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석사학위논문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비교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양 진 영

(3)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비교

A Comparative 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elderly and quality of care service according to care-giver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nursing home.

년 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양 진 영

(4)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비교

지도교수 최 성 우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양 진 영

(5)

양진영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박 종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류 소 연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최 성 우 인

년 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6)

목 차

표 목 차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ⅲ ABSTRACT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ⅳ

서론

I.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 연구의 필요성

A.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1 B. 연구 목적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3

연구방법

II.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4 연구대상

A.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4 조사방법

B.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4 분석방법

C.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6

III. 연구 결과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7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 비교

A.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7

B.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 서비스 질의 비교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14 C.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 서비스 질의 관계 비교٠٠٠٠٠٠٠٠٠٠٠٠٠٠20

고찰

IV.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24 요약 및 결론

V.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27

참고문헌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28

설문지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31

(7)

Table list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8 Table 2.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0 Table 3.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2 Table 4. A comparative on knowledge of the elderly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5 Table 5. A comparative on attitude of the elderly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7 Table 6. A comparative on quality of care services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19 Table 7. A comparative of knowledge, attitude and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٠

21

(8)

ABSTRACT

A Comparative 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elderly and quality of care service according to care-giver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nursing home.

Yang, Jin-Young

Advisor: Prof. Choi, Seong-Woo, M.D, Ph.D.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towards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 providing care services and to compar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with thos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59 caregivers in Jeollanamdo and Gwangju.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health-related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scale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quality of care servic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an difference t-test were performed.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were 15.7±3.6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16.4±3.6 in the nursing home. The mean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ere 87.7±16.8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86.1±7.5 in the nursing hom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quality score were 75.9±11.9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81.7±7.5 in the nursing home.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knowledge score of the elderly were the final education level, the experience living together with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diabetes diagnosis and the presence of the caregiver certificate.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knowledge score of Smoking and

(9)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care service quality score were final education level, diagnosis of diabetes and arthritis, presence of caregiver certificate, monthly average income, job training within the last one year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researches to compare the knowledge, attitude and care service quality of the elderly of the caregivers by distinguishing the long-term care hospital and the nursing hom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grades. In the case of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mandatory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by improving the knowledge of the elderly and positively changing attitudes, rather than employing unconditional service providers unconditionally.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 that can work in clinic through course and practi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tha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will be needed continuously by acquiring general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veloping a positive attitude.

(10)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A.

의학의 발달 경제 수준의 향상과 사회 문명의 발달 등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14년 전체 인구의 12.7%를 넘어선 후, 2018년 년 로 확대되어 점차 초 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특히 세 이상

14.3%, 2025 20.0% . 85

초 고령 인구는 2015년 51만 명에서 2045년에는 329만 명으로 6.5배 늘어날 것을 추정 된다 통계청( , 2015).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만성 퇴행성 질환이나 노인성 치매 뇌졸중 등으로 장기요양보호, 를 필요로 하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였고 정현심( , 2015), 이에 정부에서는 고령화 시대의 대비책으로 2008년 월 일부터 노인 장기요양 보험 제도를 도입 후 그 서비스를 제공7 1 할 인력으로 요양보호사를 배출하였다 김지연( , 2008). 요양보호사는 노인복지법 제 조39 의 에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을2 “ , 위해 노인요양 및 재가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으로 규정되” 어 있고 보건복지부( , 2016), 연령과 학력의 제한 없이 누구나 일정시간동안 노인요양에 필요한 교육과정인 이론 실기 요양보호개론 요양보호관련기초지식 기본요양보호각론, ( , , , 특수요양보호각론 및 실습교육 노인요양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을 받으면 국가로부터) ( , ) 그 자격을 인정받게 된다 보건복지부( , 2017).

돌봄 대상자는 도움 없이는 기본적인 신체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노인과 보행 반 보, , 행 와상 휠체어 이용 정신적인 혼란 등 의존정도가 각각 다른 노인 그리고 질병 때문, , , 에 상당한 생활원조가 필요한 노인 등이 주다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5). 이들의 직무는 두 기관 같고 구체적으로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의사 간호사 가족들로부터 수집하여, , , 요양보호 서비스 계획을 세우고 환자의 청결유지 식사와 투약 배설 운동 및 정서적 지, , , 원 환경관리 및 일상생활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며 최영문, ( , 2009), 그 행위의

가 기본간호 지식이 요구되는 사항이라고 조사되었다 유재균

80~90% ( , 2011).

두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은 시 도시사로부터 자격이 인정된 요양· 보호사 간병인 및 자격을 취득하지 않은 일반인들이다 요양병원의 경우 병원에서 간, . 호사의 역할은 의사와 함께 환자의 질병을 관리하는데 핵심인력이지만 요양 병원은 간호

(11)

사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심미라( , 2010),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장관의 자격 이 인정된 간호조무사 시 도시사로부터 자격이 인정된 요양보호사 간병인 및 자격을 취, · , 득하지 않은 일반인을 간호사의 지도 감독아래환자의 모든 일상생활에 환자들과 밀접하 게 접촉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노인요양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거치지 않. 은 일반인들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기술 과 지식 부족으로 인해 환자가 다치는 경우 학대가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시점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양원의 경. 우는 시 도지사로부터 자격이 인정된 요양보호사만 근무를 할 수 있는데· , 요양보호사에 대한 기존 자격제도 또한 부실하게 양성된 인력이 많아 재교육이 필요하고 고 연령과, 저 학력 자격소지자가 많아 단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능력 을 갖춘 요양보호사 보수교육에 대한 법적이며 행정적인 기반이 요구된다 이광재 등( , 2011).

요양보호서비스의 과정에서 이들은 대상자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받아들이고 신뢰관계를 형성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요양보호사는 노인을,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주는 윤리성을 지녀야한다 이임수( , 2012). 더불어 요양대상이 되는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 겠다 황은희 등( , 2012).

노인을 설명함에 있어 노화에 대한 지식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인간의 노화사실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노인의 가족 구성원 노인복지관련 인력, 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김원길( , 2007). 노인에 대한 지식이란 신체적 심리적 사회, , 적 측면에서 노인에 관한 사실을 포함하며 노화과정에 있는 노인에 관해 알고 있는 사실 을 의미하며 김은경( , 2012),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태도(attitudes)는 어떤 사람이나 대상 또는 현상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반 응하는 경향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이춘자( , 2003),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들과 상호 작용이나 노인들과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경험 그리고 노인 및 노화과정에 대한 지 식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는 사람들이 갖게 되는 주관적인 평가의 결과이며 따라서. , 긍정적인 평가에서 부정적인 평가까지 연속선상에 위치하는 개념이다 한정란( , 2003)

서비스의 질은 고객에 의해 인식되고 판단되어지는 주관적인 평가로 서비스를 제공받으 면서 고객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고유한 특성상 객관적으로, 규명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라 총체적인 정의가 어렵다고 하였다 이형실( , 2011).

은 의료서비스의 질을 의료제공자의 입장에서 제공자의 의학적인 기

Donabedian(1982) “

(12)

술제공 능력 이라 정의하였으며 이용자 입장에서는 제공받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 , “ 의 느낌 이라고 보았다 위 연구자들의 정의를 종합해보면 요양보호 서비스의 질은 요” . , 양보호 대상자들이 서비스를 받으며 개개인이 느끼는 만족감으로 주관적인 판단이 될 수 있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므로 건강전문가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노인 건강관리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박혜욱 조복희( & , 요양보호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노인들은 질 높은 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기 때문 2007),

에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고 요양보호서비스 질과의 관련 성을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김귀분 등( , 2008). 지금까지의 요양 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의 질과 관련된 국내 선행 연구를 살, 펴보면 시설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간의 분석 신행, , ( 자, 2011), 재가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간의 관련성, 정현심 가 있었으나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노 ( , 2014) ,

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과의 관련성에 대해 비교하는 연구는 없었 다 두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의 자격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 본 연 구는 필수 교육을 받고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와 교육을 받지 않고 요양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갖고 있는 노인에 대한 지 식과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고 이들의 비교 연구 를 통하여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 B.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병원과 요 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과, 요양보호 서비스의 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 및 비교한다, . 둘째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요양보호서비스 질을 비교한다, .

셋째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요양보호서비스 질의 관계를 비교한다, .

(13)

연구방법 .

연구 대상

A.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 개와5 요양원 10개의 요양보호사 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요양병원의 간호부장과 요양원의 시설장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를 한 자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4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 를 배부한 후 380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부적합한 설문지,

부는 제외하여 총 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1 , 359 .

조사방법 B.

조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과 건강, 관련 및 근무여건 특성 24개 문항 노인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 25개 문항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20개 문항 요양보호서비스의 질 측정도구, 20개 문항 총, 89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일반적 특성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남자 또는 여자 연령( ), (49세 이하, 50~59 , 60세 세 이상 학력수준 초졸 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 이상 결혼상태 기혼 미혼 기타 이혼 별), ( , , , ), ( , ; , 거 사별 가족 부양의 책임여부 책임 없음 부분적 책임 전적인 책임 만, ), ( , , ), 65세 이상인 노인 부모 조부모 기타노인 과의 동거 경험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 , ) .

건강관련 특성 2.

건강 관련 특성은 흡연 현재 흡연의 유무 음주 최근 년 동안 술 마신 경험의 유무( ), ( 1 ), 운동 최근 주일 동안 주 일 이상 운동의 유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절염 그 외( 1 3 ), , , , , 질환의 진단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14)

근무관련 특성 3.

근무관련 특성은 요양 보호사 자격증의 유무 직위 팀장 또는 일반 요양보호사 월 평, ( ), 균 소득(150만원 미만, 150만원 이상), 1일 근무시간 시간 이하(8 , 12시간, 24시간 근무), 동기 기본생계를 위해 사회적 봉사를 위해 사회적 전망이 좋아서 가족을 직접 요양보( , , , 호하기 위해 기타 총 근무시간 년 미만, ), (1 , 1~3 , 3년 년 이상 현 직장에서 근무기간 년), (1 미만, 1~3 , 3년 년 이상 현재 맡고 있는 담당 어르신 수 명 이하), (5 , 6명 이상 최근 년, 1 이내에 직무교육의 유무 직무 만족도 만족 보통 불만족 를 조사하였다, ( , , ) .

노인에 대한 지식 4.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노인에 대한 지식측정 도구는 요양보호사가 노화과정에 있는 노 인에 관해 알고 있는 사실을 측정하기 위하여, Palmore(1998)가 개발한 노화사실인지척 도(Facts on Aging Quiz Part 1:FAQ 1)를 이춘자(2003)가 한국 노인 실정에 맞추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신체적 영역, . (11문항 심리적 영역 항 사회), (6 ), 적 영역 문항 인 개의 하위 영역 총(8 ) 3 25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이다 각 문항은 맞다. ‘ ’, 틀리다’, ‘잘 모르겠다 로 구분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은 짝수 문’ , 항은 모두 참으로 홀수 문항은 모두 거짓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별로 참인 경우, , 1 점 거짓인 경우를 점으로 처리한, 0 후 총점을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로 구하였다 따라서. 지식 총점은 최저 점에서 최고0 25점으로 측정 될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Chronbach's alpha는 0.648이었다.

노인에 대한 태도 5.

본 연구에서는 Sander 등(1984)이 개발한 의미분별척도를 임영신(2002)이 번안한 노 인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20개의 상반되는 형용사 쌍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Likert 7점 척도(1, 매우 긍정적 ~7, 매우 부정적 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자료입력 단계에서 긍정적인 형용사일수록 점수가 낮고 부정적인. 형용사일수록 점수가 높도록 코딩하였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20개 문항의 측정값을 모두 더하여 구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본, . 연구의 Chronbach's alpha는 0.852이었다.

요양보호서비스 질 6.

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서비스 질에 대한 측정은 Parasuraman, Zeithaml과 Berry(1988)가 개발

(15)

한 SERVQUAL 모형의 측정도구를 박소진(2010)이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노인서비스 요양보호사의 업무 특성에 부합하는 표현과 용어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 는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감정이입 유형, , , , 성 등의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5 , 역별 문항 총4 , 20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요양보호서비스,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Chronbach's alpha는 0.952이었다.

자료 분석 방법 C.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근무관련 특성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 , 에 대해 기술통계 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을 실시하였다 요양병원과 요양원( , , , ) . 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에 따른 일반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근무관련 특성 노인에, ,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의 비교는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 다 통계 검정을 위한 유의 수준은. α=0.05로 하였다.

(16)

연구 결과 .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의 특성 비교 A.

일반적 특성 1.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연령은 요양병원은, 60세 이상이 62.2%로 가장 높았고, 요양원은 50~59세가 48.6%로 가장 높은 결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최종 학력수준은 요양병원은 고졸이 44.4%이고 요양원도 고졸이, 57.3%이으로 가장 높은 결 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혼 상태에서는 요양병원은 기혼이65.5%, 요양 원도 기혼이 76.5%로 가장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성별 가족 부양의, 책임 및 65세 이상 노인과의 동거 경험은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 1).

(17)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

teristics Classification Total N(%)

Long-term care hospital

N(%)

Nursing home

N(%)

P

Sex 0.527

Male 24(6.7) 14(7.8) 10(5.6)

Female 335(93.3) 166(92.2) 169(94.4)

Age(year) <0.001

49

45(12.5) 15(8.4) 30(16.8)

50-59 140(39.0) 53(29.4) 87(48.6)

60≤ 174(48.5) 112(62.2) 62(34.6)

Education level <0.001

Elementary

school 16(4.4) 14(7.7) 2(1.1)

Middle-school 94(26.2) 60(33.3) 34(19.0)

High-school 183(51.0) 80(44.6) 103(57.5)

College≤ 66(18.4) 26(14.4) 40(22.3)

Marital status 0.002

Married 255(71.1) 118(65.5) 137(76.5)

Single 27(7.5) 10(5.6) 17(9.5)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77(21.4) 52(28.9) 25(14.0)

Family responsibility 0.342

No responsibility 73(20.4) 39(21.7) 34(19.0) Partial-

responsibility 232(64.6) 110(61.1) 122(68.2) Complete-

responsibility 54(15.0) 31(17.2) 23(12.8)

Experience living together

with the elderly 0.130

Experience 256(71.3) 135(75.0) 121(67.6)

No experience 103(28.7) 45(25.0) 58(32.4)

(18)

건강관련 특성 비교 2.

요양 보호사의 건강관련 특성을 비교한 결과 관절염의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 문에 진단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요양병원은 72.2%이고 요양원은, 86.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흡연 음주 운동 고혈압의 진단 유무 음주의 진단 유, , , , 무 고지혈증의 진단 유무 및 그 외 질환의 진단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

2).

(19)

Table 2.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 teristics

Classifi- cation

Total N(%)

Long-term care hospital

N(%)

Nursing home

N(%)

P

Smoking 0.542

Yes 25(7.0) 11(6.1) 14(7.8)

No 334(93.0) 169(93.9) 165(92.2)

Drinking 0.109

Yes 151(42.1) 68(37.8) 83(46.4)

No 208(57.9) 112(62.2) 96(53.6)

Exercise 0.397

Yes 164(45.7) 78(43.3) 86(48.0)

No 195(54.3) 102(56.7) 93(52.0)

Hypertension 0.361

Yes 74(20.6) 41(22.8) 33(18.4)

No 285(79.4) 139(77.2) 146(81.6)

Diabetes 0.167

Yes 28(7.8) 18(10.0) 10(5.6)

No 331(92.2) 162(90.0) 169(94.4)

Hyperlipidemia 0.254

Yes 79(22.0) 35(19.4) 44(24.6)

No 280(78.0) 145(80.6) 135(75.4)

Arthritis 0.002

Yes 75(20.9) 50(27.8) 25(14.0)

No 284(79.1) 130(72.2) 154(86.0)

Other diseases 0.508

Yes 43(12.0) 22(12.2) 21(11.7)

No 316(88.0) 158(87.8) 158(88.3)

(20)

근무관련 특성 비교 3.

근무여건 특성 비교한 결과 요양보호사 자격증의 유무를 묻는 질문에 자격증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요양병원은 76.7%, 요양원은 98.9%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직위는 일반 요양보호사라고 응답한 사람이 요양병원은 98.3%, 요양원에서 92.7%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1). 1일 근무시간을 묻는 질문에 요양병원은 24시간 근무한다 고 응답한 사람이 82.2%로 높게 나왔고 요양원은 시간이하가, 8 81.6%로 높았으며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현재 담당하고 있는 어르신의 수는 요양병원은 명 이상이6 로 높았고 요양원은 명 이하가 로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97.2% , 5 86.6%

최근 년 이내에 직무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요양병원은 (p=<0.001). 1

요양원은 의 결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 평균 소득 근무

51.7%, 88.3% (p=<0.001). ,

동기 총 근무기간 현 직장 근무기간 및 직무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 ( 3).

(21)

Table 3.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

teristics Classification Total N(%)

Long-term care hospital

N(%)

Nursing home

N(%)

P

Caregiver certification <0.001

Have 315(87.7) 138(76.7) 177(98.9)

No have 44(12.3) 42(23.3) 2(1.1)

Position 0.011

General-

caregiver 343(95.5) 177(98.3) 166(92.7)

Team leader

caregiver 16(4.5) 3(1.7) 13(7.3)

Monthly average income 0.281

<1,500,000 217(60.4) 114(63.3) 103(57.5)

1,500,000≤ 142(39.6) 66(36.7) 76(42.5)

Working hours (a day) <0.001

8hours

163(45.4) 17(9.4) 146(81.6)

12hours 43(12.0) 15(8.4) 28(15.6)

24hours 153(42.6) 148(82.2) 5(2.8)

Working motive 0.700

For basic

livelihood 124(34.5) 58(32.3) 66(36.9)

For social

service 89(24.9) 49(27.2) 40(22.3)

Good social

prospect 102(28.4) 53(29.4) 49(27.4)

For the care

of the family 26(7.2) 11(6.1) 15(8.4)

Etc. 18(5.0) 9(5.0) 9(5.0)

(22)

Table 3.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continue)

Charac-

teristics Classification Total N(%)

Long-term care hospital

N(%)

Nursing home

N(%)

P

Total service period 0.119

<1year 49(13.6) 18(10.0) 31(17.4)

1-3years 101(28.2) 51(28.3) 50(27.9)

3years≤ 209(58.2) 111(61.7) 98(54.7)

Current service period 0.373

<1year 107(29.8) 53(29.4) 54(30.2)

1-3years 156(43.5) 84(46.7) 72(40.2)

3years≤ 96(26.7) 43(23.9) 53(29.6)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in charge <0.001

5

160(44.6) 5(2.8) 155(86.6)

6 ) 199(55.4) 175(97.2) 24(13.4)

Experience of job training <0.001

Experience 251(69.9) 93(51.7) 158(88.3)

No experience 108(30.1) 87(48.3) 21(11.7)

Job satisfaction 0.134

Satisfaction 185(51.5) 88(49.0) 97(54.2)

Moderate 156(43.5) 79(43.8) 77(43.0)

Dis-

satisfaction 18(5.0) 13(7.2) 5(2.8)

(23)

B.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 서비스 질의 비교

1. 노인에 대한 지식 비교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을 비교 한 결과 요양병원은, 15.7±3.6 ,점 요양원은 16.4±3.6점으로 요양원에서 높은 점수를 보 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위 범주인 신체적 지식에서 항목별로 살펴보면, ‘3.대부분의 노인은 성관계에 대한 관 심도 없고 능력도 없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0.37±0.48 ,점 요양원은 0.47±0.50점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8). ‘8.노인 운전자들은 젊은 운전자에 비해 인당 사고1 횟수가 더 적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0.58±0.49 ,점 요양원은 0.70±0.46점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23). 사회적 지식에서 항목별로 살펴보면, ‘20.대부분의 의료인들 은 노인질환 문제에 낮은 우선권을 주는 경향이 있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점 요양원은 점으로 유의한 차이 있었다 노인들은 나

0.33±0.47 , 0.43±0.49 (p=0.046). ‘23.

이가 들면서 신앙심이 더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라는 항목에서는 요양병원은.’ 0.24±0.43 점 요양원은, 0.36±0.48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4). ‘24.앞으로 노인들의 건 강과 사회 경제적인 상태는 거의 현재와 같거나 더 나빠질 것이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

원은 0.58±0.49 ,점 요양원은 0.75±0.43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심리적 지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4).

(24)

Table 4. A comparative on knowledge of the elderly

Mean±SD

Classification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home P

Physical knowledge

1. Most of the elderly are in vile (memory

impairment, dementia). 0.74±0.43 0.79±0.40 0.273

2. Visual, hearing, taste, olfactory, and tactile

functions all tend to decrease with age. 0.90±0.30 0.93±0.25 0.260 3. Most of the elderly have neither interest nor

ability to have sex. 0.37±0.48 0.47±0.50 0.038

4. Spirometry tends to decrease with age. 0.88±0.32 0.92±0.27 0.301 5. Most of the elderly often feel miserable. 0.67±0.47 0.58±0.49 0.059 6. Physical fitness tends to decrease with age. 0.91±0.29 0.87±0.34 0.239 7. Currently, at least 5% of the elderly liv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nursing homes, elderly

housing facilities). 0.73±0.45 0.69±0.46 0.343

8. Older drivers have fewer accidents per person

than younger drivers. 0.58±0.49 0.70±0.46 0.023

9. Most of the elderly are not able to work more

effectively at work than young people. 0.54±0.49 0.63±0.48 0.095 10. More than 50% of the elderly are healthy enough

to carry out their daily activities. 0.43±0.49 0.47±0.50 0.495 11. Most of the elderly are unable to adapt to new

changes. 0.42±0.49 0.44±0.49 0.638

Psycho -logical knowledge

12. The elderly usually take longer to learn new

things than younger ones. 0.89±0.30 0.91±0.28 0.607

13. Depression is more common in the elderly than

in young people. 0.75±0.43 0.78±0.41 0.556

14. The elderly tend to be slower in response times

than younger people. 0.85±0.35 0.88±0.32 0.364

15. Generally, when you become an elderly person, your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become

similar. 0.68±0.46 0.63±0.48 0.300

16. Most of the elderly say that they are rarely

boring. 0.55±0.49 0.59±0.49 0.421

17. Most of the elderly are socially isolated. 0.53±0.50 0.44±0.49 0.082

Social knowledge

18. Older people at work have fewer accidents than

young people. 0.41±0.49 0.51±0.51 0.053

19. More than 10% of the current population is 65

years of age or older. 0.65±0.47 0.60±0.49 0.362

20. Most health care providers tend to give lower

priority to geriatric disease problems. 0.33±0.47 0.43±0.49 0.046 21. Most of the elderly have income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0.64±0.48 0.68±0.46 0.530

22. Most of the elderly want to work or have any

kind of work (housework, volunteering, etc.). 0.74±0.43 0.70±0.46 0.331 23. The elderly tend to be more faithful as they get

older. 0.24±0.43 0.36±0.48 0.014

24. Most of the elderly rarely get excited or angry. 0.58±0.49 0.75±0.43 0.001 25. In the future, the health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will be almost the same as or

worse than the present. 0.64±0.48 0.64±0.48 0.944

Total 15.7±3.6 16.4±3.6 0.064

(25)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 2.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비교 한 결과 요양병원은, 87.7±16.8 ,점 요양원은 86.1±14.5점으로 요양병원에서 점수가 높 게 나왔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 5).

(26)

Table 5. A comparative on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Mean±SD

Classification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home p

1. Wise / foolish 4.71±1.66 4.40±1.51 0.062

2. Kind / unkindly 4.05±1.63 4.17±1.32 0.455

3. Well-informed / ignorant 4.01±1.45 3.89±1.32 0.447

4. Happy / sad 4.49±1.48 4.50±1.33 0.926

5. Trustworthy / Untrustworthy 4.29±1.68 4.15±1.50 0.395

6. Generous / selfish 3.69±1.75 3.40±1.72 0.113

7. Active / Inactive 4.79±1.77 5.03±1.53 0.163

8. Clean / stubborn 4.70±1.55 4.83±1.43 0.402

9. Sympathetic/ unsympathetic 4.47±1.55 4.18±1.44 0.075

10. Interesting / boring 3.85±1.68 3.80±1.48 0.786

11. Productive / unproductive 4.97±1.81 5.06±1.66 0.627

12. Healthy / ill 3.37±1.92 3.41±1.97 0.842

13. Good / bad 4.37±1.74 4.06±1.58 0.078

14. Flexible / inflexible 4.72±1.73 4.80±1.63 0.644

15. Independent / dependent 3.82±2.03 3.60±1.90 0.293

16. Progressive / conservative 4.99±1.67 4.96±1.63 0.873

17. Attractive / Unattractive 4.72±1.70 4.58±1.52 0.408

18. Patient / Patientless 4.18±1.91 3.79±1.73 0.047

19. Optimistic / pessimistic 4.65±1.74 4.69±1.40 0.799

20. Non-complaining / full of complain 4.84±1.71 4.80±1.51 0.815

Total 87.7±16.8 86.1±14.5 0.350

(27)

요양보호서비스의 질 비교 3.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비교한 결과 요양병원은, 79.5±11.9 ,점 요양원은 81.7±7.5점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7).

하위 범주인 신뢰성에서 항목별로 살펴보면, ‘3.나는 정해진 시간에 수발서비스를 제공 한다 라는 질문에 요양병원은.’ 4.01±0.79 ,점 요양원은 4.19±0.63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4.나는 어르신 수발에 관한 업무기록을 정확하게 기록 유지한다 라는, .’

항목에 요양병원은 3.84±0.85 ,점 요양원은 4.17±0.58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응성에서 항목별로 살펴보면 나는 어르신이 필요로 할 때면 언제든지 (p=<0.001). , ‘5.

대응한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4.08±0.80 ,점 요양원은 4.25±0.70점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36). ‘6.나는 어르신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라는 항목에 요양.’

병원은 4.05±0.77 ,점 요양원은 4.21±0.5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3). ‘7.나 는 자발적으로 어르신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3.91±0.77 ,점 요양 원은 4.07±0.7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9). 보증성에서 항목별로 살펴보면, 나는 어르신에게 확신감을 심어 주기위해 노력한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9. .’

점 요양원은 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는 어르

4.02±0.75 , 4.17±0.56 (p=0.027). ‘11.

신에게 항상 예의바르고 공손하다 라는 항목에 요양병원은.’ 3.92±0.80 ,점 요양원은 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09±0.60 (p=0.027).

감정이입과 유형성의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6).

(28)

Table 6. A comparative on quality of care services

Mean±SD

Classification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home p

Reliability

1. I always offer a promised service to the

elderly. 4.00±0.67 4.12±0.61 0.086

2. I carry out the originally plann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4.03±0.73 4.08±0.56 0.519

3. I provide care services at a fixed time. 4.01±0.79 4.19±0.63 0.016 4. I accurately record and keep a record of

my work as the elderly. 3.84±0.85 4.17±0.58 <0.001

Responsi -veness

5. I respond whenever the elderly need. 4.08±0.80 4.25±0.70 0.036

6. I provide fast service to the elderly. 4.05±0.77 4.21±0.56 0.023

7. I volunteer to help the elderly. 3.91±0.77 4.07±0.74 0.029 8. I respond according to the desire of the

elderly. 3.87±0.86 3.98±0.61 0.142

Assurance

9. I try to instill confidence in the elderly. 4.02±0.75 4.17±0.56 0.027 10. I feel that the elderly feel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service. 4.07±0.74 4.09±0.59 0.749

11. I am always courteous and polite to the

elderly. 3.92±0.80 4.09±0.60 0.027

12. I provide services with ample work

knowledge to answer senior questions. 3.29±0.76 4.01±0.53 0.094

Empathy

13. I pay particular attention to every single

elderly person. 3.89±0.77 3.88±0.67 0.878

14. I treat the elderly with consideration as

customers. 3.94±0.75 3.98±0.65 0.656

15. I consider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the elderly top priority. 3.92±0.82 4.04±0.55 0.102

16. I try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the

elderly. 4.02±0.73 4.07±0.53 0.456

Tangible

17. I try to give a neat and clean image. 4.01±0.74 4.07±0.58 0.385

18. I use useful information and resources

when providing services to the elderly. 3.81±0.79 3.94±0.62 0.079 19. I try to provide services in a better

(physical) environment in providing services. 4.01±0.74 4.08±0.54 0.292 20. I am interested in the cleanliness of the

space that provides service to the elderly. 4.22±0.66 4.20±0.57 0.746

Total 87.7±16.8 86.1±14.5 0.350

(29)

C.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 서비스 질의 관계 비교

노인에 대한 지식 전체 평균 점수는 25점 만점에 전체 평균 16.0±3.7점이었고 하위, 범주인 신체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7.3±1.9 ,점 심리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2±1.3 ,점 사회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5±1.6 점이었다 요양병원은 총점. 15.7±3.6점이었고 하, 위 범주인 신체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7.2±1.8 ,점 심리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3±1.3 점 사회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2±1.7점이었다 요양원은 총점. 16.4±3.6점이었고 하, 위 범주인 신체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7.5±1.9 ,점 심리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2±1.2 점 사회적 지식의 평균 점수는, 4.7±1.5점이었다 사회적 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9), 신체적 지식 심리적 지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노인에 대한 태도의 평균 점수는 86.9±15.7점이며 요양병원은, 87.7±16.8 ,점 요양원은 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6.1±7.5 .

요양보호서비스 질 점수는 전체 평균 80.6±10.0점으로 하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대응, 성이 16.2±2.2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뢰성과 유형성이, 16.2±2.2 ,점 보증성이 16.1±2.3 점 감정이입이, 15.9±2.3점으로 가장 낮았다 요양병원은 총점. 75.9±11.9점이었고 하, 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유형성, 16.0±2.5점으로 가장 높았고 대응성, 15.9±2.8 ,점 보증성

점 신뢰성 점 감정이입 점 순이었다 요양원은 총점

15.9±2.7 , 15.9±2.6 , 15.8±2.7 .

점으로 하위 범주별로 살펴보면 신뢰성 점이 가장 높았고 대응성

81.7±7.5 , 16.6±1.8 ,

점 보증성 점 유형성 점 감정이입 점 순이었다

16.5±1.8 , 16.4±1.9 , 16.3±1.9 , 16.0±1.8 . 총점(p=0.037), 신뢰성(p=0.037), 대응성(p=0.015), 보증성(p=0.047)으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p=0.037), 감정이입과 유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7).

(30)

Table 7. Comparison of knowledge, attitude and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Mean±SD

Classification Total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home P

Knowledge of

the elderly Total score 16.0±3.7 15.7±3.6 16.4±3.6 0.064

Physical

knowledge 7.3±1.9 7.2±1.8 7.5±1.9 0.127

Psych olog i cal

knowledge 4.2±1.3 4.3±1.3 4.2±1.2 0.846

Social

knowledge 4.5±1.6 4.2±1.7 4.7±1.5 0.009

Attitude of the

elderly Total score 86.9±15.7 87.7±16.8 86.1±14.5 0.350

Service quality of the elderly

Total score 80.6±10.0 79.5±11.9 81.7±7.5 0.037

Reliability 16.2±2.2 15.9±2.6 16.6±1.8 0.005

Responsiveness 16.2±2.4 15.9±2.8 16.5±1.8 0.015

Assurance 16.1±2.3 15.9±2.7 16.4±1.9 0.047

Empathy 15.9±2.3 15.8±2.7 16.0±1.8 0.422

Tangible 16.2±2.2 16.0±2.5 16.3±1.9 0.292

(31)

고찰 .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는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 기 어려운 노인들을 위해 노인요양 시설 및 재가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제 공하는 인력으로,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인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 적인 태도가 필요하며 이는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근무 자격 조. 건을 보면 요양병원의 경우 필수교육과 실습의 과정을 통해 시, ٠도지사로부터 자격이 인 정된 요양보호사뿐만 아니라 간병인 및 일반인이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며 요양원은, 시٠도지사로부터 자격을 인정받은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필수이다 두 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는 같지만 근무 자격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노인, 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다르며 이는 요양보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기관에 따른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파악 및 비교하여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총 25점 만점에 요양병원은 15.7±3.6 ,점 요양 원은 16.4±3.6점으로 요양원이 요양병원보다 높은 점수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요양, . 병원과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를 비교한 조사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한계가 있었으나 동일 연구를 이용하여 재, 가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정현심(2015)의 지식수준은 평균 10.31±2.31점과 간병 인을 대상으로 한 정지영 윤순영& (2012)의 지식수준은 평균 11.34±3.24점 보다 높았다. 이는 65세이상 노인과의 동거 경험과 학력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연구보다 높은 결 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요양보호서비스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인력의 확보를 위하. 여 서비스 인력의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고 과다 배출한 점 빠른 현장 투입을 위해 부실, 교육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의 문제점이 제시되었던 것 이준우 서문진희( & , 2009)이 점 차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과정을 통해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이 향상 되고 있다고 생각된 다 단 요양병원의 경우 평가 등급에 따라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 ,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지식수준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직업적 역할을 올바 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 및 의무적 시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두 기관을 비교했을 때 요양원이 요양병원보다 높은 이유는 신체적 지식 및 사회적 지 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학력수준이 높고 요양보호사의 자격증의 여부에 따,

(32)

라 높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정현심( , 2015)에서 학력에 따라 지식 점수가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 것과 유사하였 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140점 만점에 요양병원은 87.7±16.8 ,점 요양원은 86.1±14.5점으 로 요양병원의 중립적인 태도 범위(70~90 )점 에 있지만 요양병원의 점수가 더 높아 노인, 에 대한 태도가 요야원보다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 구 신행자( , 2011)에서 평균 76.8 ,점 재가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정현심( , 에서 평균 점 타 직종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김혜은 에서 평균

2015) 83.4 , ( , 2009)

점으로 대체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립적이었던 것과 유사하지만 그들의 연구 76.3

와 비교했을 때 높은 점수이다 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한 근. 무관련 특성에서 근무 불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에 대해 불만족일수록. 노인의 태도 점수가 높게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이재. ( 연, 2015)에서는 건강이 좋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타 직종인 간, 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이미옥( , 2006)에서는 직무 만족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직무 환 경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태도를 갖게 되어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해 주고 환자에게 친절한 간호를 수행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노인요. 양병원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강상구( , 2014)는 있지만 요양 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근무만족, 의 관련에 대해 비교한 연구가 없어 추후 연구를 통해 확인 및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 된다.

요양보호서비스 질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은 79.5±11.9 ,점 요양원은 점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도구를 이용한 선행 연구의 결

81.7±7.5 .

과와 비교해 보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오세웅, ( , 2008)에서 78점보 다 높았고 재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정현심, ( , 2015)에서 85점보다는 낮았다. 요양보호서비스 질의 척도 가지 하위 변인 중 본 연구는 전체 유형성과 신뢰성이 높았5 고 요양병원은 유형성이 요양원은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는 시설 요양보, , , 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오세웅( , 2008; 신행자, 2011)에서 신뢰성이 가장 높다고 보고 한 것과 유사하였다 두 기관을 비교했을 때 신뢰성 대응성 및 보증성에서 요양병원보. , 다 요양원에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서비스 질과 관련이 있었던 변수는 최종학력, 수준 당뇨 및 관절염의 진단 요양보호사 자격증의 유무 직무 만족도 직무교육 및 월, , , , 평균 수입이었다 요양보호 서비스 질에 대한 동일 도구를 이용한 재가 요양보호사를 대.

(33)

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 서비스 질과 관련이 있었던 변수는 근무기간이었고 정현심( , 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 변수는 연령 학력수준 담당 노인

2015), , ,

의 수 및 근무형태였다 신행자, ( , 2011).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박혜욱 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므로 건 ( , 2007))

강전문가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노인 건강관리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고 보고한 것과 유사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대한 평과 결과는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받는 고객이나 관리 자등 객관적인 외부 평가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개발된 방법은 없는 실정으로, 정현심 대부분의 연구에서 자기 보고에 의한 질 평가를 이용하고 있다 박소진

( , 2015) ( ,

추후 객관적 방법을 적용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 2010).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째 전남 광주 지역의 일부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 , 비스 종사자로 한정하여 조사되었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전체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를 비교 및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둘째 요양병원과 요양원을 평가 등급별로 나누어. , 비교한 선행연구가 부재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직접적 으로 비교하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는 일상생활을 독. 립적으로 할 수 없어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들에서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같은 직무 를 하지만 기관마다 자격조건이 다르며 이는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준다고 생, 각하여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 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비교를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 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34)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노인 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수준을 알아보고 요양보호서비스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파악 및,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 개와5 요양원 10개의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 35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 특성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 기술통계 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집단 간 평균차이( , , , ), t-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 점수를 보면 요양병원은 총점 15.7±3.6 ,점 요양원은 총점 점이었다 노인에 대한 태도의 평균 점수는 요양병원은 점 요양원은

16.4±3.6 . 87.7±16.8 ,

점이었다 요양보호서비스 질 점수는 요양병원은 총점 점 요양원은

86.1±7.5 . 75.9±11.9 ,

총점 81.7±7.5점이었다 노인에 대한 지식점수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는 최종 학. 력수준, 65세 이상 노인과의 동거경험 당뇨진단 여부 및 요양보호사 자격증의 유무이고, ,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는 흡연과 직무 만족도였다 요양보. 호서비스 질 점수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는 최종학력 수준 당뇨와 관절염 진단, 여부 요양보호서비스 자격증의 유무 월평균 소득 최근 년 이내에 직무교육 여부 및, , , 1 근무 만족도였다.

향후 요양병원과 요양원을 평가 등급별로 구별하여 요양보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요양보호서비스 질을 비교하는 다양한 연구의 시도가 필요하다 또한 요양병원. 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종사자의 경우 노인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격 제한없이 무조건적으 로 서비스제공자를 채용하는 것보다 의무적인 교육과정과 실습을 통해 임상에서 근무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노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긍정. 적인 태도를 함양시킴으로서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시행 도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5)

참고문헌 .

강상구(2014). 노인요양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의료, 복지학회, 6(1): 131-147

김귀분 박민숙 석소현, , (2008). 중년의 노후 생활준비도 및 요양시설 인식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3): 480-494

김은경(2012). 일 교육프로그램 중재 후 노인 병원 간병인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변화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원길(2007). 사회복지학과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전주산, 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2008). 요양보호사국가자격제도 도입과 과제 경남정책, Brief 14(3): 1-8

김혜은(2009). 간호사의 노인에 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도 부산카톨릭대학교, ,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소진(2010).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재가노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욱 조복희, (2007).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가정, 간호학회지 17(1): 36-44

보건복지부(2016). 노인복지법.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2017). 요양보호사양성지침. http://www.mohw.go.kr

국민건강보험공단(2015). 노인장기요양보험. http://www.longtermcare.or.kr

신행자(2011).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요양서비스 질 간의 관계 한양대, , , 학교 임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미라(2010).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직무만족과 자존감 및 간호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세웅(2008). 노인요양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재균(2011).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요양병원의 요양보호사와 간병사의 직무만족도 비교٠연구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광재 류장근 김희곤, , (2011).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3(1): 65-75

이미옥(2006). 일반병동 근무자와 특수병동 근무자의 대처전략 직무 만족도 이직의도에, ,

(36)

관한 연구 가천의과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임수(2012). 노인을 대하는 태도와 직무 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준우 서문진희, (2009).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노년학, 29(1): 149-175

이재연(2015).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직무만족과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춘자(2003).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일반종합병원과 노인전문병원중심으로- ,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형실(2011).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주관적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영신(2002). 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선대학교 환경보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미현 권선숙, (2009). 요양보호사 급 교육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 노인1 , 간호학회지; 11(1): 51-61

정지영 윤순영, (2012). 요양병원 간호 인력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직접 간호, , 수행 정도 및 노인 학대 인지도 노인간호학회지, 14(3): 239

정현심(2015). 재가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와 요양보호서비스 질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15). http://www.kostat.go.kr/

최영문(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정책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한정란(2003).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 노년학, , 23(4): 181-194

황은희 정덕유 김미정 김건희 신수진, , , , (2012). 요양시설과 재가의 요양보호사 직무교육,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1): 101-112

Donabedian A(1980).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 sment and monitoring, Vol 1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 s asses sment . Ann Arbor, MI. Health administration pres s

Palmore EB(1988). The facts on aging quiz: second edition.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SERVQUAL(1988). A Multiple-item

(37)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ling ; 64(1): 12-40

Sander GF, Montgomery JE, Pittman JF, Balkwell C(1984). Youth'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wareness of radiation department students and their intent in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functional outcomes of the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fractures, retrospectively, in multiple thoracolumbar

Therefore, in this study, genetic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infections of Orientia tsutsugamushi, Ricekttsia genus, Anaplasma phagocytophilum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food insecur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status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Income security, health and medical care, welfare measures through long-term care and assisted living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by working are the key elements and all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aromatherapy pimple treatment program with the pimple skin care and treatment by testing the ac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