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면장애와 폐기능 및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수면장애와 폐기능 및"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상노인의학회지 제 1권 제4호 2000 Korean J Clin Geri Vol. 1, No. 4 December

노언에서 수면장애와 폐기능 및 호홉증세와의 관계

이상현, 검문종.

인하의대 가정의학교실, 중문의대 가정의학교실·

口원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the pulmonary function and symptoms in the elderly.

Sang-Hyun Lee, M.D., Moon Jong Kim*, M.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I바ia University.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Jungmun Medical Universi;영*

저口

B훌::k9"0U념 : Sleep com이없nts are common among the elderly. Among the illness associated with disturbed sleep, respiratory symptoms and functions may be improved by the proper treatment. The improvement of respiratory symptoms and functions may affect better effect on sleep. The p따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the pulmonary function and

symαoms in the elderly.

Me엔lOd톨 : We investigated 590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who visited Health Care Center of

I따la U띠versity Hospital in 1998. Sleep disturbance and the pulmonary function and symptoms were evaluated.

R용녀ts : The prevalence of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D뼈) was 21.3% in men and 40.1% in women whereas the prevalence of disturbance initiating sleep (DIS) was 2.8% in men and 7.2% in women.

The frequency of DMS was significantly 비gher in the elderly men with dyspnea than those without dyspnea.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MS and the other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There was no difference of p띠monary function according to DMS.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외ysis, DM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gender, φrspnea.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D뼈 and factors such as age, mφr mass index, cough, smoking, exercise, FEVl and FVC.

Cooclusioo : DMS was more common in the elderly women than the elderly men. DM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dyspnea in the elderly men.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ulmonary function and DMS

Keywords : sleep, insomnia, aged, spirometry, dyspnea

이 연구는 1998 년도 언하대학교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2)

이상현·검문종 ; 노인에서 수연장애와 폐기능 및 호홉증세와의 관계

을l

‘-

노인에서 수연 창애는 남성에서 36%, 여성에서 54

%로 보고된다_1) a세에서 45세까지의 젊은 성언을 대상으호 한 연구잉에서는 수면 지속 장애가 여성에서

al.1%,

남성에서 10.4%로 보고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노인에서 수연 장애가 매우 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노인에서 수연 창애는 생활의 질에 부정적 영

향을 미치게 되며, 수면 장애로 인한 주간 졸음은 낙 상 둥의 위험요인이 될 수도 있다.

노인에서 수연 창애가 있을 때, 정상 노화 파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지만, 우울증과 불안중 동

정신척 문제와 관절염과 같은 통중 관련 질환 그리고 호홉계와 심장 질환, 신경계 질환 퉁과의 관련성 및 수연 무호홉 동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총체적 관련요인에 대한 고려 없이 노인의 불 연층은 혼하게 노화로만 생각하여, 다른 진단이나 치

료적 접근을 시도하지 않거나, 일반적 수연제 처방 남용의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이 수연장애를 호소할 경우는 정상 노화 반응인지의 감별과 아울러, 수연장애 관련요언 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수연 장애의 관련 요인 중 교정 가능한 요인 평가는 중요한데, 이 러한 교정 가능한 요언을 제거 혹은 완화해 줄 때 노 인에게 수연 장애의 호전과 아울러 생활의 질의 향상 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연 장애와 관련된 교정이 가능한 여러 가지 요인

중 만성 폐혜성 폐철환과 같은 호흉기 관련 질환은

노언에서 흔하게 관찰된다.3)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비가역적 요소를 지니기도 하지만, 약물로 층세 완화 및

호흉 기능의 호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호홈 기능

호전은 수면의 질에 긍청적 영향을 미칠 기능성이 었 다.

일반적으로 천식 환자에서 수연장애를 많이 후소한 다는 보고잉와 더불어 기침이나 천명음이 있는 경우

불연중이 많고6), 만성폐쇄성 폐질환에서 업연장애나

수면지속장애가 관찰된다고 보고n되고 있다.

그러나 수연장애와 폐기능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

로 보고되기도 하는 반면6)’ 천식환자에서 폐기능 중 노력성 호기량이 수연시간과 밤에 깨는 횟수와 관련

성이 있다고 보고S)되기도 하여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연장애를 업면창애와 수면지 속장애로 구분하였고, 이 중 특히 노인에게 흔한 수 면지속장애 유무에 따른 호홉증세 관련성과 폐기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1않갯8년 l월 1 일부터 1998년 12월 31 일까지 1년간

언하대병원 건강진단 센터를 방문한 00세 이상 노언

$명을 대상으후 하였으며, 허혈성 심질환, 훨똥성 폐결핵, 폐렴, 폐암 둥은 제외하였다.

2 조사내용및평가방법

(1) 수면

수연유도장애, 수연지속장애와 수연과 관련된 기타 장애 및 중상을 조사하고, 총 수연 시간을 조사하였 다.

(2) 폐기능

폐기능 검사상 노력성 폐활량 (FVC) 과 1초간 노력 성 호기량 (FEVl), 1초간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 활량에 대한 비율 (FEVl께TC), 노력성 호기 혜활량

W딴쪼-75%), 최대호기량 (PEF‘)를 조사하였다.

(3) 수면 및 폐기능 등 기타 연구 관련요인 연령, 성별, 체중, 신장, 홉연력, 음주력, 운동 빛 과거병력, 약물복용력 등 연구 대상군의 기본 요인을 측정하고,

층세로 수면 및 호홉과 관련요인으로 기침,

껴당, 흉통, 빈뇨, 야뇨, 요실금 동을 조사하였다. 그 외에 검사상 혈압, 흉부 방사선과 심전도, 빈혈 등을 측정하였다.

3. 분석방법

수면창애에 따른 폐기능의 차이를 t 검정을 이용하 여 비교하고, 수연장애와 호흉기 증세의 관련성을 ;ii-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변량분석으로는 수변

(3)

않ng-뻐떼1L€e·Moon-Jong 때m ; 따 relatior빼p retween sle맹 distur뼈nee 빼 the J)linn따ry f W\Ction ar삐 암n뼈mi in

tre

어derly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by gender.

female male

n=304 n=286

mean ±S.D. mean± S.D.

age' (year) 64.3 土 4.3 64.9 ± 4.7

height' (cm) 153.7 ± 5.2 166.2 土5.2

weight' (kg) 57.4 土 9.0 65.2 ± 9.1

BMI' (kg/m2) 24.3 土 3.4 23.6 ± 2.9

sleep hour' 6.6 ± 1.4 6.8 土 1.3

smoking" n(%) n(%)

Yes 26(10.1) 116(53.5)

No 231 (89.1) 101 (46.5)

Alcohol"

Yes 22( 8.6) 138(56.6)

No 235 (91.4) 106(43.4)

Exercise"

Yes 70(27.0) 121 (52.8)

No 189(73.0) 108{47.2)

• by student t- test

**

by x2-test

S.D. : standard deviation BMI : body mass index

P-value

0.076

0.α)() 0.α)()

0.011 0.184

0.αm

0.000

0.αm

Table 2.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s by gender in the elderly.

female male P-value

n(%) n(%)

DIS

Yes 22( 7.2)

No 282(92.8)

DMS

Yes 122(40.1)

No 182(59.9)

by x' -test, continuity correction DIS : disturbance initiating sleep DMS: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8( 2.8) 278(97.2) 61 (21.3) 225(78.7)

컬 과 1. 성벌 수연장애와 폐기능

0.0껑

0.αm

지속장애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일변량분석에서 관련 성이 있는 변수와 타 연구에서 관련성이 제기되었던 변수와 기초관련변수를 독럽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 석을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윈도우용 SPSS 7.

5를이용하였다.

연구 대상군 총 $명 충 남성이 웠명이었고, 여 성이 rot명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성이 64.3세, 여성이

(4)

이상현·김운종 ; 노인에서 수연장애와 폐기능 및 호홉층세와의 관계

Table 3. Prevalence of repiratory symptoms by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in the elderly.

Normal DMS P-value

Dyspnea (Female) 0.0않

Yes 57 (52.3) 52(47.7)

No 125(64.1) 70(35.9)

Dyspnea (Male) 0.000

Yes 27 (55.1) 22 (44.9)

No 198 (83.5) 39 (16.5)

Cough (Female) 0.716

Yes 33 (56.9) 25(43.1)

No 149 (60.6) 97 (39.4)

Cough (Male) 0.476

Yes 54 (75.0) 18 (25.0)

No 171 (79.9) 43(20.1)

by x2 -test, continuity correction DMS: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Table 4. Comparisons of pulmonary functions by difficulty maintaining

sleep in the elderly. (mean±S.D.)

Normal DMS

Male n=l89 n=60

FEVl (%) 85.28 ± 18.76 85.10 ± 22.29

FVC (%) 95.04 土17.24 94.65 ± 21.29 FEVl/FVC (%) 71.36 ± 8.53 71.78 土 8.38 FEF25-75 (%) 61.50 ± 26.35 63.78 ± 37.19

PEF (L/sec) 6.30 ± 1.94 5.38 ± 1.79

Female n=l40 n=99

FEVl (%) 80.41 ± 15.58 80.39 ± 14.83

FVC (%) 87.27 ± 14.15 86.87 ± 13.96

FEVl/FVC (%) 74.61 ± 7.58 74.71 ± 6.92 FEF25-75 (%) 64.28 ± 24.95 63.51 ± 23.25

PEF (L/sec) 3.81 ± 1.26 3.82 ± l.ll

by student t test

DMS: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FEVl :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 (percent predicted) FVC : forced vital capacity (percent predicted)

FEF25 -75 :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percent of the vital capacity (percent predicted)

PEF : peak expiratory flow

P-value

0.953 0.898 0.741 0.602 0.118

0.992 0.828 0.923 0.808 0.940

(5)

없ng-배m Lre·Mi얘1-Jorg 때m ; πe relatio빼p t뻐een sleep di<;tt뼈nee 빼 the IXJhmnary function a띠 앙n빠om; in the elderly

Table 5. Odds ratio for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by age, ·sex, dyspnea, cough, body mass index, smoking, exercise, and pulmonary function test.

Risk factors Coefficient

Age(year) 0.011

Sex

female 0.7852

male Dyspnea

yes 0.4912

no Cough

yes -0.0258

no

BMI(kg/m2) -0.0406 Smoking

yes -0.2962

no Exericise

yes -0.1705

no

FEVl(L) -0.0812

FVE (L) 0.0732

C.I. : confidence interval BMI : body mass index

Standard error 0.280

0.3255

0.2420

0.3182

0.0355

0.2961

0.2364

0.5014 0.4079

FEVl :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 FVC : forced vital capacity

64.9세로 차이가 없었다. 평균 수면시간도 성별 차이

는 없었다. 남성의

53.5%,

여성의 10.1%가 흉연을 하

고 있었고, 남성의 52.8%, 여성의 Z7%가 규칙척 운 동을 하고 있었다 (Table 1).

수면유도장애군은 여성이 7.2%로 남성 2.8%보다 유의하게 많았고, 수연유지장애군도 여성이 40.1%로

남성의 21.3%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노인에서 수연유

지장애를 호소하는 경우가 수연유도장애보다 6배정도 로 많았으며, 여성에서 수연장애는 더 많이 호소하였 다 (Table 2).

2. 수면유지장애에 따른 호홉증세 및 폐기능 관계

수연장애 중 노인에게 혼하게 나타난 수연유지장애

여부에

따른 호흡곤란중세는 여성에서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으나, 남성에서는 호흡곤란증세가

있는

군이

Odds ratio 95% C.I. P-value

1.00 0.95-1.06 0.968

2.19 1.16-4.15 0.016

1.00

1.63 1.02-2.63 0.042

1.00

0.97 0.52-1.82 0.935

1.00

0.96 0.90-1.03 0.253

0.74 0.42-1.33 0.317

1.00

0.84 0.53-1.34 0.471

1.00

0.92 0.35-2.46 0.871

1.08 0.48-2.39 0.858

수연유지장애가 더 많았다. 그러나 기침은 남녀 모두 수연유지장애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3).

노인에서 폐기능 검사 시행의 어려움 둥으로 총

$명 중 l(J2영이 폐기능 검사를 시행 못하였다. 수 면유지장애 여부에 따른 폐기능의 차이는 남성과 여 성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4).

3수면유지장애의 관련요인과 교차비

단일변량에서 통계학척으로 유의했던 변수인 성별, 체질량지수, 호흡곤란증세, 홉연,

운통과

기본 통제변

수인 연령, 폐기능 검사 지표인 1초간 노력성 호기량 (FEVl) 과 노력성 폐활량 (FVC) 그리고 기침증세를 변수로 선돼하여, 이런 요언들이 수연유지장애에 연 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그l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

하여 교차비를 계산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수연유지장애에 대한 교차비가

2.

19배 유의하게 높았으며, 호흡곤란증세가 있는 경우 수연유지장애에 대한 교차비는 1.없으로 유의하게 높

(6)

이상현·검문종

노인에서 수연장애와 폐기능 및 호홉증세와의 관계

았다.

그외 연령이나 체질량지수, 홉연, 운통, 폐기능검 사, 기침중세는 수연유지창애와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Table 5).

고 찰

본 연구는 노인의 수연장애와 폐기능 및 호홉증세

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수연장애는 여성에게 혼하고, 호흡곤란 증세 가 있는 경우 수면지속장애를 더 흔하게 호소하였으

나, 폐기능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노인의 수연장애는 흔하게 호소하는 문제로, 지역

에 거주하는 a쨌명의 6.5셰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I)에서 남성의 36%, 여성의 54%가 불연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하였던 노인의 2/3

는 밤에 깨는 증세를 호소하여 수연장애 중 가창 흔 한 문제로 제시되었다. 1,485명의 00세 이상을 대상으 로 한 연구m에서 여성이 수연 장애가 더 심하며, 나 이가 중가함에 따라 수연 장복 시간파 침상에서 소비

하는 시간이 긴 반연, 남성에서는 나이가 종가함에

따라 수연 중 깨는 횟수가 증가하고 수연 유지와 관 련된 요인으로는 야간 배뇨를 보고하였다. 6.5세부터 84세의 노언 8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m에서 평균 수 면 시간은 7엉시간이었고, 낮장은 남성의 00%, 여성 의 31%를 보고하였다. 수연 유지의 어려움은 :fl-37

%가 보고를 하였고, 수연유도장애는

9.6%,

새벽에

일찍 깨는 것은 16.7%가 보고되었다. 특히 새벽에 깨

는 것은 폐쇄성 폐질환, 고혈압, 통층과 관련이 있었

다. 불연층의 유병율은 성별, 연령과 부분척으로 관련 되었다

본 연구에서 00세 이상 노인의 평균 수연 시간은 여성이 6.6시간, 남성이 6.8 시간이었고, 수면유지장 애는 남성의 21.3%, 여성의 40.1%를 보고하였고, 수 연유도장애는 남성의 2.8%, 여성의 7.2%로 기폰 연 구들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노언들은 수면유지장

애가

수연유도장애에 비해 흔하게 호소하는 주요 수

면창애

유형

이었으며, 본 연

구에서도

기존 연구들과

갇이 여성이 남성보다 수연장애가 흔하게 관찰되었 다.

수연장애 중 주간

과다

졸음증세는

6.5세 이상의 남

성에게서 많이 호소한다고 보고한 연구10)도 있고 일

반척으로 노인에서 수연장애를 많이 호소한다. 그러 나 노인군에 국한하여 볼 때는 노인군내의 연령 자체 가 수연장애에 직접적 관련성은 척은 것으로 보언다.

노인연령을 5세 단위로 나누어 각 연령군별마다 남녀 각각 100명씩 무작위로 선택하여 6.5세에서 84세까지

%명을 대상으혹 한 연구9)에서 연령이 중가함에 따

라 불연증의 중가는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고,

6.5

셰 이상의 a쨌명의 지역주민을 대상으혹 한 다른 연구I

)에서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수연장애의 증가 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고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 서도 00세 이상 노인군에서 다른 요언들을 함께 고려 한 경우에 연령이 수면유지장애에 직접척 관련성은

없는것으로보언다.

여러 연구에서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가 수연장애

를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천식과 수 연장애에 대한 al세에서 45세까지의 젊은 성인을 대

상으로 한 연구11)에서 천식은 수연의 질의 감소와 주 간 졸음충세의 중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theo-

아iylline파 같은 수연장애와 관련 가능성 있는 요인을 통제한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수연장애와 호홉기 층세와 관련성에 대한 연구6)에 서 수연장애가 호흉기 중세와 관련성이 높으나, 상대

척으로 폐질환의 진단과 폐기도 폐쇄수준과는 관련성 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

구n에서도 수연창애 증세가 폐기능과 무관하게 혜질

환 환자에서 혼하게 호소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에서도 수면유지장애는 호흡곤란증세와 유의한 관련

성을 보였으나, 폐기능 검사결과와는 관련성을 보이 지 않았다. 본 연구에 포함된 연구대상

은 건진센터를 방문한 대체로 건강한 노언이기 때문에 폐기능 검사 결과상 심한

폐쇄성 폐질환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많 지 않았다는 점도 이를 해석하는데 고려해야할 점으

로여겨진다.

호흉기

증세와 수면작애와 관련성은 폐질환에서

하게 얼어나는 산소포화결핍 현상에 의한 것으로 정 n되어, 이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왔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게 산소가 수면을 호전시킨다는 보고12)

가 있는 반연, 산소

투여가

수면시간과

수연

중 깨는

증세를 호전시키지 못하고13>,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분류에 따라 산소포화도가

충분히 높은데도

수연장애

(7)

없ng-삐때1 Lee·싸뻐1-Jor엉 따n ; 많 relationc;hip t뼈een sleep m>ti뼈nee 빼 the pilironary function 뼈 ”mαom; in the elderly

가 상대척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보고한 연구“)도

있어논란이 있다.

그러나 천식 환자를 대상요로 한 연구에서도15) 천

식 환자의 기도폐쇄 증세를 호전 시킨 후 수연장애가 호전된 것을 보고하여 폐쇄성 기도질환이 있는 환자

에서 호홉기 중세 호전이 수연장애 호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수면유지창애 가 호흡곤란증세와 다른 관련 요언을 고려한 경우에 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수연유지장애 환자의 명가시 호흉곤란증세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

로여겨진다.

본 연구는 몇가지 연구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단

연연구의 한계로치 호흡증세와 수연장애간의 원언­

결과 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다. 둘째 폐기능 검사상 협조가 잘 안되어 폐기능 검사 결과를 얻을수 없었던 노인들이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심한 폐쇄성 폐질환

환자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비교척 건강 노인군을 대

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폐기능 검사의 해석에 제한

정을 가진다. 셋째 수연장애 및 호홉충세 명가가 자 기보교식 형가설운에 의해 조사되어 주관척 요언을 배제하지못했다.

향후 폐기능이 감소됨에 따른 수연창애 발생 관련

성에 대한 전향척 연구와 심한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포항한 연구 퉁에서 폐기능과 수연장애와의 인과관계 더욱 충실하게 설명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궈l서 폐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지만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경우 수연지속창애가 있는 경우가 많아, 불연층 노인 환자에서 청상척 노 화 등의 불연층에 대한 원언 고려와 더불어 원인 질

환으로서 호흉기 절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 함 을뒷받칭하고있다.

연구배경 : 노인에서 수연장애는 혼하게 보고된다. 노언의 수연장애와 관련된 교정 가능 요인 호흉기 관련

질환을 고려할 수 있으며

,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약물로 층세 완화 및 호홈기능 호전이 가능하여 호흉기능 호 전은 수연의 질에 긍정척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 수연창애와 폐기능 및

호홉중세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 일까지 1년간 인하대병원 건강진단 센터를 내원한 00셰 이상 노인을

대상으호 수연과 폐기능 및 호홉증세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연구 대상 $명 중 남성이 웠명, 여성이 :rn명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성이 64.3세, 여성이 64.9

세였다. 수연장애 중 수면유지장애는 여성이 40.1%, 남성이 21.3%, 수연유도장애는 여성이 7.2%, 남성이 2.8

%로 여성이 남성보다

수연창애 유병율이 높았다. 남성에서는 호홉곤란층세가 있는 군이 수면유지장애가 더 많았으나 (p<0.001), 여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침

중세는

남녀 모두 수연유지장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폐기능은 남녀 모

두 수면유지장애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연령,

체질량지 수, 호흡곤란, 기첨중세, 흡연, 운동, 1초간 노력성 호기량 (FEVI) 과 노력성 혜활량 (FVC) 을 독립변수로 선택 하여, 수연유지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수면유지장애에

대한 교차곱비가 2.19배 유의하게 높았으며

(p<O.a5),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경우

수연유지장애에

대한

교차곱

비는 1.63배 유의하게 높았다 ψ<0.a5)

.

그외 다른 변수들은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노인에서 수연유지장애는

여성에게

흔하고, 호흡곤란 중세가

있는 경우 더 많이

수면유지장애를 호소하였으나

폐기능괴는 관련성이 없었다.

중심단어 ;

수연장애, 노인, 폐기능, 호홉충세

(8)

이상현-김문총 ; 노인에서 수연장애와 폐기능 및 호홈증세와의 관계

첩고문헌

1. 뼈잃i S, la맹lois JA, 뻐nicuci N, Grigoletto F, Pavan M, Foley DJ, 암1깅 G. Sleep com때밍nts in community-dwelling older i:-ersons: prevalence, associated factors, and repoπed caU5es. J Am Geriatr Soc l!m;46: 161-8.

2. Lindrer영 E, Janson C, Gis녕son T, Bjorn.soon E, Hetta J, Gunnar B. Sleep 이sturoonces in a young 때lut population: Can gender differences be 앉pl외ned by differences in rsychological status? Sleep 1앉η;a):381-7.

3. Iso따lo R. Puolij아O H. H띠1피 E. Kivela SL 냐i­

pptla P. T떠a E. Prevalence of chronic ob>truc- tive p띠따〕nary disease in elderly 뀐nns. Resp Med 1994;88(8) :571-80.

4. Chang JT. Moran MB. Cugell DW. Web>ter JR Jr. COPD in the elderly. A reversible cause of functional m뼈irrrent. Chest l앉)5;la:l(3) :736- 40.

5. J없on C, Gislason T, Boman G, Retta J, Roa;

BE. Sleep disturbances in pitients with astluna.

Respir Med 1않% Jan 84:37-42.

6. Klink 뻐, R성ge R, Quan SF. The relationship of sleep com뻐aints to respiratory 양mptorrn in a general population. Chest 1994; la5: 151-154.

7. [:Ormick W, Olson LG, Hemley MJ, Saunders NA Nocturnal hypoxaemia and q없lity of sleep in in디ents with chronic ob>tructive aψoonary 띠seas. ’Thorax 1006 ;41 : 846-54.

8. Middelkoop HA, Smilde-van den Doe! DA, Ne- ven 따£ K밍nph비sen HA, Springer Cp. Subjec- tive sleep c뼈racteristics of 1,485 males and fe- males aged fil-93:effects of sex and age, and

factors related to self-evalua않d q없lity of sleep.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앉)6;51(3):

Mla:l-15.

9. Gisl잃on T, Reyr뻐dottir H, Kristb펴m밍-son H,

Bene이ktsdottir B. Sleep habits 없떼 sleep 띠stur­

뼈nces aroong the elderly- an e뻐demiological S따vey. J Int Med 1앉~;잃4:31-39.

10. Klink M, Q떠nn SF. Prevalence of repoπed

sleep 띠sturbances in a general ad비t pop띠a ti on

와lCi their relationship to ob>tructive 밍rw정rs 이잊ases. Chest 1987;91:540-6.

11. Janson C, De Backer W, Gislason T, P퍼SC바ce P, Bj msson E, Retta J, Kristb.껴rnarson H, Venne- ire P, Boman G. Incr1없sed prevalence of sleep

띠stur뼈1ces and daytirr몽 sleepiness in su비ects

with bronchial astluna: a population study of young ad버ts in 야π% Europe없1 countries. Eur

Res때r J 1앉)6;9:213'2-8.

12. Goldstein R5, R없nc뼈ran V, B애es G, McNicho- las

wr,

Bradley D, Philiiron EA Effect of sup- plerrental nocturnal O써rgen on 없S 밍¢뼈nge in pitients with severe ob>tructive lung disease. N

담핑l J Med 1984;310:425-9.

13. F1eetham J, West P, Mezon B, con때y W, Roth T, Kryger M Sleep arousals and oxygen desatu- ration in chronic ob>tructive pulmonary 띠sease.

Am Rev Res때r 다S 1얹~;126:4징-33.

14. C와verley P뼈, Br얹11(〕,va V, Do맹las NJ, Ca- tteral JK, F1enley Da. π-e effect of oxygenation on sleep quality in chronic bronchitis a떠 em- physemi. Am Rev Res때r Dis 1쨌; 126: 429-33.

15. Montplaisir J, W외sh J, Malo 끄ι Nocturnal astluna: f eati.π$ of attacks, sleep and breathing i:ntterrn. Am Rev Respir Dis 1982; 125: 18-22.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by  gender.
Table  3.  Prevalence  of  repiratory  symptoms  by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in  the elderly
Table  5.  Odds  ratio  for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by  age, ·sex,  dyspnea,  cough,  body  mass  index,  smoking,  exercise,  and  pulmonary  function  test

참조

관련 문서

다양한 번역 작품과 번역에 관한 책을 읽는 것은 단순히 다른 시대와 언어, 문화의 교류를 넘어 지구촌이 서로 이해하고 하나가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towards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 providing care services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optimal drug therapy which secures effectiveness and safeness in elderly patients by analyzing polypharmacy and the

Ross: As my lawfully wedded wife, in sickness and in health, until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