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 어 에 서 의 통 사 적 중 의 성 과 그 지 도 방 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 어 에 서 의 통 사 적 중 의 성 과 그 지 도 방 안"

Copied!
1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학 위논 문

국 어 에서 의 통사 적 중 의 성과

그 지 도 방 안

1 9 9 9

이 영

석 사 학 위 논 문

국 어에 서 의 통사 적 중 의성 과 그 지도 방 안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국 어 교 육 전 공

(2)

국 어에 서 의 통사 적 중 의성 과 그 지 도 방 안

지 도 교 수 김 흥 수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 0 0 0 년 6 월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국 어 교 육 전 공

1 9 9 9

(3)

이 영 주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 0 0 0 년 6 월

심 사 위 원 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Ⅰ . 서 1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

2. 연구사 개관 6

Ⅱ . 중 의 성 의 개 념 과 유 형 10

2.1 중의성의 개념 10

2.2 중의성과 모호성의 구별 13

2.2 중의성의 유형 17

Ⅲ . 통 사 적 중 의 성 의 양 상 및 해 소 방 안 26

3.1 수식관계에 따른 중의성 26

3.2 격,조사에 따른 중의성 35

3.3 대용어에 따른 중의성 42

3.4 사동문에 따른 중의성 46

3.5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49

3.6 지시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59

Ⅳ . 교 육 과 정 및 교 육 현 황 6 3

4.1 제6차 교육과정 내 언어지식 영역의 검토 63

4.2 제7차 교육과정 내 언어지식 영역의 검토 79

(5)

4.3 중의성 교육의 문제점과 그 개선안 88

Ⅴ . 수 업 방 안 및 적 용 의 실 제 94

5.1 탐구학습의 개념 95

5.2 탐구학습 적용의 의의 97

5.3 탐구학습의 과정 99

5.4 적용의 실제 105

Ⅵ . 결 론 116

참고문헌 121

A B S T RA CT 125

(6)

Ⅰ.

1 . 1 연구 목 적 및 연구 방 법

사람은 누구나 언어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며, 또한 상대방의 의사를 이해하게 된다 . 즉 , 언어는 의미 전달의 매개체인 동시에 논리적인 사 고의 수단인 것이다 .

그런데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전달자와 수용자의 의미가 서로 다르게 해 석돼 적잖은 불편을 겪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이는 언어가 음운이나 형태 와는 견줄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 로 , 언어의 속성 중 모호성(vaguenes s ) 이나 중의성(amb igu i t y ) 과 관련돼 두드 러지게 발생되는 것이다 .

중의성이란 하나의 문장 형태 또는 발화가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의미를 나 타내는 것이다 . 즉 , 언어의 형태와 의미가 1: 1인 대응관계가 아니라 1:2 이상 의 관계로 분명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

중의성에 대한 관심은 촘스키(Noam Chomsky ) 의 변형문법1)이 중의성에 기인

1) 변형문법은 생성문법(gen er ativ e gr amm ar )이라고도 하고, 변형생성문법(tr an sform ation al gener ativ e gr amm ar )이라고도 한다. 본고에서는 변형문법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 음을 고려하여 변형문법이라는 용어를 쓰고자 한다. 변형문법은 구조주의학자들의 행동

(7)

하여 심층구조를 설정하였던 까닭으로 높아지기 시작했다 . 언어의 기능이 의미 전달에 있는 만큼, 언어의 연구에 있어서 중의성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통사론 및 의미론의 중요한 과제이다 . 또한, 언어가 사고를 주조(鑄造) 하는 기능을 가 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의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것이다 . 이는 ‘사피어- 워프 가설 2 )과 관련하여 보더라도 알 수 있는 것이다 .

이러한 중의성에 대한 연구는 교육적인 견지에서도 중요하다 . 제 6차 교육과 정에 제시된 문법 과목 목표 , 즉 , 국어의 특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게 하고 , 국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함으로써 우리말을 정확하게 사용하 는 능력과 함께 국어를 소중히 여기는 습관과 국어를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하 려는 태도를 기르는 을 고려하여 볼 때, 중의성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는 필요 하다 . 이는 중의성 , 특히 통사적 중의성 지도를 통하여 학습자가 언어지식을 습득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또한, 학습자에게 언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 게 함과 동시에 중의적인 표현을 피하고 명확한 문장3 )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주의(behaviorism )적인 입장과 대립하여 언어의 보편성을 찾아 체계화하는 일을 목표로 한다.

2) 언어란 생각을 표현하는 동시에 생각을 형성하는 도구 라는 설이다. 이 가설은 사람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사고하고, 언어에 의한 사고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언어가 사 람의 사고작용, 가치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3) 박영순 (1987 : 7 - 22 )은 문법교육과 작문교육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 법을 모색하기 위해 고교생들의 작문에 나타난 비문을 분석하였다. 그의 조사에서는

㈀ 주- 술 관계의 오류 ㈁ 문장 연결의 오류 ㈂ 부적절한 오류 ㈃ 조사의 누락 또는 오용 ㈄ 목적어, 보어 등의 필수 성분 누락 ㈅ 경어법의 오용 ㈆ 시제의 혼란 ㈇ 중 의문 사용, 의미론적으로 모순된 문장의 사용 등이 비문을 형성하게 된 요인으로 나 타났다.

(8)

또한, 현재 교육의 큰 방향이 통합교육 , 학습자 중심 교육 등으로 옮겨가 고 있음을 주시할 때, 이와 발맞출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위한, 그리 고 문법교육과 언어교육이 서로 보완적인 체제 속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통사적 중의성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는 필요하다 .

그러므로 중의성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중요하다 . 본고는 이러한 점을 주시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첫째로 , 언어지식의 습득과 동시에 언어생활에서 중의성으로 인하여 생기는 곤란을 해소하고 정확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국어를 더 명 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

둘째로 , 제6차 및 7차 교육과정의 교육방향과 맥을 이루어, 중의성에 대한 지식의 전달이 교사에 의해 직접 제시되는 것을 지양하고 , 학습자가 주체자로 서 흥미롭게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는 탐구4 )과정 중심의 지도방안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

필자는 이러한 중의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을 염두에 두고 ,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Ⅱ장 에서는 중의성과 혼동될 여지가 있는 모호성과의 구별을 통하여, 중의성

4) 일찍이 듀이나 브루너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지지되어 온 학습방법으로 탐구란 사고 를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학습자 스스로가 발견해 가는 것 을 말한다.

탐구학습의 근본적인 목적은 지식을 발견하는 과정을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중의성의 지도방안으로 탐구학습을 도입하고자 하는 일차적인 이유 이외에 학습자가 언어 생활을 함에 있어서 중의적 표현으로 인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소해 나가는 방법을 스스로 파악하게 하여 정확한 문장, 논리적인 문장, 규 범에 맞는 문장을 구사하게 함과 동시에, 학습 과정을 통하여 언어 현상에 대한 관심 및 문제 해결 능력, 논리적 사고력, 통찰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9)

의 개념을 명확히 한 후 , 중의성을 어휘적 중의성 , 은유적 중의성 , 통사적 중 의성으로 구분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Ⅲ 장 은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통사적 중의성이 언어지식을 습득시킴과 동 시에 언어사용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소재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자 한다 . 이를 위해 중의성의 유형 중에서 통사적 중의성을 중심으로 수식관계 에 따른 중의성 , 격, 조사에 따른 중의성 , 대용어에 따른 중의성 , 사동문에 의 한 중의성 ,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 지시의 문제에 따른 중의성을 살펴보 고자 한다 . 그리고 그에 따른 어순변환 , 첨언, 호응관계, 음운론적 현상 등을 통해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나름대로 검토하고자 한다 .

Ⅳ 장 에서는 효과적이고 짜임새 있는 통사적 중의성 지도 방안에 대한 구안을 위해 교육과정과 교육현황을 검토하고자 한다 . 먼저 제6차 중등학교 교육과정 내 언어지식 영역을 검토하여 중의성 지도 방향을 검토한 후 , 그에 따른 중 의성 지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 그리고 제 6차 교육과정 내 언어지식 내용 체계와 교과서 내 단원과의 연관성을 검토하 여,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가 체계적이면서 효과적으로 교과서에 구성됐는지 를 살펴보고자 한다 . 아울러 7차 교육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있는 지금 , 교육과 정 내 언어지식 영역체계를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 이는 제 6차 및 7차의 교 육과정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구안하기 위해서 이다 .

다음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현황의 문제점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 서 , 교수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Ⅴ장 에서는 4장에서 논의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방안을 제시하여, 그에

(10)

따른 내용과 지도원리 및 적용의 의의 등을 중심으로 논하여 보고자 한다 . 그 리고 그에 따른 실제적인 지도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

필자는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

중의성은 실현되는 양상에 따라 어휘적 중의성과 통사적 중의성으로 양분5 ) 된다 . 본고에서는 학문적으로 공시적 입장에서 통사적 중의성만을 연구대상으 로 하여 그에 따른 해소방안을 살펴본다 . 통사적 중의성은 전달자의 의식과는 관계없이 문장의 구조에서 생기는 것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언어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반면에 어휘적 중의성은 다의어나 동음어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화맥이나 문맥의 도움을 받아 쉽게 해소되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에 서 제외한다 .

교육적인 견지에서는 귀납적인 방법으로 제6차 및 7차 교육과정 내 언어지 식 체계 와 교과서 등의 자료를 검토한다 . 그리고 그에 따른 교육방향 , 교육과 정과 교과서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중의성 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안 을 살펴본다 . 아울러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분석 , 교수방법에 대한 자료 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구안한다 .

언어의 실제적인 사용에 관심이 가중되고 있는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 의성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적으로 부분적인 접근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5) S . Ullm ann는 중의성의 유형을 문법적 중의성, 음성적 중의성, 어휘적 중의성으로 구분하였으며, D.A . Cur se는 순수 어휘적 중의성, 어휘- 통사적 중의성, 준통사적 중 의성, 순수 통사적 중의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중의성의 유형을 보면 중의성 은 크게 어휘적 중의성과 통사적 중의성으로 양분될 수 있다.

(11)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 따라서 본고는 그러 한 점을 염두에 두고 나름대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

1 .2 연구 사 개 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고의 연구목적은 통사적 중의성을 지도함에 있어서 언어지식 습득과 동시에 언어사용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 다 . 필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학문적인 견지에서 중의성에 대한 연구사를 살 펴본 후 , 그에 따른 중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사를 검토하고자 한다 .

우선적으로 중의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 영어의 amb igu i t y ' 에 해당 하는 중의성은 국어에서 통일된 용어 없이 모호성 , 애매성 , 중의성 ’등으 로 연구되어 왔다 . 따라서 필자는 위의 용어를 사용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사 를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모호성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연구로는 박경현( 1975) , 정헌무( 1978) 등이 있다 . 박경현의 경우는 중의성과 모호성의 구별이 안 되어 중의성을 모두 모호성에다 포함시킨 모호성 연구가 되고 말았지만, 다양한 문장으로 중의성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정헌무는 모호성의 유 형을 7가지로 나누고 ,6 ) 그 대상을 통사적 모호성으로 한정하고 있다 .

애매성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연구는 강헌규( 1982) 이다 . 그는 현대문(文) 에

6) 정헌무(1978)는 모호성을 음성적 모호성, 문법적 모호성, 어휘적 모호성, 구조적 모호성, 변형론적 모호성, 영역적 모호성, 화용적 모호성으로 유형화하였다. 문법적 모호성, 구조 적 모호성, 변형론적 모호성을 묶어 통사적 모호성으로 보았다.

(12)

나타난 애매성을 어휘에 나타난 경우 , 구절구조에 나타난 경우 , 문에 나타난 경우로 분류하였다 . 그리고 의미의 애매성과 혼란을 방지하는 안전판(安全瓣) 을 살펴보고 , 나아가 현대시에 나타난 애매성까지 연구하였다 .

중의성 이란 용어를 사용한 학위논문으로는 박경현( 1982) , 곽재용( 1988) , 이종선( 1995) , 등이 있다 . 그리고 중의성 을 부분적으로 논의한 단행본으로는 김종택( 1993) , 임지룡( 1997) 등이 있다 . 박경현( 1982)은 중의적인 표현구조를 21가지로 검증하고 풍부한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 곽재용( 1988) 은 모호성과 중 의성의 개념을 구별하면서7 ), 중의성을 크게 어휘적, 통사적, 논리적 중의성으 로 나누어 논의를 한 후 , 그에 따른 해소방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그러나 그의 논의는 실제적인 해소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미진함을 보인다 . 이종선 ( 1995) 은 구조적으로 나타나는 중의성의 양상을 살펴보고 , 통사적 기제와 음운 론적 현상을 통해 중의구문을 해석하였다 . 김종택( 1993)은 중의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어휘적 차원, 통사적 차원, 화용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논의를 하였 다 . 그러나 그의 논의는 의미론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 임지 룡( 1997)은 중의성을 어휘적, 통사적, 화용적 중의성으로 유형화하여 논의를 하였다 . 그는 어휘적 중의성을 다의어에 의한 중의성 , 동음어에 의한 중의성 , 방언에 의한 중의성으로 분류하여 구체화하였으며, 통사적 중의성을 범주(範 疇) 의 중의성 , 동작과 양태의 중의성 , 태의 중의성으로 나눈 후 어순교체, 어 조 등에 의한 해소책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다음으로 중의성에 대한 교육 논의를 살펴보면 , 학위논문으로는 거의 찾기가 7) 곽재용은 모호성 은 낱말이나 문장의 뜻이 분명하지 않은 것이고, 중의성 은 분명한 뜻

이 두 가지 이상인 것으로 구별하였다.

(13)

힘들고, 단지 단행본에 박종갑( 1995) 과 박영순( 1998) 등에 의해 부분적인 논의 만 되어 있을 뿐이다 . 박종갑( 1995)은 중의성과 모호성을 구분하고 어휘적 중 의성 , 구조적 중의성 , 작용적 중의성 등으로 유형화한 후 토론식 강의를 위한 형태로 기술하였다 . 그의 논의는 강의 위주의 문법지도를 탈피한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으나 , 토론식 강의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 박영순( 1998)은 중의성의 유형을 어휘적 중의 성 , 구조적 중의성 , 논리적 중의성 , 부정문에 의한 중의성 , 화용론적 중의성 , 관용적 중의성 , 은유적 중의성으로 구분하고 , 중의문의 종류에 따라 난이도가 다르므로 교육적 관점에서 난이도의 순서를 적용하여 지도8 )해야 한다고 제시 하고 있다 . 그러나 그의 논의는 언어지식 영역 체계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 았다는 점에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 그리고 중의성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방안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미진함을 드러낸 다 .

이상으로 중의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에서 논의가 미진함을 엿볼 수 있다 .

첫째 , 학문적으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의미론에 치중되어 있어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한 논의가 미진하다는 점이다 . 어휘적 중의성은 동음어나 다의어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발화상황이나 문맥에 의해 쉽게 해소가 가능하나 , 통사적 중의성은 문법9 )과의 연계를 통하여 해소가 가능하다 . 따라서 이에 대한 실제 8) 문장의 중의성의 난이도를 어휘적 중의문→구조적 중의문→논리적 중의문→부정에 의한 중의문→화용론적 중의문→관용어적 중의문→은유적 중의문으로 나누고 초등학교 저학년 에서는 어휘적 중의문 이상은 다루지 않는 게 좋다고 언급하고 있다.

9) 문법 이란 언어의 구조적 질서 속에 내재하고 있는 규칙을 말한다. 좁은 의미의 문

(14)

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둘째 , 지금까지 중의성에 대한 연구들은 교육과 연관하여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 물론 , 언어 영역의 교육 문제에서 교수 학습 방법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한 논의는 몇 편 있으나 , 통사적 중의성에 대한 실제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모색은 거의 찾기가 드물다 .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주시하고, 제6차 및 7차 교육과정의 학습지 도 방향과 접맥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보고자 한다 .

법은 형태론과 통사론의 영역을 포함하나, 넓은 의미의 문법은 형태론과 통사론뿐만 아니라 음운론, 의미론, 용법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고에서 문법 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15)

Ⅱ . 중 의성 의 개 념과 유 형

2 . 1 중 의성 의 개 념

' amb i gu i t y ' 는 라틴어 amb i gu i t as 에서 온 단어이다 . amb i gu i t as 는 의심스럽 다(doubt fu l ) ' 는 뜻을 지닌 amb iguus (amb iguous ) 에서 온 것이며 , amb iguus 는 또 amb iger e에서 온 것이다 . amb iger e는 about , ar ound를 뜻하는 amb i 와 t o dr i ve를 의미하는 agr ee가 합쳐져서 이리저리 방황하게 하다 의 뜻을 가진 말 이다 . amb igu i t y는 amb iguus 의 명사형으로 중의를 뜻하는 즉 , 의미의 불명확함 (doubt fu l nes s or uncer t a i nt y of s i gn i f i cat i on ; doub l e mean i ng) 을 뜻하는 단어이다 .10 )

이러한 amb igu i t y는 변형문법이 도입된 초기에는 통일된 용어 없이 애매성 , 모호성 , 중의성 등으로 혼용되어 오다가 , 켐프슨(Kempson) ( 1977) 에 의해 의미 론 학계에서 중의성과 모호성은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 반면에 중의성과 애 매성은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애매성 이란 용어는 문학분야에서 주로 시적 언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쓰이는 반면에, 중의성 은 어학분 야에서 다루어지는 용어로 학교문법에서도 이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 본고 에서는 이와 같은 추세를 따라 중의성 을 채택하여, 사전적인 정의와 일반적

10) 강헌규 (1982 : 69)에서 재인용.

(16)

인 정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

우선적으로 중의성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의미를 허용하거나 , 한 가지 방법보다 많이 이해되 거나 , 혹은 동시에 두 가지나 그 이상의 일을 나타내는 상태 (The cond i t i on of admi t t i ng of t wo or mor e mean i ngs , of be i ng under s t ood i n mor e t han one way or of r e f er r i ng t o t wo or mor e t h i ngs at t he s ame t ime : Webs t er ' s Th i r d New Int er nat i ona l Di ct i onar y , 1961:69) 이다 .

이에 대해 오늘날 의미론에서 말하는 정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① 중의성이란 표면구조는 한 개이면서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 1대 다수(one- t o- many ) 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 (Amb i gu i t y i s a one - t o - many r e l at i on wher e i n a s i gn . Sur f ace s t r uct ur e has t wo or mor e mean i ngs : St ockwe l l . R.P , 1977 : 121)

② 두 가지 이상의 개념구조가 다른 유도과정을 통하여 표면에서 같은 음운 표현의 문장으로 나타나는 관계가 문장의 중의성이다 . (남기심 외2 인, 1997 : 170)

③ 중의문은 글자 그대로 한 가지 형식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전 달하고 해석되는 문장을 말한다 . (박영순 , 1998 :213)

④ 중의성은 화자가 제시한 하나의 표현이 둘 이상의 의미를 지님으로써 청 자가 해석하는 데 곤란을 느끼는 복합적 의미관계를 말한다 . ( 임지룡 , 1997 :237)

이상의 사전적 정의와 오늘날 의미론에서 말하는 정의들에서 알 수 있듯이 중의성이란 어떤 하나의 언어 표현 형태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을 뜻하는 것이다 .

(17)

그러나 이러한 중의성에 대한 정의는 낱말이나 문장의 뜻이 분명하지 않은 것을 뜻하는 모호성(Vaguenes s ) 과 혼동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이는 중의성과 모호성이 뜻이 단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공통적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중의성과 모호성은 차이가 있다 . 중의성은 하나의 표현으로 여러 사물이나 범주를 다룸 으로써 빚어지는 것으로 ,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외재적 세계를 어떤 언어기호 로 나타내는 모호성(L.B.Sa l omon , 1966 :39) 과 구별이 되는 것이다 . 본고와 관련 된 통사적 중의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 중의성과 모호성은 더욱 뚜렷하게 구 별이 된다 . 통사적 중의성은 문장 층위에서 발생하는 것임에 반하여 모호성은 문장 층위와는 관계없이 여러 유형11)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중의성과 모호성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중의성의 개념을 보다 분명하 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이

중의성 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한다 .

“중의성이란 어휘나 문장이 하나의 형태를 취하면서 , 두 가지 이상의 구체 적이고 명확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중의성과 모호성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분명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구별이 되는 것

이다 .12 )

11) 이러한 유형은 2.2 에서 중의성과 모호성의 구별을 통하여 살펴볼 것이다.

12) 강헌규(1982 : 4)는 중의성을 애매성이라고 표현하면서, 애매성은 하나의 구조가 둘 이상의 뜻인데 모호성은 불확정적(unspecified)인 관계로 미지에 속한다고 보았다.

(18)

본고는 이러한 중의성의 개념을 더욱 분명히 하기 위하여 모호성에 대한 유 형을 파악하고 , 그에 따른 예문을 들어 두 개념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고자 한 다 .

2 .2 중 의성 과 모 호 성 의 구 별

그 동안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됐던 중의성과 모호성은 처음으로 의미론 분야 에서 켐프슨(Kempson) 에 의해 구별이 되었다 . 그는 모호성을 4가지 유형( four t ypes of vaguenes s ) 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를 하고 있다 . ( 박양구 외 2 인 공역, 1980 : 155 ~159)

첫째 , 지시대상의 모호성(r e fer ent i a l vaguenes s ) 이다 . 어휘항목이 나타내는 의미는 명백하지만 지시대상 이 모호한 경우이다 . 예를 들어 ‘c i t y ’나 ‘t own ’ 은 그 의미는 명백하나 구체적으로 A라는 지역이‘c i t y ’냐 ‘t own ’이냐를 알 아내는 근거는 애매하다 . ‘mount a in ’과 ‘h i l l ’, ‘for es t ’와 ‘wood ’등이 지 시대상의 문제로 , 한계가 명백하지 못한 경우로 여기에 해당된다 .

둘째 , 의미의 불확정성( indet erminacy of mean ing) 이다 . 이 경우 해석 자체 가 아주 막연하고 불확정적인 것으로 영어에서는 소유격과 관련된 구문을 들 수 있다 . 즉 J ohn ' s book , J ohn ' s t r a in , J ohn ' s sheet 등이다 . J ohn ' s book 이 라는 구절에서 속격조사 ‘의’는 존이 쓴 책, 존이 소유한 책, 존이 읽은 책, 존이 읽었다고 말한 책, 존이 방으로 들어올 때 가져온 책 등을 나타내는 불확 정적인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

(19)

셋째 , 명세( 明細) 의 결여( l ack of spec i f i cat i on in t he mean ing of an i t em) 이다 . 의미는 명백하나 막연하게 규정을 지음으로써 그 의미가 매우 모호 한 경우이다 . 명세의 결여에 대한 예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1) 우리 이웃 사람이 나에게 관심을 나타낸다 . (2) 어제 그 일은 잘 되었다 .

(3) 그 사과 참 좋다 .

이웃 , 되었다 , 좋다 와 같은 단어는 그 의미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를 않는다 . ( 1) 에서 이웃 은 자기 집 가까이 사는 사람이란 점을 제외하고는 남 녀노소 , 직업, 성격, 취미, 나이 등 아무 것도 명세되어 있지 않다 . 이 말은 직장을 다니는 몸집이 작고 키가 큰 남자나 , 결혼을 하고 몸집이 크고 키가 작 은 남자처럼 공통점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 (2) 에 서 되었다 는 법적인 문제가 해결된 건지 , 돈을 번 건지 , 사람과의 갈등이 풀 린 것인지 전혀 그 구체적인 의미를 알 수가 없다 . (3) 좋다 도 사과의 색깔 이 좋다는 것인지 , 먹기 좋게 여물었다는 것인지 , 크기가 좋다는 것인지 알 수 가 없다 . (2) 와 (3) 의 되다 와 좋다 같은 단어는 둘 다 명백한 의미를 가지 고 있지만, 그 의미가 너무 일반적이기 때문에 방대하게 다양한 의미를 떠맡는 것이다 .

넷째, 어휘항목의 의미 명세상의 이접(d i s j unct i on in t he spec i f i cat i on of t he mean i ng of an i t em) 이다 . e i t her ~or ' 나 or ' 이 내포된 문장의 해석에

(20)

서 그 이접(離接) 의 적용범위 때문에 모호성이 생기는 경우이다 . 이에 대한 예 를 들면 다음과 같다 .

(4) 그 직종의 지원자는 자격증이 있거나 또는 그 직업에 종사한 경력이 있어야 한다 .

㈀ 지원자는 자격증을 가졌지만 경력이 없는 경우

㈁ 경력은 있지만 자격증이 없는 경우

㈂ 자격증과 경력 두 가지 모두 있는 경우

(4) 의 해석은 이접어 or ' 에 의해 위와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 이 와 같은 경우는 ‘or ’를 논리작용소( l og i ca l oper at or ) ∨로 하고 앞문장과 뒷 문장을 각각 문 p와 q로 해서 아래와 같은 진리치(t ur t h va lue ) 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

“P ∨ Q 형식의 문장이 주어졌을 경우 P가 참이거나 혹은 Q가 참이거나 또 는 둘 다 참이면 이 주어진 문장은 참이다”

위의 네 가지 유형을 살펴보면 모호성 은 언어를 표현함에 있어서 그 의미 에 정확성과 정밀성이 결여되어 한 단어나 문장의 의미가 불분명한 것 을 뜻하 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13 )

13) Ullm ann (1962 : 118- 128)의 모호성 생성원인을 통하여 모호성의 개념을 한층 더 이해할 수 있다. 모호성의 생성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단어가 가지는 일반

(21)

이에 반해 중의성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어휘나 문장이 하나의 형태를 취하면 서 , 두 가지 이상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 중의성

이 나타나는 문장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5) 철수가 가는 길은 고르지 못하다 . (6) 선화가 그리운 초등학교 동창생이 많다 .

(5) 에서의 길 은 도로 라는 의미와 인생역정 이라는 뚜렷한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 . 이는 다의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해석 이 가능한 것이다 . (6) 의 문장은 초등학교 동창생이 선화를 그리워한다 는 의 미와 선화가 초등학교 동창생을 그리워한다 는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통사적 구조에 의해 발생된 문장으로 ,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의 미 풀이가 가능한 것이다 .

(6) 과 같은 문장은 문장의 구조적인 특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문법에 어긋 나는 것은 아니다 . 즉 , 호응 불일치, 문장 성분의 누락, 조사의 오용 등 문법 에 어긋나는 비문법적인 문장과는 다른 것이다 . 또한 의미파악 면에 있어서 통 사적 중의성은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의미로 풀이가 되는 반면에, 비문법적인

적 성질에 모호성의 주된 원인이 있다. (고유명사나 소수의 보통명사를 제외한 언어 는 어떤 공통된 요소에 의해서 뭉뚱그려진 사상의 분류를 동일한 하나의 말로 나타 낸다) 2) 단어가 결코 동질적이지 못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같은 단어라도 그것들 이 사용되는 문맥과 장면에 따라서 또 그것을 사용하는 화자의 인격에 따라서 다른 면을 가진다. 3) 비언어적 세계에서의 뚜렷한 경계의 결여이다. 4) 말과 지시된 사물 과의 친숙도의 결여이다.

(22)

문장은 의미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그러나 명확한 표현이 아니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비슷하다 할 수 있다 .

2 .3 중 의성 의 유 형

문장에서의 중의성은 실현되는 양상에 따라 다양한데, 대체로 어휘적 중의성 과 은유적 중의성 , 통사적 중의성 등으로 구분된다 .

어휘적 중의성은 하나의 낱말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 데서 생겨나는 것 을 말한다 . 즉 , 어휘적 중의성은 한 문장에서 동음어(homonymy ) 나 다의어

(po lysemy ) 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

단어와 의미의 관계가 1 : 1, 또는 의미와 음성의 관계가 1: 1 인 것이 이상 적이나,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 이는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비하여 언 어 기호가 한정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 하나의 언어 기호가 담당하는 폭이 넓어 짐에 따라 생긴 것이다 . 이렇게 생긴 언어를 다의어와 동음어라 한다 . 다의어 는 글자 그대로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 뜻을 말한다 . 반면 , 동 음어는 단어의 음성 형식은 같으나 의미는 다른 것을 뜻한다 . 이런 다의어와 동음어는 음성 형식과 관계를 맺는 중심의미14 )가 하나인가 여럿인가에 따라 구별된다 . 즉 , 다의어는 하나의 음성형식이 하나의 중심의미를 갖는 반면에, 동음어는 하나의 음성 형식이 여러 중심 의미를 갖는 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것

14) 단어가 가진 여러 의미 중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의미를 중심의미라 하고, 중 심 의미에서 문맥에 따라 확장되어 파생된 의미를 주변의미라 한다.

(23)

이다 . 또한, 다의어는 주변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동음어와 구별된다 . 이러한 다의어와 동음어에 의한 어휘적 중의성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7) 손이 가야 하는 일이다 . (8) 사람은 속이 좋아야 한다 .

(9) 학생들이 총장의 식사 도중에 구호를 외쳤다

(7) 은 손 이 가지고 있는 다의성 때문에 중의성이 발생한 경우로 , 신체 부 위인 손(手) 을 쓴다는 의미와 손질, 수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풀이가 될 수 있다 . 즉 , 손 이 가지고 있는 중심의미인 손(手) 과 주변의미인 손질, 수리로 두 가지 풀이가 가능한 것이다 . (8)은 속 이 가지고 있는 다의성 때문에 중의 성이 발생한 경우이다 . 위장 등 내과 기관이 건강해야 한다는 의미 와 마음 이 넓고 사리분별력이 있어야 한다 는 의미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 (9) 는 동음어로 인해 중의성이 발생한 경우이다 . 식사 가 기념사 (記念辭) 와

식사 (食事) 로 풀이될 수 있는 것이다 .

은유적 중의성은 은유나 직유 등의 비유적인 의미 표현으로 인해 두 가지 이 상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뜻한다 . 따라서 직설적 의미와 은유적 의미로 해석 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이러한 은유적 중의성은 난이도에서 차이가 있는데, 대 체로 문학작품 , 특히 시에서 난해한 중의성이 나타난다 . 이는 시의 언어와 관 련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 시의 언어는 관련대상을 정확하게 가리키기보다는 주 로 정서나 심상 ( 이미지)을 표현한다 . 따라서 명시적으로 의미 내용이 뚜렷하게

(24)

파악되지 않아 그 해석이 어려운 것이다 .

여기에서는 문장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중의성과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중의 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문장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중의성을 예 로 들면 다음과 같다 .

( 10) 요즈음엔 주말에 더욱 찬바람이 부는구나 .

㈀ 주말에 더 차가운 바람이 불어서 외출하기가 어렵구나 .

㈁ 요즈음엔 주말에 더욱 시장 경기가 나빠지는구나 .

문장( 10)은 ㈀과 같은 직설의미와 ㈁과 같은 은유적 의미의 두 가지로 해석 이 가능하다 . ( 11) 의 문장도 마찬가지이다 .

( 11) 저기 있는 햇병아리들이 귀엽지 않니?

㈀ 저기 새로 태어난 병아리들이 귀엽지 않니?

㈁ 저기 있는 신입생들이 귀엽지 않니?

시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 엠프슨(W.Empson) 의 「중의성의 일곱 가지 유형」

( seven t ypes of amb i gu i t y ) 을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애매성을 거론한 엠프슨 (W.Empson) 은 애매성은 시의 특성이며 , 중요한 자산이라고 하면서 시의 언어가 갖는 애매성을 일곱가지로 나누었다 .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25)

① 한 낱말 또는 문장이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효과를 미치는 경우이 다 .

② 둘 이상의 뜻이 모두 저자가 의도한 단일의미를 형성하는 데 공동 으로 참여하는 경우 .

③ 한 낱말로 두 가지의 다른 뜻이 표현되는 경우 . 예컨대 동음이의 어( 同音異議語) 가 이에 속한다 .

④ 서로 다른 의미들이 합쳐서 지은이의 착잡(錯雜) 한 정신상태를 나 타내는 경우

⑤ 지은이가 글을 쓰고 있는 과정에서 비로소 자신의 생각을 발견해 낸다든가 적어도 그 생각 전체를 한 묶음으로 딱 떨어지게 파악해 내지 못할 때, 한 서술에서 다른 서술로 옮기고자 한다면 그가 사 용하는 직유(直喩) 는 그 어디에도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을 것이 다 . 그리하여 그 양자의 중간상태를 가리키는 것과 같은 사태가 빚어진다든가 그와 유사한 경우 .

⑥ 한 서술이 모순된다든가 또는 적절하지 못하여 독자가 그 스스로 해석을 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그런데, 그들 의미도 또한 서로 모순 , 충돌하는 경우 .

⑦ 한 낱말의 두 가지 뜻 , 애매성이 지니는 두 개의 가치가 문맥상 아무래도 두 개의 대립하는 의미가 되고 그것이 전체의 효과로서 는 지은이의 마음 밑바닥에 깔린 분열(分裂)을 나타내는 경우 .

(26)

이러한 엠프슨(W.Empson) 의 이론은 한국 현대시에도 적용된다 . 이는 다음의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다 .

( 12) 江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박목월 나그네 의 일부) ( 13) 애달픈 국토의 막내 (유치환 을릉도 의 한 구절)

( 14) 찬란한 슬픔의 봄을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의 한 구절)

( 12) 에서는 ① 나그네가 강나루 건너서 시인쪽으로 (와서) 밀밭 길을 가는 것인지 , 나그네가 강나루 건너서 (시인은 강 이쪽에 있고) 밀밭 길을 가는 것 인지 애매하다 . ② 건너서 의 뜻이 건 :너 , 즉 맞은편이라는 뜻의 명사 인지 건너다 (자 , 타동사) 의 중지형15 )인지 애매하다 . 건너 가 명사면 나그네가 강 저편에서 가기를 시작한 것이고 동사면 강 이쪽에서다 . ③ 나루 및 건너다 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강나루 를 건너는 것인지 강 을 건너는 것 인지 애매하다 .16 ) ( 13) 은 애달픈 것이 파란(波瀾) 많은 국토인지 , 아니면 외따로 떨어져 있는 섬으로서 본토에 대한 그리움과 외로움을 지니고 있는 막 내가 애달픈 것인지 애매하다 . 애달픈 국토 로 보면 정세가 어지러운 본토를 바라보면서 어찌할 수 없는 시인(을릉도) 의 서글픔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

15) 중지형이란, 동작이 끝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16) 강헌규(1982 : 15)에서 재인용

(27)

으며 , 애달픈 막내 로 보면 창해일속(滄海一粟) 의 모습으로 외로움과 본토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또한 애달픈 국토 , 애달픈 막내 로 보면 은연중에 시인 자신이 이 나라 국민의 한 개체이듯이 을릉도 또한 국토의 한 점 혈육과 같다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 ( 14) 의 경우는

① 찬란한 슬픔 ② 찬란한 봄 ③ 찬란하면서도 슬픈 봄으로 해석되는 것인지 애매하다 . ① , ②의 경우는 시인의 눈에 봄은 물론이거니와 슬픔도 찬란하게 보 일 수 있기 때문이다 . ③의 경우는 표층적 역설 표현17 )으로 보는 경우이다 . 따라서 모란꽃의 개화는 찬란하지만 낙화가 예정된 것이기에 그 아름다움 속에 전제된 슬픔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겠다 .

이러한 은유적 중의성은 시조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

( 15) 어져 내일이야 그릴 줄을 모르다냐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구타야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 황진이)

( 15) 는 엠프슨(W. Empson) ' 중의성의 일곱 가지 유형 의 첫째 경우에 해당되 는 경우로 , 중장( 中章) 의 마지막에 나오는 제구타야 에서 중의성이 나타난다 .

17) 역설 (par adox )은 para (초월)+dox a (의견)을 나타내는 말로 모순되는 두 사실의 대응 을 통하여 양자의 모순을 화해시키고 극복하여 새로운 진리를 발견, 깨달음을 제시 하는 표현을 말한다. 표층적 역설표현은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모순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진지한 고찰에 의해 그 모순되는 의미의 진리를 드러내는 것이다.

(28)

앞의 말인 가랴마는 과 자리가 바뀌어진 도치형으로 파악하면 , 이 말의 주체 는 화자가 보내고 그리는 님 , 곧 이 작품의 한 등장인물인 상대방이다 . 그러나 다음 종장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 제구타야 는 님을 보내고 그리는 나 자신 , 곧 보내고 그리는 정 을 가진 나에게도 걸리는 것이다 . 즉 한 단어나 문장이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작용한다든가 효과를 미치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

이와 같이 언어예술인 경우 , 중의성은 하나의 시어 또는 문장 구조가 하나의 의미로만 파악되지 않고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표현의 입체감을 나타낸다 . 따라서 이로써 거두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문학에서 특히 함축적 의미를 사용 하는 시에서 더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통사적 중의성은 하나의 표층구조18 )가 구성성분들이 결합되는 방식과 관련 하여 두 개 이상의 심층구조19 )를 갖게 됨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해석이 가능 한 것을 말한다 . 이러한 내용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표층구조

심층구조 심층구조

통사규칙

18) 표층구조는 우리가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하는 문장구조를 말한다.

19) 심층구조에 대한 개념은 언어학자들마다 차이가 있다. 한 문장의 심층구조는 그 문장의 의미표시와 같다고 주장하는 견해와 문장의 의미 해석에 필요한 요소를 포함하는 통사구 조라는 견해가 있다.

(29)

즉 , 한 문장을 구성하는 통사 구조에 대한 해석이 달라짐으로 , 의미가 여러 가 지로 해석되는 경우이다 . 이러한 통사적 중의성에 대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 다 .

( 16) 게으른 거북이와 토끼

( 17) 한국은 중국과 일본을 물리쳤다 . ( 18) 영미는 그녀를 아름답다 생각한다 . ( 19) 아버지가 아이에게 신을 신겼다 . (20) 태일이는 학교에서 공부하지 않았다 . (21) 손님 모두가 노래 한 곡을 불렀다 .

( 16) 은 수식관계에 따른 중의성에 대한 예로 게으른 의 수식 범위가 거북 이 에 한정되는가 아니면 거북이와 토끼 에 걸쳐 있는가에 따라 의미가 다르 게 해석된다 . 즉 , 게으른 거북이와 토끼 라는 의미와 게으른 거북이와 게으 른 토끼 라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

( 17) 은 격, 조사에 따른 중의성에 대한 예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첫째 로는 조사 과 를 접속격으로 볼 경우 한국이 중국과 일본을 물리쳤다 는 풀 이가 된다 . 둘째로는 조사 과 를 부사격으로 볼 경우 한국이 중국과 함께 일 본을 물리쳤다 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 ( 18)은 대용어에 따른 중의성에 대 한 예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영미는 영미 자신을 아름답다 생각한다 는 경우와 영미는 제3자를 아름답다 생각한다 는 경우로 풀이될 수 있는 것이다 .

(30)

( 19) 는 사동문에 따른 중의성에 대한 예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아버 지가 아이에게 신을 직접 신겼다 는 직접적인 행동의 의미와 아버지가 아이에 게 신을 신도록 시켰다 는 간접적인 행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

(20) 은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에 대한 예로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어가 부정될 때와 주어, 서술어가 부정의 영역에 포함되었을 경우에 따라 세 가지 해석이 가능한 경우이다 . 즉 태일이는 학교에서 공부하지 않고 다른 곳에서 공 부를 하였다는 의미와 태일이가 학교에서 공부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했다는 의미, 태일은 학교에서 다른 일을 하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

(21) 은 지시에 따른 중의성에 대한 예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모두 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에 따라 , 모든 손님들이 각자 한 곡씩의 노래를 불렀다는 의미와 모든 손님들에 의해서 불려진 노래가 한 곡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가능 한 것이다 .

이상으로 Ⅱ장에서는 중의성과 모호성의 구별을 통하여 중의성의 개념을 명 확하게 제시하였다 . 그리고 그에 따른 문장에서 나타나는 중의성의 유형을 어 휘적 중의성 , 은유적 중의성 , 통사적 중의성으로 분류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 다 .

(31)

Ⅲ . 통사 적 중 의성 의 양상 및 해소 방 안

본 장에서는 통사적 중의성이 문법과 언어를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는 지도 소재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하나의 문장이 하나의 의미만 갖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우리의 언어 현실은 그렇지 않다 . 이는 하나의 표면구조가 문장구조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두 개 이 상의 심층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다 .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문장구 조에 의해 나타나는 통사적 중의성을 대상으로 하여, 수식관계, 격, 조사 , 대용 어, 사동문 , 부정의 범위, 지시의 문제에 따른 중의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 그에 따른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보겠다 .

3 . 1 수 식 관 계 에 따 른 중 의성

수식관계에 따른 중의성은 수식어가 꾸며주는 범위에 따라 중의성이 나타나 는 것을 말한다 . 수식어는 명사구를 수식해 주는 관형어와 관형절, 동사구를 수식해 주는 부사어가 있는데, 이들은 피수식어 앞에서 그 뜻을 좀 더 분명하 게 제한해 주는 역할을 한다 .

관형어(구) 와 관형절은 체언으로 된 주어나 목적어 등의 문장 성분 앞에서 체언을 수식한다 . 이때 수식을 받을 수 있는 피수식어가 두 개 이상 나타남으

(32)

로써 중의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

부사어는 관형어와 같은 수의(隨意)성분의 하나로 서술어의 뜻을 한정하는 성분이다 . 부사어는 표현 효과를 위해 자리바꿈을 하여 여러 자리에 나타날 수 있고 , 때때로 꾸밈을 받는 말 뒤에 놓일 수도 있다 . 이러한 부사어가 한정하는 범위에 따라 중의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

따라서 이들에 대한 예를 들어가며 , 그에 따른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먼저 , 조사 와/ 과 로 연결된 주어나 목적어를 꾸미는 관형어(구) 나 관형절 이 있는 문장을 살펴본 다음, 조사 의 가 붙은 문장을 살펴보겠다 .

다음은 관형어(구) 가 조사 와/ 과 로 연결된 주어를 꾸미는 문장이다 .

(22)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와 을릉도는 한국의 자랑이다 .

㈀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 〕- 와 을릉도는 한국의 자랑이다 .

㈁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 와(을릉도) ) 〕는 한국의 자랑이다 .

(22) 의 문장은 관형구 따뜻하고 아름다운 이 제주도 를 수식하는 ㈀과 제 주도와 을릉도 를 수식하는 ㈁으로 ,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이는 주어인 제주도 와 을릉도 가 접속조사 와 로 연결됐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 이다 . 즉 , 수식을 받을 수 있는 피수식어가 두 개 이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생긴 것이 다 . 따라서 표층으로는 하나의 문장이지만, 심층으로는 두 가지 이상의 명확한 해석이 가능한 문장이다 .

위의 문장을 해소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

(33)

(22) ′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와 을릉도는 우리의 자랑이다 .

㈀ 따뜻하고 아름다운 / 제주도와 을릉도는 우리의 자랑이다 .20)

㈀ ′따뜻하고 아름다운 , 제주도와 을릉도는 우리의 자랑이다 .

(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와 따뜻하고 아름다운 을릉도를 의미)

㈁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와/ 을릉도는 우리의 자랑이다 . ( 따뜻하고 아름다운 것은 제주도임을 뜻)

㈁ ′을릉도와 따뜻하고 아름다운 제주도는 우리의 자랑이다 .

위의 문장은 수식어를 피수식어인 주어 앞에 바로 놓는 어순의 변환이나 , 또 는 경계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짧은 쉼과 긴 쉼의 어조에 의해서 수식 범위 를 드러냄으로써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이밖에 반점( , )을 사용하여 중의성 을 제거할 수 있다 .

다음은 관형어(구) 가 조사 와/ 과 로 이루어진 목적어를 꾸미는 문장이다 .

(23)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준호) 〕- 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 와 (기철)을) 〕좋아한다 .

20) / 표시는 긴 쉼을 표시한다. 말소리에는 뜻의 차이를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단위인 음소(音素)가 있다. 이 음소에는 자음과 모음처럼 쉽게 쪼갤 수 있는 요소 , 즉 분절 음소(segmental phoneme)와 음장(音長)이나 악센트처럼 모음에 얹혀 나타나서 쉽게 쪼개지지 않는 초분절음소(supra- segmental phoneme)가 있다. 초분절 음소에는 휴 지(pause), 강세(stress ), 고저(pitch ), 장단(duration ) 등이 있다. (이익섭, 1990 : 58

~59)

(34)

(23) 의 문장은 (22) 의 문장과 비슷한 유형이다 . 관형구 성실하고 정직한 이 피수식어인 목적어 준호 를 수식하는 ㈀과 준호와 기철 을 수식하는 ㈁으로 ,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따라서 (23) 의 문장에 (22) 의 중의성의 해소 논리를 적용할 수 있다 .

(23)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 준호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와/ 기철을 좋아한다 .

㈁ ′나는 기철과 성실하고 정직한 준호를 좋아한다 .

다음은 관형절이 조사 와/ 과 로 이루어진 목적어를 꾸미는 문장이다 .

(24)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청국장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 청국장) 〕- 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 ( 청국장)- 과 ( 미역국) ) 〕을 싫어한다 .

(24) 의 문장은 관형절 엄마가 좋아하는 이 목적어 청국장 을 수식하는 ㈀ 과 청국장과 미역국 모두를 수식하는 ㈁으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함에 따라, 중의성이 발생한 문장이다 . (24) 의 문장에도 (22) 의 해소 논리가 적용된다 .

(35)

(24)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청국장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 청국장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 청국장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엄마가 좋아하는 청국장과/ 미역국을 싫어한다 .

㈁ ′나는 미역국과 엄마가 좋아하는 청국장을 싫어한다 .

다음은 관형어( 체언+조사 의 ) 가 있는 문장이다 .

(25) 멋진 누나의 애인

㈀ 〔( 멋지- ) - (누나) 〕- 의 애인

㈁ 〔멋진( (누나)- 의 ( 애인) ) 〕

예문 (25) 는 멋진 의 주체가 누나 인 ㈀과 누나의 애인 인 ㈁으로 , 두 가 지 해석이 되어 중의성이 발생한다 . 이러한 해석이 가능한 것은 피수식어가 두 가지 나타나 있는 데다가 ,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 이에 의미상의 호응이 가능하 기 때문이다 .

이러한 문장은 어순교체를 통하거나 또는 멀리 있는 말을 꾸밀 수 있도록 반 점( , )을 사용하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이밖에 한 가지 의미로만 해석될 수 있게 문장 구조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25) ′ 멋진 누나의 애인

(36)

㈀ 누나의 멋진 애인

㈀ 멋진, 누나의 애인( ‘애인’을 꾸밈)

㈁ 애인이 있는 누나는 멋지다

어순을 바꾼 ㈀은 멋진 이 애인 를 꾸미게 되어 중의성이 사라진다 . ㈀ 의 반점은 멀리 있는 말을 꾸미게 되므로 ㈀과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된다 . 반면에 멋진 이 누나 를 꾸미는 경우라면 , 애인 은 두 개의 관형어 멋진 과 누나 의 꾸밈을 받게 된다 . 이렇게 두 개의 관형어를 가진 문장은 ㈂처럼 문장의 구조를 바꾸어 명확한 뜻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

다음은 관형어가 체언과 용언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문장이다 .

(26) 나는 박선생의 책을 가지고 있다 .

㈀ 나는 〔박선생이 쓰- 〕- 책을 가지고 있다 .

㈁ 나는 〔박선생이 갖고 있- 〕- 책을 가지고 있다 .

(26) 에서는 ㈀과 ㈁의 해석 모두 가능하다 . 켐프슨(Kempson) 은 의미의 불확 정성을 이유로 위의 문장을 모호성으로 간주하였다 . 그러나 본고에서는 위의 문장을 중의성으로 보고자 한다 . 이는 박선생 과 책 사이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적절 동사2 1 )때문이다 . 조사 의 는 표층구조에서 체언과 체언으로 연 21) 적절 동사 (appr opriat e v erb )는 관형어 구성에서 상정될 수 있는 두 체언 (체언1- 체 언2)관계를 의미적인 관계로 이어주는 적절한 용언을 뜻한다. 성광수(1978 : 90)에서

(37)

결돼 있어 의미파악이 뚜렷하게 되지 않으나 심층구조에서 ㈀ , ㈁의 내용처럼 체언과 용언의 관계를 나타내는 의미로 파악이 된다 . 즉 , 내포문으로 볼 수 있 는 것이다 .22 ) 이러한 내포문의 적절 동사는 명사나 동사의 선택규칙23 )적인 성 질을 고려하여 볼 때, 두 체언 사 이의 의미적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무 수히 있는 것은 아니다 . 따라서 중의성이 나타난 문장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

(26) 은 체언+조사 의 를 내포문으로 나타냄으로써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26) ′나는 박선생의 책을 가지고 있다 .

㈀ 나는 박선생이 쓴 책을 가지고 있다 .

㈁ 나는 박선생이 소유하고 있는 책을 가지고 있다 .

다음은 부사어와 관련되어 중의성이 나타난 경우이다 . 부사어가 문장의 가운 데 놓여 인접한 두 동사를 수식하거나 , 또는 문장의 앞에 놓여 내포문과 주문 을 수식할 때 중의성이 발생한다 .

먼저 , 부사어가 문장의 가운데에 놓여 인접한 두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이다 .

는 심층구조에서 명사와 적절한 관계에 놓일 수 있는 동사의 내포문이 변형에 의해 삭제되면서 표층구조상 관형어 구성인 체언1 - 체언 2를 가능하게 한다고 하였다.

22) 의 의 대표적인 기능을 김광해 (1981)는 후속하는 명사가 선행하는 명사의 범위 속 에서 어떤 관계 하에 있음을 표시해 주는 것 으로, 임홍빈(1981)은 존재전제 로 파악 하기도 한다. 의 의 대표적인 통사기능을 이익섭, 임홍빈(1983)은 속격조사로, 김광 해(1981)는 관형조사로 본다.

23) 선택규칙이란 문장에서 주로 동사를 중심으로 그 전후의 명사들과의 어휘자질의 호응관계에 있어서 제약이 있음을 이르는 것이다. 즉 주어와 서술어, 동사와 목적어 와의 호응관계 등에서의 제약을 말한다.

(38)

(27) 영주는 어제 친구가 다쳤다는 연락을 받았다 .

㈀ 영주는 〔( 어제) 친구가 다쳤다〕- 는 연락을 받았다 .

㈁ 〔영주는 ( 어제) ( ( 친구가 다쳤다)- 는 연락)- 을 받았다 . 〕

(27) 은 내포문이 있는 복합문이다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어 어제 가 관형절 의 서술어 다쳤다 를 수식하는가 , 아니면 주문의 서술어 받았다 를 수식하는 가에 따라 중의성이 발생한다 . 즉 영주가 친구가 어제 다쳤다는 연락을 받았 다 는 내용과 영주가 친구가 다쳤다는 연락을 받은 것은 어제였다 라는 두 가 지 해석이 가능하다 .

이와 같은 문장을 해소하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27) ′영주는 어제 친구가 다쳤다는 연락을 받았다 .

㈀ 영주는 친구가 어제 다쳤다는 연락을 받았다 .

㈁ 영주는 친구가 다쳤다는 연락을 어제 받았다 .

㈁ 영주는 어제/ 친구가 다쳤다는 연락을 받았다 .

부사어를 한정하는 서술어 앞에 바로 놓음으로써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과 같이 다쳤다 만을 한정하거나 ㈁과 같이 받았다 만을 한정하게 하여 중 의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 이외로 ㈁ 처럼 휴지로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 다 .

(39)

다음은 문장부사어가 내포문24 )과 주문을 수식하는 경우이다 .

(28) 불행하게 세상을 떠난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불행하게) 세상을 떠나- 〕-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불행하게〕( (세상을 떠나- )-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28) 의 문장에서는 부사어 불행하게 가 내포문을 수식하는 문장부사어인가 , 주문을 수식하는 문장부사어인가에 따라 두 가지 해석이 나타난다 . 내포문을 수식하는 문장부사어인 ㈀의 경우는 삶을 불행하게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이 고 , 주문을 수식하는 ㈁의 경우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 것이 불행하 다 라는 안타까움을 나타내는 의미이다 .

위 문장의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

(28) ′ 불행하게 세상을 떠난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세상을 떠난 그는 불행하게도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불행하게/ 세상을 떠난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 불행하게 세상을 떠난 그는/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

24) 문장은 보다 작은 문장을 구성요소로 하여 끝없이 새로이 탄생하는데 두 문장이 문장 대 문장으로 결합하는 접속과 한 문장이 단어 자격으로 바뀌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파고드는 내포의 두 방식이 있다.(이익섭, 1999 : 118) 내포의 경우 명사절, 관형사절 등 을 내포문이라 하여 문장으로 이해하는 추세에 있으며, 내포문을 포유하는 상위의 문장 을 모문이라 한다.

(40)

(28) 의 ㈀은 부사어의 어순변환과 함께 특수조사 도 를 첨가하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이외로 휴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불행하게 라는 부사어 뒤에 휴지를 두어 ㈀ 와 같이 주문을 수식하는 문장부사어로 해석할 수 있게 하거나, 주어 뒤에 휴지를 두어 ㈁과 같이 내포문을 수식하는 문장 부사어로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이상으로 수식관계에서 발생하는 중의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이러한 수식 관계에 따른 중의성은 수식어를 피수식어 바로 앞에 놓음으로써 또는 문장 구 조의 변경 , 첨언, 어조나 반점( , )사용 등을 통하여 해소할 수 있었다 .

3 .2 격 , 조 사 에 따른 중 의성

격, 조사에 따른 중의성은 격과 조사에 관련된 중의성을 말한다 . 조사는 자 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품사 이다 . 이러 한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중의성이 발생하는 것 이다 . 이를테면 , 조사 와/ 과 를 들 수 있다 . 조사 와/ 과 는 동반을 나타내는 부사격과 , 단순한 접속을 나타내는 접속격으로 풀이될 수 있음에 따라 중의성 이 발생하는 것이다 . 이외에 특수조사로 인하여 중의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 다 . 따라서 이러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조사의 격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나타나는 중의성이다 .

(29) 정원이가 만나고 싶은 동창생들이 몇 명 있다 .

(41)

㈀ 정원이가 만나고 싶은 동창생들이 몇 명 있다 .

㈁ 정원이를 만나고 싶은 동창생들이 몇 명 있다 .

(29) 는 한 문장에 주격조사가 두 개가 나타남에 따라 중의성이 발생한 문장 이다 . (29) 의 ㈀25 )은 은( ) 의 조사가 결합하여, 뒤에 오는 명사 등을 수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형화 내포문26 )이 있는 문장으로 , 내포문의 주어는 정 원이가 이나 , 모문에서의 주어는 동창생들이 이다 . 반면에 ㈁은27 ) 내포문의 목적어 동창생들 이 주문의 주어로 상승되어 나타난 상승구문28 )으로 , 문장에 서의 주어와 주체가 모두 동창생들 이다 .

보통 주어가 문장의 첫머리에 오는 것이 정상 이지만, 변화 있는 표현을 위하 여 주어나 목적어 같은 문장 성분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날 수가 있다 . 위 문 장은 심층구조 면에서 조사 가 의 격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 진 것이다29 ). 정원이가 의 조사 가 를 주격으로 볼 경우에는 ㈀과 같은 뜻 이 되며, 조사 가 를 목적격으로 볼 때에는 ㈁과 같은 뜻이 되므로 , 한 문장 안에 두 개의 심층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

25) ㈀을 심층구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정원이가 동창생을 만나고 싶어 하- )- 는 동창생이 몇 명 있다.〕

26) 한 문장이 다른 문장 속에 내포되어 명사의 수식어로 기능하는 통사적 절차를 관 형화라 하는데, 이러한 관형화로 내포된 문장을 관형화 내포문이라 한다.(최전승외 3 인, 1999 : 117~118)

27) ㈁의 심층구조는 다음과 같다.〔 ( 몇 명의 동창생이 정원이를 만나고 싶어하- )- 는 동창생이 많다. 〕

28) 상승구문이란 내포문의 주어나 목적어가 주문의 주어나 목적어로 상승되는 구문을 말한다. (남기심 외, 1992 : 114)

29) 조사 이/ 가 가 반드시 주격만을 표시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남아 있다.(이익섭・임 홍빈, 1990 : 63)

(42)

(29) 의 문장은 관형절의 내용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 , ㈁과 같이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또한, 이야기 속에서 앞 뒤 문맥30 )의 도움을 받는다면 중의 성이 해소될 수 있다 . 즉 , 위의 문장 다음에 그 동창생들도 정원이를 만나고 싶어 할 것이다 라는 문장이 뒤따르면 정원이가 만나고 싶어하는 동창생 이라 는 뜻만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즉 , 중의성이 나타나는 독립된 문장일지라도 그 문장이 앞 뒤 문맥의 도움을 받는다면 중의성은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

다음은 조사 와/ 과 로 이루어진 문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

(30) 나는 형과 아우를 찾아 다녔다 .

㈀ 나는 〔형과 아우를〕찾아 다녔다 .

㈁ 〔나는 형과〕아우를 찾아 다녔다 .

(30) 은 조사 와/ 과 를 접속 조사로 보느냐 부사격 조사로 보느냐에 따라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즉 , 접속조사로 볼 경우 나 가 찾아다닌 대상 이 형과 아우 가 되지만, 부사격 조사로 볼 경우에는 형과 동행하여 찾아다닌 대상 이 아우 가 되는 것이다 . ㈀의 형과 아우 에서 과 는 단순한 접속을 나타내는 조사 이지만, ㈁의 나는 형과 에서 과 는 공동격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인 것이다 .

30) 이 용주 외 (1970 ; 100)에서는 문맥을 어떤 어나 문, 절, 장이 있을 때 그 앞이나 뒤에 접속으로 연결된 담화나 문장의 부분을 가리키는 것 이라 하였고, 이 정민외 (1984 : 185)에서는 그 발화의 언어구조에 관한 정보 외에 해석에 쓰이는 모든 정 보 라 하였다.

(43)

이에 대한 해소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30) ′ 나는 형과 아우를 찾아다녔다 .

㈀ 나는 , 형과 아우를 찾아 다녔다 .

㈀ ′나는/ 형과 아우를 찾아 다녔다 .

㈁ 나는 형과 , 아우를 찾아 다녔다 .

㈁ ′형과 나는 아우를 찾아 다녔다 .

㈂ 나는 형과 함께 아우를 찾아 다녔다 .

(30) 의 문장은 ㈀ , ㈁처럼 반점을 사용함으로써 주어를 분명히 드러내거나

㈀ 와 같은 휴지 사용 , ㈁ 와 같은 어순 교체, ㈂과 같은 부서어 첨가를 통하 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또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31) 순영이와 민수가 개를 기른다 .

㈀ 순영이가 개를 기르고 , 민수도 개를 기른다 .

㈁ 순영이와 민수는 공동으로 개를 기른다 .

위의 문장 또한 조사 와/ 과 의 해석여부에 따라 중의성이 발생한다 . 그러 나 (31)은 심층구조에서 접속조사 와/ 과 가 구접속과 문접속으로 이루어진다 는 점에서 (30) 과는 다르다 . (31)은 순영이와 민수가 각각 자기 집에서 개를

(44)

기른다는 뜻3 1)의 ㈀과 두 사람이 공동으로 개를 기른다는 뜻의 ㈁으로 두 가 지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 ㈀의 경우는 주어가 둘인 문장으로 , 접속조사 와 에 의해 연결되어진 이어진 문장이 되는 반면 , ㈁인 경우는 본래부터 주어가 복합으로 이루어진 홑문장이 되는 것이다 .32 )

이러한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부사어를 첨가하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31) ′순영이와 기수가 개를 기른다 .

㈀ 순영이와 기수는 따로 개를 기른다 .

㈁ 순영이와 기수는 함께 개를 기른다 .

다음은 조사 보다 가 있는 문장에서 나타나는 중의성이다 .

(32)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

㈀ 어머니는 〔어머니는 아버지를 사랑한다〕- 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 31) 이어진 문장 중에는 주어만 여러 개가 접속조사 와/ 과 에 의해서 이어져 있고, 서술어는

하나 뿐이어서 홑문장으로 보이는 것이 있다.(남기심・고영근, 1999 : 398)

32) 형과 아우가 십 년 만에 우연히 노상에서 만났다. ㈀ * 형이 십 년 만에 우연히 노상에서 만났다. ㈁ * 아우가 십 년 만에 유연히 노상에서 만났다. 이 문장의 주어 는 (30)의 문장과 같이 접속조사 과 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문장이지만, 홑문장으 로 (30)과 같은 두 가지 해석이 불가능하다. 이는 동사 만나다, 마주치다, 싸우다, 대면하다, 닮다… 등과 형용사 비슷하다, 같다, 다르다… 등은 본래부터 복합주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 ㈁이 이어져서 된 것이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남기심・고 영근, 1999:401) 김완진(1970 : 4)에서는 와/ 과 를 구접속의 와 와 문접속의 와 로 구 별한다. 구접속의 와 는 본래부터 두 체언을 병치시키는 데 공헌하여 표층에서도 그 대로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고, 문접속의 와 는 본래 두 개의 문장을 연결시 키는 고 로부터의 전환에 연유한 것으로 보고 있다.

(45)

㈁ 어머니는 〔아버지가 나를 사랑한다〕- 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

(32) 의 문장 ㈀은 사랑하는 주체가 어머니 이고 대상은 아버지 와 아이 들 인 의미로 , ㈁은 사랑하는 주체 가 어머니 와 아버지 이고 , 대상은 아 이들 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 따라서 ㈀ , ㈁은 심층구조를 달리하는 것이 다 .33 )

이러한 비교에 따른 문장은 어순 변환과 특수 조사를 첨가하는 첨언을 통하 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

(32)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

㈀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나를 더 사랑한다 .

㈁ 어머니는 아버지와 나 중에서 나를 더 사랑한다 .

㈀에서는 어순변환과 함께 한정조사34 ) 는 을 삽입함으로써 아버지가 나를 33) 보다 가 포함된 비교 구문에서는 주어와 조사 보다 를 수반하는 명사구의 의미자 질이 다른 경우에는 중의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같은 서술어의 주체로 의미자 질이 다른 두 명사구를 비교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종선, 1995 : 56) 예를 들면, 경주는 고양이보다 개를 좋아한다. 라는 문장에서 주어가 비교 대상이되는 경우 아 래와 같은 어색한 문장이 발생한다. * 경주는〔고양이가 개를 좋아한다〕- 보다 개를 더 좋아한다. 이는 주어와 조사 보다 를 수반하는 명사구의 의미자질이 다르기 때문 에 생긴 현상이다.

34) 한정사는 도, 만, 야, 는 나 등의 특수조사로 의미기능을 하는 어휘적 형태소이면 서 형태소로 홀로 설 수 없는 의존 형태소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한정조사와 특수조사를 동일하게 보고, 함께 사용할 것이다. 한정사가 의존 형태소이므로 그 의 미분석을 하는 데에 있어서 전제(presupposition )와 함의(entailment ) 개념의 도입이 된다. (염선모, 1985 : 63) 전제는 하나의 문장 안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다른

참조

관련 문서

• 이러한 어휘적 사동은 일부 타동사가 지닌 의미에 의해 나타 나는 사동 표현으로 문법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사동구문은 아 니다. • 태국어에서 어휘적

한주형을 통하여 김동원... 습니다’라는

채옥자(2014)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자어 사용 오류를 분 석하였는데 그 중 동형이의 어휘 오류에서 부분적 의미가 다른 경우와 의 미가 전혀

경향을 보이고 있다.. Fresh snow cover at each station by the time series on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0UTC 28 Dec.. Surface weather chart on 09UTC 28 Dec. Wind rose

무엇보다 나우만과 베케트는 작품의 주제, 곧 인간존재를 다룬다는 실존주의적 주 제를 공유하고 있다. 둘 다 부조리한 행동을 드러내기 위해 고통스러운 상황을 설정

surface morphol ogy(a, b, c at Fi g. 15) of the non cl i ni cal used i mpl antafterpotenti odynami ctest· · · ·16 Fi g.17.SEM and EDS showi ng the cross-secti oned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영어․수학 교과에 있어서는 해당 단 계의 학습목표에 대한 일정 성취 기준을 고려하여 차상급 단계의 진급을 위 한

자료형태 <physicalDescription><form> 필수 디지털 품질 <physicalDescription><reformattingQuality>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