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동 표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동 표현"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 환 승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

제 11주차 사동표현

(2)

사동 표현

• 사동이란 사동자(causer)가 피사동자(causee)로 하여금 어떤 행위를 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태국어에서 사동을 실현시키는 유형에는 어휘적 사동과 통사 적 사동이 있다.

(3)

1. 어휘적 사동

• 어휘적 사동은 어휘 자체에 사동의 의미를 갖는 동사 에 의해 사동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 태국어에서 일부 타동사는 두 가지의 사건을 기술하는 경우가 있다.

• 이 때 문장의 내용이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표현하는

경우에 사동 표현이 될 수 있다.

(4)

• สมหญิงหักกิ่งไม ้

• 쏨잉은 나무가지를 부러뜨렸다. (원인)

• กิ่งไม ้หัก

• 나무가지가 부러졌다. (결과)

• แม่ต ำพริก

• 어머니는 고추를 빻으셨다. (원인)

• พริกต ำ(ละเอียด)

• 고추가 (곱게) 빻아졌다. (결과)

(5)

어휘적 사동과 중립동사

• 이러한 어휘적 사동은 일부 타동사가 지닌 의미에 의해 나타 나는 사동 표현으로 문법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사동구문은 아 니다.

• 태국어에서 어휘적 사동을 실현시키는 타동사는 대부분이 중 립동사의 성격을 갖는다.

(6)

2. 통사적 사동

• 통사적 사동이란 특정한 동사가 통사적 분포에 따른 문장구조를 통해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 태국어에서 통사적 사동은 ท ำ ให ้ ท ำให ้ 등의 사동화

타동사가 목적어를 절로 취하면서 실현될 수 있다.

(7)

(1) ท ำ의 기능과 사동 표현

• 태국어의 ท ำ은 '만들다', '하다'의 의미가 있으며 일 반동사와 경동사 그리고 사동사로 사용된다.

• 그리고 특정 상황 동사 대행기능을 하기도 한다.

(8)

① 일반동사 ท ำ의 용법

• ท ำ이 일반동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만들다'의 의미가 있으 며 타동사로서 명사구를 목적어로 취하게 된다.

• แม่ท ำขนมปัง 어머니는 빵을 만드신다.

• แดงท ำขนมไม่เป็น 댕은 과자를 만들 줄 모른다.

(9)

② 경동사 ท ำ의 용법

• ท ำ이 경동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ท ำ+명사구의 형태 로 나타나며 주된 의미는 명사구에 있고 ท ำ 은 단지 이에 대한 서술 형식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10)

• น ้องท ำกำรบ ้ำนอยู่

• 동생은 숙제를 하고 있다.

• แดงท ำควำมสะอำดห ้องเรียน

• 댕은 교실 청소를 하고 있다.

• เรำจะท ำพิธีเปิดพรุ่งนี้

• 우리는 내일 개회식을 한다.

(11)

③ 특정 상황 동사 대행 용법

• 태국어의 ท ำ이 특정 상황을 나타내는 동사를 대행하는 경우가 있다.

• 이 때 ท ำ+명사구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 명사구는 동작성이나 상태 성 의미를 전혀 지니고 있지 않다.

• ท ำ은 후행어를 서술적 기능을 갖도록 해주는 동시에 태국어 사용자 들이 공감하는 특정한 상황에서 ท ำ+명사구가 갖는 의미와 관련된 "

추상적 동사"를 대신한다.

(12)

• พ่อท ำสวนอยู่ที่ต่ำงจังหวัด

• 아버지는 지방에서 과수원을 하고 계신다.

• แม่จะไปท ำผมที่ร ้ำนเสริมสวย

• 어머니는 미장원에 머리를 하러 가신다.

• ย่ำไปท ำฟันตอนเย็น

• 할머니는 저녁에 이를 하러 가신다.

(13)

2) 사동사 용법

태국어의 ท ำ이 가진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동문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때의 ท ำ은 보충어로서 반드시 절을 요구한다.

• น ้อยท ำกระเป๋ำหำย 너이는 가방을 잃어 버렸다.

• น ้องท ำต ้นไม ้หัก 동생은 나무를 부러뜨렸다.

(14)

(2) ให ้의 기능과 사동 표현

• 태국어의 ให ้는 통사적 분포에 따라 이중 목적어 동사, 부동사, 부사화소, 보문소, 사동사 등의 다양 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어이다.

(15)

① 이중 목적어 동사 용법

* ให ้가 이중 목적어 동사로 기능하는 경우에 '주다'의 의미를 나타내며 직접 목 적어와 간접 목적어를 보충어로 취한다.

NP1 V1 NP2 NP3

ครู ให ้ รำงวัล นักเรียน

선생님이 학생에게 상을 주신다.

แดงให ้เงินน ้อง

댕은 동생에게 돈을 준다.

(16)

② 부동사 용법

ให ้가 부동사로 기능하는 경우에 '봉사'의 의미를 나타내며 본동사 뒤에 위치한다.

NP1 V1 NP2 haj NP3

แม่ ดุ น ้อง ให ้ ฉัน

어머니는 나를 위해 동생을 야단치셨다.

NP1 V1 haj (NP2)

ฉัน จะบอก ให ้

내가 말해줄 게.

(17)

③ 부사화소 용법

ให ้가 부사화소로 기능하는 경우에 동사와 동사 사이에 위치한다.

(NP1) V1 haj V2

(คุณ) ทำน ให ้ หมด นะ

(당신) (남기지말고) 다 드세요.

แต่งตัว ให ้ สวยซิ

옷을 예쁘게 입으세요.

(18)

④ 보문소 용법

ให ้가 보문소로 기능하는 경우에 주절과 종속절 사이에 위치한다.

NP1 V1 haj NP2 V2 (NP3)

แม่ ต ้องกำร ให ้ แดง นอน

어머니는 댕이 자기를 원하신다.

(19)

• NP1 V1 NP2 haj NP3 V2 (NP4)

• แม่ ดุ น ้อง ให ้ ฉัน หำย โกรธ

• 어머니는 내가 화가 풀어지게 동생을 야단치셨다.

(20)

2) 사동 표현의 ให ้ 용법: ให ้ 가 목적어로 절을 취하면 사동사로 기능하여 사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 (NP1) V1 NP2 V2 (NP3)

• (คุณ) ให ้ ผม มำ กี่โมง พรุ่งนี้

• 내일 몇시에 올까요?

• นิด ให ้ เด็กกวำดบ ้ำน

• 닛은 아이에게 방을 쓸게 했다.

참조

관련 문서

재배식물과 가축에서 중요한 농업형질은 단순유전하는 것, 복대립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것, 비대립유전자 상 호작용에 의해 표현형이 나타나는 것 등이

- 근세는 전제군주에 의해 통치되는 군권정치시대였다. 따라서 국가의 작용은 국왕 1인에 의해 이루어지 는 권력집중의 형태가 된다. 이러한 권력집중은 그

- 근세는 전제군주에 의해 통치되는 군권정치시대였다. 따라서 국가의 작용은 국왕 1인에 의해 이루어지 는 권력집중의 형태가 된다. 이러한 권력집중은 그

- 음성적 법칙 (phonemic principle)에 의해 사용됨 (writing system이 소리에

• 셋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방 법은 개인이나 일부 전문가의 노력에 의해 서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지역사 회의 노력으로

• 기업의 혁신에 의해 차별화가 이루어지나 경쟁기업의 모방에 의해 곧 차별화우위가 없어지고 일상재화가 되 었다가, 또 다른 혁신에

그림(3)의 동력행정에서는 압축행정이 끝나는 상사점의 조금 전에 점화 플러그의 불꽃에 의해 혼합기에 점화되면, 혼합기가 연소하여 발생한 고압가스의 압력을 받

• 그러나 ให ้ 구문의 경우에는 의무양상(deontic modality)의 의미를 나 타내기 때문에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양태 조동사 อำจ이나 필요 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คว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