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풍선 괄약근확장술과 수압을 이용한 경피적 담석 제거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풍선 괄약근확장술과 수압을 이용한 경피적 담석 제거술"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총담관 결석 제거를 위하여 내시경적 경로를 통하여 시행하 는 괄약근확장술(papillary sphincteroplasty)은 1983년에 Staritz 등이 처음으로 보고하였다(1). 이후 여러 보고에 의하 여 내시경적 괄약근확장술과 괄약근절개술 (papillary sphincterotomy)에 대한 비교 연구가 있었으며(2-5), 내시경 적 괄약근확장술과 괄약근절개술이 담석 제거율에는 거의 차 이가 없다(2, 4, 5). 하지만, 내시경적인 접근 방법에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다. 위 절제술(Billroth II)의 과거력, 총담관 의 협착, 1.5 cm이상의 담석에 대하여 담석제거가 용이하지 않 다. 또한 수술에 의한 담석제거도 고령 환자, 암 환자, 또는 다 른 동반된 질환으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내시경적인 담석제거술에 비하여 경피적으로 경피 경간 담배액술(이하 PTBD)경로를 통한 담석제거술을 시행한 보고는 많지 않다 (6-10). 저자들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담관폐쇄의 증상완화 목 적으로 선행적으로 PTBD를 시행 받는 점에 착안하여, 담석 제 거를 위해 경피적으로 풍선 괄약근확장술을 시행하여 담석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인 담석 치료법으 로써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장술을 시행한 후 담관내로 조영 제를 주입하는 수압으로 담석을 십이지장으로 배출하는 담석 제거술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담석 환자 중 PTBD 시 술을 받고 경피적 담석 제거술을 시행한 85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남자는 46명, 여자는 39명이였고, 평균 연령은 66세(35 세-96세)였다. 환자 중 많은 경우에서 다른 동반된 질환 (Table 1)이 있거나,과거에 수술한 병력(Table 2)이 있어 외 과적 수술 방법 혹은 내시경적 방법을 선택할 수 없었다.

담석 제거술은 PTBD시술의 2-4일 후 시행하였다. 시술 전 전처치로 괄약근이완제(Buscopan한국베링거, 한국) 20 mg 과 진통제인 염산페치딘(Demerol, 명문제약, 한국) 50 mg을 모든 환자에 사용하였다. 2% 리도케인(Lidocain HCI, 광명약

풍선 괄약근확장술과 수압을 이용한 경피적 담석 제거술

1

김 재 수・유 진 종

목적: 담석 환자에서 PTBD 경로를 통하여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장술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압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최근 4년 동안 담석으로 내원한 85명(남: 여= 46:39, 평균연령:63세)을 대상으

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PTBD 경로를 통하여 시술하였다. 시술은 먼저 PTBD 경로를 통하 여 피포를 삽입한 후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괄약근확장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피포를 통해 조 영제가 혼합된 식염수를 50 cc주사기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주입하였다. 담석제거 후 1-3일후 추적 담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잔류 담석이 있으면 2-4차까지 반복하였다. 담석의 크기 및 위 치를 분류하였으며, 잔류담석의 유무에 따라 완전제거, 부분제거, 실패로 분류 후 결과 및 합병 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85명의 대상자중 71명(83%)에 대해서 담석을 완전제거 하였다. 1차 시술에서 담석을 완 전제거한 경우는 43명(51%)이였으며, 나머지는 2-4차(n=16, 10, 2)에 걸쳐 제거하였다. 실 패의 대부분은 다발성 간내담관 담석환자였다(10/14). 합병증으로는 복부통증(n=21), 발열 (n=9), 췌장염(n=2)이 있었고, 간문맥 혈전증, 담종, 패혈증이 각각 1예 있었다.

결론: PTBD 경로를 통하여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장술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압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은 안전하고 유용하며, 특히 총담관 담석만 있는 경우는 일차적 치료법으로 선택하 여 좋은 치료결과를 얻었다.

1경상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이 논문은 2004년 4월 17일 접수하여 2005년 3월 4일에 채택되었음.

(2)

품, 한국)국소마취제 5-10 cc를 PTBD 카테터 부위의 피부를 마취하였다. 기존의 PTBD 경로를 통해 8-9 F 피포(Terum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간담관 경로를 확보하였다. 0.035 inch 유도철사를 십이지장까지 진입시킨 후, 처음에는 직경 8- 10 mm 확장용 풍선 카테터(Boston Scientific Medi-Tech, Galway, Ireland)를 사용하여 유두에 대하여 괄약근확장술 (papillary sphincteroplasty)을 시행하였다. 이후 점진적으로 풍선 카테터의 직경을 늘려, 담석의 단경보다 2-3 mm 더 큰 풍선 카테터로 유두부의 풍선 확장을 선행하였다. 풍선 확장은 최대 기압이 6기압 미만으로, 풍선 확장시간은 협착부의 소실 후 30초미만으로 시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2-3회 반복 시 행하였다. 피포의 끝을 근위부 총담관에 두고, 조영제와 식염 수를 혼합시켜 50 cc주사기로 시술자의 손힘으로 주입하였다.

이 때 피포의 끝을 근위부 총담관, 혹은 담석의 직상부에 두는 것이 담석에 수압을 가하는데 용이 하였다. 조영제가 혼합된 식염수를 주입 할 때 십이지장으로 담석이 배출되는 것은 투 시를 통한 담관조영상 (Cholangiogram)에서 확인 할 수 있었 다(Fig. 1).

모든 환자에서 시술 1-2일째 혈중 아밀라제(Amylase)수치 를 확인하였으며, 1-3일후 담관조영(Cholangiogram)을 얻었 다. 잔류담석이 남아 있는 경우는 2-4회에 걸쳐 풍선확장술과 수압을 이용한 담석배출을 반복시술 하였다. 담석의 위치, 숫 자, 크기 및 시술 횟수, 시술 후 담석 제거의 성공률 및 합병 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술의 성공 여부는 시술 후, 추적 담 관조영에서 잔류담석이 남아 있지 않으면 완전제거(Success), 시술 전 담관조영상과 비교시 담석이 1/2보다 작으면 부분제 거 (partial removal), 담석이 1/2이상 남아 있으면 실패 (Failure)로 정의하였다.

총 85명의 환자 중 71명(83%)에서 성공적으로 담석을 완 전제거 하였다(Table 3). 총담관에만 담석이 있었던 경우는 63예(74%), 나머지는 총담관과 간내담관에 담석이 같이 존재 하였다. 1차 시도에서 성공한 환자는 43명(51%)이였다. 총담 관에만 담석이 있는 63예의 성공률은 93%(59/63)이다. 간내 담관 담석을 동반한 22예에서는 성공률이 55%로 나타났다. 담 석의 위치는 총담관과 간내담관에 1개(n=25) 혹은 2-5개 (n=29)의 담석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담석 크기는 단경 1-

Table 1. Combined Medical Conditions

Disease No. (n=24)

Diabetes mellitus 6

Cancer 5

Chronic renal failure 3

Liver cirrhosis 6

Stroke 2

Others 2

Table 2. Prior Operations That Had Undergone

Operative Name No. (n=29)

Cholecystectomy 15

Choledochoenterostomy 5

Rt. segmentectomy of liver 2

Lt. lobectomy of liver 2

Billroth II gastrectomy 3

Total gastrectomy 2

A B C D

Fig. 1. 68-year-old-man with bile duct stones.

A and B. Cholangiogram shows two stones in the extrahepatic duct and one stone in the gallbladder, and then sphincteroplasty with balloon dilatation was done.

C. One stone is floating in the common bile duct(small arrow) and another stone is seen in the duodenum (large arrow).

D. Two stones is expelled into duodenum (arrow).

(3)

1.5 cm이 57%(n=49)이었다(Table 4). 담석 제거 실패의 많 은 요인은 간내담관의 협착 정도와 담석의 수에 영향을 받았 다(Fig. 2). 담석의 크기가 큰 일부 경우에서 풍선 카테터 혹 은 바스켓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쇄석술을 시도하였다(Fig. 3).

본 시술에서 제거한 담석 중 가장 큰 담석은 단경이 23 mm 이었다. 합병증은 35예(41.1%)에서 발생하였다(Table 5). 대

부분은 경미한 증상을 보여 대증 요법으로 호전이 있었다. 7예 에서 무증상의 혈중 고아밀라제(hyperamylase)가 있었으나, 대증요법으로 호전되었다. 하지만, 패혈증을 포함한 5예(5.8%) 에서는 중증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이 중 상복부 통증이 심 하여 CT를 촬영한 2예에서 CT상 경증의 췌장염이 확인되었 으며, 간문맥 혈전증(Portal vein thrombosis) (Fig. 4)과 담종

A B C D

Fig. 3. 68-year-old-man who has common bile duct and gallbladder stone(s).

A. Cholangiogram shows stone(arrow) in the distal common bile duct.

B. Balloon dilatation induced sphincteroplasty and mechanical lithotripsy.

C. The fragmented stones(arrow) was represented as several amorphous filling defect.

D. Cholangiogram obtained 2days after sphincteroplasty shows clearance of stones. and pancreatic duct is opacified. This may sug- gestive of pancreatic ductal injury.

A B C

Fig. 2. 64-year-old-woman.

A. Cholangiogram shows too many and large stones in the common bile duct.

B. The sphincteroplasty with balloon dilatation was done.

C. Cholangiogram reveals failure of stone expulsion.

(4)

(Biloma) (Fig. 5)도 각각 1예에서 시술 직후 합병증으로 나 타났다.

Staritz 등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이하 EBD)을 보고한 직후에는 EBD의 합병증과 안 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었으나, 그 후 많은 문헌에서 EBD의 안 전성과 효용성에 대하여 보고함으로써(2, 9-14) 내시경적 괄 약근절개술(Endoscopic Papillary Sphincterotomy: 이하 EST)과 함께 담석 제거에 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EBD를 통한 담석 제거율은 77%-100%로 다양한 범위 를 보이며, 이는 사용된 풍선 카테터의 직경 및 담석의 수와 크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해석 된다(14-16). EST는 위절제 술(Billroth II)을 한 경우, 담석의 수가 많은 경우, 담석이 큰 경우는 기술적인 문제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15), 유두부위에 게실이 있는 경우는 천공 및 출혈의 합병증의 빈 도가 높아진다(14, 15).

담관경(choledochoscopy)을 통해서도 담석 제거를 할 수 있 으나, 이는 수술을 전제로 수술장에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경피적인 방법으로 접근을 하더라도, 담관경의 경로 확보를 위

A B C

Fig. 4. 68-year-old-man who had un- dergone cholecystectomy.

A. Cholangiogram shows impacted stone in the distal common bile duct.

B. The sphincteroplasty with balloon was done.

C. Cholangiogram shows clearance of stone.

D. Enhanced CT obtained 1days after procedure shows portal vein thrombo- sis.

D

Table 3. Technical Success of Stone-Clearance

Only CBD stone(s) Combined CBD &IHD stones

No. (n=63) No. (n=22)

Success

1 attempt 42 1

2 attempt 12 4

≥3 attempt 05 7

Partial removal 1 attempt

2 attempt 01 2

≥3 attempt 01 4

Failure

≥3 attempt 02 4

*Note. Success : complete removal and then, no residual stone is seen.

Partial removal: On compared with initial stone count, more than one half is removed.

Failure: On compared with initial stone count, less than one half is removed.

(5)

해 5 mm 이상의 경로 확장에 따른 환자의 통증 및 입원기간 의 연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부학적 변이가 있는 경우는 담 석이 존재하는 간내담관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17).

담석 환자 중 많은 경우에 있어 고연령(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이 85%임)으로 수술에 대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 으며, 과거력 상에 담관계통의 수술을 받은 경우(본 연구에서 는 24예)도 재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복강경적 수술 방 법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개복술 로 전환되는 위험요소도 있다. 이처럼 여러 사항을 고려하면 복강경적 수술 방법은 내시경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우선적 선 택법으로는 추천되지 않는다(18, 19). 특히, 담석 때문에 간 절제술과 담관소장 문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수술적 혹은 내

시경적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저자들의 시술방법이 매우 유용 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시술의 완전제거 성공률은 83%로 이전의 내시경적 치료 보고와 단순 비교하면 성공률이 낮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전에 보고 된 내시경적인 접근방법에서는 담석크기가 1.5 cm 미만, 10개 이하의 담석, 10 mm 이하의 풍선을 사용하였 음에 반하여(9, 12, 15), 본 연구는 담석의 크기(1 cm 이상이 80%, 최대 23 mm)가 크며, 간내담관에 담석을 동반한 경우 가 많아 완전제거 성공률에 있어 차이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 다. 간내담도에 담석이 있는 경우는 간내담관 협착이 항상 동 반되어 담석제거의 어려운 요소로 작용하여 성공률이 낮았다.

하지만, 간내담관 담석이 있더라도, 수가 적고, 협착 정도가 심

A B C

Fig. 5. 68-year-old-woman who under- gone cholecystectomy.

A. Cholangiogram shows 1.6cm stone in the common bile duct with tortuous course.

B. The dilatation of papilla with bal- loon(18mm) was done.

C. The stone (arrow) is expelled into duodenum.

D. CT obtained 2days after procedure shows bilomas (arrow) in the both lobes of liver because of vigorous saline injection.

D

Table 4. Stone(s) Characteristics

Only CBD stone Combined CBD and IHD stones No. (n=63) No. (n=22)

Number

1 25

2-5 27 02

5-10 06 14

> 10 05 06

Size *

< 1 cm 16 01

1-1.5 cm 36 13

1.5-2 cm 07 07

2-2.3 cm 04 01

*The largest stone among multiple stones was measured with short diameter

(6)

하지 않으면, 협착 부위에 대한 풍선 확장술로 담석제거가 가 능하였다. 총담관 담석만 있었던 63예에서는 93%의 성공률을 보여, 이전에 보고 된 결과와 비슷한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합병증은 5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미하여 대증요법으로 치료 할 수 있었다. 무증상의 혈중 고아밀라제(n=7)와 췌장염 (n=2)이 있었으며, 이는 일반적 EBD에 의한 췌장염 합병증 빈도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다. EBD는 EST와 비교시 췌장 염의 합병증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EBD후 췌 장염 발생은 5-14%로 이며, EST는 4%-10%이다(11-13).

EST는 췌장관과 반대 방향으로 괄약근절개술을 하므로 췌장 관의 손상을 받는 경우나 낮으나, 풍선 확장술은 원형적인 힘 이 가해지므로 췌장관의 손상확률이 높다는 보고들이 있다(10, 14). 하지만 EST는 괄약근에 절개를 가하므로 역류(reflux)

혹은 출혈의 빈도가 높다(20). 그리고 장기적이거나 영구적인 손상을 주므로 젊은 환자에게는 시술하지 않는 것이 좋다(21, 22). 그에 반해 EBD는 유두부에 기능적 손상을 거의 주지 않 는다(22, 23).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보고(Gil S : 18 mm, Garcia-Garcia L : 12 mm)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풍선 카테터(10 mm-23 mm)를 사용하였다. 큰 직경의 풍선 을 사용하면 담석제거가 용이 하나, 이에 따르는 합병증이 증 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저자들의 연구는 이전의 연구 보다 담석의 크기가 큰 경우가 많아 큰 직경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Fig. 6), 췌장염의 빈도는 10.5%로 이전의 보고와 큰 차이가 없었다. 풍선 확장시간을 이전의 보 고들(3, 5, 16)보다 짧게(30초 이내) 한 점이 직경이 큰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췌장염의 빈도가 높지 않 은 것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분석은 할 수 없 었다. 시술과 연관된 합병증중에 다른 문헌에서 보고 되지 않 은 간문맥 혈전증(Portal vein thrombosis)과 담종(Biloma)이 시술 직후 관찰되었다.

저자들의 시술 방법은 내시경적 담석제거술(EBD 혹은 EST) 과 비교시 몇 가지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PTBD 경로를 사용하므로 담관까지의 거리가 짧아 기구조작이 용이하다. 둘 째, 다발성 담석이 존재할 때 EST와 EBD의 경우 필요에 따 라 바스켓 혹은 기계적 쇄석술의 병행으로 시술 시간이 길어 지고, 시술 횟수가 많아질 수 있으나, 본 시술은 시술시간이 상 대적으로 짧다. 또한 내시경은 작업도관(working channel)의 직경이 작아 15 mm이상의 풍선 카테터를 삽입할 수 없으나, PTBD경로로는 이보다 큰 풍선 카테터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담석분쇄의 필요성이 줄어든다. 셋째, 위절제술(Billroth II) 또 는 총담관소장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내시경적 접근이

A B C D

Fig. 6. 73-year-old woman who has cholecystectomy.

A. Cholangiogram shows a bullet like stone in the common bile duct (short diameter of stone, 21 mm).

B. CT shows impacted stone in the distal common bile duct.

C. The balloon (diameter, 23 mm) is squeezed by papilla.

D. Stone (arrow) has passed through papilla. Despite large stone, the complication is not noted after procedure

Table 5. The Early Complications

Complications No.(41.1%)

Mild complications 30 (35.2%)

Fever 7 (8.2%)

Abdominal pain

transient 10 (11.7%)

used analgegics 4 (4.7%)

Intramural hematoma 2 (2.3%)

of ampulla on cholangiogram

Asymmtomatic hyperamylase* 7 (8.2%)

Serious complications 5 (5.8%)

Portal vein thrombosis 1 (1.1%)

Pancreatitis on CT 2 (2.3%)

Biloma 1 (1.1%)

Sepsis 1 (1.1%)

* Serum amylase > 2 times upper normal limit

Numbers in parentheses are percentage about total patients

(7)

용이치 않으나, 본 시술은 PTBD 경로를 통한 접근 방법으로 상기 수술력이 시술의 장애요소가 되지 않는다(Fig. 7). 넷째, 팽대부(ampulla) 주위에 게실이 있을 경우는 EST를 할 수 없 으나, 본 시술은 게실이 있는 경우라도 풍선 확장을 통한 괄약 근확장술을 시행 할 수 있었다(Fig. 8). 다섯째, 총담관이나 간 내담관에 협착이 있는 경우 내기경적 시술보다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경피적 경로를 통하여 풍선 카테터로 괄약근확 장술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수압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은 담 석의 치료법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유용하며, 특히 총담 관 담석만 있는 경우는 일차적 치료법으로 좋은 치료성적을 보 였다.

A B C D

Fig. 7. 65-year-old man with undergone choledochojejunostomy 3 years ago,

A. Cholangiogram through PTBD catheter shows stone(large arrow) in the extrahepatic duct and stenosis in the choledochojejunos- tomic site (small arrow).

B. The dilatation of papilla with angiographic balloon was done (ballloon diameter, 16 mm).

C. Stone(arrow) has passed through anastomotic site.

D. Stone has cleared and is not seen in jejunum.

A B C

Fig. 8. 69-year-old-woman who had undergone cholecystectomy.

A. Cholangiogram shows stones (ar- row) in the common bile duct.

B. The balloon dilatation was done.

C. Cholangiogram shows clearance of stones and diverticulum in the peri- ampulla.

(8)

참 고 문 헌

1. Staritz M, Ewe K, Myer zum Buschenfelde KH. Endoscopic papil- lary dilatation (EP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and papillary stenosis. Endoscopy 1983:15:197-198

2. Vlavianos P, Chopra K, Mandalia S, Anderson M, Thompson J, Westaby D.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versus endoscopic sphincterotomy for the removal of bile duct stones: a prospective randomised trial. Gut 2003;52:1165-1169

3. Arnold JC, Benz C, Martin WR, Adamek HE, Riemann JF.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vs. sphincterotomy for re- moval of common bile duct stones: a prospective randomized pilot study. Endoscopy 2001;33:563-567

4. Ochi Y, Mukawa K, Kiyosawa K, Akamatsu T. Comparing the treatment outcomes of endoscopic papillary dilation and endoscop- ic sphincterotomy for removal of bile duct stone. J Gastro Hepat 1999;14:90-96

5. Bergman JJ, Rauws EA, Fockens P, van Berkel AM, Bossuyt PM, Tijssen JG, et al. Randomised trial of endoscopic balloon dilation versus endoscopic sphincterotomy for removal of bileduct stones.

Lancet 1997;349:1124-1129

6. Garcia-Garcia L, Lanciego C. Percutaneous treatment of biliary stones: sphincteroplasty and occlusion balloon for the clearance of bile duct calculi. AJR Am J Roentgenol 2004;182:663-670

7. Berkman WA, Bishop AF, Palagallo GL, Cashman MD.

Transhepatic balloon dilation of the distal common bile duct and ampulla of Vater for removal of calculi. Radiology 1988;167:453- 455

8. Gil S, de la Iglesia P, Verdu JF, de Espana F, Arenas J, Irurzun J.

Effectiveness and safety of balloon dilation of the papilla and the use of an occlusion balloon for clearance of bile duct calculi. AJR Am J Roentgenol 2000;174:1455-1460

9. Moon JH, Cho YD, Ryu CB, Kim JO, Cho JY, Kim YS, et al. The role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in per- cutaneous choledochoscopic lithotomy. Gastrointest Endosc 2001;54:232-236

10. Yuasa N, Hattori T, Kobayashi Y, Miyata K, Fukata S, Kusakabe A.

Percutaneous transhepatic balloon dilation for papillary stenosis.

Hepatogastroenterology 1995;42:1011-1016

11. Lin CK, Lai KH, Chan HH, Tsai WL, Wang EM, Wei MC et al.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is a safe method in the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Dig Liver Dis 2004;36:68-72

12. Natsui M, Narisawa R, Motoyama H, Hayashi S, Seki K, Wakabayashi H, et al. What is an appropriate indication for endo- 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02;14:635-640

13. Mathuna PM, White P, Clarke E, Merriman R, Lennon JR, Crowe J. Endoscopic balloon sphincteroplasty (papillary dilation) for bile duct stones: efficacy, safety, and follow-up in 100 patients.

Gastrointest Endosc 1995;42:468-474

14. Mac Mathuna P, White P, Clarke E, Lennon J, Crowe J.

Endoscopic sphincteroplasty: a novel and safe alternative to papil- lotomy in the management of bile duct stones. Gut 1994;35(1):127- 129

15. Fujita N, Maguchi H, Komatsu Y, Yasuda I, Hasebe O, Igarashi Y, et al.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for bile duct stone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Gastrointest Endosc 2003;57:151-155

16. Shim CS.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for removal of cammon bile duct stones. Digestive Endoscopy 2000;15:1-6 17. Takada T, Uchiyuama K, Yasuda H, Hasegawa H. Indication for

the choledochoscopic remooval of intrahepatic stones based on bil- iary anastomy. Am J Surg 1996; 171:558-561

18. Yamakawa T. Therapeutic strategy for common bile duct stones.

Digestive Endoscopy 2003;13:147-149

19. Moreaux J. Traditional surgical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 a prospective study during a 20 year experience. Am J Surg 1995;169:220-226

20. Sugiyama M, Atomi Y. Does endoscopic sphincterotomy cause prolonged pancreatobiliary reflux?. Am J Gastroenterology 1999:

94:795-798

21. Freeman ML. Complications of endoscopic biliary sphincteroto- my: a review. Endoscopy 1997;29:288-297

22. Kawabe T, Komatsu Y, Isayama H, Takemura T, Toda N, Tada M, et al.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papilla after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Hepatogastroenterology 2003 ;50:919-923 23. Mac Mathuna P, Siegenberg D, Gibbons D, Gorin D, O’Brien M,

Afdhal NA, et al. The acute and long-term effect of balloon sphinc- teroplsty on papillary structure in pigs. Gastrointest Enodsc 1996;44:650-655

(9)

J Korean Radiol Soc 2005;52:173-18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injong You,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90 Chilam-dong, Chinju city, KyeongNam 660-702, Republic of Korea.

Tel. 82-55-750-8211 Fax. 82-55-758-1568 E-mail: jjyou@nongae.gsnu.ac.kr

Percutaneous Biliary Stones Removal Using Balloon Sphincteroplasty and Hydraulic Pressure as the Primary

Therapeutic Method

1

Jae Soo Kim, M.D., Jin Jong You, M.D.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urpose: We wanted to report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percutaneous biliary stone removal technique using hydraulic pressure after balloon sphincteroplasty through the PTBD tract for patients with bile duct ston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patients (46 men and 39 women) with bile duct stones who came to hospital over a period of the previous 4 years. All subjects had undergone attempts for with the biliary tree through PTBD. First, an 8-9F sheath was inserted into the biliary tree through the PTBD route by using a balloon catheter prior to sphincteroplasty, and 50cc of hydraulic pressure with contrast-mixed saline solution was then injected via the sheath. Follow-up cholangiogram was performed 1-3 days later to evaluate the results of stone removal. For residual stones, we attempted second, third, and fourth trials to com- pletely remove the stones. The size and number of ston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complications, after classifying the cases as “success”, “partial removal”or “failure”according to the number of remaining stones.

Results: Out of 85 patients, 71 (83%) cases had successful results, and 43 (51%) cases resulted in success with the first attempt. The second, third and fourth trials were conducted on 16, 10 and 2 cases, respectively. Out of 14 failure cases, 10 patients had too many intrahepatic duct stones. The complications were abdominal pain (n=21), fever (n=9), and pancreatitis (n=2), and portal vein thrombosis, biloma and sepsis were also found in 1 case each.

Conclusion: We report that this percutaneus biliary stone removal technique using hydraulic pressure after balloon sphincteroplasty through the PTBD is safe and effective, and particularly, it achieves good results as the primary therapy for treating only choledocholiths.

Index words :Bile duct Calculi

Interventional procedure Technology

참조

관련 문서

Precut(needle knife) papillotomy for impacted common bile duct stone at the ampulla. Endoscopic treatment of biliary colic resulting from hemobilia after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face changes and abrasion of the implant fixture and TiN coated abutment screw after repeated deliver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glish improvement, interest,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high efficiency air conditioning compressor applied with high vacuum local pressure die casting technique is to be analyzed thr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through the dance sports media, a dance sports image, and identification on

주식회사 카스 회사소개서 미국 독일 폴란드 터키 인도 방글라데시 베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