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애아동을 위한 이용시설 개선방안 및 정책지원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장애아동을 위한 이용시설 개선방안 및 정책지원방안 연구"

Copied!
1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책연구보고서 2009

장애아동을 위한 이용시설 개선방안 및 정책지원방안 연구

주 혜 진

(2)

연구진

연구책임 • 주혜진 / 도시경영연구실 연구위원

(3)

- 목 차 -

제1장 서론 ··· 3

제1절 연구 목적 및 방법 ··· 3

제2절 이론적 배경 ··· 4

제3절 보고서 구성 ··· 7

제2장 장애아동 시설 사업 현황 및 이용 현황 ··· 11

제1절 장애아동 시설 현황 ··· 11

1.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 현황 ··· 11

2. 장애아동 이용 시설 증가 추이 ··· 19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현황 ··· 20

1. 등록 장애아동 수 ··· 20

2. 시설별 장애아동 이용 현황 ··· 21

3. 장애아동 재활치료 바우처 이용 및 이용 금액 실태 ··· 24

제3장 장애아동 시설 이용 실태 및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 ··· 31

제1절 조사 개요 ··· 31

1.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 31

2.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 31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보호자 대상 조사 결과 ··· 32

1. 장애아동 시설 이용 현황 ··· 32

2. 장애아동 시설 프로그램 및 운영에 대한 만족도 ··· 37

3. 장애아동 시설 및 서비스 개선에 대한 수요 ··· 58

(4)

제4장 장애아동 시설 운영 실태 및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 ··· 69

제1절 조사 개요 ··· 69

1.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 69

2.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 69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종사자 대상 조사 결과 ··· 70

1. 장애아동 시설 운영 현황 ··· 70

2. 장애아동 시설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현황 ··· 78

3. 장애아동 시설 및 서비스 개선에 대한 수요 ··· 82

제5장 장애아동 이용 시설 개선 방안 및 정책 지원 방향 ··· 91

제1절 분석결과 요약 및 특징 ··· 91

제2절 장애아동 이용 시설 개선 방안 및 정책 지원 방향 ··· 94

참 고 문 헌 ··· 99

부 록

부록 1. 설문지 [장애아 보호자용] ··· 103

부록 2. 설문지 [시설종사자용] ··· 112

부록 3. 전문가 자문회의록 ··· 118

(5)

- 표 목 차 -

<표 1-1>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인력 구성 ··· 6

<표 2-1>동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 12

<표 2-2>중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 12

<표 2-3>서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 13

<표 2-4>유성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 15

<표 2-5>장애인 복지관 ··· 16

<표 2-6>주간보호시설 ··· 17

<표 2-7>단기보호시설 ··· 18

<표 2-8>의료시설 ··· 19

<표 2-9>2004년 이후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변화 현황 ··· 20

<표 2-10>대전광역시 거주 장애인등급별, 성별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 현황 ···· 21

<표 2-11>18세 미만 장애아동 특수학교 등록현황(2009) ··· 21

<표 2-12>대전시 장애인 특수학급 현황(2009) ··· 22

<표 2-13>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이용자(2009) ··· 23

<표 2-14>장애아동 재활치료 종류 현황(2009) ··· 23

<표 2-15>장애아동 재활치료 바우처 이용 현황(2009) ··· 25

<표 2-16>재활치료 바우처와 치료시설 중복 이용자 현황(2009) ··· 26

<표 2-17>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이용 대기자(2009) ··· 26

<표 2-18>장애아동 치료시설 월 이용 금액 ··· 27

<표 3-1>가장 많이 재활지원서비스를 받는 곳 ··· 32

<표 3-2>재활지원서비스 이용 횟수/1주 ··· 33

<표 3-3>복지관, 시설 등 재활지원서비스 이용 시 주요 교통수단 ··· 34

<표 3-4>재활지원서비스 시설까지 걸리는 시간 ··· 34

<표 3-5>가장 많이 받고 있는 재활지원서비스 ··· 35

<표 3-6>현재 이용하는 재활지원서비스 기관 선택 동기 ··· 35

(6)

<표 3-7>현재 이용 중인 재활지원서비스를 받기 위해 대기한 기간 ··· 36

<표 3-8>주거지역 내 근접한 치료기관의 수 ··· 37

<표 3-9>치료 기관까지의 교통편의 ··· 38

<표 3-10>장애인을 고려한 공간 구성(진입로, 안전바,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 ··· 38

<표 3-11>기관 내 표지판 및 안내시설 ··· 39

<표 3-12>재활지원서비스 장비(기계, 도구, 교재 등) ··· 39

<표 3-13>재활지원서비스 비용의 적절성 ··· 40

<표 3-14>원하는 시간에 의료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40

<표 3-15>치료대기 기간(진단 후 치료시작까지 기간) ··· 41

<표 3-16>접수․등록 및 행정 절차 ··· 41

<표 3-17>치료 담당자의 수 ··· 42

<표 3-18>담당자의 진료,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설명 ··· 42

<표 3-19>서비스 인력의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 43

<표 3-20>아동의 개별적 특성 고려한 개별 치료 및 교육 ··· 43

<표 3-21>이용자 대상의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한 경영개선 ··· 44

<표 3-22>보호시설 환경의 쾌적함 ··· 44

<표 3-23>보호시설 접근의 용이함 ··· 45

<표 3-24>시설 내 이동의 편이함 ··· 45

<표 3-25>시설 내 장애 편의시설 구비 ··· 46

<표 3-26>시설 이용을 위한 차량 제공 ··· 46

<표 3-27>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공간과 설비 확보 ··· 47

<표 3-28>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 ··· 47

<표 3-29>장애아동 개별 특성과 단계에 알맞은 개별 프로그램의 운영 ··· 48

<표 3-30>정기적인 고객만족도 조사의 실시 ··· 48

<표 3-31>시설 종사자의 서비스-문제해결 노력 ··· 49

<표 3-32>시설 종사자의 서비스-전문성 ··· 49

<표 3-33>가정으로 찾아가는 재가복지(치료교육)서비스 ··· 50

<표 3-34>교육기관까지의 교통편 지원 ··· 50

<표 3-35>지역사회 내 복지시설에 대한 홍보 서비스 ··· 51

<표 3-36>지역사회시설(종교기관, 학교, 회관 등)을 부모들의 모임 장소로 활용 ··· 52

<표 3-37>아동을 잠시 돌봐주는 서비스-주간(단기)보호 시설 ··· 52

(7)

<표 3-38>방과 후나 방학 중 프로그램 ··· 53

<표 3-39>스트레스 대처나 정서적 지지를 위한 부모교육 ··· 53

<표 3-40>비 장애 형제를 위한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교육 ··· 54

<표 3-41>장애에 대한 이해와 장애자녀 양육을 위한 부모교육 ··· 55

<표 3-42>가족 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 상담서비스 ··· 55

<표 3-43>가정방문 도우미 서비스 ··· 56

<표 3-44>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여가활용지원프로그램 ··· 56

<표 3-45>장애아동을 위한 부모 모임이나 단체참여 ··· 57

<표 3-46>여러 곳에서 받지 않고도 치료 및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방안-1순위 58 <표 3-47>여러 곳에서 받지 않고도 치료 및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방안-2순위 59 <표 3-48>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프로그램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서비스-1순위 ··· 60

<표 3-49>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프로그램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서비스-2순위 ··· 61

<표 3-50>개인생활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1순위 ··· 62

<표 3-51>개인생활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2순위 ··· 63

<표 3-52>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1순위 ··· 64

<표 3-53>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2순위 ··· 65

<표 3-54>프로그램 제공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 ··· 66

<표 4-1>주된 운영 프로그램 ··· 70

<표 4-2>장애아동 발달 상태에 대한 부모 개별 면담 ··· 71

<표 4-3>부모회 운영 ··· 71

<표 4-4>시설 내 운영위원회 운영 ··· 72

<표 4-5>장애아동의 발달상 문제에 대해 내‧외부 전문가와 연계한 서비스 ··· 72

<표 4-6>장애아동 개별 특성 기록 및 관리-기록파일 구비 ··· 73

<표 4-7>장애아동의 개별 특성 및 단계에 맞는 개별 프로그램 제공 ··· 73

<표 4-8>부모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74

<표 4-9>부모들에게 장애아동양육이나 가족생활에 유익한 정보 제공 또는 부모 교육 74 <표 4-10>가정폭력, 이혼 등 위기에 처한 가족을 도울 수 있는 전문 기관 연결 ··· 75

<표 4-11>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놀이마당 등의 프로그램 실시 ··· 75

<표 4-12>장애시설 놀이터나 실내 공간, 장난감 등을 지역장애아동을 위해 개방 · 76 <표 4-13>지역 사회의 여러 기관 및 단체와 연계한 프로그램 실시 ··· 77

<표 4-14>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고객만족조사 실시 ··· 77

(8)

<표 4-15>시설 기능보강(장애아동시설 개보수)비 지원 ··· 78

<표 4-16>장비 또는 교재 교구 구입 지원 ··· 78

<표 4-17>시설 이용료 외 아동을 위한 기금 지원 ··· 79

<표 4-18>장애아동시설 규정의 엄정 적용 ··· 79

<표 4-19>장애아동 시설 경영 정보 지원 ··· 80

<표 4-20>시‧구청 담당부서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 80

<표 4-21>지역 장애아동 계획 수립에 장애아동시설의 참여 유도 ··· 81

<표 4-22>교사(치료사) 1인 당 적정 학생 수 ··· 82

<표 4-23>장애아동 시설의 최적 위치 ··· 82

<표 4-24>장애아동시설 운영 시 불편 사항 - 1순위 ··· 83

<표 4-25>장애아동시설 운영 시 불편 사항 - 2순위 ··· 84

<표 4-26>장애아동 시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전담인력 배치 - 1순위 ··· 85

<표 4-27>장애아동 시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전담인력 배치 - 2순위 ··· 87

(9)

- 그 림 목 차 -

[그림 1-1]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조직도 ··· 6

[그림 3-1]여러 곳에서 받지 않고도 치료 및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방안-1순위59 [그림 3-2]여러 곳에서 받지 않고도 치료 및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방안-2순위60 [그림 3-3]주간 및 단기보호시설프로그램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서비스-1순위 61 [그림 3-4]주간 및 단기보호시설프로그램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서비스-2순위 62 [그림 3-5]개인생활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1순위 ··· 63

[그림 3-6]개인생활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2순위 ··· 64

[그림 3-7]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1순위 ··· 65

[그림 3-8]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2순위 ··· 66

[그림 4-1]장애아 시설 운영 시 불편사항-1순위 ··· 84

[그림 4-2]장애아 시설 운영 시 불편사항-2순위 ··· 85

[그림 4-3]장애아 시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전담인력 배치-1순위 ··· 86

[그림 4-4]장애아 시설 기능 활성화를 위한 전담인력 배치-2순위 ··· 88

(10)
(11)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 목적 및 방법

제2절 이론적 배경

제3절 보고서 구성

(12)
(13)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 및 방법

현재 장애 아동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은 크게,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과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 시설로 구분된다.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은 각종 사업 기관들이 컨 소시엄 형태로 운영하는 크고 작은 재활 치료 센터들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 사회 재활 시설은 지역 장애인 복지관, 주간 및 단기 장애인 보호 시설, 그리고 장애인 의료재활 시설들로 구성된다.

2008년 말 현재 대전광역시 거주 18세 미만 장애아동은 2,800여명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모든 등록 장애 아동들이 대전 지역의 재활 치료 기관이나 재활 시설을 이 용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등록 장애 아동 중 절반에 이 르는 수 정도만이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 혹은 재활 치료 바우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재활 치료 바우처나 보호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대기하고 있는 장애 아동에 대한 지원 문제는 계속 제기되고 있다. 즉, 부족한 장애아동 이 용 시설에 대한 수요의 문제는 장애아동 이용 시설의 프로그램 및 관리 문제와 함 께 우선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한정된 자원으로 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아동 이용 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요자의 변화하는 욕구를 정확하게 이해하여 가장 시급하게 자 원을 투입해야할 부분을 선택하여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식으로,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시설 이용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아동 보호 자를 중심으로 장애아동 시설 관리와 제공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며, 수요자의 욕구와 현실에 부합하는 장애아동 이용 시설의 효율적

(14)

운영 방안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담당공무원과의 면담 그리고 전 문가 자문을 활용하였다. 대전광역시 거주 장애아동의 시설 이용 현황에 대한 자료 와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아동 이용 시설 현황을 분석하였고, 실제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시설에 대한 만족도 및 수요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장애아동 이용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도 조사를 실시하여 종사자들이 생각 하는 장애아동 이용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도구 개발 및 설문조사지의 작성과 분석의 단계에서는 담당 공무원과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되었다.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으 며, 결론으로 수요자 중심의 장애아동 이용 시설 개선 방안과 효율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2절 이론적 배경

현재 아동복지법에서는 만 18세 미만을 장애아동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보건복지 가족부는 6세 미만의 아동을 ‘장애영유아’로 명칭하고 ‘장애아동’과 구분하여 건강검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방효과가 높은 장애영유아는, 건강검진을 통하 여 장애를 진단하고 조기재활치료를 시작한다.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은 조기교육과 학령기 교육, 그리고 학교 교육과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는데, 과 거에 비하여 많은 공공 서비스들이 생겨났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장애 특성에 기반 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적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계속 상승하고 있다.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 및 치료 제공 시설들은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 을 우선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장애아동의 특성에 맞게 설계된 특수교육 내용 및 통합 교육을 통한 일반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1980년 대 이후 장애아동의 조 기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 교육 기관들이 문을 열기

(15)

시작하여 조기 교육 프로그램과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통합교육에 대한 강조와 함께, 집단보다는 개인을 위주로 한 개별 교육에 대한 중 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으며, 지금까지도 개별 특성화 교육 패러다임은 장애아동 교육과 치료의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모든 발달 영역의 상호 연관성 및 상호의존성을 강조하여, 한 영역상의 발달상 지체나 결함이 다른 영역에 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강조되어 교육과 치료에 있어 여러 영역 간 교 섭 및 통합이 강조되고 있는 것도 현 장애아동 치료 패러다임의 주요 내용이다.

최근에는 장애아동에게 기능 향상과 행동 발달을 위한 적절한 치료 서비스를 지 원하고 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아동 재활치료 바우처 사업이 활성화 되고 있다. 바우처 사업은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증서로, 높은 재활치료 비용으로 인한 장애아동 양육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사업이다. 재활 치료바우처는 장애 판정 후 대기 기간 없이 바우처를 교부 받아 바로 원하는 치료 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2가지 이상의 치료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꾸준한 예산의 확보를 통하여 서비스 수혜자의 범위를 넓히고, 홍보의 활성 화를 통하여 바우처 및 관련 서비스 정보로부터 소외되는 장애아동이 없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현재 대전광역시에는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이 있으 며, 법정시설로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과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이 있고, 이와 별도로 장애아동 재활지원센터, 그리고 의료시설 등이 있다. 다양한 치료기관 들로 이루어진 재활치료 사업기관과 복지단체 및 종합복지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치료시설 및 단기․주간보호센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장애아동 이용시설을 관리하 는 대전광역시의 장애인 복지과는 다음과 같은 추진체계를 가지고 있다.

(16)

[그림 1-1]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조직도

구 분 계

일 반 직

기능직 계약직 소계 4급 5급 6급 7급 (다급)

계 12 10 1 3 4 2 1 1

장애인정책담당 5 4 1 1 1 1 1

재활지원담당 4 3 1 2 1

장애인시설담당 3 3 1 1 1

<표 1-1>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인력 구성

(단위: 명)

자료출처: 대전광역시장애인복지과 (2008)

대전광역시의 장애인 복지를 담당하는 부서는 과 단위로 설치되어 있다. 2008년 12월 현재, 장애인복지과에 3개의 팀이 있으며, 총 12명의 공무원이 임무를 수행하 고 있다. 이러한 조직 규모는 전국적 상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라 평가할 수 있으며 (서울특별시 4개팀, 25명; 경기도 3개팀 14명) 대전광역시 장애인 복지사업에 대한 관심과 추진 역량의 강화를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앞으로, 구와 동단위의 인력을 보강하여 장애아동 복지사업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 강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17)

제3절 보고서 구성

장애아동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개선점을 찾아, 보다 나은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조사 및 설문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방법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 적과 방법을 서론으로 제시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대전광역시 등록 장애 아동 수 (만 18세 미만 장애인), 장애아동 시설 사업 현황 및 이용 현황을 문헌 자료를 통하 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장애아동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보호자를 대상으 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은 장애아동 시설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행한 장애인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 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 5장은 위의 모든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장애아동 이용 시설 개선 방안 및 정책 지원 방향에 대한 논의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18)
(19)
(20)

제 2 장

장애아동 시설 사업 현황 및 이용 현황

제1절 장애아동 시설 현황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현황

(21)

제2장 장애아동 시설 사업 현황 및 이용 현황

제1절 장애아동 시설 현황

1.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 현황

장애아동이 재활 치료를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법정 시설은 크게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 기관과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법정 시설과 는 별도로 시설 내 사업으로 운영되는 장애아동 재활지원센터 2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 기관들은 기초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는 기관 아래 개별 치료 기관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은 장애인 복지관,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그리고 의료재활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1)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 기관 현황

1)

장애 아동이 이용하는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은 각 구가 지원하는 기관아래 컨소시엄의 형태로 치료를 실행하는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 현재, 동구에는 2개의 제공 기관아래 6개의 장애아동 재활 치료 기관들이 있으며, 중구에는 13개의 장애아동 재활 치료 기관들이, 서구에는 18개, 그리고 유 성구에는 11개의 장애아동 재활 치료 시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운영되고 있다.

1) 2009년 4월 현재. 자료출처: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22)

제공기관 컨소시엄기관명 치료과목 치료사수 기관연락번호 기관주소

함께하는 대전 장애인 부모연대

밝은 마음 특수교육센터

언어치료 1

042-223-5242

010-9243-2542  중구 대사동 75-4 미술치료 1

특수체육 1 우송 솔파란

아동연구소

언어치료 3

042-620-7737 동구 신안동 우송솔도라도웰빙센터2층 미술치료 1

감각통합 2 가온 음악

치료실 음악치료 2 042-489-5234 010-6725-0303

서구 월평동 1361 3층 302호

밀알아동 발달센터

포도원

언어치료

042-622-0675 대덕구 오정동 658-9 인지치료

미술치료 감각통합 1

사랑원 (가나특수교육원)

언어치료 1

042-637-3025 042-637-3026

대덕구 오정동 433-2 한남볼링장 2층 인지치료 1

미술치료 감각통합

밀알복지관

언어치료

042-627-0900 동구 삼성동 280-3 인지치료

미술치료 감각통합

제공기관 컨소시엄기관명 치료과목 치료사수 기관연락번호 기관주소 태화

아동 발달 지원 센터

연세언어교육원 언어치료

놀이치료 1 042-867-7585 유성구 전민동 337-2 대전음악심리

치료연구소 음악치료 1 042-322-5547 유성구 어은동 108-1 소리와우케어넷 언어치료 2 042-526-6875 서구 용문동 255-1

한양빌딩 2층

<표 2-1> 동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단위 : 명)

<표 2-2 > 중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단위 : 명)

(23)

다솜아동 발달연구소

언어치료 미술치료 임상심리 놀이치료

3 042-487-3724 서구 둔산동 1039 씨앤씨빌딩 5-501 한국아동

발달연구소 인지학습 1 070-7522-0460 서구 갈마동 791 대업빌딩 3층 Kim's 아동

가족상담센터

놀이치료 가족상담 심리상담

3 042-471-3501 서구 삼천동 1001 3층

정수미음악치료

연구센터 음악치료 1 011-9817-5006 서구 월평동 만년오피스텔 802호 관저종합사회복지관 미술치료

인지치료 1 042-545-6810 서구 관저동 1140번지 대전종합사회복지관

단비아동가족 상담센터

언어치료

미술치료 1 042-627-2957 대덕구 비래동 116-7 송강사회복지관 언어치료

미술치료 1 042-934-6338 유성구 송강동 10번지 정림장애아동

발달지원센터

언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1 042-584-4451 서구 정림동 637번지

사회 복지 법인 해밀원

해밀아동능력개발원

언어치료 놀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4 042-581-5525 중구 문화동 569-10

조명숙 말,언어클리닉

언어치료 놀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9 042-483-3669 서구 만년동 294번지 청사클리닉 6층 602호

제공기관 컨소시엄기관명 치료과목 치료사수 기관연락번호 기관주소 대전치료

교육기관 연합회

관저아동 발달교육원

인지치료

미술치료 2 042-545-6333 서구 관저동 1207 2층 대덕아동

발달지원센터

언어치료

미술치료 4 042-623-8073 대덕구 비래동 140-7 비래프라자 308호

<표 2-3 > 서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단위 : 명)

(24)

대전아동 발달연구소

언어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인지치료 특수체육

9 042-631-6007 대덕구 법동 287-4 서한빌딩 3층

미르임상

동작훈련방 특수체육 1 070-8281-1086 서구 둔산동 녹원A 106동105호 이영희

언어교육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특수체육

5 042-485-8428 서구 갈마동 268-20 성경빌딩 4층 이화아동

발달교육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2 042-484-2426 서구 둔산동 1272 경보빌딩 3층 이화아동

발달교육원

언어치료

인지치료 3 042-621-2425 대덕구 중리동 151-1 3층

이화언어클리닉 언어치료 1 042-822-5075 유성구 장대동 331-3 402호

푸른초장 특수치료교육실

언어치료

음악치료 2 042-862-3692 유성구 신성동 209-6 2층

하나언어

임상연구원 언어치료 1 010-2280-3918 유성구 봉명동 538-8 동아벤처타워 1807호 홍샘특수교육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3 042-472-4864 서구 만년동 111 1층

한울정신 복지재단 대전센터

김선정 아동발달교육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3 042-256-5397 중구 용두동 29-11 우리아이

언어치료교육센터

미술치료

심리치료 3 042-538-6655 서구 갈마동 344-5 우리빌딩 2층 이룸치료교육센터 심리치료 1 042-485-5542 서구 만년동 386

골드벤처타워 427호 정충희

언어치료실

언어치료

심리치료 3 042-221-3451 중구 대흥2동 519-7 한예술치료

교육연구소 미술치료 1 042-863-7738 유성구 전민동 337-11 한울아동

건강발달연구소

심리치료 미술치료 언어치료

4 042-485-2070 서구 둔산동 1419 메트로존 705호

한울재가방문센터

언어치료 심리치료 미술치료

4 042-472-6030 서구 둔산동 1419 메트로존 705호

(25)

제공기관 컨소시엄기관명 치료과목 치료사수 기관연락번호 기관주소

대전치료 교육기관 연합회 유성지부

김소원 언어장애연구소

언어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9 042-482-4511 서구 둔산동 963 대영프라자 203호 김주언어클리닉 언어치료 4 042-536-0324 서구 괴정동 1-5

한양빌딩 3층 류지혜

언어치료교육원

언어치료 음악치료 인지치료

7 042-582-0403 서구 정림동 504 대호빌딩 4층 박창옥

조기교육원

미술치료 놀이치료 인지치료

9 042-484-6330 서구 월평동 296 천곡빌딩 2층

사과나무 언어치료센터

언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놀이치료

6 042-477-2773 유성구 노은동 488-11 2층

서지형 언어교육원

언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특수체육

8 042-862-7151 유성구 어은동 115-4 3층

아이사랑 언어치료실

언어치료

놀이치료 7 042-534-7572 서구 갈마동 1044 혜창빌딩 5층 참좋은

언어치료센터 언어치료 2 042-482-7556 서구 탄방동 703 2층 참좋은

언어치료실

언어치료

미술치료 3 042-542-7556 서구 관저동 1016 2층 토끼와

거북클리닉

언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6 042-533-8175 중구 오류동 175-1 삼성쇼핑센터 308호 한밭언어

치료교육원

언어치료 특수치료 체육치료

3 042-826-7373 유성구 장대동 337-4 신화빌딩 401호

<표 2-4 > 유성구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기관

(단위 : 명)

(26)

시 설 명 주요내용 종사자 소재지 전화번호 시설규모 비고

밀알복지관 의료, 직업, 교육,

심리, 재활 21 삼성동

280-3 627-0900 부지 432.4㎡

건물 1,940㎡

2004.09.01 개관 시립산성

종합복지관

사회교육사업계몽,

홍보사업 등 32 산성동

120-18 586-8033부지 3,637.1㎡

건물3,181.89㎡

2000.12.22 개관 시립장애인

종합복지관

의료, 직업, 교육,

심리, 재활 31 용계동

319-1 540-3500부지 3,305.8㎡

건물 2,409㎡

1988.06.22 개관 유성장애인

종합복지관

사회교육사업계몽,

홍보사업 등 43 죽동600

(노은2) 822-3637 부지 2,975㎡

건물 1,993㎡

2005.04.15 개관

2)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장애아동이 치료와 교육, 그리고 보호를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는 지역 사회 재활 시설들이 있다. 대전광역시 소재 지역사회 재활시설은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주간/단기 보호시설, 그리고 장애인 의료 재활 시설 들이 있으며, 이 외에도 체육시설과 생활시설, 직업재활시설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주로 이용 하는 치료․교육 시설에 중점을 둔 관계로 제외하였다.

장애인 복지관은 장애인에 대한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각종 상담 및 교육, 재활 치료 뿐 아닌, 심리 상담과 직업 교육도 제공하고 있으며, 장애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사업도 수행하는 기관이다. 장애인 주간/단기 보호 시설은 장애인 을 단기적으로 보호하고 필요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 재활 시설은 장애인을 입원 또는 통원하게 하여 의료 상담 및 진단과 판정, 그리고 치료를 제공 하는 의료 시설을 의미한다.

2009년 현재 대전광역시에는 5개의 장애인 복지관이 있으며, 각 기관별로 교육과 재활 프로그램, 그리고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표 2-5> 장애인복지관

(단위 : 명)

(27)

대덕구장애인 종합복지관

의료, 직업, 교육,

심리, 재활 28 연축동

307-4 637-8848 부지 2,576㎡

건물 2,175.5㎡

2007.09.18 개관

5개소 155명

시 설 명 주요내용

종 사 자

이용자

소재지 전화번호 시설규모

(시설설치) 비고 정

원 현 원 명은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3 삼성동

280-18 632-7338 124.95㎡ 2001.12.13 개소 생명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2 판암동

239 286-9190 105.3㎡ 2007.06.01 개소 파랑새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5 대동 1-35

(070)

8613-8336 205.8㎡ 2009.05.29 개소 산성종합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장애성인주간보호 4 12 12 산성동

120-18 586-8033 60.8㎡ 2002.10.18 개소 샤 론 원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5 산성동

136-3 585-9525 260.43㎡ 2003.10.15 개소 밀알주간보호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2 중촌동

369-11 221-0813 82㎡ 2004.08.05 개소 나눔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장애성인주간보호 4 12 12 문화동

27 586-1500 115.46㎡ 2007.03.15 개소 도토리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4 10 10 가장동

53-13 533-9457 80㎡ 2005.09.12 개소 관저종합

사회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3 15 9 관저동

1140 545-6810 103.14㎡ 2005.12.28 개소 월평사회복지관

주간보호센터

발달장애

아동주간보호 3 15 15 월평동

218 488-5166 127.9㎡ 2005.12.29 개소 대전광역시 소재 주간보호시설은 19개소로 파악되고 있다. 각 시설별로 3~4명의 종사자를 두고 있으며, 총 274명 정원에 227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 다.

<표 2-6> 주간보호시설

(단위 : 명)

(28)

정림발달장애인 주간보호센터

발달장애

아동주간보호 3 15 7 정림동

637 584-4451 150㎡ 2008.08.22 개소 시립장애인

종합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성인주간보호 3 15 12 용계동

319-1 543-5120 2,409㎡ 1999.03.01 개소 푸른초장 장애아동주간보호 3 10 10 신성동

209-6 862-3692 124.4㎡ 2004.08.23 개소 유성구장애인

종합복지관부설 장애아동주간보호 3 15 14 죽동600

(노은2) 822-3637 72㎡ 2005.05.10 개소 가나특수교육원 장애아동주간보호 3 20 15 오정동

433-2 637-3025 260.43㎡ 2000.05.04 개소 로뎀나무 장애아동주간보호 4 15 10 오정동

658-9 622-0675 70.84㎡ 2008.09.11 개소 대덕구

사회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5 20 16 덕암동

48-2 936-7344 143.46㎡ 2003.04.01 개소 대덕구

장애인복지관주 간보호센터

장애아동주간보호 3 10 11 연축동

307-4 637-8848 68.76㎡ 2008.02.02 개소 아회장애아동

주간보호센터

발달장애

아동주간보호 3 15 7 괴정동

98-7 538-1177 78.48㎡ 2009.01.08 개소

19개소 68 274 227

시 설 명 주요내용

종 사 자

이용자

소재지 전화번호 시설규모

(시설설치) 비고 정

원 현 원 밀알

단기보호센터 장애아동단기보호 3 15 12 용두동122-9 226-0813 98.73㎡ 2008.07.14 개관 푸른초장

단기보호센터 장애아동단기보호 3 10 10 신성동209-6 862-3692 124.6㎡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아동 단기보호 시설은 현재 4개소로 파악된다. 총 52명 정 원에 42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모두 17명의 종사자가 근무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7> 단기보호시설

(단위 : 명)

(29)

대덕특수교육

원 장애아동단기보호 7 12 12 비래동

115-30 623-8071 180.1㎡

포도나무

단기보호센터 장애아동단기보호 4 15 10 오정동658-9 622-0675 71.72㎡ 2008.09.01 개관

4개소 17 52 42

시 설 명 주요내용 종사자 소재지 전화번호 시설규모 비고

성세병원 장애인진단,

치료 등 30 봉명동

629-5,6 823-3110부지 1,280㎡

건물802.16㎡ 성재원 성화대전요양병원 장애인진단,

치료 등 143 봉명동

678-3 717-7610부지 944.4㎡

건물 624.7㎡ 성화원

2개소 173

장애아동이 이용하는 재활치료 기관으로는 유성구에 위치한 의료시설도 있다. 두 곳의 의료시설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73명 의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2-8> 의료시설

(단위 : 명)

또한, 장애아동 조기치료 및 재활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애아동 재활지 원센터가 서구 보건소 내 1개소, 대덕장애인복지관 내 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 두 재활지원 센터는 법정 시설과는 별도로, 각각 보건소와 복지관에서 별도의 사업 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 장애아동 이용 시설 증가 추이

지역의 대표적인 장애아동 이용 시설인 지역사회 재활시절의 증가 추이를 대전 광역시 장애인 복지과의 자료를 근거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30)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2004(12월) 2005(6월) 2006(12월) 2007(12월) 2008(11월) 2009(6월) 개소

(개) 종사자

(명) 개소 (개)

종사자 (명)

개소 (개)

종사자 (명)

개소 (개)

종사자 (명)

개소 (개)

종사자 (명)

개소 (개)

종사자 (명) 장애인복지관 4 102 4 110 4 117 5 148 5 148 5 155 주간보호시설 6 23 6 23 12 42 15 53 17 60 19 68

단기보호시설 - - - 2 7 4 13 4 17

의료시설 1 12 1 12 1 15 2 90 2 90 2 173 <표 2-9> 2004년 이후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변화 현황

자료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2004년 장애인 복지관은 4개소, 주간보호시설은 6개소, 의료시설은 1개소였으며, 단기보호시설은 없었다. 2006년 들어 주간보호시설이 12개소로 크게 증가했으며, 의료시설도 2007년엔 2개로 늘어났다. 단기보호시설은 2007년에 2개소가 새로 생긴 이래 2009년엔 4개로 증가하였으며, 복지관도 2009년엔 5개소로 증가했다.

각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는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어떤 시설은 이용자를 개인별로 기록하고 있었으나, 어떤 시설은 이용 횟수만을 기록하고 있어 이용하는 개인의 수를 파악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용자 현황을 아직 통 합적으로 관리하는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자료를 개별 시설에 일일이 의뢰하 여 수집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현황

1. 등록 장애아동 수

2008년 말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전광역시 거주 18세미만 장애아동 등록 현황은 다음과 같다.

(31)

연령 남자 여자

1~5세 11 6

6세 9 6

7세 20 7

8세 25 11

9세 23 6

10세 18 15

11세 27 18

<표 2-10> 대전광역시 거주 장애인등급별, 성별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 현황 (단위 : 명)

성 별 장애인 등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합 계

남자 683 618 352 60 68 73 1809

여자 362 317 214 38 33 37 1001

합계 1000 935 566 98 101 110 2810

자료 : 보건복지가족부(2008)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18세 미만 장애아동 등록 인구는 2008년 말, 2810명으로 파악되었다. 남성이 1809명으로 여성 1001명에 비해 많으며(남성 64%, 여성 36%), 장애 등급이 높을수록 등록 장애아동 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급과 2급에 등 록 장애아동의 상당수가 분포되어 있는 만큼, 장애 정도가 심한 아동에 대한 지원 과 이들을 위한 시설에 좀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2. 시설별 장애아동 이용 현황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장애아동이 교육과 치료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는 우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이 있다. 2009년 현재, 특수학교에 등록하여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수는 다음과 같다.

<표 2-11> 18세 미만 장애아동 특수학교 등록현황(2009)

(단위 : 명)

(32)

12세 30 16

13세 27 21

14세 34 17

15세 36 28

16세 44 26

17세 36 16

합 계 340 193

533 자료 : 교육통계서비스, 교육통계연보

대전광역시 소재 특수학교는 총 4개교이며, 2개교는 공립이고 나머지 2개교는 사 립이다. 이들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인은 78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 중 18세 미만의 장애아동만 추려내면, 위와 같이 533명인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대전광역시 소재 일반학교 중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학급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 는 156개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아동 학급은 200학급으로 유치원부터 고등 학교까지 재학생 수는 1,195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12> 대전시 장애인 특수학급 현황(2009)

(단위: 명)

과정 학교 학급 학생

유치원 13 14 55

초등학교 90 115 710

중학교 36 42 264

고등학교 17 29 166

계 156 200 1,195

자료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과는 별도로 대전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 아동 이 이용하고 있는 재활치료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

(33)

성 별 5개 구

합 계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남자 86 78 209 102 54 529

여자 48 31 101 56 34 207

합 계 134 109 310 158 88 736

치료종류 이용자수 비율

감각치료 103 8.97

교육치료 64 5.57

그룹치료 15 1.31

놀이치료 10 0.87

단기보호 19 1.66

독서치료 6 0.52

물리치료 132 11.50

미술치료 93 8.10

<표 2-13> 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이용자(2009) (단위: 명)

자료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자료에 따르면, 2009년 5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거주하 면서 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들을 이용하는 아동은 총 736명으로 파악된다. 이 결과 는 5개 구에서 수집한 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이용 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으 로 중복 기재된 아동을 제외한 수이다.

기초자치단체가 파악한 장애아동의 재활치료시설 이용 현황에는 이들이 현재 받 고있는 재활치료의 종류도 나타나 있다.

<표 2-14> 장애아동 재활치료 종류 현황(2009)

(단위 : 명, %)

(34)

방과 후 치료 26 2.26

수중치료 43 3.75

심리치료 35 3.05

언어치료 184 16.03

운동치료 2 0.17

음악치료 72 6.27

인지치료 7 0.61

작업치료 156 13.59

재활치료 1 0.09

주간보호 137 11.93

직업치료 8 0.70

특수교육 35 3.05

합계 1148 100.00

자료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치료종류는 가나다순 정렬이며 치료종류는 중복선택

5개 기초자치단체 담당 공무원별로 작성 기준이 상이하고, 장애아동 보호자가 인 식하고 있는 치료에 대한 개념 정의가 달라, 치료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게 파악되 고 있다. 장애아동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고 파악된 843명 중 가장 많은 수는 주간 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치료 의 종류는 언어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장애아동 재활치료 바우처 이용 및 이용 금액 실태

장애아동의 지적, 감각적 기능의 향상과 행동발달을 위한 재활치료 서비스를 선 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전광역시는 재활치료 부담이 높은 장애아동 양육 가정에 재활치료 비용을 바우처의 형태로 지원하고 있다.

18세 미만의 뇌병변, 언어, 청각, 지적, 자폐아동 중 전체 가구 소득의 50%이하인 가정의 아동에게 재활치료 바우처(월 18만원에서 22만원)를 제공해 오고 있다. 대전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중 바우처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의 현

(35)

성 별 5개 구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합 계

남자 65 69 141 43 94 412

여자 41 35 84 27 40 227

합 계 106 104 225 70 134 639

성 별 5개 구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합 계

황은 다음과 같다.

<표 2-15> 장애아동 재활치료바우처 이용 현황(2009)

(단위: 명)

자료 :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5개 구별로 수집된 재활치료바우처 이용 현황 자료를 재 가공한 결과에 따르면, 2009년 5월 현재, 장애아동 재활치료바우처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은 총 639명인 것 으로 나타나고 있다. 남자 아동이 412명, 여자 아동이 227명으로(바우처 수급자 중 남성 64%, 여성 36%), 18세 미만 장애 아동 인구의 성비와 같은 비율로 바우처가 공급되고 있다.

18세 미만 장애 아동은 일반적으로 재활치료바우처를 수급하여 관내 치료기관을 이용하거나, 자비를 들여 각종 복지관 및 치료시설에서 제공하는 재활 치료 프로그 램들을 이용하고 있다. 치료 시설 이용자와 바우처 이용자 현황을 보다 정확히 파 악하기 위하여, 5개 구에서 취합한 장애아동 개인 이용 현황 자료를 검토하였고 재 활치료바우처와 치료 기관 시설을 중뵥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현황을 파악하였 다.

<표 2-16> 재활치료바우처와 치료시설 중복 이용자 현황(2009)

(단위: 명)

(36)

성 별 5개 구 주소

미확인 합 계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남자 28 38 90 71 40 3 270

여자 11 17 52 29 21 130

성별미확인 1 1

합 계 39 55 142 100 62 3 401

남자 17 20 33 9 11 90

여자 8 10 19 7 4 48

합 계 25 30 52 16 15 138

자료출처: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2009년 5월 현재, 재활치료바우처를 수급하여 이용하면서 장애아동 치료 시설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장애아동은 13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출한 개인별 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이용 현황 및 재활 치료바우처 이용 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치료시설 이용을 원하는 대기자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표 2-17>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 이용 대기자(2009)

(단위: 명)

자료출처: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5개 기초자치단체는 재활치료를 원하는 데에도 불구하고 재활치료바우처나 재활 치료기관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아동 명단을 확보하고 있다. 5개 구에서 제 출한 대기자 명단을 취합하여, 주소지를 검토, 대전광역시 거주자가 아닌 대기자를 우선 추려 내었다. 또한,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현재 재활치료바우처 또 는 재활치료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개인도 대기자 명단에서 제외하였으며, 마지막 으로 대기자 명단 내에서 중복 신청한 자도 최종 대기자 명단에서 제외하였다.

위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09년 5월 현재, 장애아동 재활치료 시설 이용을 원

(37)

치료시설 월 이용금액(단위: 원) 빈도(명) 비율(%)

무료 (방과후지원, 교육청지원) 94 11.15

바우처 6 0.71

10,000 미만 62 7.35

10,000 ~ 19,999 71 8.42

20,000 ~ 29,999 6 0.71

30,000 ~ 39,999 159 18.86

40,000 ~ 49,999 59 7.00

50,000 ~ 59,999 15 1.78

60,000 ~ 69,999 44 5.22

70000 ~ 79,999 15 1.78

80000 ~ 89,999 18 2.14

90,000 ~ 99,999 1 0.12

100,000 ~ 109,999 120 14.23 110,000 ~ 149,999 46 5.46

150,000 ~ 159,999 72 8.54

150,000 ~ 400,000 55 6.52

합 계 843 100.00

하는 대기자는 40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자 중 67%는 남성 장애아동이며, 여 성 장애아동은 33%인 것으로 파악된다.

대전광역시 거주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중 재활치료 시설을 이용하는데 사용하 는 월 금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2-18> 장애아동 치료시설 월 이용 금액

(단위: 원, 명, %)

(38)

대전광역시 5개 기초자치단체가 조사한 장애아동 치료 서비스 이용 시 사용하는 금액은, 정부나 교육청 지원, 바우처 등을 이용한 무료 이용자부터 월 40만원을 지 불하는 이용자까지 다양하였다. 정부와 교육청의 지원을 받거나 바우처만을 이용한 다고 밝힌 이용자들은 100명으로, 조사된 장애아동 중 약 11.8%를 차지하고 있으 며, 3만원 대 이용금액을 매월 지출한다고 밝힌 이용자가 약 19%로 가장 많았다.

(39)
(40)

제 3 장

장애아동 시설 이용 실태 및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보호자 대상

(41)

조 사 대 상 ■■ ▪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아동 시설을 이용하는 보호자

▪ 자녀 성별 남: 199명 (57.5%) 여: 147명 (42.5%)

표 본 수 ■■ ▪ 총 347명의 개별 응답자

표본추출방법 및 표본의 특성 ■■

▪ 층화표집 Stratified Sampling

▪ 각 구별 시설 및 인구 현황 파악 후 설문조사 착수

▪ 장애아동의 장애의 종류: 자폐성장애 24.9%, 뇌병변 22.9%, 지적장애 22.6%, 지체장애 13.6% 등

▪ 장애아동 취학 상태: 취학 전 28.0%, 취학 중 66.2%, 재가

제3장 장애아동 시설 이용 실태 및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

제1절 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 및 필요성

• 장애 아동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하여 장 애 아동 시설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시설에 대한 보호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 한다.

• 장애아동 시설에 대한 장애아동 보호자의 의견 및 수요를 파악함으로써 각 시 설의 현실에 부합하는 이용 시설 개선 방안 및 지원 정책 방안을 탐색해 보고 자 한다.

2.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42)

보호 5.8%

▪ 조사대상자 거주 현황: 동구 14.4%, 서구 29.4%, 중구 17.0%, 유성구 19.0%, 대덕구 20.2%

▪ 가정 월평균 소득: 200~300만원 35.3%, 100~149만원 21.4%, 150~199만원 18.2%, 300만원 이상 17.9% 등

자료수집방법 ■■ ▪ 장애아동 이용 시설, 기관, 병원, 학교 등을 직접 방문

▪ 교육 받은 조사원에 의한 응답자 대인면접조사

설문 내용 ■■

▪ 장애아동 시설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이용 현황

▪ 서비스 대기 및 이용 부담액 현황

▪ 프로그램 및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

▪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요 및 시설 개선 수요

조사 일정 ■■

▪ 설문조사지 작성 및 사전 조사: 2월~3월

▪ 설문조사지 완료: 4월

▪ 설문조사 실시: 4월 17일~4월 28일 (8일간)

▪ 자료 입력 및 통계 분석: 5월~6월

구분 응답자수 비율

대학병원 13 3.7

장애인복지관 173 49.9

일반 병‧의원 35 10.1

주간(단기)보호시설 16 4.6

사설 재활 치료실 106 30.5

<표 3-1>가장 많이 재활지원서비스를 받는 곳

(단위: 명, %)

제2절 장애아동 시설 이용 보호자 대상 조사 결과

1. 장애아동 시설 이용 현황

1) 재활지원서비스 이용 장소

(43)

기타 4 1.2

합계 347 100.0

□ 장애아동 보호자의 약 절반(49.9%)은 장애인 복지관에서 자녀의 재활지원 서 비스를 받고 있음.

□ 보호자의 30.5%는 사설 재활 치료실에서 자녀의 재활 지원 서비스를 받고 있 다고 응답함.

□ 복지관 이용률이 높은 만큼 복지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

2) 주 당 재활지원서비스 이용 횟수

구분(회) 응답자수 비율

1 15 4.4

2 85 24.7

3 75 21.8

4 72 20.9

5 53 15.4

6 21 6.1

7 6 1.7

8 2 0.6

9 1 0.3

10 4 1.2

12 3 0.9

13 1 0.3

14 2 0.6

23 1 0.3

25 1 0.3

29 2 0.6

합계 344 100.0

<표 3-2>재활지원서비스 이용 횟수 /1주

(단위: 명, %)

(44)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도보 28 8.2

버스 62 18.1

택시 24 7.0

자가용 218 63.6

기타 11 3.2

합계 343 100.0

<표 3-3>복지관, 시설 등 재활지원서비스 이용 시 주요 교통수단 (단위: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10분미만 20 5.8

10 ~ 30분 215 62.1

30 ~ 60분 101 29.2

1 ~ 2시간 8 2.3

2시간 이상 2 0.6

합계 346 100.0

□ 주 당 재활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수는 2~5회에 고르게 분포됨

□ 1 주일에 재활지원 서비스를 2회 받는다고 응답한 보호자가 24.7%로 가장 높 음.

3) 재활지원 서비스 이용 수단 및 소요 시간

□ 복지관, 시설 등 재활지원 서비스 이용 시 이용하는 주요 교통수단은 자가용 으로 나타남(63.6%).

□ 대중교통 이용률이 저조하고 자가용 의존율이 높으므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이동 수단 지원 수요가 더 있을 것으로 예상 됨.

<표 3-4>재활지원서비스 시설까지 걸리는 시간

(단위: 명, %)

(45)

구 분 응답자수 비율

심리치료 43 12.4

물리치료 74 21.3

작업치료 49 14.1

언어치료 153 44.1

약물치료 13 3.7

기타 15 4.3

합계 347 100.0

<표 3-5>가장 많이 받고 있는 재활지원서비스

(단위: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표 3-6>현재 이용하는 재활지원서비스 기관 선택 동기

(단위: 명, %)

□ 재활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시간은 10~30분이 62.1%로 가 장 높았음.

□ 30~60분 소요도 29.2%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4)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재활지원 서비스 및 소요 비용

□ 장애아동 보호자의 44.1%는 자녀가 언어치료를 받고 있다고 응답함.

□ 언어치료 다음으로는 물리치료(21.3%)를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자녀의 재활지원 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월평균 부담액은 평균 24.45만원이라 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많이 응답한 액수는 20만원임.

5) 재활지원 서비스 선택 이유 및 대기 소요기간

(46)

구 분 응답자수 비율

즉시 ~ 1주 이내 73 21.0

1 ~ 4주 72 20.7

1 ~ 3개월 39 11.2

4 ~ 6개월 16 4.6

6 ~ 12개월 38 11.0

1 ~ 2년 65 18.7

2 ~ 3년 30 8.6

3년 이상 14 4.0

□ 장애아동 보호자 29.7%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재활지원 서비스 기관을 선 택한 이유로 ‘가족 및 이웃의 권유’를 꼽았음.

□ ‘저렴한 의료비’도 보호자들이 기관을 선택한 이유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21.8%).

□ 사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치료 및 서비스 정보를 얻는 경향이 드러난 만 큼, 지원 서비스 정보 제공의 경로를 다양화할 필요 있음.

<표 3-7>현재 이용 중인 재활지원서비스를 받기 위해 대기한 기간 (단위: 명, %)

의사의 권유 38 11.0

가족, 이웃의 권유 102 29.7

저렴한 의료비 75 21.8

효과가 좋아서 34 9.9

과거의 치료경험 35 10.2

치료진, 치료시설이 좋아서 43 12.5

유명한 병원이라서 1 0.3

기타 16 4.7

합계 344 100.0

(47)

합계 347 100.0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40 11.5

불만족 128 36.9

보통 147 42.4

만족 29 8.4

매우만족 3 0.9

합계 347 100.0

<표 3-8>주거지역 내 근접한 치료기관의 수

(단위 : 명, %)

□ 응답자들의 21%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재활지원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1주일 이내 대기하였다고 응답함.

□ 41.7%의 장애아동 보호자들은 대기 기간이 4주 이하였다고 응답함.

□ 그러나, 상대적으로 1년 이상 기다렸다고 응답한 보호자도 31.3%에 이르고 있 어, 대기 시간 단축에 대한 조치가 필요함.

2. 장애아동 시설 프로그램 및 운영에 대한 만족도 1) 치료 기관 근접성 및 교통편의

□ 주거지역 인근 치료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남.

□ 주거지역 내 근접한 치료기관의 수에 대하여 만족한다고 응답한 보호자의 비 율이 너무 낮은 것으로 나타나(9.3%), 치료기관 배치 및 근접률을 상승시키기 위한 조치가 필요함.

(48)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9 5.5

불만족 101 29.1

보통 179 51.6

만족 42 12.1

매우만족 6 1.7

합계 347 100.0

<표 3-9>치료 기관까지의 교통편의

(단위 :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1 3.2

불만족 78 22.5

보통 168 48.6

만족 82 23.7

매우만족 7 2.0

합계 346 100.0

<표 3-10>장애인을 고려한 공간 구성(진입로, 안전바,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 (단위 : 명, %)

□ 치료기관까지 이동하는 교통편의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응답 보호자들은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남 (보통, 51.6%).

□ 만족스럽다고 평가한 응답자(13.8%)보다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보호자의 비 율이 더 높았음(34.6%).

2) 재활지원 및 치료기관의 기반 시설

□ 이용하고 있는 시설이 장애인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설 문에 장애아동 보호자들은 다소 소극적으로 만족도를 표현하였음.

□ 불만족과 만족의 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49)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6 1.7

불만족 50 14.5

보통 199 57.5

만족 87 25.1

매우만족 4 1.2

합계 346 100.0

<표 3-11>기관 내 표지판 및 안내시설

(단위 :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4 4.0

불만족 91 26.2

보통 144 41.5

만족 92 26.5

매우만족 6 1.7

합계 347 100.0

<표 3-12>재활지원서비스 장비(기계, 도구, 교재 등)

(단위 : 명, %)

□ 이용하고 있는 시설 내 표지판 및 안내 시설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 보호자들 은 ‘보통’이라는 소극적인 응답을 다수하였음. (57.5%)

□ 불만족스럽다는 응답보다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좀 더 높음.

□ 현재 장애 자녀가 이용하고 있는 재활지원 서비스 장비에 대한 만족도 설문 에 대하여 보호자들의 41.5%는 ‘보통’이라는 소극적인 응답을 하였음.

□ 만족과 불만족은 비슷한 비율을 보임.

(50)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29 8.4

불만족 102 29.4

보통 127 36.6

만족 76 21.9

매우만족 13 3.7

합계 347 100.0

<표 3-13>재활지원서비스 비용의 적절성

(단위 :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34 9.8

불만족 141 40.8

보통 103 29.8

만족 62 17.9

매우만족 6 1.7

합계 346 100.0

<표 3-14>원하는 시간에 의료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단위 : 명, %)

3)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 및 이용 기회

□ 자녀가 받고 있는 재활지원서비스 비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설문에 보호자의 25.6%는 ‘만족스럽다’고 응답함.

□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37.8%에 이르렀음.

□ 원하는 시간에 의료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보호자의 절반은 (50.6%)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함.

□ 19.6%의 보호자만이 의료재활 서비스 기회 제공에 대하여 만족스럽다고 응답 함.

□ 장애를 가진 자녀가 원하는 시간에 의료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51)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50 14.5

불만족 128 37.2

보통 111 32.3

만족 47 13.7

매우만족 8 2.3

합계 344 100.0

<표 3-15>치료대기 기간(진단 후 치료시작까지 기간)

(단위 :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0 2.9

불만족 91 26.3

보통 164 47.4

만족 74 21.4

매우만족 7 2.0

합계 346 100.0

<표 3-16>접수․등록 및 행정 절차

(단위 : 명, %)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원 서비스가 즉각 제 공될 수 있도록, 또한 치료 제공 시간의 다양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함.

□ 진단 후 치료 시작까지의 대기 기간에 대하여 상당수의 보호자는 불만족스럽 다고 응답함 (51.7%).

□ ‘보통’이라는 소극적 응답이 32.3%에 이른 것에 반해, ‘만족스럽다’는 응 답은 16%에 그치고 있어, 장애 진단 후 즉각적 대처에 대한 지원-진단 기관 과 치료 및 재활 지원 기관 간 직접 연계 등이 우선 고려되어야 함.

4) 재활지원 서비스 기관 이용 절차 및 프로그램 운영

(52)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4 4.1

불만족 111 32.3

보통 153 44.5

만족 62 18.0

매우만족 4 1.2

합계 344 100.0

<표 3-17>치료 담당자의 수

(단위 : 명, %)

구 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5 1.4

불만족 47 13.6

보통 166 48.0

만족 121 35.0

매우만족 7 2.0

합계 346 100.0

<표 3-18>담당자의 진료,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설명

(단위 : 명, %)

□ 재활지원 서비스 기관의 접수, 등록 및 행정 절차에 대하여 장애아동 보호자 들의 23.4%만이 만족스럽다고 응답함.

□ 치료 담당자의 수가 만족스러운지를 묻는 설문에 보호자의 44.5%는 ‘보통’

이라는 소극적 반응 보임.

□ ‘만족스럽다’의 비율이 19.2%에 불과한 반면, ‘불만족스럽다’는 비율은 36.4%에 이름.

□ 담당자의 진료, 치료 및 예우에 대한 설명이 만족스러운지를 묻는 설문에 장 애아동 보호자들의 37%는 ‘만족스럽다’고 응답함.

(53)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5 1.4

불만족 51 14.7

보통 152 43.8

만족 133 38.3

매우만족 6 1.7

합계 347 100.0

<표 3-19>서비스 인력의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단위 : 명, %)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1 3.2

불만족 81 23.3

보통 154 44.4

만족 96 27.7

매우만족 5 1.4

합계 347 100.0

<표 3-20>아동의 개별적 특성 고려한 개별 치료 및 교육

(단위 : 명, %)

□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15%이며, ‘보통’이라는 응답은 48%임.

□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등 서비스 제공 인력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 보호자들의 40%는 ‘만족스럽다’는 답변을 하였음.

□ 16.1%의 응답자만이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을 보이고 있어, 서비스 제공 인 력에 대한 만족 정도는 양호한 것으로 보임.

□ 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 치료 및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 한 문항에 보호자들의 상당수는 “보통”이라는 소극적 답변을 하였음.

□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29.1%에 불과한 만큼, 개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와

(54)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불만족 19 5.5

불만족 75 21.8

보통 192 55.8

만족 56 16.3

매우만족 2 0.6

합계 344 100.0

<표 3-21>이용자 대상의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한 경영개선

(단위 : 명, %)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 그렇지 않다 6 2.1

그렇지 않다 39 13.6

보통이다 141 49.3

그렇다 94 32.9

매우 그렇다 6 2.1

합계 286 100.0

<표 3-22>보호시설 환경의 쾌적함

(단위 : 명, %) 교육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필요 있음.

□ 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 개선을 해 오고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 보호자들의 상당수(55.8%)는 그저 그렇다는 소극적 반응을 보임.

□ 고객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한 경영 개선에 대한 만족도가 16.9%에 불과해, 시설의 자체적인 경영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5) 주간(단기) 보호시설 이용

□ 주간(단기)보호시설의 환경이 쾌적한가를 묻는 질문에 보호자들의 상당수

(55)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 그렇지 않다 16 5.6

그렇지 않다 89 31.1

보통이다 107 37.4

그렇다 69 24.1

매우 그렇다 5 1.7

합계 286 100.0

<표 3-23>보호시설 접근의 용이함

(단위 : 명, %)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 그렇지 않다 2 0.7

그렇지 않다 38 13.3

보통이다 133 46.7

그렇다 104 36.5

매우 그렇다 8 2.8

합계 285 100.0

<표 3-24>시설 내 이동의 편이함

(단위 : 명, %) (49.3%)는 ‘보통’이라고 응답함.

□ 보호자의 35%가 쾌적함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음.

□ 주간(단기)보호시설이 집에서 가까운가에 대한 물음에 보호자들의 25.8%만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음.

□ 36.7%가 시설의 접근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응답을 한만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함.

□ 주간(단기)보호시설 내에서 장애아동이 식사장소나 화장실 등으로 이동할 때 불편함이 없는가라는 질문에, 보호자들의 상당수(46.7%)는 ‘보통’이라고 응

(56)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 그렇지 않다 5 1.7

그렇지 않다 36 12.6

보통이다 128 44.8

그렇다 105 36.7

매우 그렇다 12 4.2

합계 286 100.0

<표 3-25>시설 내 장애 편의시설 구비

(단위 : 명, %)

구분 응답자수 비율

매우 그렇지 않다 28 9.8

그렇지 않다 90 31.6

보통이다 90 31.6

그렇다 70 24.6

매우 그렇다 7 2.5

합계 285 100.0

<표 3-26>시설 이용을 위한 차량 제공

(단위 : 명, %) 답함.

□ 시설 내 이동이 편리하다는 응답(39.3%)이 그렇지 못하다는 응답(14%)보다 높 아, 시설 내 이동의 편이성은 양호한 것으로 보임.

□ 주간(단기)보호시설 내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 벽 손잡이, 화장실 손잡이 등이 잘 갖추어져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보호자의 40.9%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 음.

□ 시설 내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대체로 양호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으 로 보임.

□ 주간(단기)보호시설 자체적으로 교통이 불편하여 시설 이용이 용이하지 않은

수치

[그림 1-1]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조직도 구 분 계 일 반 직 기능직 계약직 소계 4급 5급 6급 7급 (다급) 계 12 10 1 3 4 2 1 1 장애인정책담당 5 4 1 1 1 1 1 재활지원담당 4 3 1 2 1 장애인시설담당 3 3 1 1 1 &lt;표 1-1&gt;  대전광역시 장애인복지과 인력 구성 (단위:  명)  자료출처:  대전광역시장애인복지과  (2008) 대전광역시의 장애인 복지를 담당하는 부서는 과 단위로 설치되어 있다
[그림 3-8]  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중요도-2순위 구 분 응답자수 비율 오랜 경험 22 6.4 장애아동에 대한 사랑과 배려 196 57.1 부모나 다른 직원과의 원만한 대인관계 9 2.6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전문성(전공자) 63 18.4 프로그램 운영자(담당자)의 전문성(자걱증 소지) 52 15.2 기타 1 0.3 합 계 343 100.0&lt;표 3-54&gt;프로그램 제공자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 (단위 :  명,  %) □  장애아동 보호자들은

참조

관련 문서

○ 산림산업 클러스터 시행 주체는 단편적인 사업 효과만을 고려할 수밖 에 없으므로 별도의 경영체 육성을 통해 지역 임업 활성화를 위한 클 러스터 사업 효과를 극대화

하수 처리수 재이용 시설은 법적 기준값 이내로 처리하기 위해 수질 관리 자동화 시스템 이 구축되어야 하며, 빗물 재이용 시설은 지붕면 빗물 집수, 도로면 집수 및 이용 시설

[r]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컨설턴트,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재활의학과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컨설턴트,

지역 기반의 산학연계 및 공동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학사구조 개편. 산ᆞ학 연계 기반의 졸업생 연구역량의 담보와

각종 간담회 비용의 지출 및 예산 편성을 지양하고 대학원 운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홍보비용 또는 대학원생들의 각종 행사지원,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 스포츠시설 투자로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가 이루어 지면 지역 내 타산업 발전을 촉진 하여 세수 증대에

 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Regional Internet Service Provider).  지역 ISP 또는 하나 이상의 NSP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