback RJ, Ellison PS Jr, Poka A, Lakatos R, Bathon GH, Burgess AR. Intramedullary nailing of open fractures of the femoral shaft. J Bone Joint Surg Am. 1989;71:1324-31.

2. Butler MS, Brumback RJ, Ellison TS, Poka A, Bathon GH, Burgess A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ipsilater- al fractures of the femoral shaft and distal part of the femur. J Bone Joint Surg Am. 1991;73:1492-502.

3. Kempf I, Grosse A, Beck G. Closed locked intramedullary nailing. Its application to comminuted fractures of the femur.

J Bone Joint Surg Am. 1985;67:709-20.

4. Ricci WM, Bellabarba C, Evanoff B, Herscovici D, DiPasquale T, Sanders R. Retrograde versus antegrade nailing of femoral shaft fractures. J Orthop Trauma. 2001;15:161-9.

5. Sanders R, Koval KJ, DiPasquale T, Helfe DL, Frankle M. Ret- rograde reamed femoral nailing. J Orthop Trauma. 2014;28 Suppl 8:S15-24.

6. Sung YB, Park SC, Ahn JK, et al. Long term results of retro- grade nailing in adult femoral shaft fractures. J Korean Fract Soc. 2002;15:356-62.

7. Green SA. Distal intramedullary fixation of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femur. Tech Orthop.1988;3:71-6.

8. Merchan EC, Maestu PR, Blanco RP. Blade-plating of closed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distal femur with the AO system. J Trauma. 1992;32:174-8.

9. Mize RD. Surgical management of complex fractures of the distal femur. Clin Orthop Relat Res. 1989;240:77-86.

10. Kim JW, Oh CW, Oh JK, et al. Treatment of infra-isthmal femoral fracture with an intramedullary nail: is retrograde nailing a better option than antegrade nailing? Arch Orthop Trauma Surg. 2018;138:1241-7.

11. Ricci WM, Bellabarba C, Lewis R, et al. Angular malalign- ment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of femoral shaft fractures. J Orthop Trauma. 2001;15:90-5.

12. O’Brien PJ, Meek RN, Blachut PA, Broekhuyse HM, Guy P. Fractures of the distal femur. In: Bucholz RW, Heckman

(7)

JD, Court-Brown CM, ed. Rockwood and Green's fractures in adults. 6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1915-67.

13. Starr AJ, Bucholz RW. Retrograde nailing of fractures of the femoral shaft. Curr Orthop. 1999;13:237-41.

14. Papadokostakis G, Papakostidis C, Dimitriou R, Giannoudis PV. The role and efficacy of retrograding nailing for the treat-

ment of diaphyseal and distal femoral fractur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jury. 2005;36:813-22.

15. Gliatis J, Kouzelis A, Matzaroglou C, Lambiris E. Arthroscop- ically assisted retrodrade intramedullary fixation for fractures of the distal femur: technique, indications and result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6;14:114-9.

(8)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김범수 • 김성태 • 신승엽 • 전성만

제주한라병원 정형외과

목적: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대퇴골 간부 및 원위 대퇴골 치료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35명의 환자에 대하여 치료 결과와 골유합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결과와 환자의 연령과 성별, 분쇄 여부, 개방성 유무, 골절 위치, 동반 골절 유무가 골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 였다.

결과:

평균 골 유합 기간은 4.5개월이었다. 3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총 골절 치료 성공율은 91.4%였다. 골유합 기간은 연령, 성 별, 골절 위치, 개방성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퇴 간부 및 원위부 골절 치료에 효과적 이었다.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른 골유합 기간 의 차이가 나타났다.

색인단어: 대퇴골, 골절,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접수일 2020년 11월 3일 수정일 2020년 12월 6일 게재확정일 2021년 4월 4일 책임저자 김성태

63127, 제주 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령로 65번지, 제주한라병원 정형외과

TEL 064-740-5410, FAX 064-743-3110, E-mail ulsanos@naver.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3-2787-5475

Copyright © 2021 by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대한정형외과학회지:제 56권 제 4호 2021

수치

Figure 1. Metal breakage occurred after  retrograde intramedullary femoral nailing.
Figure 4. Posterior angulation occurred after retrograde intramedullary  femoral nail fixation

참조

관련 문서

○ 본 연구에서 활용된 앱기반 피드백(에너지 절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에 너지 다이어트 ’) 디자인적 특성이 에너지 절전 지식획득 및 쾌락적 가치인 지에 미치는

한편,이병화( 2008) 는 뉴스포츠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공격성 감소와 사 회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신체적공격성,흥분성,우회적공격성의 영역 에서

I. 특정 생물종이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 판단 II. 멸종위기종 관련 홍보품이 사람들의 인식 개선 에 미치는 영향

전신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인체 균형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 발목테이핑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배 등 29) 은 최근에 상아모세포주인 MDPC-23세포에 NFI-C를 과발현 또는 발 현 억제시킨 후 DSPP와 BSP mRNA의 발현 확인을 통하여 상아모세포

○ Ÿ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에 따른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여..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본 연구는 보건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일반적 특성, 전공 관련 요인과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여 의무기록사 선택에 영향 을

노경민( 201 2: 43) 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의 협동수업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학생들 모두 영어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