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YES NO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YES NO"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9주차.

한국어 한국어 문장구조

(1)

(2)

1. 생성문법의 개념과 특징을 안다.

2. 한국어 문장의 기본문형을 안다.

3.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와 개별 문장성분의 특징을 안다.

4. 한국어 문장 분류와 겹문장(복문)의 성격을 안다.

학습목표

(3)

9주차.

한국어 한국어 문장구조(1)

(4)

Q1. 단어들을 묶어 문장을 만들기 위 한 규칙이 존재할까?

YES NO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1 문장을 만드는 규칙의 필요성

 통사규칙의 성격

(5)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1 문장을 만드는 규칙의 필요성

Q2. 다음의 경우 필요한 문장 규칙은 무엇인가?

(Fromkin 외 2011: 78ff.)

❶ 다음 문장은 어떤 규칙을 어겨 비문(非文, ill- formed sentence)이 되었는가?

는, 아침, 나, 일어나서, 을, 먹고, 에, 갔다, 학교, 밥, 에 → 는나 일어나서 에아침 먹고 밥을 에학교 갔다.

문장 안에서의 단어의 순서에 관한 규칙

(6)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1 문장을 만드는 규칙의 필요성

다음 두 문장은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 나 의미가 다르다. 어떤 규칙으로 이 다름을 설명할 수 있을까?

종로로 가서 책을 샀다. 책을 사서 종로로 갔다.

단어의 배열에 따른 의미 차이에 관한 규칙

(7)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1 문장을 만드는 규칙의 필요성

❸ 다음 두 문장은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 나 의미가 다르다. 어떤 규칙으로 이 다름을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남자가 데려온 여자]에게 책을 주었다.

나는 [여자가 데려온 남자]에게 책을 주었다.

문장 안에서의 문법관련 규칙

(주어, 목적어 등)

(8)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1 문장을 만드는 규칙의 필요성

❹ 다음 문장에서 비문들 앞에 별표(*)를 해 보자.

비문들이 왜 잘못된 문장인지 설명해 보자.

올바른 문장이 생성되기 위한 제약들이 존재한다 (☞통사 규칙 syntactic rules)

할아버지께서도 신문을 읽으십니다.

동생이도 신문을 읽습니다.

엄마가 아기를 재웁니다.

엄마가 아기를 잡니다.

꽃이 예쁘게 피었습니다.

꽃이 예쁜 피었습니다.

(9)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2 생성문법

Q. 정문을 만들고 비문을 만들지 않기 위해 얼마나 많은 통

사 규칙이 필요할까? 아래의 경우 모든 어휘에 대한 개 별적 통사규칙이 필요할까?

예) 꽃이 예쁘게 피었다. 꽃이 예쁜 피었다.

작게 작은 초라하게 초라한

모든 올바른 문장을 무한히 만들어 내는 명시적인 규칙의 집합: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

수학에서 2x + 3y와 같은 수식은 무한 수치의 올바른 집합을 만 들어 낼 수 있다(‘생성 generative’의 개념).

우리의 머릿속에는 모든 정문을 무한대로 만들게 하는 일련의 규칙의 집합이 있을 것이다(Yule 2006: 86).

우리의 머릿속에 그렇게 저장되어 있지 않다.

 통사규칙의 성격

(10)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2 생성문법

① 문법은 한 언어의 모든 정문을 만들고 비문이 아닌 오 로지 정문만을 만들어야 한다(‘all and only’ criterion).

② 문법은 유한의 규칙으로 무한의 정문을 만들어야 한다.

③ 문법은 표면적으로 다른 문장이지만 실제로 밀접한 연 관성이 있는 경우 그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들은 표층구조(surface structure)는 다르지만 심층구조 (deep structure)는 동일하다.

 생성문법에서의 문법의 특징

예) 한국의 과학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풀었다.

우주의 비밀이 한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풀렸다.

한국의 과학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풀었니?

우주의 비밀이 한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풀렸니?

(11)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2 생성문법

④ 문법은 표면적으로 같은 문장이지만 실제로 연관성이 없 는 경우[구조적 모호성/중의성, structural ambiguity]

그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단어들의 선형적 계층구조가 다르다.

 생성문법에서의 문법의 특징

예: 철수는 큰 개와 고양이를 데리고 왔다.

(해석1) [큰 [개와 고양이]] (해석2) [큰 개]와 [고양이]

단어들 간의 문법적 관계가 다르다.

예: 철수도 좋아하는 영희를 만났다.

(해석1) 철수가 영희를 좋아한다.

(해석2) 영희가 철수를 좋아한다.

(12)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2 생성문법

Q1. 다음 문장의 구조를 계층적으로 분석해 보자.

그는 빨간 모자를 샀다.

1) 1차 분석: 그는 빨간 모자를 샀다.

2) 2차 분석: 그는 빨간 모자를 샀다.

3) 3차 분석: 그는 빨간 모자를 샀다 .

 생성문법에서의 문법의 특징

(13)

1 1 문장 구조와 생성문법

1.2 생성문법

 생성문법에서의 문법의 특징 수형도

그는 빨간 모자를 샀다.

이와 같은 분석을 직접(구성)성분 분석 (Immediate Constituent Analysis)이라 한다.

※ 직접구성성분(Immediate Constituent):

특정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성분

(14)

생각해 봅시다 (1)

다음 세 문장이 동일하게 갖는 의미를 설명해 보자.

① Our syntactic knowledge crucially includes

rules that tell us how words form groups in a

sentence, or how they are hierarch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우리의

통사지식에는 문장 안에서 단어들이 어떻게 소단

위를 이루는지, 또는 단어들이 계층적으로 서로

어떤 구조를 가지는지를 보여주는 규칙이 분명히

존재한다(Fromkin 외 2011: 80).

(15)

생각해 봅시다 (1)

다음 문장의 의미를 설명해 보자.

② (The implication of such a template would be that) sentences are strings of words belonging to particular grammatical categories (“parts of speech”) with no internal organization. We know, however, that such “flat” structures are incorrect.

As noted earlier, sentences have hierarchical

organization; that is, the words are grouped into

natural units(Fromkin 외 2011: 84).

(16)

생각해 봅시다 (1)

다음 문장의 의미를 설명해 보자.

③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형성할 때 문장의 단

어들이 똑같은 정도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문장의 어떤 두 단어는 다른 단어들보다

더 긴밀하게 결합되는 경우가 많다(김현권 외

2010: 126).

(17)

9주차.

한국어 한국어 문장구조(1)

(18)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1 한국어 문장의 기본문형

① 동사문: 서술어가 동사인 문장(자동사문, 타동사문)

예: 물이 흐른다.(자동사문)

친구가 밥을 먹는다.(타동사문)

② 형용사문: 서술어가 형용사인 문장

예: 하늘이 높다.

③ 명사문: 서술어가 명사인 문장(=‘체언+이다’문)

예: 저는 학생입니다.

 서술어의 종류에 따른 분류

기본문형의 분류 기준은 서술어이다. 서술어의 품사

에 따라 나눌 수도 있고, 아래와 같이 서술어의 자릿

수(논항, argument) 수에 따라 나눌 수도 있다.

(19)

① 1형식: 주어 + 서술어(1자리 서술어)

예: 물이 흐른다.(동사문), 하늘이 높다.(형용사문), 저는 학생입니다.(명사문)

② 2형식: 주어 + 보어/필수적 부사어 + 서술어(2자리 서술어)

예: 그는 군인이 되었다. 나는 바보가 아니야.(보어)

그는 서울에 갔다. 나는 너와 달라.(필수적 부사어)

③ 3형식: 주어 + 목적어 + 서술어(2자리 서술어)

예: 친구가 밥을 먹는다. 나는 그를 좋아해.

④ 4형식: 주어 + 목적어 + 보어/필수적 부사어 + 서술어(3자리 서술어)

예: 차범근 감독은 아들을 축구선수로 만들었다.

나는 할머니께 선물을 드렸다.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1 한국어 문장의 기본문형

(20)

생각해 봅시다 (2)

한국어와 같은 언어를 서술어 중심 언어(predicate prominent language)라 한다(이관규 2012). 아래와 같은 영어 문장의 구조와 비교하여 이 용어가 말해주는 한국어 의 특징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① 1형식: S+V Birds sing.

② 2형식: S+V+C They are happy.

③ 3형식: S+V+O I like him.

④ 4형식: S+V+O+O We asked him a question.

⑤ 5형식: S+V+O+C They make me happy.

(21)

문장을 이루는 요소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부분.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1 문장성분의 개념과 단위

 문장성분의 개념

 문장성분의 단위

① 단어

예: 나 / 너 / 정말 / 좋아해.

② 어절(語節):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마디.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로 띄어쓰기의 단위. 조사를 제외하면 단어와 어절은 동일.

예: 나(는) / 너(를) / 정말 / 좋아해.

(22)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1 문장성분의 개념과 단위

 문장성분의 단위

③ 구(句): 주어와 서술어의 구성이 아닌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모여 이루어진 통사론적 단위. 대체로 중심어와 부속어로 구성.

예: 빨간 차, 진리의 세계 (명사구) 멋있게 살자, 많이 먹는다 (동사구) 정말 멋있게, 더 빨리 (부사구)

④ 절(節): ‘주어+서술어’의 구성을 이루지만 온전한 문장의 형태 를 이루지 못한 구조

예: 초등학생이 이 문제를 풀기는 어렵다.

문법단위는 ‘형태소 → 단어 → 구 → 절 → 문장’의 층위를 이 루며, 이 중 형태소를 제외한 나머지가 문장성분의 단위가 된다.

(23)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문장성

서술어 주성분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독립성분

주어

목적어 보어

독립어

(24)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적격한 문장(well-formed sentence)이 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문장성분(서술어, 주어, 목적어, 보어)

1) 주성분

서술어: 문장의 중심

주어: 서술어의 주체

목적어: 서술어의 대상

보어: 서술어의 의미 보충

(25)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개념: 문장의 주체를 서술(동작, 상태, 성질, 유개념 등 에 대한 기술)하는 기능을 하는 문장성분

예: 강아지가 달려간다.

하늘이 푸르다.

고기가 질기다.

그는 학생이다.

1) 주성분

❶ 서술어

(26)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2) 서술어의 성립: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말로는 기본적으로 동 사[어찌한다], 형용사[어찌하다], ‘체언+이다’[무엇이다]의 세 가지가 있으며, 그 외 특별한 구성도 있다.

예: 강아지가 달려간다. (자동사) 강아지가 먹이를 먹는다.(타동사)

하늘이 푸르다. / 고기가 질기다. (형용사) 그는 학생이다. (체언+이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 (명사)

학우들에게 알림 (용언의 명사형) 코끼리는 코가 길다 (서술절)

1) 주성분

❶ 서술어

(27)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3) 자릿수

(=논항, argument): 적격한 문장을 만들기 위해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문장성분의 수

1) 주성분

❶ 서술어

: 주어 하나만 필요로 하는 서술어 (자동사, 형용사, 체언+이다)

이/가 흐르다/높다/체언+이다 등 예: 물이 흐른다. 하늘이 높다. 저는 학생입니다.

(28)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❶ 서술어

: 주어와 또 다른 성분 하나를 필요로 하는 서술어(자동사, 타동사, 형용사)

이/가 먹다/가다/아니다/다르다 등 예: 우리는 빵을 먹었다. 그는 서울에 갔다. 나는 바보가 아니야.

나는 너와 달라.

: 주어와 또 다른 성분 두 개를 필요로 하는 서술어(타동사)

예: 나는 할머니께 선물을 드렸다. 형은 나를 바보로 취급/간주한다.

을/를…

이/가 을/를… 으로… 주다/ 간주하다 등

(29)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❶ 서술어

 이해하다

① 나는 너를 이해해.

② 나는 그의 말을 좋은 뜻으로 이해해.

 사다

① 나는 그 책을 샀다.

② 나는 그 책을 만 원에 샀다.

(30)

생각해 봅시다 (3)

다음과 같은 문장은 문장구조적인 면에서는 문제가 없음 에도 불구하고 비문법적이다(* 표는 비문 표시).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이러한 것을 언어학에서 어 떤 개념으로 설명하는지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참고: Fromkin(2011: 103ff.; Ch.3) 등).

* 나는 빵을 마셨다.

* 그 책이 울었다.

* 철수가 입을 감았다.

*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31)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❷ 주어

(1) 개념: 문장에서 서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

(2) 주어의 성립: 주어가 될 수 있는 말에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용언의 명사형, 명사구, 명사절 등이 있다.

예: 차가 온다.(명사) 그가 집에 간다.(대명사) 셋이 나란히 걸어갔다.(수사)

공부하기가 어렵다.(용언의 명사형) 빨간 차가 달린다.(명사구)

초등학생이 이 문제를 풀기가 어렵다.(명사절)

(32)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❷ 주어

(3) 주어표시: 주어에는 주격조사(이/가, 께서, 에서)나 보조 사가 붙을 수 있으며 생략되기도 한다.

예: 철수가 웃는다.

철수도 웃는다.

철수는 웃는다.

철수만 웃는다.

너 웃어?

(33)

생각해 봅시다 (4)

영어나 중국어와 같은 언어는 어순을 통해서 주어와 목적 어 등을 알 수 있고, 한국어에서는 조사를 통해서 주어나 목 적어를 알 수 있다고 한다. 격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다음의 문장들의 경우를 보고 한국어의 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다 시 생각해 보자.

① 나 너 좋아해.

② 우리 엄마 너 같은 놈 사위 안 삼는대.

③ 영수는 철수도 좋아해.

④ 영수도 철수는 좋아해.

(34)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❷ 주어

(4) 이중주어문: (표면적으로 볼 때) 한국어에는 주어가 둘 이상 있는 문장이 가능하다.

예: 코끼리는 코가 길다.

그 사람은 아들이 의사다.

그는 몸이 쇠약해졌다.

이 꽃은 향기가 좋다.

나는 봄이 싫다.

(35)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❸ 목적어

(1) 개념: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 (2) 목적어의 성립: 목적어가 될 수 있는 말은 주어와 동일

예: 나는 문법을 공부한다.(체언) 나는 예쁜 차를 샀다.(명사구)

나는 그가 떠났음을 알았다.(명사절)

(3) 목적어 표시

: 목적격조사(을/를)나 보조사가 붙을 수 있으며 생략되기도 한다.

예: 철수가 책을 샀다. 철수가 책도 샀다. 철수가 책만 샀다.

철수가 책은 샀다. 너 책 샀니?

(36)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❸ 목적어

(4) 특수용법: 자동사에 ‘을/를’을 사용한 경우

예: 아이들이 학교를 간다.(cf. 아이들이 학교에 간다.) 나는 두 시간/2km을 걸었다.

(5) 이중목적어

: 한국어에는 목적어가 둘 이상 있는 문장이 가능하다

예: 그는 책을 두 권을 샀다.

경찰이 도둑을 발목을 잡았다.

나는 낮잠을 두 시간을 잤다.

아빠가 용돈을 만 원을 주셨어.

(37)

생각해 봅시다 (5)

‘위의 이중주어와 이중목적어의 경우 정말 주어나 목적

어가 두 개일까’ 하는 것이 논의의 대상이 된다. 이관규

(2012) 등을 참고로 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살펴

보고 자신의 논리를 펼쳐보자.

(38)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1) 주성분

❹ 보어

(1) 개념: 주어와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문장에서, 그 불완전한 곳을 보충하여 뜻을 완전하게 하는 말.

(2) 보어의 성립

❶ 학교문법: ‘되다, 아니다’ 앞에 조사 ‘이’, ‘가’를 취하여 나타나는 문장성분.

예: 나는 군인이 될 거야. 나는 바보가 아닙니다.

학술문법: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모든 문장성분 중 주어를 제외 한 나머지 문장성분(보어, 목적어, 필수부사어).

예: 나는 바다를 좋아해. 저 아이는 엄마와 닮았어.

(39)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2) 부속성분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문장성분이 아니라 주성분을 수식하거나 의미를 한정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문장성분

관형어: 체언 수식

부사어: 용언, 관형어, 다른 부사 수식

(40)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2) 부속성분

❶ 관형어

(1) 개념: 문장에서 체언 앞에 위치하여 체언의 뜻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문장성분.

(2) 관형어의 성립: 관형사, 체언,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 은 말, 동사와 형용사의 관형사형, 그리고 관형사절 등

예: 그는 새 옷을 샀다.(관형사)

우리 고향에는 큰 호수가 있다.(체언, 형용사의 관형사형) 네가 내일 만날 사람이 누구니?(동사의 관형사형)

어머니의 고향은 강원도입니다.(‘체언+의’) 우리는 그가 떠난 사실을 몰랐다.(관형사절)

(41)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2) 부속성분

❷ 부사어

(1) 개념: 문장에서 용언이나 다른 부사를 수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관형사나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2) 부사어의 성립: 부사,체언에 부사격 조사가 붙은 말, 어 미 ‘-게, -도록’등 으로 활용한 형용사, 부사절 등

예: 날씨가 매우 덥다.(부사, 용언 수식)

시간이 참 빨리 흘렀다.(부사, 다른 부사 수식) 이것은 아주 새 거야.(부사, 관형사 수식) 과연 그 사람은 천재다.(부사, 문장 수식) 꽃이 예쁘게 피었어.(용언 어간+ 어미 ‘-게’) 나는 그를 5시에 만났다.(체언+부사격조사)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린다.(부사절)

(42)

생각해 봅시다 (6)

다음 문장 ①과 ②에서 부사는 무엇을 수식하는지 살펴보 고, 이러한 사실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 해 보자(참고: 서정수(2005: 179ff.) 등).

① 그 사람은 정말 부자다. 우리 아빠는 꽤 멋쟁이야.

② 범인은 바로 너다.

(43)

생각해 봅시다 (6)

※주의: 수식을 받는 말은 품사 일까? 문장성분 일까?

Q. 에서 ‘ ’의 문장성분

은 무엇인지에 대한 다음 두 가지 주장 중 어 느 것이 옳은 것일까?

 위의 논리를 바탕으로 할 때 ‘ ’

에서 ‘ ’가 꾸미는 말은 일까? 일까?

(44)

2 1 한국어 문장 구조

2.2 한국어의 문장성분

2.2.2 한국어 문장성분의 종류 3) 독립성분

서술어와 문법적으로 관련을 맺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 용되는 문장성분이나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주는 성분

 독립어

독립어를 이루는 말로는 감탄사, 체언+호격조사(철수

야), 접속어(그러나, 그리고 등), 대답(예, 아니오, 그래,

아니, 응 등) 등이 있음.

참조

관련 문서

The TOPIK is a test for people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그가 영어 말하기 대회에서 우승한 것은 연습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15 해설 비록 연습을 많이 하여 영어 말하기 대회에서 우승했으 나 아직 낯선 사람들에게는

The TOPIK is a test for people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Sherlock Holmes is a fictional detective created by Sir Arthur Conan Doyle, who wrote sixty detective stories between 1887

We’re holding a campaign to plant millions of trees around the world.. Simon : What made you

Sherlock Holmes is a fictional detective created by Sir Arthur Conan Doyle, who wrote sixty detective stories between 1887

A monthly budget is a plan about how much money you are going to spend

Choose the Language after “Sign Up” at application homepage.. Choose the course (Undergraduate or Post-graduate)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