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검진 수진 성인 남성에서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건강검진 수진 성인 남성에서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서 론

갑상선결절은 4~7%의 유병률을 보이는 흔한 내분비 질 환이다[1]. 이와 같은 유병률은 촉지될 수 있는 경우만 진단 한 것이고 이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초음파검사를 시행하 면 갑상선 결절이 진단되는 빈도가 높아진다[2~4]. 40세 이 상의 정상인의 경우, 초음파검사를 통해 50%까지 갑상선결

접수일자: 2006년 10월 11일 통과일자: 2007년 1월 10일 책임저자: 정성창, 동강병원 내분비내과

절이 발견된다고 한다[5]. 갑상선결절의 남, 여 간 발생빈도 는 여성이 남성보다 4배 이상 우세하다[1,6]. 그럼에도 여전 히 남성에서의 유병률은 높으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악성결 절의 빈도가 높으므로[7] 여성에 못지않게 남성에서도 갑상 선결절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는 외국인에 비해 요오드 섭취량이 많으므로[8] 우리나라 남 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갑상 선결절을 이미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암 유병률과 성 별, 나이 및 다결절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7]와 악성과 양성 결절에서의 초음파 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들[9,10]은 있었

건강검진 수진 성인 남성에서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

동강병원 내과, 방사선과1

김정현․박상준․김상억․이광희․조일권․장선익․이진관․서금수

1

․권혁포

1

․정성창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in Adult Men Attending Health Check-ups

Jung Hyun Kim, Sang Jun Park, Sang Eok Kim, Kwang Hee Lee, Il Kwon Cho, Sun Ik Jang, Jin Kwan Lee, Keum Soo Seo1, Hyuck Po Kwon1, Sung Chang Ch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Radiology1, Dongkang Hospital

ABSTRACT

Background: Thyroid nodules are a common disease in clinical practice. The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has recently been increased b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yroid ultrasonography. Thyroid nodules are more commonly found in women, but the potential for malignant nodules is much higher in men. So, we aimed to focus on the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in the adult male population.

Methods: We studied men over the age of 30 who visited our health care center for routine health check-up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After excluding the patients with previous thyroid disorders, 1081 men were selected to undergo thyroid ultrasonograph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yroid nodules. If nodules were found, then their size and numbers were recorded. These data were then correlated with the age of the patients. If needed,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was performed.

Results: Among the 1,081 subjects, thyroid nodules were detected in 152 (14.1%) with its prevalence increasing with the increasing age of the patients (age 30 to 49: 12.3%, over 50: 17.2%, P = 0.026). Among these study subjects, nodules larger than 5 mm in size were detected in 99 patients and fine needle aspirations were performed on 53 of these patients. Six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apillary carcinoma.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in the male population was 14.1%, with an increasing prevalence in the over 50 age group. (J Kor Endocrine Soc 22:112~117, 200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Men, Prevalence, Thyroid nodule, Ultrasonography

(2)

으나 아직 국내 거주의 성인 남성만을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을 알아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갑상선결절의 유병 률, 연령 군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 결절의 수와 크기의 차 이를 알아보았다. 본원에서는 초음파검사상의 특징과 관계 없이 결절의 크기가 5 mm 이상인 대상에서 미세침흡인세포 검사를 시행하여 악성여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일반 정기 신체 검진을 받기 위해 본원 건진 센터를 방문했던 30세 이상의 성인 남 성 중 과거력상 갑상선결절로 수술을 했던 경우와 갑상선 질 환을 진단 받고 치료 중이거나 추적 관찰 중인 경우를 제외한 1,081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2. 방법

1) 초음파검사

갑상선초음파검사는 본원 진단방사선과 전문의 1인이 시 행하였으며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전경부를 신전시킨 후 10~14 MHz linear transducer를 이용한 고해상능 초음파 (Acuson Sequoia, California, USA)를 사용하여 갑상선초음 파검사를 시행하였다. 갑상선 결절의 크기는 결절을 그 중심 에서 횡단면(transverse section)과 수직면(vertical section)으 로 나누어서 횡단면에서 서로 직각인 두 지름의 길이와 수직 면에서 횡단면과 직각을 이루는 지름의 길이를 측정해서 이 세 지름의 길이 중 최장의 길이를 결절의 크기로 하였다.

2) 미세침흡인세포검사

초음파상의 결절의 특징에 관계없이 갑상선결절의 크기 가 5 mm 이상인 남성 99명에게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권 유하여 53명이 시행 받았다. 환자를 검사대에 앙와위로 눕 히고 전경부를 신전 시킨 상태에서 10~14 MHz linear transducer를 이용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병소를 보면서

21~23게이지 바늘이 연결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고형결절 또는 혼합결절인 경우에는 고형부분에서 흡인하여 검체를 얻었으며, 진단에 부적절한 검체로 나온 경우에는 미세침흡 인세포검사를 다시 시행하거나 임상소견상 악성 결절의 고 위험 인자가 없고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특징을 보이지 않는 경우 외래에서 정기적으로 경과 관찰하기로 하였다. 미 세침흡인세포검사상 악성으로 나온 경우에는 수술을 의뢰하 였다.

3) 통계처리

통계처리는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령군 에 따른 결절의 유무, 수와 크기를 Chi-square test를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 value가 0.05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4) 갑상선결절에 대한 미세침흡인세포검사의 병리학적 분류

갑상선결절에 대한 미세침흡인세포검사는 양성(benign), 중간형(indeterminate), 악성(malignant) 및 부적절한 검체 (unsatisfactory)로 분류하였다[11].

결 과

1. 결절의 유병률 및 연령군에 따른 유병률

대상 남성 1,081명의 평균연령은 46.8 ± 5.9세이며, 이 중 152명에서 결절이 발견되어, 14.1%의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에 따라(30대 10.3%, 40대 12.7%, 50대 17.1%, 60세 이상 33.3%) 결절의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 성은 없었다(P = 0.108)(Table 1). 30세 이상 49세 이하의 성인 남성 군과 50세 이상의 성인 남성 군의 두 군으로 나 누어본 결과 연령에 따라(30~49세 12.3%, 50세 이상 17.2%) 결절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26)(Table 1).

2. 연령에 따른 결절의 수와 크기

갑상선초음파로 결절이 진단된 152명을 결절의 수에 따

Table 1. Prevalence of nodules by age

Age (year) n Subjects with nodules (%) Age (year) n Subjects with nodules (%)

30~39 117 12 (10.3%) 30~49 698 86 (12.3%)

40~49 581 74 (12.7%)

50~59 380 65 (17.1%) 50~ 383 66 (17.2%)

60~ 3 1 (33.3%)

P = 0.108 P = 0.026

n; number of person who were undergone thyroid ultrasonography.

(3)

라 단일결절과 다결절로 나누었을 때, 단일결절을 가진 환자 는 117명(77.0%), 다결절을 가진 환자는 35명(23.0%)이었 으며 연령에 따른 결절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393)(Table 2). 또한 결절의 크기가 5 mm 미만인 환자는 53명(34.9%), 5 mm 이상인 환자는 99명(65.1%)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결절의 크기에는 이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 = 0.495)(Table 3).

3. 미세침흡인세포검사의 결과

결절의 크기가 5 mm 이상인 99명 중 53명에서 미세침흡 인세포검사를 시행하여 양성(Benign) 34명, 악성(Malignant) 6명, 중간형(Indeterminate) 3명, 부적절한 검체 10명의 결과 가 나왔으며, 중간형 3명 중 수술을 통해 1명이 양성으로, 1 명이 갑상선염으로 진단되었고 나머지 1명은 환자의 거부로 더 이상의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악성 6명은 갑상선전 절제술을 시행하여 최종 유두암으로 진단되었다. 부적절한 검체 10명 중 2명은 다시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여 1 명은 중간형, 1명은 양성의 결과가 나왔으며 나머지 8명은 정상 갑상선기능의 5~10 mm 사이의 결절로서 임상소견상 악성 결절의 고위험 인자가 없고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특징을 보이지 않아서 외래 진료를 통해 정기적으로 경과 관찰하기로 하였다.

고 찰

갑상선결절은 전체인구의 4~7%에서 촉지되는 흔한 내분 비 질환이며[1] 일반인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를 시행하 면 19~46%에서 갑상선결절이 발견된다[2~4]. 40세 이상의 정상인의 경우, 초음파검사 시에 50%까지 갑상선결절이 발견된다고 보고되고 있다[5]. 갑상선결절의 남, 여 간 발 생빈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4배 이상 우세하다고 알려져 있 으나[1,6] 성별에 따른 악성결절의 빈도는 남성 17.3%, 여성 9.4%로 유의하게 남성에서 높다[7]. 갑상선암은 전체 갑상

선결절의 약 5~10%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갑상선결절이 확 인되면 악성여부를 감별하는 것이 치료 및 예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2]. 이에 남성에서 갑상선결절의 진단과 악 성여부의 감별이 여성 못지않게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외국인에 비해 요오드 섭취량이 많으므로[8] 우리나라 남성들에 대한 갑상선결절의 연구가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갑상선결절을 이미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암 유병률과 성별, 나이 및 다결절성의 관계에 대 한 연구[7]와 악성과 양성결절에서의 초음파 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들[9,10]은 있었으나 국내 거주의 성인 남성만을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 및 악 성결절의 빈도를 알아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 건강검진을 위해 본원 건진 센터를 방문한 30세 이상의 일반 성인 남성 1,081명을 대상으로 갑상선초 음파검사를 시행하여 152명에서 갑상선결절이 진단되어 14.1%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30대 10.3%, 40대 12.7%, 50 대 17.1%, 60세 이상 33.3%로 연령대에 따라 유병률이 증 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 = 0.108). 이는 60 세 이상의 대상 표본수의 부족함으로 인한 결과로 사료되어 30대, 40대, 50대 이상의 세 군으로 비교해보았으나(30대 10.3%, 40대 12.7%, 50대 이상 17.2%) 이 역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P = 0.066) 50세 전후의 두 연령군으로 나 누었을 때 30~49세 12.3%, 50세 이상 17.2%로 연령이 높 은 군에서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26). Yim 등[13]의 연구에서 갑상선초음파를 이용하여 1,300명의 성 인 여성 중 490명에서 갑상선결절이 발견되어 37.7%의 유 병률을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의 성인 남성의 유병률 14.1%와 비교하여 볼 때 2.67배 정도 많았다. Suk 등[14]의 연구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 결절의 유병률이 여성 42.2%, 남성 29%로 여성에서 1.6배 높게 나온 것과 비교 해서 본 연구에서 남성의 유병률이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 국의 경우(Framingham study, 1968), 촉지를 이용하여 30~59세 사이의 여성 6.4%, 남성 1.6%의 갑상선결절의 유 Table 2. Multinodularity of nodules by age

Age (year) Subjects with a solitary nodule (%) Subjects with multiple nodules (%)

30~49 64 (74.4%) 22 (25.6%)

50~ 53 (80.3%) 13 (19.7%)

P = 0.393

Table 3. The size of nodules by age

Age (year) < 5 mm (%) ≥ 5 mm (%)

30~49 28 (32.6%) 58 (67.4%)

50~ 25 (37.9%) 41 (62.1%)

P = 0.495

(4)

병률을 보여 여성에서 4배 정도 빈도가 높게 나온 것[1]과 비교하여 볼 때는 본 연구에서 남성에서의 빈도가 높게 나 왔다.

갑상선초음파를 통해 갑상선결절의 유병률이 올라감에 따라 임상에서 결절의 악성 또는 양성여부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만져지는 결 절 중 약 5%가 악성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15] 초음파 로 진단 가능한 촉지되지 않는 결절까지 포함할 경우 악성 진단률이 어느 정도가 될지는 알 수 없다. 본 연구에서 갑상 선결절의 크기 5 mm 이상의 환자 중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 받은 53명 중 실제 6명(11.3%)이 악성으로 판정받았 다. 현재는 연구 대상 표본수가 1,081명에 불과하나 본원 건 진 센터에서 계속하여 일반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 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향후 갑상선결절 중 갑상선암의 좀 더 정확한 빈도를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갑상선결절의 악성 위험정도는 환자의 병력, 임상소견과 초음파 소견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청소년기에는 갑상 선결절이 발견되는 빈도가 성인에 비하여 낮지만 악성일 가 능성이 훨씬 높고[16,17] 60세 이상의 노령의 경우에도 갑 상선암의 빈도가 증가한다[7,18]. 청소년기에 두경부 방사선 조사의 병력이 있거나[19] 남성인 경우[7] 갑상선 수질암이 나 제2형 다발성 내분비 선종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악성결 절의 가능성이 높다. 근래에는 악성 결절의 진단을 위해 미 세침흡인세포검사가 선별검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20,21]

15 mm 이하의 갑상선 우연종에서의 암의 빈도는 3~6% 정 도로 촉지된 결절에서의 빈도와 비슷하며[22,23], 초음파상 양성 결절은 결절 주위의 윤곽이 뚜렷하고 고에코를 보이며 결절주위로 달무리(halo)가 나타나나 악성결절에서도 고에 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약 1/3에서는 달무리가 나타나 므로 특이성이 없으며 악성결절은 전형적으로 저에코성이며 결절의 경계가 불분명하지만 양성 결절에서도 저에코성으로 나타나므로 역시 특이성이 없어서 갑상선 초음파로 악성과 양성의 구분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24]. 이에 남성에서 결절 의 악성화 빈도가 높다[7]는 점까지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는 초음파상의 특징과 관계없이 크기 5 mm 이상의 결절을 가진 성인 남성 중 53명에서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 였다. 한편 5 mm 미만인 결절은 적절한 검체를 얻는 데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비용-효과적인 면에서 논란이 있 어서 5 mm 이상인 결절로 검사기준을 정하였다. 세포검사 결과는 양성(Benign) 34명, 악성(Malignant) 6명, 중간형 (Indeterminate) 3명, 부적절한 검체 10명으로 나타났다. 3명 의 중간형 중 수술을 통해 1명이 양성으로, 1명이 갑상선염 으로 진단되었고 나머지 1명은 환자의 거부로 더 이상의 검 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악성 6명은 갑상선전절제술을 시 행하여 유두암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요오드 충분섭취 지역

에서 갑상선결절의 악성빈도는 5.3%이며 요오드 섭취부족 지역의 2.7%보다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25]. 따라서 요오드 섭취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8], 남성에서 초음파검사로 갑 상선결절이 진단되었을 때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보다 적극 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도 최종 유두 암으로 진단된 6명 중 5명이 결절의 크기가 5 mm 이상 10 mm 미만 사이의 작은 결절이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지역은 울산으로 공업단지 밀집지역이 며 근로가능 연령층의 인구가 많고 직장 정기 검진의 목적 으로 본원 건진 센터를 방문한 수진자가 많아서 30세 이하 와 60세 이상의 대상 표본수가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연령 대별 유병률을 비교하는 데에 제한이 있었고 악성빈도가 높 게 나타나는 20세 미만과 60세 이상 연령층의 악성빈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본원 건진 센터에서 계속하여 성인 남성 수진자를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제한점이 향후 개선되리라 기대된다.

갑상선 초음파검사는 검사방법이 단순하고 부작용이 없 으며 작은 병변도 쉽게 찾을 수 있어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결절에 대한 진단이 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일반인에서 촉지되지 않 는 갑상선결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부족하여 치료기준, 추 적관찰과 예후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연구배경: 갑상선결절은 촉지를 통해서 진단할 때 4~7%

의 유병률을 보이는 흔한 질환이며 갑상선초음파검사를 시 행하면 성인의 19~46%까지도 진단된다. 갑상선결절은 여성 에서 4배 정도 유병률이 더 높으나 남성에서 여성보다 악성 결절의 빈도가 높다. 저자들은 건진 센터를 찾은 일반 남성 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갑상선결절의 유 병률을 연구하였다.

방법: 1년간 본원 건진 센터를 방문했던 30세 이상의 성 인 일반 남성 중 과거력상 갑상선 수술을 받았거나 갑상선 질환으로 치료 중이거나 추적관찰 중인 경우를 제외한 1,081명을 대상으로 갑상선초음파를 실시하여 갑상선결절을 진단하고 필요시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1,081명 중 152명에서 갑상선결절이 진단되어 14.1%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높은 연령 군에서 결절의 빈도 가 증가하였다(30~49세 12.3%, 50세 이상 17.2%)(P = 0.026). 결절의 크기가 5 mm 이상의 수진자 중 53명이 미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 받았으며 6명이 악성으로 진단되 어 수술을 통해 확진하였다.

결론: 건진 센터를 방문한 일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 상선초음파검사로 진단한 갑상선결절의 유병률은 14.1%였

(5)

으며 높은 연령군에서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참 고 문 헌

1. Vander JB, Gaston EA, Dawber TR: The significance of nontoxic thyroid nodules. Final report of a 15-year study of the incidence of thyroid malignancy. Ann Intern Med 69:537-540, 1968

2. Burguera B, Gharib H: Thyroid incidentalomas.

Prevalence, diagnosis, significance and management.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9:187-203, 2000 3. Wang C, Crapo LM: The epidemiology of thyroid

disease and implications for screening.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6:189-218, 1997

4. Brander A, Viikinkoski P, Nickels J, Kivisaari L:

Thyroid gland: US screening in a random adult population. Radiology 181:683-687, 1991

5. Horlocker TT, Hay JE, James EM, Reading CC, Charboneau JW: Prevalnce of incidental nodular thyroid disease detected by high-resolution parathyroid ultrasonography. In: Medeiros-Neto G, Gaitan E eds.

Frontiers in thyroidology. vol 2. pp1309-1312, New York, Plenum Medical, 1985

6. Schlesinger MJ, Gargill SL, Saxe IH: Studies in nodular goiter: incidence of thyroid nodules in routine necropsies in nongoitrous region. JAMA 110:1638, 1938

7. CH Yim, H-K Chung, WB Kim, DJ Park, SY Kim, BY Cho, HK Lee: Prevalence of Thyroid Cancer in Patients with Cold Thyroid Nodules in Relation to Sex, Age, And Multinodularity. J Kor Soc Endocrinol 13:366-372, 1998

8. HY Park, SY Lee, WB Kim, SY Kim, BY Cho, HK Lee, C-S Koh: A study on the urinary iodine excretion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J Kor Soc Endocrinol 10:386-394, 1995 9. SY Ham, CY Park, YH Oh, JH Kim, IH Cha, WH

Seo: Sonographic findings of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J Kor Soc Ultrasound Med 9:69-73, 1990

10. KR Kim, HS Hong, KW Seo, MS Jung, HK Lee, KH Kwon, DL Choi, MH Yoo: Correlation of color doppler image and thyroid function test in diffuse goiter. J Korean Radiol Soc 35:679-683, 1996 11. Gutman PD, Henry M: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e thyroid Clin Lab Med 18:461-482, 1998

12. Hooft L, Hoekstra OS, Boers M, Van Tulder MW, Van Diest P, Lips P: Practice, efficacy, and costs of thyroid nodule evaluation: a retrospective study in a dutch university hospital. Thyroid 14:287-293, 2004 13. CH Yim, HJ Oh, HY Chung, KO Han, HC Jang, HK

Yoon, IK Han, BH Han, KS Lee, BJ Cho: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in womens attending health check-ups. J Kor Soc Endocrinol 17:183-188, 2002

14. JH Suk, TY Kim, MK Kim, WB Kim, HK Kim, SH Jeon, YK Shong: Prevalence of ultrasonographically -detected thyroid nodules in adults without previous history of thyroid disease. J Kor Endocrinol Soc 21:389-393, 2006

15. Mazzaferri EL: Thyroid cancer in thyroid nodules:

finding a needle in the haystack. Am J Med 93:359-362, 1992

16. Millman B, Pellitteri PK: Nodular thyroid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6:604-609, 1997

17. Raab SS, Silverman JF, Elsheikh TM, Thomas PA, Wakely PE: Pediatric throid nodules: disease demographics and clinical management as determin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Pediatrics 95:46-49, 1995

18. Mazzaferri EL: Management of a solitary thyroid nodule. N Engl J Med 328:553-559, 1993

19. Mazzaferri EL, de los Santos ET, Rofagha Keyhani S:

Solitary thyroid nodule: diagnosis and management.

Med Clin North Am 72:1177-1211, 1988

20. SS Koong, SH Shin, MH Yoo, MC Lee, BY Cho, C-S Koh, MH Le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applicationn of aspiration cytology. J Kor Med Assoc 27:443-450, 1984

21. Rojeski MT, Gharib H: Nodular thyroid disease.

Evaluation and management. N Engl J Med 313:428-436, 1985

22. Danese D, Sciacchitano S, Farsetti A, Andreoli M, Pontecorvi A: Diagnostic accuracy of conventional versus sonography-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yroid nodules. Thyroid 8:15-21, 1998

23. Hagag P, Strauss S, Weiss M: Role of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in evaluation of nonpalpable thyroid nodules. Thyroid 8:989-995, 1998

24. Hegedus L: Thyroid ultrasound. Endocrinol Metab

(6)

Clin North Am 30:339-360, 2001

25. Belfiore A, La Rosa GL, La Porta GA, Giuffrida D, Milazzo G, Lupo L, Regalbuto C, Vigneri R: Cancer

risk in patients with cold thyroid nodules: relevance of iodine intake, sex, age, and multinodularity. Am J Med 93:363-369, 1992

수치

Table  1.  Prevalence  of  nodules  by  age
Table  3.  The  size  of  nodules  by  age

참조

관련 문서

Effect of LRP6 on survivin expression in hypoxic cardiomyocytes (A) Expression of survivin in Ad-LRP6 and silencing LRP6 infected cardiomyocytes as determined by western

This Presentation contains financial forecasts with respect to Bakkt’s projected financial results, including Total Revenue, Total Revenue less Transaction-Based Expenses

Chronic kidney disease (partial updat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Clinical

아파트 관리사무소의 경우 공장 또는 공사현장이 아니므로 경리(서무), 관리소장은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로 보아 2년에 1회 이상, 시설관리, 경비, 미화원 등은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Acinetobacter species in 95 clinical isolates which were determined by rpoB gene analysis, 16S rRNA gene analysis, and Vitek 2 system..

Cooper, M.D.et el Revised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Volume

The objective was to access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thyroid disease not only thyroid nodules but diffuse thyroid disorders by using ultrasonography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연관규칙패턴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방법은 크게 PE 파 일에서 정적분석 하여 API를 추출하고 데이터 정규화를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