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8년 고시 한국사 교육과정 ‘다문화 사회’ 학습 요소의 교과서 구현 양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8년 고시 한국사 교육과정 ‘다문화 사회’ 학습 요소의 교과서 구현 양상"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약_본 논문은 2018년에 고시된 교육과정에 따라 발행되어 2020년 3월부터 학교 현 장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다문화 사회’ 학습 요소의 서 술 내용과 자료의 구성 방식을 검토하고 한국사 과목에서의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 방안 을 모색하였다. 2018년에 2015 교육과정이 수정되고, 다문화 사회가 한국사 교과의 학 습 요소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역사적 맥락이 없으며, 이주민과 다문화 가정은 주체적인 활동 능력이 없는 보호 대상으로 그려져 있다. 자료 제시와 학습 내용의 평가 측면에서도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사에서 효과적인 다문화 교 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여러 단원에 걸쳐 다양한 주체의 활동과 대외교류 에 대한 서술이 확충되어야 한다. 한국 사회에 뿌리깊게 자리한 순혈주의에 저항하여 이 주민들이 동등한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고자 활동한 사례도 포함시켜야 한다. 다문화 학생은 민족적·인종적·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나름의 역사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 을 감안하고,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과 그들의 역사 인식이 가진 특징을 재고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주요어_ 다문화 교육, 시민 교육, 역사 교육, 한국사 교과서, 2015 교육과정

2018년 고시 한국사 교육과정 ‘다문화 사회’ 학습 요소의 교과서 구현 양상

최현우*

* 동명여자고등학교, 한국사 및 역사교육, 교사, yong798@daum.net

(2)

1. 서언

국제결혼 가정 자녀와 외국인 가정 자녀를 합한 초중등학교 다문화 학생 수의 증가는 현재 진행형이다. 교육 통계에서 다문화 학생 수를 통계에 넣기 시작한 2012년 약 4만 7천 명이었던 다문화 학생의 규모는 2020년에는 15만 명에 육박 하는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2020년 4월 현재 우리나라 초중등학생의 약 2.5퍼센 트, 즉 100명당 2~3명은 다문화 학생일 정도이다.1 2019년 다문화 가정의 출생 아가 전체 출생아(30만 2676명)의 약 6퍼센트(1만 7939명)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향후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 학생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역별로 다문화 학생의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가 급속하게 다문 화 사회로 변모하는 현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다문화 교육은 민주적 가치를 사회 구성원 전체에게 확장하는 교육이라는 점 에서 세계화 시대의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주제로 자리잡았다(법무부 2008).

1990년대부터 우리 학계에서 다문화 교육 연구가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이와 관 련하여 수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 모색,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단원 및 내용 구성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후자는 주로 사회 과목을 중 심으로 국어, 음악, 미술, 기술·가정 등 다양한 과목에 걸쳐 있다(구정화 2011;

김경민 2020; 김혜영 2012; 박남수 2008; 박철희 2009; 설규주 2018; 조대훈 2014; 조태현·김경식 2009).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교 과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내용이 연구의 핵심 을 이룬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전 교과에 걸쳐 있지만, 역사 교육과 결부된 연구는 많지 않다. 국민적 통합과 정체성 형성을 위해 ‘단일 민족’을 내세운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 체제에 다문화 교육이 들어설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2 하지만 역사 수업안 제작을 통한 노력은 꾸준히 이루어졌다

1 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 참조.

2 자국사 교육은 국민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를 통합·안정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사회 주도층의 이념과 가치관이 반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6·25 전쟁 이후 오랫동안 독재체제가 지속된 우리나라에

(3)

(곽병현·김은석 2020; 여혜경 2012; 허영훈 2020). 최근에는 초등학교 사회(역 사)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졌다(윤재운 2018).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역사) 교과서에 다문화 관련 내용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히고 지역사, 생활사 중심의 교과서 서술을 통해 다문화 관련 내용을 보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현행 초등학교 역사 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공백 상태를 실증하고, 역사 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의 다문화 서술 실태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때 역사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2018년 고시 한국사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2020년 3월부터 학생들이 배 우고 있는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처음으로 한국사의 범주에서 다문화 사회를 정식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사 서술의 폭을 확장했다는 점 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행 8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해 당 부분을 분석하여 역사 교육에서의 의미와 한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한국사 교과서의 뿌리로 작용한 2015 교육과정의 한국사 체제를 검토 하여 교과서 구성이 변화된 배경을 검토하겠다. 이들 논의를 통해 한국사 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접점을 찾고자 한다.

한국사 과목에 나타난 다문화 서술의 현황을 고찰하고,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은 세계화 시대 민주시민교육에서 한국사 교육의 방향을 재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2. 2015 교육과정 한국사에 대한 내용 체계 수정

교육부는 2018년 7월 27일 고시(제2018-162호)를 통해 2015 교육과정의 한 국사 체계를 근현대사 중심으로 개편하였다. 이에 따라 <표 1>과 <표 2>와 같이

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한민족’이 힘을 모아 국난을 극복하고 나라의 안정을 위해 단합하 는 한국사의 서사 구조는 독재정권에 순응하는 국민 양성의 밑바탕으로 작용하였다(김한종 2013).

(4)

7개의 대주제 중에서 4개를 차지하고 있던 전근대사는 4개의 대주제 중 1개로 축소되었다.

근현대사 중심의 체계 개편과 더불어 한국사 과목의 성격과 목표에도 일정한 변화가 나타났다. 2015 교육과정이 등장할 당시에는 한국사의 주체를 다음 인용 문과 같이 ‘우리 민족’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사 교과의 주요 목적은 ‘한국인

표 1. 2015년 교육과정 출범 당시 한국사 과목 내용 체계

대주제 소주제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 역사의 의미와 역사 학습의 목적

○ 만주와 한반도 지역의 선사 문화

○ 고조선의 발전과 여러 나라의 성장

고대 국가의 발전

○ 삼국의 성장과 가야

○ 삼국 간의 경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의 문화와 대외 교류

고려의 성립과 발전

○ 고려의 성립과 통치 체제의 정비

○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의 노력

○ 고려 문화와 대외 교류

조선의 성립과 발전

○ 조선의 통치 체제 정비

○ 왜란과 호란

○ 정치 운영의 변화와 사회·경제적 변동

○ 사상과 문화의 변화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 개항과 개화 정책의 실시

○ 근대 국가 수립 노력

○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 독도와 간도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 191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와 3·1 운동

○ 192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와 국내외 민족 운동

○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식민 통치와 국내외 민족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 대한민국 수립과 6·25 전쟁

○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 북한의 변화와 남북 간의 평화 통일 노력

○ 현대 세계의 변화

자료: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141-142.

(5)

의 삶에 대한 이해’로 규정되었다.

1. 성격

‘한국사’는 우리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이해하여 역사적으로 사고하 고 현대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우리 민족이 역사 속에서 발휘해 온 역량을 주체적이고 비판적으로 이해하여 21세기 우리 역사를 표 2. 2018년에 수정된 한국사 과목 내용 체계

대주제 소주제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 고려의 사회와 사상

○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 수호 운동

○ 개항 이후 경제적 변화

○ 개항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 사회·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

○ 광복을 위한 노력

대한민국의 발전

○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6·25 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

○ 4·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변화

○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자료: 교육부, 2018,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7], 144.

(6)

능동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자질을 기르도록 한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정체성을 가진 세계인으로 성 장하게 한다. 아울러 주체적인 한국인으로서 세계화에 부응하여 인류 역사 전 개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게 한다.

…(중략)…

2. 목표

‘한국사’는 우리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다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가 세계사의 발전 과정 속에서 형성된 역사의 산물임을 파악하고, 현재 한국인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한국사의 흐름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 하여 현재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한국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중학교에서 학습한 역사적 지식을 바탕으로 정치사를 중심으로 경제·사 회·문화사를 아우르면서 한국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인식한다.

나. 오늘날의 우리 삶이 역사의 산물임을 이해하고 한국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현대 사회를 역사적으로 인식한다.

다. 우리 민족이 외부 세계와 교류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적 성격 을 가짐과 동시에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음을 인식한다.

라. 한국사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종합적인 탐구 활동을 통해 역 사적 사고력을 키운다.

마. 우리가 역사의 주체임을 인식하여 현대 사회의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 는 태도를 기른다.3

※ 강조 및 밑줄은 필자(이하 동일).

하지만 2018년 7월의 교육과정 수정에서는 다음 인용문과 같이 한국사의 주체

3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140-141.

(7)

를 ‘우리’로 설정하여 ‘민족’이 사라졌다. 또한 ‘나와 타인의 삶에 대한 성찰 능력 함양’이 포함되었다. 한국사의 목적에서는 ‘현대 한국 사회의 이해’와 ‘민주 시민 의 역량 육성’이 추가되었다.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나와 다른 삶의 방식을 존 중한다’는 마 항목은 한국사 목표 개정의 함의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1. 성격

‘한국사’는 우리나라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역사적으로 사고하고, 현 재 우리의 모습을 과거와 연관 지어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삶과 현대 사회에 대 한 심층적 이해와 통찰력을 키우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역사 학습을 바탕으로 전근대 한국사의 특징적인 당대 시대상을 파악하여 전통 사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에 대한 역사적 연원과 문제해결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둔다.

‘한국사’를 통해 학습자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나와 타인의 삶에 대한 성찰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중략)…

2. 목표

‘한국사’는 중학교의 역사 학습을 바탕으로, 한국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 화된 이해를 지향한다. 한국의 전근대 시기 특징적 시대상을 파악하고, 근현대 사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인의 삶과 현대 한국 사회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 고력과 합리적 판단력을 키우며, 학습자 스스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 를 이해함으로써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 르도록 한다. ‘한국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전근대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종합적·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자기 정체성과 전통을 이해하는 토대로 삼는다.

나.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통해 현대 한국 사회가 지닌 역사적 문제에 대해 통찰하는 능력을 기른다.

(8)

다. 다양한 역사 자료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 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른다.

라. 현대 한국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의 역사적 연원과 세계와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 학습자 수준에서 실현 가능한 문제 해결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한다.

마.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나와 다른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역사적 주체로서 현대 한국 사회의 발전에 참여하는 자질과 태도를 기른다.

정리하자면 현행 한국사의 목표는 한국인의 삶과 현대 한국 사회를 심층적으 로 이해하는 동시에 다양한 역사 주체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민주 시민 양성에 있 는 것이다.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는 차원에서 역사 교육은 시민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Leahey 2014). 하지만 종래 한 국사 교육과정은 ‘민족’의 틀에 종속되어 있었기에 시민 교육에서 한국사 과목의 역할에 대한 의구심은 지속되었다.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동북공정’이 우리 사회의 이슈로 떠오른 이후 포스트모던 계열의 역사학자를 중심으로 당시 국정으로 발행되던 국사 교과서의 민족 중심 서술을 비판한 이후 이른바 국사 해 체 논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최용 2011). 이러한 상황에서 ‘국사’ 교과서는 ‘한 국사’로 명칭이 바뀌었고,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에 관한 논의도 지속되었다. 하 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여전히 2015 교육과정까지 ‘민족’은 한국사의 주체로 이어졌다. ‘민족’의 정체성 형성과 유지는 광복이후 반세기 넘는 시간동안 한국사 교육의 핵심적인 목표였던 것이다. 따라서 2018년 교육과정 수정을 통해 한국사 의 성격과 목표 규정에서 ‘민족’을 삭제한 것은 획기적인 변화이다. 이는 한국사 의 주체와 학습 대상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 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018년 교육과정 수정을 통해 현대사의 사회·경제 부분에 ‘다문화 사회’가 학 습 요소로 추가된 사실은 이를 방증한다. 해당 부분의 수정 전과 후의 학습 요소 는 <표 3>을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는 2018년의 교육과정 수정을 통해 한국사 과목에 처음 들어온 학 습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성취 기준은 물론 교수·학습 유의 사항도 발

(9)

견되지 않는다. <표 4>에 보이듯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일반화된 지식의 핵심 내용 을 ‘새로운 문물 수용과 경제 체제의 변동’이라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표 4>의 내용이 보여주듯 고등학교 한국사의 다문화 사회는 초등학교, 중학 표 3. 2015 교육과정 한국사 현대사 부분의 사회·경제 소주제 학습 요소

학습 요소

수정 전

소주제 명칭: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원조 경제, 삼백 산업,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출 제일주의 정책, 중화학 공업화 정책, 중동 건설, 3저 호황, 신자유주의 정책, OECD 가입, 외환 위기 극복, 새마을 운동, 전태일 분신 사 건, 도시화, 사회 양극화, 대중문화

수정 후

소주제 명칭: 경제 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중화학 공업화, 정경 유착, 노동 운동, 도시화, 대중문화 소주제 명칭: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변화

세계화, 외환위기, 사회 양극화, 다문화 사회

자료: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151; 교육부 2018,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별 책7], 152.

표 4. 초·중·고등학교 한국사 학교급별 내용 체계(일부)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3-4학년 5-6학년 1-3학년 1-3학년

생활 문화

새로운 문물 수용과 경제 체제의 변동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 변화를 초래하였다.

•자본주의와 사회 변화

-개항, 식민지 경 제, 국가 주도 경제 성장, 신자유주의, 노동 운동, 대중문

•개항 이후 사회·문화 적 변화

-근대 문물의 수용, 근대 의식의 확대, 해외 이주

•경제 성장과 사회·문 화의 변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중화학 공업화, 정경 유 착, 노동 운동, 도시화, 대 중문화

•외환위기와 사회·경제 적 변화

-세계화, 외환위기, 사회 양극화, 다문화 사회

자료: 교육부, 2018,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7], 294-295.

(10)

교의 한국사 학습과 연계없이 처음으로 다루는 학습 요소이다. 따라서 교과서의 서술과 내용 구성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별다른 성취 기준과 교수·학습 유의 사항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교과서 서술은 물론 단원 구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으로 한국사에 서 처음 서술하는 학습 요소이기에 공통적인 문제점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3 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여 이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가기로 하겠다.

3. ‘다문화 사회’ 학습 요소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분석과 개선 방안

2015 개정 교육과정 아래에서 검인정을 통과하여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 는 한국사 교과서는 모두 8종으로, 해당 출판사는 금성출판사(이하 금성)·동아 출판(이하 동아)·미래엔·비상교육(이하 비상)·씨마스·지학사·천재교육(이하 천재)·해냄에듀(이하 해냄)이다(가나다 순, 이하 동일). 이 장에서는 우선 각 교 과서가 다문화 사회 서술에 할당한 분량 및 자료 · 탐구 활동 제시 등과 같은 구 성상의 특징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역사 교 육적 의미와 한계를 논의한다. 다문화 서술에 관한 각 교과서의 분량과 구성상의 특징은 <표 5>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5>와 같이 8종 한국사 교과서에서 다문화 사회가 차지하는 양적 비중은 평 균적으로 1쪽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문 서술로만 따지면 그 비중은 더 적은 편이 다. 교과서 구성의 자료는 크게 사진, 도표, 읽기 자료, 탐구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다수 교과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사진으로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여성과 그 자녀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그림 1>은 이러한 사진의 대표적 인 사례이다.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인 여성의 국내 이주가 다문화 사회의 주요 요인이란 사

(11)

실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다문화 사회를 대변하는 이미 지로 국제결혼을 통해 국내에 이주한 여성의 사진을 내세우는 것은 문제가 있다.

대다수의 학생은 교과서 본문에 기술된 내용못지 않게 사진을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한 역사상을 형성한다(김태웅 2011; Sayer 2009). 따라서 다문화 사회의 형성 과 관련된 일부 집단의 사진만을 교과서에 게재하는 것은 다문화 사회에 대한 편 표 5.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다문화 사회 서술 분량과 구성

출판사 분량(쪽) 특징

금성 1.5

다문화 가족을 보여주는 사진.

국내에 거주 중인 외국인의 수에 관한 도표.

안산에 다문화 마을 특구가 지정되었다는 내용의 읽기 자료.

다문화 사회의 갈등 해결 방안을 주제로 한 공익 광고를 제작하는 탐구 활동.

동아 2

외국인 주민 수와 비중, 다문화 혼인 추이, 국내 유입 북한 이탈 주민 추이, 다문화 학생 수의 변화에 관한 다양한 도표.

다문화 사회 지원 법률에 관한 읽기 자료.

서울, 인천, 안산, 부산의 외국인 집단 거주지를 소개한 지도.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변화와 그에 따른 자기주도적 활동에 관한 탐구 활동.

미래엔 1/2 다문화 축제를 보여주는 사진.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에 대한 인식 변화를 주제로 한 공익 광고와 읽기 자료.

비상 1.5

다문화 홍보, 의료 지원, 체험 활동을 보여주는 사진.

안산 원곡동 일대가 다문화 특구로 지정된 사실을 소개하는 읽기 자료.

캐나다가 세계 최초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도입했다는 내용을 다룬 읽기 자료.

영화 ‘방가?방가!’와 ‘완득이’의 내용을 통해 다문화 사회의 여러 모습을 설명한 읽 기 자료.

씨마스 1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지구촌 사회를 보여주는 사진.

이태원을 소개하는 읽기 자료.

지학사 1.5

인종과 피부색에 대한 편견의 부당성을 강조하는 공익 광고와 읽기 자료.

‘기록으로 만나는 다문화인’이란 제목의 1쪽 분량 특집 코너를 통해 역사적으로 외 국인이 귀화한 사례와 외국과의 교류를 설명하는 읽기 자료.

천재 1/2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보여주는 사진.

하나원에서 운동하는 학생을 보여주는 사진.

외국인 주민 수 및 총인구 대비 비율에 관한 도표.

해냄 2/3

도서관의 다문화 코너를 보여주는 사진.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에 관한 도표.

외국인 이주민 축제 한마당을 소개하는 읽기 자료.

(12)

향된 역사상을 학생들에게 심어줄 가능성이 크다. 제조업 및 건축업 분야의 노동 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외국인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여 러 산업 현장에서 활동하는 이주민의 모습은 그들 또한 한국 사회의 동등한 구성 원이라는 이미지를 부각한다. 이는 다문화 사회의 형성 요인과 영향에 대한 학생 들의 다각적인 인식에 기여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각 방면에서 활동하는 이주 민의 모습이 교과서의 사진 자료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와 다문화 학생 수 등에 관한 도표는 통계적 차원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진전을 한눈에 보여주는 유용한 자료이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의 활동과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내 거주 외국인 중 한국 국적 취득자의 비율, 각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외국인의 비율 등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일부 학생들은 한국인으로 귀화하지 않은 외국인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라 생각하지 않는다(최현우 2016). 따라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한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법적인 한국인으 로서 의무를 다하고 권리를 행사하는 이주민이 차지하는 비중과 그들의 활동에 관한 통계 자료는 해당 주제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 통계를 우리나라의 고학력화와 근로 인구 감소에 관한 통계와 함께 제시하여 외국인 노 동자의 유입을 설명한다면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설명하는 자료로 통계의 역

그림 1. 한국사 교과서에서 다문화 사회를 소개하는 사진의 사례

자료: (왼쪽) 최준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300; (오른쪽) 도면회 외, 2020, 고등학교 한 국사, 비상, 294.

(13)

할이 강화될 것이다.

8종 교과서 중 다문화 사회 단원에서 별도의 읽기 자료를 제시한 교과서는 총 6종에 달한다(금성, 지학사, 미래엔, 비상, 씨마스, 해냄). 이 중에서 금성, 비상은 안산을, 씨마스는 서울의 이태원과 같이 이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을 관련 사진과 함께 소개하였다. 그 내용을 인용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안산은 1990년대 이후 외국인 노동자 수가 크게 늘었다. 2009년에는 다문화 마 을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을 기준으로 70여 개국의 외국인 7만 명이 거 주하는 작은 지구촌이 되었다(최준채 외 2020: 300).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 거주 지역인 안산시는 원곡동 일대를 다문화 특 구로 지정하는 한편, 세계 문화 체험관 운영과 다문화 축제 개최 등 내·외국인 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도면회 외 2020: 294).

이태원은 조선 시대 관리와 여행객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원(院)이 설치되면서 형성된 마을 이름이다. 이 마을은 1906년 일본군이 용산에 병영을 건설하면서 원래 있던 자리에서 지금의 이태원으로 밀려났다. 용산 기지와 각국 대사관 관 계자들이 모여 살던 이태원은 1980년대 들어 국제 회의와 올림픽 등 스포츠 행 사를 치르며 보세품이 유명한 쇼핑 거리로 외국에까지 알려졌다. “서울은 몰라 도 이태원은 알고 있다.”는 외국인이 생겨날 정도였다.

1990년대 들어 주한 미군이 감축되고 주거를 용산 기지로 옮기는 미군이 늘어 갔다. 이들을 대신해 파키스탄 사람을 비롯한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정착하였 다. 이태원에 정착한 이주 노동자 대부분이 무슬림이었으므로, 그들은 1976년 에 세운 서울 이슬람 중앙 성원 일대에 거주하며 상권을 형성하였다. 나이지리 아와 가나를 비롯한 아프리카인도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나라 사람이 함께 거주하면서 다양한 생활 문화가 형성되었다.

여기에 여러 나라의 현지 음식을 맛보려는 사람의 출입이 점차 늘어나면서 최 근에는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달하였다(신주백 외 2020: 315).

(14)

이들 읽기 자료는 이미 국내에 거대한 규모로 이주민의 집단 거주지가 형성되 었다는 사실을 설명하며, 다문화가 우리나라에 자리잡은 현실을 보여준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3번째 자료와 달리 1, 2번째 자료에서는 해당 지역에 어떻게 이주민이 모여 살게 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설명이 부재한 실정이다. 한 국사 과목은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른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시민 양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한국사 과목이 ‘역사적 이해’를 통해 여타의 사회과목과 차별 화된다는 사실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 대한 역사성의 인식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한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서 이주민의 집단 거주지를 설명할 때에는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배경이 수반되 어야 한다.

2종(미래엔, 지학사)은 공익 광고의 사례를 제시하여 인종과 피부색에 따른 차 별 의식의 철폐를 강조하였다. 또한 ① 다문화에 관한 국내 법률을 소개한 사례 (동아), ② 다문화를 소재로 삼은 영화를 제시한 사례(비상), ③ 캐나다의 다문화 정책을 소개한 사례(비상), ④ 역사적 기록을 통해 귀화인의 존재와 교류사를 강 조한 사례(지학), ⑤ 이주민 축제가 갖는 의미를 다룬 사례(해냄)가 발견된다. 각 읽기 자료는 다양한 측면에서 다문화 사회의 이해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가 있다. 학생들이 이주민의 유입을 계기적으로 파악하고, 현대 다문화 사회 를 역사적으로 인식하는 기회를 마련해주기 위해서는 ④와 같은 사례에 주목하 고 이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사례의 전근대 부분을 인용하여 소개하면 <그 림 2>와 같다.

세계사와 비교하여 한국사의 다문화 사회를 고찰한다는 측면에서 ③의 사례도 참고할 만하다. 해당 읽기 자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캐나다의 다문화주의는 사회 현상일 뿐만 아니라 헌법과 법에 규정된 주요한 국가 정책 중 하나이다. 캐나다는 1971년에 세계 최초로 다문화주의를 국가 정 책으로 도입하고, 1988년에는 다문화주의법이 발효되었다. 캐나다도 20세기 전반까지는 과거 미국과 같이 이민자 그룹을 주류 문화에 동화시키려는 정책을 썼다. 최근에는 언어, 문화, 종교 등이 다른 이민자 그룹 고유의 민족 정체성과

(15)

다양성을 국가 정책으로 장려하고, 이들에게 평등한 권리와 기회를 법으로 보 장하면서 캐나다 사회로의 통합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 50여 년간 캐나다가 추 구해 온 다양성과 다문화주의는 한국 사회의 통합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거울로 삼아 본받을 만하다(도면회 외 2020: 294).

이 자료는 교과서 집필자가 저술한 것이 아니라 특정 신문의 기사를 그대로 인 용한 것이다. 그래서인지 캐나다에 이주민이 증가한 계기와 캐나다 정부가 다문 화주의를 국가 정책으로 내세운 된 배경에 대한 역사적 맥락은 물론 캐나다의 다 문화 정책이 이주민 문제로 갈등을 겪는 다른 국가의 사례와 비교했을 때 드러 나는 특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4 그렇지만 우리나라보다 이른 시기에 다문

4 캐나다 정부는 프랑스계·영국계의 갈등 해소와 급격히 진행되는 다문화·다민족화의 현실을 반영하 는 정치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1971년 세계 최초로 다문화주의를 국가의 공식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이 정책으로 정부는 캐나다의 인종적, 민족적 다원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과거의 동화정책을 포기하 였다. 다문화정책을 통해 정부는 모든 캐나다인들이 문화적 다원주의를 받아들이고 모든 캐나다인들 이 동등하게 캐나다 사회에 참여하도록 촉구하였다. 연방 의회는 1977년에 인권법(Canadian Human Rights Act)을 제정하여 인종, 성별, 연령, 출신 국가, 민족, 피부색, 종교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였다.

그림 2. 역사적 기록을 통해 한국사의 이주와 교류를 계기적으로 설명한 자료 자료: 송호정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293.

(16)

화 사회로 변모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한 역 사를 학습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 고 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를 함양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한 국사의 다문화 사회 학습에서 세계사의 관련 사례에 대한 교수·학습은 의미가 있다.

다문화 사회 단원에서 탐구 활동(문항)을 제시한 교과서는 금성, 동아 단 2종 에 불과하다. 금성의 경우 <그림 3>과 같이 다문화 사회의 갈등 해결에 관한 공 익 광고를 예시하고, 그에 대한 광고를 제작하는 형태의 탐구 활동을 제시하 였다.

동아는 ‘역사 탐구하기’라는 이름을 붙여 질문을 제시하였지만, 탐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지 않은 채 다음과 같이 2개의 활동을 제시하였다. ‘한국 사회가 다 문화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지 조사해 보자.’, ‘다문화 사

1982년에는 인권과 자유 헌장(The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을 제정하여, 제27장에 다문화주 의를 캐나다가 지향하는 가치라고 선언하였다. 이어서 1985년에는 다문화법(The Multicultural Act) 을 제정하여 영어와 불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존재를 인정하고, 모든 국민에게 자신의 문화적 유산을 지키고 고양할 수 있는 자유가 인정됨을 법제화하였다(법무부 2007: 55-56).

그림 3. 공익 광고를 제작하는 형태의 탐구 활동 자료: 최준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301.

(17)

회의 정착과 관련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동아의 경우 탐 구 활동 문항을 제시하긴 했지만, 활동에 필요한 자료조차 없는 상황에서 질문이 너무 막연하다. 동아는 8종 교과서 중에서 다문화 사회에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 하여 본문 서술과 별개로 1쪽 분량으로 ‘한국 속의 다문화’라는 특집 코너를 제시 하였다. <그림 4>와 같이 이 코너의 핵심 콘텐츠인 지도 자료는 한 눈에 다문화 의 중심지를 살펴보기에 유용하다. 해당 지역이 어떠한 역사적 배경으로 다문화 의 중심지로 변모했는지를 설명하는 내용을 추가하고, 지리적·역사적 맥락에서 다문화 중심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하는 활동을 제시한다면 자료와 문항의 긴밀한 조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금성의 사례도 학생마다 그림의 표현은 다르겠지만,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는

그림 4. 한국사 교과서(동아) 다문화 사회 단원의 특집 코너 사례(일부) 자료: 노대환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81.

(18)

상황에서 피부색, 인종에 따른 차별을 지양해야 한다는 동일한 메시지를 유도하 고 있을 뿐이다. 즉 기초 사실의 확인, 사실과 의견의 구분, 분석, 추론, 역사적 판 단 등으로 이어지는 단계적 활동을 통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 모하는 탐구 활동은 부재한 실정이다.5

탐구 활동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해당 주제의 의미 를 다시 숙고하는 효과를 준다. 탐구 활동의 형식이 아니더라도 형성평가, 총괄 평가와 같이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에서 본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수준의 평가 사례를 살펴보면 4종(금성, 비상, 씨마스, 지학)은 형성평가에서 다 문화 사회를 다루었다. <그림 5>, <그림 6>과 같이 금성과 씨마스는 각각 다문화 사회의 과제 및 문화 다양성 협약을 다루었다.

비상, 지학의 경우 ‘다문화 사회’를 정답으로 유도하는 문항으로 소단원(소주 제)의 제목을 서술하는 수준이다. 형성평가에서도 다문화 사회를 다루지 않고,

5 탐구 활동의 의미에 대해서는 김태웅 외, 2014, 우리 역사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 –국사자료 탐구활동 길잡이-, 아카넷, 8 참조.

그림 6. 다문화 사회에 관한 형성평가 사례(씨마스) 자료: 신주백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씨마스, 315.

그림 5. 다문화 사회에 관한 형성평가 사례(금성) 자료: 최준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300.

(19)

문항을 제시하더라도 단원명을 정답으로 제시하는 수준에 그친 것은 해당 주제 의 본문 서술이 미비한 까닭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2015 교육과정 한국사의 체제는 2018년 7월에 대폭 수정되어 전근대사가 하나의 대단원으로 압축되고 나머지는 근현대사로 구성되었다. 2019년부터 시작되는 교과서 검인정 일정에 맞추어 각 출판사는 불과 5개월 동안 교과서를 다시 편찬하는 작업에 돌입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완전히 새로 집필해야 하는 다문화 사회 부분은 이미 서술한 전근대사를 요약하는 작업에 비해 난항을 겪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일부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는 역사적인 맥락 을 제대로 기술하지 않은 한계점이 발견된다. 다문화 사회가 형성된 배경에 관한 교과서 서술을 정리하면 <표 6>과 같다.

먼저 다문화 사회의 형성 주체에 대한 서술을 살펴보면, 8종 교과서 중 4종(동 아, 미래엔, 지학사, 천재)이 외국인뿐만 아니라 탈북민(새터민)도 그 주체에 포 함한 사실이 발견된다. 하지만 이들 교과서도 다른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일자리, 결혼을 목적으로 국내에 이주한 외국인을 다문화 사회 단원의 핵심적인 주체로 서술하고 있다.

<표 6>에 나타난 각 교과서의 서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다문화 사회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은 매우 소략하거나, 역사적 맥락이 미비한 상황이다. 미래엔과 비상을 제외한 6종은 외국인의 국내 유입이 본격화된 시기를 1990년대라 밝혔

표 6. 다문화 사회 형성에 관한 교과서 기술

출판사 내용

금성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부가 세계화 전략을 내세 우면서 시장 개방과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졌 다. 이에 취업, 결혼, 유학, 사업 등의 이유로 왼쪽 자료와 같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 더욱이 출산율이 저하되면서 전체 인구 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이처 럼 오늘날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인종·언어·

문화적 배경이 다른 집단들이 하나의 공동체 안에 서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20)

동아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 사이의 교류와 접촉이 빈번해지면서 다 양한 인종·종교·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외국인 산업 연수생 제도 도입을 시작으로 외국인 노동자, 유학생, 상사 주재원 등 국내 거주 외국인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초 기에는 국내 산업 현장의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한 국에 입국하는 외국인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 중 일부는 집단 거주지를 형 성하기도 하였다.

외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국제결혼도 늘어나고 있다. 국제결혼은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이후에는 전체 결혼의 10%를 넘어서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다 문화 가정과 학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북한 이탈 주민도 늘어 나고 있다.

미래엔

한국 사회는 세계화와 다원화의 흐름 속에서 점차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국제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이 늘었으며, 외국인 노동자와 새터민, 중국 동포 등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사회 구 성원뿐만 아니라 인종과 종교, 문화도 다양해졌다.

비상

교통수단과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세계화는 서로 다른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 간의 이동 과 연결을 가속화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리나라도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이주민 등이 증가하면서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씨마스

인구 구성이 바뀌고 경제가 성장하며 좋은 일자리가 늘어난 반면, 저임금에 노동 조건이 열악한 산업 현장에 노동 인력이 부족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하였다. 정부는 1990년대 초반부 터 연수생 제도를 실시하여 외국인 노동자를 대거 받아들였다. 개방화 추세에 따라 한국에 체류 하는 외국인이 계속 늘어나 2016년 현재 2백만 명이 넘어서면서 전체 인구의 4% 가까이를 차 지하고 있다.

한국 체류 외국인은 조선족이 대부분인 중국인과 태국인, 베트남인이 많으며, 서울의 대림동이 나 이태원처럼 자신들만의 주거지나 문화 중심지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 농촌을 중 심으로 국제결혼이 확산되면서 다문화 가정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학사

1990년대 후반 30만여 명에 불과하였던 한국 체류 외국인 수가 2016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 섰다. 우리나라가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 들어와 일 하고 있다. 다인종·다국적 출신의 이주 노동자, 이주 여성, 북한 이탈 주민이 증가함에 따라 한 국은 이미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천재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촌 인구가 급격히 줄어 농촌의 남성들이 결혼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 아졌다. 이에 1990년대 말부터 외국인 여성과 결혼하는 사람이 늘아났다.

1990년대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를 목적으로 외국인 산업 연수생 제도를 도입한 이후 외국 출 신 이주 노동자가 늘어났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난을 견디다 못해 북한을 이탈해 남한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났 다.

해냄 1990년대 이후 세계화와 시장 개방으로 외국인 이주자가 증가하였다. 현재 다문화 가구는 31 만 가구(2017년 기준)가 넘을 정도로 다문화 인구의 비중은 점차 커지고 있다.

(21)

지만, 동아·씨마스·천재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은 그 역사적 계기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았다.

동아·씨마스·천재는 1990년대 산업 연수생 제도의 시행이 외국인 유입의 중 요한 배경이라 지적하였다. 이 제도는 다문화 사회 형성의 한 축을 이루는 계기 로 작용하기에 그 제도의 형성 과정과 변천은 상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당수 의 교과서는 국제결혼을 다문화 사회 형성의 주요 원인이라 서술하고 있으며, 일 부는 국제결혼이 본격화된 시기를 1990년대로 기술하였다. 국제결혼을 통해 국 내로 이주하는 외국인의 상당수는 한국 국적 취득을 통해 온전한 권리 주체로 살 아가며 다문화 가정을 형성한다. 한시적으로 국내에 들어와 생산 활동에 종사하 는 상당수의 외국인 근로자에 비해 국내에 정착하여 살아가는 비율이 월등히 높 다. 따라서 1990년대부터 국제결혼이 본격화되고, 현재까지도 전체 결혼 건수의 1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이어지고 있는 사실을 국내의 상황과 입법 등을 근거 로 들어 해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다문화 사회가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에 관한 서술을 검토하겠다. 각 교과서의 해당 서술은 <표 7>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7>의 내용이 보여주듯, 금성과 비상을 제외한 다수의 교과서는 다문화 사 회의 긍정적인 영향에 무관심하다. 또한 노동력 제공과 문화 다양성 증진이 긍정 적인 영향의 주요 내용으로 제시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소위 3D 업종이라 인식된 산업과 농업, 어업과 같이 외국인 노동자가 대거 투입되어 지탱한 분야에서 그들의 역할에 대한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이와 마

표 7. 다문화 사회의 영향에 관한 교과서 기술

출판사 내용

금성

다문화 사회가 미친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일까? 외국인 노동자와 국제 결혼 이주자는 노동력 부 족 문제를 해소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또한 각국의 음식, 음악, 전통 행사 등 다양한 문화 요 소가 유입되어 다른 문화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생활 양식·가치관·종교의 차이, 의사소통의 불편함 등으로 한국 사회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언어와 피부색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외국인과 내국인 간의 일자리 경쟁과 같은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22)

동아

정부는 사회 통합을 위한 다문화 정책으로 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2007), 다문화 가족 지원법 (2008)을 제정하여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다문화 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고 한국 사회의 일 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극심한 경제난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북한 이탈 주민도 늘어나 고 있다. 정부는 이들을 보호하고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 이탈 주민의 보 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북한 이탈 주민법 1999)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미래엔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들은 낯선 문화적 환경 속에서도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 나, 의사소통 문제나 사회적인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 부와 시민 사회는 법률을 마련하거나 사회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는 등 다양한 노 력을 기울이고 있다.

비상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한국 사회에는 다양한 변화들이 나타났다. 국제결혼 이민자들은 젊은 사람이 적은 농어촌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었고, 외국인 근로자들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 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문화 적 차이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여전히 남 아 있는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 때문에 고통받기도 한다.

씨마스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함께 어우러져 사는 공동체 의식이 더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정부는 2010년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실행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추진한 문화 다양성 협약 에 가입하였다.

지학사

학교에서는 다양한 문화의 공존과 차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다문화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정부와 시민 단체 주도로 다문화 가족 지원법이 제정되기도 하였다. 다문화 사회로 이행되는 과 정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긍정적인 방 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천재

다문화 가정이 급속히 늘어나자, 정부와 시민 단체는 언어 교육이나 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 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정부는 이주 노동자의 고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2004년 외국인 고용 허가제 등을 도입하였지 만, 임금 체불과 인권 차별 등과 같은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민 단체 등을 중심으 로 이주 노동자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늘어나고 있는 북한 이탈 주민의 정착을 돕기 위해 1997년 북한 이탈 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 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정부는 이에 근거해 북한 이탈 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업 훈련, 초기 정 착금 지원 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해냄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정식 취업 허가를 받지 못한 것을 빌미로 불법 체류자들에 대한 인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다양한 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증가하며 다문화 이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정착한 외국인 배우자들은 그들의 문화 배경을 존중받지 못한 채 차별과 편 견 속에 한국 사회에 동화되도록 요구받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시민 사회와 정부가 함께 다문화 사회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방 자치 단체들은 외국인 이주민들 이 지역민과 함께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도록 지원하고 있다.

(23)

찬가지로 문화의 다양성을 언급할 때도 다문화 축제의 사진 이외에 구체적인 근 거가 요구된다.

이주민의 활동과 역할에 대한 서술이 부재한 상황에서 그들의 고통과 그 해결 을 위한 지원 활동을 소개하는 구조가 해당 부분의 서술 경향이다. 시민 교육에 기여하는 한국사 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이 수정되고, 다문화 사회가 학습 요소로 편입되었지만, 여전히 한국사 교과서에서 이주민과 다문화 가정은 주체적인 활 동 능력이 없는 보호 대상으로 그려져 있다. 자국사는 국민을 통합하고 사회를 안정화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기에 현재의 주류 집단에 맞서 자신의 권리를 주 장했거나 주장하는 집단에 대한 서술에 소홀하거나 이를 배제시켜버리는 경우 가 많다(Ross and Vinson 2014; Thornton 2015). 보호가 필요한 수동적 존재로 이주민을 한정짓는 현행 한국사 교과서도 자국사 서술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 한 상태이다.

교육과정의 수정 취지에 따라 한국사 과목이 한민족의 정체성에 천착한 종래 의 성격에서 벗어나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과거부 터 현재까지 많은 외래 집단이 한국사에 편입된 사실을 밝히고 그 영향을 조명해 야 한다. 한국사가 ‘한민족’으로 상정되는 단일한 집단의 활동으로만 구성되어 있 다는 고정 관념을 버리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여러 단원에 걸쳐 다양한 주체의 활 동과 대외교류에 대한 서술이 확충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 아래에서 중앙 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과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가 기획한 “한국 사 속의 다문화”(2016)라는 저작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 시 기에 걸쳐 다양한 문화의 유입과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한국 사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러한 저작에 서도 여전히 1990년대 이후 국내에 자리잡은 이주민의 활동은 찾아보기 어렵다.

사회 구성원으로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헤게모니에 저항한 사례를 배우고, 그 함의를 통찰하는 것은 민주 시민 교육의 핵심에 해당한다. 이러한 맥 락에서 강한 순혈의식이 지배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피부색과 인종을 이유로 차별받는 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활동한 사 례는 다문화 사회 단원에 포함될 중요한 내용이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한국사

(24)

교과서에 서술된 다문화 사회를 배우는 다문화 가정 학생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 다. 이들이 동등한 한국 사회의 구성원이라 자각하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진 민 주 시민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도 이주민의 활동은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 비해 일찍 다문화 사회가 형성된 서구에서 진행된 역사 교육의 연 구 성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인종적, 민족적 배경은 역사적 자료와 역사 교과서 서술의 이해 양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VanSledright 1995; Levstik and Barton 1996). 또한 사회의 주류 집단과 다른 인종적, 민족적 배경을 가진 이주 가정의 학생들은 자신의 가족·친지로부터 들은 역사 내러티브를 학교 역사 수업의 내용 보다 신뢰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가족·친지에게 접한 내용이 크게 다를 경 우에 전자를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Epstein 2000; Epstein 2001; Wertsch 2000).

이는 우리나라로 이주한 사람들이 가진 역사 인식과 상충할 가능성이 있는 한 국사 학습 요소에 대한 사려깊은 교과서 서술과 수업 지도 또한 필요하다는 사실 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국제결혼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베트남과의 관계에 대한 서술과 학습 지도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베트남 파병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대규모의 인명·재산 피해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전쟁에 관한 서술은 다양한 입장 차이를 야기한다. 그 전쟁을 겪은 사람이 현재 생존해 있을 정도로 현재와 가까운 사건일 경우에, 역사 인식을 둘러싼 논쟁은 더욱 증폭된 다. 이들 측면에서 박정희 정부의 베트남 파병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한국사 교육 에서 특히 유념해야 할 학습 요소이다.6

현행 8종 한국사 교과서는 베트남 파병을 다루면서 예외없이 베트남(인)이 입 은 피해를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다문화 학생이 가족이나 친지로부터 접 한 피해의 양상과 다를 가능성은 상존한다. 이러한 경우 학생은 자신의 가족과 친지에게 접한 내용을 역사적 사실이라 여길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교과서에 실 린 내용의 진위와 표현의 적절성 등을 두고 학생과 논쟁할 경우 오히려 그들과

6 국내 일본 다문화 학생들의 경우는 다음 연구를 참고할 수 있다(안효자 외 2011).

(25)

학교의 한국사 교육 사이의 거리는 멀어질 수 있다. 다문화 학생의 민족적·인종 적·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형성된 역사 인식과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이 갈등을 빚을 경우 메타인지적 접근을 통해 이를 역사 교육의 계기로 전환할 수 있다. 다 양한 역사 인식이 대립하고 조화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서술이 한국사 교과서에 자리잡고 변화되는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학생은 한국사 교과서의 정치 적 성격과 역사의 텍스트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은 진실이라고 여겨지는 ‘역사적 사실’을 재검토하고, 역사 인식의 의미를 깨 달을 수 있을 것이다.

4. 결어

2018년 교육과정의 수정을 통해 고등학교 한국사는 명목적으로 우리 민족의 역량을 이해하는 과목에서 나와 타인의 삶을 성찰하고 민주 시민의 역량을 키우 는 과목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고등학교 한국사에 다문화 사회가 학습 요소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역사적 맥락이 없으 며, 이주민과 다문화 가정은 주체적인 활동 능력이 없는 보호 대상으로 그려져 있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술과 교과서 구성을 통해 한국사는 민주 시민 양성에 기 여하는 과목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을 디뎠다. 그렇지만 국민을 통합하고 사회를 안정화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된 종래의 성격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부조리에 맞서 자신의 권리를 확보해 나간 과정을 밝히고 그 함의를 탐구하는 것은 시민 교육의 핵심이다. 한국사가 시민 교육을 뒷받침하는 과목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독재 정권에 맞서 참정권을 확보하기 위해 투쟁한 역사못지 않게 한국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외국인 이주민들 이 기울인 노력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 학생의 다양한 인종적·민족적·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그들 나름의 역사 인식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전쟁과 같이 우리나라와

(26)

대립한 역사를 가진 국가의 다문화 학생일 경우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과 그들 집 단에서 전승(생산)되는 내러티브 사이에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 우 어느 쪽의 서술이나 입장이 옳고 그른지 일방적으로 따지기보다, 그들과 함께 교과서의 서술과 학생의 역사 인식을 되짚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사 과목에서의 다문화 교육은 ‘한민족’과 ‘타자’를 이항 대립적 으로 구분하고 획일적인 정체성과 통합을 강요한 종래의 한국사 교육의 봉건성 을 깨뜨리는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신: 최현우(동명여자고등학교 교사)(yong798@daum.net)

Correspondence: Hyun Woo Choi(History teacher, Dongmyung girl’s high school)(yong798@

daum.net)

2021.01.13 접수, 2021.01.14 심사, 2021.01.25 게재확정

참고문헌

강명주 외, 2016, 한국사 속의 다문화, 선인.

곽병현·김은석, 2020, 다문화 관점에 기초한 역사 교육과정 실행 연구: <허황옥 루트 찾기>

수업, 사회과교육연구, 27(1), 79-99.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교육부, 2018,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7].

구정화, 2011, 초등 <슬기로운 생활> 및 3, 4학년 <사회> 교과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다문 화교육, 2(1), 1-17.

김경민, 2020,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교육과정평 가연구, 23(2), 101-126.

김태웅, 2011, 한국 근현대 역사사진의 허실과 정리방향, 歷史敎育, 119, 197-240.

김태웅 외, 2014, 우리 역사,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 -국사자료 탐구활동 길잡이-, 아카넷.

김한종, 2013,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근현대사, 책과함께.

김혜영, 2012,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국어 교과서 텍스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121-142.

노대환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7)

도면회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비상.

박남수, 2008,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사회 과교육연구, 15(2), 131-148.

박중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해냄에듀.

박철희, 2009, 다문화교육과 초등교과서 : 음악, 미술, 체육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교 육논총, 29(5).

법무부, 2007, 다문화사회 기반 구축을 위한 사회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법무부, 2008, 이민자와 국민 대상 다문화사회 시민교육제도의 정책제안.

설규주, 2018, 사회 교과서 속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0(2), 99-135.

송호정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신주백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씨마스.

안효자 외, 2011, 일본인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족 중·고등학생의 일본 관련 역사교육 경험, 지역사회연구, 19(3), 47-75.

여혜경, 2012, 다문화교육을 위한 역사교육 방안: 한국사의 ‘대외 관계 및 교류’를 중심으로, 역사와교육, 5, 182-189.

윤재운, 2018, 현행 초등학교 사회(역사)교과서의 다문화 인식, 현대사회와 다문화, 8(2), 95- 118.

조대훈, 2014,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 분석, 교육연구, 59, 67- 87.

조태현·김경식, 2009, 반편견적 다문화 교육 시각에서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다문화교육 연구, 2(1), 99-129.

최병택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최용, 2011, 동아시아의 역사분쟁과 역사교육, 양호환 편,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 께.

최준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최현우, 2016, 시민 교육의 관점에 본 한국사 교과서의 사회 구성원 지칭 방식과 한국사 교육 의 방향, 歷史敎育論集, 61, 119-144.

한철호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허영훈, 2020,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1007-1037.

VanSledright, B. A., 1995, I Don’t Remember, the Ideas are all Jumbled in my Head: Eighth Graders’ Reconstructions of Colonial American History. Journal of Curriculum and Su- pervision, 10(4), 317-345.

(28)

Leahey, C., 2014, Creating Authentic Spaces for Democratic Social Studies Education, E.

Wayne Ross 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51-69, Albany: SUNY Press.

Sayer, D., 2009, The Photograph: the still image, Sarah Barber and Corinna M. Peniston- Bird eds., History Beyond the Text –A student’s guide to approaching alternative sources-. 49-

71, Abington: Routledge & CRC Press.

Ross, W. E., and Vinson, K. D., 2014, Dangerous Citizenship, E. Wayne Ross 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Purposes, Problems, and Possibilities-. 93-125, Albany: SUNY Press.

Wertsch, J. V., 2000, Is it Possible to Teach Beliefs, as well as Knowledge about History?, Peter Stearns, Peter Seixas, Sam Wineburg eds., Knowing,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LEVSTIK, L. S., and BARTON, K. C., 1996, ‘They Still Use Some of Their Past’: Historical Salience in Elementary Children’s Chronological Think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 ies, 28(5), 531-576.

Thornton, S. J., 2015, Silence on Gays and Lesbian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Walter C.

Parker ed., SOCIAL STUDIES TODAY Research and Practice. 105-112, Abingdon-on- Thames, Oxfordshire: Routledge.

Epstein, T., 2000, Urban Adolescents’ Perspectives on Racial Diversity in United States His- tory: Case Studies from an Urban Classroom. American Educaional Research Journal, 37(1), 185-214.

Epstein, T., 2001, Racial Identity and Young People’s Perspectives on Social Education. Theory Into Practice, 40(1), 42-47.

(29)

A Study on the Analysis of Descriptions about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yun Woo Choi*

Abstract_In 2018, the 2015 curriculum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revised and ‘multicultural society’ was incorporated as a learning element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But the description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n multicultural society has no historical context. Foreign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depicted as targets of protection without indepen- dent activity.

In order for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t should describe their diverse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students nee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y form their own perception of history due to ethnic,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is needed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ir perception of history.

Keywords_ Multicultural Education, Civic Education, History Education, Ko- rean History Textbooks, 2015 Curriculum.

* Dongmyung girl’s high school, Korea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History teacher, yong798@

daum.net

수치

그림 3. 공익 광고를 제작하는 형태의 탐구 활동 자료: 최준채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301.

참조

관련 문서

다문화 사회에서는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문화 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른 민족과 문화를 포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받고 정규학교로 입학이 가능해진다.또한 출입국관리소에서 외국인 등록,국 적 취득 시부터 입학 절차 안내가 강화되고,교육청에 다문화 코디네이터를

하였다.이호성 연구에서는 남북한 화학 교과서 용어의 차이점만 분석이 되 었고,이러한 차이점을 나타내는 이유에 대한 원인은 분석이 되어있지 않았 다.따라서

표면의 대화문은 넓은 의미에서 완곡어법(mitigated speech)이라는 테두 리에 넣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완곡어법이 드러내는 진정한 의미 값은 어느 특정 지역이 나

본 연구는 다문화 수학교사교육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자 연구 참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STEAM 학습능력 연구 STEAM 교육과정 편성 운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TEAM 교육을

-과학 및 다양한 교과에 대한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해결력 신장 -성취기준 중심 STEAM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창의인성 함양 -현장에서 즉시

For serving this purpose good and diverse pieces of music are needed and music for appreciation included in the textbooks, important resources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