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용동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용동향 분석"

Copied!
6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매월

고용동향 분석

M O N T H L Y E M P L O Y M E N T A N A L Y S I S

월 간/매월고용동향분석제42호 발행인/방하남

편집인/성재민 발행처/한국노동연구원

주 소/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전 화/044-287-6605

인쇄인/안광범

인쇄처/사단법인 남북장애인교류협회 인쇄사업부 인 쇄/2016년 12월 27일

발 행/2016년 12월 30일 http : //www.kli.re.kr

contents

■취업자 수 증감의 원인 및 전망 3

■2016년 11월 고용동향과 시사점 7

■최근 임금 및 근로시간 동향 57

(2)

A N A L Y S I S

(3)

취업자 수 증감의 원인 및 전망

KOREA LABOR INSTITUTE 매월

고용동향

분석

성재민(한국노동연구원 노동시장분석센터 소장)

⊙ 11월 취업자 수 33만 9천 명 증가(전년동월대비)

⊙ 전달보다는 다소 증가폭이 커졌지만(10월 278천 명), 연초부터 지속된 노동시장 둔 화 흐름 안에 있음. 원인은 다음과 같음

- (1) 장기・구조적 측면 :지난 몇 년간 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취업자 수 증가폭 확 대에 기여했던 50대 연령층 인구 증가폭 둔화(2014년까지 20만 명대 유지했으나, 이후 꾸준히 인구 증가폭 줄어 2016년 11월 106천 명↑)

- (2) 최근 특징 :제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노동시장 활력 감소 등 2016년 들어 취 업자 수 증가폭 둔화. 건설업을 제외한 경기둔화 영향을 반영

- (3) 이번 달 특징 :임금근로자 증가폭 186천 명으로 매우 둔화되었으나, 서비스업 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자 고용 증가(141천 명) 및 2016년 내내 생산활동이 활발한 건설업 취업자 증가(111천 명) 등으로 인해 33만 9천 명 고용 증가 나타남

⊙ 고용률은 61.1%로 전년동월대비 0.3%p 증가(15~64세 고용률은 66.6%로 0.3%p 상승) - 실업자 수는 85만 4천 명으로 25천 명 증가하였고 실업률(3.1%)은 전년동월과 동

- 20대 실업자 1천 명 감소

(4)

⊙ 부문별 분석을 통해 고용성과를 보다 자세히 살펴봄

⊙ 연령별로 볼 때, 60세 이상 연령층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316천 명↑)하는 가운데, 청년층 고용이 19천 명 감소

- 50대 :인구 증가폭이 둔화(107천 명↑)하는 가운데 취업자 수 증가폭 113천 명↑

∙ 50대 초반은 전년동월대비 인구가 43천 명 감소하였으며, 취업자 수는 14천 명 감소. 반면에 50대 후반은 전년동월대비 인구가 150천 명 증가하였으며, 취업자 수도 127천 명 증가

- 60세 이상 연령층은 취업자가 316천 명 증가하였으나, 이는 전년동월대비 476천 명 증가한 인구변화 영향

- 20대는 그간 취업자 수 증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음식숙박업 감소 전환 등의 영향으로 취업자 수 16천 명 감소

∙ 고졸(재학, 휴학, 중퇴는 제외)은 음식숙박업(2천 명↑)에서는 증가폭이 크게 둔 화, 대신 건설업(8천 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천 명↑)에서는 33천 명 증가(지난달 71천 명에 비해 둔화)

∙ 전문대 이상 졸업자(재학, 휴학, 중퇴는 제외)는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 비스업(18천 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0천 명↑) 등에서는 증가했으 나, 교육서비스업(24천 명↓), 제조업(37천 명↓) 등에서는 감소하여 30천 명 취 업자 수 감소

- 30대, 40대는 인구 감소(각각 90천 명, 58천 명 감소)와 경기둔화 영향으로 취업자 수 감소(각각 26천 명, 45천 명 감소)

⊙ 상용직 증가폭 둔화로 임금근로자 증가폭도 크게 둔화

- 상용직 종사자 증가폭은 2016년 들어 둔화해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29만 7 천 명 증가(2015년 하반기 521천 명 증가)

∙ 특히 제조업 상용직은 2012년 2월 이후 꾸준히 전년동월대비 증가를 이어왔으

나 2016년 7월(57천 명↓) 감소로 전환한 이후 8월(97천 명↓), 9월(94천 명↓),

(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10월(111천 명↓), 11월(94천 명↓) 감소

- 임시직 14만 7천 명 감소, 일용직 3만 7천 명 증가 - 임금근로자 증가폭 186천 명↑으로 크게 둔화된 상태

⊙ 자영업자 증가 전환

- 특히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0만 2천 명 증가하였으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 자도 3만 9천 명 증가

- 무급가족종사자도 11천 명 증가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전통적인 형태의 자영업자가 많은 음식숙박업(28천 명

↑) 외에도 건설업 생산 증가의 영향으로 부동산 및 임대업(11천 명↑)에서도 증가 하였고, 도소매업(12천 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21천 명↑), 농 림어업(20천 명↑)에서도 증가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음식숙박업(12천 명↑), 도소매업(10천 명↑), 제조업 (20천 명↑), 부동산 및 임대업(14천 명↑)에서 증가

⊙ 제조업 고용 5개월째 감소 지속된 반면, 서비스업에서는 고용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 음

- 구조조정 영향으로 증가폭이 둔화되던 제조업에서는 7월부터 취업자 수 감소폭 확 대(7월 65천 명↓, 8월 74천 명↓, 9월 76천 명↓, 10월 115천 명↓, 11월 102천 명↓)

∙ 특히 40대(75천 명↓)에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30대 66천 명, 20대 초반 61천 명 감소

∙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직(56천 명↓), 장치기계조작원(42천 명↓), 사무종사자(26 천 명↓)에서 주로 감소

- 서비스업은 311천 명 증가하여 2016년 들어 증가폭이 확대되던 흐름이 주춤

∙ 음식숙박업(전년동월대비 74천 명↑)과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5천 명↑)을 필두로 부동산 및 임대업(35천 명↑) 등에서 증가

∙ 음식숙박업은 주로 업종 소분류상 주점 및 비알콜음료점에서 주로 고용이 증가

(6)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됨

∙ 5개월째 금융 및 보험업 고용 증가. 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의 판매직이 증가 한 것으로 보아 비전속 보험 대리점업으로 불리는 GA 판매직이 증가했기 때문으 로 풀이됨

- 올해 들어 생산활동이 크게 활발해진 건설업 취업자 수는 7월에 전년동월대비 1천 명 증가한 뒤 증가를 계속 이어가고 있음(8월 71천 명↑, 9월 41천 명↑, 10월 59 천 명↑, 11월 111천 명↑)

∙ 이미 상용직은 건설생산과 동조하여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일용직 감소 지속 영향으로 건설업 고용은 감소하고 있었음. 그러나 8월 증가 전환(36천 명

↑)에 이어 연속으로 증가폭이 확대(9월 40천 명↑, 10월 69천 명↑, 11월 120 천 명↑)되면서 취업자 수가 증가 전환된 것임

∙ 일용직은 외국인 고용의 영향 등으로 생산과의 관계가 명확치 않아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하반기를 넘어 건설업은 생산이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건설업 부문 고용도 하반기 내내 증가할 것으로 예상 가능

∙ 건설업 생산 활발의 영향으로 부동산업도 증가폭이 늘어난 상태. 다만 분양시장

이 주춤하고 있다는 관측이 있어 부동산업 증가가 지속될지는 지켜보아야 함

(7)

2016년 11월 고용동향과 시사점

KOREA LABOR INSTITUTE 매월

고용동향

분석

김복순(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 정현상(한국노동연구원 연구원)

󰋎 2016년 11월 고용동향 주요 특징

⊙ 취업자 수:2015년 11월 대비 339천 명 증가로 증가폭 확대 - 남성 222천 명 증가, 여성 117천 명 증가

- 4월 이후 남성 증가폭 확대 추세

⊙ 고용률:2015년 11월 대비 0.3%p 증가한 61.1%

- 남성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4%p 증가한 71.7%를 기록하였고, 여성은 전년동월 대비 0.2%p 증가한 50.9%를 기록

- 15~64세 고용률은 0.4%p 상승한 68.9%를 기록

⊙ 실업자 수 및 실업률:실업자는 2015년 11월 대비 250천 명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3.1%로 전년과 동일

- 20대 실업자 전년동월대비 1천 명 감소

⊙ 비경제활동인구:2015년 11월 대비 8천 명 감소(증가율 –0.1%)

(8)

<표 1> 주요 고용지표 추이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15 세 이 상

생산가능인구 42,688 43,181 43,465 43,488 43,512 43,537 (0.9) (0.9) (0.8) (0.8)

(증가율) (1.0) (1.2)

경제활동인구 26,786 27,082 27,524 27,516 27,499 27,446 (증가율) (2.1) (1.2) (1.7) (1.4) (1.3) (1.3) 취업자 (2.1) (1.1) 26,603 26,528 26,531 26,577 (증가율) 42,688 26,253 (1.1) (1.5) (1.0) (1.1) (증가수) (406) (348) 26,528 26,531 26,577 26,592

(남성) (202) (137) (1.5) (1.0) (1.1) (1.3)

(여성) (1.7) (1.1) (136) (178) (90) (100)

참가율 (438) (285) (387) (267) (278) 339) (209) (177) (178) (222) (201) (76)

(남성)

(178) (90) (100) (117) (238) (209)

(여성)

고용률 62.7 62.7 63.3 63.3 63.2 63.0

(남성) (74.2) (62.7) (74.5) (74.3) (74.2) (74.2) (여성) (51.8) (80.6) (52.6) (52.7) (52.6) (52.6)

실업자 60.8 60.8 61.0 61.0 61.1 61.1

실업률 (71.8) (71.3) (71.6) (71.5) (71.7) (71.7) (남성) (50.3) (50.7) (50.8) (50.9) (50.9) (50.9)

(여성) 818 829 996 986 923 854

비경활 5.1 5.2 3.6 3.6 3.4 3.1

(증가율) (3.2) (3.3) (3.8) (3.7) (3.4) (3.1)

15

~ 64 세

참가율 (2.9) (2.8) (3.3) (3.4) (3.3) (3.1)

(남성) 15,902 16,099 15,941 15,972 16,013 16,091 (여성) (-0.7) (1.2) (-0.5) (-0.1) (0.0) (-0.1)

고용률 68.1 68.5 69.0 69.0 68.9 68.9

(남성) (78.7) (78.5) (79.3) (79.2) (79.1) (79.0) (여성) (57.3) (58.3) (58.6) (58.7) (58.6) (58.7)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9)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1] 취업자 수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그림 2] 성별 취업자 수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그림 3] 전년동월대비 고용률 증감 추이

(단위: %p)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10)

[그림 4]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단위: 천 명,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 입・이직 현황에서는 입・이직 모두 감소

- [그림 6 좌측] 종사상 지위로 보면, 상용직(70천 명)과 일용직(31천 명)이 전 달에 이어 증가폭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임시직(-127천 명)의 감소폭이 커 입직자 감소(-25천 명)

- 이직자 수 또한 111천 명 감소

∙ 개인・가족 이유(-23천 명), 육아 및 가사(-13천 명) 등 개인적 이유(-36천 명)에 의한 이직 감소폭 확대

∙ 한편, 비자발적 사유인 경영 악화(-25천 명)의 감소폭 확대

(1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5] 입・이직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주: 입직은 임금근로자의 근속기간 3개월 미만자 수, 이직은 이직한 지 3개월 미만인 미취업자 수이며, 전 년동월대비 증감수를 그린 것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그림 6] 종사상 지위별 입직자 증감(좌측)과 이직자의 이직 사유 증감(우측)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 2016년 11월 고용동향의 부문별 특징

1. 50세 이상 중고령층 취업자 증가세 주도

⊙ 2016년 11월 취업자 증가는 50세 이상 중고령층 증가 영향

-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316천 명↑)는 가장 큰 폭으로 증가 기록(2012년 9

(12)

월 293천 명↑)

∙ 60세 이상 고령층으로의 인구유입 증가(생산가능인구의 23.1%)

∙ 50대 후반 인구 증가(150천 명↑)분과 비슷한 정도의 취업자 증가(127천 명↑)에 기인

- 청년층(15~29세)은 20대 후반 증가폭 둔화로 19천 명 감소

∙ 20~24세는 인구 감소를 넘어서는 취업자 감소(–31천 명↓) 지속

∙ 25~29세 취업자는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5월 99천 명 증가하는 등 2015년 5 월 이후 플러스(+)로 전환한 후 증가폭이 확대되어 왔으나 11월 현재 전년동월대 비 15천 명 증가에 불과함

∙ 25~29세 고용 증가폭 둔화는 주로 금융보험업(14천 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 비스업(14천 명↓), 교육서비스업(10천 명↓), 여가관련 서비스업(11천 명↓) 부 문에서 고용이 감소로 전환한 데 기인

∙ 이러한 청년층 취업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청년층 고용 률은 0.2%p 상승함

- 30대는 취업자 26천 명 감소(인구 감소 -90천 명)

∙ 30대 초반에서 크게 감소(128천 명↓)하였고, 30대 후반은 인구 증가(71천 명↑) 를 넘어선 취업자 증가(102천 명↑). 30대 연령집단간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 으며, 이는 인구효과 영향이 큼

- 40대 또한 취업자 45천 명 감소(인구 감소 –58천 명)

∙ 이는 40대 초반의 인구 감소(121천 명↓)에 버금가는 취업자 감소(97천 명↓)에 기인

∙ 특히 40대 후반 여성 취업자 감소(1천 명↓). 이들의 10월 고용 증가폭(9천 명↑)

이 큰 폭으로 둔화한 후 11월에는 감소로 전환

(13)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7] 연령대별 취업자 수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표 2> 연령계층별 취업자 수 증감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수 증감 취업자 수 생산가능인구 증감

2014. 11 2015. 11 2016

2016. 11 2014. 11 2015. 11 2016. 11 8월 9월 10월 11월

전 체 438 285 387 267 278 339 26,592 443 493 356

15~29세 49 90 55 41 31 -19 3,936 -59 -14 -80

15~19세 5 11 2 -5 -9 -3 215 -82 -81 -117

20대 44 79 54 46 41 -16 3,721 23 67 37

20~24세 52 44 -12 -12 -24 -31 1,394 55 32 -19

25~29세 -8 35 66 57 65 15 2,327 -32 35 56

30대 -34 -50 -61 -42 -61 -26 5,654 -99 -79 -90

30~34세 11 -90 -176 -169 -179 -128 2,696 -80 -134 -161 35~39세 -45 41 114 127 118 102 2,958 -19 55 71

40대 10 -4 10 -51 -100 -45 6,670 -7 -33 -58

40∼44세 -54 -51 -77 -118 -145 -97 3,186 -53 -96 -121

45∼49세 63 47 88 67 46 52 3,484 47 63 64

50대 193 139 124 99 133 113 6,206 202 160 107

50∼54세 35 19 -23 -36 6 -14 3,303 11 -18 -43

55∼59세 158 121 148 135 127 127 2,904 192 178 150 60세 이상 221 110 258 219 275 316 4,126 405 459 476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14)

⊙ 남성 30대 초반 취업자 감소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이는 해당연령대 인 구 감소폭이 매우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30대 초반 남성 인구 감소는 2014년 1월 4천 명을 시작으로 2016년 11월 현재 72 천 명으로 꾸준히 감소세

- 산업별로는 제조업(-48천 명)의 감소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건설업(-15천 명), 전 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9천 명) 등에서도 감소세

⊙ 여성은 40대 취업자 감소

- 40대 초반 여성의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고용 감소

∙ 40대 초반 인구 감소(-62천 명)의 영향과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이며, 주로 제조 업과 도소매업에서 감소

- 이와 더불어 40대 후반 여성 취업자의 감소 전환

∙ 10월 증가폭이 급격히 둔화되면서 11월에는 1천 명 감소(2015년 11월 36천 명

↑)

∙ 이들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하면서 40대 여성고용률 감소 주도

∙ 음식숙박업(31천 명↓), 도소매업(20천 명↓), 사업시설 및 사업지원서비스업(5 천 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천 명↑) 부문에서 취업자 감소 및 증가폭 둔화

[그림 8] 최근 성별・연령별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1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20대 취업자 감소로 전환

- 20대 초반 인구 감소를 넘어서는 취업자 감소(16천 명↓)

- 20대 남성 취업자 감소(3천 명↓). 이는 꾸준히 증가해왔던 음식숙박업에서 10월 (5천 명 증가↑)에 급격히 둔화했고, 11월에는 감소로 전환(2천 명↓)

- 한편, 20대 여성 취업자도 12천 명 감소(20대 초반 30천 명↓)

∙ 20대 초반 여성의 인구 감소를 넘어서는 취업자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제 조업(50천 명↓), 음식숙박업(18천 명↓), 교육서비스업(16천 명↓) 부문에서 감소

∙ 20대 후반 여성의 경우,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한 취업자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제조업(14천 명↑), 음식숙박업(17천 명↑) 등에서 증가

[그림 9] 20대 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남성 : 좌측, 여성 : 우측)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 청년층(15~29세) 실업률 8.2%,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 20~24세 실업자 감소(24천 명↓)

- 10월까지 3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1.0%p 상승했던 청년층 실업률은 11월 전년동 월대비 0.1%p 상승

- 취업자는 2013년 8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로 전환(-19천 명)

-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율은 2013년 8월 이후 감소 추세를 이어감

∙ 그러나 11월 비경제활동인구 감소폭은 크게 둔화

∙ 비경활 사유 중 정규기관 통학(-59천 명), 쉬었음(-50천 명)의 감소가 여전한 가

운데, ‘정규기관 통학(-59천 명, 2015년 11월 –135천 명)’의 감소폭이 크게 둔화

(16)

하고 취업준비(50천 명↑)의 증가로 인해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감소폭 둔화

[그림 10] 청년층(15~29세) 취업자 증감 및 취업자 증가율, 실업률, 비경활 증가율 추이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 졸업(졸업과 중퇴)여부별로 20대 청년층 인구 구성 변화를 살펴보면, 졸업생 중심으 로 최근 청년층 노동시장 변화

- 2016년 상반기에는 졸업생 실업률이 10%에 다다르고 있으며, 11월 졸업자 실업률 0.4%p 증가한 8.3%

- 졸업자의 취업자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 둔화와 함께 빠르게 둔화하는 가운데 11월 취업자 증가율은 마이너스(-0.2%)

- 비경제활동인구는 급감하던 추세에서 11월에는 1.3% 증가(-1.3%p↓). 주로 취 업·진학 준비(52천 명↑, 2015년 11월 26천 명↑)에서 증가 주도

- 최근 청년층은 인구 증가로 인한 취업자 증가 유인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줄어드

는 비경제활동인구가 노동시장으로 새로이 진입하지만 시장 내 여건이 좋지 않아

취업으로 진입이 원할지 않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 11월 이들의 비경제활동인

구가 증가한 데 향후 주목할 필요

(17)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11] 20대 청년층 졸업여부별 노동시장 주요 특징

(단위: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 성별 고용률 남성 0.4%p, 여성은 0.2%p 상승

- 각 연도 11월 고용률을 보면, 남성은 30대를 제외하고 고용률 증가

∙ 그러나 2016년 11월에는 남성 20대 고용률(-0.6%p ↓)만 감소. 20대 남성의 인 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취업자는 감소. 30대 0.5%p↑, 50대 0.4%p↑ 60세 이상 1.2%p↑ 증가

- 반면, 여성은 30대 고용률 증가가 두드러짐(초반 1.4%p↑, 후반 0.8%p↑)

∙ 특히 30대에서는 증가(1.0%p↑)한 반면, 40대에서는 0.8%p 고용률 감소 - 남녀 모두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고용률 증가 두드러짐(각각 1.2%p↑)

[그림 12] 성별・연령별 고용률(각 연도 9월)

(단: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18)

⊙ 20대 후반 여성 고용률 증가세 지속하고 있으나 11월 증가폭 둔화(0.2%p↑) - 반면, 20대 초반 여성은 1.7%p 감소(3개월 연속 고용률 하락)

- 20대 초반 남성의 고용률 등락 반복(11월 0.3%p↑)

⊙ 30대 후반 여성의 고용률 급격히 하락

- 장기간 하락국면에 있던 3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이 2016년 들어 플러스(+)로 전환 된 후 가파른 증가 추세였으나 11월에는 0.8%p 상승에 그침(10월 2.5%p↑) - 30대 초반 여성의 고용률 상승폭 확대

∙ 8월 –1.4%p 하락 후 상승세 지속(11월 1.4%p↑)

∙ 인구 감소에 못미치는 취업자 감소 영향

- 30대 초반 남성의 고용률 감소(11월 1.9%p↓)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여전히 진행중이지만 하락폭은 둔화. 30대 후반 남성 고용률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지난 달에 이어 상승폭 확대(1.6%p↑)

[그림 13] 20~30대 성별 고용률 증감 추이

(단위: %p, 전년동월대비)

<20~24세 : 좌측, 25~29세 : 우측>

<30~34세 : 좌측, 35~39세 : 우측>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19)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4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의 하락폭이 둔화한 반면, 40대 후반 여성 고용률의 하락폭 확대

- 9월에 고용률이 감소한 이후 지난 달 3.2%p까지 감소했으나 11월(0.7%p↓)에는 하 락폭 개선. 이는 40대 여성 취업자가 다수 분포되어 있는 도소매업(16천 명↓)에서 의 고용 감소는 여전한 가운데, 제조업(-33천 명)과 금융보험업(-8천 명) 부문에서 감소한 데 기인

- 40대 후반 여성의 고용률은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취업자가 감소한 영향

⊙ 50대 후반 남성 고용률 증가

- 남녀 모두 고용률 증감이 둔화되는 국면

- 50대 후반 남성의 경우 기저효과에 의한 고용률 상승. 인구 증가를 넘어서는 취업 자 증가 6개월 지속

[그림 14] 40~50대 성별 고용률 증감 추이

(단위: %p, 전년동월대비)

<40~44세 : 좌측, 45~49세 : 우측>

<50~54세 : 좌측, 55~59세 : 우측>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20)

2. 임금근로자 증가세 둔화 및 자영업자 증가세 지속

⊙ 상용직의 증가로 인한 전체 임금근로자 증가는 이어가고 있지만 임금근로자 증가폭 이 3개월 연속 200천 명 밑도는 수준(11월 187천 명↑)

- 이는 상용직 증가폭 둔화와 더불어 임시직 감소폭 확대에 기인

- 2016년 11월 상용직은 전년동월대비 297천 명 증가한 반면, 임시직은 147천 명 감소하면서 감소폭이 확대(일용직이 37천 명↑)

⊙ 자영업자 4달 연속 증가로 비임금근로자 증가폭 확대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39천 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102천 명↑), 무급가 족종사자(11천 명↑) 모두 증가함으로써 비임금근로자(153천 명↑) 증가폭 확대

[그림 15] 임금근로자(좌측)와 비임금근로자(우측)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 상용직 증가폭 둔화는 50대(104천 명↑) 증가폭 둔화 영향이 큼

- 15~24세 청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고는 있지만 증가폭은 둔화하는 양상

- 산업별로는 조선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감소 심화

∙ 제조업 고용 감소가 나타난 7월부터 11월까지 제조업 상용직은 90천 명 감소(11 월 94천 명↓, 2015년 11월 200천 명↑)

∙ 11월 제조업 상용직은 30~40대 핵심연령층에서 110천 명 감소

(2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반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3천 명↑), 사업시설 및 사업서비스업(33천 명

↑), 공공행정(51천 명↑), 도소매(68천 명), 음식숙박업(57 천명↑) 부문에서 증 가함으로써 제조업 상용직 감소로 인한 충격을 완화

[그림 16] 상용근로자 연령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22)

[그림 17] 상용근로자 산업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 30, 40대 임시근로자 감소 추세 지속

- 은퇴연령인 60세 이상에서 11월 60천 명 증가

∙ 60세 이상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사업시설 및 사업시설서비스업(29천 명↑), 보 건업(35천 명↑) 부문에서 증가

∙ 30, 40대 중심으로 감소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15~24세 청년층의 임시직도 감 소로 전환. 청년층의 임시직은 주로 제조업(11천 명↓, 2015년 11월 3천 명↑), 음식숙박업(11천 명↓, 2015년 58천 명↑) 부문에서 감소

∙ 40대(142천 명↓) 감소폭 확대. 주로 여성이 다수 분포된 산업, 즉 도소매(34천 명↓), 음식숙박업(24천 명↓), 사업시설 및 사업지원서비스업(14천 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천 명↓)을 중심으로 여성(101천 명↓)의 감소폭 확대 - 산업별로는 도소매업의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음식숙박업의 고용 감소 전환(19

천 명↓, 2015년 11월 73천 명↑)

∙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사업시설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출

판・영상 및 통신서비스업 부문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감소. 이들 산업에서도

교육서비스업을 제외하고 증가폭 둔화

(23)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일용직은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감소하고 있으나 50세 이상 중고령층에서 증가 주도 - 건설업 부문에서 일용직 증가폭 확대되는 추세

[그림 18] 임시근로자 연령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그림 19] 임시근로자 산업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24)

[그림 20] 일용근로자 연령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그림 21] 일용근로자 산업별 증감 추이

(2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2015년 하반기 이후 가파른 감소가 9월 회복 국면에 들어선 후 3개월 연속 증가(11월 39천 명↑)

-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 40대 감소폭 또한 둔화되는 추세 - 60대 증가폭 확대 추세(4월 6천 명↑, 5월 9천 명↑, 6월 17천 명↑,7월 27천 명

↑, 8월 29천 명↑, 9월 36천 명↑, 10월 39천 명↑, 11월 33천 명↑)

- 산업별로는 도소매 및 음식숙박(22천 명↑), 제조업(20천 명↑) 등에서 증가. 제 조업 전체 고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3개월 연속 증가 (중분류 :식료품 제조업(7천 명↑),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9천 명↑)

<자영업자의 연령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 자영업자 특징

(26)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7월 증가로 전환된 후 증가폭 확대(11월 102천 명↑) - 40대의 23천 명 증가가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기저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산업별로는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한 가운데 농림어업(20천 명↑)에서 증가로 전환

- 60세 이상은 2016년 꾸준한 증가를 지속, 기저효과 반영

<자영업자의 산업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27)

MONTHLY EMPLOYMENT ANALYSIS

3. 비경제활동인구 추이

⊙ 연로의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쉬었음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11월 비경제활동 인구 8천 명 감소

- 육아(-37천 명)와 정규기관 통학(-87천 명)이 지속적 감소를 이어감 - 지속적으로 증가국면에 있던 ‘쉬었음’은 4개월 연속 감소(11월 111천 명↓) - ‘쉬었음’의 감소는 남성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여성도 소폭이나마 2개월 연속 감

소.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경우도 ‘쉬었음’의 증가폭이 급격히 둔화되는 가운데 11월에는 마이너스(-) 기록(7천 명↓)

[그림 22] 비경제활동 사유별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28)

[그림 23] 쉬었음 성별(좌측)・연령별(우측)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 사업체 특성에 따른 취업자 변화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증감은 제조업 고용 부진과 서비스업 고용 증가 폭 축소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의 고용 증가폭 확대와 농림어업 고용 증가 전환으로 인하여 339천 명 증가

- 제조업은 지난 7월부터 고용 감소로 전환된 이후 최근 두 달간 10만 명 내외의 고 용 감소를 보임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102천 명 감소(2016년 1~11월 평균 5천 명↑) -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업과 교육서비스업(전년동월대비 54천 명↑), 보건・복지업에

서 고용이 증가하였으나 도소매업과 단체・개인・수리업에서 고용 감소, 이외에 대 부분의 세부산업의 고용 증가폭이 축소되어 하반기 중 가장 낮은 취업자 증가를 보 임

- 건설업 경기호조에 후행하여 고용 증가폭 확대중(전년동월대비 111천 명↑)

- 2016년 11월 농림어업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31천 명 증가하여 고용 증가 전환

(29)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24] 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주: 1) 전 산업 생산증가율(농림어업 제외)은 2016년 10월 기준임.

2) 2016년 8월부터 10월까지는 잠정치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30)

<표 3> 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취업자 전체 438 285 387 267 278 339

농림어업 -85 -168 -67 -65 -46 31

건설업 84 -37 71 41 59 111

제조업 102 190 -74 -76 -115 -102

서비스업 344 284 457 369 390 311

도소매업 136 -128 38 -14 5 -19

운수업 -27 14 -27 -15 -10 -14

음식숙박업 77 113 103 102 105 74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8 69 22 12 12 34

금융 및 보험업 -38 -18 17 14 18 19

부동산 및 임대업 6 42 52 36 34 35

전문과학 등 7 53 36 38 51 21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등 43 58 59 30 35 37

공공행정 등 -43 47 64 51 59 30

교육서비스업 67 -5 32 37 -8 5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58 49 98 77 92 85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6 18 -37 -20 -4 -2

협회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46 9 8 25 1 -40

가구내 고용활동 등 -52 -30 -14 -10 -7 -10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1) 제조업 부문 : 생산지표와 고용지표 동반 하락

⊙ 제조업 부문의 생산은 2016년 10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1.6% 감소(전월대비 1.4% 감 소)했으며, 내수 출하는 전년동월대비 1.7% 감소, 수출 출하 3.2% 감소

- 제조업 5개월 연속 고용 감소 추세 지속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102천 명 감소(2016년 1~11월 평균 5천 명↑) - (종사상 지위별) 상용직 고용실적 악화가 최근 제조업 고용 부진을 야기한 것으로

판단됨

(3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 제조업 상용직은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94천 명 감소(2016년 1~11월 평균 9천 명↑)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만 명 내외에서 지속적인 고용 증가세를 보임 - (규모별)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중소규모 사업체 취업자 감소폭 확대 지속중

∙ 중소규모 사업체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93천 명 감소(2016년 1~11월 평균 19천 명↓)

∙ 중소규모 사업체 중에서도 10~29인 사업체의 고용 부진이 취업자 감소 추세를 주도하는 것으로 보임(전년동월대비 121천 명 감소)

- (직종별) 사무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고용 감소세 지속

∙ 제조업에서 가장 높은 비중(약 40%)을 차지하는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42천 명 감소(2016년 1~11월 평균 14천 명↑)

∙ 제조업 단순노무종사자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56천 명 감소(2016년 1~11

월 평균 43천 명↓)

(32)

<표 4> 제조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제조업 취업자 전체  102 190 -74 -76 -115 -102

성별 남자 96 135 -35 -9 -30 -25

여자 6 55 -38 -67 -84 -77

지위별

상용직 170 200 -97 -94 -111 -94

임시직 -42 19 26 6 -16 -17

일용직 -12 -12 -23 -18 -29 -24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6 -18 -2 12 25 20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 -2 21 19 11 7

연령별

청년층 62 -1 8 17 -20 -24

15~19세 -1 -1 10 9 7 8

20~24세 23 27 -32 -34 -67 -61

25~29세 40 -26 31 42 39 29

30대 -35 46 -102 -78 -65 -66

40대 3 79 -60 -96 -102 -75

50대 52 10 34 39 38 30

60세 이상 21 56 47 41 34 34

규모별

중소규모 46 139 -74 -72 -95 -93

10~29명 33 88 -66 -82 -106 -121

대규모 56 50 0 -4 -19 -9

직종별

사무종사자 68 24 -18 -38 -21 -26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34 129 -30 -21 -29 -42

단순노무종사자 -15 -1 -44 -57 -83 -56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33)

MONTHLY EMPLOYMENT ANALYSIS [그림 25] 제조업 취업자 증감(좌측) 및 생산지수(우측) 증가율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주: 1) 제조업 생산지수 증가율은 2016년 10월 기준임.

2) 2016년 9, 10월은 잠정치임.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및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그림 26] 제조업 직종별 연령층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40대>

(34)

<50세 이상>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표 5> 제조업 20대 초반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제조업 20대 초반 취업자 전체 21 28 -25 -28 -43 -50

성별 남자 96 135 -35 -9 -30 -25

여자 6 55 -38 -67 -84 -77

지위별 상용직 22 31 -20 -25 -47 -50

임시직 5 -1 -7 -6 -16 -12

규모별 100~299명 12 21 -20 -16 -25 -27

300명 이상 -13 8 -5 -9 -12 -13

직종별 기능원 및 관련기능 -2 33 -27 -26 -45 -41

단순노무종사자 23 27 -32 -34 -67 -61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 제조업 청년층 고용 감소는 20대 초반 연령층에서 주도

∙ 종업원 100인 이상의 중견기업에서 고용 부진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여성 기능원

및 단순노무종사자를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

(3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2) 서비스업 부문 : 생산 증가, 고용 증가폭 축소

⊙ 서비스업 부문의 생산은 2016년 10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2.5% 증가(전월대비 0.2%

감소)

-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업(전년동월대비 74천 명↑)과 교육서비스업(전년동월대비 54천 명↑), 보건・복지업(전년동월대비 85천 명↑)에서 고용이 증가하였으나 도소 매업(전년동월대비 19천 명↓)과 단체・개인・수리업(전년동월대비 40천 명↓)에서 고용 감소, 이외에 대부분의 세부산업의 고용 증가폭이 축소되어 하반기 중 가장 낮은 고용 증가폭을 보임(전년동월대비 311천 명↑)

- (종사상 지위별)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은 35만 내외의 고용 증가를 보이나 임시・일 용직의 고용 감소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지속되는 한편 자영업자는 10만 명 내외의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

- (연령별) 청년층 서비스업 취업자가 감소로 전환되었고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분의 95%가량이 55세 이상 고령층에 집중되었음

[그림 27] 서비스업 취업자 증감(좌측) 및 생산지수(우측) 증가율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주: 1) 서비스업 생산지수 증가율은 2016년 10월 기준임.

2) 2016년 9, 10월은 잠정치임.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및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36)

[그림 28] 서비스업 세부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그림 29] 서비스업 55세 이상 고령층 세부산업별 취업자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37)

MONTHLY EMPLOYMENT ANALYSIS

<표 6> 서비스업 특징별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서비스업 취업자 증감 344 284 457 369 390 311

지위별

상용직 189 272 348 362 341 370

임시직 155 130 53 -25 -35 -101

일용직  30 -78 -71 -91 -54 -58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56 12 31 31 47 34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75 -40 77 76 90 79

무급가족종사자 -11 -12 20 15 2 -12

성별 남자 69 53 204 172 166 131

여자 274 231 253 197 224 180

연령별

청년층 4 117 54 24 40 -18

15~19세 11 8 -6 -10 -13 -11

20~24세 48 29 9 7 24 9

25~29세 -55 80 51 27 29 -16

30대 3 -83 22 60 13 53

40대 10 -62 102 71 44 31

50대 116 149 68 52 99 71

55~59세 79 88 122 122 124 121

60세 이상 344 284 457 369 390 311

규모별 중소규모 272 230 415 328 349 276

대규모 72 53 42 41 41 35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38)

<표 7> 서비스업 종사상 지위별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서비스업 임시직 취업자 증감 155 130 53 -25 -35 -101

연령별

20~29세 66 35 31 -1 -12 -41

40~49세 4 -47 -43 -75 -99 -113

60세 이상 72 93 89 61 80 64

산업별

도소매업 59 -54 -59 -87 -76 -73

운수업 4 7 6 -2 -20 -23

음식숙박업 56 73 25 27 4 -19

서비스업 일용직 취업자 증감 30 -78 -71 -91 -54 -58

산업별

도소매업 10 -39 -27 -39 -23 -19

공공행정 7 2 -1 2 -5 -11

단체・수리・개인 4 -14 -10 -5 -2 -11

서비스업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증감 56 12 31 31 47 34

산업별

도소매업 -2 20 15 14 19 10

음식숙박업 34 8 20 16 20 12

부동산・임대업 5 -5 9 10 11 14

교육서비스업 8 -16 0 5 5 13

보건・복지업 10 -1 -14 -15 -14 -24

서비스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감 -75 -40 77 76 90 79

연령별 40~49세 -36 -9 40 36 39 24

60세 이상 13 -14 29 31 34 31

산업별

도소매업 -8 -33 18 -2 15 12

음식숙박업 -23 4 22 26 31 28

부동산・임대업 -4 23 18 14 8 11

예술・스포츠・여가 -5 -16 -5 7 15 21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39)

MONTHLY EMPLOYMENT ANALYSIS

(3) 건설업 부문 : 생산지표 호조, 고용 증가폭 확대

⊙ 건설업 부문의 생산은 2016년 10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17.3% 증가 - 건설업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 확대 지속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111천 명 증가(2016년 1~11월 평균 16천 명↑) - (종사상 지위별) 일용직의 고용 증가가 주도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120천 명 증가

- (연령별) 50대 이상 고령층의 고용개선이 주요인이며, 20대 초반 연령층의 고용 증 가도 전년동월대비 20천 명 기록

∙ 2016년 11월 50대 이상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89천 명 증가 - (직종별) 단순노무종사자의 고용 증가폭 확대에 기인

∙ 2016년 11월 단순노무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89천 명 증가

[그림 30] 건설업 취업자 증감(좌측) 및 생산지수(우측) 증가율

(단위: 천 명, %, 전년동월대비)

주: 1) 건설업 생산지수 증가율은 2016년 10월 기준임.

2) 2016년 9, 10월은 잠정치임.

자료: 통계청, 「산업활동동향」 및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40)

(4) 농림어업 부문 : 고용 증가 전환

⊙ 2014년 2월 이후 지속되어온 고용 감소 추세가 증가로 전환

- 2016년 11월 전년동월대비 31천 명 증가(2016년 1~11월 평균 62천 명↓) - (성별) 남성(18천 명↑)과 여성(13천 명↑) 모두 증가 전환

- (종사상 지위별)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20천 명↑)와 무급가족종사자(15천 명↑) 에서 고용 증가 주도

- (연령별) 60대 초반과 65세 이상 연령층에서 각각 전년동월대비 17천 명, 39천 명 증가

- (직종별) 농림어업숙련자에서 전년동월대비 38천 명 증가

[그림 31] 농림어업 취업자 증감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4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1> 각 연도 11월 근속기간별 임금근로자 수 및 전년동기대비 증감

(단위: 천 명) 2012 2013 2014 2015 2016 2012

증감

2013 증감

2014 증감

2015 증감

2016 증감 3개월 미만 2,642 2,397 2,391 2,471 2,462 2,437 -245 -6 80 -9 1년 미만 3,622 3,635 3,772 3,721 3,913 3,877 12 138 -51 192 1~3년 미만 3,760 4,009 3,922 4,114 4,178 4,254 249 -87 192 64 3년 이상 7,625 7,901 8,487 8,775 9,031 9,203 276 586 288 256 전 체 17,650 17,941 18,572 19,081 19,584 19,770 292 631 509 503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부표 2> 각 연도 11월 3개월 미만 근속자의 종사상 지위(증감 및 비중)

(단위: 천 명, %)

증감 비중

2012 2013 2014 2015 2016 2012 2013 2014 2015 2016

상 용 441 349 406 415 429 499 -92 57 9 14

임 시 909 813 768 787 891 764 -96 -45 19 104

일 용 1,292 1,234 1,217 1,269 1,142 1,173 -58 -17 52 -127 전 체 2,642 2,397 2,391 2,471 2,462 2,437 -245 -6 80 -9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부표 3> 각 연도 11월 3개월 미만 이직자의 이직사유별 추이 및 전년동기대비 증감 (단위: 천 명) 2012 2013 2014 2015 2016 2015

증감 2016 증감

개인, 가족관련 이유 451 424 406 383 -18 -23 -14

육아 32 32 27 19 -4 -8 1

가사 23 22 23 18 1 -5 -5

심신장애 7 10 7 3 -3 -4 -5

정년퇴직, 연로 17 14 16 15 2 -1 -8

작업여건(시간, 보수 등) 불만족 137 167 153 150 -14 -3 61

직장의 휴업, 폐업 19 27 22 23 -5 1 9

명예, 조기퇴직, 정리해고 19 32 33 33 1 -1 11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227 210 195 172 -14 -24 7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경영 악화 154 119 110 85 -9 -25 -5

기타 16 33 30 11 -3 -19 -22

전 체 1,100 1,089 1,022 910 -67 -112 30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2)

<부표 4> 연령계층별 고용률 추이

(단위: %, %p)

2014. 11 2015. 11 2016 증감

(2015. 11→

2016. 11)

8월 9월 10월 11월

전 체

전 체 60.8 60.8 61.0 61.0 61.1 61.1 0.3

15~29세 40.8 41.8 42.9 42.5 42.4 41.9 0.1

15~19세 6.6 7.1 9.1 7.4 7.1 7.3 0.2

20대 57.8 58.4 58.7 58.7 58.6 57.8 -0.6

20~24세 45.2 46.2 46.7 46.5 46.2 45.5 -0.7 25~29세 69.5 69.8 69.7 70.0 70.0 69.1 -0.7

30대 74.5 74.6 74.4 74.7 74.5 75.1 0.5

30~34세 75.0 75.3 74.3 74.5 74.2 75.1 -0.2 35~39세 73.9 73.9 74.4 74.8 74.9 75.1 1.2

40대 79.5 79.8 79.6 79.5 79.5 79.8 0.0

50대 74.9 75.2 74.7 75.0 75.5 75.6 0.4

60세 이상 40.6 39.8 41.1 41.1 41.4 41.0 1.2

남 성

전 체 71.8 71.3 71.6 71.5 71.7 71.7 0.4

15~29세 38.8 39.6 41.2 41.1 40.8 39.9 0.3

15~19세 5.6 6.2 7.9 6.4 6.3 6.4 0.2

20대 56.0 56.2 57.1 57.5 57.0 55.6 -0.6

20~24세 39.7 40.2 41.8 42.1 41.3 40.5 0.3 25~29세 69.6 69.3 69.5 69.9 69.6 67.7 -1.6

30대 91.3 90.8 90.0 89.7 89.8 90.8 0.0

30~34세 90.3 90.0 88.5 87.8 87.4 88.1 -1.9 35~39세 92.3 91.6 91.5 91.6 92.1 93.2 1.6

40대 93.1 92.4 92.8 93.0 93.1 93.3 0.9

50대 88.2 87.5 87.4 87.5 88.1 88.1 0.6

60세 이상 52.8 51.7 52.9 52.7 53.0 52.9 1.2

여 성

전 체 50.3 50.7 50.8 50.9 50.9 50.9 0.2

15~29세 42.7 43.9 44.7 43.9 44.0 44.0 0.1

15~19세 7.6 8.0 10.4 8.3 7.9 8.2 0.2

20대 59.5 60.6 60.3 60.0 60.2 60.0 -0.6

20~24세 50.0 51.4 51.0 50.2 50.4 49.7 -1.7 25~29세 69.5 70.4 69.9 70.1 70.4 70.6 0.2

30대 57.0 57.6 57.9 58.8 58.4 58.6 1.0

30~34세 59.0 59.7 59.1 60.2 60.0 61.1 1.4 35~39세 55.0 55.6 56.8 57.5 57.0 56.4 0.8

40대 65.8 66.9 66.1 65.9 65.5 66.1 -0.8

50대 61.6 62.7 62.0 62.4 62.8 62.9 0.2

60세 이상 31.1 30.4 31.8 32.0 32.1 31.6 1.2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3)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5>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증감

(단위: 천 명)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전 체 438 285 387 267 278 339

임금 509 503 315 178 158 186

상용직 332 496 291 293 256 297

임시직 146 174 91 -26 -67 -147

일용직 31 -167 -67 -89 -30 37

비임금 -70 -218 72 89 120 153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83 -28 -1 18 43 39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74 -125 79 68 81 102

무급가족종사자 -79 -66 -7 3 -4 11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44)

<부표 6> 종사상 지위별・연령별 취업자 수 전년동월대비 증감

(단위: 천 명)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15~24세

상용직 42 43 -10 -9 -13 -11

임시직 77 44 36 6 -29 -17

일용직 -36 -31 -29 -21 -4 -13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 2 -1 -3 -4 -3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7 -6 3 12 18 12

무급가족종사자 -21 4 -10 -1 -1 -2

25~29세

상용직 -25 60 60 55 54 21

임시직 5 10 17 12 12 -15

일용직 10 -18 -24 -27 -15 -2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 -8 -3 6 11 10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7 -2 11 7 -2 0

무급가족종사자 8 -7 4 5 5 1

30~39세

상용직 -24 12 -42 -16 -32 3

임시직 -13 5 -48 -33 -45 -41

일용직 7 -28 6 1 2 5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6 -37 -0 -7 4 6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7 13 14 7 9 6

무급가족종사자 -13 -14 8 7 0 -5

40~49세

상용직 39 148 64 49 73 94

임시직 -4 -37 -49 -97 -134 -142

일용직 7 -47 -23 -23 -39 -1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7 -17 -9 -2 -17 -8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8 -26 31 28 28 23

무급가족종사자 -22 -24 -3 -6 -9 -12

50~59세

상용직 221 140 133 131 89 104

임시직 10 40 25 14 45 7

일용직 -7 -4 -0 -3 8 17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0 27 -16 -12 11 1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5 -50 -4 -17 -13 -15

무급가족종사자 -27 -14 -13 -13 -7 -2

60세 이상

상용직 79 93 86 83 85 87

임시직 70 113 110 73 85 60

일용직 50 -39 4 -15 18 29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7 6 29 36 39 33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 -53 23 31 41 75

무급가족종사자 -4 -9 6 11 7 31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7> 2016년 11월 임금근로자의 종사상 지위별・업종별 증감

(단위: 천 명, %) 전년동월

대비 상용직

증감

상용직 수

임금근로 자 중 상용직

비중

전년동월 대비 임시직

증감

전년동월 대비 일용직 증감

제조업 -94 3,282 83.5 -17 -24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12 78 95.9 -4 -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13 80 87.5 -0 -1

건설업 30 608 39.9 -26 120

도소매업 68 1,278 58.0 -73 -19

운수업 18 610 78.4 -23 1

음식숙박업 57 380 26.3 -19 -6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8 663 88.9 4 2

금융 및 보험업 10 500 64.9 -5 -2

부동산 및 임대업 3 204 53.1 -3 2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2 872 90.8 -0 -1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33 793 64.5 2 -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51 794 77.3 -10 -11

교육서비스업 29 1,044 68.5 10 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3 1,345 73.5 43 2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0 125 46.5 -21 -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22 379 50.8 -6 -11

기타 -1 52 22.8 -1 -8

전 체 297 13,088 66.1 -147 37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6)

<부표 8> 2016년 11월 자영업자의 업종별 증감

(단위: 전년동월대비, 천 명)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감 자영업자 수 증감 자영업자 수

농업, 임업 및 어업 -2 45 20 818

제조업 20 210 7 202

하수,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1 4 1 3

건설업 -13 147 -3 246

도소매업 10 371 12 852

운수업 1 36 -12 575

음식숙박업 12 336 28 294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7 19 5 51

금융 및 보험업 8 15 8 27

부동산업 및 임대업 14 48 11 132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 73 1 68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1 32 2 34

교육서비스업 13 84 1 26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24 66 6 11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5 28 21 11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2 79 -2 375

기타 - - -4 9

전 체 39 1,592 102 4,073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7)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9> 비경활인구 활동상태별 증감

(단위: 천 명)

2014. 11 2015. 11 2016 비경활

인구수 2016. 11

8월 9월 10월 11월

육아 -28 -73 -61 -57 -52 -37 1,332

가사 -70 23 -21 28 101 15 5,796

정규교육기관 통학 -135 -141 -60 -104 -63 -55 3,814

입시학원 통학 31 -13 -0 8 1 9 73

취업을 위한 학원, 기관 통학 46 22 -40 -46 -34 7 230

취업준비 -15 14 9 16 49 60 438

진학준비 -27 10 62 52 22 31 152

연로 99 169 111 140 78 91 2,190

심신장애 38 -30 40 31 21 21 434

군입대 대기 -1 1 -8 7 0 1 60

쉬었음 -66 210 -83 -65 -77 -111 1,504

기타 23 20 -30 -27 -45 -39 69

비경활 계 -113 197 -81 -18 1 -8 16,091

*취업준비 30 36 -31 -30 15 67 667

*통학 -104 -154 -60 -97 -63 -47 3,887

주: 1) 취업준비는 취업준비와 취업을 위한 학원, 기관 통학의 합.

2) 통학은 정규교육기관 통학, 입시학원 통학, 정규교육기관 통학의 합.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8)

<부표 10> 인적특성별 고용보조지표

(단위: 천 명, %)

실업률 고용보조지표 1 고용보조지표 2 고용보조지표 3

2015. 11 2016. 11 2015. 11 2016. 11 2015. 11 2016. 11 2015. 11 2016. 11

전 체 3.1 3.1 3.1 4.9 4.8 4.9 8.8 8.7

성별 남성 3.2 3.3 3.1 4.7 4.9 4.7 8.0 8.1

여성 3.0 2.8 3.1 5.1 4.7 5.1 9.9 9.4

연령

15~24세 8.4 9.1 8.1 10.5 11.1 10.0 22.2 22.0

25~29세 6.7 7.4 8.2 8.2 8.6 9.9 17.2 17.0

30~39세 2.9 2.9 3.0 4.1 4.0 3.9 7.1 7.0

40~49세 2.0 1.8 1.7 3.6 3.5 3.4 5.5 5.3

50~59세 2.0 1.8 2.0 4.1 4.0 4.4 6.2 5.9

60세 이상 2.2 1.9 2.0 4.7 4.3 4.4 8.7 8.8

학력

고졸미만 2.1 2.1 2.0 4.8 4.8 4.8 7.2 7.5

고졸 3.7 3.3 3.4 5.5 5.2 5.4 10.0 9.5

초대졸 3.1 3.5 3.7 4.2 4.8 5.0 8.6 8.6

대졸이상 2.9 3.0 3.1 4.4 4.4 4.3 8.2 8.2

주: 1)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실제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추가취업이 가능한 자.

2) 잠재취업가능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 이 가능하지 않은 자.

3) 잠재구직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 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한 자.

4) 잠재경제활동인구=잠재취업가능자+잠재구직자.

5) 확장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인구+잠재경제활동인구.

6) 고용보조지표 1=(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실업자)/경제활동인구×100.

7) 고용보조지표 2=(실업자+잠재경제활동인구)/확장경제활동인구×100.

8) 고용보조지표 3=(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실업자+잠재경제활동인구)/확장경제활동인구×100.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각 연도.

(49)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11> 도소매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도소매업 취업자 전체 136 -128 38 -14 5 -19

성별 남자 61 -110 72 34 42 -5

여자 75 -18 -34 -48 -37 -14

지위별

상용직 74 -26 79 92 82 68

임시직 59 -54 -59 -87 -76 -73

일용직 10 -39 -27 -39 -23 -19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 20 15 14 19 10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8 -33 18 -2 15 12

무급가족종사자 4 4 13 7 -12 -18

연령별

15~29세 21 -55 -15 -32 -8 -7

30대 48 -68 32 31 38 22

40대 2 -59 20 8 -4 -12

50대 37 33 20 17 24 18

60세 이상 27 21 -18 -38 -46 -40

규모별 중소규모 127 -139 23 -19 5 -22

대규모 9 11 15 5 0 3

직종별

사무종사자 10 -15 40 47 50 24

판매 종사자 46 -68 18 -33 -22 -31

단순노무종사자 45 -34 -41 -38 -29 -15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0)

<부표 12> 운수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운수업 취업자 전체  -11 16 -12 -27 -15 -10

성별 남자 -18 6 -20 -33 -17 -6

여자 7 11 8 7 2 -4

지위별

상용직 9 -5 -10 -17 -4 9

임시직 12 16 1 6 -2 -20

일용직 2 8 -2 -4 -5 -1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 -2 -5 4 5 -1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9 5 1 -19 -13 -2

무급가족종사자 -6 -5 3 4 3 4

연령별

20대 1 25 -1 -3 -3 -3

30대 9 3 -21 -14 -15 -13

40대 -18 -10 10 -3 3 -5

50대 -34 -11 -16 -24 -27 -14

55~59세 -17 3 31 30 28 24

60세 이상 30 10 18 19 24 21

규모별 중소규모 -27 21 -3 -22 -12 -1

대규모 16 -4 -8 -5 -3 -9

직종별

사무종사자 13 -4 -11 -6 -13 -14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21 2 -2 -15 -8 -9

단순노무종사자 13 18 14 13 15 17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1)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13> 음식숙박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음식숙박업 취업자 전체 77 113 103 102 105 74

성별 남자 37 38 78 90 63 51

여자 39 75 25 12 42 23

지위별

상용직 23 47 47 49 48 57

임시직 56 73 25 27 4 -19

일용직 -4 -18 -18 -24 -5 -6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34 8 20 16 20 12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3 4 22 26 31 28

무급가족종사자 -10 0 6 8 7 2

연령별

15~29세 9 84 59 41 13 -2

30대 27 6 3 17 24 28

40대 -20 -4 9 24 19 -1

50대 21 5 -6 -6 27 20

60세 이상 40 22 38 26 24 29

규모별 중소규모 81 110 107 106 115 85

대규모 -4 3 -4 -4 -10 -12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2)

<부표 14> 부동산・임대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부동산・임대업 취업자 전체 6 42 52 36 34 35

성별 남자 -3 17 30 12 19 21

여자 9 24 22 24 15 15

지위별

상용직 6 3 8 5 3 3

임시직 -2 18 14 1 4 -3

일용직 -3 3 4 5 2 2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5 -5 9 10 11 14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4 23 18 14 8 11

연령별

20대 -6 18 16 12 5 -3

30대 -11 10 1 -5 -8 4

40대 10 13 10 -1 -4 1

50대 17 1 25 25 34 27

60세 이상 -4 -2 2 7 9 9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부표 15> 전문・과학・기술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전문・과학・기술 취업자 전체 7 53 36 38 51 21

성별 남자 -29 41 21 21 37 9

여자 36 12 15 17 14 12

지위별

상용직 -1 52 61 53 51 22

임시직 -2 3 -12 -4 1 0

일용직 4 -3 -5 1 2 -1

연령별

20대 -22 27 22 18 19 4

30대 -6 -10 -1 16 5 -1

40대 28 18 7 12 28 15

50대 1 20 17 0 1 4

60세 이상 4 -4 -3 -2 3 5

규모별 중소규모 -2 35 25 29 47 39

대규모 9 18 11 9 4 -19

직종별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6 8 56 46 46 31

사무종사자 -8 45 -28 -14 2 -14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3)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16>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전체 67 -5 32 37 -8 54

성별 남자 38 -9 5 13 -7 6

여자 29 4 27 24 0 48

지위별

상용직 37 49 45 46 1 29

임시직 21 -16 -21 -15 -7 10

일용직 2 -7 -2 -4 -4 4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8 -16 0 5 5 13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 -13 8 7 -1 1

연령별

20대 26 10 -34 -13 -26 -26

30대 -13 -16 -8 -3 -13 -5

40대 2 -23 32 25 15 52

50대 35 16 22 15 4 17

60세 이상 11 13 21 20 17 13

규모별 중소규모 41 -5 57 52 17 63

대규모 26 0 -25 -15 -25 -10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4)

<부표 17> 보건・복지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보건・복지업 취업자 전체 158 49 98 77 92 85

성별 남자 30 11 11 -5 -15 -22

여자 128 38 87 81 107 107

지위별

상용직 90 27 62 67 57 63

임시직 59 22 50 29 50 43

일용직 3 -3 3 -1 -1 2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0 -1 -14 -15 -14 -24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 1 -2 -1 2 6

연령별

20대 40 -19 6 5 25 27

30대 12 1 16 11 1 -2

40대 4 -1 5 -2 -11 3

50대 59 20 25 28 24 11

60세 이상 48 44 40 29 46 44

규모별 중소규모 133 42 94 58 63 66

대규모 26 7 4 19 29 19

직종별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84 8 15 8 22 20

서비스종사자 37 33 58 52 52 44

단순노무종사자 36 15 28 17 32 21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5)

MONTHLY EMPLOYMENT ANALYSIS

<부표 18> 단체・수리・개인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단체・수리・개인 취업자 전체 -46 9 8 25 1 -40

성별 남자 -72 32 16 28 9 1

여자 26 -22 -8 -3 -8 -42

지위별

상용직 -27 29 -35 -18 -11 -22

임시직 25 -1 30 29 5 -6

일용직 4 -14 -10 -5 -2 -11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 -4 -5 0 1 -2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40 5 25 19 8 -2

연령별

20대 -23 -10 23 35 24 10

30대 -42 10 -4 1 -7 -19

40대 8 -28 -22 -20 -20 -13

50대 -15 22 -25 -14 -23 -31

60세 이상 27 10 43 24 29 17

규모별 중소규모 -42 9 9 24 1 -39

대규모 -4 0 -1 1 0 -2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56)

<부표 19> 건설업 취업자 고용 증감 추이

(단위: 천 명, 전년동월대비) 2014. 11 2015. 11 2016

8월 9월 10월 11월

건설업 취업자 전체 84 -37 71 41 59 111

성별 남자 79 -33 65 37 57 101

여자 5 -4 7 4 2 9

지위별

상용직 -19 16 32 19 30 30

임시직 39 20 6 -9 -18 -26

일용직 13 -62 36 40 69 120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9 -19 -24 -22 -29 -13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9 3 17 7 5 -3

연령별

20대 -1 -30 2 7 14 22

30대 6 -11 18 -20 -7 -8

40대 0 -15 -24 -18 -25 6

50대 44 17 38 44 34 39

60세 이상 36 0 35 28 44 50

규모별 중소규모 102 -46 70 34 42 98

대규모 -18 9 2 7 17 13

직종별

관리자 7 -8 -11 -14 -15 -12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7 -8 23 18 16 23

사무종사자 -21 2 -5 -8 3 11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97 16 15 -9 -8 4

장치・기계조작종사자 15 0 -5 -9 -3 -6

단순노무종사자 -8 -38 49 56 59 89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각 연도.

참조

관련 문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취약성으 로 인해 서유럽 국가들과 일본 경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앞으로 이들 국가들의 경제 전망에 대해 특별한 관심 이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이를 위해, 이 워크숍은 책의 목차에 기초하여 크게 자료 분석 전 단계, 자료 분석 단계, 그리고 자료 분석 이 후 단계에 질적 연구자들이 알아야

② 주임강사는 해당 교육과정의 운영을 지원하고, 운영현황 분석 및 신규 교육과정의 개발업무 를 담당한다... 다만, 전산입력으로

다만, 논문지도교수는 2년 이내에 정년퇴임하지 아니하는 교원으로 하는 것을

표본을 상호배타적인 소군집 (cluster) 으로 분류 2.. 무작위로

 다만, 관찰대상이 NumberGenerator의 하위 클래스의 인스턴스 이고 getNumber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만 알고 있다.. – Observer는 입력인자로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