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간에 대한 어휘적 개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시간에 대한 어휘적 개념"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2.2 시간 개념화의 패턴

시간에 대한 어휘적 개념

*일차적 어휘적 개념

: 인간의 인지 처리과정의 공통된 양상과 관련이 있 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지속성, 동시성, 시점 이나 순간, 지금 등과 같이 앞서 언급했던 시간 에 대한 경험과 관련이 있다.

*이차적 어휘적 개념

: 문화적 구성물이며 따라서 종종 문화 특정적일 수

있다.

(2)

어휘적 개념 : 지속

- 지속의 개념에는 주관적 경험과 관련이 있는 두 가지 변 이형이 있다.

1)장기 지속 : 시간이 보통 때보다 천천히 진행되고 있다 는 경험과 관련이 있다.

(23) Time drags when you have nothing to do.

(할 일이 없을 때 시간은 지루하게 흘러간다)

※장기지속이 발생하는 이유

- 장기 지속은 특정한 자극 배열을 강하게 인식함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는 경험되는 간격이 비어있기 때문이거나 짧은 시간 동안 너무 많은 것을 경험하는 것으로 인해 그 간격이 매우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3)

2)시간적 압축 : 보통 때보다 시간이 더 빨리 지나가는 것을 경험할 때이다.

(25) The time has sped/whizzed by.

(시간이 쏜살같이 지나갔다) (26) Where has the time gone?

(어느새 이렇게 시간이 가 버렸지?) (27)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때는 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간 다)

(4)

어휘적 개념: 순간

- 시간적 경험의 또 다른 양상은 구분되는 순간들에 의 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다.

(28) The time for a decision has come.

(결정을 내려야 할 때가 왔다.)

(29) Now is the time to address irreversible environmental decay.

(지금이야말로 되돌릴 수 없는 환경파괴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야 할 때이다.)

time(시간)은 moment(순간)이라는 표현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시간은 지속을 평가할 수 있는 간격에 의해서가 아니라 구분 되는 시점에 의해서 개념화된다.

(5)

어휘적 개념: 사건

- 지각적 층위에서 시간적 처리과정으로부터 도출되며, 이런 처리 과정이 특정한 사건들을 `창문`이나 `시간 슬롯` 같이 시간적으로 짜 맞추어진 개체로 결속한다고 제안한다.

(30) With the first contraction, the young woman knew her time had come.

(젊은 여성은 첫 번째 자궁 수축으로 출산할 때가 온 것 을 알았다.)

(31) The man had every caution given him not a minute before to be careful with the gun, but his time was come as his

poor shipmates say and with that they console themselves.

(그 남자는 바로 얼마 전에 총을 조심하라는 주의를 그에게 줬지 만, 그의 불쌍한 동료 선원이 말하길 그의 시간이 왔으며, 그것 으로 그들은 자신들을 위로했다.)

※이 각각의 예에서 특정한 사건인 분만과 죽음은 time으로 어휘화 된다. 이것은 사건에 대한 개념화가 시간적 경험과 밀접하게 연결 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6)

어휘적 개념 : 실례

- 이 개념은 시간적 사건을 열거할 수 있다는 사실의 기초 가 되는데, 이것은 구분되는 사건들이 ‘동일한’ 사건의 실례나 예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32) With that 100m race the sprinter had improved for the fourth time in the same season.

(100미터 경주에서 그 주자는 같은 시즌에 네 번째 도전을 하는 동안 성적이 향상되었다.)

※이 예에서 time은 네 가지 구분되는 순간을 가리키는 것 이 아니라 `개선` 사건이라는 네 번째 실례를 가리킨다.

이 예는 구분되는 시간적 사건들이 서로 관련될 수 있으며 단 하나의 사건 유형의 개별 실례로 `간주된다`는 언어적 증거를 제시해 준다.

(7)

사건의 시간적 양상 : 크리스마스

(33) 장기 지속

Christmas seemed to drag this year.

(올해는 크리스마스가 더디게 흘러가는 것 같았다.) (34) 시간적 압축

Christmas sped by this year.

(크리스마스가 올해는 급히 지나갔다.) (35) 순간

Christmas has finally arrived/is here.

(크리스마스가 드디어 찾아왔다/크리스마스이다.) (36) 실례

This Christmas was better than last Christmas.

(이번 크리스마스가 지난 크리스마스보다 더 낫다.)

(8)

시간적인 어휘적 개념의 정교화

- 시간에 대한 어휘적 개념이 정교화되는 방식 중 한 가지는 이동에 의해서 정교화되는 것이다. 예컨대, approach(다가오 다), arrive(도착하다), come(오다), go(가다), pass(지나가 다) 등과 같은 낱말을 사용하지 않고 시간에 대해 이야기하 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37) a. 만다린어

The time when the soccer king of the generation

bids farewell to the green is approaching us day by day.

(이 세대의 축구 왕이 축구장에 작별을 고할 시간이 나날이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b. The passing years are constantly washing away people`s memories.

(흐르는 세월은 끊임없이 사람들의 기억을 씻어서 지워버리고 있다.

(9)

(38) 일본어

a. Time flows.(시간이 흘러간다)

b. Time passed by.(시간이 지나갔다) c. Christmas is approaching.

(크리스마스가 다가오고 있다)

(39) 월로프어

Tabaski is coming.(타바스키가 오고 있다)

(40) 스페인어

Christmas Eve is coming very soon.

(크리스마스 이브가 곧 올 것이다)

(10)

시간에 대한 특정한 어휘적 개념을 정교화하기 위해 언어가 의존 할 수 있는 이동 유형의 범위는 비교적 제약적이다. 예컨대, 영 어에서 장기 지속은 느린 이동이나 이동의 부재를 수반하는 이동 사건을 통해서만 정교화될 수 있다.

(41) a. Time seemed to stand still.

(시간이 멈춘 것 같이 보였다)

b. The time dragged.(시간이 더디게 흘러갔다)

다른 한편, 시간적 압축은 빠른 이동을 통해서 정교화되거나 알아 차릴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빠른 이동을 통해서 정교화된다.

(42) a. The time flew/sped/whizzed by.

(시간이 빨리 지나가 버렸다.)

b. The time has vanished/disappeared.

(시간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 버렸다)

(11)

이런 두 가지 종류의 정교화는 어휘적 개념 사건과 순간이 구조 화되는 방식과 대조된다.

(43) 순간

The time for a decision is approaching/coming/getting closer/has arrived.

(결단을 내려야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다가왔다)

(44) 사건

The young woman`s time is approaching/coming/getting closer/has arrived.

(그 젊은 여자의 차례가 다가오고 있다/다가왔다)

(12)

시간에 대한 인지모형

자아 토대적 모형 시간 토대적 모형

이동적 시간 모형 이동적 자아 모형 시간적 순서 모형

*자아 토대적 모형 : 전형적으로 현재나 지금에 대한 참조 를 수반한다.

*시간 토대적 모형 : 지금이라는 개념을 고유하게 참조하지 않는다.

(13)

이동적 시간 인지모형

- 이 모형에는 암시적이거나 언어적으로 I 같은 표현으로 부호 화되는 경험자가 있다. 이런 경험자는 자아라고 부르며, 자아 의 위치는 지금에 대한 경험을 나타낸다. 시간적 순간과 사건 은 미래로부터 자아를 향해 이동하고 그러고 나서 자아를 지나 과거로 이동한다.

과거 현재 미래

자아

원은 시간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시간의 이동을 나타낸다

(45) a. Christmas is getting closer.

(크리스마스가 가까워지고 있다)

b. My favorite part of the piece is coming up.

(내가 이 작품에서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 모습을 나타내고 있 다.)

c. The deadline has passed.(마감 시간이 지나가 버렸다)

(14)

이동적 자아 인지모형

- 이 모형에서 시간은 자아가 넘어 이동하는 풍경이며, 시간은 위치로 개념화되는 특정한 시간적 순간과 사건을 향해, 자아가 이 풍경을 가로질러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해된다.

원은 시간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자아의 이동을 나타낸다

(15)

(46) a. We’re moving towards Christmas.

(우리는 크리스마스를 향해 가고 있다)

b. We’re approaching my favorite part of the piece.

(우리는 이 작품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부분에 다가가고 있다) c. She’s passed the deadline.

(그녀는 마감 시간을 지났다)

d. We’ll have an answer within two weeks.

(우리는 2주 안에 답을 얻게 될 것이다)

e. The meetings were spread out over a month.

(그 모임은 한 달 동안 이어졌다)

(16)

시간적 순서 인지모형

- 이른과 나중이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이전의 두 모형과는 달리 이 모형은 자아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어떤 시간적 사건은 먼저 일어나거나 나중에 일어나는 다른 시간적 사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해된다.

나중 이른

(47) a. Monday precedes Tuesday.(월요일은 화요일에 앞선다) b. Tuesday follows Monday.(화요일은 월요일 뒤에 온다) 이런 영어 예에서 나중은 이른을 따른다. 더 이른 사건인 월요 일은 더 나중 사건인 화요일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월요일이 이른 것은 자아에 상대적이 아닌 화요일에 상대적인 것이다.

(17)

시간 토대적 모형 대 자아 토대적 모형

(48) a. in the weeks ahead of us(앞으로의 몇 주 동안) b. That’s all behind us now.

(그것은 이제 다 지나간 일이다)

(49) a. in the following weeks(다음 몇 주 동안) b. in the preceding weeks(지난 몇 주 동안)

(48)은 자아 토대적 모형과 관련이 있는데, 이 모형에서 시간은 화자에 상대적으로 개념화된다. 대조적으로 (49)는 시간적 순서 모형과 관계 있는데, 이것은 자아토대적 모형이 아닌 시간 토대 적 모형이다. 즉 자아 토대적 모형에서는 과거/미래라는 어휘적 개념과 관련되고, 시간 토대적 모형에서는 이른/나중이라는 어휘 적 개념과 관련된다.

(18)

3.3 의미 체계에서의 범언어적 변이

3.3.1 공간 개념화에서의 변이

영어와 한국어에서 공간적 장면 범주화하기

- 언어마다 전경과 배경 사이의 공간적 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객관적으로 유사한 공간적 장면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50) a. put cup on table(탁자 위에 컵을 놓다)

b. put magnet on refrigerator(냉장고에 자석을 붙이다) c. put hat on(모자를 쓰다)

d. put ring on finger(손가락에 반지를 끼다) e. put top on pen(펜에 뚜껑을 닫다)

f. put lego block on lego stack(레고 더미에 레고 블록을 끼우다) (51) a. put video cassette in case(비디오 카세트를 케이스에 끼우다)

b. put book in case(책을 케이스에 끼우다) c. put piece in puzzle(조각을 퍼즐에 맞추다) d. put apple in bowl(사과를 사발에 넣다)

e. put book In bag(책을 가방에 넣다)

(19)

구우구 이미티르어에서의 참조틀

구우구 이미티르어의 현장 토대적 공간적 용어 N

E W

S

Ex) The sun doesn’t go down, it goes west, the fork isn’t at my left, it lies south, the tide doesn’t go out, it goes east.

(태양은 가라앉는 것이 아니라 서쪽으로 간다. 포크는 내 왼쪽에 있지 않다. 포크는 남쪽 방향에 놓여 있다. 조수 는 밖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동쪽으로 간다)

(20)

3.3.2 시간 개념화에서의 변이

아이마라어에서의 과거와 미래

- 미래가 자아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과거는 자아 앞에 있는 것으로 개념화한다.

영어에서의 미래에 대한 표상

(60) a. The future lies in front of us.

(미래는 우리 앞에 놓여 있다)

b. She has a bright future ahead/in front of her.

(그녀는 앞에/그녀 앞에 밝은 미래를 남겨두고 있다) 영어에서의 과거에 대한 표상

(62) a. The past is behind me.(과거는 내 뒤에 있다)

(21)

아이마라어에서의 미래에 대한 표상 (64) mayra pacha

front/eye/sight time past time(과거)

(65) q’ipa pacha back/behind time future time(미래)

과거에 대한 표현 – 앞 시간 영어와 반대되는 미래에 대한 표현 – 뒤 시간 정교화 패턴

(22)

만다린어에서의 이른과 나중

영어의 패턴에서는 이른과 나중 사이의 구분과 관련 있는 개 념이 수평축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정교화된다.

(66) a. Tuesday comes/is before Wednesday.

(화요일은 수요일 앞에 온다/앞이다) b. Wednesday comes/is after Tuesday.

(수요일은 화요일 뒤에 온다/뒤이다)

만다린어의 패턴에서는 이른과 나중 사이의 구분과 관련 있 는 개념이 수직축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정교화된다.

(67) a. shang-ban-tian b. xia-ban-tian upper-half-day lower-half-day morning(아침) afternoon(오후)

(23)

(68) a. shang-ban-ye b. xia-ban-ye

upper-half-night lower-half-night

before midnight(자정 앞) after midnight(자정 뒤) (69) a. shang-ban-yue

upper-half-month

the first half of the month(달의 상반기) b. xia-ban-yue

lower-half-month

the second half of the month(달의 하반기) (70) a. shang-ban-nian b. xia-ban-nian

upper-half-year lower-half-year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second half of (해의 상반기) the year(해의 하반기) (71) a. shang-bei b. xia-bei

upper-generation lower-generation

the elder generation the younger generation (늙은 세대) (젊은 세대)

(24)

3.4 언어 상대성과 인지언어학

사피어-워프 가설 - 언어 결정주의와 언어 상대성이라는 두 부 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언어 결정주의 : 언어가 비언어적 사고를 결정한다고 생각

*언어 상대성 :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마다 다른 방식으 로 사고할 것이라는 생각

사피어-워프 가설의 강한 유형

- 언어가 사고를 전적으로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현대 언어학자들은 사피어-워프 가설의강한 유형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에 동의한다.

(25)

3.4.1 Whorf와 언어 상대성 원리

사피어-워프 가설의 강한 유형에 반대하는 독립적인 경험적 증거 - 서로 다른 종류의 초점 색채를 보여주는 색채 실험에서, 실험 대상자들은 그들에게 보여준 색채의 범위를 기억하는 데 거의 어 려움이 없었다. 언어가 사고를 전적으로 결정한다면, 기본 색채 어가 두 개인 다니 부족 사람들은 복잡한 개별 초점 색채를 범주 화하고 기억 할 수 없다.

사람들이 지각 능력과 범주화 능력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는 것 을 예증한다.

(26)

3.4.2 사고 형성체로서의 언어

*사피어-워프 가설의 약한 유형 :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 는 가설에 반대하는 경험적 증거가 있다면, 언어가 어떤 방 식으로든 사고에 영향을 미치거나 사고를 형성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

사피어-워프 가설의 약한 유형을 뒷받침하는 두 가지 증거 1)언어는 개념화를 용이하게 한다

2)범언어적 차이가 어떻게 비언어적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언어 상대성과 관련이 있다.

3.4.3 인지언어학의 입장

인지언어학은 사람들이 세계를 경험하고 지각하는 방식과 사 람들이 생각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 사이에 공통성이 있다 는 입장을 채택한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공통된 개념화 능 력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

관련 문서

계획: 유효 숫자의 개수는 소수점에 대한 영의 위치에 특별히 주의하면서 숫자를 세어서 결정한다... 계획: 유효 숫자의 개수는 소수점에 대한 영의

초기 가정치와 나중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나중 값을 재가정치로 하여 반복 계산함... 부차적 손실을 마찰손실로 환산한

 현재에도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동파 문자는 언어학자들에 의해 살아 있 는 古文字로 불리고 있음... 동파문자를

- RGB 색상모형은 빛의 가산 혼합 원리에 기초하여 색상을 나타냄.. 빛을 이용 한 모든 출력기, TV나 컴퓨터Monitor 등은 색상을 표현할 때

• 이러한 어휘적 사동은 일부 타동사가 지닌 의미에 의해 나타 나는 사동 표현으로 문법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사동구문은 아 니다. • 태국어에서 어휘적

1960년대 후반 일본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되었고,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 는 ‘탈산업사회(post-industrial society)’라는

 배려(Consideration):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관계에서 신뢰, 구성원에 대한 리더의 개인적인 관심, 우정·온정 등을 표시하 는 행동..  구조주도(Initiating

var cannonindex = everything.length; // 나중 사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