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미술치료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미술치료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한 연구"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역할 및 자질에 관한 연구 *

김 수 정**(톡톡톡연세언어치료지원센터)

<요 약>

연구목적: 미술치료 현장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효과적이었던 사례들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사 들의 경험을 탐색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적 접근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를 근거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자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매우 독특하고 이질적인 다양한 특성 지니고 있어 미술치료 현장에서 직접 이해하고 체험한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험들과 장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겸비한 미술치료사 4인을 심층면담 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를 전사하고 연구 참여자간 공통된 개념 및 주제를 보조 연구자와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을 통해 4가지 주제와 13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 다. 4가지 주제는 강점을 기반으로 한 목표 설정, 실행과정에서 면밀한 관찰과 민감함, 내담자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확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특수성 이 많은 내담자로서 미술치료사 역할의 중요성과 자질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 료사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충분히 이해하고,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는 시급한 문제점이 논의 되었다.

<주제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미술치료, 미술치료 접근방법, 미술치료사의 역할 및 자질

* 이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에서 발췌 정리한 것임.

** 교신저자(jasmink@naver.com)

(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는 그동안 DSM-IV-TR(APA, 2000)에서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 자폐, 소아 붕괴성 장애, 레트 장애로 세분화했던 전반적 발달장애를 2013년 새로 개정한 DSM-5(APA, 2013)에서 레트 장애를 제외 한 장애들의 통합된 진단명이다. 자폐 증상이 아주 가벼운 자폐 상태가 한쪽의 끝에 위치하고 다른 끝에는 전형적 이고 심한 형태의 자폐 상태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용어로 전반적 발달장애 의 하위 유형들이 하나의 연속선상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신석호, 2014). 2013년 특수교육 연차 보고서(교육부, 2013)에 따르면 장애영역별 특수교육대상자 현황에서 약 10%의 비중을 차 지하며 정신지체, 지체장애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장애이다.

주요 증상도 DSM-IV-TR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손상, 의사소통의 질적 손상, 제한적 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적인 행동, 관심 및 활동을 3대 주요 특징으로 하였다면, DSM-5에는 2대 주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이며 다른 하나 는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관심 및 활동 패턴이다(이승희, 2014). 구체적인 증상 몇 가지를 살펴보면 사람들과의 눈 맞춤을 잘 하지 않거나, 친구들과 노는 것 보다 혼자 노는 것을 좋아 해 사회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또 언어적인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아이들은 자기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언어적인 표현을 거의 하지 않거나 못 하기도 한다. 어떤 경 우에는 같은 소리를 반복하여 내고, 상황에 상관없이 말을 반복하고, 상대방의 말을 앵무새처럼 따라 하기도 한다. 행동 상에서도 박수를 계속해서 치거나, 몸을 흔드는 행동을 반복하기도 하 며, 자신의 선호 여부가 매우 확실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고집하는 모습을 보인다(박은혜, 2004).

이로 인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언어지체 및 언어 결함, 감각 에 대한 특별한 반응, 의례적 행동과 동일성에 대한 고집, 불균형한 발달능력 그리고 상동행동 을 문제로 안고 있다.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진단을 받았을 지라도 이들은 개인 각각 의 특징이 서로 다르거나 매우 독특하고, 이질적인 능력과 요구를 보여준다. 곧,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대표하는 단어로 독특성과 이질성을 꼽을 수 있다.

앞서 살펴본 특징을 지닌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다양한 증상들과 기 능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개개인의 특성, 능력 등이 매우 다양해지면서 원하는 교육적 요 구, 치료적 요구도 다양해졌다. 최근의 중재연구들도 인간관계 중심의 중재, 아동 내면 중심의 심리역동 중재, 아동의 환경관계 개선 중심의 중재 등 다양한 종류의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다 (김건희 등, 2011).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패러다임이 의학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 즉, 부족한 부분을 신장시키는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에서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

(3)

육적 환경조성, 교사의 기대감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김건희, 2013). 미술치료 분야에서도 이들 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뿐 아니라 지시 따르기, 인지적 능력, 사회성 발달 등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주고 있다(윤정원, 윤치연, 이근매, 2005).

모든 아동들이 미술치료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경우 더욱 특별하다(김양순, 2003). 이는 미술치료가 미술을 매개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자연스러 우면서도 비 강압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자극을 주고,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때 문이다(이근매, 권명옥, 2004). 특히 최재영(1994)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가 갖는 의의를 자기 표현적 기능으로 외부 세계와 의사소통하는 수단, 자신의 억제된 감정 과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자아 개념의 확인 또는 강화하는 정서적 기능, 흥미로운 미술재료와 용구 사용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감 감소, 소근육 발달(fine motor)과 눈과 손의 협응력(eye-hand cordination)향상, 대인관계(rapport)형성으로 설명하였다.

그럼에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는 많지 않다. 유현정과 이근매(2012) 의 연구 ‘장애 아동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장애아 동 미술치료에 관한 분석 자료 30편 중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에 따른 분포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1편으로 그 비중이 매우 낮았다. 이향지와 이근매(2008)의 연구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 된 장애아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고찰’ 에서는 1994년부터 2006년까지의 연구 논문 69편 중 연구 대상 동향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13편으로 18.8%로 차지하고 있으나, 1998년도에 9편이 편중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된 대부분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는 관찰 되어지는 기능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으로 이루어진 행동에 초점을 둔 접근이 선호되고 있다(이 경원, 2007). 이러한 기능적, 인지적 접근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심 리․정서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심은지, 이정숙, 2009).

한편, 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가 치료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지대하다(김인자, 2012; 김태은, 2009; 이혜선, 최선남, 2010; 최선남, 이혜선, 2014). 박경아(2008)의 연구인 ‘미술치 료에 대한 관련분야 전문인들의 인식도 연구’ 결과에서도 치료 성과에 가장 영향력 있는 치료 요인으로 치료사(91.9%)를 꼽았다. 미술치료사는 미술 재료, 치료 장소, 작업 시간, 작업 상황, 내담자 요인 등을 고려함으로 언어적으로 상담하는 것 보다 더 복잡하며(손지연, 2012), 프로그 램 운영과 정서적 지지도 내담자의 특성에 맞게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미술을 매 개체로 이용해 심리치료를 하는 사람이 아닌, 미술 안에서 나타나는 상징성을 빠르게 알아차려 서 상대의 마음을 읽어주고 아픔을 만져주고 감싸 안아줄 수 있는 전문가(이혜선, 2012)의 역할 을 하여야 한다. 내담자의 자기 표현과 자기 발견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교류하는 특별한 관계 이다(김인자, 2012). 이는 동일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할 지라도 미술치료사의 역량에 따라

(4)

상이한 치료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치료의 치료사 역할은 미술치료의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이혜선, 최선남, 2010).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하지 못 한다.’ 라는 말이 있다. 교사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표 현으로 교사의 자질과 능력이 교육에 주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김영봉 등, 2007). 통합 교육에서는 교사에게 장애 유형별 특성을 알고, 특수 교육 관련 기초 지식과 실질적이고 유용 한 필요기술을 언급하였다(권혁수, 2011). 이는 미술치료 분야에서도 다르지 않다. 김양순(2003) 은 미술치료사는 발달-정상, 비정상-개인과 집단 간의 역동과 치료 과정에 대해 잘 알아야 하 며, 미술과정에 대한 이해와 해석 그리고 수용 능력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미술치료 현장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낯선 미술 매체와 매체 활용법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 때 감각적인 특수성을 이질적으로 지닌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어떠한 미술 매체에 어떠한 반 응을 보일지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이질성과 독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스펙 트럼 장애아동에게 있어서 미술치료사의 자질과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그럼에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과 미술치료사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과 미술치료 과정에 서 예측하지 못 했던 반응이 나타나는 현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행되지 않고 있다. 임하연과 장연집(2014)은 미술치료 현장에서 생생한 목격자로서의 미술치료사의 경험은 배제된 채 여러 검사와 설문지들을 사용하여 전체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만을 검증하거나, 관련한 변화를 찾고자 하는 결과론적 연구가 대부분인 실정이라 하였다. 따라서 미술치료 현장에서 자폐 스펙 트럼 장애아동과 함께하면서 특성과 상황에 따라 실행한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어떠한 부분이 효과적이었는지 실제 경험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 료적 접근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관점을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심층면담을 실시하고자 한다. 심층면담은 미술치료사들의 의견과 경험을 직접 들을 수 있고, 미술치료 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치료 경험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치료적 접근법을 발견해 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독특하고 이질적인 특성을 미술치료 현장에서 직접 이해하고 체험한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 료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특히 미술치료 현장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효과 적이었던 사례들을 중심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겸비한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을 탐색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역할과 자질을 알아보고자 한 다. 이로써 미술치료사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을 간접 경험함으로 그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임상에서의 현실적인 도움으로 미 술치료 분야의 고유한 효과성을 높여 미술치료사들의 유능감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5)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의 특수성과 관련한 미술치료사 의 경험과 이해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실행 경험을 바탕으로 미술치료 방법과 미술치료사의 역할 및 자질 등에 대한 논의를 위해 예비 면담자를 포함한 5인의 미술치료사가 참여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관련 분야에서 석사 수료 또는 석 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언어치료실, 장애인지원센터, 상담실 등에서 미술치료사로 재직 중인 40대 여성으로 경기도에 거주하고 이다.

이 중 예비 면담자는 미술치료 경력 7년으로 특수교육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이수 과 목이 없으며, 5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경험이 있다. 연구 참여자 의 경력은 9년 이상으로 특수교육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교육을 석사 과정을 통해 이 수하였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사례는 적게는 10, 많게는 20개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갖고 있다. 이때 미술치료 경험 사례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 로 한 미술치료가 집단 또는 개별로 6개월 이상 진행한 경우를 1개의 사례로 보았다. 연구 참 여자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술치료는 특수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일반학교 특수반 방과 후 프로그램, 언어치료센터 내 미술치료, 장애인지원센터 내 미술치료 프 로그램 등이다.

이 연구에 참여해 심층면담을 진행한 참여자의 주요 인적 사항은 <표 1>과 같다.

대상 성별 나이 전공 특수교육 수강 여부 경력

가 여 40대 교육학(석사 수료) o 9년

나 여 40대 교육학 (석사) o 11년

다 여 40대 교육학 (석사) o 10년

라 여 40대 교육학 (석사) o 10년

<표 1> 연구 참여자 주요 인적 사항

(6)

2. 연구 절차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조직하고 이해해 의미 구조를 밝히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면담(J. Amos Hatch, 2008)을 사용하였다. 심층면담은 미술치료사들의 의견과 경험을 직접 들을 수 있고, 미술치료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 경험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치료 적 접근법을 발견해 낼 수 있다. 특히, 면담 내용에서 일정한 공통된 의미를 찾아냄으로써 새로 운 치료적 방법을 발견하거나 미술치료의 질적 발전을 위한 개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주어진 연구 주제에 대한 이해, 기술, 발견 작업을(이종규, 2006) 진행하고자 한다.

미술치료사들의 심층면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과 관련해 심층적 연구를 제시할 것이다.

1) 참여자 선정

연구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표집 기준을 두고 선정하였다.

첫째, 현재 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있으며 미술치료 임상 현장 경험이 5년 이 상인 자, 둘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개인 및 집단 미술치료 진행 경험이 최 소 10회 이상의 사례를 경험한 자, 셋째, 학부 또는 석사 과정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및 자 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자로 하였다.

특히 연구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지식이 있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으로 선정된 연구 대상자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계한 대안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2) 반 구조화 질문지 개발 및 사전 준비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관련 연구 및 미술치료와 관련된 주제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한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한 반 구조화 질문지를 개발하여 연구 목적에 맞는 체험을 수집하기 위해 심층면담에 적용하였다. 심층면담용 질문은 이효정(2011)의 ‘자폐 스펙트 럼 장애 종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여건을 위한 제언’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교육 전문가 5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제와 김건희 등(2011)의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 동향 연구’에서 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항목, 김건희(2013)의 ‘자폐장애유아를 위한 성공적 인 통합교육 연구’의 질문을 근거로 작성하여 질문의 타당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작성된 반 구조화 질문지는 특수교육과 교수 1인과 미술치료사 2인의 자문을 받아 이 연구 의 목적에 적합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후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미술 치료사 1인과 예비 면담을 실시해 내용을 최종 확정하였다.

질문지는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7)

의 목적, 실행한 미술치료의 경험과 효과, 치료사 자질, 미술치료의 필요성과 어려움, 제언을 내 용으로 하고 있다. 반 구조화 질문지는 <표 2>와 같다.

영 역 질문 내용

미술치료의 목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특수성과 관련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까?

실행한 미술치료의 경험과 효과 치료사 자질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변화를 가져왔던 치료적 방법은 무엇입니까?

특수교육에 대한 수강 전후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셨습니까?

미술치료의 필요성과 어려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필요성 및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제언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미술치료에 대한 제언은 무엇 입니까?

<표 2> 반 구조화 질문지의 내용

한편, 반 구조화 질문지의 타당성과 연구자 면담 훈련을 위해 실시한 예비 면담은 90분 동안 이루어졌다. 예비 면담을 통해 질문 방식과 녹음 방법에 대한 보완을 실시하였고 예비 면담 후 질문지 수정은 없었다.

3) 면담 일정 및 진행 방법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위해 전화로 면담 일정을 확인 후 이메일을 통해 연구 목적을 설명하 고 질문지를 제공해 면담 내용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 참여자의 일 정과 상황에 맞춰 장소와 시간을 합의 후 연구자가 방문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동 의하에 면담 내용을 녹취하였다.

심층면담 시에는 연구자가 안정감을 느끼고 생각과 경험을 공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 끼지 않도록 환경과 조건을 고려하였다(이종규, 2006). 질문지를 통해 참여자들의 경험 사례 중 심으로 효과적인 미술치료 방법과 연구 참여자들이 이해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 술치료를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하였다. 1:1로 진행되는 심층면담은 총 1∼2회를 실시하였고, 소요 시간은 약 80∼120분 가량이 소요되었다.

이 때 연구자는 윤택림(2004)이 제시한 심층면담의 인터뷰 질문 전략에 충실하고자 노력하 였다. 인터뷰 질문 전략은 광범위한 질문에서 구체적인 질문으로 진행하라, 논의를 이끄는 질 문을 해라, 바로 ‘예’ 또는 ‘아니요’가 나오는 질문은 되도록 피하라, 질문의 눈높이를 맞춰라, 추후 면접을 하라 총 5가지이다. 또한 성공적인 면담을 위한 요건으로 예의 바른 대화의 규칙

(8)

을 따르고, 연구 참여자에게 더 나은 연구가 되도록 도와줄 것을 부탁했으며, 연구 대상자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여 탐색 질문을 진행하고, 적게 말하고 많이 듣기(J. Amos Hatch. 2008)를 실천하였다.

4) 전사본 작성

녹음된 인터뷰 내용은 연구자가 직접 서면자료로 기록하였다. 면담을 마친 날로부터 3일 이 내에 녹음된 내용을 그대로 전사하였으며, 내용의 정확성을 위해 연구자 외 1인이 전사된 내용 을 재확인하였다. 면담 내용은 모두 A4용지 약 69장으로 전사되었다.

3. 자료 분석

이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참여자들로부터 반복적이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에 의미를 부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전사본 2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정 독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이 시사하는 의미를 개방적으로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각 연구자는 전사본을 반복적으로 읽으며 의미 단위를 구분하였다. 의미 단위 구분에 대한 연 구자와 보조 연구자의 교차 비교를 통해 의미 단위 구분에 대한 훈련과 핵심 개념에 대한 논의 를 하였다.

그 후 연구 참여자 4인의 자료를 의미 단위로 구분하고 단위 별 핵심 개념을 분석하였다. 분 석한 전사본을 교차하여 읽으며 논의를 통해 유사한 주제를 찾고, 각 주제별로 하위 주제를 정 하였다. 그 후 특수교육과 교수의 검토 및 협의를 거쳐 최종 주제를 도출한 후 최종 주제와 하 위 주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의하고 부호를 부여하였다. 부여된 번호로 두 명의 연구자가 모 든 전사본을 다시 반복적으로 읽으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두 연구자가 비교 검 토하여 면담 자료를 축약하였고, 이를 연구 결과에 활용하여 요약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 은 질적 연구를 수행한 선행연구(김건희, 2013; 김진숙, 2002; 박소현, 2010; 장서연, 최선남, 2014; 이효정, 2011; 최선남, 이혜선, 2014)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편견에 대한 개연성을 줄일 수 있는 연속 비교 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 분석이 끝난 연구 결과를 이메일을 통해 연구 참여자에게 확인하거나 직접 만나 확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동의하였으며 추가 및 개선 사항 은 연구의 논의에 통합하였다.

자료 분석의 단계는 <그림 1>과 같으며, 세부 단계는 <그림 2>와 같다.

(9)

전사물 검토 의미 단위 추출

의미 단위 별 핵심 개념 분석

참여자 간

공통 개념 분석 주제 선정 주제별 결과 추출

<그림 1> 자료 분석의 단계

분석할 면담 자료 반복하여 읽기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 각각 전사한 2부의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의미를 파악하였다.

의미 단위를 표시하며 면담 자료 분석하기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 각각 전사한 2부의 자료를 의미 단위별로 분석하였다.

의미 단위 교차 비교 분석하기

분석한 자료 2부의 의미 단위를 교차 비교 분석하며 핵심 개념에 대해 논의하였다.

각각의 핵심 개념 기록하기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전체 연구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전사한 69장에 대해 의미 단위별 분석 후 핵심 개념을 기록하였다.

연구 참여자간 공통된 개념 찾기 및 주제 찾기

연구자, 보조 연구자가 의미 단위별 핵심개념들을 교차 비교 후 논의를 통해 공통된 개념들을 찾고, 공통 개념의 주제와 하위 주제를 정하였다.

주제의 재검토 및 최종 주제 도출

주제에 대한 특수교육과 교수의 지도 후 최종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 및 하위 주제 부호화하기

최종 주제와 하위 주제에 대한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부호화 했다.

면담 자료 부호화 및 축약하기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는 각각의 의미 단위 자료를 다시 읽으며 각 주제에 핵심 개념의 지지 여부에 따라 부호화 하며 면담 자료를 축약하였다.

주제별 분석 결과 문장으로 설명하기

부호화 작업을 통해 주제별로 분석한 자료의 의미를 문단으로 기술하여 설명하였다.

4개의 주제와 13개의 하위 주제군으로 설명하였다.

설명한 문장을 지지하는 면담자료 선택하기

주제군 문단의 내용을 지지하는 공통된 면담 자료들 중 연구 대상자 별 균일하게 해당 면담 자료를 선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확인 및 동의 얻기

연구 결과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이 동의를 구하며 추가적으로 제시한 내용에 대해 연구의 논의에 통합하였다.

<그림 2> 자료 분석의 세부 단계

(10)

4.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를 위한 노력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한 이해도가 높은 미술치료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기 위해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및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강의를 수강한 자를 기준으로 삼 았다.

둘째, 자료 분석 과정에서 신뢰도 확보를 위해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가 정기적인 모임을 가 지며 모든 자료를 분석하고 공유하여 통합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셋째, 면담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 1인의 의견을 물어 연구의 정확성을 추구 하였고, 연구 결과에 대한 확인 작업을 모든 연구 참여자들에게 시행하여 연구자의 주관적 견 해를 배제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Ⅲ. 연구결과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심층면담으로 수집 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목표 설정은 강점을 기 반으로 해요. (2) 실행과정에서 면밀한 관찰과 민감함이 중요해요. (3) 내담자(ASD)에 대한 폭넓

주제 하위 주제

목표 설정은 강점을 기반으로 해요.

Ÿ 실현 가능한 변화, 장기적 기대 Ÿ 인지 수준과 실행 기능에 맞는 목표 Ÿ 단기적 목표 설정

Ÿ 목표 설정 시 고려 사항

실행과정에서 면밀한 관찰과 민감함이 중요해요.

Ÿ 실행과정에서의 관찰 Ÿ 정보수집

Ÿ 민감한 반응 Ÿ 치료사의 활동

내담자(ASD)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치료의 효과성을 높여요.

Ÿ 정서적 이해 Ÿ 감각적 특성 이해 Ÿ 심리․정서적 지원 치료사의 전문성 확보가 치료의 질을 높여요. Ÿ 장애 특성 이해

Ÿ 치료사 양성에 대한 제언

<표 3> 미술치료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주제

(11)

은 이해는 치료의 효과성을 높여요. (4) 치료사의 전문성 확보가 치료의 질을 높여요. 이상 4가 지로 도출된 주제와 각각의 하위 주제별 분석 내용을 요약하였고 대표적인 면담 내용을 중심으 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술치료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주제는 <표 3>과 같다.

1. 목표설정은 강점을 기반으로 해야 해요.

미술치료사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미래에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장기 적인 목표를 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긍정적 발달에 대한 기대 와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믿음을 반영한 것이며 아동에 대한 전문가적 이해가 높을수록 실 현 가능한 것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자폐 중에서도 중증 자폐가 아니라면 건강하게 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 만... 분명히 그 아이들도 아주 잘 하는 뭔가가 있어요. 그것을 찾아서 그것에 초점을 맞추면... 그걸 찾아가면 되는 거죠.(라-a-1)

아이의 다양성을 찾아 주는 것. 그 다양성을 미술치료 안에서 찾을 수 있었으면 좋 겠다는 생각을 참 많이 해요. 다양한 미술치료 재료를 가지고 이 아이가 만지는 것을 잘 해서 잘 만들 수 있으면 이쪽으로 가라고 조언을 해 줄 수 있고... 창의성을 넓은 의미에서 찾을 수 있고...(다-a-1)

목표 수립에 있어서 부모의 지나치게 높은 기대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경우 좋지 않 은 예후를 보이게 된다. 특히, 내담자의 인지적 기능 수준에 따라 목표의 수준이 정해지며 비현 실적인 기대는 부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게 한다.

물론 그렇게 되려면 아이의 기술적인 인지 능력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자폐 스 펙트럼 장애아도 여러 가지 접근이 있지만 인지 능력에 따라 접근이 달라져야 하잖아 요. 어느 정도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되는 아동들은 그것을 꾸준히 애기해 줘야 하 죠. 자꾸 이해 시켜 주고 가르쳐 주고...(가-a-2)

아이가 인지적으로 어느 정도 괜찮은 아이였어요. 그러다 보니까 엄마가 영어도 시 키고 1:1로 영어 선생님을 불러서... 열심히 쓰는데 써 놓고 발작을 해요. 어머니의 학 습적인 요구가 너무 많아서 변화가 안 일어날 수도 있었겠다.(라-a-2)

(12)

어머니 면담을 하고 상담을 할 때 이 아이한테 필요한 것을 현실적인 목표로 정했 어요. 와서 다른 치료를 할 수 있는 치료 경험을 만들어 주자. 왜냐하면 통제가 전혀 되지 않아서...(다-a-2)

보다 단기적인 구체적 목표는 구체화․세분화하고 유동성이 있어야 한다. 주로 현재 아동이 보여주는 결함이나 특성, 부모의 요구 사항 등을 기초로 라포 형성, 교수학습, 문제행동에 관한 내용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무엇보다 현재 아동이 가장 선호하고 실 행 기능이 우수한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돌발행동이나 착석하고 돌아다니지 않고, 집중력이라든가 기타 그런 부분에 있어서 도 제가 목표를 두고서 했죠. 맨 처음에 상동행동이라던가 상동언어라던가 이런 부분 들이 많이 편해지면 감소가 되잖아요. 불안한 경우 더 많아지고... 그런 것들이 맨 처 음 만났을 때 보다 상이하게 줄어들었다.(나-a-3)

아이들의 문제행동은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서 오는 문제행동이 많잖아요. 그래서 문 제행동의 원인을 빨리 파악하고 그 문제행동이 해야 할 과업이나 작업 활동이 아이에 게 부담스럽거나 어렵다고 느끼거나 아이가 좋아하지 않는 거는 초반에 빼죠. 아이가 잘 할 수 있는 거 좋아하는 활동들 그런 것을 통해서 하다보면 자신감을 갖게 되고...

(가-a-3)

처음에는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 것 위주로 했어요. 여자 아이 중에서 바느질을 굉 장히 잘 했어요. 그리고 나눠 주는 것을 좋아했어요. 조그만 지갑을 바느질로 만들어 서 나눠 주는 작업을 많이 했죠.(라-a-3)

아이가 관심 있어 하는 캐릭터를 그려 주고 같이 색칠을 해보게 한다거나 해서 확 장을 시켜나가는 거예요. 그래도 너무나 감사한 것은 한 가지라도 좋아하는 게 있다는 것. 그것만 있어도 되는 것 같아요. (가-a-3)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발달 수준이 느리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목표 설정 후 실 행 과정에서 목표 달성에 대한 조바심 보다 아동에 대한 애정과 신뢰를 필요로 한다.

이 아이들이 변화가 아주 아주 작아요. 그런 것들에 대한 것을 조금은 내려놓아야 해요. 아주 작은 변화에 제가 너무 기쁘고 그것에 대해서 보람을 느끼고... 계속 할 수

(13)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나-a-4)

그냥 천천히 갔어요. 목표를 높게 잡으면 안 되고 정말 단순한 하나를 잡아서... 어 떤 감정 표현을 하더라고 싫으면 ‘싫어’라고 말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 목표를 낮게 잡았기 때문에 그 정도의 목표는 어느 정도 거의 다 이루었던 것 같아요.(라-a-4)

또한 미술치료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교육에 참여 하고 있는 부모, 교사, 여타 치료사들 간의 교육 활동 및 치료 활동에 협력적인 체계 형성이 필 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반복학습은 어느 한 사람이 해서는 안 돼요. 학교에서 학교 선생님이 해 줘야 하고, 치료사가 해 줘야 하고, 엄마가 동시에 해 줘야 하고... 유치원에서 공문을 받더라구요.

어떤 치료를 어떻게 받고 있는지 유치원에서 어떤 식으로 해 줬으면 좋겠다...식의 조 언을 공문으로 요구해요. 유치원 선생님이 긴밀하게 어떻게 케어해 줘야 하는 부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나-a-5)

부모 지원 쪽에서 부모뿐만 아니라 가족이 함께 하는 것이 좋지요. 그런데 생각보다 모는 많이 참여하는데 부가 안 된다는 거예요. 아빠가 참여하면 그 가정에 변화가 일 어나요. 아빠의 지원이 조금만 있어도 엄마들은 되게 좋거든요. 그런 것들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선생님한테는 또래 관계를 알아내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집에서 보이지 않는 일상에서 나오는 특이행동을 부모님들이 모르는 경우가 있어요. 환경이 다른 곳 에서 아이가 나타내는 하나의 특징적인 행동일 수 있는 것, 이런 것들은 서로 이해를 해야 하는 거죠.(라-a-5)

미술치료라는 한 가지 단일 치료로 가는 게 아니라 다른 치료도 같이 가야 되고 개 별 치료 접근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같이 가야 되는 부분인데 가족이든 사회적 맥락에 서 같아 가 줘야지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다-a-5)

2. 실행과정에서 면밀한 관찰이 가장 중요해요.

미술치료사는 효과적인 미술치료를 위해서 아동의 편안한 치료 활동을 지지해 주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정보를 수집해 아 동이 수행하는 활동에 따라 반응하여야 한다.

(14)

귀, 눈, 마음을 다 열어서 하나 되게끔... 그 아이의 행동 그런 표현들에 대해서 민감 성 있게 반응해 줘야 되는 부분...(나-b-1)

그 아이가 만지질 못 해서 사전 면담할 때 예민하게 거부 반응을 보이는 재료를 다 확인하고... 철저하게 다 조사하고 들어갔어요.(라-b-1)

지켜 봐 주고 그리고 선행 조건에서 있었던 어떤 불안한 요소들을 탐색해서 그것들 을 제거 시키고 아이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것... 그런데 정말 중요한 것은 그 아이 의 공포와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는 거예요. 그래서 안정감을 갖게 하고 치료사를 신뢰 하는 거...(가-b-1)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은 독특하고 예민한 감각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 미술치료 현 장 상황에서 치료사가 예측하지 못한 반응을 할 경우가 많다. 이 때 내담자의 현장 욕구에 민 감하게 반응하며 진행해야 한다.

아이들이 욕구는 개별 차이가 있고 아이들 마다 원하는 것이 있지만 방법이 서툴고, 방법을 모르니까 치료사가 그 중간 매개 역할을 해야 되요. 아이의 현장 욕구와 그런 것에 대해서 민감하게... 치료사가 항상 전환이 빨라야 한다는 거예요.(가-b-2)

통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부분으로 많이 맞춰주는 편이었어요.

그 활동을 못 하면 다른 쪽으로 제시해서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줬어요. 언어 적인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아이들이기 때문에 미술이라는 매개를 이용해서 아동 이 좋아하는 매체가 있으면 자기 나름대로 심화과정을 거치면서 아이에게 도움이 되 지 않았나...(다-b-2)

독특한 개별성을 존중해 주지만... 그 전과 조금 다른 것을 더 접목시켜서 애들이 거 부감을 느끼지 않게끔 조금씩, 조금씩 추가 시켜 가면서 점진적으로 진행해야 해요.(나 -b-2)

아이의 호흡을 민감하게 따라가다 보면... 치료사가 다른 것으로 전환을 시켜주는 거 예요. 그게 아이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동적이지만 능동적인... 그 민감함 부분에 대 해서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거예요. 그리고 아동이 원하는 것 이상으로 하면 안 된다 는 거죠. 충분히 기다려 주면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요. 치료사가 먼저 나가서 아이의

(15)

욕구를 무시하고 나가지 않으면 때가 되면 하더라구요.(가-b-2)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장애 정도, 흥미, 특성에 따른 다양성을 고려한 구조화 활동 과 비구조화 활동이 관찰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된다는 의견이다. 이때 포함되는 주요한 치료사의 활동은 보조, 시범, 조정, 지시, 관찰, 지지, 반복, 자율 등이 언급되었다.

점점 커갈수록 자기가 좋아하는 색깔이 확실하게 구분이 지어지거든요. 꼭 좋아하는 것만 해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지만 그 부분을 다르게 유도를 심하게 하면 반응이 안 좋아요. 그렇게 때문에 적절하게 민감하게 살펴서 들어가 주어야 하는 부분이 있어요.

감각 작업은 예민하고 민감해서 “너도 이렇게 해봐”이게 아니죠. 자연스럽게 묻혀서 자연스럽게 끌어들여야지요.(나-b-3)

아이가 몰입을 하면 몰입하게 해 주고, 아이가 또래 모방을 하면 촉진시켜 주고, 촉 구해 주고... 아이들 컨디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구조화 작업일 경우에는 말을 많 이 하게 되요. 비구조화 작업을 할 때는 아이가 좀 더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촉구를 했죠.(다-b-3)

3. 내담자(ASD)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치료의 효과성을 높여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담자에 대한 충 분한 정서적 이해를 미술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필요사항으로 꼽고 있다.

흥분을 하면 다 똑같다고 하는 데 그건 아니구요. 좋을 때 감정하고 싫을 때 감정하 고 표현이 분명히 달라요... 계속 보다보면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아이마다 특징적으로 다르고... 아무리 표현이 안 되고 그림이 안 된다고 해도 아이가 그날 하는 행동, 미술 도구를 가지고 있는 행동을 보면 아이 감정 상태를 알 수 있어요. 정확하게 지금 어떤 상태인지 감정을 잡아주면 오히려 조절은 쉽게 될 수 있는데 아이들의 그 부분을 정 확하게 알아내는 것이 힘들다는 것... 감정적으로 읽어주면서 행동조절을 하는 것들이 필요한 것 같아요.(라-c-1)

우리는 고치려고 하지는 않고, 심리적인 부분을 잘 헤아려서 마음을 열고 뭔가를 할 수 있게끔 하는 거죠. 공감 능력도 중요해요. 상동 언어하고 상동 행동하는 것들 따라 해 주고 같이 하면 동질감... 이런 것이 필요해요. 말은 못 해도 마음을 읽어줘야 되는

(16)

부분이거든요.(나-c-1)

중요한 것은 인격체로 존중해 주는 것. 그게 우리들과 약간 다른 방법으로 약간 다 른 소통에 더 익숙해 있지만 충분히 지원해 줘야 해요.(가-c-1)

미술치료사들은 미술치료 상황에서 보여지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특성으로 감각적인 자극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를 존중해 줄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자폐 아이들이 좋아하는 재료는 감각적인 활동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물감 활동하 고 찰흙 활동을 대체적으로 좋아하는 것 같아요. 강박적인 것이 있던 아이들도 처음에 는 거부를 하는데 익숙해지기 시작하면 정말 좋아하는 것 같아요. 거기에 감정을 다 쏟아 내더라구요.(라-c-2)

아이가 만족하고 자족하고 상동행동을 하거나 흥미를 갖는 것에 분명히 아이를 충 족시키는 욕구가 있는데... 스스로 아이가 안정화를 찾기 위해서 그 행동을 하지만 그 행동을 뺏어 버리면 이 아이는 더 힘들다는 거죠.(가-c-2)

미술치료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 다고 하였다. 미술치료가 지닌 장점을 적극 활용해 내담자를 이해하고 심리․정서적인 안정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미술치료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매체를 쓸 수 있으면서 촉각에 대한 감각도 일깨우게 할 수 있고, 일반적으 로 스트레스를 표출할 수 있고, 그림이 표현하는 것 중 자기 심상 표현하는 것은 언어 소통이 잘 안 될 때 매개체가 되어서 속마음을 알 수 있죠. 미술치료에서 퇴행을 보일 때 아동의 욕구가 심리치료 부분에서 볼 때는 충분히 지지할 필요가 있는 거예요. 이 아동은 충분히 그 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겠고... 이 아동 안에서 역동하고 있고, 성장하고 있고, 발전할 수 있도록 치료사가 믿어주고 있어야 해요.(가-c-3)

비구조화 작업에서 아이의 선호를 알 수 있고 장점을 알 수 있더라구요. 그것을 가 지고 아이에게 더 좋은 것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또 결과물을 평가하지 않고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는 것들... 미술은 자기가 느끼는 것이잖아요. 스스로 느끼는 자기 성취 감이 큰 것 같아요.(다-c-3)

(17)

많은 경험이 필요한데 그 경험 중에서도 미술이라는 매체는 다양성을 띄고 있어요.

하나를 만드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폭을 넓혀 줄 수 있어요. 결과물이 중요한 것이 아 니고 또 아이들이 좋아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나-c-3)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이들한테는 미술치료에서 훈련하는 것, 행동 수정 접근이 되 긴 해요. 그런데 미술치료 활동을 하면서 차분해지고 집중을 하고 이런 것들이 파악이 되니까 정서적인 부분에 접근을 할 수 있게 되요.(라-c-3)

4. 치료사의 전문성 확보가 치료의 질을 높여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는 장애의 특성상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들의 주요 특성들에 대한 이해 부족은 그 어려움을 가중 시킨다. 따라서 특수교육에 대한 이 해와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의 효과는 곧 치료사 자질로 치료사의 중요성을 책임감 있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워낙 다양하고 이질적이기 때문에 개별 한 사람 한 사람 마 다 접근이 다를 수 있어서 치료사가 훨씬 많이 심리적인면 이라던가 특수교육 쪽에의 지식이 훨씬 많아야 되고 치료사 경험도 많아야 된다는 거... 그래서 정말 특수교육의 기반이 없이 자폐 아동을 접근한다는 것은 좋은 예후를 기대하기 어렵고...(가-d-1)

특수교육을 이해하지 않고 장애 아이들한테 미술치료를 한다는 것은 한 부분을 얄 팍하게 알고서 하는 건데 그렇게 되면 시행착오가 너무 많고.. 잘못 알고 가면 자폐아 한테 악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접근할 수도 있는 거죠. 알고 나면 이해를 했기 때문에 나도 상처를 덜 받고 아이한테 대하는 것도 훨씬 나아질 수 있는 거죠.(라-d-1)

현실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미술치료사들의 현장 활동에 대 한 문제점을 매우 강하게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 위해 미술치료사 양성과정 에 대한 강화 및 경력에 따른 현장 투입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육체적으로 그 아이들이 변수가 많기 때문에 힘들고 또 치료하는 부분에 있어서 금 전적인 문제도 열악해요... 장애 전문 미술치료사가 제도가 생긴다면... 필요 할 것 같 아요. 하지만 아직 미술치료사 자격증도... 그렇게 되면 퀼리티가 높아지겠죠. 현실적으 로 나라가 돈이 많아서 복지 쪽에 예산이 많지 않는 한 그건 조금 힘들지 않을까 생

(18)

각도 들어요.(나-d-2)

미술치료사 자격증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특수 아동부터 먼저 가더라구요. 너무 위험 해요. 저는 장애 아동들을 위한 것은 따로 커리큘럼이 만들어지거나... 치료 과정을 거 치거나...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오류를 진짜 많이 범하는 것 같아요. 많이 안타까웠어요. 우리 아이들이 다치는 부분이고, 상처를 주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래 서 특수 아동 특히나 자폐 아동에 대한 이해는 분명히 가지고 가셔야 할 것 같아요.

(다-d-2)

Ⅳ.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을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미술 치료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강점을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과정에서 관찰을 중요시 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폭 넓은 이해와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공통적인 의견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미술치료사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미술치료의 목표에 내담자의 장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때 개개인의 발달 수준과 인지적 기능, 특성에 맞는 치료 목표를 세워야 미술치료가 성공하며, 비현실적인 기대로 인한 지나치게 높은 목표는 오히 려 역효과의 결과를 낳았다고 하였다. 실현 가능한 목표를 합리적으로 세우는 데 있어 단기적 으로는 구체화, 세분화하고 유동성을 주며 장점을 활용해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도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보이는 특별한 관심 및 흥미를 강점으로 인식하고, 결함 기반 중재가 아닌 강점 기반 중재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다(이종희, 김은경, 2013). 즉,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결함보다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점과 능력에 집중하여 내담 자의 가능성을 발견해야 할 것이다(김건희 등, 2011).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보일 수 있는 강점으로 Simpson과 Myles(2010)는 시공간적 능력 및 기술, 신체발달, 기계적인 암기력, 삶에 대한 독특한 견해, 조직화하는 능력, 규칙 및 일과 중심 의 이해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강점 중심의 진단과 중재는 1990년대 초 이후 계속 성장하고 있 다. 그러나 변화의 속도가 더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특성상 이들과 천천히 가지만 꾸준 히 가야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미술치료사들은 덧붙였다.

둘째, 미술치료 실행 과정에서 관찰을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특징 및 증상, 선호에

(19)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숙지하여야 한다. 또 미술치료 활동에서 보여주는 이들의 반응을 통해 행동의 일정한 규칙을 알고, 전반적이고 세밀하게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관찰은 내담자 특성 에 맞춘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연구에 참여한 미술치료사들은 이러한 관찰에 따른 미 술치료 활동을 진행했을 때 보다 나은 효과를 경험하였다. 이는 통합 환경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김건희, 201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대부 분의 교사들은 초기 한 달 동안 지도보다는 관찰의 시간을 보내며, 이들에 대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미술치료는 다양한 기법과 적합한 재료를 활용해 관찰을 통해 알게 된 내담자의 특성 에 맞게 적절하고 융통성 있게 실행해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미술치료사는 자폐 스 펙트럼 장애아동의 선호를 활용해 미술치료 활동에서 강화용 또는 흥미 유발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효정(2011)의 연구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방법 및 전략은 아동의 특별한 관심, 동일성, 집착 등 아동의 장애 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박현옥(2012)의 연구에서도 교사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특별한 관심을 이해하고 긍정적으 로 활용해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강조하였다. 제한된 관심과 행동을 활용하면 이러한 행동이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으로 변화하거나, 특별한 재능이나 직업과 연계될 수 있는 긍정적인 요 소라고 하였다.

셋째,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미술치료를 통한 심리․정서지원 서비스가 적극적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미술치료만이 지닌 장점과 특수성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적극 활용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인 지, 사회, 언어, 정서적 측면의 결함으로 다양한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미술치료의 장점인 감각적 자극, 자유로운 자기표현의 기회, 성취감, 창작 활동을 통한 카타르시스 등 긍정 적인 효과와 결과물을 이끌어 내고 있었다.

특히, 미술치료사는 기다려 주는 역할에 소홀하지 않아야 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들은 반복적인 활동을 선호하거나 활동 속도가 늦다. 미술치료사의 충분한 기다림으로 자폐 스펙트 럼 장애아동 보다 앞서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따라가 주는 것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 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도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이 미술치료사를 수용하고 안전한 관계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문제행동이 감소되고 효과적인 미술치료 활동이 가능하다.

즉, 심리․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미술치료 활동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교육적 측면 에서도 다른 발달 영역의 기술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고, 적절한 사회적 행 동을 강화할 수 있다(최금란 2009). 그러나 심리․정서적 지원의 중요성과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반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들에게 자립, 자활이 우선 시 되면서 이에 대한 기회가 많지 않은 현실을 안타까워하였다.

(20)

넷째, 미술치료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주변의 인적 자원들과 협력체계를 이루어야 한 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주변의 영향력 있는 인적 자원들(부모, 교사, 여타 치료사 등)과 교육적․치료적 접근 방식에 대한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부모 와의 신뢰감 있는 협력은 미술치료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여타 치료사와의 협력은 치료 계획 및 효과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서보숙(2012)의 연구에서도 치료사․교사․부모 간의 협 력이 장애유형 및 원인 진단에 대한 정보 교환, 치료, 지원 범위 및 영역에 대한 우선 순위 결 정, 치료 진행 중 관찰 및 지도 시 유의점에 고루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또 김은경 (2005)의 연구에서 의학적․교육적․심리학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지는 다학문적 접근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발달을 촉진하고 능력 향상을 이끌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자폐 스펙트 럼 장애아동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발달적 제한을 보이고 있어 의학적 치료, 교육, 심리적 지원 분야의 협력이 더욱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특수교사와의 협력이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는 현실과 체제의 한계에 대한 아쉬움을 지적하며 특수교사와 미술치료사의 협력으로 미 술치료가 줄 수 있는 교육적 측면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다섯째, 미술치료사에게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화된 교육이 필요하 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에서 주요한 사안 중 하나로 치 료사의 자질을 언급하였다. 특히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에 대한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미술치료사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민감한 특성과 증상, 반응에 대한 이해가 충분 하지 못 한 상황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로 인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은 충분한 지지와 존중을 받지 못하고, 미술치료사는 난감함과 조바심으로 미술치료를 그르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미술치료사들은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 전후의 이해도가 확연 히 다르다고 공통적으로 말하였고, 충분한 경험으로 인해 그 이해의 폭과 깊이가 달라졌다고 하였다. 특수교육에 대한 수강 경험이 없었던 예비 면담자 역시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미 술치료를 위해 특수교육분야의 공부를 스스로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만큼 미술치료사들에게 있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전문적이고 높은 이해는 미술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영역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미술치료사에 대한 논의는 미술치료사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실제 치료 사례가 늘어나면서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혜선, 2012). 국내 연구에서도 미술치료사의 양성도 중요하나 자격을 취득한 미술치료사의 자질 함양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미술치료 사 자질을 높여나가야 한다는 연구(김갑숙, 최외선, 2009), 보다 전문적인 교육을 통한 미술치 료사 양성과 자격증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공신력 있는 미술치료사 제도가 마련되어야

(21)

한다는 연구(신우정, 2011) 등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에 대한 문제점이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미술치료사는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공신력이 확인되지 않는 기관을 통해 양성되고 있어(김인자, 2012)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확보 문제는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사항이 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론을 통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이론과 경험이 풍부한 미술치료사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로써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실제 경험을 통해 그들의 특성에 대한 미술치료의 이해를 높이 고 특성에 맞는 미술치료적 접근 능력의 향상으로 미술치료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둘째, 이 연구는 미술치료사 교육 또는 재교육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장의 경험을 근거로 한 자료를 통해 미술치료사들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위한 미 술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정서적, 기술적 향상으 로 미술치료사들의 자기 유능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미술치료사 학문 분야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치료 지원 서비스 분야 의 질적 연구 자료로써 미술치료 작업에 대한 특수성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 재고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미술치료에 있어 장애 특성을 고려한 미술치료사 경험에 대한 시발점적인 사례로서 연구 참여자의 인원이 4명으로 비교적 적고 연구 기간이 짧 다. 또한 이들의 학문적 배경이 교육학 전공으로 심리학 또는 예술학 등을 기초로 한 미술치료 사들과의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연구 참여자와 학문적 전공 분야의 다양성을 살려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이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한 가지 장애 유형에만 집중하였다. 그러나 장애아동 미술치료에서는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각 장애 유형별 특성에 적합하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박은혜, 2004), 각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사의 경 험 및 미술치료 실행 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확보에 대한 필 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함양 및 미술치료사 교육․훈 련 프로그램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미술치료사 양성 기관, 미술치료사 집단, 특수 교육과 관련 서비스 분야 등 관련인의 요구 분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미술치료사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 양한 방안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

참고문헌

교육부 (2013). 2013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권혁수 (2011).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 자질 형성 기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6(2), 189-214.

김갑숙, 최외선 (2009). 한국미술치료학회의 미술치료사 현황 및 발전방향. 미술치료연구, 16(2), 157-169.

김건희 (2013). 자폐장애유아를 위한 성공적인 통합교육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9(1), 213- 239.

김건희, 조정민, 임미향, 진미영, 심선경 (2011).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 동향:

2006-2010년. 정서․학습장애연구, 27(3), 337-370.

김영봉, 강병재, 권순희, 김희대, 문태순, 변종임, 심형진 (2007). 교육학 개론. 경기: 서현사.

김양순 (2003). 자폐아동을 위한 표현예술치료. 서울: 학지사.

김은경 (2005). 자폐 관련 국외 연구의 동향과 전망. 유아특수교육연구, 5(2), 88-123.

김인자 (2012). 아동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접근방법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0, 159-168.

김진숙 (2002). 청소년상담자들의 실무경험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63-886.

김태은 (2009). 미술치료사의 수퍼비전 체험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서울.

박경아 (2008). 미술치료에 대한 관련분야 전문인들의 인식도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 국대학교, 서울.

박소현 (2010).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교실 내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언어청학장애연구, 15, 603-618.

박은혜 (2004).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박현옥 (2012).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자폐 성장애연구, 12(2), 131-157.

서보숙 (2012). 발달지체 영․유아 담당 치료사의 치료지원에 대한 요구: 장애전담 어린이집을 중심 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기.

손지연 (2012). 미술치료사의 대리외상 경험과 대처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 교, 경북.

신석호 (2014). 자폐스펙트럼장애 용어의 사용.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5(2), 95-96.

신우정 (2011). 미술치료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사회적 인식 요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 교, 서울.

(23)

심은지, 이정숙 (2009). 자폐장애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을 위한 비지시적 미술치료 단 일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4, 25-49.

유현정, 이근매 (2012). 장애아동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미술치료연구, 19(3), 461-484.

윤정원, 윤치연, 이근매 (2005). 비지시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폐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1(2), 159-178.

윤택림 (2004).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이경원 (2007). 자폐장애유아를 위한 미술치료교육 프로그램 연구. 조형교육, 29, 355-378.

이근매, 권명옥 (2004). 미술치료가 자폐성 아동의 대인관계 및 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20(4), 377-392.

이승희 (2014). DSM-5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한 10문 10답. 정서․행동장애연구, 30(3), 1-33.

이종규 (2006).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이종희, 김은경 (2013). 자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 문헌분석. 자폐성장 애연구, 13(2), 41-63.

이향지, 이근매 (2008).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장애아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고찰. 미술치료 연구, 15(1), 47-60.

이효정 (2011). 자폐 범주성 장애 종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여건을 위한 제언: 전문가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46(2), 159-188.

이혜선 (2012). AATA FFAT KATA의 미술치료사 윤리강령에 대한 고찰 2011년 개정된 윤리강령 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19(6), 1625-1646.

이혜선, 최선남 (2010). 미술치료사의 치료경험과 역전이 관리 능력이 치료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 연구, 17(1), 149-165.

임하연, 장연집 (2014). 미술치료사가 경험한 ADHD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미술 작업의 특수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6(1), 49-74.

장서연, 최선남 (2014). 아동미술치료사의 치료 과정 경험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1(4), 623-642.

최금란 (2009). 자폐아의 인지․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강원.

최선남, 이혜선 (2014). 미술치료사의 윤리적 갈등에 대한 체험연구. 미술치료연구, 21(2), 191- 214.

최재영 (1994).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요법 사례연구. 조형교육, 10, 179-18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DSM-IV-TR). Washington DC: APA pres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24)

Washington DC: APA press.

J. Amos Hatch. (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출판년도 2002)

Richard L. Simpson, Brenda Smith Myles. (2010). 자폐 아동 및 청소년교육(이소현 역). 서울: 시그마 프레스. (원출판년도 2007)

(25)

Abstract

The Study on Art Therapist’s Role and Qualifi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im Soo Jung*

Purpos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and to find a method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and qualities of art therapist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e very unique an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so the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who understand and experience it directly in the field of art therapy is very important. Four art therapists who had these experiences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disorder were interviewed in depth. Results: In-depth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 concepts and topics shared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 researchers were analy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 Four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our themes are goal setting based on strength, careful observation and sensitivity during implementation, broad understanding of client and expertise of art therapis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highly specific. So they need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art therapist and the specialty of the qualitie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e art therapist discussed the urgent problem of understanding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securing the professionalism.

Key word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effective art therapy

게재 신청일 : 2017. 07. 25 수정 제출일 : 2017. 08. 15 게재 확정일 : 2017. 08. 20

* 김수정(교신저자): 톡톡톡연세언어치료지원센터(jasmink@naver.com)

참조

관련 문서

다만 본 연구 에서는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를 통한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선 방안 제시를 위해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설문조사), 농산물 산지유통 및 수급정책 변화와

자폐성장애는 민족, 문화 경제 및 지리적 경계와 무관하게 발생하 는 장애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자폐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가 자폐 성장애의 조기발견과 치료, 예후

이를 통해 플로어타임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을 보이고 매우 다양한 특성을 보 이는 자폐 아동에게 개별적인 특성에 따른 개입이 가능하며, 부모와 놀이를 통해

Neomycin의 항균 스펙트럼은 streptomycin의 항균 스펙트럼 과 비슷하나, Enterococcus속과 Pseudomonas속 세균에도 중증도의 항균 활성을 갖고 있다. Neomycin은

• 그러나 표본화 정리가 계속 유효하여 표본화 주파수를 f s &gt; 2B가 되도록 선택하면 스펙트럼 중첩이 발생하지 않으며 , 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면

-Kanner의 초기 보고에서는 질병의 선천적인 요소뿐 아니라 부모의 사회경제적 상태와 부모-자녀 상호관계의 문제와의 연관성이 강조.. -많은 아동기장애와

어떤 별에서 스펙트럼 선이 관측되지 않았다고 해서 그 원소가 그 천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 별 대기에서의 온도와 압력이.

z 내용 : 행렬 및 벡터 간의 연산에 대한 정의, 선형연립방정식에 관한 것(Gauss 소거법, 행렬 의 계수의 역할), 역행렬, 행렬식의 정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