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타난 77-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나타난 77-"

Copied!
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井몸에 나타난 大쩔의 시 김에새 對하여

黃 義

- 序 論

- 77-

è::;;

가~

어느 民族의 音樂이든 그 고유의 獨特한 特色을 갖고 있듯이 韓國의 傳統音樂도 마찬가 지로 독특한 音樂的인 特徵을 갖고 있다. 그러으로 우리 만족의 生活속에서 살아 숨쉬며 면연히 이어져 내려온 전통음악의 옴악적인 특정을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 하는데, 그것은 傳統音樂의 보존 • 계승과 더불어 새로운 흡樂의 創造를 위해 시급히 究明 해야 할 과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本 論文에 서 는 전통음악의 特徵중의 하나인 시 김 새 에 대 해 冊究하려 한다. 특히 전통음악중에서도 獅樂은 雅樂과 康樂과는 달리 장식음이 重賣한 要素가운례 하나이다. 다 시 말해서 雅樂과 康樂은 鄭樂에 비해 시김새가 적게 나타나고 鄭樂에는 많은 시김새가 복 장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시김새가 많은 것이 한국음악의 특징이라 하겠다(1) 그러묘로 傳觀音樂의 흡樂的인 特徵을 찾아 내기 위해서는 시검새에 대한 짧究가 꼭 필요하다고 생 각한다.

本 論文에서1는 大答의 시김새가 어떼한 규칙에 의해서 쓰여지는가의 여부와 또 雄律進行 의 上行時 혹은 下行時에는 시검새가 어떻게 쓰이는 가를 살펴 大答雄律의 特徵을 알아 보 고 나아가서 시김새가 曲의 속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하는 點도 알아보려 한다. 많은 樂器가운데 大짝올 택한 이유는 大쪽이 단소 • 당적과 더불어 가장 장식음이 많이 쓰이고 특히 大쩔은 三鉉六角 • 줄풍류를 막론하고 광법 위 하고 중요하게 쓰이 는 중추적 인 樂器이 기 때문이다.

本 論文에서는 井몸을 中心으로 하고 界面調에 속하는 靈山會相과 三鉉 靈山會相올 택하 여 分析하였는데 이 들 曲올 택 한 이 유는 이 曲들이 같은 界面調이 며 , 傳統音樂中 으뜸가는 曲플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홉料로는 井間謂로 펀 大짝正樂에(잉 설려 있는 井몹 ·靈山

cl) 李專求, r韓國音樂序짧 J, (서 울大學俊出版部, 1975), pp. 413-14.

(2) 金짧洙, 李相龍編, r大짝正樂 J (서 울 : 은하출판사, 1979), pp. 133-41, pp. 154-55, pp. 202-

205

,

(2)

會相·三鉉 靈山會相과 五線調로 된 훌齊天 (3) .훌山會相(4) 三鉉홈山會相올 (5) 택하었고 녹 음 TAPE로는 園立國樂院의 演奏로 펀 井몸을 (6) 택 하여 다루었다.

특히 韓園의 ¢훌훌t즙樂은 수직적인 和聲(西洋音樂에 있어서의 和聲의 개념)보다는 수형적 인 雄律進行을 그 特色으로 하고 있는 騙으로 볼 째 이러한 맑究는 천통음악의 理解와 盤 賞, 그리고 새로운 흡樂을 創作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本 論

1.

앞꾸멈음

井몹에 서 大쪽의 趙律進行을 보면 아쟁 • 해 금 • 피 리 와는 달리 짧은 -時價로 나와냐는 音 들이 많다. 특히 아쟁이나 해금의 경우는 -音인데 비해 大答의 경우는 짧은 時價의 전타 움올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의 전타음은 앞꾸멈음으로 생각할 수 있겠는데 中心이 되는 륨융 아쟁과 해금의 즙과 비교하여 同륨이 될때 확실하게 앞꾸멈음으로 처리하였고 특히 大쪽正樂에 井間讀로 수록된 井몸에서 꾸멈음 부호로 표기된 것을 주로 참고로 하 였다.

이 와 같은 방법 으로 分析하여 井몸에 서 나타난 앞꾸멈 음을 살펴 보니 총 10종류가 나타나 는데 이를 펀의상 國樂入門에 냐오는 부호로 표기하면 (7) /\·니'1:: 'S'7'λ."、.Ci.J''f''

3

이다.

그런데 이들 앞구멈음을 原륨을 기준으로 하여 장식음의 쏟안 높이를 살펴 다옴과 같이 4종류로 分類할 수 있다.

(1) 原즙보다 낮은 音으로 始作하여 꾸미는 것 : 기 (2) 原音보다 높은 音으로 시 작하여 구미 는 것 :

^.

(3) 原音보다 낮은 音에서 높은 音을 거쳐 꾸미는 것 : 드

(4) 原룹과 같은 音으로 시작하여 꾸미는 것 )..).s.\".ψ.

3

1) 시김새의 分析

위에서 四種類로 分類한 앞꾸멈음올 시김새별후 출현회수 • 꾸며준 륨 • 앞음과의 진행관

(3) 金짧洙編, r 한국음악 제 l 집 J(서울 : 국렵국악원, 1969), pp. 8-31.

(4) 金雄洙編, r 한국음악 제 5 정 J C서윷 : 국럽국악원, 1970), pp. 1-128.

(5) 국립국악원編, r 한국옴악 JC서울 : 한국고천음악출판사, 1969), pp. 9-22.

(6)

r壽齊天J C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자료살 所藏, 7융), 'No. 5:A

(7) 金짧洙, r 園樂入門 J , pp. 64ff.

(3)

- 7 9 -

계둥을 살펴 보겠다.

(1) 原音보다 낮은 즙 o 혹 시 작하여 꾸미 는 것.

왼음보다 낮은 음으로 시작하여 꾸며주는 앞꾸멈음에는 7 의 한 종류가 나온다.

CD

7 : 어떤 음계 안에서 제音보다 한계단 아래 즙을 급히 쳐서 꾸며내는 것으로 井間

調에서의 fJj와 이를 五線調로 옮겼을 때의 例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훌끓

井몸에서는 총 9회 나타나는데 실제의 例를 五線讀로 보이연 다음과 같다.

μ 낌한

, 앵g r~F

앓훌 . ....-..,중~~ 흡뚫

+':':':"::.1

*4훌~-,’*’~

r響

Zll

'/'I.""JIO. t • r. , -'7 •• ':' . - ; I1

‘.

1:, , ,

g

"".1 -, ’ I i I I ,1 , - -

----ι~

‘1-\4 1)

~‘、­r - -r.

뿔ζ」;#

,획

。로 표시된 것이 앞꾸멈음엄.

*

모두 黃鍾(續에 7회 • 遭에 2회)

위의 例 1과 같이 총 9회 나타나는데 에 앞꾸맙음 7 은

上활山(야하 삼 을 꾸며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라고 이 앞꾸멈음은 三鉉 훌山會相中

그러나 靈山會 현 영산회상이라 칭함)에서 l회 나타냐는데 이때에도.港에 使用되고 있다.

相中 上靈山 • 細靈山 • 가락덜이에서는 이 앞꾸멈음야 한번도 보이지 않는다 (9)

앞꾸멈 음 7 의 앞에 나타난 즙들은 그 박자의 걸고의 짧음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회 • 南이 2회)이다. 총 9회중 4회의 출현을 보인 fJj l의 a는 浦을 9拍으로 길게 뻗고 있다 앞꾸멈 음 7 이 쓰었을 때 의 즙進行을 살펴 보면 例 1의 a.b.c에 서 나타난 것처 럼

南呂(浦이 6

있고 例 l의 b에 전타음으로 접고 續으로 올라가고

上行하기전 짧은 (n 浦을 가續으로

있어서도 7 앞에 浦이 보이고 또 繼으로 上行하기전 浦을 전타음으로 갖는 것도 例 1의 a

다른 첨은 뿐이지 낮을 높이 만 a.b보다 한 Octave 와 같다. 例 l의 c에 있어서도 音의

一章 4째장단 4째박 二章 4째창단 4째악 같다.

2째장단 4째박 2째장단 4째박 • (8) 一章

二章

(4)

井톨떼 나타남 앞꾸밍옵

〈도표 1)

|풋|쫓I ~l

얘*

9 14 l 7 31

10 13 4 27

24 24

14 7 21

2 7 9

3 2 5

2 2 : 4

4

2 2

2 2

U 21 8 55 18 7 128

ìt

%뼈 6훌

\ 시검새가 붙은음

|

A

u

E

[S 7

<

「띠 ιF 、/〉

시겁새

‘ ’

A

24 48 31 1 2 106

21 3 24

V\ 5 7 1 13

3 3 2 8

U 6 6

I二 4 5

u

3 3

8 61 55 37 2 2 165

생훌

*

1 林 |

{:II:

〈도표 2)

、\ζ‘1 검새가 붙은음

|

시낌새

--_1

※ 井둠과 비교하기 뷔하여 井뭄에 나온 앞꾸멈음만 다루었음.

삼현영산회상중 上톨山에 나타난 앞꾸멈읍

〈도표 3)

\녕l 낌새가 붙은음 {

시김새

-_1

a m

9 7 6 3 1 77 얘*

2 2 13 8

qu

J

Af l

---- I

s

24 l

6

3

18 6

j

j

※ 井둠과 ~l 교하기 위하여 井몸에 나온 앞꾸멈음만 다루었음.

l 6

、〉

7

(5)

이런 챔들을 살펴볼 혜 앞꾸멈음 7 은 어떤 음에서 한계단 위음으로 上行進行할 때 7 앞 에 나온 흡과 同一한 즙을 3도 아래의 짧은 전타음으로 갖고 높은 륨A로 進行한다고 볼수

있다.

진행은 얹12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그러 냐 井몸의 4장 마지 막 장단의 6박에 서 7박으로의

앞꾸멈음 7 이 쓰이지 않고 있어 위의 例들과 다르다 .

• • γ .~ 1I

t--\

L→느~ l

L l 11 11

| k 훌걱층를,- 룹쫓

" ν l

南→港으로의 진행인떼 그 사이에

?"S •• r

t 4-

]

t|

P

{71J 2.

購“

例 2와 갇은 경우는 단 1 회만 냐타나는데 이 경우 南은 짧은 時價의 여마는 즙이며 港의 전타음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짧은 時價의 南뒤에 오는 原音에 또 장식음을 쓰는

그러묘로 단 1 회 출현하 는 例 2를 제외하고는 浦(南)→繼(續)으로 上行進行할 때는 주로 앞꾸멈음 7 을 거침을 알

앞꾸멈음 7 이 쓰이치 않았다고 생각된다.

것이 불펼요하여 灌에

수 있다.

오히 려 뺑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갚다. 따라서 뺑→總의 두계단 위음으로 上進하기 전에 續앞에 앞꾸멈음 7 이 쓰인 것 으로 나타냐 例 1의 a.b.c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 고 단 1회 나다냐는 삼현 영 산회 상에

그러 나 例 1의 d는 그 앞의 륨을 浦으로 보기 어렵고

서의 앞꾸멈음도 例 1의 a",d와는 다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도표

4>

슨슨←--람의 음

시김젤쉰~-~-­

←→,.--:.._-~---_._---~----

----=-=--=-꿇, I

2

I

2

빼;

l휩 j빼

7 6 1

*훌

6 9 2

앞꾸멈음 7 은 모두 上行進行時에 쓰였음을 알( 수 있다‘

(2) 原홈보다 높은 흡으로 시 착하여 꾸며 는‘것.

(9) 도표 l ,~, 3 참조,

따라서

(6)

원음보다 높은 음으로 시작하여 꾸마는 것에는 /\과 人이 나온다.

CD ^:

어느 음을 낼때 제음으다 한계단 위음을 급히 쳐서 내는 것

y

i

I1

표꾀 “

井몹에 서 제 일 많이 出現한 앞꾸멈음으로 총 31회 보이 고 있는데 (10) 실 제 의 例를 五線調 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 g 휘~

_'

~(}i) 릎훔 률

4

例 3.

~ fiì~_

-t앙 uu 읍

..

8 힘",

뽕~~→;T」「7

--

"

‘푸3

g

11/

l

圖 톨-

"..‘

-‘ 때 , .fl.

_,

.,

뽀 , v

S.

L

liI :힐

a

1) _, _ _ _

:::::::t

#~二솜→· :서 !i ! d 느;

z

'll

위의 倒 3에서와 같이 앞꾸멈음 A은 총 31회 나타나는데 그 꾸며주고 있는 룹의 分布를 보면 ìt에 14회 • 南에 9회 • 浦에 7회 그리 고 1!JJi에 1회 이 다(1 2) 따라서 A는 ìt와 南 • 浦에 접중적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앞꾸멈 음 /\을 살펴 보면 영 산회 상중 上활山에 서 총 106회 나타냐 이 곡에 나타난 앞꾸멈음중 제일 많이 쓰였는데 이 106회중 太에 48회 • 沈에 2회 • 林에 31

井봅 外의 다른 곡에서

회 • 黃에 24회 쓰였다. 그리고 삼현영산회상에서는 총 7회나타냐 이중 沈에 6회 쓰이고 있

다 (13’.

이와 같이 앞꾸멈음 A는 각곡에서 2"-'3음에 접중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앞꾸멈 음 /\이 쓰였을 때 의 좁進行을 살펴 보면 .ìt에 A 이 붙었을 때 는 例 3의 a.

12째박 ·二童 6째 (10) 도표 1 참조.

(ll) 一章 2째장단 12째박 .-章 7째장단 15째박 .-章 4째장단 12째박 6째장단

창단 12째 박 • 二章 2째 창단 12째 박 二章4째 장단 12째 박.

(12) 도표 l 참조­

(13) 도표 2,3 참조.

(7)

- 8 3 -

π_.~_.

날훌꿇 #

,

... n. "'!'II...

쫓좋

” íQ] -

(1\

\1 ----.

z

1J

例 4.

률롤 틀펄

::tt 훌

명 w

|꾀

”룰

(i\

~

A .

뚫홉

z.lJ

옳醒

C힘쭈· 렐갚

t

’*

{

, i 띔*-*(냥

!'"' . .

밥 댈

펠4=r;.

,,-- -써-갱

j

+

j

= --

L

# 「 -쩍

: 1 l

11

\i

L좋좋훌

&갱=

gg

..1 ,"'\

걸고 짧음의 차이는 있으나 a'.b.b'.c에 서 보여 주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앞의 륨이 박자의

/\이 붙는 않와 同一룹이다. 이때 a와 a'에서는 뒷구멈음을 갖고 있어 문제가 되겠으나 主

同一音인 lt를

된 륨을 따지면 lt가 되기 때문에 /\의 앞좁을 lt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연이어 낼 때는 한 흡 높은 륨을 전타음(앞꾸멈음)으로 갖는 모양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例는 例 3의 d.d'.d"에서 북이는 것처럼 南에 앞꾸멈음 /\이 붙었을 경우에도

장식된 南와 同즙인 南이 같은 모양올 보여 준다. 즉 南에 /\이 쓰였올 때 前좁은 /\으로

라는 점이다. 따라서 例 3의 e의 단 1회의 예외를 제외한다면 k와 南에 쓰인 앞꾸멈음 A

의 前音은 A이 붙는 原룹과 同-즙이 라는 공통점 을 갖게 된 다.

그러 나 7회 나타나는 浦와 l회 나타나는 激에 서 는 그와는 다릎데 浦에 /\이 쓰었을 때 는

浦으 처럼 財에서 그 前音이 반드시 뺑이며 또 그 뺨에

s

(센떠름표)가 붙는다 (14)

여커서 주목할 만한 것은 財→浦으로의 進行인데 例 3의 f.f'.f"에서

로 진행할 때는 반드시 繼을 거친다는 점이다. 井몹에서 例 3의 f.f'.f" 外에도

微→浦으 6회 나타나며 橫을 중간에 거치지

로 진행할 때 繼을 거치는 경우는 例 4와 갚은 경우로

않고 뺑에서 浦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어떠한 형태로도 나타나지 않는다.

쓰여진다고 거치는 것은 하나의 공식처럼

그러으로 뺨→浦으로 진행할 때 중간에 織을 볼수 있다.

(14) 例 3의 f. f'. f"

(8)

~ 훌

이롤 종합해 보연 앞꾸멈음 A은 어느 음에서 同좁으로 진행할 때 뒤에 오는 同音 앞에 붙어 꾸며주는 경우와 어느 음에서 한계단 위음(長 2도)으로 上行進行할 때 뒤에 오는 음 의 앞에 붙어 꾸며주는 경우의 두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後者의 경우는 삼현영산회상에서도 많이 나타나며 (총 7회중 6회)

,

영산회상에 서도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上靈山에 69회 (총 106회중)

,

그리고 中靈山에 54회 (총 81회중)

• 細靈山에 7회 (총 12회중)

,

가락덜이에 3회 (총 10회중) 나타난다.

따라서 삽현영산회상과 영산회상에서는 한계단 위음(장 2도)으로 上進할 때 앞꾸멈음 /\

。l 많이 쓰이고 同룹으로의 진행에셔는 매우 적게 쓰이고 있어 井몹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도표 5) 井물에서 앞꾸입읍 /\이 꾸며출 읍과 그 앞의 音 ---、',,- 앞의 응

} •

시김새붙가은음 ~

‘ ~ \

、、、、

‘ì*

m

1 8 9

14 14

@해 1 1

7 7

1 8 15 7 31

@ λ : 어느 즙을 낼때 제음보다 두계단 위음올 급히 쳐서 낸다.

훨과

-캉4

w*- t

井몸에 서는 총 5회 나타나는데 질제 의 例흘 五線讀로 보이 면 다음과 같다.

5.

” 팩

/R

tg.. F - 〔힘 ( 빼 랩

(i"\

-fh-해7~ ‘~ 、_' r

..

‘!! ...-: _ ! L :I ‘ -

ζ~ ’Ç) 、”‘ Z획 !훌4

(15) 四章 2째 창단 10, 13째 박

(9)

8 5 -

위의 例 5에서와 같이 앞꾸멈음 λ 이 나타나는데 ‘꾸며주고 있는 홉의 分布는 林이 3회 • 灌이 2회이다. 이 시낌새는 영산회상중 上靈山에 8회(빼에 3회 ·林에 2회 ·黃에 3회), 그 리고 中靈山에 15회 (林에 5회 • 演에 4회 • 黃에 2회 • 빼에 4회) • 細靈山에 4회 (林에 2회 • 續에 1회 • 件에 1 회) • 가락덜이에 2회 (林에 1 회 • 빼에 1회) • 삼현 영산회상에 6회 (灌에 6 회)로 나타나는데 이로 보아 人는 林鍾과 黃鍾에 주로 쓰이고 있옴을 알수 있다.

그런데 앞꾸멈음 人이 쓰일 때 그 前룹의 진행상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겠는데 첫째, 例 5의 a와 b처럼 原룹에서 한 계단 낮은 음으로 下進할 때 앞꾸맘음 λ 가 붙는 경 우와 둘째, 倒 5의 c처럼 原音과 同흡으로 계속될 때의 경우이다.

첫먼째의 경우(例 5의 a.b) 처럽 어느 음에서 한계단 아래음(長二度)으로 하행진행할 때 앞꾸멈음 λ 율 사용하는 경우는 삼현영산회상에서도 볼 수 있는데 人이 나타난 6 회 모두가 이러한 진행을 보여 주고 있다. 이때의 진행은 5회가 例 5의 b처럼 &→港으로의 진행에 灌앞에 人을 샤용하고 있다.

그러나 영산회상에서는 한계단 아래음으로 하행진행때 人이 쓰인 例는 매우 적어 上寶山 에서 1회 (총 8회중) • 中靈山에서 3회 (총 15회중) 나타나고 細靈山과 가락덜이얘서는 1회도 보이지 않는다.

두번째의 경우처럼 (例 5의 c) 同흡으로 진행할 때 앞꾸멈음 λ 이 쓰이는 경우는 영산회 상에 서 많이 보이 고 있는데 上靈山에 4회 (총 8회 중) • 中靈山에 8회 (총 15회 중) • 細쩔山에 3회 (총 4회중) • 가락렬이에 1회 (총 2 회중) 나타나고 있고 삼현영산회상중 上靈山에서는 1

회 보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앞꾸멈음 人는 크게 두가지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겠는데, 첫째는 南

→林 혹은 ìt→漢둥의 下行進行時 그 사이 에 사용되 고, 둘째는 同즙이 계 속될 때 뒤 에 오 는 同音앞에 앞꾸멈으로 사용된다.

그러냐 井몸과 삼현영산회상에서 나타난 두가지 경우의 진행과는 달리 영산회상에서는 두계단 위음(太→林 : 完全 四度)올 상행진행이 2회 • 세계단 위음(黃→林 • 完全 5度)의 상 행진행이 3회 나타나는 점이 특이하다.

(3) 原흡보다 낮은 홈에서 높은 륨올 거쳐 꾸미는 것.

원음보다 낮은 음에서 높은 음을 거쳐 꾸미는 앞꾸멈음에는 1::. (24회)과 단J (4회) 두 종류 가나온다.

φ 1::. 어느 홉올 낼때 한계단 아래음 • 한계단 위음올 급히 거쳐서 제음올 내는 것.

井몸에 서는 총 24회 나타나 앞꾸멈 음중 3번째 로 많이 보이는데 질제의 例를 五線謂로 보

(10)

〈도표 6) 井톨메서 앞꾸빔읍 A 이 꾸며훈 옵과 그 앞의 음

~~~

앞의음 1

시낌새가

---

붙은음 ---,

‘~

3 2 5 2

1

2 2 2

[ 뽑

l

됩 鍵

이면 다음과 같다.

위의 例 6에서와 같이 앞꾸멈음 E 이 나다냐는데 꾸며주고 있는 즙의 分布는 ìt에만

24

6.

, 멸 1(메 -_ . .

lII\

-*흩hf「·」 ?· ? ?l 1

’ +획

l‘)

I

~__

111

~f')...‘-

+--우-' -1!-느듀녁 - 1

깨) - - ... _.

「 iζ →→f

"

R

효료흐·

11

(폐

... o. "'""'-

;7- -:--~

ι힐

·:

i f

--

= = =

---F

E =•

=

협각

댐 靈 훌醫 -

I 횡←~

4

*= ,

1

담 = -

I'!I

띄꾀 ... t. 쩔 /류\

,..., _r.-" .... _

轉 .

:t.힐t

h

EE--( t ,/한\

_ ••

벌._ ~ __ ' ~_''"'_'.' ~.''''''''f'''''''꾀 t젠

! ‘ ':"1 -

.!

- J I! i=.-)IL.iý'서카카f

L요 rv B Mt

l'

1 11. - ~ 二 」上→:::::::::::::::::~4W___

z-i\획 !힐

n ,

(16) 一章 5째 장단 13째 박 一章 6째 장단 10째 박 二章 5째창단 13째박 二章 6째박 10째박

(11)

8 7 -

회 모두 쓰였고 다른 어떤 흡에도 쓰이지 않은 첨이 특이하다(17)

다른 曲에서의 경우를 살펴보면 삼현영산회상에서는 灌에 12회 .tt에 7회 쓰였고 영산희 상충 上靈山에서는 太에 4회

林에 1회, 그리고 中쩔山과 細靈山에서는 &에 1회

가락덜

이에서는 沈예 2회 쓰이고 있다. 그러묘로 이 두곡에서의 앞꾸멈음 E 은 않와 橫에 주로 쓰임올 알 수 있다.

다음에 앞꾸멈음 E 이 쓰였올 때‘ 그 앞의 音올 살며보면 例 6의

a.a' .a"

.a''''에서는 南 (10회)이며 진행은 南→tt의 두 계단 위음(完全 四度)으로의 上行進行올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진행은 井몸에서는 가장 많이 나타난 진행이지만 삼현영산회상과 영산회상에 서는 단 l 회도 보이지 않고 林→tt의 세계단 위음(完全 五度)으로의 上行進行이 많이 냐타 나고 있는데 영산회상에서는 총 8회중 5회 • 삼현영산회상에서는 총 20회중 3회가 나타난다.

南→tt의 진행다음으로 많이 보이고 있는 것은 例 6.b의 港→tt가 5회이고 c.c'의 뺑→&

가 5회이다.

倒 6의 b는 港→沈의 한음계 위음(長二度)으로 상행진행할 때 앞꾸멈음 E 이 쓰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영산회상에서는 2회 • 삼현영산회상에서는 단 1 회로 매우 적게 나타냐고 있다. 그러나 例 6의 c.c'처럼 뺑→tt의 두계단 아래음(完全四度)으로 下進 하는 경우는 영산회상에서는 1회도 나타나지 않지만 삼현영산회상에는 12회(件→黃)로 가 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倒 6의 d.d'는 않→tt로 同룹진 행 을 3회 보여 주고 있는데 이 와 같은 例는 다른 두곡에 서 는 천혀 보이지 않고 있으며 例 6의 e는 浦→찮외 세계단 아래 음으로의 下進하는 경우인 데 삼현영산회상에서는 無→tt의 진행이 단 1 회 나타날 뿐이다.

이상을 종합해 보연 앞꾸멈 E 이 쓰일 때의、진행은 여러 종류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 을 알 수 있겠다.

〈도표 7) 수쩌l 천에서 앞꾸빔움 E 이 꾸며준 읍과 그 앞의 움 앞의음

「 나 -나

~

b홉

tt

*

시김새가 붙은음

tt

5 3 5 l 24

한계단 위음을 급히 거쳐서 제음올 내는 것.

井몹에서는 4회 보이는례 질제의 例는 다음과 같다.

~ Cu: 어 느 숍올 낼때 한계 단 아래 음 • 한계 단 위 음 • 제 음 • 한계 단 아래 음 •

I흔j

(17) 도표 l 참조.

(12)

E 캠

따 /톨톰、

~.획

• • ..-、 .• -

-r--*「 £힐

.l·)

위의 例 7에서와 같이 나타나는데 모두 &에 붙어 rt를 꾸며주고 있다.

뼈J 7.

이 앞꾸멈음 단」

은 다른 두곡에서는 전혀 쓰이고 있지 않고 유독 井몸에서만 사용되었다.

a에서 b처럼 林→rt 따라서 앞꾸멈음 딘」은 rt에만 쓰.

나타나고 있는데 例 7의 나타나고 例 7의 이 rt를 꾸며줄 해 그 앞의 흡은 南이 2회 ·林이 2회로

처럽 南→rt(두계단 위음 : 완전 4도)의 上行진행으로 2회 (세계단위음 : 完全 五度)의 상행진행으로 2회 나타난다.

였으며 上行진행때만 사용되 었음을 알 수 있다.

井물에서 앞꾸믿읍 단」이 꾸며준 옴과 그 앞의 음

ìk 2 2 4

(4) 原룹과 같은 흡으로 시작하여 꾸미는 것.

원음과 같은 음으로 시 작하는 앞꾸멈음에는 니 (27회) •

S

(21회).

\"(4

회) • γ(2 회) •

3

(2 회)의 5 종류가 나온다.

쳐서 네음올 속히

CD

니 : 어 느 음융 낼 때 제 음 • 한계 단 아래 음 • 한계 단 위 음 • 체 음-의

빼 싸활 」

{

難 」

꾸며 내는 것.

활필

총 72회 나타나, 井몹에 나오는 앞꾸멈음중 두번째로 많이 나오는데 잘제의 나타난 例는 다음과 같다.

앞꾸멈음 니아 쓰인 룹의 分布를 보면 rt에 13회

南에 10회

浦에 4회이다. 이 니는 ìt

경우는 같아서 영산회상중 細盤山• 가락벌이에서는 쓰 와 南• 浦에 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는데 다른 2 曲에 서 도 이

上활山에서는 沈에 3회 • 中靈山에는 休에 2회 • 林에 1회이고,

이지 않았다. 그리고 삼현영산회장에서도 3회 모두 洙에만 쓰이고 있다. 그런데 이 니가

(18) -章 7째창단 4째박 二章 7째장단 4째박

(13)

- 8 9 -

힘ft rR4F! _ • --". 빠 ι 켈

망 낀e’‘f멤

‘4휠

11) {91j 8,

LJ 轉 ι

•. 、 예,

-

뚫좋

...

,....

t\~"‘쩨\ -'

,-...-,

• I'ÍI

=擊

,

-

foll

되f"_ ‘ r

.1l\.

111 t

/tiÎ\

£힐 ;를l

æ -.

--..~

.• -

π:;,.

! 1 ... I ‘.'-" ~.

훌醫

~!l

@훌후 , ... 후· 짧 •• '-"'". ~

- ‘ ;

•+

꿇 륨 μ

η

‘ 탤훌4개‘ Q힘*‘*것 """"'.f작후

3'획

깨\ - -'""'-

±칸;#亡그

훨뿔--+- ξ훨J

「ι--­

꿇¥

!l

-~때누 (

?-"--'-‘~

Z 휠

l다훤 ( 릎캘 +--+

l !l

井몹에서는 2 번째로 많이 쓰인 앞꾸멈음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다른 2 曲에서는 매우 적게

다음에 앞꾸멈음 U 이 쓰였을 때 그 앞의 音과 좁진행을 살펴보면 例 8의 a.a"a" .a'" 에 서 보이는 것처럼 前音은 빼 (11회)이고 激에서 ìt:로 한계단 아래음(長 二度)으로 하행진행

쓰이고 있다 (20)

時 앞꾸멈음 니이 가장 많이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진행은.영산회상중 上警山 에 1 회 (件→太) • 中靈山에 2회 (뺨→ìt: 1 회 • 無→林 1 회) 보이며 삼현영상회상에서는 1 회

({I변→太)보이고 있다.

例 9의 b.ν.b"에서의 前音은 演 (6회)이고 濟에서 南(한계단 아래음 : 短 三度)으로 하행 浦(한계단 아래음 : 短 三 진행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例 c.c' 에서도 續에서

(19) 一章 2째창단 10째박 章 4째창단 10째박 • 二章 2쩨창단 10째박 • 三章 4째창단 10째박 (20) 도표 1. 2. 3 참조.

(14)

度)으로의 하행진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은 진행은 영산회상 上靈山에 l 희(땐→太)

• 중령산에 3회 (뺀→ìt2회 • 無→林 l회) • 삼현영산회상에 1 회 (째→太) 보이고 있다.

倒 8의 d.e.f 는 그 나타난 즙과 형태는 다르지만 세계단 아래음(完全 五度)으로 下進했 다는 공통정 올 갖고 있다. d 와 e 는 浦→ìt로 下進했으며 f는 搬→南으로 下進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와 같은 진행은 영산희상 上쩔山에 단 l희(빡→ìt: 長六度) 보일 ·뿐이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例 9의 a에서 f까지는 그 앞의 룹과 형태는 다르지만 흡進行은 모두 r行進行올 하고 있어 앞꾸멈음이 쓰일 때는 주로 下進이 많이 냐다냐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그러나 例 8의 g는 林→南(한계단 위음:長 二度)으로의 上行進行을 보이고 있어 a" ,f 와는 다른데 g와 같은 상행진행은 영산회상에서는 보이지 않고 삼현영산회상에 단 1회(黃

→太) 보일 뿐이다.

따라서 앞꾸멈음 U 은 沈와 南·浦에 주로 쓰이는데 音進行은 높은 즙에서 낮은 룹으로 의 下行進行이 많아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도표 9) 井물에서 앞꾸멈옵 U 이 꾸며훈 옵과 그 앞의 읍

찮 浦

*훌

2

4 4

mω 퍼

4

2

<ID S :

제음 • 한계단 위음 • 제음을 강하고 빡르게 굴려서 붙여 내는 것으로 센떠름표라

고한다.

끓화 輔藍 촬갚

총 21회 나타나 앞꾸멈 음중 4벤째로 많이 나타나는데 실제의 例는 다음과 같다.

9.

‘ 힘 π .. '앓

4

(i 린 _ .. , (4)

4

훌 * E L . ,앓4

"

;액 쩌)

1

,획 ;ι ~ 藝홉

(21) 三章 1째장단 17째박 • 三章 2째창단 8째박 • 三章 3째창단 17째박 • 三章 4째창단 17째박 • 三章 7째창단 14째박 •

(15)

- 91-

때i4〔4”후· 짧·홍:f.' 랩 짱후 ... ~-d 틸 ,~~ 흉훈.

’바

.2

31

도3 ^_~a_.'뼈4

# 體

l 획

짧 떻(월맹흐 ... .-.

--.t-‘

|획

헐τ¥@휠삼(추

111

후라우 g *‘(r감 앓우

J 4 효↓ Z훌

앞꾸멈 음 S 가 쓰인 즙의 分布를 보면 微에 14회 (例 10 의 a에 서 d까치 ) • 浦에 7회 (e.e' • e") 이다. 뺑에 S 가 쓰이는 경우는 삼현영산회상에서도 총 20 회 나타나고 있어 S 가 財에 주로 쓰임을 보여준다. 특히 例 9의 a에서 d까지의 例에서 보여치는 것처렴 柳이나 林에는

마찬가지 이 다 (22) 삼현영산회상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유독 빼에만 쓰이고 있는데 이는

우기 영산회상중 上靈山 • 中靈山 ·細靈山 • 가락덜이에서는 S 가 쓰이저 않고 있는데 (23) 이 다시 말해 것은 이들 곡에서 빼야 한번도 出現하고 있지 않은 點과 관련이 있는 듯 하다.

않았기 때 서 井몹 • 삼현영 산회 상에 서는 나오는 微 이 상의 즙이 영 산회 상에 서 는 나타나지

문에 자연히 S 가 쓰이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S 의 쓰임은 극히 한갱적으 로 쓰임올 알 수 있겠다. 그러나 다른 두곡에서와는 달리 井몹에서는 例 9의 e.e' .e"와 같 이 浦에도 S가 7회 쓰이고 있다.

앞꾸멈음 s 가 쓰여질 때의 즙進行을 살펴보면 例 9 의 a.a'처럽 激→微(한계단 위음:短 위음으로 한계단

三度)으로 上行進行하는 경 우가 8회 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이 와 같이 上進하는 경우는 삼현영 산회 상중 上훌山에 서 도 3회 (件→林) 나다난다.

나타나는데 例 9의 b.b'처럼 lt→財(두계단 위음 : 完全 四度)으로 上進하는 경우는 3회

삼현 영 잔회 상에 서 도 3회 (太→林) 나타난다.

例 9의 c처럼 南→뺑(네계단 위음 : 短 七度)으로 上進하는 경우는 井둠에서만 2 회 보일 뿐이다.

뿐아지만 例 9의 d上렴 빼→뺑의 同흡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井몹에서는 단 l회 나타날

삼현영산회상에서’는 8회 (빡→뺑)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s 가 쓰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이상의 例 9 의 arvd 까지는 모두 上行進行을 할 때 빼에

었다.

(22) 도표 1.3 창조.

(23) 도표 2 참조.

(16)

다음에 例 9의 e.e' .e"쳐렵 浦에 S가 쓰인 경우는 7회 나타나 a.a' 다옴으로 많이 나타 냐는데 삼현영산회상에서는 앞꾸멈음 s 가 財에만 쓰인 것과는 다르다. 그러나 井몹에서 浦에 S 가 쓰였올 때의 경우는 浦이 짧은 박자(j))로만 쓰였고(참고로 뺑에 S 가 쓰었을 때의 #의 길이는 井몸에서는 」 이고 삼현영산회상에서는

J . •

~

• Þ .

h 이다) 浦앞의 룹은 浦을 길게 지속하다가 續으로 짧게 올린다음 浦에 S 를” 붙이 고 중요 선율선인 빡으로 폼 옐어지는(例 9의 e.e' .e" 참조) 일청한 형태로 모두(총 6회중 6회) 나타난다. 따라서 S 가 浦에 사용될 때는 일청한 선율형태와 박자에 극히 제한되어 쓰인다고 말할 수 있겠다.

여기에서 S플 센떠름표라고 부르는 것과 例 9의 a에서 d 까지 나타난 財에 S 가 쓰여졌을 때의 상황이 서로 관계가 있는 듯이 보여진다. 즉 S 를 센떼름표라고 부르는 것은 세게 또 는 강하게 꾸미라는 뜻인데 例 9의 a에서 d까지 나타난 例를 보면 먼저 S 가 붙은 音이 大 쩔에서 力吹를 해야만 낼 수 있는 높은 륨언 에*인데다가 a 에서 c 까지가 모두 낮은 즙에서 높은 좁으로의 上行進行이며 이해 S가 쓰인 뺨 바로 직전에 모두 숨을 쉬게 되어 있다. 上 行進行에서 숨올 쉬고 내는 즙은 세게 또는 강하게 내기가 쉬울 것이고 또 실제 연주에서 S가 쓰언 용은 셰게 연주한다. 이와 갚이 본다면 앞꾸멈음 S 는 즙의 세기와 관계가 있음 올 알 수 있다.

〈도표 10) #톨에서 앞꾸맘읍 S 가 꾸며춘 옴과 그 앞의 옵

싫요frt

i太 $때 *야

ì'#:

2 3 8 1 14

*협 7 7

2 3 8 1 7 21

@ \" :어느 음을 낼때 제음·한계단 위음·제음의 세음올 속히 굴려 꾸며 내는 것.

훨콰

I X " Y . V

h

I ... I .11 .

,_.

.1~ 1

、‘u

총 4회 나타냐는데 질제의 例는 다음과 같다.

倒,껴· 핸 a 머

·f---- 4:::r?견::::+==::: ...-...

료물~‘길 f ‘ .

?:::::::f•

~!l

(24) ;힐

(24) 一童 7째 창단 11 째 박 二章 7째 창단 11째 박

(17)

- 9 3 -

例 10에서 처럼 \A이 쓰인 音의 分布는 林(例 10의 a) 과 南(例 10의 b) 에 각각 2회씩 나 타난다. 이 앞꾸멈 음 \A은 井몸에 나타난 앞꾸멈음 10 종류중 많이 출현한 順으로 7 번째 로 매우 척케 나다나지만 삼현영산회상에서는 총 10회 (林에 4회 • 뺑에 2회 • 遭에 3회 • 南에 l 회) • 영산회상중 上靈山에는 총 13회 (黃에 7회 • 港에 1 회 • 柳에 5회)로 각각 3번째로 많이 나타난 앞꾸멈 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5) 영 산회 장중 中寶山에 총 14 회 (柳에 3 회 • 林에 4 회

• 黃에 4회 • 演에 1 회 • 備에 2회) • 細靈山에 총 4회 (林에 2 회 • 黃에 2 회) • 가락럴이에 총 6회 (빼에 3회 • 黃에 2회 • 灌에 l회 ) 나다난다.

井몸에 나타난 앞꾸멈음중 대부분이 한 • 두음에만 주로 쓰이고 있으냐 이 \A은 黃(橫)

• t(. 林(柳• 뺨) • 南의 여러음을 꾸며주고 있는 점이 득이하다.

륨進行을 보면 例 10의 a처 럼 漢에 서 林(두계 단 아래 음 : 完全 四度)으로의 下行進行이 2회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영산회상중 上靈山에‘ 9회(黃→빼이 3 회 ·件→黃이 6 회)

• 中훌山에 2회 (太→{南) • 細靈山에 l 회 (件→黃) • 가락렬이 에 3 회 (黃→빼)보이 고 삼현 영 산 회상에서는 단 1 회 〔黃→빼) 보이고 있다.

例 10의 b처 럼 林에 서 南 (한계 단 위 음 : 흉 二度) 으로의 上行進行이 2회 나타나는데 이 와 같은 경우는 영산회상중 上靈山에는 없고, 중령산에 4회 (件→林) • 細靈山에 2회 (뼈→林) • 가락렬이에 1 회 (無→灌) 보이며 삼현영산회상에서는 3회 (빼→林 2회 • 佛→柳 l희) 나타나 고 있다.

그러나 영산회상과 삼현영산회상에는 井몸에서의 例 10의 a.b와 같은 進行外에도 다른 진행이 나다냐는데 太→柳• 林→黃등의 세계 단 아래음(完全 五度)으로의 하행진행 • 太→

黃과 같은 한계 단 아래 음으로의 下進 • 林→灌의 두계 단 위 음(完全 四度)으로의 上進등이 다.

따라서 井몸에서는 앞꾸멈음 v、이 적은 회수로 나타나고 그 룹진행 또한 한정적으로 쓰 인 듯이 보이지만 영산회상과 삼현영산회상에서는 이와는 달리 출현회수도 많고 쓰이는 륨 진행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표 11> #물에서 앞꾸멈음 、i'O l 꾸며훈융과 그 앞의 읍

2

λ싫;J편|

j훌

2

2 2

AuI

(25) 도표 2,3 참조.

(18)

Q

ψ: 어느 음을 낼때 제음· 한계단 아래음·제음을 속히 굴려 꾸며 내는 것

끓 購 醫

關 ]

2회 나타나는데 실제의:例는3다음과 같다.

--해

V

f

‘ ...

내싹 짧흙 i 뿔캘

--十

T 例 11.

v

(26)

林에서 遭 例 11에 서 와 같이 林→遭으로 上行進行時 橫에 붙어 2회 쓰였다. 井몸에 서는

으로의 진행은 例 1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이지 않는다(단 빼→購은 보인다). 이 앞푸멈 음 ψ은 다른 두 曲에서는 쓰이지 않고 있다.

#물에서 앞꾸멈옵 *、01 꾸며준 옵과 그 앞의 융

〈도표 12>

‘-

시낌새가 붙은음 %홉 2 2

@

>:

어느음을 낼때 제음 • 한계단 위음 • 제음을 3동분하여 같은 길이로 내는 것.

關 녕 韓 훌률

]

A

--‘ •

l

- . .

_ .

1 • _ 11

子 í

--곽흩-i

U i ’

2회 나타냐는데 실제의 171J는 다음과 같다 •

• • . j.;"'" •

-_1

’, 1 1

1 :1 LJ

...

;효l

h l I . rl i

/L~ Í\-L ï

Iπ、 VIJ ,.., 난1---12 뼈1 12.

(27)

영산회상 그러나

나타난다.

例 12처럽 2회 나타나는데 그것도 짧은 길이(þ)의 灌에서

上靈山에서는 총 24회 (黃에 21 회 • 林에 3회) 쓰여 2번쩨로 많이 쓰이는 앞꾸멈으로 나타냐 二章 4째장단 17째박

二章 7째장단 10째박 (26) -章 4째창단 17째박 -

(27) 一章 7째 창단 10째 박

(19)

r u n 3

고 중령 산에 총 22회 (林에 17회 • 黃에 4회 .ìt에 1회) • 細靈山에 총 12회 (林에 12회) • 가 락렬이 에 총 10회 (林에 10회 ) 나타난다. 그리 고 삼현 영 산회 상에 서 도 총 9회 (續에 5회 • 財 에 2회 ·林에 1 회 ·沈에 l 회)로 앞꾸멈음중 4번째로 나타난다. 이 3曲에서 앞꾸멈음

3

0

1

꾸며준 즙은 黃(漢) • 沈• 林〔빡)이다.

앞꾸멈음

3

이 쓰였을 때의 좁진행은 껴J 12와 같이 2회 나타나기 때문에 무엇이라 말하 기 어려운데 演→灌으로의 진행으로 보아 同흡으로 진행할 때 앞꾸멈음

3

이 쓰였다고 생 각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경우는 영산회상중 상령산에 林→林 (2회) • 중령산장 林→林 CI 회) • 洙→、ìtCI 회) • 세령산에 林→林 (6회) • 가락럴이에 林→林 (7회) 보이고 있고 삼현영산 회상에서도 灌→灌의 진행이 5회(앞꾸멈음 3 이 총 9회 나타나는 중에서)‘나 보이고 있다.

그러나 영산회상에서는 이와 같은 진행보다는 太→黃 (24회) • 無→林 (23회)과 같이 한계 단 아래음으로 下進하는 경우가 더 많이 나오고 있다.

〈도표 13) 井물에서 앞꾸입읍이 꾸며훈 음과 그 앞의 읍

- - -

앞의음 |

시낌새가 붙은음 ----~I

港 |

b홉

2 2

이 상으로 앞꾸멈 융으로 나타난 ^ ' W ' C ' S ' 7 ' 人 • \ " • 단J' 'l'"

3

의 10 종류를 첫 째, 原즙보다 낮은 좁으로 시작하여 꾸미는 것 둘째, 原흡보다 높은 룹으로 시작하여 꾸마 는 것. 셋째, 原즙보다 낮은 즙에서 높은 音을 거쳐 꾸미는 것. 넷째, 原룹과 같은 흡으로 시 작하여 꾸며는 四種類로 분류하여 살려 보았는데 대 개 앞꾸멈음에 따라 꾸며 주는 특청음 이 있다는 사질과 어떤 특정한 선율진행에서 앞꾸멈음이 공식처렴 사용되는 경우둥이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는 井몹에 出現한 흡들중 어떤 音에 앞꾸멈음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가를 音別로 살펴 보겠다.

2) 出現흡에 따른 시김새의 먼도

井몹의 雄法은 界面調이고 (28) 륨階는 f南 (C)黃 (eb) 太 (f)貼 (g)林 (bb) 의 五흡으로 (29) 이루어 진다.

흡階를 構成하고 있는 五즙中 어느 즙에 앞꾸멈음이 가장 많이 쓰였는가를 많이 꾸며진

(28) 張師動, r 園樂總論j, p. 180. 眼師助韓萬榮, r 園樂職論j, p. 98. 李惠求, “흩훌齊天의 調와 形 式" r音大學報 第五輯j (서 울 : 서 울대 학교출판부, 1971), pp. 6-9.

(29) 金짧洙 李相龍, r大짝팍樂j , pp. 200-201.

(20)

흡l順으로 살펴보면 도표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음계 구성음중 셋째음인 tt가 55회로 가 장 많이 꾸며졌고 다음은 첫째음인 南(浦)가 39회 • 다섯째음인 빼(林)이 19회 • 둘째음인 織(灌)이 13회 • 넷째음인 激이 l회 順으로 되어 었다.

이것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둘째음인 沈를 장식한 앞꾸멈음은 r: (25회) • /\04회) • 니 03회) • 단J(4회)인데 드이 25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다음에 첫째음인 南(浦)에는

^(총 16회로 南에 9회 • 浦에 7회) • 니 (총 14회로 南에 10회 • 浦에 4회) •

s

(浦에 7회)

\,,(南에 2회)가 사용되 었고, 다섯째음인 林(빡)에는 S(빼에 14회) • 人 (林에 3회) • \,,(林 에 2회)가 사용되었는데 앞서도 말했지만 S 가 뺑에만(柳이나 林에는 사용되지 않고) 쓰인 점이 득이하다. 둘째음인 續(灌)에는 7(織에 7회 • 漢에 2 회) • γ(續에 2회) .λ(橫에 2회 가 사용되었고) 네째음인 i/JJi에는 /\이 단지 1회 사용되었올 뿐이다.

이것을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도표 14> 井물의 出現音에 따른 시김새의 빈도(앞꾸밍읍)

曲名 調 音階

싫t

A E 까、 v、

音順

{셋째음 ~ 4 55

첫째음 h협 7 18

"

F협 9 10 2 )29

21

1 째다섯음

얘* 14 14

)19

"

3 2 -5

둘째음 %훌 7 7

"

얘훌 2 2 2 1 )14

둠 調 7

넷째음 wî 1 1

31 9 5 4 2 1 128

2.

뒤꾸맘읍

어느음에서 다음음으록 진행하기 前에 앞음의 둬에 짧게 나타나는 륨들은 둬꾸멈음으로 처리하였는데 이때에도 原즙과 시김새의 구분은 앞꾸멈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쟁과 해 금 피리의 룹들을 참고하고 또 音時價의 길고 짧음도 참고로 하였다. 그리고 특히 大쩔正 樂에 수록된 井봅에서 둬넘는 소리표로 표기된 꾸멈음 부호를 주로 참고로 하였다.

이 와같이 하여 井몸에 나타난 둬 꾸멈음을 살펴 보니 총 7種類가 나타나는데 이 를 펀의 상 國樂入門에 나오는 둬넘는 소리표의 부호로 (30) 표기하면 N' 닌 .L. ∞·기·노. ~이다.

‘이들 뒤꾸멈음을 原흡과의 관계를 살펴 크게 3종류로 分類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30) 金짧洙, r 國樂入門 J , pp. 68-73.

(21)

- 9 7 -

(1) 原홈보다 낮은 즙으로 進行하는 것 :

S •

기 (2) 原흡보다 높은 흡으로 進行하는 것 : ∞ • L •

lJ

(3) 原륨과 同흡으로 進行하는 것 :

VI •

1) 시낌새의 分析

위의 三種類로 분류한 시김새별로 출현회수

꾸며준 룹

뒤음과의 관계퉁흘 살펴 보겠다·

뒤꾸멈음에는 (1) 原흡보다 낮은 룹으로 進行하는

종류가 냐

S

(12회) • 기 (8회)의’ 두 온다.

CD 닌

:

어 느 음에 서 다음 흡으로 넘 기 전에 그 음계 안의 한계 단 위 음

제 음

한계 단 아래

옹의 세음을 감은 길이로 내는 것.

l

~ .!i=i

뚱뻗←도즈드 o>-:!

관J

총 12회 나타나, 井몸에 냐오는 둬 꾸멈음중 두번째로 많이 나오는데

(31)

질제의 例를 보

E렐R .

r"-_.

I톰Lt 뜰팽

g굉R.

,.-...._. -._.

~뮤 L

훌훌↓

~L 서‘- 이연 다음과 같다.

예 13.

t 맴 R ‘

_ _ _ _

v힘 t

J 4~ ~‘)

‘ E럭빼 ""' _' t묶Ltf

f~

“ ;힐

싫ι1=

...

~.

_

웰 ,.r-~

. ...

돼→

L 밟 r

Z획

g}$.'

,--t;'

~첼 뚫률쿨

뚫좋

輯 購

’픽

l 획

뒤꾸멈음 h 이 쓰얀 룹의 分布를 보면 例 13의

a.a

’ .

a" •

a'"와 같이 ìt의

‘폼즉

둬꾸멈음으 로 10회, b.b' 와 같이 浦에 2 회 쓰였다. 그러나 둬꾸멈음 5 이 井돔에서는 두번째로 많이

나오치만 영산회상 上寶山과 中靈山에는 林에 각각 1 회썩 쓰었을 뿐이고 삼현영산회상에서

二章 2째장단 11째박 二章 4째장단 11째박,

는 한번도 나오지 않는다 (33)

(31) 도표 15 참조.

(32) 一章 2째 장단 11 째 박 -‘童 4째 장단 11째 박 (33) 도표 16

,

17 합조.

(22)

뒤 꾸멈음 b 이 ì*에 쓰였올 때 그 다음 즙으로의 進行융 보면 a.a' .a" .a"'c에서 보이는 것처렴 ì*에서 ì*로 進行하는 경우와(이때 ì*는 한계단 위의 짧은 천타음 〈앞꾸멈음〉을 갖 는다), b.b'에서 처럼 搬으로 진행하는 두가지 進行을 보여준다 arva'"의 경우는 k에서

&로 진행할 때 앞의 沈에는 뒤꾸멈음 b 융, 둬의 &에는 앞꾸멈음 /\을 쓴 점이 10 회 모 두 同一하게 냐타나고, b.b'의 경우는 浦에 서 激으로 완전 4도 下進할때 浦의 둬 에 뒤구멈 음 5 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영산회상 上盤山에 1회 나타난 경우(林에서 太로 완전 4도 下

〈도표 15) 井물메 나타난 뒤꾸빔옵의 종류와 꾸며준 음

가붙

째 닝 랜 ~

b짧 ~ 에*

N 3 11 14

b 10 2 12

1.... 2 2 7 11

「 8 8

8 8

p 2 5 7

2 2

껴l 10 3 4 29 7 62

〈도표 16), 영산회상중 소톨山메 나타난 뒤꾸멈움

;깅뀐랜짧P1-한L黃 l 太 L포l 林 l 無 I 續 l 뀐 계

N 12 3 5 7 3 l 31

3 25 l 1 30

l 12 4 17

p 13 13

1.... 5 4 3 12

5

1 I

12 6 49 21 41 7 5 104

※ 井뭄과 비교하기 위하여 井뭄에 나온 뒤꾸멈움만 다루었음.

〈도표 17) 삼현영산회상에 나타납 뒤꾸밀읍

가。τ 새붙

~ 키닙

~

시’~

\

\

i짧 ~ 썼 뼈 싸 째 빼

~

1 l 4 l l 13 11 13 19

9 9

p l 6 7

'-- l 1

2 13 3 1 24 6 49

※ 井몹과 비 교하지 위 하역 井몹에 냐온 뒤 꾸멈 읍만 다루었음.

(23)

- 99-

進時 뒤꾸멈음

b

이 쓰였음)와 같다.

따라서 둬꾸멈음 닌은 어떤음에서 同一한 높이의 룹으로 진행할 때 주로 많이 쓰임을 알

井물메서 뒤꾸밀옴 뇨이 꾸며준 음과 그 뒤의음

10 2 12

꿇든

2

@ 기 : 어느 음에서 다음음으로 넘기전에 한계단 아래음올 내는 것

π-기 l

L -

X

1 lA _ A U

"11 -L..I IoíL -1

‘---

」영ι 수 있다.

〈도표

18>

~뒤의옴 |

시검새 ~\ |

가 붙은음 、‘| ‘& 7!6

10

ìk

*홈 2 10

총 8회 나타나, 井몸에 나오는 둬꾸멈흠중 4 먼째로

많이 나오는데 실제의 뼈l는 다음과

껴 蠻

, 찰좋

.댄 g

F瓚

같다.

例 14.

J(

-

π---- ’ 우 쏠jF(*r

S 획 (34) l 획

이 뒤꾸멈음 끼은 例 14의 a.a/.a"에서 보이는 것처럼 8회 모두 &의 둬꾸멈음으로 쓰였 으며 거의 같은 모양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井몹에서는 한音에만 집중적으로 스스였는데 이는 영산회상과 삼현영산회상에서도 거의 같게 나타난다. 즉 영산회상 上靈山에

중령산에는 총 18회(林에 는 총 17회 나타나는데 林에 12회 • 沈에 4회 • 빼에 l회 보이 고,

14회 • 太에 3회 • 無에 l회) • 세령산에는 총 11 회 (林에 9회 • 件에 1 회 • 沈에 1회 • 가락덜이

심현영산회상에서는 총 13회 나타 에는 총 11회 (林에 8회 • 沈에 2회 • 뺀에 1회)나타나고,

林에 주로쓰 냐는데 椰에 11회 • 林에 1회 .tt에 1회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두곡에서는

이고 있음올 알 수 있다.

뒤꾸멈음 기이 쓰얀 다음의 륨進行을 보면 例 15의 a.a'.a’”에서 처럼 tt→빼(한계단 위

16째박 ·三 (34) 三章 l째 장단 16째 박 三章 2째 장단 7째 박 三章3 째 장단 16째 박 三章 4째 장단

章 7째장단 13째박

(24)

이와같은 진행은 영산회상 上靈山 太→件의 음 : 長 二度)으로 上行進行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에서 주로 보이고(林→無가 12회

太→件이 4회

件→林이 1회),

中활띠에서는 진행으로 2회 • 삼현영산회상에서는 단 1회(沈→빼) 보일 뿐이다.

그리고 영산회상중 中寶山·細靈山·가락렬이와 삼현영산회상에는 井몹에서는 보이지 않

는 진행이 나타나고 있는데 林→無 (11회) • 林→太 (4회) • ìt→無 (3회) 퉁의 下行進行과빼

→빼 (11 회) • 林→林 (13회)의 同즙으로의 進行이 보이고 있다.

따라서 둬꾸멈음 기이 쓰였융 때의 音진행은 井물과 영산희상중 上盤山만이 같은 경우의 즙진행올 보일 뿐이고 나머지 곡들에서는 井뭄과 다른 진행을 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물에서 뒤꾸믿읍 「이 꾸며준 읍과 그 뒤의 읍

극--- 뒤의좋뉴 I

시검새가 붙은흠---」 빼 |

〈도표 19)

8

(2) 原즙보다 높은 音으로 進行하는 것

훤음보다 높은 흡으로 進行하는 둬꾸멈으로는 L(l1회) .∞ (8회) • [J (2회)의

tk

세 종류가 냐온다.

φ L 어느음에서 다음 음으로 념기 전에 제음보다 한계단 위음을 내는 것

X

;二?

#

+ -

I

끓 離

l

훨표

총 11 회 나타나, 둬쭈멈 음중 3번째로 많이 나오는데 실제의 例는 다음과 같다.

;웰J걱?F짧힘끽훤 i쌀-홈웹촉7

- -

?~ 'iI

15,

‘ 윌 짧~w,'’*.* .... ~힐 &* r¥·

‘μ--'1-

;희 (35)

티후 혹(휴,

...

휴멸

-'"'-'

!획

딩추 -tl휠 , 태.,..:.

펴~톨·

를=날후=土

‘획

11(

이 뒤꾸멈음 L 은 井몹에서는 3 번쩨로 많이 나타나지만 영산회상중 上뿔山에서는 6 종류 중 5번째이며 삽현영산회장에서는 단 1회 나타나 제일 적게 쓰인 뒤구멈음으로 나타난다‘

(35) 三章 3째장단 4째악 三章 4째장단 4째박 三章 7째장단 4째박

(25)

- 101-

L 이 쓰인 홉의 分布를 보연 총 11회중 浦에 7회 ·微에 2회 ·灌에 2회이다. 영산회상중 上훌山에는 총 12회로 빼에 5회 • 無에 4회 • 遭에 3회 쓰였고, 중령산에는 총 15회 (無에 7 회 林에 3회 件에 3회 • 橫에 2회) • 細靈山과 가락렬이에는 각각 無에 3회씩 쓰였으며 삼현 영산회상에서는 단 l 회 나타나는데 &에 쓰였다.

둬꾸멈음 L 이 쓰인 다음의 音進行을 보면 a-a.' .a" 에서 처럼 浦에 L 이 쓰었을 경우는 짧은 박자의 浦으로 進行한 다음 바로 뺑으로 下行進行을 한다. 이때 길이가 짧은 浦보다 는 微을 주된 륨으로 볼 수 있겠는데 그렇게 본다면 浦에 뒤꾸멈음 L 이 쓰인 다음에는 한 계단 아래음(長 二度)으로 r行進行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b와 c.c'에서도 둬꾸멈음 L 이 붙는 흡은 서로 다르지만 L 다음에 下進올 하는 點은 같 다. 따라서 L 이 쓰인 다음에는 下行進行의 공통점을 보여주고.있다. 이 하행진행의 경우

는 영산회상중 上靈山에서도 총 12회중 10회나 보이고 있어 (2회는 上行進行) 井둠과 마찬

」가치로 하행진행을 보여주고 中靈山에서도 총 15회중 8회 • 세령산에서는 총 3회중 2회 • 가 락덜이에서는 총 3회중 l회자 하행진행이나 삼현영산회상에서는 단 1 회 나타나는 L의 다 음진행 이 上行進行이 다.

下行進行을 할 째의 즙程관계는 例 16의 a"-'c'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청한 음청(혹은 原 音보다 몇계단 아래음)으로 下行한다고 말하기 어려운데 이는 영산회상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다.

〈도표 20)

R 뒤의읍 1

시깅새 、

l

가 붙은읍

~-1

i홉 해*

1南

井물에서 뒤꾸멈음 」이 꾸며준 읍과 그 뒤의 옴

2

2

?t

t

2 2 7

n

F협

‘ì*

에*

2 2

@ ∞

:

어 느 음에 서 다음 음으로 넘어 가기 전에 제음보다 한계 단 위 음 • 두계 단 위음 • 한

계 단 위음

제음

두계 단 위 음의 五즙올 같은 길이 로 빨리 꾸며 주는 것.

변 니 벼

h -Y J] . . . 1 11 / L Þ

‘’

1."_11 11

lA 、 V I7‘l..LLJ I 11

、.Lf -~ “-..--'1 _ 1 11

“ . 총 8회 나타나는데 질제의 댐l는 다음과 같다.

16.

(26)

F

| ‘ •.

-:r.:::1 -,

- ,.:. _ "

c) -

I -. j

Z획

E겔

+•

1

@1

F -

l /

l

J r - - -

,

& 획

(36)

않 나타나지 영산회상과 삼현영산회상에서는

뿐 이 뒤꾸멈음 ∞은 井봅에서만 쓰였을

는다.

보이 는 것처 렴 林에 쓰었으며 ∞다음

∞이 쓰암 즙의 分布는 8회 모두 例 16의 a-a'에 서

의 즙進行은 모두 南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둬꾸멈음 ∞은 쓰이는 즙이 제한됨을 알 수 있

고 또 ∞ 다옴에는 上行進行(한계단 위음 : 長 二度)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井물에서 뒤꾸밀옴 ∞이 꾸며훈 읍과 그 뒤의 읍

〈도표 21)

---.. 뒤의옴

시낌새가 붙은음

8 8

@

μ : 어느 음에서 다음 음으로 념어 가기 전에 한계단 위음

두계단 위음을 내는 것.

• ‘’

11

..l

,

11

느느::::JII!I I L

·+

4

!

輔聽 쯤꾀

총 2회 나타나, 뒤꾸멈음중 제일 적게 나타나고 있는데 질제의 例는 다음과 같다.

‘ X 다 -며

T묶1 톨

十꿇(37)

h ,

.12 a

/ h "L /

소판u...용

뼈1 17.

井몸에서는 제일 적게 나타난 뒤꾸멈음이지만 영산회상중 上寶山에서는 4번째 (6 종류중)

·삼현영산회상에서도 4 번째 (5 종류중)로 나타나고 있다.

꾸며준 륨의 分布를 보면 例 17에서와 같이 2 회 모두 林의 뒤꾸멈음으로 쓰였다. 그리고

15째박 -:-章 2째장단 13째박 • (36) 一章 2째 장단 13째 박 • -童 4째 창단 13째 박 • 二章 5째 장단

二童 4째장단 13째박 .-章 5째창단 15째박

(37) 二章 7째창단 1째박 二章 7째창단 1째박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Finally, chapter 3 presents methods of education and those are classified the teaching methods for virtues of character, such as justice, temperance, and

찰스가 그의 행동에 대한 모든 개인적인 책임을 지고 새러를 찾아 나 서며 수많은 방랑생활 도중 겪게 되는 자아에 대한 각성의 시기와 새러 를 만난 후 마침내 진정한

&lt;최척전&gt;의 작가로서의 타당성에 대한 재점검일 것이다.더구나 조위한이 사 대부 가문 출신이라는 점에서 이 작업은 더욱 필요하다.이는 고소설의 특징 중 하나인 ‘

이러한 밝은 띠 현상의 구분은 현상이 나타난 지역의 연직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일정 고도에 다른 고도와 달리 강한 에코강도가 (cross section)..

전술한 대로 미인에 대한 사랑과 예찬은 중국고전문학의 세계에서 매우 깊은 함의를 지니고 있듯이 중국고전문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들이 미인에 대해 찬미하였다.

Steven Zeitchik, “Stoker: Chan-wook Park, Therese DePrez Detail the Film’s Symbols”, Los Angeles Times, March

다양한 의식의 형태를 통해 부쉬의 공동체로의 진입과 앤젤라의 자각을 이끌어 내고 이 모든 변화의 과정을 통해 앤젤라는 결국 자신의 이부 자매인

Second, indicating that the true self of an individual that pursues mental values in modern society is threatened by unsound phenomena of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