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常山의 기원에 관한 문헌적 고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常山의 기원에 관한 문헌적 고찰"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常山의 기원에 관한 문헌적 고찰

1)

정 종 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Bibliographic study on the Origin of RADIX DICHROAE

Jong-Gil Jeong*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 Shin University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igin pl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plants of Sang-San.

Method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ibliographies about Sang-San were examined. The examination was focused on the origin. Standing on this analysis the li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plants were presented.

Results :

1. RADIX DICHROAE is root of Dichroa febrifuga Lour .

2. At first, RADIX DICHROAE was belong to Orixa japonica Thunb which was used until 907-960.

After that, it changed as what we call RADIX DICHROAE today.

3. Current RADIX DICHROAE has various of types in the market.

Conclusions : RADIX DICHROAE is root of Dichroa febrifuga Lour.

Key words : RADIX DICHROAE, Dichroa febrifuga Lour, Orixa japonica Thunb

* 교신저자 : 정종길, 전남 나주시 대호동 252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 Shin University, Daeho-dong, Naju, Cheollanam-do, Korea. jgj3523@naver.com 82-61-330-3502

․ 접수 : 2010년 11월 5일 ․ 수정 : 2010년 11월 22일 ․ 채택 : 2010년 12월 1일

(2)

序 論

藥徵續編

1)

의 品考에서 常山은 “常山者, 華 物爲良, 和産多僞品. 若無蜀漆, 則常山可以權 用. 本邦亦多産. 醫者或未知此物.”이라 하였으 며, 藥徵

2)

에서는 桂枝去芍藥加蜀漆龍骨牡蠣 湯, 牡蠣湯, 牡蠣澤瀉散, 蜀漆散에서 蜀漆을 약 용하였다. 따라서 常山은 蜀漆의 대용으로 약 용하였음을 알수 있다. 현존하는 最古의 本草 書인 ≪神農本草經≫

3)

에 “常山, 味苦, 寒. 主傷 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 吐逆, 一名 互草. 生川谷.”이라고 처음으로 기재되어 있는 데,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는 기록이 없다. 中藥

大辭典

4-5.)

에서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 “虎耳草

科에 속하는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根이다.”라고 하였다. ≪新編中藥志≫

6)

, ≪中 藥大全 ≫

7)

, ≪臨床本草學≫

8)

등에서 常山의 起 源에 대하여 薔薇科에 속한 落葉灌木인 조팝 나무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 의 根, 박주가리과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백미 꽃Cynanchum atratum Bunge의 根, 蕓香科에 속한 落葉灌木인 상산(日本常山)Orixa japonica Thunb.의 根, 茜草科 玉葉金花Mussaenda pubescens Ait. f.의 根등을 대용식물로 기재하 였다. 이와 같이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 文獻的 으로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러나 ≪新編中藥 志 ≫에서 “劉寶善등의 연구에 의하면 최초의 常山은 蕓香科에 속하는 和常山(상산)Orixa japonica Thunb.을 五代(907-960)까지 약용하 였으며, 이후로 虎耳草科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瘧疾치료효과가 和常山보다 강력하여 이후로 常山을 약용하였다.”라고 하 여 起源에 대한 정리가 오래전에 있었음을 알 수있다. 그러나 현재 常山은 임상응용이 드물

고 유통되는 常山도 약재가 불분명하여 혼용 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문헌적으로 常山의 起 源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매우 의미 있는 知見 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調査資料 및 調査內容

1. 調査資料

≪神農本草經≫외 18종의 文獻을 중심으로 기초자료 및 中國 四川省을 방문하여 조사하 였다.

2. 調査內容

文獻을 중심으로 常山의 起源, 效能, 主治, 副作用등을 조사하였다.

本 論

1. 歷代 本草書의 起源

현존하는 最古의 本草書인 ≪神農本草經≫

3)

에 “常山, 味苦, 寒. 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 毒, 胸中痰結, 吐逆, 一名互草. 生川谷.”이라 고 처음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는 기록이 없다. 역대 본초서의 상산의 기원에 관한 기록을 조사하면 <표 1>과 같다.

2. 歷代 本草書의 效能

현존하는 最古의 本草書인 ≪神農本草經≫

3)

에 “常山, 味苦, 寒. 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

毒, 胸中痰結, 吐逆.”이라고 처음으로 기재되

어 있으며, 역대 本草書의 常山의 效能에 관한

기록을 조사하면 <表 2>와 같다.

(3)

本草書 基源 神農本草經 常山生益州川谷及漢中. 二月, 八月採根, 陰乾.

本草崇原 生山谷間, 莖高三四尺, 圓而有節, 其葉似茗, 兩兩相對, 二月作白花, 靑萼, 五月結 實靑圓. 常山者, 根之名.也 狀似荊根, 細實而黃者, 謂之雞骨常山, 用之最勝, 其苗 名蜀漆.

日華子本草 虎耳草科植物 黃常山的根.

蜀本草 常山生益州川谷及漢中. 二月, 八月採根, 陰乾.

中藥大辭典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中華本草 虎耳草科植物 常山Dichroa febrifuga Lour.的 根.

全國中草藥匯編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的 根.

新編中藥誌 常山Dichroa febrifuga Lour.的 乾燥根.

中藥學 虎耳草科落葉小灌木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中國藥材學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東醫寶鑑 조팝나무뿌리.

中藥大全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臨床本草學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表 1. 歷代 本草書의 起源

本草書

神農本草經 味苦, 寒. 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 吐逆,

蜀本草 苦, 辛, 寒, 微寒, 有毒. 主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吐逆. 療鬼蠱往 來, 水脹,洒洒惡寒, 鼠瘻.

本草崇原 氣味苦寒, 有毒. 主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 吐逆.

本草綱目 苦, 寒, 有毒. 主治傷寒寒熱, 熱發溫瘧鬼毒, 胸中痰結吐逆. 療鬼蠱往來, 水脹, 洒 洒惡寒, 鼠瘻. 治截瘧, 吐痰涎, 治項下瘤廮.

中藥大辭典 苦辛, 寒, 有毒. 除痰, 截瘧. 治瘧疾, 瘰癧.

中藥學 辛, 苦, 寒, 有毒. 涌吐痰飮, 截瘧. 主治胸中痰飮, 瘧疾.

中華本草 味苦, 辛, 性寒, 小毒. 劫痰, 截瘧. 主治胸中痰飮積聚, 瘧疾.

新編中藥誌 味苦, 性微寒, 有小毒. 截瘧. 間日瘧, 三日瘧及惡性瘧疾.

中國藥材學 辛, 苦, 寒, 有小毒. 截瘧, 涌吐痰涎.

全國中草藥匯編 苦, 寒, 有小毒. 截瘧, 解熱. 間日瘧, 三日瘧及惡性瘧疾.

東醫寶鑑 性寒味苦辛有毒. 治諸瘧吐痰涎去寒熱. 處處有之則蜀漆根也. 八月採根陰乾. 細 實黃者呼爲雞骨常山最勝.

中藥大全 辛, 苦, 寒, 有小毒. 吐痰, 行水, 截瘧. 新久瘧疾, 老痰積飮, 欲吐不能, 胸脇脹滿.

臨床本草學 辛, 苦, 寒, 小毒. 截瘧退熱, 涌吐痰涎. 主治瘧疾, 胸中痰飮.

表 2. 歷代 本草書의 常山의 效能

(4)

考 察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 현존하는 最古의 本 草書인 ≪神農本草經≫

3)

에 “一名互草. 生川 谷.”이라고 처음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常山의 起源에 관하여는 기록이 없다. 常山은 ≪神農 本草經 ≫의 下品에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또한 蜀漆이라고 하며 “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 吐逆.”을 主治하며, 蜀漆은 “瘧及咳 逆寒熱, 腹中症堅痞結, 積聚邪氣, 蠱毒鬼瘧”을 主治한다. 梁代․≪名醫別錄≫에서 “常山은 益州의 川谷이나 漢中에서 산출된다. 二月, 八 月에 根을 채취하여 陰乾한다. 蜀漆은 江이나 林山川谷 또는 蜀의 漢中에서 산출되며 常山 의 苗이다. 五月에 葉을 채취하여 陰乾한다.”

라고 하였다. 宋代 ․≪圖經本草≫에서 “常山, 蜀漆은 瘧疾을 치료하는 최고의 要藥이며 다 량 복용은 吐逆을 일으키므로 不可하다.”라고 하였다. 明代 ․李時珍은 ≪吳普本草≫에서 常 山의 명칭은 恒山을 뜻하며 그러한 이유는 “恒 은 常이다. 恒山은 北岳이며 지금의 定州이며, 常山 또한 郡名이며 지금의 眞定이다. 蜀漆은 常山의 苗이며 효능이 같고 지금은 같이 쓴 다.”라고 하였다. 또한 ≪唐本草≫에서 “常山 은 산의 계곡에서 산출된다. 줄기는 둥글고 마 디가 있으며 크기는 3~4尺을 넘지 않는다. 잎 은 차나무잎과 비슷하며 좁고 길다. 3월에 흰 꽃이 피며 꽃받침은 청색이고 5월에 푸른색의 둥근 열매가 달리며 3개의 종자가 房을 이룬 다. 常山을 햇볕에 말리면 청백색이 되어 쓸 수 있다. 만일 음건하면 흑색으로 변하고 문 드러 진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현재의 常山 과 동일식물의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常山의 복용법과 치료효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常

山과 蜀漆은담을 없애고 학을 끊는 효과가 있 다. 모름지기 이미 표사를 흩어서 양분으로 끌어낸 후에 사용해야 적합하고 곧 신효를 거 둔다. 그러므로 誤用하면 眞氣를 반드시 상한 다. 이러한 이유로 常山의 학질 치료효과는 일찍이 고대의 시대부터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常山의 起源植物에 관하여 中藥大辭典

4-5.)

에 서 “常山은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m에 달한 다. 줄기와 가지는 원형이고 마디가 있으며 어 릴 때에 황갈색의 짧은 털이 덮여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장방형 모 양의 도란형이고 길이는 5~17cm, 너비는 2~

6cm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기부는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어릴 때는

양면에 모두 황갈색의 짧은 털이 듬성듬성하

게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繖房花

序는 가지 끝 또는 상부의 잎겨드랑이에 착생

하고 꽃은 연한 남색이다. 개화기는 6~7, 결실

기는 8~9월이다. 蜀漆은 건조한 어린 가지는

원기둥 모양으로 가늘고 약하다. 잎의 대부분

은 오그라져 주름져 있으며 褐色 또는 綠褐色

이다. 완전한 잎은 橢圓形 또는 넓은 피침형이

거나 사각 모양의 거꿀달걀꼴이고 끝은 뾰족

하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고 基部는 쐐기

모양이다. 光澤이 있어 반들반들하고 털은 없

다. 전체는 가볍고 코를 찌르는 특유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다. 묵은 자루가 없으며 잎은

크고 갈라져 있지 않고 맛이 짙은 것이 품질이

좋다. 중국의 四川, 貴州, 湖南 등지가 주산지

이고 이외에 湖北, 廣西 등지에서도 産出된

다.”고 하였다(그림 1, 2)

(5)

그림 1. 常山의 잎(蜀漆) 그림 2. 常山의 根

그림 3. 海州常山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그림 4. 和常山(상산)Orixa japonica Thunb.

≪臨床本草學≫에서 常山은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 외에도 “薔薇科에 속한 落 葉灌木인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의 根을 木常山, 박주가리 과에 속한 多年生草本인 백미꽃Cynanchum atratum Bunge의 근을 草常山, 蕓香科에 속한 落葉灌木인 상산(일본상산)Orixa japonica Thunb.

의 근을 臭常山, 馬鞭草科에 속한 落葉灌木인 누리장나무의 根과 嫩枝를 海州常山이라 칭하 며 代用 할수 있다”고 하였다.

≪新編中藥志≫에서 “劉寶善등의 연구에 의 하면 최초의 常山은 蕓香科에 속하는 和常山 (상산)Orixa japonica Thunb.을 오대(907- 960) 까지 약용하였으며, 이후로 虎耳草科 黃常山 Dichroa febrifuga Lour.의 瘧疾치료효과가 和 常山보다 강력하여 이후로 常山을 약용하였다.

또한 傳豊永, 張昌紹등의 연구에 의하면 과거의

常山의 기원식물은 和常山(상산) Orixa japonica

Thunb.의 根이었으며, 本草綱目에서 말하는

起源植物은 虎耳草科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根이다. 常山은 灌木으로 四川, 貴州,

雲南일대에 분포하며 근의 형상이 雞骨과 비

슷하여 식물학자들이 관습적으로 雞骨常山이

라고 칭하게 되엇다. 중앙연구원 裵鑑博士는

白常山과 구별하기 위하여 黃常山으로 명명

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白常山은 黃常山과 다

른種으로 중국의 해안지역에서 유통되며 根

이 白色으로 起源植物은 茜草科 玉葉金花

Mussaenda pubescens Ait. f.의 根으로 常山의

僞品이다. 그러므로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瘧疾치료효과는 확실하며 五代이후로

起源植物로 사용하여 왔으며 中國藥典에도 역대

(6)

로 계속 收載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藥徵續編≫에서는 “蜀漆乃常山苗. 其功 與常同, 蜀漆無華舶來之物, 常山者, 華物爲良, 和産多僞品. 若無蜀漆, 則常山可以權用. 本邦 亦多産. 醫者或未知此物”이라 하여 常山은 중 국에서 수입되는데 수입품이 좋은 것이고 일본 산은 가짜다고 하였으며, 蜀漆은 常山의 싹이고 그 효능은 常山과 同一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根을 起源으로 하고 있다(表 1참조). ≪藥 徵續編 ≫에서 常山은 蜀漆의 代用약재로 분류 하였으며, 중국에서 수입한 약재를 정품으로 인정하였다. 일본에서는 虎耳草科植物 黃常山 Dichroa febrifuga Lour.이 존재하지않고, 蕓香 科에 속하는 和常山(상산)Orixa japonica Thunb.

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는 ≪新編中藥志≫에 서 劉寶善이 오대(907-960)까지 약용하였다고 말한 식물이다. 효능적인 면에서 상산을 살펴 보면 ≪本經疏證≫에서 “무릇 약에서 鱗介나 禽獸가 아닌 것은 비린내에 대해 말한 사람이 없으나 유독 張仲景만이 蜀漆을 사용할 때 비 린내를 씻어버리라는 註를 꼭 달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蜀漆 냄새의 惡劣性이 다른 草木 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本 草綱目 ≫에서는 “常山․蜀漆․有劫痰截瘧之 功, 須在發散表邪, 及提出陽分之後, 用之得宜, 神效立見, 用失其法, 眞氣必傷. 又云; 常山 ․蜀 漆, 生用則上行必吐, 酒蒸炒熟用則氣稍緩, 少 用亦不致吐也.”라고 하여 蜀漆과 常山의 효능 을 같이 보았다. 禁忌에 관하여 ≪中藥大辭典≫

에서 “正氣가 허약하고 지병으로 신체가 약한 증상에는 복용에 주의한다.”고 하였고, ≪神農 本草經集注 ≫에서 “括蔞를 使로 한다. 貫衆을 꺼린다.”고 하였고, ≪藥性論≫에서 “吐逆을

일으키기 때문에 多量을 복용하면 안된다. 橐 吾를 꺼린다.”고 하였고, ≪四聲本草≫에서

“桔梗을 使로 한다.”고 하였고, ≪得配本草≫

에서 “胃가 虛弱한 경우와 老幼의 허약한 경우

에는 복용하면 안 된다. 蔥, 茗을 꺼린다.”고 하

였다. ≪本草正義≫에서 “무릇 瘧邪의 간헐적

인 往來寒熱에 속하는 것은 모두 凝痰과 積濕

이 經隧에 머믈기 때문이다. 古人은 늘 痰이 없

으면 瘧이 생기지 않고 積이 없어도 瘧이 생기

지 않는다고 했는데, 만약 먼저 그 痰濕積滯를

泄化하지 않으면 병의 뿌리가 또아리를 틀어

끝내 寒熱이 멈추지 않는다. 恒山의 작용은 본

래 痰을 열고 水를 내쫓으며 濕을 씻어내고 積

을 化하는 것이라 생각되었고, 이 때문에 ≪本

經 ≫과 ≪別錄≫에서 전부 瘧을 치료하는 要

藥으로 여겼다. 後人은 仲經의 小柴胡湯에만

집착하여 小柴胡湯이 瘧을 主하는 것을 아는

자는 많으나, 恒山이 瘧을 主하는 것을 아는 者

는 적다. 그런즉, 柴胡가 瘧을 치료하는 것은

단지 邪氣가 經絡에 있는 일부의 경우이고 痰

濕積滯는 돌볼 수 없으며, 또 점진적으로 발작

하고 점진적으로 가라앉은 者에게나 적합하며,

이르게 사용하거나 늦게 사용하는 것은모두

부적당하다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恒山이 이

瘧을 치료하는 것은 내부의 蘊結을 소통하여

그 뿌리를 도려낸즉, 寒熱의 邪가 기댈 곳이 없

어져 瘧이 자연히 발작하지 않는 것이다. 곧 柴

胡는 도리어 表를 치료하고 恒山은 결국 그 本

을 치료한다. ……李時珍은 ‘常山과 蜀漆은 痰

을 없애고 瘧을 끊는 효과가 있다. 모름지기 이

미 表邪를 흩어서 陽分으로 끌어낸 후에 사용

해야 적합하고 곧 神效를 거둔다.’고 했는데,

持論이 극히 타당하다. 常山의 효과는 오로지

痰濁을 開泄함에 있으므로, 만약 邪氣가 表分

(7)

藥名 原植物 各注

和常山, 臭常山 蕓香科 和常山Orixa japonica Thunb. 根, 莖葉을 일본, 중국각지에서 常山으 로 약용. 解熱鎭咳外用治腫毒.

土常山, 野常山 山礬科 華山礬Symplocos chinensis (Lour.) Druce

根, 根皮를 江西, 廣西지역 민간에서 瘧疾치료에 약용

滇常山 馬鞭草科 滇常山 Clerodendron yunnanensis Hu ex Hand.-Mazz.

莖, 枝葉을 雲南지역에서 常山으로 약 용. 治頭眩暈.

海州常山 馬鞭草科 海州常山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根, 莖葉, 花를 浙江, 福建에서 截瘧에 약용. 祛風濕, 淸熱, 利尿止痛, 平肝降 壓, 治瘧.

土常山

虎耳草科 馬桑綉球 Hydrangea aspera D. Don, 臘蓮綉球H. strigosa Rehd., 傘花綉球H. umbellata Rehd., 圓錐綉球H. paniculata Sieb.

中國 長江流域에서 根과 葉을 常山代 用으로 截瘧에 약용

北常山, 山常山 小蘗科 細葉小檗Berberi poiretii Schneid. 根을 北京과 河北에서 常山으로 약용.

白常山 茜草科 玉葉金花Mussaenda pubescens Ait. f. 四川地域에서 常山으로 약용. 散寒瀉 火, 治瘧疾, 寒熱往來.

滇雞骨常山 夾竹桃科 雞骨常山Alstonia yunnanen-sis Diels

根, 枝葉을 雲南地域에서 瘧疾치료에 약용. 治發熱頭痛, 身起泡, 紅腫, 及高 血壓. 葉有小毒消炎, 止血, 按骨止痛藥.

表 3. 常山으로 유통되는 식물

에 있으면 본래 그 힘이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上逆을 下降키고 結을 흩어버리며 또 下行에 뛰어나므로, 瘧邪가 이미 陰分으로 들어간 경 우에는 苦寒으로 막아서 그 抑鬱한 곤경이 더 심해지고 밖으로 나갈 통로가 거듭 없어진다.

生用으로 많이 사용하면 上行하여 吐하고, 炒 熟하여 조금 사용하면 吐하지 않는다.’고 했는 데, 바로 生用하면 비린 점액이 제거되지 않아 쉽게 嘔吐를 유발하고, 炒用하면 沈降하는 힘 이 더욱 집중되어 자연히 上逆하지 않기 때문 이다. 다만, 破降開泄하는 힘이 峻烈하므로 實 證에 적합하고 虛人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만 약 오랜 瘧으로 氣가 虛하고 痰이 쌓이지 않은 경우라면 함부로 시도해서는 안 된다. 朱丹溪 가 이미 ‘그 성질이 난폭하여 잘驅逐하고 眞氣 를 傷하므로 虛怯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했 다.”라 하였다. 張錫純은 ≪衷中參西錄≫에서

“常山은 脾의 痰을 잘 해소시키므로 瘧疾치료 의 要藥이다. 少服하면 痰을 서서히 解消 시킬

수 있고, 만약 多服하면 脾中의 痰이 吐出되며, 그것은 多服하면 嘔吐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諸家들의 本草書에서 有毒이라 하였

다. 醫家들은 瘧疾을 치료하고자 하면 이러한

이유로 감히 多用하지 못한다. 만약 반드시 효

과를 보고자 하면 마땅히 古人들은 1첩을 3회

에 나누어 복용하였고, 常山 5 ∼6錢을 큰술잔

만큼 煎湯하여 5 ∼6차에 걸쳐 나누어 서서히

溫服하면 嘔吐를 유발하지않고 瘧疾을 80 ∼

90%를 치료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상의

여러 문헌에서 常山과 蜀漆은 有毒하며 ≪本

草正義 ≫에서“生用으로 많이 사용하면 上行

하여 吐하고, 炒熟하여 조금 사용하면 吐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바로 生用하면 비린 점액이

제거되지 않아 쉽게 嘔吐를 유발하고, 炒用하

면 沈降하는 힘이 더욱 집중되어 자연히 上逆

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실제 常

山과 蜀漆(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에서

는 강한 냄새가 없고, 海州常山Clerodendron

(8)

trichotomum Thunb.과 和常山(상산)Orixa japonica Thunb.에서 비릿한 냄새가 난다. 따라서 기원 식물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藥品化儀≫에서

“ 세상 사람들이 상산의 맹렬한 성질을 꺼려서 잘 이용치않아 瘧疾을 장기간 방치해 두는데 이는 우매한 짓이다. 그러나 많이 쓰거나 오래 쓰지는 말아야 한다. 常山은 씹으면 나무와 같 고 맛이 없으나 달이면 약간 쓴맛을 띤 단맛이 난다. 氣味는 모두 약하므로 劫藥은 아니다.”

라고 하였다. 현재 유통되는 常山의 종류도

<表 3.>에서와 같이 매우 다양한 종류가 유통 되고 있다. 따라서 약재의 감별이 요구되는 실 정이다.

結 論

1. 常山은 虎耳草科植物 黃常山Dichroa febrifuga Lour.의 根이다.

2. 최초의 常山은 蕓香科에 속하는 和常山(상 산)Orixa japonica Thunb.을 五代(907-960) 까지 약용하였으며, 이후로 虎耳草科 黃常 山Dichroa febrifuga Lour.의 근을 기원으로 하였다.

3. 유통되는 常山의 기원식물은 여러 종류가 있다.

參考文獻

1. 村井琴山.藥徵續編.學苑出版社. 1998:9-10.

2. 吉益東洞. 藥徵. 청홍. 2007:174-180.

3. 陳輝. 神農本草經. 學苑出版社. 2007: 247- 248.

4. 江蘇新醫學院編. 中藥大辭典. 下卷. 上海 科學技術出版社. 1978:2251.

5. 江蘇新醫學院編. 中藥大辭典. 中卷. 上海 科學技術出版社. 1978:1720-1723.

6. 肖培根. 新編中藥誌( Ⅰ). 化學工業出版社.

2002:911-914.

7. 崔樹德. 中藥大全. 黑龍江科學技術出版 社. 1989:685-690.

8. 辛民敎. 臨床本草學. 永林社. 2002: 814- 815.

9. 張志聰. 本草崇原. 中國中醫藥出版社. 2008:

140-141.

10.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 4卷. 上海科 學技術出版社. 1999:22-23.

11. 顔正華.中藥學.人民衛生出版社. 1991:900- 901.

12. 吳越日華子. 日華子諸家本草. 安徽科學技 術出版社. 2005:95.

13. 韓保昇. 蜀本草. 合肥. 安徽科學技術出版 社. 2005:405.

14. 許俊. 原本東醫寶鑑. 南山堂. 1983:733.

15. 李時珍. 本草綱目. 北京. 華夏出版社. 2004:

789-792.

16. 徐國鈞, 何宏賢, 徐珞珊, 金蓉鸞. 中國藥材 學. 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6: 221-223.

17. 全國中草藥滙編編寫組. 全國中草藥滙編(上 冊). 人民衛生出版社. 1975:744-745.

18. 張壽頤. 本草正義. 청홍. 2009:253- 256.

수치

表  1.  歷代  本草書의  起源 本草書 神農本草經 味苦, 寒. 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 吐逆,  蜀本草 苦, 辛, 寒, 微寒, 有毒. 主治傷寒寒熱, 熱發溫瘧, 鬼毒, 胸中痰結吐逆
그림  3.  海州常山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참조

관련 문서

서쪽에서 본 서북쪽 성곽 모습 서북쪽 성벽 목책열과 부강시내

松下問童子 言師採藥去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黄浦区 普安路185号 www.sgyy.cn 黄浦区 制造局路639号 www.9hospital.com.cn 徐汇区 宜山路600号 www.6thhosp-east.com.

性別에 따른 痛症은 여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남자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日常生活 어려움은 남자집단이 가장 높게

現代 韓國漢字音 -j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現代

본 연구에서는 뺷선화화보 뺸에 관한 문헌적 연구를 토대로,화론서로서의 가치와 그 화론적 경향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북송중기

토지의 질에 따라 도시의 분포밀도를 통제, 환경조건에 따라 도시의 분포밀도와 개발강도를 결정 도시의 입지 제안.

때때로 보호하여 주시어 신의 은덕을 입었사오니, 감히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펴놓고 올리오니 흠향 하시옵소서.... 이에 감동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