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激~

문서에서 나타난 77- (페이지 34-48)

8희

4) 激~

<DitIti→ìt의 한계단 아래음(長 二度)으로 하행시는 앞꾸멈음 니 (1 1 회)이 사용되 었다.

@ 澈→微의 한계단 외음(단 3도)으로 상행시는 앞꾸멈음 S (11 회)가 사용되었다.

5) 林(微)rv

<D 林→南의 한계단 위음(長 二度)으로 상행시는 앞꾸멈음 • /\(7회) • 뒤꾸멈음 ∞ (8

회)가 사용되었다.

@ 빼→빼의 同音으로 진행시는 앞꾸멈음 S (21 회)가 많이 사용되었다.

@ 柳→찮의 두계단 아래음(完全 四度)으로 하행시는 앞꾸멈옴 t: (5회), 뒤꾸멈음 노 (5회)이 사용되 었다.

위에서 살며본 바와 같이 어느 음에서 어느 음으로 진행할 때는 특청한 꾸멈음이 사용된 것올 알 수 있겠다. 위의 사항들올 도표로 보이면 도표 27과 같다.

4. 曲의 빠르기와 시김새

曲의 빡르치와 시김새의 관계는 별도로 한펀의 論文主題가 될 수 있으리 만름 중요하며 또 그 뱀위 또한 넓은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무로 여기서는 자연히 옮u限된 몇 곡에서 나타 난 것만올 얘커할 수 밖에 없음을 미리 밝혀 둔다.

먼저 井봅의 빡르기는 -分에 三十井間이고 영산회상중 上靈山과 삼현영산회상중 上靈山 도 井몸과 마찬가지 속도이 다. 따라서 이들 三曲의 속도가 갈으으로 이 三曲에 서 빡르기와 시김새의 관계를 알아보기는 어렵다. 더우기 井뭄은 처음부터 끝까지 숙도의 변화가 없는 곡이묘로 속도의 변화가 있는 영산회상을 택해 그중 上靈山• 中靈山 • 細靈山• 가락덜이 • 삼현도드리 • 하현도드리 • 엽불에서 曲의 빡르기와 시김새의 관계를 살펴 보겠다.

1) 上寶山과 中靈山

上關山의 속도는 t一分에 三十井間이으로 매우 느린곡이고 中靈山은 이보다 약간 빠르다.

이 러 한 두곡에 서 공통적 으로 나타난 장식 음을 보면 /\ • 入 .V1.t: .~.I. 니 L .

N.

μ

. h .

노 • s 으로 물론 출현회수는 약간씩 다르다. 그런데 上靈山에는 나타난 장식음

이 中靈山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있는데 ν과 노 h 으로 ν은 6회 나타나고 ~h 은 5회 나다나 고 있다. 그런데 이 두꾸멈음중 노 h 은 上靈山에만 나타날 뿐 영산회상 옳曲올 통해 다른

n

곡에서는 보이지 않으묘로 노 h은 上靈山같이 느린 곡에서만 쓰인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 정은 U도 거의 마찬가지인데 다만 U 은 다른 곡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데 하현도드리에서 3회 나타나고 있어 꼭 느린곡에서만 쓰였다고 말하기 어려운 점이 었다.

2) 細靈山

세령산에서는 대체적으로 모든 장식옴의 출현회수가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가락덜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中靈山 ·細靈山• 가락렬이를 上활山의 변화곡으로 본다면 (42) 속도의 변화에 따라 시김새의 출현회수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겠다. 즉 느린곡 에서 빠른 곡으로 갈수록 시낌새의 출현이 적어진다고 말할 수 있겠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弄鉉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43)

上靈山과 中靈山에 스스였던 장식음 가운례서 細靈山에는 안쓰인 것이 있는데 U 과 노 •

s

이고 細靈山에서 처음 나오는 장식음으로는 ι(1 회) 있다.

細靈山에 서 안쓰인 장식 음 가운데 노은 上靈山에 서 는 30회 • 中靈山에 서는 16회 나 나오는 데 그 외의 곡에서는 삼현도드려에 단 1회 나타냐는 것으로 보아 曲의 속도의 느리고 빠르 기에 관계가 있는 것같다. 그러나 나머지 니와 닌은 출현회수와 다른 곡에서의 출현상태등 을 볼 때 확실히 속도와 관계가 있는지는 알기 어렵다.

3) 가락렬이

가락렬이는 細靈山과 거의 비슷한데 세령산에서는 쓰인 드이 쓰이지 않은 점이 다르다.

그러나 E 은 삼현도드리 이후의 곡에서는 다시 나타나고 있다.

4) 삼현도드리

삼현도드리에서는 지금까지 한번도 냐오지 않은 장식음 기이 3회 출현하고 있고(이 시검 새는 하현도드리와 염불도드리에서도 계속 나타난다). γ 이 1 회 나타나는 점이 앞의 곡들 과 다르다. 따라서 이 두 장식음은 빡른곡(上靈山 • 中靈山에 비해)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 겠으나 上靈山과 속도가 같은 느린곡인 井뭄과 삼현영산회상중 上寶내에서도 나오기 때문 에 빠른곡에서만 나온다고 말하기 어렵다.

5) 하현도드리

하현도드리에서는 영산회상 全曲올 통해 다론 곡에서는 다 나오는 3 이 한번도 나오지 않고 삼현도드리에서는 나오는 ψ과

t;.

노이 보이지 않는다.

6) 염불도드리

앞의 곡들과 비 슷하냐 上靈山• 中靈山 이 후에 한번도 나오적 이 없는

h

이 1회 출현하고 (42) 張師動. r 國樂總論J. pp. 158-60.

(43) 꿇師J'lI]; r園樂論政 J. (서 울 : 서 울대 학교 출판부 1974). pp. 453-518.

었다.

이 상과 같이 영 산회 상의 9 曲중 上헬山에 서 염 불도드리 까지 7 曲을 통하여 속도의 빡료기

’와 시검새와의 관계를 살펴 보았는데 속도의 변화에 따라 시검새의 출현회수가 달라져 느 린곡에서 빡른곡으로 갈수록 시깅새가 적게 나타나며 小數이지만 시낌새의 종류에 따라 느 린곡에서 주로 냐오는 것과 빡른곡에서 주로 나오는 것이 었다.

〈도표 28) 영삼회상에 나타납 시김새

렐j‘I~I-T노 1 > 1 기 |니 L되균 λ | ν |냐「띄고김}각 ~l'~ 1 계

상 령 산 1061 31 30 241 17 151 13 13 9 8 6 5 5 3 11 •

.

298 중 령 산 81 37 161 22 181 15 171 14 31 15 l 3 11 ' •

. .

258 세 령 산 121 15 121 11 5 4 41 17 41 • 11 •

. . .

1 89 가락덜이 101 11 101 11 3 3 61 11 21 •

. . . .

2 72

삼현도드리 22 41 1 2 4 8 9 91 16 51 •

.

2 11 • l 136 하현도드리 171 30

.

6 6 6 61 14 4 31 • 3 11 • 102 엽불도드리 45 44 • ‘ 41 18 3 81 15 8 11 •

.

21 • 1 156 2931 209 47 74) 85) 551 601 67) 78 391 91 51 14 8 3 4 1, 111

三. 結 論

傳統즙樂의 흡樂的 特徵올 究明하는 一面으로 井몸에 있어서 大쩔의 시김새에 대하여 살 펴 보았는데 그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井몹에 서 lO~題類의 앞꾸멈 음이 나오는데 많이 出現한 順으로 살펴 보면 /\ • 니 t: •

s

' 7 ' • \ " .•

cu.

γ

. 3

의 順으로 되 어 있고 둬 구멈 음에 는 7種類가 나오는데 \". 닌 • 1 - ' " ∞ • 노 • !J 의 順으로 나타난다.

井몹에 나타난 앞꾸멈 음중 靈山會相中 上靈山에 나타나는 것을 順序대 로 살펴 보면 人

3 . \" •

ν • t: • ~ 의 順이 고 둬 꾸멈 음은 \ f \ • 노 • 가 !J • 1- • !:J 의 順으로 앞꾸멈 음종 /\과 뒤 꾸멈 음중 v、이 가장 많이 나오는 것만 井몸과 靈山會相이 같을 뿐 나머 지는 다르다.

三鉉靈山會常에서는 앞꾸멈음은 t:

.s."\ . 3 .^.

λ 7 의 順이고 둬꾸맘은 \".

,.t,....!J.1-의 順으로 되 어 있다.

그리고 井몸에 나타난 꾸멈음이 靈山會相과 三鉉靈山會相에서는 안쓰인 것이 었고 井몸 에는 안나타난 꾸멈음이 다른 二曲에셔는 쓰이기도 했다.

(2) 裝節音의 대 부분이 좁階를 構成하늠 各즙에 따라 특징 적 으로 한갱되 게 꾸며 주고 있

?

n

는 것이 많다. 다시 말해서 장식음에 따라 주로 꾸며추는 특정한 륨이 있는 경우가 많다.

(3) 장식 음의 種類롤 가려 지 않고 융계를 構成한 흡충에 서 장식 옴으로 가장 많이 꾸며 준 륨올 順序대로 살펴 보면 井몹의 앞꾸멈에서는 셋째음인 t,t, 첫째융언 南(浦), 다섯째음인 漸(林), 울째음언 總(灌), 넷쩨음언 激의 )1頂으로 되어 었고 뒤꾸멈융에서도 셋째음안 야에 가장 많이 쓰였으며 林(微) • 浦(南) • 續의 順으로 되어 있다.

(4) 선융진행관계로서의 장식음을 보면 장식음에 따라 그 음계 안에서 몇계단 위음으로 의 上行時에 주로 쓰언 것 • 몇계 단 아래옴으로의 下行時에 주로 쓰인 것 • 同흡으로의 進行 時에 주로 쓰인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어 旅律의 형태와 선율진행의 方向에 따라 쓰이는‘

장식옴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난다.

南→ìt의 進行時는 ’ζ(10회)가 많이 쓰였고 南→南에는 /\(9회) • 浦→遭에는 7(9회) • 浦→뺑에한 S (7회) • L (7 회)가 쓰였으며 續→南에는 니 (5회) • ìt→灌에는 t: (5회) •

v1

(10 회) • 沈→&에는 ^Cl 4회) • 늬 00회) • t,t→激에는 기 (8회)가 쓰였다.

激→ìt에는 니 01 회) .• 빼→財에는 S (11 회)가 쓰였으며 林→南에는 ^(7회) • ∞ (8회) • 뺑→뺑에는 S (21 회) .뺑→&에는 t: (5회) • ~ (5회)가 쓰였다.

(5) 曲의 속도와 시검새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느린 곡보다 빡른 곡에서 시김새의 출현회 수가 적어진다고 말할 수 있겠고, 특히 ~.ν. ~h. 니 ~ 풍과 같이 복잡한 시김새는 느 린 곡에서 주로 나온다.

(6) 井몸에서 樂句가 시작할 때 주로 쓰인 시깅새로는 t: 06회) • S (13회) • 7 (9회) • ∞ (8회) • 니 (7회) 둥이 나타나며 樂句가 끝날때 여미는 시깅새로는 ~ 00회) • ^(IO회). ~ (3회)이 나타난다. 따라서 여미는 시깅새에는 특정한 몇개의 시김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데 이러한 大짝의 시김새는 調의 성격뿐만 아니라 大쩔의 즙色을 보다 풍부하게 만 들어 주므로써 西洋音樂에 비하여 出現즙도 制限되어 있고 게다가 느려서 單調로운 것 같 이 보이는 가락에 찬란한 後光을 비 춰 주어 셔 단순함이 변하여 앞重한, 아름다운 單純性

(Beautiful Simplisity)

을 만들어 주고 다.

흩흩 考 文 . '

옮짧洙, r國樂入門j , 서울 :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72.

r한국음악 제

1

점 j, 서울 : 국럽 국악원,

1969.

r한국음악 제

5

정 J. 서울 : 국럽국악원.

1970.

金짧洙 • 李相龍編. r大짝正樂j. 서울 : 은하출판사, 1l)

79.

國立國樂院編, r한국음악j, 서

울 :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69

,

훌훌齊天, (TAPE,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자료질 소장, 7 1/2), No. 5:A

李惠求, “훌齊天의 調와 形式“ 「音大學報 第五輯j , (서 울 : 서 울대 학교 출판부,

197

1), pp.

6-9.

r韓國륨樂序說j ,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5.

李惠求等編, r음악대사전 j. (서울 : 미도문화사,

1977)

眼師動. r國樂總論j. 서 울 : 正홉社,

1978.

r國樂論巧j. 서 울 : 서 울大學校 出版部.

1974.

」韓國홉鏡즙樂의 細究j. 서 울 : 寶흡짧,

1977

張師動 • 韓萬榮, r國樂樓論j. 서 울 : 韓國國樂學會,

1975.

m

μ

Summary

A Study on the Ornament MarksC “ Sikimsae") in Chung-Euþ

Hwang Uijong

Korean 'traditional music, as any nation’s traditional music has its peculiar mU8ical characteritsics in its own way, has its musical peculiarity as well. Therefore, it appears to me very important to research for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ìonal music which is full of spirit and is transmitted from our lives. It is due to the problems that are the tasks to be cleared up for the creation of new music with the preservation and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is thesis, 1 tried to study the ornament marks (Sikimsae) that ar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t may be a distinguishing feature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many ornament marks, especially in Hyang.Ak. And so, the. studies on the ornament marks are a prerequisit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devices of studies, 1 carried on my researches with taking Yungsan.Hoesang and Samhyun.

Yungsan.Hoesang which are belonging to Kemyun.Cho with the emphasis on Chung.Eup, and in these works ... Yungsan-Hoesang and Samhyun-yiμngsan.Hoesang .•.... 1 ,studied by what rules the ornament marks are used on Taekeu껴. And after studying the methods of ornament marks used in going up and down of the "melodic progressions, 1 surveyed the melodic characters of Taekeu까, and furthermore 1 checked u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nament marks and tempo. The digest may be shown as follows;

1) In Chung.Eup, ten kinds of fore-ornament marks appear, and in the order of frequency

/ \ · 니 .c.S.7.λ·\". "u .γ.:> comes up. And, there are seven kinds of post-ornament marks, which

appear V1. ~ L ~ in the order of frequency.

2) Most Sf ornament marks embe1l1sh the tones limitedly in proportion to each tone that constitutes musical scales, that is, the ornament marks embellish particular tones according as those ornament marks for the most part.

3) The tones which are embellished by the ornament marks the most frequently, disregarding the sorts of ornament marks among the tones that constitute the scale, are (in order);

In fore.ornament. marks, the tone embellished the most frequently, is Tae (the third tone), and next tones embellished f~equently are Nam (the first tone)," lmm (the fifth tone), Whang (the second tone) and Ko (the fourth tone) in order. In post-ornament marks, the tone embellished

frequently is Tae (the third tone; just same as in the fore-ornament mar Whanng in order.

4) The ornament marks in relation with the melodic progression can be dividde into three instances according as the ornament marks. The first is the ornament mark used in the scale at

going.up to the upper tone for several 5teps

,

the second is at going'down tothe lower tone for several steps, and the last is used at the progression to the same tone. For that reason the 50rt of ornament marks that used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orm of melody and the direction of melodic progression.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 of the works and the ornament mark, it may be said that the frequency whìch appears in the fast works diminishes less than in the slow. works. Specially

,

the complecate ornament marks such as '-L 'ν· 노 h. \..1. appear in the slow works for the most part.

6) In Chung.Euþ, the ornament rnarks which used rnainly when the phrase begins are c .S. 7.

∞. \..1, and when the phrase ends are S' /\· κ. In consequence, we can find that there are several

specific ornament marks iil the closing ones.

*

117

-톰 r1ø훌톨

tjo

통·gi?

맥-없---!-에n 톨

~S

면F

l

Q

t

해웰 헤

κ

n머 l

: f : t ‘

rjIl톨

'

..

폼홍

@@ag @

n EFν@ia ·매 :니

「‘1

Ei‘‘w@에(] 배 폼

ER)@@aQ

매 줄ν

-

119-줌 rjll홍틀ι dn 5tω얘

훈낼b1jO MlI를

폼 이P염 등~ 좀옆‘

rjll 를

ν。

운Fg

~

E그잉야ν써。 매 *μ ESω∞잉여다

Mo 를

"

종낼

ζii@¢‘”a 매 흔 ζ‘며@6

m·f

Eaι$ι애。

**

-

121-ES@gιg E3*M@i‘。밴 rμ

ESig$g

ν

*>

Ei‘양얘다

M

*“

Ei@@ωgR 매 룰니 EWι@·매 }{니

E그@¢ι,。 ·매 좀 ::r‘““’}에Q ’매 양 ;isι@@】∞디 며’ =니

:i5w뼈@@。 ·매 륨

E힘

\

、、

‘ -

-- -

123-i

=

*틀

껴P 틀 nJl툴 ~Il틀

걱F 용 폼홍

@ ~

.,

@

=!t

걷F 애

l!"cS

。이 a ζ 야그I

문서에서 나타난 77- (페이지 34-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