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7년 7월

교육학석사(한문교육)학위 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자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

- 松南雜識를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이 상 호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자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

- 松南雜識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hinese vocabulary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2017년 7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이 상 호

(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자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

- 松南雜識를 중심으로 -

지도교수 한 예 원

이 논문을 교육학(한문교육)석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7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이 상 호

(5)

이상호의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2017년 7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서론

연구 목적 선행 연구 연구 방법

한문과 교육과정에 보이는 한자 어휘 학습의 변화양상

년 개정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 년 개정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

 의 어휘를 활용한 한자 어휘교육

맥락에 맞게 사용하는 일상용어 다른 교과 학습에 사용되는 한자용어

언어 예술 사회 지리 과학 기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성어

결론

참고문헌

(7)

표 목 차

<표1> 校勘國譯 松南雜識 구성 체계···2

<표2>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Ⅰ내용 체계···9

<표3>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Ⅱ내용 체계···9

<표4>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1~3학년 군별 성취기준···11

<표5>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Ⅰ 성취기준···11

<표6>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Ⅱ 성취기준···12

<표7> 2015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16

<표8> 2015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18

<표9> 맥락에 맞게 사용할 한자 어휘 ···24

<표10> 언어/예술 과목 학습에 사용되는 한자 어휘···34

<표11> 사회/지리 과목 학습에 사용되는 한자 어휘···43

<표12> 과학/기술과목 학습에 사용되는 한자 어휘···51

<표13>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성어···58

(8)

국문초록

본고는 년 개정 교육과정 중 한자 어휘교육을 교육현장 에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실행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 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과 어휘학습의 목표는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을 키워드로 삼으 면서 언어생활에서 한자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재삼의  는 세기 말기 그가 수합하고 정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동아시아 문화에 기반을 둔 어휘 이력을 제시 하고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교육목적을 실현하는데 필수적인 교 육용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송남잡지를 분석하여 한자 어휘교육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송남잡지에는 개의 분야에 총 개의 어휘가 수록 되

어 있는데 그 중 중 고등학교 한자 어휘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였다 어휘 선별 기준은 중 고등학교 교육용한자

자의 범위 안에 들어가면서도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

과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에 합당하는 어휘를 약 개정도 취사선

택하였다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과의 내용체계와 성취기

준에 따라 맥락에 맞게 사용하는 일상용어 와 다른 교과 학습에

사용되는 학습용어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성어 로

구별하여 알맞은 어휘를 뽑아 정리하였다 그리고 어휘들을 학습

하는 방법으로 의미망 학습법을 제시하였다 필자가 이런 학습방

법을 선택한 이유는 송남잡지가 표제어를 다양한 문헌 및 자료

를 통하여 설명하는 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표제어를 중심

으로 그에 관련된 어휘를 함께 학습하기 위해서는 의미망학습

방법이 유효한 학습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어휘의 확장은

곧 사고의 확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망 학습법이 한문교육의

어휘교육에 다각도로 활용될 때 학습자는 보다 넓고 깊은 사고

(9)

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송남잡지의 한자 어휘를 이렇게 활용하게 되면 교과서 편

찬의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한문과 수업의 교육 보조

자료로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새롭게 개정된

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새로운 교과서

에는 기존의 교과서에서는 취급하지 않았던 유의미한 한자 어휘

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10)

This paper considers some action plans to effectively actualize the revised 2015 curriculum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e goal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 and vocabulary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hich is being carried out in the present education scene, puts emphasis on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s.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y educ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ongnamjapji』 by Jaesam Jo was the essential educational resource for the above purpose as it suggested a vocabulary history that can be collected and organized based on East Asian culture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Songnamjapji』 to use it for Chinese character and vocabulary education.

There are, in total, 4432 Chinese words divided into 33 categories in 『Songnamjapji』. The words which can be used in the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are selected. The criterion for selection is, first, the word should be in the range of the 1800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used for the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second, it should satisfy the revised 2015 curriculum of Chinese and its framework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total number of selected Chinese vocabulary is about 180. Following the framework and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daily terms in the appropriate context, 2) learning terms for studying other subjects and 3) Chinese phrases in the appropriate context. “Meaning Network Learning” was then suggested as a means of learning new words. The reason why the author chose this method of learning is because he found out a pattern that

『Songnamjapji』 had, which was to explain headwords through

(11)

various literature and materials. To learn the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the headwords, it is thought that the “Meaning Network Learning” method will be a valid learning method. Extension of vocabulary means expansion of thoughts. When this learning method is used for teaching Chinese vocabulary in various ways, the learner is expected to acquire a wider and deeper mindset.

It is expected that when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Songnamjapji』 are utilized in this manner, it will not only become

important information for compiling textbooks but also a teaching

aid for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 materials. Moreover, in

order to fulfill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newly revised 2015

curriculum, the new textbooks should be presented with significant

Chinese words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in existing textbooks.

(12)

서론

연구 목적

오늘날의 현실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는 방법으로 고대 인문학고전을 통한 학문적 논의를 시도하는 모습들을 최근 들어 자주 볼 수 있다 교육의 문제에 있 어서도 과거의 우리 교육이 그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영위되었는가를 살펴 봄으로서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러한 노 력을 통해 현재 우리의 교육적 과제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본고가 살펴보려고 하는 것은 한문과목에서의 어휘교육을 위하여 근대 이전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용 자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년에 한문과목이 독립교과 로 부활한 이후 한문교육은 실로 내용적으로 많은 변화를 거쳐 왔다 내용면에 서 년대 년대는 주로 한자어 교육에 편향되었던 반면 년대 이후에는 한국 한문학을 교육내용의 이상 배분하여 민족주의적 교육이 우선시 되었다 현재 는 차 교육과정이라고 불리는 년 개정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상황인데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을 키워드로 삼으면서 언어생활에서 한자 어휘 교육의 중요 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어휘교육의 교재를 보면 국어사전에서 선별 된 어휘를 한자표기 하는데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조선후기 세기 후반에 편찬된 조재삼의  를 분석하여 한자 어휘교육에 활용하도록 연 구하고자 한다

송남잡지는 이 년 에 편찬한 성격

을 지니고 있는 이다 이 책은 항목의 어휘를 모두 개의 분야로 분 류하고 있다 우주의 발생부터 의 기원과 변화는 물론이고 과 같은 당시 학술의 최고봉까지 총망라하고 있다 이는 몽학서 및 계몽서의 공통된 특징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당시는 일정한 원칙에 따라 정리한 백과사전인

송남 은 조재삼의 자호이며 잡지 는 잡다한 기록이라는 뜻이다 의 말미에 년 월 에 은 스스로 한다 라고 하였는데 을묘년은 년으로 조재삼 나이 세 때이다

교감국역 송남잡지는 총 항목으로 구별하고 있는데 판본이 다른 임씨본과 규장각본에서 는 총 항목으로 분류하고도 있다

(13)

의 편찬과 간행이 유행하였다 중에서도 송남잡지는 다양한 자료를 주관적으로 전환하여 편찬하고 있다 이러한 변개 작업을 통하여 송남잡지

는 동시대 다른 유서와는 다른 편이성과 다양성을 풍부하게 갖게 되어 한문 어 휘교육에 최적화된 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동시대 유명한 유서들과의 차이 점이기도 하다 특히 송남잡지는 내용면에서 다른 유학자가 편찬한 유서와는 달리 조선의 풍속 도박 속어 은어 전설 등 민간의 은밀한 이야기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우리민족 고유의 전반적 문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송 남잡지는 총 권 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권마다 부류로 나누어져 표

과 같이 총 류로 나누어져 있다

표   구성 체계

각 부류의 항목들을 살펴보면 천문 세시 지리 관혼상제 과거 농경 의식주 음 악 종교 사상 언어 동식물 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인문학과 관련된 지식뿐만 아 니라 민속학이나 종교학 천문 지리학에서 농학 병학 한의학 복식사 음악사 과학사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총망라되어 있다

한예원 동아시아의 초학교재를 활용한 한문 문장구조 학습방법에 대한 시안 한자한문교육

강민구 조선 후기 유서 의 변개 양상 송남잡지 의 경우 동방

한문학회 동방한문학 권 쪽

卷 部類 項目 卷 部類 項目 卷 部類 項目

1

1. 天文類 70 3 12. 文房類 85 7 25. 稽古類 233/407 2. 歲時類 153

4

13. 武備類 114 8

25. 稽古類 174/407 3. 地理類 78/189 14. 農政類 64 26. 理氣說 33

2

3. 地理類 111/189 15. 漁獵類 16 27. 人物類 3 4. 國號類 35 16. 室屋類 121 28. 朝市類 99/119 5. 歷年類 ×

5

17. 衣食類 244

9 28. 朝市類 20/119 6. 外國類 117 18. 財寶類 77 29. 方言類 420/816 7. 人事類 40 19. 什物類 90 10 29. 方言類 396/816 8. 嫁娶類 75

6

20. 音樂類 94

11 30. 花藥類 180 9. 喪祭類 60/139 21. 技術類 151 31. 草木類 179 3

9. 喪祭類 79/139 22. 拘忌類 80

12 32. 蟲獸類 207 10. 姓名類 71

7 23. 仙佛類 117 33. 魚鳥類 187 11. 科擧類 41 24. 祥異類 118 13 索引緝 4,432

(14)

이러한 송남잡지에서 현재 한문교육용 한자의 범주에 들어가는 어휘를 선 별하면 약 항목이 된다 본고에서는 이 항목의 한자 어휘를 한자 어휘교육 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송남잡지가 한문과 성취기 준을 달성하는 한문교재 및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울러 한문과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보다 흥미롭고 풍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선행 연구

한자 한자어 어휘학습과 관련한 연구논문들은 년부터 시작 된 차교육과정 이후 현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연구가 축적되었다 연구의 성격은 크게 세 가 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중 고등학교 기초한자 자 및 중 고등학교 교과 서에서의 한자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이다 두 번째는 한자 한자어의 어휘학습이 타교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세 번째는 한자 어휘를 효과 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을 관한 연구이다

조국기 교육용 기초한자 연구 중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규용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도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의 효율적인 학습방안 연구 부수의 활용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임 중학교 한문 기초한자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을석 고등학교 한 문 교과서에 수록된 속담 격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수빈 효율적인 한자 학습 방법연구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노혜식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한자 어휘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숙 한자어의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학교 학년 기술 산업교과를 중심으 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명환 학습용어의 한자지도가 학업성취에 미 치는 영향 연구 중학교 학년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호길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한자 어휘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기 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병기된 한자어 지도가 어휘력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해란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한자어 분석을 통한 하자교육 학년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소희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자어 분석을 통한 한자 교육 학년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연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자어 분석을 통한 한자 교육 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진 한자어 지도를 통 한 국어 어휘력 향상 방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본고의 방법론적인 면이나 내용적인 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준 선행연구로 강 난영이 있다 송남잡지의 내용을 년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따라 살펴보았는데 새로운 고전을 이용한 한문교육의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는 점에서 유의미한 연구였다 그러나 현재 년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이 나와 새로운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에 따라 송남잡지를 제고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 송남잡지 연구들의 내용과 지금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한자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들의 방법론적인 면을 참조하면서 새로운 개정 교육 과정에 의거한 송남잡지속 다양한 어휘들을 살펴보고 교육 자료로 제시하고 한다 그리하여 년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새로운 교과서들에 집필 되고 있는 이 시기에 송남잡지의 어휘들이 교육 자료로 일조하길 기대하여본 다

한편 본고의 연구 자료가 되고 있는  에 관한 연구를 정리해 보겠다 문헌학적 연구는 임형택에서 시작된다 그는 서울대 고도서본을 접한 뒤 청주의 유인본을 입수하여 유인본 책으로 년 영인본을 출간하였다 이후 임형택 은 우리의 사상과 문화가 담긴 고전을 소개하면서 송남잡지에 대해 실학적 성 과를 이룬 저서로 다루며 해제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수록하였다 년에 는 임기중은 초고본인 임씨댁 소장본 권과 규장각본 권을 합본하여 영인본을 출간하였다 해제에서는 합본한 두 본과 유인본까지 세 종류의 이본을 비교 고 찰하고 있는데 규장각본과 같은 계열인 서울대 고도서본은 이본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김미경 한자어 의미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예원 한자 한자어의 필수 학습요소 개발 한문교육연구 제 호 조영호 한 자어의 의미 분석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한자한문교육 제 호 김동규 한자어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의 실제 한자한문교육 제 호 이성만 초등학교 한자어휘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 훈구 를 활용한 한자 어휘 교수 학습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난영 한문교육에서의 송남잡지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형택 송남잡지 아세아문화사

임형택 조선의 백과전서 송남잡지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쪽 임기중 송남잡지 동서문화원

양영옥 조재삼의 송남잡지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쪽 참조

(16)

이후 년에 강민구가 송남잡지의 내용과 인용 문헌을 교감하여 국역본을 출간하였는데 초간본을 저본으로 삼고 규장각본과 유인본을 참고하였다 두 차례의 영인본의 간행과 국역본의 출판은 송남잡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될 수 있는 단초를 만들어 준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몇몇 부류 에 대해서는 상당히 자세한 논의가 진행된 상태이다

이후 강민구는 국역 과정에서 밝혀진 내용을 바탕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 였는데 논문의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송남잡지가 전고를 인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두 번째는 유서 의 전개 과정에 관한 논의로    과 송남잡지와의 관계 를 살펴본 연구이다 세 번째는 송남잡지의 각 부류들에 대해 특징적인 사항 을 살펴본 연구이다 또한 최근에는 발표한 논문들을 정리하여 단행본을 출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세부적인 연구들을 바탕으로 송남잡지의 내용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저술 의식을 살펴본 최근 연구로는 양영옥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사에서 알 수 있듯이 한문교육학계에서의 어휘교육 연구에는 본고에서 고찰하려는 송남잡지와 같은 근대이전에 출판된 유서를 교육용 자료 로 활용한 연구가 없을 뿐 아니라 송남잡지에 관한 연구 방면에서는 한문교육 과 연관지어 살펴본 연구가 현재 존재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 준비하

조재삼 저 강민구 역 교감국역 송남잡지 소명출판

강민구 조선후기 의  과   인용 양상 의 경우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조선후기 의 오류 양상  의 경우 한문학보 리한문학회 조선후기 의  의 경우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 회

강민구 조선 대 유서의 편찬 의식에 대한 연구 다산과 현대 강진다산실학연구원 조선 대 의 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 의

   의    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한문학보 우리한 문학회

강민구 세기 의 과 한국의 철학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 에 대한 연구 한문교육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의 화훼에 대한 인식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의

에 대한 기록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조선 지식인의 뱀에 대한 의식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강민구 조선 대 유서의 형성과 특성 보고사

양영옥 조재삼의 송남잡지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는 송남잡지를 한문 어휘교육용 자료로 살펴보는 본 연구의 필요성이 드러난 다고 할 것이다

연구 방법

본고는 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의거하여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에 관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려고 한다 특히 세기 말에 편찬된 송남잡지

의 어휘를 활용하여 한문교재 및 보충자료를 제시하려고 한다

따라서 장에서는 한문과 교육과정에 보이는 한자 어휘학습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분석해 본다 년에 개정한 년 개정 교육과정 에서의 한자 어휘학 습의 주안점을 살펴본 뒤 이어서 년 개정 교육과정 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 안점을 살펴봄으로써 한자 어휘 교육의 변화 노선 및 교육 지향점을 찾아본다 이러한 작업은 송남잡지의 어휘를 활용하여 한자 어휘교육의 교재 및 보충자 료로 제시하려는 본 작업의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장에서는 장에서 논의 된 이론적 근거에 의거하여 송남잡지 중에서 한 문교육의 어휘교육의 목적에 합당한 항목을 선별하여 교육적 자료로 가공하고 의의를 설명하여서 언어생활에 활용할 한자 어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맥 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일상용어 이다 둘째는 다른 교과 학습에 사용되는 한 자용어 이다 셋째는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성어이다 송남잡지의 한자 어휘를 이렇게 선별하게 되면 교과서 편찬의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 라 한문 수업의 교육 보조 자료로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새 로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새로운 교과서에는 기존의 교과서에서는 취급하지 않았던 유의미한 한자 어휘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18)

한문과 교육과정에 보이는 한자 어휘 학습의 변화양상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이미 아홉 차례의 재 개정 과정을 걸쳐 오늘에 이르렀다 그렇게 교육과정이 바뀌는 동안 한문과는 많은 부침을 겪어야했다 특히 제 차 교육과정부터는 한문이 선택과목의 하나로 바뀐 이래 한문과는 저점 변두리 과 목으로 밀려나는 시련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다

한문이 선택과목이 된 이후에도 년 개정 교육과정 때까지는 비교적 안정 적으로 교과운영이 이루어진 편이다 중학교의 경우 교과서가 여전히 학년으 로 나뉘어 발해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년 동안 단위의 수업이 이 루어졌다 하지만 그 사이 고등학교에서는 이미 한문교과가 제 외국어를 비롯한 많은 선택과목 군들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게 되었다

또한 년 개정 교육과정이 채 자리를 잡기도 전에 년 개정교육과정이 서둘러 만들어졌다 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교육과정이 전면적인 개정 없이 부 분 개정만 이루어졌다지만 사실 년 개정 교육과정은 그 체계와 내용면에서 한문과에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전면 개정만큼이나 큰 변화를 가져왔다 내용 체 계는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약간 변한 데 그쳤지만 집중 이수제 라는 제 도의 도입으로 한문과 전체를 뒤흔들어 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다만 한문과만의 국한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집중이수제의 가장 큰 문제는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과목을 개 이하로 제한해 두었다는 점이다 게다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예체능의 과목은 매 학

집중이수제란 교과별 이수 시기와 수업 시수를 자율화하여 학습 집중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 학기당 배우는 과목의 수를 축소시켜 중학교 학년을 하나의 학년군 으로 비슷한 성격의 과목을 하나의 교과군 으로 묶어 특정 과목의 한 학년 또는 년 치 학습량을 학기에 집중하 여 학습하는 제도이다

국어 영어 수학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인 사회 역사 도덕 기술 가정 한문이 수업방식에 가 장 많은 변화를 보일 것이다 예체능 과목인 음악 미술 체육 과목은 집중이수 대상에서 제외이 다

(19)

기에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과목군들을 제외하면 한 학기에 배울 수 있는 과 목에 들어갈 수 있는 과목은 과목 이하가 된다 결국 중학교에서는 제 외국어 기타 선택과목 등이 남은 한두 자리를 두고 다투는 현실이 되었다 고등학교에서 는 독립적인 시간도 확보하기 힘든 상황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교육과정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학년별 학습의 위 계성 따위는 무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자체를 달성하기 힘든 상황이 되 었다

또한 중학교에서는 더 이상 학년별 교과서를 발행하는 것이 의미가 없게 되었 다 그리하여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는 고등학교처럼 낱권으로 발행되었 다 이는 학교별로 이수 단위수가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통합 교과서의 내용 또한 절반이나 밖에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또한 문제가 된다 그런 점을 감안하여 교육과정에 의한 통합 교과서는 단원수를 대폭 줄였다 기존 의 권 체재에서는 개 학년의 총 단원수가 적게는 단원에서 많게는 단원 정도였는데 교육과정에 의한 통합교과서는 단원 정도로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중 이수제에 따른 수업 시수의 축소로 인해 생기는 근본적 인 문제는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이미 이전부터 이런 문제가 쌓 이고 있다

년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기 전에 잦은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로인한 한 문과목의 위상에 대한 설명은 이 정도로 하겠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 채 년 개정 교육과정과 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하여 한문과 어휘학습 변화양상을 대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이 작업은 한문과에서

  속 많은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안과 기준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

최상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한문과 교과서의 변화 양상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참조

(20)

년 월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로 별책 한문과 교육과정으로 고시되었다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한 자 어휘학습의 주안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내용체계에 대해서 살펴본다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내용 체계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 내용 체계

영역 내용

독해

읽기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이해

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

문화 한자와 문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

한문 지식

한자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

어휘

단어의 갈래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

문장 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영역 내용

독해

읽기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이해

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

문화 한자와 문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

(21)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은 내용체계가 같고 고등학교 한문 는 한문 학의 이해 라는 중영역과 한문학 고전 작품 이해하기 와 한문학 고전 작품 감상 하기 라는 소영역이 추가로 들어있다

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서 가장 큰 변화는 한문 한문 지식 등 두 개의 대영역이 독해 문화 한문 지식 등 세 개의 대영역으로 설정한 것이다 각 영역의 내용 중에서도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의 중영역이 눈에 띈다 이 언어생 활과 한자 문화 의 설정은 교과서의 내용 체계에 상당히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내용 체계에 근거한 교과서의 내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본문을 처음부터 단문 으로 시작하였던 기존의 한문 교과서는 첫 단원부터 너무 어려운 것 같다는 평 가를 받았었는데 여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한문과목에 쉽게 접 근할 수 있도록 절충한 결과이다 실제로 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 들과는 다르게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한문 교과서의 첫 단원이 한자나 어 휘로 시작하다가 점차 문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의 중영역에 속해있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 라는 소영역은 우리의 언어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뜻에 맞게 활용하기 위한 세부설정이다 우리의 일상 언어 속에는 개념적 추상 적 의미를 표현하거나 심오한 사상이나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한자 어휘가 많이 있다 이는 한문과목에서 다양한 한자 어휘 학습을 통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명 확하게 알고 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자는 내용체계 로 본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이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 다

한문학의 이해 한문학 고전 작품 이해하기 한문학 고전 작품 감상하기

한문 지식

한자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

어휘

단어의 갈래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

문장 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22)

다음은 성취기준에 대해서 검토해보겠다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학년 군별 성취기준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 성취기준 읽기-(1) 단어, 구절, 문장을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읽기-(2)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읽기-(3) 토의 구실에 유의하여 글을 끊어 읽을 수 있다.

이해-(1) 문맥을 고려하여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해-(2) 글을 읽고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해-(3) 글을 읽고 지은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해-(4)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5) 한시를 읽고 시상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해-(6) 글에 나타난 표현의 효과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한자문화-(1)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자문화-(2)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언어생활과

한자문화(1) 언어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뜻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한자-(1) 한자의 형(形)․음(音)․의(義)를 알 수 있다.

한자-(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자-(3) 한자의 부수(部首)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스스로 찾을 수 있다.

한자-(4) 필순(筆順)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한자를 쓸 수 있다.

한자-(5) 한자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한자-(6)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어휘-(1) 단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어휘-(2)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알 수 있다 어휘-(3) 성어의 겉뜻과 속뜻을 이해할 수 있다.

문장-(1) 문장의 기본 구조를 알 수 있다.

문장-(2) 평서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의 특징을 알고 구별할 수 있다.

읽기-(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

읽기-(2) 글을 이루는 구절과 문장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해-(1)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

이해-(2) 유가 경전과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사상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23)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 성취기준 이해-(3)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주장의 근거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해-(4)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을 읽고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해-(5) 사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고 지은이가 강조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해-(6) 실용문을 읽고 글의 내용을 글의 목적과 관련지어 파악할 수 있다.

이해-(7)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해-(8)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해-(9)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한자문화-(1)

선인들의 지혜를 내면화하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자문화-(2)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언어생활과 한자문화(1)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한자-(1) 한자의 형(形)․음(音)․의(義)를 알 수 있다.

한자-(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자-(3) 바른 모양과 순서를 고려하여 한자를 쓸 수 있다.

한자-(4)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한자-(5)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어휘-(1) 단어의 짜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어휘-(2) 품사의 활용을 알 수 있다.

어휘-(3) 허사의 쓰임을 알 수 있다.

어휘-(4) 성어의 유래를 알 수 있다.

문장-(1) 문장의 구조를 알고 문장의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2) 문장 성분의 도치(倒置)를 알 수 있다 문장-(3) 문장의 수사법을 알 수 있다.

읽기-(1)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

이해-(1) 유가 경전과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사상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2)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지은이의 창작 의도를

(24)

우선 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학년의 세부 성취기준을 보면 학년 별로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중학교 학년을 통합한 군별 성취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집중이수제 의 도입으로 년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각 학년별로 단위를 쪼개서 수업을 하는 것이 아 니라 개 학년에서 선택적으로 한문수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문과를 비롯한 편제 단위수가 적은 교과를 집중이수과정 으로 하겠다는 의도가 교육과 정에 드러나 있다

중학교 한문 학년과 고등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의 성취기준을 살펴보 면 각각의 읽기 이해 한자문화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한자 어휘 문화 영역의 내용을 수준별로 나누어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 고등학교 한

평가할 수 있다.

이해-(3)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을 읽고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4) 사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해-(5) 실용문을 읽고 문체의 특징을 글의 목적과 관련지어 파악할 수 있다.

이해-(6) 서사적인 글을 읽고 말하는 이와 인물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해-(7) 한시를 읽고 말하는 이와 작품 내용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한자문화-(1)

선인들의 지혜를 내면화하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자문화-(2)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언어생활과 한자문화(1)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한문학의 이해-(1)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인 고전 작품을 읽고, 그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한문학의 이해-(2)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 고전 작품을 다양한 문학 교육 활동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한자-(1)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어휘-(1) 유의어를 이해하여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1) 생략된 문장 성분을 알 수 있다.

문장-(2)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을 알 수 있다.

(25)

문 의 한문학의 이해 영역에서의 한문학의 이해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인 고전 작품을 읽고 그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한문학의 이해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 고전 작품을 다양한 문학 교육 활동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는 상위 수준으로 처음 제시한 내용이다

자세히 어휘 영역의 성취기준을 살펴보면 중학교 한문 어휘 단어의 짜임 을 알 수 있다 어휘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알 수 있다 어휘 성어의 겉뜻 과 속뜻을 이해할 수 있다 고등학교 한문 어휘 단어의 짜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어휘 품사의 활용을 알 수 있다 어휘 허사의 쓰 임을 알 수 있다 어휘 성어의 유래를 알 수 있다 고등학교 한문 어휘 유의어를 이해하여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는 동일한 내용을 나누어 수준별로 나누어 제시했음을 알 수 있다 중학교 한문에서 어휘의 기본적인 짜임 과 품사의 종류 특성을 배우고 아울러 성어의 속뜻과 겉뜻을 이해한다 그리고 고등학교 한문 로 들어와 이미 이해한 한자 어휘를 본격적으로 활용한다 또 성어의 유래를 배우고 비슷한 어휘를 이해하여 문장 독해로까지 활용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또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영역의 성취기준도 중학교 한문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언어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뜻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고등학교 한문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고등학교 한문 언 어생활과 한자 문화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중학교 한문과 고증학교 한문 의 위 계적 구별을 지어놓았음을 볼 수 있다 중학교 한문에서 우리가 흔히 쓰는 언어 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활용한다 고등학교 한문 에 와서 한자 어휘를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같이 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에서의 한자 어휘학습 의 주안점을 살펴보았다 우리가 한자 어휘학습에 주목해야 할 점은 한문과목에 서 다양한 한자 어휘와 성어를 학습하고 한자 어휘와 성어의 뜻과 유래를 명확 하게 알고서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점

(26)

에 유의하여 송남잡지속 다양한 어휘자료들은 살펴보고 활용하고자 한다 아울 러 다음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은 년 개정 교육 과정에서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과는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변하였는지를 살 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현재 교육과정 개편의 시기를 맞아 개정된 한문과 교육 과정에 맞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

년 월 년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었고 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개발이 현재 진행 중이다 검 인정 절차를 거쳐 교과서가 출간되면 년 월 일부터 중학교 학년 고등학교 학년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학교 현장 에 적용될 것이다

년 개정 교육과정 따른 중등학교 교과서 개발이 마무리 된 것이 년 월이다 그런데 다시 년 반 만에 또다시 새로운 교육과정인 년 개정 교육과 정이 고시된 것이다

년 개정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학습의 주안점에 대해서 내용체계와 성취기 준을 표로 정리하여 살펴보겠다 우선 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대해 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중학교한문 고등학교

한문Ⅰ

고등학교

한문Ⅱ 기능

한문의 이해

한자와 어휘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

음·뜻을 지니고 있다.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의

모양·음·뜻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표현하기 탐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활용하기 한자의 부수 한자의 부수

한자의 필순 한자의 필순 한자의 짜임 한자의 짜임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단어의 짜임 단어의 짜임 단어의 짜임

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 실사와 허사 실사와 허사 실사와 허사

(27)

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 사가 있다.

품사의 활용 품사의 활용

한문의 독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 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 다.

문장의 구조 문장의 구조 문장의 구조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표현하기 비평하기 감상하기 탐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토의·

토론하기 활용하기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화자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

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문장의 유형 문장의 유형

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 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음의 변화가 일어난 다.

소리 내어 읽기

소리 내어 읽기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끊어 읽기 끊어 읽기

한문은 글의 내용과 형식에 유의하여 읽어야 글을 올바르 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내용과 주제 내용과 주제 내용과 주제

이해와 감상 이해와 감상 이해와 감상

한문의 활용

한자 어휘와

언어 생활

한자 어휘에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하는 말도 있고, 다 른 교과에서 학습 용어로 사 용하는 말도 있다.

일상용어 일상용어 일상용어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표현하기 탐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활용하기 학습 용어 학습 용어 학습 용어

성어 성어 성어

한문과 인성

한문 기록에는 창의적으로 사 고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 직한 인성을 함양하는 데 도 움이 되는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이 담겨 있다.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읽기 풀이하기

이해와 공감하기 조사하기 토의·

토론하기 적용하기

한문과 문화

우리의 전통문화는 한자를 주 된 기록 수단으로 하여 보존·

전승되고 있다.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토의·

토론하기 적용하기 한자문화권에 속한 여러 나라

들의 언어와 문화에는 공통적 요소가 있다.

한자문화권 의 언어와

문화

한자문화권 의 언어와

문화

한자문화권 의 언어와

문화

(28)

우선 표로만 정리하여 보아도 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기존의 교 육과정과 형식적으로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년 개정 교육과정에는 없었던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 등이 새롭게 제시되어있다 대영역도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에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 으로 변화되었다 핵심 개념 을 기준으로 대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한문의 이해 영역은 교육과정 내용 중 기능적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 를 두었 으며 한문의 활용 영역에서는 한문과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 를 두었다

기능 의 경우는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활용하기 를 기본으로 각 핵심 개념의 구체적 내용을 고려하여 표현하기 분석하기 토의 토론하기 등을 가감하였다

표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호 별책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참조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Ⅰ

고등학교 한문Ⅱ

한자와 어휘

(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4)한자가 만들어진 원 리를 구별한다.

(5)단어의 짜임을 구별 한다.

(6)문장에 사용된 실사 와 허사를 구별한다.

(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4)한자가 만들어진 원 리를 구별한다.

(5)문장에 사용된 단어 의 짜임을 구별한다.

(6)문장에 사용된 실사 와 허사를 구별한다.

(7)문장 안에서의 쓰임 에 따라 품사가 바뀌는

‘품사의 활용’을 구별한

(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2)문장에 사용된 단어 의 짜임을 구별한다.

(3)문장에 사용된 실사 와 허사를 구별한다.

(4)문장 안에서의 쓰임 에 따라 품사가 바뀌는

‘품사의 활용’을 구별한 다.

(29)

다.

한문의 독해

(1)문장의 구조를 구별 한다.

(2)문장의 유형을 구별 한다.

(3)글의 의미가 잘 드 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4)토가 달려있는 글을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5)글을 바르게 풀이하 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 한다.

(6)한문 산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7)한시의 시상 전개 방식을 통해 한시의 내 용을 이해하고 감상한 다.

(1)문장의 구조를 구별 한다.

(2)문장에서 생략되거 나 도치된 성분을 찾 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한다.

(3)문장의 유형을 구별 한다.

(4)글의 의미가 잘 드 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5)토나 문장부호가 달 려 있는 글을 토나 문 장 부호의 역할에 유의 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 다.

(6)글을 바르게 풀이하 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 한다.

(7)한문 산문의 다양한 서술 방식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 한다.

(8)한시의 형식과 그 특징 및 시상 전개방식 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1)문장의 구조를 구별 한다.

(2)문장에서 생략되거 나 도치된 성분을 찾 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한다.

(3)글의 의미가 잘 드 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4)토나 문장부호가 달 려 있는 글을 토나 문 장 부호의 역할에 유의 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 다.

(5)글을 바르게 풀이하 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 한다.

(6)한문 산문의 다양한 문체와 서술 방식을 통 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 고 감상한다.

(7)한시의 형식과 그 특징 및 시상 전개방식 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1)한자로 이루어진 일 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2)한자로 이루어진 다 른 교과 학습 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3)한자로 이루어진 성 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1)한자로 이루어진 일 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2)한자로 이루어진 다 른 교과 학습 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3)한자로 이루어진 성 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1)한자로 이루어진 일 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2)한자로 이루어진 다 른 교과 학습 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3)한자로 이루어진 성 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30)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성취기준을 살펴보면 하위 학교급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 요소를 상위 학교급에도 그대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하위 학교급의 내용이 상위 학 교급에 포함된다는 전제하에 하위 학교급의 내용을 따로 제시하고 있지 않은 것 과는 다른 모습이다 예를 들면 한자와 어휘 에 관한 성취기준에서 한자의 모 양 음 뜻을 구별한다 와 한문의 독해 에 관한 성취기준인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 다 도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 에 모두 제시하였다 이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요소라면 하위학급 상위학급 구분하지 않고 성취기준 을 명확하게 모두 포함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하위학교급과 상위학교급의 학습요소의 성취기준을 위계화하여 제시하고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호 별책 한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참조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과 인성

(1)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 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1)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 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1)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 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한문과 문화

(1)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 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 으려는 태도를 형성한 다.

(2)한자문화권의 문화 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 를 증진시키려는 태도 를 형성한다.

(1)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 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 으려는 태도를 형성한 다.

(2)한자문화권의 문화 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 를 증진시키려는 태도 를 형성한다.

(1)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 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 으려는 태도를 형성한 다.

(2)한자문화권의 문화 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 를 증진시키려는 태도 를 형성한다.

(31)

있다 이는 학급별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결과적으로 학습 성취도를 높이려는 노 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자와 어휘 에 관한 성취기준에서 중학교과 고등학교 한문 에서는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는 기초적인 성취기준이 들어가 있는 반면 고등학교 한문 에서는 이러한 성취 기준은 빠져있다 또 중학교 한문에서는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라는 기초적인 성취기준을 달성하고 고등학교 한문 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좀 더 고차원적인 성취기준인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로 위계화하여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성취기준을 설명하고 있는 서술방식이 년 개정 교육과정은 한 문 문체의 특성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면 년은 문체에 대한 내용 은 제외하고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 등학교 한문 의 이해 관련 성취기준에서 유가 경전과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사상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지 은이의 창작 의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을 읽고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사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 고 사회 문화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서사적인 글을 읽고 말하는 이와 인 물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등과 같이 한문 문체의 특징과 이에 따른 서 술 방식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그러나 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 의 성취기준을 보면 한문 산문의 다양한 문체와 서술 방식을 통해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로 통합적으로만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한자 어휘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 한 점은 한자 어휘 와 언어생활 에서의 성취기준을 자세히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중학교 한문과 고 등학교 한문 가 모두 동일하게 일상용어와 학습용어 성어로 내용 요소를 구 별하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32)

우선 일상용어 와 학습 용어 라는 새로운 내용 요소로 구성한 것이 눈에 띈다 이는 여러 교과에서 특징적으로 쓰이는 어휘 중에는 한자어로 이루어진 것이 대 부분인데 한자 지식에 기반을 두어 개념들은 학습할 경우 단어의 의미를 더 정 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이후의 학습과정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서이다 그리하여 이상적인 언어생활에서의 어휘 교육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교과 학 습에 필요한 어휘도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명시한 것으로 보인다

또 세 내용요소의 내용 중 모두 한자로 이루어진 이라고 진술한 이유는 한자 어 를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한문 교과의 성격에 맞는 학습이 되어야함을 강조 한 것이라 생각한다 또 맥락에 맞게 란 서술은 사전적 지식 못지않게 실제적인 쓰임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어휘를 구성하는 한자의 자원 형태 독음 의미 는 물론 어감의 차이나 문장에서의 쓰임까지도 바르게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야함을 나타낸 것이다

김우정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한문교육연구 제 호 쪽 참조

(33)

송남잡지의 어휘를 활용한 한자 어휘교육

본 장에서는 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 역에 포커스를 맞추어 송남잡지에서 어휘 선별하려고 한다 선별하는 기준은 우선 교육용한자 자 범위 안에 들어가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송남잡지에 는 개의 분야에 총 개의 어휘가 수록 되어 있는데 그 중 중 고등학교 한 자 어휘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고 다시 어휘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송남잡지의 개 분야를 성취기준의 구체적 내용에 따라 분류한다 첫째는 맥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일상용어 이다 둘째는 타 교과 학습에 사용되는 한 자용어 이다 셋째는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성어 이다 교육용한자 범 위에서 송남잡지의 한자어휘를 선별하여 교과서 편찬 및 현장의 한문 수업에 서 교육 보조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된다 또한 새로운 교육과정의 성취기 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교과서에서는 취급하지 않았던 송남잡지와 같 은 근세에 활발하게 편찬된 를 비롯한 다양한 자료에서 한자 어휘가 선택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맥락에 맞게 사용하는 일상용어

한국어의 체언 중 내외가 한자 어휘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일상적 언어생활에서 한자 어휘의 뜻을 잘못알고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하지 못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 한자 어휘에 대한 바른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송남 잡지에 소개된 어휘의 뜻을 학습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일상용어 분야에 서는 송남잡지 전체 분류 중 인간의 생활 및 관혼상제에 관련된

분야를 중

(34)

심으로 선별하였다 어휘 선별의 조건은 교육용한자 자에 포함되는 어휘가 우선적이다 선별된 어휘를 부류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료 활용을 위하여 내용은 현토를 첨부하여 제시한다

표 맥락에 맞게 사용할 한자 어휘

부류 선별 어휘 내용

가 를 라 에

라하니 에 도 라

에 이라하니 로 라

이 라

은 고 는 라 은 하여 라

가 이라

에 이고 이고 에 이라

이 하여 하니 라 에

가 에 을 하고 하여 하여

하다 이 라

에 은 하여 가 하여

에 이라

이 하니 이라

는 라하고 는 하여 하

고 는 라하니 라

는 하고 은 라

에 이 하여 하다

이니 리오 이 은 라

라 에 하니 라

이 하고 하다 하고 하여

이라 를 라 에 이

하니 라 을 으로 하니

에 이 가 이니

(35)

하여 하리라 에 이 라 가 라

이 하다 이 하니

이 라 에 네 하

자 하니 라

에 은 이라하다 을 이라하다

에 라하니 에서 이라하니 라

이고 이고 이라 은

에 가 하니 이라하다 하면

하니 이 라

에 라하니 라

에 라하고 하니

인져

이 하여 라

라 이라 이 라

이 하여 라하니 이니 로

에 가 에 이라

에 이 한데 하여

라 하니 라

가 라 이라 하여

하니 라

는 하니 이라하다

는 라

에 라하니 라

라 라하여 하고 하다

에 는 하니 이라

하니 라 하다

하니 하여 라하다 에 에

하여 이라

(36)

조재삼 저 강민구 역 교감국역 송남잡지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에 은 하고 하며 은 하다

에 에 한데 라하다

은 라

에 하니 라 에

하니 이라 는 이라하다

은 라

하면서 한데 라하니

이라 가 하고

이라 에도 한데 에

이 라하다 인데

에 하니 하여 라 이

은 라 하니 이라 으로

하다 하여 이라 라

이 하다 은 이라

에 하다

(37)

다음에는 위에 선별된 한자 어휘 중 교과서나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생각해보 자 한자 어휘를 맥락에 맞게 사용하게 위해서는 문장의 전후 내용에 알맞게 사 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학습방법으로 의미망 학습법이 유효하다고 생각 한다 서로 의미적으로 연관되는 어휘를 의미망을 통하여 학습하게 되면 맥락에 맞는 일상 언어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위의 표에서 몇 가지의 어휘에 대한 의미망 학습을 제시해 보겠다

송남잡지에는 동아시아 문화의 원형을 엿볼 수 있는 항목이 다양하게 수록 되어 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많은 매체에서 복수로 접하였던 문화원형을 한자 어휘를 통하여 학습하게 되면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은 사랑하는 부부 사이의 이별을 상징하는 문화원형이다 견우와 직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조재삼 저 강민구 역 앞의 책 쪽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적 요인과 관련하여 만족과 신뢰가 충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만족과 충성도간의 관계는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크게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인위적 원근법으로 거리에서 그림을 그리는 화가.. 종이에 인위적

Basic Books.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요소가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공업디자인대힉원 석사학위논문. 36)

상담증력육성교육(G-SOFT)프로그램이 군간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

10 주간의 수영과 아쿠아로빅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를 대상으로 순환운동을 실시하여, 전문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배구 기능 중 경기력을 좌우하는 기술수행능력에

줄넘기 운동과 달리기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 성분변화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Quercetin 과 유산소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