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도성(都城)의조영원리와특징)의조영원리와특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도성(都城)의조영원리와특징)의조영원리와특징"

Copied!
7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국 도성(都城)의

조영원리와 특징

(2)

l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중국 l 도시국가시대

l 도시계획과 운영

l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3)

l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중국

l 도시국가시대

l 도시계획과 운영

l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4)

실크로드(동서교역로), 중국(장안/낙양) - 로마

전한(前漢, BC206-AD25)개통, 당대(618-907) 활발

동서양의 교류

동양 vs. 동아시아

(5)

정화(鄭和, 1371-1434, 명대 환관), 남해원정

프란시스코 사비에르(Francisco Xavier, 1506-1552), 기독교문화 전파

동서양의 교류

동양 vs. 동아시아

(6)

동양(東洋)

남해(南海), 송말원초(13C) 서양 vs. 동양 (orient) 일본, 메이지(明治)

동양 vs. 동아시아

(7)

중국과 동아시아문명

지리적 정의: 아시아의 동쪽, 동유라시아(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 동아시아/동남아시아(/남아시아)

역사적 정의 : 니시지마 사다오西嶋定生(한자/유교/대승불교/율령제), 중국/한국/일본/ 베트남 Fairbank,“Chinese world order”, 중국/한국/베트남

동양 vs. 동아시아

(8)

l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중국

l 도시국가시대

l 도시계획과 운영

l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9)

도시국가시대

성(省) – 부/주(府/州) – 현(縣)

도시의 최소단위: 읍(邑), 현성(縣城)

예. 명청대 지방행정제도, 성(省)제 광주시 (성도(省都)

-> 광주부(廣州府) 14개 현(縣)을 관할 -> 부성(府城)또는 주성(州城)

현성(縣城)과 현청사(縣廳舍)

읍제(邑制) : 봉건제

군현제(郡縣制), 군국제(郡國制), 주현제(州縣制)

춘추 말에서 전국(BC 403~221), 한(BC 202∼AD 220)

(10)

읍(邑)

“邑, 國也”

고대에는 제후국(諸侯國)을 읍이라 하였다, state

“邑, 國都也”

읍은 국도이며 경성(京城)이다, capital

“邑外謂之郊”

읍의 바깥을 ‘교’라 부른다.

성곽을 가진 집락(集落) 口 -> 城

巴 -> 사람(人)이 주거하다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도시(읍)가 점과 선으로 연결되어 형성, 위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비(鄙): 읍을 중심으로 동서, 남북면의 교외, 중심의 변두리/지방

도(都): 중간정도의 큰 읍 국(國): 더 큰 대규모의 읍

도시국가시대

(11)

중심국가의 등장 : 주대(周代)

봉건질서의 적용

도시의 위계 형성, 중심과 주변도시

천자의 도시(王都), 제후의 도시(國, 城, 都, 鄕, 亭) -> 주종의 고리 형성

기술과 경제의 변화: 철기의 보급, 농공상업의 약진, 잉여 발생 관료제 등장, 봉건제 붕괴

봉건제도와 읍

도시국가시대

(12)

기술과 경제의 변화: 철기의 보급, 농공상업의 약진, 잉여 발생 관료제 등장, 봉건제 붕괴 -> 군현제 등장

성곽의 설치(내성/외곽) : 방어

도시 주요시설의 배치와 배열 방식 결정(도로/성문, 궁전/관청 등 기본요소) (규모/의례적 의미) : 생활 시장, 주거지[里-> 坊] 성장 : 도시구조 발달

도시구조의 발달

섭숭의(聶崇義, 북송) 왕성도(王城圖) 대진(戴震, 청) 왕성도(王城圖)

도시국가시대

(13)

l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중국 l 도시국가시대

l 도시계획과 운영

l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14)

도시모델 형성

하도(河圖), 낙서(洛書) -> 정전제(井田制) -> 홍범구주(洪範九疇) -> <주례ㆍ고공기>

<주례(周禮)ㆍ고공기(考工記)>

왕궁(왕성)을 기준으로 형태, 규모, 공간구조, 도로망 등을 규정

도시계획의 기초

(15)

도시모델 형성

1. 도성은 사방 9리의 정방형일 것 (方九里) 2. 도시의 기본공간구조를 격자형으로 구성

3. 4개의 기본 방위에 일치시켜 성벽으로 둘러쌀 것

4. 궁궐의 남문을 기준으로 중앙에 대로를 낼 것 (주작대로)

5. 각 방위마다 3개씩 모두 12개의 성문을 낼 것(旁三門, 國中九經九緯) 6. 면조후시(面朝後市): 중앙에 궁궐을 두고 전면에는 관청, 후면에는 시장

7. 좌조우사(左祖右社): 좌측에는 왕의 조상을 모신 종묘, 우측에는 지신을 모시는 사직

8. 전조후침(前朝後寢): 궁궐은 전면에는 정치 공간인 조정을, 후면에는 왕실 거처인 침전을 배치

<주례(周禮)ㆍ고공기(考工記)>

왕궁(왕성)을 기준으로 형태, 규모, 공간구조, 도로망 등을 규정

도시계획의 기초

(16)

《고공기》 〈장인(匠人)〉, ‘장인건국(匠人建國)’과 ‘장인영국(匠人營國)’

성터, 궁실, 종묘, 사직 영건을 포괄하는 도시계획적 원리가 기술

기본골격

12개의 성문

동서와 남북의 성문을 연결(9등분) 격자형의 간선도로 구획

중앙에 궁성 위치

기본형의 변형

《주례(周禮) · 고공기(考工記)》의 적용과 응용

北京城(원, 명, 청) 중앙(回字型)

長安城(수, 당) 북쪽(中偏心型)

洛陽城(당)

북서쪽 (左偏心型)

集寧路故城(원) 북동쪽(右偏心型)

도시계획의 기초

(17)

도시계획의 기초

<관자(管子)>의 영향, 因地制宜

<관자ㆍ권수(權修)>

도시건설의 근본은 “경제발전"

<관자ㆍ승마(乘馬)>

인구에 따라 도시의 등급을 결정, “千室之都, 萬室之國“

인구수는 곧 경제력의 척도

토지의 질에 따라 도시의 분포밀도를 통제, 환경조건에 따라 도시의 분포밀도와 개발강도를 결정 도시의 입지 제안

“凡入國都, 非于大山之下, 必于廣川之上, 高毌近旱而水用足, 低毌近水溝防省“

도시의 형태 제안

“因天才, 就地利, 故城郭不必中規矩, 道路不必中準繩”

<관자ㆍ대광(大匡)>

도시구조의 제안

도시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유리하고 도시를 관리하는데 편리해야 하는 것이 목표

벼슬아치는 왕궁 근처에, 벼슬 없는 이와 농부는 성문 가까이에, 공상업자는 시장 주변에 거주

(18)

도시계획의 기초

<주역(周易)>과 풍수(風水)의 영향

<주역(周易)>

주나라의 역(易)

‘역’: 음/양의 이원론 구조

모든 사물과 현상들을 음/양 두 가지로 구분, 그 위치나 생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원리 불변의 질서와 원칙에 인간사 결합

(19)

도시계획의 기초

<주역(周易)>과 풍수(風水)의 영향

<주역(周易)>

중국 고대의 일종의 점술에 관한 것

물(物, 자연환경), 상(象, 물적 외형), 수(數, 부호, 도형), 이(理, 내포된 뜻, 내용, 개념)을 결합하여 세계를 해석

음양을 근거로 하고 변화를 조건으로 하며 그림 형상으로 세계를 귀납

‘관물취상법(觀物取象法)’

상징체계 발달

: 도시 골격 형성의 기초 : 도시는 방형(方形)

: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천단(天壇)과 지단(地壇)

: 문(門)과 궁성(宮城)의 설치에 3, 5, 9의 수(數) 적용

예. 북경의 천단, 지단, 日壇, 月壇의 위치와 방향, 형태, 계단 등의 수 문이 명칭, 내성/황성/궁성의 위치와 명칭, 건물의 색채 등 : 도시공간의 질서와 위계에 영향

예. 황성(9, 5)과 제후국(7, 3)

(20)

도시계획의 기초

<주역(周易)>과 풍수(風水)의 영향

풍수(風水)

풍향과 수문(水文)을 관찰하는 학문

자연환경에서 인류의 생존과 발전에 가장 좋은 장소를 선택, 인간과 자연의 형평을 도모하려는 것 자연에 순치(順治)하여 최적의 생활환경을 건설

예. 남경(金陵)

(21)

도시의 운영

양경제(兩京制) 실시

cf. 單都制, 復都制(ex. 五京制) 중앙집권국가

上京, 上都, 皇都, 京師, 正都 vs. 배도(陪都)

ü 주(周)대, 양경제도(兩京制度) 등장

: 성왕(成王) 때, 주공단(周公旦) 낙읍(洛邑)을 부도(副都)로 : 호경(鎬京)을 서도(西都)로 낙읍을 동도(東都)로

ü 당대

: 장안을 서도로, 낙양을 동도로

ü 명대

: 남경(南京)에서 북경(北京)으로 천도, 남경은 유도(留都)로

호경장안 낙읍낙양

북경

남경

(22)

l 동아시아 문명의 중심, 중국 l 도시국가시대

l 도시계획과 운영

l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23)

중 국 왕 조

연 대 표

시대구분 존속기간 시대구분 존속기간

先史時代 ?~?

三皇五帝 ?~?

BC2000 ~ BC1600 商-殷 BC1600 ~ BC1046 西周 BC1122 ~ BC771

東周 BC771 ~ BC256 춘추전국시대 BC771 ~ BC221 帝國

BC221 ~ BC206 * 진시황이 중국 통일 前漢 BC 206 ~ AD 8

8~23

後漢 25~220

三國 220 ~265 西晉 256 ~ 317

221 ~589

221 ~263 東晉 317 ~ 420

229 ~ 280 五胡十六國 304 ~ 439

魏晉 北朝 439 ~ 534 남조: 宋/齊/梁/陳 南北朝 南朝 420 ~ 589 4왕조

581 ~ 618

618 ~ 907 武周革命

開元之治

690 ~ 705

五代十國 907 ~ 960 遙(거란) 916 ~ 1125 西

1038 ~ 北宋 960 ~ 1279 1227

南宋 1127 ~ 1279 金(여진) 1115 ~ 1234 1271 ~1368 * 북방 유목민 몽골의 제국, 칭키스칸

1368 ~ 1644 * 북방 유목민을 멸하고 한족 등극

1644 ~ 1912 * 북방 만주족(여진)이 세운 최후 제국, 누르하치

中華民國시대 1911 ~ 현재 중화민국(1911 ~ 1949), 중화인민공화국(1949 ~ 현재)

(24)

남경(건강, 금릉) 항주(임안) 서안(장안)

낙양개봉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소주 함양안읍

대동(평성)

삼대(업성)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25)

호경(서안서쪽) 낙양

북경(연경) 상도(제너두) 심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안)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상해

(26)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함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27)

서안(장안) 낙양

북경(연경) 상도(제너두) 심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상해

(28)

남경(건강, 금릉) 낙양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소주 안읍

대동(평성)

삼대(업성)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29)

서안(장안) 낙양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30)

항주(임안) 개봉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31)

남경(건강, 금릉)

북경(연경)

상해 상도(제너두) 심양

시대구분 先史時代 三皇五帝 商-殷

周(호경, 낙읍) 西周 東周 帝國

秦(함양)

漢(장안, 낙양) 前漢 後漢

三國 魏(업성, 낙양) 蜀(안읍)

吳(남경, 소주)

魏晉 北朝(대동)

南北朝 南朝

隋(장안) 唐(장안, 낙양) 五代十國

北宋(개봉)

南宋(항주) 元(상도, 대도/북경) 明(남경, 북경) 淸(북경)

中華民國시대(북경)

(32)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 서안시

(33)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 서안시

(34)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 서안시

(35)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중국, 섬서성, 서안시

(36)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나라, 대흥성(大興城) -> 당나라 장안성(長安城)

ü 선비족, 기마전사/유목정권 ü 유목정권의 왕도

: 북위의 평성(406년), 낙양성(502년), 업성(535년), 수 대흥성(583년), 수 낙양성(605년)

: 격자형의 계획도시,

중국 고전적 이상 도시를 모델로 삼음

: 거주지를 토벽으로 둘러싼 방장제(坊牆制) 채용, 치안과 방어 중시

: 다양한 종족, 다양한 문화 : 불교 도시

隋唐

수당(隋唐) 장안성,

이상도시 구현과 수도의 위상

(37)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당 태조, 통일 이후 우문개(宇文愷)에게 건설을 명함 ü 대흥성 건설 이유

: 군사와 치안 기능 강화 (돌궐 침략, 성내 인구증가 대비) : 새 왕조의 정통성 부여, 왕조 의례의 효과적 연출 필요 : 낡은 옛 장안성의 활용 한계

: 자연환경의 문제

(염화작용으로 인한 건물 노후, 생활용수 문제,

위수의 침식작용과 홍수로 성벽 훼손 등)

수나라, 대흥성(大興城) -> 당나라 장안성(長安城)

隋唐

수당(隋唐) 장안성,

이상도시 구현과 수도의 위상

(38)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장안성의 동남부로 결정

: 군사적 목적, 방어상의 편리성(지세, 관중평야) : 자연환경(지하수위, 토질, 자연수, 식생 등) : 궁성(황제 거주 궁궐)

황성(관청가)

외곽성(귀족부터 서민 거주지, 시장 등 포함) 조성 : 동서 9.7km, 남북 8.6km 규모

: 궁성 북쪽 금원(禁苑) 조성

隋唐

수당(隋唐) 장안성,

이상도시 구현과 수도의 위상

입지선정

(39)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왕도궁전의 위치와 중심축 결정

: 취정제(태양 이용, 북극성 이용) 를 통해 궁전 위치 결정

: 왕도 의례선(남북방향) 결정

: 궁전과 의례선을 이어 남북 축선 만듦

간선도로 건설

: 남북/동서대가 각각 셋

- 6개의 대가(大街), 육가(六街) : 남북대가 정중앙 가로

– 주작문가(朱雀門街), 150-55m : 대가 사이에 작은 도로(小街) 건설

남북소가 6개(63-67m) 동서소가 9개(39-75m) 방(坊) 건설

: 총 9(남북), 12(동서)개의 가로가 왕성의 골격 : 격자형의 방(坊) 110방(가동/가서 각각 55개) : 街東/街西에 각각 1개씩 시장(東市/西市) 조성 외곽성 성벽 건설

: 높이 약 5.3m, 기단부 두께 9-12m

장안성 건축 공정

(40)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궁성(宮城)

: 대흥궁(태극궁)_황제가 정무 보는 궁전지역 : 동궁_황태자가 머무는 궁전지역

: 액정궁_황후가 머무는 궁전지역, 후궁

환관이 머무는 내시성(內侍省) 배치 : 태창_지방에서 세금으로 바친 곡물을 수납

관리하는 창고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41)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궁성(宮城)

: 대흥궁(태극궁)_황제가 정무 보는 궁전지역 : 동궁_황태자가 머무는 궁전지역

: 액정궁_황후가 머무는 궁전지역, 후궁

환관이 머무는 내시성(內侍省) 배치 : 태창_지방에서 세금으로 바친 곡물을 수납

관리하는 창고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42)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궁성(宮城)

: 대흥궁(태극궁)_황제가 정무 보는 궁전지역 : 동궁_황태자가 머무는 궁전지역

: 액정궁_황후가 머무는 궁전지역, 후궁

환관이 머무는 내시성(內侍省) 배치 : 태창_지방에서 세금으로 바친 곡물을 수납

관리하는 창고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43)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궁성(宮城)

: 대흥궁(태극궁)_황제가 정무 보는 궁전지역 : 동궁_황태자가 머무는 궁전지역

: 액정궁_황후가 머무는 궁전지역, 후궁

환관이 머무는 내시성(內侍省) 배치 : 태창_지방에서 세금으로 바친 곡물을 수납

관리하는 창고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44)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금원(禁苑, 수: 대흥원) : 궁성 배후를 방위

: 서내원_ 대흥궁(태극궁, 당) 방어를 위해 조성 : 동내원_대명궁 내 경승지

: 금원_황제의 수렵지이자 유람지 산수와 파수(동쪽) 위수(북쪽)

휼수(서쪽) 황성(남쪽)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장안의 중심축선과 좌우 대칭을 이룬 의례 시설

(45)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장안의 중심축선과 좌우 대칭을 이룬 의례 시설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금원(禁苑, 수: 대흥원) : 궁성 배후를 방위

: 서내원_ 대흥궁(태극궁, 당) 방어를 위해 조성 : 동내원_대명궁 내 경승지

: 금원_황제의 수렵지이자 유람지 산수와 파수(동쪽) 위수(북쪽)

휼수(서쪽) 황성(남쪽)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46)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금원(禁苑, 수: 대흥원) : 궁성 배후를 방위

: 서내원_ 대흥궁(태극궁, 당) 방어를 위해 조성 : 동내원_대명궁 내 경승지

: 금원_황제의 수렵지이자 유람지 산수와 파수(동쪽) 위수(북쪽)

휼수(서쪽) 황성(남쪽)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장안의 중심축선과 좌우 대칭을 이룬 의례 시설

(47)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주작문 주작문가(朱雀門街)

ü 궁성 · 금원 · 황성의 공간구성

황성(皇城)

: 중앙관청과 동궁의 관청

장안성의 주요 공간구성

태묘[左廟]

대사[右社]

(48)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공통점

궁성 내의 궁전이 남->북, 삼조제(외/중/내조) 궁전이 남향 배치, 궁전의 남쪽에 관청가 배치

종묘와 토지신/곡식신에 제사 지내는 사직이 좌우(동서)에 배치 성벽 구조가 방형(方形)

동/서/남쪽 성벽의 성문이 각각 3개 황성/태극궁 남면에 각각 세 개의 성문

주례의 원칙 vs. 장안성

(49)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ü 차이점

궁성의 위치 cf. 금원(禁苑)을 포함한 장안성

주례의 원칙 vs. 장안성

(50)

수당(隋唐) 장안성,

이상도시 구현과 수도의 위상

왕도(王都)로서의 장안

여대방(呂大防), 장안성도 잔편묵선도(殘片墨線圖)

(51)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원(原,塬)

ü 수당 장안성 일대의 경관을 지배

ü 서북쪽의 퇴적 모래, 위수에 쓸려온 진흙이 만들어낸 높고 평탄한 구릉

ü 황토대원(黃土臺原)

ü 용수원(龍首原), 백록원(白鹿原), 소릉원(小陵原), 낙유원 등

장안성의 동/서/남쪽 주변으로 수십 개의 구릉 형성

ü 군사지역, 종교시설, 휴식처, 유락지 등으로 이용

관중평원 “원(10原)”의 분포도 (馬正林, 1976, “長安城的興起,” 陕西师大学报, 1, 111)

(52)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용수원(⿓⾸原)

ü 그러나 용수원은 진대(秦代)부터 중요하게 인식, 장안 일대의 역대 왕조의 궁성은 용수원 자락에 걸쳐 있었음

진대 때, 남산의 흑룡이 위수에 도착하여 물을 마셨는데, 용이 지나온 자리에 하나의 토산이 만들어졌고 그것이 용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山水經》

한대 사람들은 용수원을 두고, 길이는 60여리, 동북쪽으로는 渭水가 접하여 있고 서남쪽으로는 樊川에 이르고 있다. 동북쪽 이 가장 높은데 그 높이가 20장에 이르며 가장 낮은 서남쪽의 높이는 5~6장 정도이다. 이곳에 오르면 멀리 [한의] 장안성이 우뚝 솟아 있는 것이 보인다.

ü 용수원의 상징적 의미 (龍首 = 天子)

ü 용수원은 수당(隋唐) 장안성 위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장안성 내 궁성 위치의 기준

용수원 모식도 (中國 未央宮⽂物局)

隋唐

(53)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용수원(⿓⾸原)

ü 수당대 장안성에서의 용수원,《역경(易經)》을 통한 해석 (by 宇文愷)

: 64괘 중 건(乾)괘의 爻 형태( )와 용수원 주변 6구릉 : 길지(吉地) 상징

: 건괘의 해석을 통한 공간의 배치

(천자 중심의 공간, 궁성-관서-도관/사찰)

역과 풍수 (妹尾達彦 저,

최재영 역(2006),『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167.)

(54)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용수원(⿓⾸原)

ü 용수원의 환경적 조건 고려

: 높은 지형, 풍부한 물, 수려한 자연환경

용수원은 그 모습이 수려하고 풍요로운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어 지형을 살피니 도성을 세울 만하다.

《隋書》卷一〈高祖記〉

ü 원의 분포에 따른 지형적 특징 고려

: 높은 지형에 입지한 도성 (황제의 위엄, 습기 방지)

: 거주보다는 경관 조망과 행락을 위한 장소, 낙유원(樂遊原), 소릉원(小陵原), 홍고원(鴻固原) 일대

ü 상징성과 실용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계획

(55)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ü 장안성은 8개의 주요 지류가 에워싸고 있는 곳에 위치

동쪽: 산수(滻水), 파수(灞水) 서쪽: 풍수(灃水), 노수(澇水) 남쪽: 호수(滈水), 휼수(潏水) 북쪽: 위수(渭水), 경수(涇水)

ü 산수(남-북방향),

도성의 동쪽 구역의 수원(水源) 휼수(남-서북방향)

도성의 남서북 구역의 수원(水源)

장안성 근교 수체계 (周維權, 1999, 『中國古典園林史』, 125.)

노수 (澇⽔)

수체계(⼋⽔)

(56)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ü 역대 도성은 점차 높은 지대로 이동, 장안성은 가장 높은 지역에 위치 ü 장안성을 지류 주변에 입지

지류를 수원으로 이용

(하천 수위로 인한 문제 해결,

많은 지류와 지형의 고저차를 이용, 도성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수원을 확보)

ü 도성의 상징성 보다는 이용ㆍ계획적 측면을 고려

관중평야 일대 역대 도성의 위치 (谭徐明, 1998, 中華文化通志 第七典 - 交通與水利)

隋唐

수체계(⼋⽔)

(57)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수체계(⼋⽔)

ü 인공수로(渠)를 건설, 지류를 물을 도성에 유입 ü 청명거(淸明渠), 용수거(龍首渠), 영안거(永安渠)

: 수대에 조성(581-583) 황거(黃渠), 조거(漕渠)

: 당대에 조성(각각 623, 742) ü 수로는 지형과 지세를 고려하여 설계

원과 원 사이의 골짜기에 수로 배치, 지형의 고저차, 중력을 이용한 물 이동

장안성 일대의 산림 및 수체계 (佟裕哲, 2001,『中國景園建築圖解』,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8 6.

(58)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수체계(⼋⽔)

ü 도성 전체를 아우르는 수체계 완성

: 궁지(宮池) 내 물 공급, 식수문제 해결, 미기후 조절, 자원 운반 등의 기능

ü 원림 조성의 기반

: 용수거_대명궁, 흥경궁, 금원 내 동내원의 못, 궁궐 주변의 왕친국척(皇親國戚)의 택원 내 소지(沼池)와 연결

: 황거_곡강지, 소국방 위응물(韋應物)의 택지, 장흥방 양사도(楊師道)의 원지(園池), 진창방 자은사(慈恩寺) 남지(南池) 등과 연결

: 영안거_곤지(昆池), 소행방 왕흔(旺昕)의 원지, 서시(西市)의 방생지, 수덕방의 흥복사지(興福寺池) 등

: 청명거_흥화방 배도(裴道)의 원지, 태평방 왕공(王珙)의 원지, 태극궁 서해지(西海池) 등 : 조거_주로 물자와 자원을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 어조지(魚藻池) 등에 활용

漕渠

永安渠 淸明渠

黃渠 龍首渠

(59)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수체계(⼋⽔)

ü 주변 대기를 습윤, 도성의 경관을 윤택하게 함

: 12가로에 가로수(홰나무, 버드나무) 식재

ü 화재 예방

ü 가뭄과 홍수 조절 및 농업용수 활용(각 방에 고루 분포한 池, 沼, 潭)

ü 장안성의 수체계에는 이용과 기능적 측면의 활용이 두드러지는 계획, 왕권 상징의 또 다른 측면

(60)

내대성(환관) 거주지

황가국척의 거주지

(61)
(62)

동아시아 수도의 전범, 장안(長安)

수당(隋唐) 장안성, 자연환경의 이용과 수도의 위상

ü 도성의 성공적인 건립은 통치자의 성공적인 왕권 획득과 연결 ü 도성의 건설 이념을 반영, 초기의 완결성 뛰어남

ü 시간이 지날수록, 상징성 보다는 내부 구성원의 힘에 의해 도시는 변형 ü 장안성 건설에 적용된 자연환경 요소는 매우 고정적

(하천과 인공수로: 도시기반시설로서의 기능이 강조된 계획) 자연요소의 실용성과 기능성을 강조한 합리적 계획 반영

도성의 자연환경 요소, 원림 발달에 영향 ü 구릉과 계곡을 활용한 공간 계획

ü 인공수로에 의지한 원림 발달 (특히 수경관 요소의 유행)

ü 근교원림 확산을 통한 도시 팽창 현상, 자연발생적 공간의 위계와 질서

(63)

후에, 베트남_응우옌왕조(1802∼1945) 신라 왕경(월성), 101~ 935 * 통일, 654

동아시아 도성의 골격

(64)

동아시아 도성의 변형

한양도성도, 조선, 18세기

(65)

동아시아 도성의 해체

ü 근대화 과정에 의한 해체 ü 교통의 변화

도로 및 철도건설

ü 국가 상징물 기능 상실 박제화, 관광상품

ü 구도심, 슬럼화 도시재생의 문제

명청대 북경성, 15-19세기

(66)

동아시아 도성의 해체

1919년 북경

(67)

동아시아 도성의 해체

ü 북경 경도시정공소(京都市政公所, 도시관리조직) 설치, 1914

사직단을 중앙공원으로, 정양문(內城의 정문) 옹성을 철거, 도로를 개설

(68)

동아시아 도성의 해체

1946년 북경

(69)

동아시아 도성의 해체

ü 양사성(梁思成)과 진정상(진정상)의 북경 성벽개조계획안

(70)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서쪽에서 본 서북쪽 성곽 모습 서북쪽 성벽 목책열과 부강시내

일본유일 서양식 궁전 철골 벽돌 석조 2 층 좌우 대칭의 구조 일본식과 서양식의 절충의 내부 장식.

안도 히로시게(安藤廣重), [도오토 오오덴마쵸한에이노즈(東都大傳馬街繁營之圖)] 나카바시(中橋)

오늘날 도시의 이미지는 가장 경쟁력 있는 자원이 되었다.이 자원을 갖추 기 위해 도시는 시대적 상황과 여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문화를 창출 해야

그마저도

국제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복합화되어진 생활영역과 직업 라이프스타 , 일의 다양화 감성과 디자인 중심의 사회 현상에 따라 도시의 야간경관은 , 기본 목표인

• 경제구조가 서비스업 중심 으로 바뀐 후 대형이벤트의 개최, 프로구단 보유 등이 도시의 상징이 되는 추세. 타

 도시계획이란 상위계획인 국토계획 및 지역계획에서 정하여진 기본방향에 따라 국토의 일부 분인 도시의 토지이용, 개발 및 정비 그리고 개발제한, 도시시설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