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HP 제8단계(5~8차년도) : 국제협력과제 개도국 도시개발과 물문제 해결방안 연구사업 소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HP 제8단계(5~8차년도) : 국제협력과제 개도국 도시개발과 물문제 해결방안 연구사업 소개"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ssue

IHP 제8단계(5~8차년도) : 국제협력과제 04

개도국 도시개발과 물문제 해결방안 연구사업 소개

1. 연구사업의 필요성

메콩강은 중국 칭하이 성에서 발원하여 중국 운남 성과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6개국

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국가 공유하천이며, 하천길이는 약 4,350 km, 유역면적 은 795,000 km²이다(그림 1).

메콩강 최하류에 위치한 캄보디아는 메콩강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동남아시아 최대 담수 호인 톤레삽 호수의 수량은 우기 시 메콩강 본류 유 입량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톤레삽 호수의 수 위변화는 캄보디아 GDP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1 차 산업(농업, 어업, 산림업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림 2와 같이 우기(5월 ~ 9월) 시 메콩강 본류와 톤레삽 호수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 기 하

경북대학교 건설방재공학부 교수 leegiha@knu.ac.kr

그림 1. 메콩강 현황

(2)

Phnom Penh(캄보디아 수도)을 비롯한 주요도시에 서 홍수(그림 2의 붉은색 유역: 홍수범람 유역)로 인

한 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또한 그림 3과 같이 최근 중국(메콩강 상류에 7개 댐 운영 중)이 자국 서북부지역의 전력공급을 위한 수력발전 댐 건설을 계획하고, 라오스 역시 경제개발 을 목적으로 메콩강 본류 개발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메콩강을 둘러싸고 주변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수공구조물이 메콩강 본류에 건설 되고, 메콩강 유역개발 사업이 가속화될 경우, 기후 변화와 더불어 캄보디아의 수자원 환경 및 수재해 발생패턴은 필연적으로 변화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캄보디아 수자원 및 수재해 현황을 검토하고, 메콩강 유역개발에 따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는 캄보디아의 수재해 피해저감 및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을 위한 미래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대한민국 정부의 對캄보디아 최상위 공 적개발원조 계획인 캄보디아 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 2012~2015)에서는 이미 캄 보디아에서의 태풍, 홍수 등과 같은 기후변화재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 능력 및 기후변화 대응 역량 향상 등을 통해 취약계층의 생 계대책마련과 연결되는 대응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그림 2. 캄보디아 톤레삽 주변 홍수범람 (2011년 및 2013년)

그림 3. 메콩강 댐 건설 현황 (2015년 기준)

(3)

그림 4. 연구 최종목표 및 연차별 연구목표

표 1. 전체 연구 수행계획

5차년도 (2018) 6차년도 (2019)

- 캄보디아 수문, 지형, 지질, 토지이용 등 기초자료 획득 - 주요 행정구역별 도시화 및 수자원 관리 현황 분석 - Local DB 기반 주요 지역 수재해 발생 및 피해현황 분석 - EM-DAT(The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재해현황 자료 획득 및 공간 분석

- MRC(Mekong River Commission) 메콩강 수자원 개발 및 물 관련 정책분석

- MOWRAM(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Cambodia)의 수자원 개발 및 수재해 대응 정책 분석

- ADB(아시아개발은행) 및 WB(세계은행)의 캄보디아 대상 물 관련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및 EDCF(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사업현황 분석 및 제약여건 조사

- 메콩강 개발사업 조사 및 물관련 분쟁사례 조사

- 메콩강 본류 개발현황 조사

- MRC 및 MOWRAM의 유역개발 시나리오 분석 및 선택 - 수자원 및 수재해 평가를 위한 핵심 시나리오 입력자료 구축 - 메콩강 본류 - 톤레삽 호수 연계 모의를 위한

수리·수문해석 모형 (지표-지하수 연계해석을 통한 강우- 유출-홍수범람 모형) 구축

- 선택된 유역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캄보디아 주요 수위국 (캄보디아 수도 Phnom Penh의 Kratie 수위국 등) 지점에서의 수위 및 유량 변화 분석

- 수리·수문해석 모형을 통한 시나리오별 수자원 변동성 평가

- 수리·수문해석 모형을 통한 시나리오별 수재해 위험성(범람면적, 침수심, 침수기간 등) 분석

- 토지이용도 및 작물 정보 등을 이용한 침수에 따른 피해 분석

7차년도 (2020) 8차년도 (2021)

- 캄보디아 수리수문 계측망 추진사업 현황조사 - 캄보디아 수리수문 계측을 위한 관측망 조사 및 데이터

양/질 평가

- 캄보디아 계측망 구축 제약여건 분석

- 글로벌 원격탐사 자료(지형, 지질, 토지피복, 강우 등)의 캄보디아 활용가능성 및 불확실성 평가

- WMO 등 국제기구 기준대비 관측망 공간분포 해석을 통한 최적 계측망 구축 방안 제시

- 메콩강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수자원 및 수재해 분석결과 종합정리

- 분석결과(proxy variable 분석·선택) 기반 주요지점별 수자원 취약성 평가

- 분석결과(proxy variable 분석·선택) 기반 주요지점별 수재해 취약성 평가

- 수자원 취약지역 대상 중·장기 대응방안 제시 - 수재해 취약지역 대상 중·장기 대응방안 제시

(4)

고 지적한 바 있다.

2. 연구사업의 최종목표

전술한 연구사업의 필요성 및 연구제안서의 내용 을 기반으로 제안된 연구의 최종목표 및 년차별 핵 심추진내용은 아래 그림 4와 같으며, 년차별 연구목 표 및 세부핵심내용은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3. 연구 추진체계

본 연구사업은 그림 5와 같이 국내 2개 대학(경 북대, 충남대), 국외 1개 대학(ITC, Institute of Technology of Cambodia) 총 3개의 기관이 참여 할 예정이며, 5~7차년도 연구는 캄보디아 기초수문 자료 수집 및 분석, 수리·수문 계측망 조사, 수자원 및 수재해 정책분석, 메콩강 개발 시나리오 작성, 수 리·수문 해석모형 구축, 수자원 및 수재해 분석으 로 나뉜다. 자료조사 및 캄보디아의 현황분석 등과 같은 부분은 현지 기관인 ITC가 담당하도록 하였으 며 정책분석 및 모델링분석 부분은 국내의 2기관이 나누어 담당하도록 계획하였다. 기본적으로는 해당 년도에는 기관별로 대상 연구테마에 대해 독립적으

로 연구가 진행됨과 동시에 연구기간동안 주기적인 상호 연구의견 교환 및 타 기관의 연구결과를 종합 하여 연구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연구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즉, 주요 연구분야별로 각 기관에서 수행할 연구 목표를 명확히 하여 연구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국내기관인 경북대와 충남대는 연 구개발과정에서 자체 세미나 개최 및 학술발표 등, 긴밀히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8차년도에는 5~7차년도의 수자원 및 수재해 현 황조사, 계측망 조사, 시나리오에 따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최적 계측망 구축 방 안 제시 및 위험요소별 중장기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계획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지기관인 ITC의 협조를 받아 연구결과를 홍보하고, 수자원 관련기관 전문가 및 대학생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연구종료 후에 도 연구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후속 국제공동연구를 도출하고자 한다.

4. 예상성과 및 기대효과

본 연구사업을 통한 예상성과는 크게 DB, 시스템, 정책·계획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

그림 5. 연구진의 구성

(5)

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메콩강 물 분쟁 사례 조 사·정리, 도시 및 유역개발에 따른 캄보디아 영향 정량화, (2) 캄보디아의 물 관련 물리적․기술적․제 도적․재정적․정치적․사회적 제약여건 정립, (3) 캄 보디아 수리수문 해석 시스템 구축 및 물 관련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 DB, (4) 캄보디아의 수리·수문 계측을 위한 최적 계측망(안), (5) 글로벌 원격탐사 자료의 캄보디아 활용 가이드라인, (6) 캄보디아의 주요 행정구역별 수자원 및 수재해 취약성 지표 제 시로 물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우선순위 정보

또한 주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캄보디아 의 수자원 개발 현황 및 수재해 발생 현황을 파악하 고 정책방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수자원 인프라 구 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 (2) 캄보디아의 수리·수 문 계측망 구축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용수공급을 위 한 분산형 워터그리드 계획 및 설계 시 활용, (3) 메 콩강-톤레삽 유역의 수문순환 과정을 규명함으로 써 수재해 저감 및 수자원 정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 (4) 메콩강 개발로 인한 향후 수자원 변동성 및 파급

될 수 있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캄보디 아 수자원 정책 및 수재해 저감 대책 수립 시 활용, (5) 현지 교육 및 연구성과 홍보를 통한 인적 네트워 크 및 학술교류 활성화

본 IHP 국제-1 과제의 경우, 개발도상국의 물 문 제 해결을 위한 방안 제시를 핵심목표로 하고 있으 며, 이에 연구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구계획을 수 립하였다. 특히,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보다 실제 적인(practical) 연구성과를 도출하여 한국의 물문 제 해결능력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 고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주어진 연 구기간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학회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도편달을 부탁드리며 글을 마무리 한다.

감사의 글

본 글은 환경부의 2018년 국제수문학프로그램 (IHP) 연구지원 사업에 의한 것임.

Johnston R.M. and Kummu, M. (2012), “Water resource models in the Mekong Basin: a review.”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6 pp.429-455.

Mekong River Commission. (2005), A Report on Likely Infrastructure Developments on the Mekong Floodplain in Cambodia & their Significance in Changing Flow Patterns; Draft, March 2005. Prepared by Hugh Cross, Ecosphere Solutions Pty Ltd, for Mekong River Commission: Vientiane, Lao PDR;48.

Mekong River Commission. (2010), Assessment of basin-wide development scenarios–main report. Mekong River Commission (MRC), Vientiane, Lao PDR.

참고문헌

수치

그림	4.	연구	최종목표	및	연차별	연구목표 표	1.	전체	연구	수행계획 5차년도 (2018) 6차년도 (2019) - 캄보디아 수문, 지형, 지질, 토지이용 등 기초자료 획득 - 주요 행정구역별 도시화 및 수자원 관리 현황 분석 - Local DB 기반 주요 지역 수재해 발생 및 피해현황 분석 -    EM-DAT(The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참조

관련 문서

건강한

▶ 편의를 줄이는 방법으로 표본에 대해 표본의 크기를 반으로 하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한 부분은 판별함수를 만드는데 이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만든 판별함수를 이용해

 Single Index Model에서 잔여위험의 대각선 이외의 값이 0이라 가정함은 주식 및 모든 위험자산의 변동은 Single Index와의 관계로 설명가능하고 설명되지 않는

빛을 받는 부분은 노란색, 다른 부분은 검은색으로

꽃씨를 심지 않은 부분은 전체의 얼마인지 분수로 나타내세요.. ❸ 꽃씨를 심지 않은 부분은 전체의

- 중산층 까지 포괄하는 공공임대 공급을 위해 면적 및 품질 상향 입주자격 통합 임대료 체계 또한 소득연동형으로 개선

미셀구조는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접... 촉하는 외곽부분을 형성하는 구조로 기름과 같은 소수성물질이

여기에서 이하 부력중심이라고 표현하는 부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