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1 강 미분방정식의 정의와 구성제 1 강 미분방정식의 정의와 구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1 강 미분방정식의 정의와 구성제 1 강 미분방정식의 정의와 구성"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 20

제 1 강

미분방정식의 정의와 구성

(2)

두 가지 변수 x 와 y가 있을 때, 변수 x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의 값 [치(値)]을 차례로 취할 때 거기에 대응(對應)하고 있는 일정한 규칙으로 변수 y가 변화하는 경우  y를 x의 함수라고 함

일반적으로  y=f(x)로 표시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독립변수 x에 대한 종속변수의 값 y(x) (or f(x))를  y를 x의 함수라고 함 이때 y를 구성하는 종속변수로는 일반함수, y(x)=ax +bx+c, 삼각함수, 

y=asinbx, 지수함수,  y=ae bx , 로그함수, y=alnbx가 있음 (이후 y, f(x)를 함수) 

1. 함수 [凾數, Function]

함수의 정의 1

함수의 정의 2

(3)

3 / 21

문자를 포함한 등식(等式)에 있어서 그 문자에 대입하는 수나 함수의 범위가 지정되어 있는 등식(等式) 

2. 방정식 [方程式, Equation]

방정식의 정의 1

등식(等式, Equal)을 중앙기점으로 좌변과 우변으로 구성된 함수. 

즉,  y(x)=ax +bx+c,  y=asinbx + ce dx 등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방정식의 정의 2

(4)

미지 함수(未知 凾數)의 도함수(導凾數)를 포함한 방정식

3. 미분방정식 [微分方程式, Differential equation]

미분방정식의 정의 1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미분방정식의 정의 2

미분(微分, Differential)과 방정식(方程式, equation)의 합성어로서, 미분된 도함수가 포함되어 구성된 방정식 

y

+ay=r(x), u xx +u yy =0 등

(5)

5 / 21

어떤 함수의 미분계수를 구하는 셈법(differential calculus) 

함수 y=f(x)에 있어서, x가 아주 적게 h만큼 변화했을 때, f

(x)h를 y 의 미분이라 이르며, dy라 적음, 다만 f

(x)는 f(x)의 도함수임(differentials) 

x

D

- D +

® D 

)  (  )  lim  ( 

dx 

dy 

4. 미분( 微分, Differential) I

미분의 정의 1

독립변수 x의 아주 적은 변화 (

Δ

x

0)에 대한 함수 y(x) (or f(x)) 의

변화율. 즉,  를 말하며,  이를 y

(x) 또는 라 한다. 

(Δx→0를 dx, Δy→0를 dy)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미분의 정의 2

(6)

y=f(x)의 함수로 표현될 때, 변수 x의 변화(Δx= x ­x)에 대한

함수  y(Δy=y (xi) ­y (x) )의 변화의 비(ratio)를 y

또는 라 하며, 이를 도함수  (導函數, differentials)라 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기학학적 의미로 고찰하면, 변수 x의 변화에 대한 y 함수값의 변화율(비)  임으로 기하학적 의미로는 x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라 하며,  가 된다. 

dx 

dy 

i

D - D

= +

-

= - D

= D

=

® D

®

® D 

)  (  ) 

lim  ( 

)  (  ) 

lim  (  lim 

dx  dy

a

  )  tan 

(  )  lim  ( 

'  0 =

D - D

= +

®

Δy  Δx 

x  x 

y(x)  y(x 

),y(x+ Δ x) 

Tangent  (접선) 

(Δx →0, Δy → 0)  y=ax 

(a>0) 

5. 미분( 微分, Differential) II

도함수(導函數, differentials)

(7)

7 / 21 

0  0  lim  0 

0  , 

0  : 

0  ' 

0

= =

D

= D

= -

= D

= D

=

®

=

®

(c:상수, constant ) 

nx 

y

- D

+

= D

® D

=

®

=

)  ( 

,  0  : 

nx 

nx 

n

D + +

D

× +

D

×

=

- D

+ +

D

× +

D

× +

D

× +

=

- -

-

- -

- -

- -

L

2  2 

!  2 

)  1  (  1 

3  3 

!  3 

)  2  )( 

1  (  2  2 

!  2 

)  1  ( 

1  1 

!  2 

)  1  (  1 

)  lim  ( 

'

-

- -

- -

®

D

=

D

D

× D

+ +

D

×

+

nx 

nx  L

6. 미분( 微分, Differential) III

미분의 적용 예

(8)

bx  bx 

bx 

(  )' 

ln ® = ×

bx 

ab =

bx 

bx 

bx 

ae 

y =  ® = × (  )'  × =  ab ×

bx 

sin( 

)  sin( 

sin  ) 

sin( 

,  0  : 

cos  ' 

sin 

y

- +

D +

= -

D +

= D

® D

=

®

=

; 결합 법칙 

cos( 

)  sin( 

2  )  cos( 

)  sin( 

+ D -

×

+ D +

=

D

× x +

D

2  2 

0  2 

2  0 

)  cos( 

)  sin( 

)  lim  cos( 

)  sin( 

lim 

x

D

D D

® D D

D

® D

+

= × D

+

× 

sin(  )  cos  lim 

cos 

2  2 

2

=

×

=

D

D

D ®

0

1

; ­sin x = sin (­x) 

6. 미분( 微分, Differential) III

미분의 적용 예

(9)

9 / 21

둘이상의 변수 x, y, z, …의 함수 f(x, y, z, 

)가 있을 때 x만이 변하고 y, z, 

는 변하지 않는다고 하고, 그 변수로 미분하는 일

편도 함수(偏導函數) 

dx 

dx 

df 

2

+ 2  +

=

=  =  x + 2  +

)  ,  , 

f + +

dy  dx 

dy 

df  dx 

xy

df 

= ×

×

2  2 

)  2 

2  (  ) 

dy 

dy 

dx 

d

+ +

=

+

= +

÷ ÷ ø ö ç ç

è

æ + +

=

7. 편미분(偏微分, Partial Differential)

편미분의 정의 1

종속변수가 두개 이상변수 (x, y, z, …)의 함수로 구성된 함수 f(x, y, z,

) 일 때, 임의의 변수에 대한 미분을 편미분, 이들 함수를 편도함수라 한다. 

즉,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편미분의 정의 1

(10)

cu  cu )'  = 

'  ' 

)' 

u = +

'  ' 

)' 

uv × + ×

'  )'  ' 

u × - ×

dx  du  du 

dy  dx 

dy = ×

(c : 상수, constant)

(chain rule)

8. 도함수의 기본 공식

(11)

11 / 21 

)  (  ) 

미분

적분

9. 적분 [積分, Integral] I

적분의 정의 1 

(국어대사전,  한국어사전편찬회 편)  함수를 나타내는 곡선과  x 좌표축 위의 일정한 구간으로 싸인 면적을, 

어떤 극한치로 구한 것

변수의 변화에 대한 함수의 변화값의 전체 합, 즉 변수의 적은 변화량에 함수 변화량을 곱한 전체 변화량

미분된 함수 도함수의 미분 전 원래의 함수로 의 변환을 적분이라고 함

적분의 정의 2

(12)

dx 

n

n å × D = ò × = +

¥ =

®  '  (  )  '  (  )  (  ) 

lim 

(c: 적분상수, integral constant)

ò å

¥ =

®

n

lim  ⇒ Integrate / Integral  dx 

® 0 :  D

9. 적분 [積分, Integral] I

적분의 기호

(13)

13 / 21

정적분 (定積分,  Definite integral) 

적분구간이 정하여진, 적분 값이 하나인 적분. 즉, 

이외 정적분에는 의 면적분,  의 부피적분이 있다. 

xdx 

sin = [  - cos  ]  = - cos  + cos 

ò

òò òòò

10. 적분 [積分, Integral] II

적분의 종류

부정적분 (不定積分,  Indefinite integral) 

적분의 구간이 정해지지 않은 적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적분상수,  c를 포함하는 적분. 즉, 

ò  xdx = 1 +

(14)

선적분 (線積分, Line integral) 

적분의 구간이 곡선, c (curve)로 구성된 적분을 선적분이라 함 선적분은 적분구간이 있음으로 일종의 정적분임

선적분의 적용은 복소적분과 벡터적분이 있음. 즉, 

변수 이 하나의 변수가 아닌 x, y / x, y, z에 의한

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적분됨으로 선적분이라 함

ò dz ò  dr 

r  , 

)  ,  ,  (  ),  , 

r

적분의 종류

10. 적분 [積分, Integral] II

(15)

15 / 21

미분과 적분은 상호 분리된 수식이 아니므로, 미분과 적분의 기본공식을 함께 생각하여 암기

ò

ò uv  dx  uv  - vdx 

)  1 

1  ( 

1

+ ¹ -

= +

+

ò  dx 

x dx  = +

ò  ln 

dx 

ax = ax  +

ò 

xdx = - +

ò  sin  cos 

11. 적분 [積分, Integral] III

적분의 기본 공식(예)

(16)

dx  dy 

cy 

y '  +  = 0  ,  '  =

12. 미분방정식의 명칭

미분방정식

미분 함수로 구성된 방정식을 미분 방정식이라 함

미분방정식은 구성형태에 따라 미분방정식은 분류, 명명됨

상 미분방정식 (Ordinary D. E.) / 편 미분방정식 (Partial D. E.)

상 미분방정식은 독립변수가 하나로 구성된 미분방정식

편 미분방정식은 독립변수가 둘 이상이며, 각 독립변수에 대한 편미분을 포함하는 미분방정식 

u +  = 0 ,  = -

(17)

17 / 21

선형 미분방정식

함수 y(x) 및 그 도함수 y (n) 들이

와 같이 각각의 항들의 1차 거듭제곱으로 구성된 방정식 

로 변환됨] 

xy 

xdy  dx 

y -  )  + 4  = 0  ,  '  '  - 2  '  + = 0  ,  '  '  '  + 3  '  - 5  =

ax 

ay 

+ = x + = + =

-  )  '  ,  '  '  cos  0  ,  '  '  ' 

)  (  ) 

(  ) 

(  ) 

(  ) 

n

+

- -

+ + + =

xdy  dx 

-  )  + 4  = 0  ® 4 

dy dx 

+ = ( 

12. 미분방정식의 명칭

선형 (Linear) / 비선형 미분방정식 (Non linear D. E.)

비선형 미분방정식

선형성(linearity)이 없는 미분방정식. 즉, 선형 미분방정식이 아닌 함수로서, 도 함수의 1차 거듭제곱이 아니거나, 계수 a(x)가 변수 x의 함수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의 함수

(18)

상미분방정식에 나타나는 가장 높은 도함수를 그 방정식의 계수라 함 의 경우,  n계 미분방정식이라 함 

0  )  (

)  (  ) 

(  ) 

(  ) 

(  ) 

n

+

- -

+ L  + + =

0  )  ( ¹ 

→ 제차 미분방정식

→ 비제차 미분방정식 

)  (  ) 

(  ) 

(  ) 

(  ) 

n

+

- -

+ L + + =

12. 미분방정식의 명칭

제차(Homogeneous) / 비제차 (Non-homogeneous D. E.)

계수 (Order)

(19)

19 / 21 

cx 

xy 

y '  )  -  '  + 2  = ( 

0  ' 

' + y  =

)  (  ) 

(  ) 

(  ) 

(  ) 

n

+

- -

+ L + + = 차수(Degree)

12. 미분방정식의 명칭

가장 높은 도함수가 몇 차인지를 그 미분방정식의 차수라 함

① 

n계 1차 미분방정식

② , 2계 1차 미분방정식

③  , 1계 2차 미분방정식

(20)

13. 해(Solution)

일반해 (General solution)

적분상수, c 가 임의의 상수로 포함된 해

특별해 (Particular solution)

조건이 부여되어 적분상수가 임의상수가 아닌 특정한 값을 갖는 해 조건

초기값 조건(initial value condition)  경계값 조건(boundary condition) 

특이해 (Singular solution)

일반해로부터 얻을 수 없는 추가적인 해

(21)

21 / 21

14. Summary 

)  (  ) 

(  ) 

(  ) 

(  ) 

n + - - + L + + =

i) Full name

: 선형 비제차 n 계 1차 상미분 방정식

(Ordinary linear non homogeneous n order first degree D. E.) 

ii)  해 :      : 제차 미방의 n 개 해 (y 1 , y 2 , y 3 …, y n )로 구성된 

(

y = + + L  +

의 일반해 (c 

1 , c 2 , 

…, c n :상수) 

0  )  ( ¹ 

: 제차 미방의 n 개 해 y n 와 r(x)에 대한 y p 로 구성된 일반해

특별해  : 초기값조건 또는 경계값 조건이 있는 해

참조

관련 문서

그러나 모든 문화는 너무 자연스러워 마치 자연인 것처럼 생각됨.. 문화의

•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프로젝트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제 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프로젝트의 목적 달성을 위한 각 단계별 산출물을 분석하여 작업의

이러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액면가가

Mànmān xué, zhǐyào duō kàn duō xiě, jiù yídìng néng xué

wǒ shì Fǎguó rén, jīnnián èr shí wǔ suì.. Ānní shì Měiguó rén, Jiéfū

nǐ zěnme bìng le ? Wǒ bú tài xíguàn zhèr de tiānqì, suǒyǐ gǎnmào le. Xiànzài shēntǐ zěnmeyàng ?

식당은 기숙사 옆에

최고경영자는 조직 구성원들에게 복종을 요구할 수 있고 보상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자원과 저보에 대한 통제력을 소유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