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6년 8월 박사학위 논문

중년여성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추구이미지, 외모 및 패션에

대한 연구

디 자 인 경 영 학 과

김 규 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3)

디 자 인 경 영 학 과

김 규 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A Study on Pursued Image, Appearance, Fashion,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for Middle-Aged Women

2016년 8월 25일

중년여성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추구이미지, 외모 및 패션에

대한 연구

(4)

A Study on the CharacterisCorporations tics of Design Consulting and Design Consulting Process

2016년 4월

디 자 인 경 영 학 과

김 규 리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지도교수 박 순 천

이 논문을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중년여성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추구이미지, 외모 및 패션에

대한 연구

(5)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2016년 6월

김규리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명 주 

위 원 광주대학교 교수 박 우 미 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손 영 미 

위 원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이 은 실 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순 천 

(6)

ABSTRACT

A Study on Pursued Image, Appearance, Fashion,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for Middle-Aged Women

Gyu-Li Kim

Advisor : Prof. Park, Soon-Chun Faculty of Design College of Art

&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research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what middle 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50 actually wore when they went out,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desired image,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style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s and also to investigate what they wore when going out, a research method using a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09 females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the city of Gwangju who were selected using a random sampling protocol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ge of the potential research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prepared for analysis using

(7)

SPSS WIN 18.0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s of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Cronbach’s α reliablity coefficient, cluster analysis, one way-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Survey on Outfits that Middle Aged Women Actually Wear When Going Out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what middle aged women wear when going out,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middle 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50, and using images that were taken on site, the survey and data was analyz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middle aged women had a tendency to pair bonding pants with a jacket while carrying a shoulder bag or hand bag, while styling medium length hair into a wavy hair style with volum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tyle that reflects current trends while also complimenting the changed physical appearance and hair style of middle aged women caused by hormonal changes and ag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utfits that middle aged women wear when going out are outfits that reflect their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2. The Categorization of Middle Aged Women According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s

In order to categorize middle aged women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factor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on 4 types of factor by summing up the scores for each of the 4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factors presented in this research study. As a result the women were categorized into the 3 groups of ‘sympathetic and accep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8)

group’, the ‘friendly (extrover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and the ‘introver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3.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Typ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Appearance and the Importance, Desired Image and Style of Fashion

Fir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physical appearance and the importance of fashion sty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outfit, makeup, brands, hair style, language, shoes, brand name and luxury bags and jewelry. In other words, the group that was more friend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shown to place a greater importance on physical appearance and image when it cam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with the exception of ‘an image that looks comfortable’,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red image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type. In other words, people who were categorized into the group of people who were friendli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tendency to desire to express a greater variety of images, and people who were categorized into the group of people who were introvert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lower desire to express their image through their outfits or through physical decorations.

Third, for style of outfit when going out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typ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for outfits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type, the

(9)

long vest and long knit vest were shown to be part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and that women who were friendli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higher score of wearing long vests and long knit vests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two groups.

4. The Correlation between Desired Image, the Importance of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shion Style of Outfit Factors

Firs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image and the effect of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image and outfit worn (top).

From the research results it could be confirmed that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eference type of women there were difference in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style and also desired image and even in outfits worn when going out. It could also be concluded that physical appearance and outfits are very effective tools for expressing personally desired images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confirmed that women who were friend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sired various physical appearances and fashion and that they perceived that physical appearances and fash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for women who were introvert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was shown that they considered the language a person uses to have more influence than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also confirmed that short lengthed hair

(10)

into a wavy hair style with volume was the most popular style for middle aged women. This confirms that due to a loss elasticity and loss of hair, middle aged women were uncomfortable having a straight hair style,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because curly hair gives an unsophisticated look, there was a low tendency to style their hair in a curly look.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above that in terms of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outfit selection and style, middle aged women tended to express themselves in ways that could complement their physical flaws while also not deviating too much from current trends.

Also by perceiving that physical appearance and fashion outfit style was a very important tool with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high tendency for middle aged women to wear many outfits that reflect current trends. Therefore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coordinating outfits harmoniously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young women but also for middle aged women.

(11)

< 목 차 >

ABSTRACT

제1장 서론 ···2

제1절 연구의 배경 ···2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논문의 구성 ···4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중년여성의 특성 ···6

1. 신체적 특성 ···10

2. 심리·정서적 특성 ···11

3. 사회·문화적 특성 ···13

제2절 대인관계와 패션 ···14

제3절 패션추구이미지 ···23

제4절 패션연출 ···28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32

제1절 연구방법 ···32

제2절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32

1. 연구문제 ···32

2. 용어정의 ···33

제3절 측정도구 ···34

1. 대인관계성향 ···34

2. 대인관계시 패션 및 외모의 중요성 ···36

3. 추구이미지 ···36

4. 중년여성의 외출복 및 헤어스타일 ···37

제4절 조사방법 및 연구대상 ···40

1. 자료 수집 ···40

(12)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제5절 자료분석 ···42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43

제1절 중년여성의 외출시 차림에 대한 실태조사 ···43

1. 의복 ···43

2. 액세서리 ···47

3. 헤어스타일 ···49

제2절 대인관계성향에 의한 중년기 여성의 유형화 ···51

제3절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추구이미지, 외출복 차림의 차이 ···52

1.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에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의 차이 ···52

2.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추구이미지의 차이 ···54

3.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외출복차림의 차이 ···57

제4절 추구이미지,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외출복 차림변인간의 상관관계 ···64

1. 추구이미지와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영향과의 관계 ···64

2. 추구이미지와 외출복차림과의 상관관계 ···67

제5장 결론 및 제언 ···76

제1절 요약 및 결론 ···76

제2절 연구의 시사점 ···78

제3절 연구의 제한점 ···79

참고문헌 부록

(13)

<표 차례>

【 표 1 】 중년기 구분에 대한 선행연구 ···7

【 표 2 】 대인관계성향 모형 ···17

【 표 3 】 대인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1

【 표 4 】 성인여성의 패션추구이미지의 선행연구 ···27

【 표 5 】 대인관계성향의 문항 및 α 신뢰도계수 분석결과 ···35

【 표 6 】 실태조사에 의한 중년여성의 외출복 차림 ···38

【 표 7 】 질문지의 구성 ···40

【 표 8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 표 9 】 겉옷(상의) 항목에 대한 분포도 ···43

【 표 10 】 겉옷 상의색에 대한 분포도 ···44

【 표 11 】 이너웨어 항목에 대한 분포도 ···45

【 표 12 】 이너웨어 색에 대한 분포도 ···46

【 표 13 】 하의 항목에 대한 분포도 ···47

【 표 14 】 가방에 대한 분포도 ···48

【 표 15 】 스카프연출에 대한 분포도 ···49

【 표 16 】 헤어스타일에 대한 분포도 ···49

【 표 17 】 헤어 질감에 대한 분포도 ···50

【 표 18 】 군집분석에 따른 대인관계성향 변인의 평균점수와 집단 간의 순위 ···51

【 표 19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의 차이 ···53

【 표 20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의 차이 ···55

【 표 21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외출복(겉옷 상의)의 착용도의 차이 ···57

【 표 22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외출복(베스트)의

(14)

착용도의 차이 ···58

【 표 23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외출복(바지)의

착용도의 차이 ···59

【 표 24 】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외출복(스커트)의

착용도의 차이 ···60

【 표 25 】 대인관계성향 유형과 헤어스타일 연출과의 관계 ···62

【 표 26 】 추구이미지와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영향과의 상관관계 ···65

【 표 27 】 추구이미지와 의복(상의)스타일과의 상관관계 ···68

【 표 28 】 추구이미지와 의복(하의)스타일과의 상관관계 ···71

(15)

<그림 차례>

【 그림 1 】 논문의 연구진행 절차 ···5

【 그림 2 】 대인관계의 형성과정 ···16

【 그림 3 】 외모를 통한 인상형성 과정 ···22

【 그림 4 】 연구모형 ···33

【 그림 5 】 중년여성의 추구이미지의 순위 ···56

【 그림 6 】 중년기 여성의 외출복(겉옷 상의)의 착용도 ···58

【 그림 7 】 중년기 여성의 외출복(바지)의 착용도 ···60

【 그림 8 】 중년기 여성의 외출복(스커트)의 착용도 ···61

【 그림 9 】 연구결과의 전체적인 내용 ···74

(16)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최근 우리사회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현대의 복잡한 관계 속에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외모는 대상자를 판단하는 데에 더욱 중요 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외모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다.

첫인상 형성에 있어 신체외모를 포함한 의복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의복이 쉽게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상징이므로 서로 모르는 사이에서 개인을 판단할 때 외모와 함께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다1). 이러한 외 모에 대한 높은 관심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나타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는 청년기에서 노년기로 가는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 인관계와 패션 및 외모장식 변인과의 관계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중년기 여성은 인생의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바뀌어가는 결정적 변동의 시 기로 연령상의 전환점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중년기는 신체적, 심리·정서 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자신을 새롭게 정립하 며 신체·체력저하에 따른 나약함을 자각하고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불 편감을 수반하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염려와 관심이 증가하는 시기이다.2) 또 한편으로 중년기는 권위를 나타내는 시기이기도 한데 인생의 절정기로 사회적 활동이 매우 활발히 이루어질 뿐 아니라, 문화·경제 등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중년기의 시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 이는 경우, 여유롭게 주어지는 시간과 경제적 넉넉함을 통해 새로운 사람들 과 유대관계를 맺고, 다방면으로 여가활동과 관심사를 찾고 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중년기에는 사람들과의 유대관계가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시기로

1) 강혜원,이금식,고애란,정미실,남미우,김양진(2013). 의상사회심리학. 제3 판. 파주시: 교문사, p.11.

2) 김은희(2009). 중년여성의 눈 화장에 따른 이미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p.38.

(17)

서 대인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인관계는 자기가 소속된 사회조직 집단 내에서 두 사람 이상이 타인과 접촉하는 관계로서 다양한 상황에서 상호작용을 뜻하는데3), 대인관계에서 외모가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외모는 사람의 성정체성과 아 울러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쉽고 분명하게 선택하거나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는 개인특성이다. 특히 패션은 대인관계에서 얼굴, 연령, 성별, 체격 등과 함께 개인의 사회적 지위, 취향, 직업, 경제적인 풍요와 빈곤 등을 짐 작할 수 있는 큰 단서로 언어 이외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4) 대인 관계와 외모 및 패션과의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즉 선행연구5) 6) 7)에서 보면, 대인관계와 패션 및 외모관련 변인 영향에 대하여는 메이크업 행동,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인구통계적 특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등과의 관계성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이 실제 착용하는 외출복차림을 조사 분석하여 중년기 여성의 외출복 실태를 알아본다. 또한 중년기 여성의 대인 관계성향을 파악하여 의복 및 신체장식관련 변인과 패션이미지를 추구하고 있는 지, 어떠한 패션아이템을 연출하고 있는지도 조사 분석해보고자 하였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년기 여성의 실제 패션스타일을 구체적으로 파 악하고, 중년기 여성의 외모차림을 이해하며, 차후 중년기 여성을 위한 효 과적인 외모차림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한다.

3) 이현지(2012). 자기노출정도와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SNS 이용행태 분석: 페 이스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

4) 박정혜(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행동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5) 손용석(2012). 고등학생의 외모스트레스와 대인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민주(2015).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행동과 대인관계 호감도에 미치 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고선형(2015).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 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제2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인관계성향과 추구이미지, 대 인관계 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외출복차림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데 에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실제외출복 차림의 실태를 조사 분석 한다.

둘째,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집단을 유형화 하고, 대인관계성향집단에 따 른 대인관계 시 패션 및 외모의 중요성, 추구이미지, 외출복차림의 차이 를 알아본다.

셋째, 추구이미지와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외출복 차림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제3절 논문의 구성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의 내용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사회적 학문적 배경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한 내용으로 연 구논문, 관련 내용 서적 등의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검토하였 다. 그 내용은 전체 4절로 구성되었다. 제1절은 중년기 여성의 특성에 대하 여 파악하였으며, 제2절에서는 대인관계성향과 패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3절에서는 패션추구이미지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파악하였으며, 제4절에서 는 패션연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3장은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이었다. 즉 연구목적에 의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 용어정의를 제시하였고, 측정도구 및 절차, 자료 수집 및 연구 대상, 자료 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제4장은 먼저, 중년기 여성의 외출차림에 대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대인관계성향 유행과 신체외모 및 패션변인, 추구이미지, 외출차림 등 을 각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의 내용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19)

제5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진행 절차를 도식화하였으며, 그 내용은 【그림 1】과 같 다.

【 그림 1 】논문의 연구진행 절차

(20)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중년여성의 특성

중년기는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8), 인생의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바뀌어가는 결정적 변동의 시 기로 연령상의 전환점이라고 볼 수 있다. 중년기를 정의하는 기간은 대게 일반적으로 약 40∼60세까지라고 하는데9), 그 기간은 심리적·환경적 요인 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연속적인 변화과정을 겪는 인간발달의 한 단 계로서 인생의 주기를 규정하고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 주장의 시기가 다 르고 임의적으로 차이가 나기에 명확히 정의하기란 쉽지 않고 그 범위를 규 정하는 폭이 매우 넓고 다양하다.

중년기 연령구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경애10), 김혜란11)은 중 년을 40~55세로 구분하였으며, 손영익12)은 35~60세, 이영아13)는 40~59세, 박다견14), 박상숙15), 윤상미16)는 40~60세, 김은희17)는 35~59세, 한연숙18)

8) 김은숙(2010). 지각된 중년기 남녀의 대인매력에 관한 심리적 특성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2.

9) 두산백과. 중년기 [middle age, 中年期]

10) 김경애(2003).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슬랙스 원형개발에 관 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란(2006).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특성이 헤어스타일 선호도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영익(2005).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 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영아(2007). 한국 중년 여성의 신체 이미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 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다견(2007). 중년여성의 별-파도그림 반응특성과 자아분화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상숙(2012). 20대 여성과 중년 여성의 헤어이미지 비교 연구. 한남대학 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상미(2014). 중년여성의 헤어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인식.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은희(2009). 중년여성의 눈 화장에 따른 이미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은 40~65세, 이선옥19)은 40~64세 사이를 중년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중년기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 화를 맞이하고 자신을 새롭게 정립하며 신체·체력저하에 따른 나약함을 자 각하고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불편감을 수반하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18) 한연숙(2010). 골다공증 진단 여성과 비진단 여성간 제 특성 및 건강증진

행위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선옥(2014). 중년여성의 외모관리, 나이듦의 태도, 정서, 신체 증상 및 자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연구자 연구

년도 연구제목 중년기

범위 김경애 2003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 특성에 따른 슬

랙스 원형개발에 관한 연구 40~55세 손영익 2005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35~60세

김혜란 2006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특성이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40~55세

이영아 2007 한국 중년 여성의 신체 이미지에 관한

연구 40~59세

박다견 2007 중년여성의 별-파도그림 반응특성과 자

아분화에 관한 연구 40~60세

김은희 2009 중년여성의 눈 화장에 따른 이미지 연구 35~59세 한연숙 2010 골다공증 진단 여성과 비진단 여성간 제

특성 및 건강증진행위 비교연구 40~65세 박상숙 2012 20대 여성과 중년 여성의 헤어이미지 비

교 연구 40~60세

이선옥 2014

중년여성의 외모관리, 나이듦의 태도, 정서, 신체 증상 및 자존감이 삶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40~64세

윤상미 2014 중년여성의 헤어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인식 40~60세

【 표 1 】중년기 구분에 대한 선행연구

(22)

염려와 관심이 증가하는 시기이다.20) 더불어 개인이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모습이 그대로 담겨있고, 앞으로 남아 있는 삶으로부터 주어져 있는 과제들 을 맞이해서 이끌어가야 할 점검의 시기이자 책임과 의무가 주어지는 중요 한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21), 연령, 가족주기, 생물학적 과정, 개인의 심리 적, 사회적 역사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22) 이 시기에는 신체 기능이 쇠퇴하게 되고, 신체의 형태적인 면에서도 변화의 징후가 두드 러지게 눈에 띌 정도로 노화 현상이 진행되며 피부의 탄력성이 줄어들고 늘 어지며 흰머리가 나거나 탈모가 진행된다. 그리고 서서히 생기가 상실되고 공허감이 커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신체적·심리 정서적 반응은 신체적이거나 지적인 상실감과 죽음에 대한 자각에서 원인을 둔다.

그러나 기본 생물학적 기능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중년기에는 기억력과 시간 인식이 재조직된다. 앞으로의 일을 예견하기보다는 과거의 기억이나 회상에 점점 의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는 점점 사라지게 되고 현실에 안주하여 사는 경향이 커지게 된다. 인생의 후반부는 지난날과 같은 의지와 욕망은 없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중년기 사람들 중에는 전과 같이 자신의 계획을 완수하고,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를 수행할 만한 신체적 활동력이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자신의 견해, 예측, 희망 등이 어긋날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하게 되 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즐거움을 얻게 되는 것도 가능하게23) 되며 지난 세 월 동안 습득한 기술과 경험에서 인생의 흡족함을 느끼는 사람도 많다. 이 처럼 중년기를 건설적으로 접근해 나간다면, 만족스러운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노년에 대한 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그간 중년기 특성을 연구해오던 학자들은 중년기에 관하여 대체적으로 두 20) 김은희(2009). 중년여성의 눈 화장에 따른 이미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8.

21) 김은숙(2010). 지각된 중년기 남녀의 대인매력에 관한 심리적 특성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2.

22) 김종욱(2010). 중년여성의 자기애성향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 과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

23) 하미향(2012).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중년 여성의 신체 이미지 인식. 인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5.

(23)

가지의 상반된 견해를 주장하고 있다24). 한 가지는 중년기를 많은 혼란과 갈등이 일어나는 인생의 위기 단계로 스트레스가 고조되는 시기라고 정의 하는 회의적인 입장과, 여러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지만 인생의 긍정적인 전 환기일 수 있고 자신을 재평가하여 새롭게 설립할 수 있는 기회의 시기라는 다른 견해의 상반된 주장이다.

이처럼 중년기의 구분은 연구자에 따라 35세부터 64세까지로 다양하게 정 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서는 40세부터 59세까지를 중년기로 설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신체적 노화가 진행되면서 매력 상실을 느끼며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게 되 고, 기혼여성일 경우에는 남편의 활발한 사회활동과 자녀의 성장에 따른 보 호자 역할이 감소됨에 따라 가정에서의 역할 변화, 사회영역에서의 변화, 신체적인 변화, 심리적인 변화 등 수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자아의 존 재에 대한 회의 등 자아정체감의 문제를 느낀다. 특히 전업 주부의 경우에 는 그동안 수행해 온 주부의 역할에서 성취감을 더 이상 느끼지 못하면 심 리적으로 심한 위기감과 허탈감에 빠질 수 있다. 자아정체감은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공허감, 불안감 등 부정적인 생각들로 인해 더 악화될 수 있다.

자아정체감을 자각하기 시작하면서 혼자만의 자아실현을 계획하고 이루고자 하는 바람에 직면하여 내적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중년기의 자아정 체감이란 위험한 고비나 시기를 이겨내고 자아를 통합하면서 심리·정서적, 사회·문화적으로 순응하는 자아를 갖춘 성숙한 사회구성원으로 가지는 자 아의식을 뜻한다.25)

중년기는 권위를 나타내는 시기이기도 한데 인생의 절정기로 사회적 활 동이 매우 활발히 이루어질 뿐 아니라, 문화·경제 등에서 매우 중요한 위 치를 차지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중년기의 시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여유로이 주어지는 시간과 경제적 넉넉함을 통해 새로운 사람들과 유 24) 송은미(2012). 중년 기혼여성의 일상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 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

25) 박영숙(2010). 중년기 여성의 자아정체감, 자아분화와 중년기 위기감과의 관계.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

(24)

대관계를 맺고, 다방면으로 여가활동과 관심사를 찾고 즐기게 된다. 자신만 의 활동을 하게 되어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최대한의 자아성취감 을 깨닫는 시기이기도 하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기억력이 쇠하는 반면에 사 고력이나 판단력, 문제 해결력 등의 능력은 증진되고 실용적 지능이 진보하 며 풍부한 경험에서 축적된 지혜를 통합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중년기를 위기의 시기, 인생의 황금기로 부르기도 한다.

이상의 내용에서 중년여성의 특성으로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문 화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신체적 특성

중년여성들은 체력이 예전보다 못함을 자각하게 되는 것에서부터 여러 가 지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26). 중년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 으로는 근육수축력의 감소로 인한 체중증가, 갱년기에 따르는 안면홍조와 폐경, 수족냉증, 번열증,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관절통과 골다공증, 중추 뇌신경 기능저하 변화에 의한 신경과민, 우울증, 기억력 감퇴, 초조와 불안 정, 집중력 결핍 등이 있으며 인지적 적응속도가 늦어지기 시작한다.

중년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난소의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는데 난소의 수 또한 감소하며 에스트로겐 분비가 저하된다. 또한 신진대사의 기능이 감소 되고 시력과 청력, 후각과 미각 기능도 저하되기 시작한다. 감각 운동 기능 장애와 반사 기능의 감소 등도 수반한다. 특히 체형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데, 가슴과 허리, 허리와 엉덩이 나비의 차이가 줄어들고 유방과 둔부가 아 래로 처짐으로 의복이 몸에 잘 맞지 않는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27). 중년여성의 경우 젊은 여성과 비교해서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부위는 골반 부위로 허리와 엉덩이 치수, 엉덩이 둘레 치수 등이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하 였다. 이로 인해 나이가 들면서 점점 변화하는 체형은 중년여성들에게 자신

26) 김안득(2011). 요가·춤명상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 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8.

27) 남윤자(1983). 실루엣에 의한 한국여성의 체형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p.46.

(25)

감 결여와 큰 상실감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피부에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는데, 여성호르몬의 수치가 급격히 줄어들고 남성호르몬의 수치는 증가하여 피부는 얇아지고 탄력성도 확연히 떨어지며 주름이 생기고 거칠어진다. 피부의 모공과 털, 두꺼워진 각질층과 피지의 분비로 트러블과 기미, 주근깨, 모세혈관 확장 등의 변화도 나타나 기 시작한다28). 이때 색소 침착도 진행되는데 피부색은 적색에서 황색으로 변하고 명도는 저하된다. 머리는 은백색으로 변하고 머리카락도 많이 빠지 기 시작한다. 이렇게 외모의 아름다움을 잃어감에 따라 자신은 언제나 젊을 것이라는 시간의 영속성에 대한 착각이 깨어지고 인생의 회의로 이어지며 혼돈이 시작된다. 특히 폐경은 여성으로서의 매력과 존재가치의 상실을 의 미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여성이 경험하는 신체변화 중 가장 큰 스트 레스는 주는 변화이며 노년기에 접어들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 심리·정서적 특성

제2의 사춘기라고 불릴 만큼 심리적 공허감과 신체적 무력감을 많이 느끼 게 되는 중년기 시기29)에 속한 여성들은 자녀들의 성장과 독립으로 인해서 가정에서의 역할에서 벗어나게 되며 심리적인 균형이 깨지고 자아정체성의 재확립의 실패로 위기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가정과 사회에서 소외감 을 느끼고 긍정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는 많은 중년여성들은 심리적으로 동 요한다. 자아에 의문을 가지게 되고 자아 상실감이 나타나기도 하며, 일상 생활에 대한 불만과 권태로움으로 인해 삶의 의욕을 잃는 현실도피와 자기 연민에 빠지기도 한다.

김현숙30)의 연구에서 보면, 자녀와 남편, 노부모에 대한 염려와 걱정이 많고 자아실현 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는 중년기 여성일수록 가정생활과 사 28) 홍진이(2007). 여성의 피부건강상태 및 관련 생활형태의 연구.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29) 김은희(2009). 중년여성의 눈 화장에 따른 이미지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1.

30) 김현숙(2015).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

(26)

회생활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며, 심각한 삶의 회의에 빠지고 삶에 대한 불안감, 압박감을 경험하여 중년기 남성보다 더 심한 위기감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이러한 변화를 긍정적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중년여 성의 경우에는 자녀를 떠나보낸 후, 자녀에게 구애 받지 않는 무자녀의 생 활을 즐기며 자신의 부모와 친구들과 가깝게 접촉하고 부부만의 새로운 생 활구조로 또 다른 행복을 맛보기도 한다. 시간과 경제적인 여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즐기고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최고의 자아 성취 감을 느끼기도 한다31).

중년여성의 심리·정서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 이 증가한다는 견해와 감소한다는 견해가 있는데, 자아개념이 증가한다는 견해에서는 중년기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큰 자유감의 시기로 보 고 있다. 특히 직업을 가진 중년여성은 자기 분야에 대해서 경험과 능력을 갖추어 자신감이 솟구치는 시기이다. 재정적으로도 여유가 생기고 가사노동 에서도 어느 정도 해방되기 때문에 만족을 느끼기도 한다. 반면에 자아개념 이 감소한다는 견해에서는 전통적인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여 성은 자녀에게서 벗어나는 시기로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여성으로서 매 력이 없어지며 노인이 되어 가고 있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 받으며 상실감에 빠지게 된다. 또한 폐경과 함께 성적 매력이 상실·절감 되었다는 생각으로 불안감과 소외감, 고독감과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둘째, 삶의 의미에 의문을 갖고 정서적 혼란과 방황을 겪게 되는 심리적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자아에 대한 평가를 다시 내리고 내면화의 경향이 증가한다. 그래서 인생의 목표와 가치, 성취, 삶의 목표, 다른 사람과의 관 계 등 지나온 삶을 뒤돌아보는 시기이기도 하다.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이 흔들리고 불안감과 압박감을 경험하여 비슷한 연령의 여성들과 비교하고 위 축되어 회피하고 열등감을 느끼기도 한다. 정서적 성숙을 갖추지 못한 중년 여성들은 내적 긴장과 불안감이 심화되면서 이제껏 억압받고 무시되어 왔던 자아에 의문을 제기하고 인생의 모순성을 인식하여 대립한다.

31) 범서희(2005). 체형결점 보완을 위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2.

(27)

셋째, 부모와 친구의 질병, 죽음 등이 중년기의 일부분이며 언젠가는 나 또한 죽음을 맞이하리라는 두려움에 건강에 대한 염려와 건강관리에 강박적 인 관심을 갖기도 한다. 또한 삶의 유한성을 느끼고 본질적인 자아에 대한 성찰을 하기도 한다.

넷째,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자기애적 성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신 체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신체적 이상 현상이 발견되면 건강염려증으로 몰 두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심리적인 갈등이 주로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 서 공황장애와 통증장애등의 신체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32).

3. 사회·문화적 특성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활발한 사회생활을 하는 여성 비율이 증가하고 있 고, 직업시장에 종사하는 중년여성들의 수도 많아졌다. 사회에서 직업 활동 을 하는 중년여성은 승진이나 진급기회가 부족하여 목적한 바를 이루지 못 하였다는 생각에 자신감이 결여되고 은퇴를 감지하기 시작하며 남성 조직화 의 어려움, 복잡한 대인관계 등으로 인한 경쟁 심리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 기도 한다. 반면 사회진출을 희망하고 꿈꾸었지만 실현하지 못한 중년여성 은 좌절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정체감을 찾는 문제에 직접적으로 당면하면서 가족 구성원으로서 역할에 따르는 사회·문화적인 생활특성이 있다33). 때문 에 여가 시간에 보다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대 인관계와 함께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사회관계망의 일원이라는 인식을 가지 고 더욱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유대관계를 맺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에서 중년여성의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중년기는 인생주기에서 필연적인 한 단계이며, 비 교적 예측 가능한 시기이고, 자아와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갈등과 불균형이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지만 매우 필요하고 중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32) 황미선(2003). 중년여성의 건강염려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13.

33) 정선화(2012).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28)

즉 중년기는 자아정체에 의한 위기를 직면하는 한편 성취에 의한 인생의 절 정기를 맞이하게 되는데 이때 신체적 심리·정서적으로 격심한 변화를 체험 하게 되므로 이러한 중년기의 변화는 위기감을 일으키기도 하나 도전과 기 회를 품은 것으로 자신에 대한 자각과 새로운 적응력을 이바지하기도 한다.

최근 중년기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체력과 신체저 하에 따른 변화를 감지한 중년여성들은 더욱 건강과 외모에 민감하게 반응 하며 이에 대처하고 신경을 쓰고 있다. 또한 중년여성들은 과거와 달리 사 회활동이 많아지고 있고,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와 열망으로 가지며 외적인 부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를 위해 운동과 식이요법, 성형이나 화장, 패션 연출 등을 병 행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대인관계에서 의복 및 외모가 미치 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제 중년기 여성의 패션 연출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패션연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제2절 대인관계와 패션

대인관계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많은 사람들, 혹은 소수의 사람과의 관계를 의미하는데 우리의 삶은 태어날 때부터 죽는 순간까지 다른 사람과 끊임없이 관계를 형성하고 살아가므로 대인관계는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 이다34). 또한 대인관계는 자기가 소속된 사회조직 집단 내에서 두 사람 이 상이 타인과 접촉하는 관계로서 다양한 상황에서 상호작용을 일컫는 말로, 개인이 다른 사람을 대하는 보편적인 심리적 지향성으로서 내적인 성격과 외적 행동 간의 관계로서, 개인이 타인에 대해 어떤 생각하고 어떻게 느낌 을 가지고 반응하는지 타인을 지각하고 그에게 어떠한 행위를 하는지, 타인 에게 무엇을 기대하는 지에 대한 심리적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다35). 34) 우종완(2015). 상담자의 대인관계 성향이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 상담경력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35) 이현지(2012). 자기노출정도와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SNS 이용행태 분석:

(29)

그리하여 대인관계는 정서적 결속과 연계를 의미하고, 친밀도에 따라서 친밀한 대인관계인지 일상적인 대인관계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특히 개인 의 발달상의 과정에 따라 안정에 영향을 주는 친밀한 대인관계는 부모-자녀 관계, 친구관계, 애정관계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친밀한 대인관계에 서36) 얻어지는 지지는 다양한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돕 는데 이바지함으로써 사회적 기능과 심리적·정신적 안녕을 위해 필수적이 라고 할 수 있다. 갈등 역시 대인관계의 기본적인 특성으로써 관계의 속성 과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우리는 상호의존하며 사는 것이 삶의 본디 특징이기에 다른 사람과 분리 될 수 없고, 타인과의 관계를 떠나 홀로 살아가기는 어려운 존재이다. 또한 인간행동의 대다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대인관계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분석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37).

대인관계의 목적38)은 상황에 대한 인지를 뚜렷하게 함으로써 안정을 이루 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세우고 상호이해, 조화, 의미의 추구, 협동 및 통 제를 통해 형평 또는 적응, 이득 추구나 목적의 달성 중에 주체성 확립으로 삶의 의미를 찾아가며 자아실현에 다다른 것이 더할 나위 없는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대인관계 내에서 자기가치를 변함없이 지탱하는 핵심적이고 내적 인 직접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의 성격은 타인과의 교류와 상호작용이 반복해서 일어나는 꽤 지속적인 유형이다. 각 개인의 가치체계에는 타인의 반응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인관계적이며, 대인관계 태도는 다른 사 람들과 관련을 맺으면서 자신이 어떠한 사람인가에 대한 내적인 평가가 반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

36) 유덕수(2008). 집단상담이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Glasser의 현실용법과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p.17.

37) 차지은(2012).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 능력에 관한 연구: 경력·훈련 경험, 상담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성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p.18.

38) 안범희(1985).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영된 자기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39). 또한, 대인관계는 자아실현과 사 회 적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인관계는 개인의 삶의 질을 단 안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룰 때 정체감 확립, 자 아성취감, 건전한 성격발달, 행복감, 인간의 욕구만족이 이루어지지만, 대 인관계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욕구좌절, 우울, 불안, 소외 등 정서적인 시련을 당하게 되어 심리적 병리로 이어질 수 있다40).

【 그림 2 】 대인관계의 형성과정

출처: 남궁선41) (2005)

한편 대인관계성향은 대인관계를 이루는 개인의 속성으로 각각의 개인이 타인을 대할 때 보편적으로 어떠한 인간관계를 맺으려는 심리적 지향성이라 할 수 있다42). 즉 개인이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유형의 사람에 대해 심리 적, 행동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대인관계성향이라고 한다43). 대인관계성향

39) 고형규(2013).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가 대인관계성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6.

40) 한상우(2011). 상담증력육성교육(G-SOFT)프로그램이 군간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

41) 남궁선(2005). 호텔종사원의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 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42) 김은경,이진숙(201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 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pp.1-22.

(31)

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가운데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대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44). 두 사람이 상호작용을 할 때 자신 과 타인에 대한 일련의 상을 구성하며, 그 상황 속에서 개인의 지각의 장이 된다45).

A 차원 B C

역할성향

1 지배적 복종적

우월적 자기비하적

2 독립적 의존적

책임감적 무책임적

사회관계 성향

3 동정적 비동정적

수용적 거부적

4 사교적 비사교적

우호적 비우호적

표현성향

5 경쟁적 비경쟁적

공격적 비공격적

6 과시적 자기폐쇄적

자기도취적 자기의식적

7 반항적 타협적

불신적 신뢰적

【 표 2 】 대인관계성향 모형

출처: 안범희(1985)

43) 박재석(2009). 대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성향간의 관계에서 심리 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6.

44) 임현주(2014).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대인관계성향이 역할관련 직무스트레 스와 고객지향성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

45) 김은경(201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2.

(32)

안범희46)는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요소들 로서 대인관계성향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는 대인관계성향모형에서 대인관 계를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 상호간에 일어나는 역동적이고 상호 복합적인 과정이라고 하였다. 대인관계가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 여 ‘대인관계성향모형’을 제시하였는데, 크게 역할성향, 사회관계성향, 표현성향차원으로 구성하였다47). A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맡으 며, 사회적 관계는 어떠하며, 대인관계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취하는 태도는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구분한 영역이며, B는 각 성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내용을 표시한 것으로, 대인관계성향에서 그가 취하는 태 도가 독립적인가 의존적인가, 지배적인가 복종적인가를 구분하는 것으로 이 러한 내용들이 곧 대인관계 성향의 각 요인을 이루게 된다48). C는 B의 부분 에 반대적인 성향을 대칭시켜 높은 것으로서 B의 성향이 높아질수록 C의 정 도는 낮아진다. 이 모형은 3가지 대인관계 영역 안에 7가지 차원의 대인관 계성향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차원별로 상단의 것은 보편적 성향, 하 단의 것은 극단적 성향을 나타낸다49).

외모는 사람의 성 정체성과 아울러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쉽고 분명 하게 선택하거나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는 개인특성이다. 특히 패션은 대인 관계에서 얼굴, 연령, 성별, 체격 등과 함께 개인의 사회적 지위, 취향, 직 업50), 경제적인 풍요와 빈곤 등을 짐작할 수 있는 큰 단서로 언어 이외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패션은 첫 인상형성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자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자 경쟁할 만한 능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 다. 외모를 가꾸는 패션에 대한 관심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는 행동

46) 안범희(1985).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채비호(2013). SNS 자기노출정도에 따른 대인관계성향 분석: 페이스북 중 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8.

48) 김은경(201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15.

49) 안범희(1985). 전게서

50) 박정혜(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행동 연구.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33)

으로 이어지고 생활의 필수요소로 정착 하고 있다.

대인관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고선형51)은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 는데, 성인의 자아존중감은 30, 40대 대학원 이상, 전문직이 높았고, 성인 의 외모관리행동은 대학원 이상, 전문직이 높았으며, 성인의 대인관계 중 만족감은 남자, 30대, 기혼, 대학원 이상, 천주교, 전문직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성인의 대인관계와 신체이미지의 관계가 상호연관성이 있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민주52)는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행동과 대인관계 호감도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였는데, 퍼스널 컬러의 인식 유형에 따른 메이크 업행동은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지여부에 부정적 견해일수록 유행과 자신의 주관적인 취향을 선호하여 메이크업행동을 하였고, 대인관계 호감도는 퍼스 널 컬러에 대한 중요성과 색상의 중요성을 인식할수록 대인관계 호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희선53)은 중·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우울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중·고등학생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대인관계를 적응적으로 해나가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진54)은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와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압력만이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51) 고선형(2015).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 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김민주(2015).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행동과 대인관계 호감도에 미 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희선(2015). 중·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우울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 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김유진(2015). 헬스참여 성인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대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pp.354-364.

(34)

정보가 쾌락적 즐거움과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긍정적인 형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성인여성들의 바람직한 외모는 삶의 질 향상에 긍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이인숙과 양윤미55)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상, 외모관리행동 및 심리사 회적 건강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심리사회적 건강은 건강심도나 체중조 절의도와 유의한 있었고,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과 헤어관리행동에서 정 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정혜56)는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 개효과에 대한 연구하였다.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가 높 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재와 윤두아57)는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 셀프마케팅의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외적·내적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과 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0-40대 성인 여성의 이미지메이킹은 대인관계 영향 을 미치고 이는 셀프마케팅 향상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경옥58)은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만족도 학교적응에 따른 학년의 차이에서는 모두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만족도 학교적응간의 상 관관계에서는 외모만족도는 대인관계와 학교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 었으며,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교적응

55) 이인숙,양윤미(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 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pp.301-312.

56) 하정혜(2011).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이선재,윤두아(2009).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 셀프마케팅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9(1), pp.170-171.

58) 심경옥(2006).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에 대하여 외모만족도보다는 대인관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 연구

년도 연구 제목

고선형. 2015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2015 퍼스널 컬러 인식이 메이크업행동과 대인관계 호감 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선. 2015 중·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가 우울과 대인관계에 미 치는 영향

김유진, 임승현, 남인수.

2015 헬스참여 성인 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가 우울 및 대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손용석. 2012 고등학생의 외모스트레스와 대인관계에서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 강과의 관련성

하정혜. 2011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 관계의 매개효과

이선재,

윤두아. 2009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 셀프마케팅의 관계 연구

심경옥. 2006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표 3 】 대인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한편 여성은 사회적으로 외모와 매력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여 패션에 더 집착하게 되고 다른 이들의 평가에 많은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는데59), 그 집착이 과도할 경우 비우호적인 평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59) 노선옥(2011). 대인관계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3.

(36)

이상의 내용에서 대인관계와 외형요인은 대인관계성향과 관계가 있음 알 수 있었다. 즉 외모와 패션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신의 외모에 대해 긍정적이고 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림 3 】 외모를 통한 인상형성 과정

(37)

제3절 패션추구이미지

추구이미지는 개인이 되기를 원하거나 타인의 눈에 비춰지기를 바라는 방 향을 가리키는 이미지로, 현재 자신이 원하는 자기와 부합시키기 위해 상품 이나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자신이 착용하고 있는 옷이나 신발, 가방 등 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 또는 도구인 동시에 자기의 가시 적·비가시적 연장선으로 취급된다.

패션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 한 방법으로써 개성이나 분위기, 역할이나 태도 등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소 통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상적인 자기이미지와 지각된 자기이미 지의 차이를 줄여주는 데 사용하여 보완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구매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그와 꼭 들어맞는 디자인 과 상품, 상표 등을 선택하는데, 그 중에서도 옷은 개인이 원하고 이상적으 로 생각하는 자기이미지와 실제 자기이미지 사이의 격차를 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장 큰 수단이 된다. 결국 추구이미지와 패션은 상호보완 관계라 고 볼 수 있으며, 구매자 행동을 설명하는 훌륭한 변인으로서 추구이미지가 가지는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패션추구이미지는 자기이미지와 패션이미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자기이 미지는 개인이 자신 스스로를 지각하는 자화상이라고 말 할 수 있는데, 자 기이미지가 발전되면 그것을 지속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패션이미지를 통하여 보다 긍정적인 자기이미지를 전하는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사람들은 본인이 표출하고 싶 은 이미지에 가까운 패션을 착복함으로써 개인의 성향과 태도를 나타내는 데, 이러한 패션이미지를 패션추구이미지라고 한다.

자기이미지는 다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인이 동경하고 선호하여 본 인이 그렇게 되고자하는 이상적인 자기이미지와 본인 그대로의 모습을 지각 한 현실성 있는 실제적 자기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다. 현실성과 상황관여를 함께 고려할 경우, 자기이미지는 이상적이고 본질적인 자기이미지, 실제적 이고 본질적인 자기이미지, 이상적이고 현상적인 자기이미지, 실제적이고

(38)

현상적인 이미지로 분류되며, 추구이미지는 이 중에서 이상적이고 현상적인 자기이미지에 속한다60).

패션이미지는 패션디자인의 기본 요소인 실루엣(선과 형태), 색상, 소재, 디테일, 트리밍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되며 원하는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 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션이미지는 패션이 전달해주는 느낌으로 스타일 을 가름하는 한 기준이 될 수 있는데, 패션 평가차원의 구성요인은 세분화 된 형용사 어휘로 측정하고 있으며 단정한, 깔끔한, 독특한 등의 이미지 용 어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패션추구이미지는 자신이 선택한 패션을 통해 나타내고 싶은 패션이미지 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개인의 성별과 연령, 라이프스타일 등의 변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평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이 자신을 보는 자아 이미지를 통제가 가능한 패션으로 자아이미지를 부각시키거나 보완하여 본 인이 희망하는 이상적인 이미지에 가깝게 도달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고61)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착용용도와 성향에 따라 추구이미지가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션이미지 관련 선행연구들에서 패션이미지는 추구패션 이미지, 선호패션이미지 등으로 분류되어 연구되어지고 있다.

홍금희, 류현주62)는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 에 관한 연구’에서 성인여성이 외출복을 착용하였을 때 느끼는 자기이미지 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패션추구이미지를 세련된, 캐주얼한, 화려한, 여성적인 이미지 4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자기이미지가 여성적이고 세련된 집단은 여성적이고 세련된 상표이미지를 선호하였고, 자 기이미지가 캐주얼한 집단은 캐주얼한 이미지의 상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김칠순, 박수연63)은 ‘수도권 여성의 거주환경 및 의복 추구이미지와 홈

60) 김국희(2009). 남성의 추구이미지와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상 품 구매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

61) 박은정(2010). 어머니의 의복추구이미지와 유·아동 의복행동 연구. 한양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

62) 홍금희,류현주(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8), pp.1367-1377.

참조

관련 문서

What is the effect of psychodrama on child aggressiveness subareas, including negativeness, excitedness, violence, verbal aggressiveness and

Consequently, the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such as

Second, what effect does psychodrama have on sub-factors of 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행동적으로는 철회와 적대감이 분노를 일으키는데.. 는다는 이론적 근거에서 출발한다..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셋째, 부모와 자녀의 순결의식, 성 충동조절의식에서 자녀의 임 신과정 인식에 대한 성 지식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부모와 자녀의 성 의식 차이는

This suggests that p eer relationship programs can be used in schools to improve social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s of the students who lack

자율적인 생활양식을 지닌다. 심리유형이론에 따르면 어린이는.. 되면 자기효능감이 저하된다..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보드게임기반 수학 STEAM 교육프로그램이 융합인재역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