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Roobb KKooeepppp - interview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RRoobb KKooeepppp - interview"

Copied!
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

R oo bb KK oo ee pp pp

대담 | 기정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농학사로서 학사학위(1993)를 마친 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으로 석사학위 (1997)를 받았다. 미국과학기술재단(NSF)의 지원하에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에서 2002년 박사학위를 받은 후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밀켄연구소에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분야의 연구분석가(Research Analyst)로서 재직 중이다. 도시집적경제와 혁신의 창조, 벤처기업, 벤처자본 및 첨단산업 입지, 고학력 고급 노동력의 지리적 이동과 집적에 대한 연구, 공간통계(Spatial Statistics)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각종 분석을 주관하고 있다.

학술논문으로는 2001년에 기업과 혁신관리 연구지(Enterprise and Innovation Management Studies)에 실린“혁신의 생산에서 두 가 지 집적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지역화 경제와 도시화 경제의 비교”와 2002년 학위논문인“미국 내 첨단산업 형성과 입지요인에 대한 준실험계획법에 의한 통계학적 연구”가 있다.

롭 코에프(Rob Koepp) 교수는 페퍼다인 대학과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에서 국제경제학, 국제기업가정신, 경영경제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 으며 밀켄연구소(Milken Institute) 지역경제학과의 위촉 연구위원(Research Fellow)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는 특별히 국제경제학 분야 에서 지속적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에서의 경영혁신과 기업가 정신에 큰 관심이 있다. 코에프의 연구는 첨단산업과 공공 및 민간분 야, 그리고 지역경제에서 리더십과 전략의 운영을 통한 활성화 및 창조적 환경을 어떻게 창출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의 저서인‘창조적 클러스터: 실리콘 밸리와 유럽의 실리콘 펜으로부터 얻게 되는 혁신과 기업가 정신에 대한 지속적인 교훈들(2002)’에서 잘 정리되어 있다.

2002년부터 밀켄연구소에 재직 중인 그는‘미국 내의 각 주별 과학기술지표(2002, 2004)’를 만드는 데 참여했으며, 최근에는‘샌디에고 생명공학 집적지 연구(2004)’와‘미국 내의 각 주별 생물약제 산업에 관한 연구(2004)’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코에프의 관점들과 분석들은 이코노미스트, 비즈니스 아시아, 싱가포르 비즈니스 타임즈, 일본 니혼겐자이 신문을 비롯하여 각종 학술연구지 에 실렸으며, 다우존스 아시아 비즈니스 뉴스, 만다린 중국방송 등에 아시아 전문가로서 참여하였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능통한 아시아 전문 가이기도 한 코에프는 최근 중국 과학기술부의 지원하에 중국 첨단산업단지(공원)에 대한 관찰 및 연구를 수행 중이다.

코에프는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포모나 칼리지에서 아시아 연구로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캠브리지 대학(University of Cambridge)에서 영국 내의 벤처자본에 대한 사회역사적 맥락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MBA)를 받았다.

- interview

Rob Koepp

(2)

기정훈(이하‘기’):바쁘실 텐데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선 교수님의 주된 연구분야라고 할 수 있는 창조적 클러스터에서의 기업가 정신 에 관하여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무엇보다도 창조적 클러스터에서 진정한 기업가 정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기업가 정신이 어떻게 클러스터의 혁신을 촉진시킨다고 생각하십니까?

▶▶롭 코에프(이하‘코에프’):지금까지 기업가와 혁신가(혹은 발명가)의 역 할들은 너무 자주, 불필요할 정도로 분리되어 소개되어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전형적인 기업가들은 이윤을 만들기 위해서 새로운 사업들을 시작하는 사람이 라고 간주하는 반면에 혁신가 혹은 발명가는 사업과는 무관한 사람들, 특히 두 꺼운 안경을 끼고 연구복을 입은 과학자들이라고 일반화시키는 것이 사실입니 다.

그렇지만 첨단산업 기업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드러난 중요한 사실은 기 업가들과 혁신가(혹은 발명가)들이 궁극적으로 같은 동기에 의해서 움직인다 는 사실입니다. 전형적인 첨단산업 기업가는 또한 기술 혁신가이자 발명가입 니다. 성공적인 첨단산업 클러스터들은 이러한 혁신가적 기업가(innovator - entrepreneur)들이 움직이는 것입니다. 저의 저서인‘창조적 클러스터(Clusters of Creativity)’를 통해서 제가 발견한 사실은 기술 혁신가들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가들로 전환되는 것이 결코 이상한 일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기 술 혁신가의 기업가 정신은 그들이 기술자들로서 실천했던 창조정신을 단순히 상업적 영역으로 확대한 것입니다.

롭 코에프: 창조적 클러스터에서 기업가 정신의 역할

대담, 정리|기정훈(Milken Institute, Regional Economics, GIS Research Analyst)

기정훈

(3)

Junghoon Ki(‘Ki’):Thank you for your sharing time for this interview. I would like to open the interview by asking about the core issue of your research: the role of entrepreneurial spirit in clusters of creativity. First of all, what do you think the real entrepreneurial spirit in clusters of creativity? How does the real entrepreneurial spirit work to promote creativity in the clusters?

▶▶Rob Koepp(‘Koepp’): Too often the roles of entrepreneurs and innovators

are unnecessarily separated. Entrepreneurs typically are seen as the people who start companies to make a profit. Innovators are stereotyped as people in lab coats with thick glasses endowed with scientific abilities but no business skills.

One of the more revealing aspects from a study of high-tech entrepreneurship is that it illuminates how the drive for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s essentially the same. The typical high-tech entrepreneur is also a technological innovator. Successful high-tech industrial agglomerations (or

‘clusters’) are powered by innovator-entrepreneurs. When closely examined, as in a book like Clusters of Creativity, it becomes apparent that technological innovators who became business entrepreneurs never really crossed a line.

Their business entrepreneurship was simply an extension into the commercial sphere of the sort of creativity they practice as technologists.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this. One of the easiest to recognize

Rob Koepp:

Role of Entrepreneurial Spirit in Clusters of Creativity

Rob Koepp

(4)

이 점에 대해서는 수없이 많은 예들이 있습니다. 일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발명가인 페 더리코 파긴(Federico Faggin)을 꼽아보겠습니다. 파긴은 전형적인 물리학자였고 사업을 시작 할 만한 아무런 이유가 없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던 그가 실리콘 밸리에서 일하는 동안 경영 과 재정적인 면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는데, 이는 사실 다른 지역에서는 기대하기 힘든 것들이 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발명을 시장에 내놓고자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러한 발상은 그의 창조적 정신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파긴은“나의 과학적 인 업적은 기술적인 동시에 감정적 혹은 기업가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 프로세 서 개발을 통해 무엇이 생길지 충분히 이해한 것도 아니고 기술적으로 실행가능성에만 의지한 것도 아니었는데 그 개발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사람들은 기술적인 측면만을 중요 시하는데 기술적인 측면이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실제로 기술개발을 위한 정열과 헌신이 없었다면, 기술개발은 훨씬 늦어졌을 것입니다”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미국의 실리콘 밸리 지역에서 영국의 캠브리지까지 이어지는 실리콘 밸리 현상의 핵심은 위 대한 혁신가(발명가)는 적절한 기반시설, 경영적 수단과 함께 위대한 기업가로 변화될 수 있다 는 점입니다. 진정한 혁신지역은 생산혁신과 상업적 모험정신의 상호 협조적인 공동체 정신 (kindred spirits)의 기반 위에 세워지는 것입니다.

기:교수님께서는 지난 2003년 탁월한 연구저서인‘창조적 클러스터’를 발표하신 이후 첨단 산업 개발에 대한 논의들을 주도해 오셨습니다. ‘창조적 클러스터’에서 교수님께서는 국제적인 비교를 통하여 기술혁신지역들의 집적, 성장, 발전 및 위기에 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주 셨는데, 이 국제적인 비교연구가 창조성, 기업가정신, 그리고 기술집적공간에 관하여 어떻게 기여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코에프:‘창조적 클러스터’가 출판되기 이전에는 집적지 개발과 실리콘 밸리의 중요성에 대한 지배적인 이론들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그 하나는 매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관점으로, 집적공간은 순전히 역사적인 사건이나 우연히 발생한 일들의 결과라는 것입니다. 이 관점은 폴 크루그먼(Paul Krugman)과 같은 경제 학자들이 경제지리학적 가설들과 수확체증의 개념을 가지고 주장한 내용들입니다. 그들의 분 석에는 통찰력 있는 측면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확체증의 법칙이 이끌어내는 필연적인 결 론은 지역, 산업, 그리고 기업들은 우연히 나타나서 축적과정의 경로의존적(path-dependent) 단 계를 거쳐서 성장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논리는 세련되지 못한 결론을 이끌어내는데, 예를 들면 크루그먼은‘작은 역사적 사건들에 의해 축적과정은 시작된다’라는 말로써 집적의 포괄적 인 현상을 설명한다는 점입니다.

(5)

comes from Federico Faggin, who is best known for his invention of the microprocessor.

Faggin was a classically trained PhD physicist with no original inclinations to start a business.

Yet through working in Silicon Valley, he also received abundant managerial and financial support, something typically lacking in other regions. This led him to see taking his invention to the marketplace as a logical progression in its creative evolution. Faggin even goes so far as to state that his scientific work as an inventor was “both technical and also emotional or entrepreneurial because I really pushed for development of the microprocessor‐ I believed in it…. Not enough is understood for what it took to get it out there. Not just the “doing” of it concerning its technical aspects. People see the technical aspects that were important but they weren′t the whole story. In fact, without that energy and that dedication, development would have been much slower.”

The Silicon Valley Phenomenon, epitomized by the original Silicon Valley cluster (in the US) and Cambridge, England (abroad), shows that great innovators can become great entrepreneurs if the right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practices are employed. A truly creative cluster is built on the mutually supporting “kindred spirits” of product innovation and commercial entrepreneurship.

Ki: You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aradigm of high-tech cluster development, since

you published the breath-taking work “Clusters of Creativity” in 2003. In the study, you demonstrated keen insights on growth, development, and risk of technology clusters around the world. What do you think major contributions of your comparative study on creativity,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y clusters?

▶▶Koepp: Before the publication of “Clusters of Creativity,” orthodox thinking on cluster

development and the significance of Silicon Valley essentially split into two camps.

One the one hand, a very commonly accepted view has been that clusters are purely the result of historical accidents and other random occurrences. This view has been expressed among leading economists like Paul Krugman in their postulations on economic geography and the concept of “increasing returns.” Although there are some insightful aspects to their analyses, the inevitable conclusion that increasing returns theory leads to is the idea that regions and the industries and companies based in them emerge simply from happenstance to grow through a “path-dependent” layering of “cumulative processes.” This reasoning lends

(6)

실리콘 밸리의 중요성에 대한 또 다른 잘못된 해석은 사회적 그리고 직업적인 네트워크들을 성공적인 집적의 결정요인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에널리 색서니안(Annalee Saxenian)의 저서인‘지역적 이점: 실리콘 밸리와 128번 도로지역의 문화와 경쟁력(Regional Advantage: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에서 잘 소개되어 있습니 다. ‘네트워킹과 문화’이론은 나름대로 의미는 가지지만 수확체증에 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그 개념적 불분명성과 정교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는 확증되지 않은, 거의 꾸며낸 이야기와 같은 주장들입니다. 이에 관해서 실리콘 밸리는‘다면적인 (protean)’산업체계라는 색서니안의 주장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색서니안의 주장은 실리콘 밸리 지역이‘기능, 기술, 그리고 자본의 자발적인 재구조화’를 관리함으로써 경기순환 에서의 불황에 대해 어느 정도 면역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리콘 밸리가 경기순환 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다는 것은 이 지역에 최근까지도 불어닥쳤던 경기불황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기능, 기술, 그리고 자본’요소들에 대한 자발적인 재구조화를 관리한다는 개 념 자체가 너무나 순진한 환상입니다.

저의 저서인‘창조적 클러스터’는 많은 메시지들을 담고 있습니다. 적어도, 이 연구는 독자 들이 수확체증 이론의 역사적 결정론이나‘네트워킹과 문화’이론의 환상적인 개념화에서 벗어 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저의 클러스터(Clusters) 연구를 통해서 확실하 게 나타난 점은 조직관리나 정치경제의 형태로 나타나는 인력주체(human agency)의 역할이 매 우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보다 심층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제 연구의 목적인 혁신과 기업가 정 신의 의미와 시사점이 무엇이며, 이처럼 복잡하게 연결된 힘들이 어떻게 지역경제의 역동성을 설명하느냐를 발견하는 데 있었다는 것입니다.

기:교수님의 저서인‘창조적 클러스터’의 주요한 발견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보다 실제적인 질문들을 던지고 싶습니다. 우선 다른 기술집적지들과 비교했을 때 무엇이 실리콘 밸리를 그렇 게 특별하게 만들었다고 보십니까? 다른 유사한 지역들은 실리콘 사막, 실리콘 평원, 텔레콤 밸 리 등으로 불리는데, 이러한 이름이나 인상들이 의미하는 것처럼 그들은 실리콘 밸리를 닮고 싶어하는 것입니까? ‘실리콘 밸리(모방)현상’의 경영적 혹은 정책적 의미는 무엇입니까?

▶▶코에프:앞에서도 언급한 주도적인 두 개의 학파에서는 실리콘 밸리를 단순히 역사(혹은 수 확체증)의 부산물이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검증되지 않은 힘들(네트워크와 문화)의 입지로 보고 있습니다. 이 두 학파의 주장이 미시경제학의 집적경제를 이끄는 회사, 혁신모형, 그리고 모험적 기업의 개념에 어긋나는 것은 아닙니다. 반면에 저는 집필했던 책자에서 집적공간을 지 원하는 핵심기업체들의 역사, 혁신, 기업가 정신이 실행되는 방식들, 그리고 정치적∙상업적

(7)

itself to unenlightening conclusions that, in Krugman′s words “small historical events start a cumulative process” which explains the whole phenomenon of clustering.

Another popular misinterpretation of the significance of Silicon Valley has viewed social and professional networks as the determinant of cluster success. This viewpoint is most famously articulated by Annalee Saxenian in her book, Regional Advantage: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The “networking and culture” theory has its appeal but suffers from the same vagueness and lack of rigorous analysis of increasing returns explanations. Ultimately it leads to unverifiable, virtually mythological, assertions. Take for instance Saxenian′s contention that Silicon Valley is a “protean” industrial system. This means the region is somehow immune to business cycle troughs because it manages a “spontaneous regroupings of skill, technology and capital.” Yet Silicon Valley′s current and past recessions obviously demonstrate that it very much is susceptible to business cycle fluctuations. The notion of any entity managing to regroup spontaneously factors of “skills, technology and capital” is, moreover, pure fantasy.

There are many messages contained in “Clusters of Creativity.” At a minimum, its research aims to steer readers away from the misleading historical determinism of increasing returns theory and the fanciful conceptualizations of the “networking and culture” theories. What

“Clusters” positively demonstrates is the profound role of human agency, especially as expressed in the form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olitical economy. At a deeper level, it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nd how these entwined forces truly explain the dynamism of a vibrant regional economy.

Ki: I would like to ask some practical questions in depth to probe major findings of your

work “Clusters of Creativity”. What makes Silicon Valley so special compared to other technology clusters? Do the other Siliconia function, as their names and impressions seem to imply, as want to be imitators of Silicon Valley? And what are the managerial or policy implications of the “Silicon Valley phenomenon”?

▶▶Koepp: As I mentioned earlier, the two leading schools of thought have asserted that

Silicon Valley is either a mere accident of history (increasing returns) or a location with unverifiable powers of perpetual transformation (networks and culture). Neither school of thought bothers too much with the microeconomics of representative firms or the models of

(8)

기반시설의 성격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를 통해 얻어진 사실들을 기준으로 삼아 이론을 정립했 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실증적인 방법론을 통해서 저의 연구에서는 폭넓은 분야(정부, 대학교, 그리고 가장 중요하 게는 기업)에 걸쳐서 경영전략과 실행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실리콘 밸 리는 역사적 사건이나 네트워크에 기반해서 성장 또는 퇴보되어온 것이 아니라 학교, 정부, 그 리고 기업들이 개발전략을 개념화하고 실행한 방식에 의해서 발전해온 것입니다. 실리콘 밸리 의 그 특별한 역동성은 스탠포드 대학과 같은 대학들, 지방정부 행정가들, 그리고 휴렛팩커드, 인텔, 그리고 팔로알토 연구센터와 같은 기업체들의 혁명적인 노력에 의해서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비중과 밀도에 있어서도 실리콘 밸리가 달성해온 성과들을 흉내낼 만한 클러스터 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지역대학, 정부, 그리고 기업의 노력을 기준으로 볼 때 다른 입지들은 진정으로 실리콘 밸리를 재연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들이 실리콘 펜, 실리콘 섬, 또 실리콘‘무엇’이라고 이름지었다 하더라도, 그들의 대학 - 기 업관계들, 정치경제, 그리고 경영적 모형들에서 드러나는 점은 그들이 이루고자 준비하는 것이 실리콘 밸리의 리더들이 하고자 했던 것들과는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다. 저의 저서 에서 비교했던 지역은 영국의 캠브리지 주변지역에서 시작된 실리콘 펜(Silicon Fen)이라는 첨 단산업 집적지역이었습니다. 실리콘 펜은 그 집적의 진화적 형성과정에 있어서 표면적으로는 실리콘 밸리보다 훨씬 경쟁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캠브리지의 월등한 과학적 자원들과 상업 적 기회들이 운영되는 방식에 의해 그 집적의 규모와 성격은 실리콘 밸리와는 전혀 다르게 만 들어지게 됩니다. 그 두 지역의 유일한 공통점은 두 지역 모두 혁신적이고 기업가적인 풍토로 말미암아 연구시설 입지에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입니다.

제가 연구한 분야의 주요한 정책적 의미는 한 지역이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조건으로서 지식 인들, 정부 차원의 자원들, 그리고 산업적 자산들을 어떻게 운용할지에 대한 복안이 있어야 하 는 것을 지적한 데 있습니다. 만일 어떤 한 지역이 실리콘 밸리가 수행했던 동일한 수준의 희생 과 주도권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실리콘 밸리와는 다른 결과, 즉 그 지역이 진정 으로 성취하기를 원하는 적절한 결과를 얻기 위해 또 다른 전략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 다.

기:교수님께서는 중국어와 일본어에도 능통하신 아시아 전문가로서 아시아의 지역경제 및 지식기반 집적지역들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의 첨단경제와 지술집적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는 어떤 점을 새롭게 발견하셨는지 말씀해주실 수

(9)

innovation and entrepreneurial enterprise that drive a cluster. My book holds theory to the standards of reality by examining in-depth the case histories of key firms, the way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re practiced, and the nature of the political and commercial infrastructures that support a cluster.

Taking this approach, the research very clearly reveals the importance of managerial strategy and practice across a wide spectrum of fields: government, academia, and (most importantly) business. Silicon Valley has not succeeded (and at times failed) on the basis of accidents or networks, but because of the way development strategy‐ in academia, government, and business‐ has been conceptualized and practiced. Groundbreaking efforts made by institutions such as Stanford University, local government administrators, and companies like HP, Intel and the Palo Alto Research Center (PARC) explain the particular dynamics of Silicon Valley.

In terms of economic mass and density, no cluster has managed to reproduce the outcomes that Silicon Valley has achieved. Yet my argument is that (again using the standards of the efforts put in by local academic, government, and business interests), other locations are not truly aiming to replicate Silicon Valley. They may have similar sounding names‐ Silicon Fen, Silicon Island, Silicon “wherever”‐ but close scrutiny of their own university-industry relations, political economies, and management models shows that what they are prepared to achieve is of a different order than what Silicon Valley leaders set out to accomplish. The point of comparison I use in my book is Silicon Fen, the high-tech cluster emanating from around Cambridge, England. During the formative years of both clusters′evolutions, Silicon Fen ostensibly had far more comparative advantages than Silicon Valley. Yet Cambridge′s unparalleled scientific resources and commercial opportunities have been (and still are) managed in ways that keeps the cluster of an entirely different scale and character than Silicon Valley. Their one point of commonality is that both clusters are exceptionally innovative and entrepreneurial, which makes them such fascinating targets for research.

The major implication of this is that the first thing a region needs to consider is how it manages its intellectual, governmental, and industrial resources. If a region is not prepared to accept the same sorts of sacrifices and initiatives undertaken by Silicon Valley, then in needs to strategize for a different outcome, one more appropriate to what it truly wants to accomplish.

(10)

있겠습니까? 중국 현지에서 관찰하신 바에 따르면, 중국의 기술집적 공간들을 변화하게 하고 성장을 이끌어내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코에프:중국은 종종 새롭게 떠오르는 첨단산업 경제라고 오해받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지 나간 역사에 조금이라도 익숙하다면 중국 근대화(civilization)의 역사적 기록이 경제적 규모, 부의 생산, 그리고 기술적 발전에 있어서 서구사회보다 앞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송나라(960�1126)와 원나라(1127�1367) 왕조 때의 중국은 당시 지구상에서 기술적 으로 가장 발달된 제국들이었습니다. 이 왕조들이 지배하던 시대에 출현한 기술적 요소를 가지 고 400년 이후 서구유럽의 산업혁명에 기여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생산적 농업부문, 효율적 섬 유 제조업, 역학 그리고 열 에너지 운용수단들, 그리고 정확도가 높은 기계와 기구의 사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지 과거 중국에서는 혁신과 부의 생산기회들을 일반대중들에게 전반적으로 보급할 수 있 는 체제가 부족했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모든 가치 있는 발명들이 황제의 재산이 되는 환경에서 특허체제는 존재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단지 공 산체제하에서 뿐만 아니라 제국주의의 여러 세기들을 거쳐서 마침내 오늘날의 중국은 점차 선 진국과 동일한 수준의 기술 - 기업가적 기회가 주어지는 근대 시장주의 경제로 전환하고 있습 니다.

저는 중국이 기술 생산국으로 다시 한 번 나타나기 위한 매우 흥미로운 원동력들 중의 하나 로 한국과 관련하여 새로운 국제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꼽고 싶습니다. 최근 들어 저는 첨단산 업 단지(공원) 체계에 관하여 중국 과학기술부에 컨설팅을 해주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첨단 산업 단지에 관한 국제적인 예는 1951년에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에서 시작한 스탠포드 연구단 지(공원)(Stanford Research Park)의 대학 - 산업 관계에 대한 선구적인 노력을 들 수 있습니다.

1980년대에 시작된 중국의 첨단산업 단지(공원)들은 원래 미국의 모형을 따르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한국과 인접한 산둥성 등지의 첨단산업 단지(공원)를 방문했을 때 받은 인상은 한 국 기업들이 중국의 기술 산업화 노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산둥시에 입지 한 연구단지(공원)의 경우 처음에는 미국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지만 한국소프트웨어연구센 터가 들어서고 여기에 입지하는 한국기업의 역할이 미국기업의 역할을 능가함에 따라 한국은 이 연구단지에서도 기술적 리더로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한국의 주도적 역할은 한 국이 중국의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중국 첨단산업 시장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이미 예견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이제 질문의 방향을 밀켄연구소에서 교수님이 하고 계신 연구로 전환해야 할 것 같습니

(11)

Ki: As an Asian expert fluent in Chinese and Japanese, you are also interested in Asian

economy and its knowledge-based clusters. What insights do you have from your recent research involvement in Chinese high-tech economy and technology clusters? What are Chinese technology-clusters′changing and growing dynamics according to your observations in China?

▶▶Koepp: China is often misinterpreted as an emerging high-tech economy. Yet anyone with

even passing familiarity of history knows that Chinese civilization has surpassed the West both in terms of economic mass, wealth gener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s for most of recorded history.

At the time of the Sung (960-1126) and Yuan (1127-1367) dynasties in particular, the Chinese empire was easily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economy on earth. During these centuries the Middle Kingdom already had many of the technology-based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estern Europe some four hundred years later: a productive agricultural sector, efficient textile manufacturing, means for manipulating kinetic and thermal energies, and the availability of highly precise instrumentation and tooling.

What China has lacked in the past was a mechanism for diffusing its innovations and wealth-generating opportunities to the population at large. There was no patent system‐ all worthwhile inventions became the property of the emperor. China is now, after not only communism but also many centuries of imperial rule, finally transitioning to a modern market- based economy where techno-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on par with what is offered by developed nations.

I think the one of the more interesting dynamic to China′s re-emergence as a technological powerhouse will be the creation of a new relationships involving Korea. I′ve been consulting China′s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ir high-tech park system. As you know, the world-wide high-tech park phenomenon was originally an outcome of Stanford′s pioneering efforts in university-industry relations through its Stanford Research Park, which was built in 1951. China′s high-tech parks, a system which was created in the 1980s, also at first oriented towards an American model. My recent visits to parks, especially in those in regions near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Shandong Province (山東省), indicate that Korean compan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successful in taking advantage of China′s push for technological industrialization. The park in the Shandong city of Yantai (烟台), for instance, was at first

(12)

다. 교수님께서는 2002년을 시작으로 하여 선구적인 연구물인‘과학기술 지표’의 발간에 주도 적으로 참여하여 각 지역의 과학기술 투자에 대한 종합적인 밑그림을 최초로 드러냈습니다. 이 지표에는 연구개발, 위험자본, 인적자본, 과학기술 노동력, 그리고 기술집약도 및 동인에 대한 미국의 지역별 투자현황 및 계량화된 점수와 지역간 순위가 나타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가 어떤 한 지역이 새로운 기술들을 배경으로 한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발전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시리라 생각하십니까?

▶▶코에프:지역의 리더들은 그 지역에 연구센터나 기술단지, 벤처자금, 혹은 어떤 한 가지 노 력을 통해서 그 지역의 성공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실수를 자주 범하게 됩니다. 밀 켄연구소‘과학기술 지표’의 장점 중 하나는 객관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해서, 특별히 연구개 발(R&D), 모험자본(Risk Capital), 기본적인 인적자본(Human Capital), 노동력 교육훈련 (Workforce Training), 그리고 산업적 역동성(Industrial Dynamics)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첨단 경제의 다면적인 차원을 조명해보는 데 있습니다. 지역 및 각 주(state)들은 다른 지역들과 비교 했을 때 첨단경제에서 그들의 상대적 위치가 어디인지를 이해하여 얻는 이익이 있습니다. 밀켄 연구소는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유일한 연구기관입니다.

물론 저희들은 각 지역들이 이러한 지표들만을 의지해서 그들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청 사진을 만들지 말 것을 분명히 해두고 있습니다. 각 지역들은 저희가 제시하는 지표들을 통해 서 무엇이 그 지역의 강점이고 가능성 있는 자원인지를 살펴본다는 관점에서 이러한 정보들을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다른 어떤 가치 있는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지표들은 중요한 통찰력을 주는 것이 사실이라고는 하지만 그러한 정보들을 기본으로 하여 정책이나 전략을 만 들어내는 것은 전적으로 다른 것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기:최근 미국이 직면하고 있는 첨단산업의 위기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언급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오락산업(Entertainment Industry)의 캐나다와 호주로의 이탈, 중국의 첨단제조업 확대 와 인도로의 해외하청(offshoring) 등은 현재의 위기를 단편적으로 설명해주는 것 같은데, 이러 한 도전들에 대한 미국 그리고 미국 내의 각 지역들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 보십니까?

▶▶코에프:특별히 첨단산업과 관련된 해외하청(outsourcing)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어두운 전 환기를 맞고 있습니다. 제가 발견한 사실은 미국에서 하청의 발전적 과정에 대해 지지해오던 사람들이 이제는 그들의 논의를 부가가치적 첨단산업 생산이나 연구개발의 수준으로 후퇴시켰 다는 것입니다.

약 15년 전에, 실리콘 밸리 출신의 두 저자가 쓴‘가상기업(The Virtual Corporation)’이라는

(13)

strongly oriented towards US industry. Korea has become the recognized technological leader there, however, because of establishment of a Korean-backed software research center that exceeds anything US firms have contributed. Initiatives like this bode well for Korea′s leveraging of Chinese intellectual resources and access to its high-tech markets.

Ki: Let me turn my questions to your works in the Milken Institute, an economic think tank.

Since 2002, you′ve participated in creating the pioneering “State Science and Technology Index” that firstly depicts a comprehensive blueprint of each region′s technology and science investment trend. The Index embraces R&D, risk capital, human capital, technology and science workforce, and technology concentration and dynamics to generate each state′s quantified score and ranking. How does the Index help each region equip with technology and science assets and turn them into a high-tech cluster?

▶▶Koepp: Too often the leaders of regions mislead themselves by thinking if they simply

build a research center, or a technology park, or set up a venture fund, or make some other singular effort at creating the basis for a knowledge-based economy they will succeed. One of the nice things about the Milken Institute index is that it comprises objectively based data that illuminates the sorts of multifaceted dimensions to high-tech economies: R&D, risk capital, basic human capital, workforce training, and industrial dynamics. Regions and states can benefit by this kind of information to understand where they are positioned relative to other areas. The Institute is unique in providing the type of data compilation and analysis that it does.

Of course, our indexes also very clearly advise regions that they cannot rely on this type of information alone for determining a blueprint to advance their economies. They need to carefully consider what the information we provide indicates in the context of other prevailing factors and the ambitions and resources of the region. As with any valuable study, these indexes provide important insights. But crafting effective policies and strategies on the basis of such information is a whole separate undertaking that cannot be ignored.

Ki: Can you mention the risks that the U.S. high-tech industry is facing today? There are

some challenges such as the entertainment industry′s exodus to Canada and Australia, high- tech manufacturing expansion in China, and increasing offshoring to India. What do you think are desirable responses to these challenges?

(14)

글은 미래의 기업모형에 대한 지침서로서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가상기업이란 기업들은 그 들의 핵심 기능에만 집중하고 나머지 주변 기능들은 주변자(outsider)들에게 맡긴다는 것입니 다. 이러한 전반적인 개념은 실리콘 밸리의 기업들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사업자 서비스 - 인 력수급, 행정, 운영, 디자인, 제조, 등등 - 들을 계약에 의해서 하청을 주는 예외적으로 다양화 된 가치체제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습니다. 가상기업이 담고 있는 사상은 기업은 기본적인 물 리적 자산과 매우 제한적인 운영비용을 가지고도 거대한 이윤과 경쟁성을 유지하며 운영이 가 능하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가상기업이 다른 국내 기업들에게 업무를 나누어주는 것에 대해서 기뻐합니다. 그 러나 지금처럼 가상기업이 외국으로 확장되는 시기에는 해외하청(outsourcing)이라는 이름이 적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내 기업이 해외하청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지식인력에 대한 위기 감과 기업들의 경쟁력 감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저는 해외하청에 대한 논쟁들이 과거에 일본 경제정책의 실패 원인이 되었던 신상업 주의적 사고보다는 나은 것이라고 봅니다. 이러한 논쟁들이 미국에서 일어난다는 것은 가슴 아 픈 일이지만 그래도 현재까지는 주로 수사적인(rhetoric) 논쟁이었다고 봅니다. 미국과 같은 선 진기술경제나 한국과 같은 주요 첨단경제 국가들은 그들의 비교우위와 그 경제적 위치 유지에 초점을 맞추며 인도나 중국과 같은 주요 개발경제 시장을 이용한다면 지속적인 경제적 성장과 번영을 위한 폭넓은 기회들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기:현재 한국에서는 지역혁신체제 정책이라든지 지역단위의 생명공학단지 개발 등 지식기 반 경제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의 결실 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대학과 지역사회 그리고 기업차원에서의 어떠한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코에프:대부분의 사회에서 대학은 그 스스로, 그리고 외부인들에 의해서‘상아탑(Ivory

Tower)’이라고 불리며 일상 생활이나 일상적 사고와는 구별된 곳으로 여겨집니다. 대학의 독

립이 대학의 기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는 하나 대학들은 지역 및 국가경제에 떼어놓을 수 없는 핵심요소입니다. 대학 행정가들과 교수들은 정부정책에 의해서 주어지는 기회들을 포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체제를 반드시 갖추어야 합니다. 대학들은 특별히 정부 보조금이나 여러 형태의 연구기금들, 기술이전 프로그램, 기술기반 신진기업을 위한 보조, 그리고 연구단지와 같은 전 문화된 산업 기반시설과 정부의 투자부문에 대해서 반드시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업과 산 업부문에서도 이러한 종류의 인식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대학, 기업은 첨단산업 집적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공동의 목적으로 반드

(15)

▶▶Koepp: The debate about outsourcing,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high-tech industry, has

taken some very unfortunate turns. I′ve noted that some in the US some who at first defende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outsourcing now draw the line at value-added high-tech industrial production or R&D.

About 15 years ago, two Silicon Valley insiders wrote a book that was heralded as a roadmap for the industrial business model of the future: The Virtual Corporation. The whole idea of the virtual corporation was that companies do best by focusing on their core competences and leave any peripheral work to outsiders. This whole concept was inspired by Silicon Valley′s exceptionally diverse value chain which allows companies to contract out almost any conceivable business service‐ staffing, administration, operations, design, manufacturing, and the like. The idea of a “virtual corporation” means a company can operate with bare-bones physical assets and very limited overhead, allowing the firm to reap tremendous profits and stay ahead competitively.

People loved the idea when the “virtual corporation” apportioned work to other domestic companies. Yet once the momentum of the virtual corporation expanded abroad, as it has in recent years, the name “outsourcing” was applied. Suddenly alarmist sentiment has been stirred alleging that a nation′s intellectual resources are at risk and companies ultimately will lose their competitive advantage by engaging in “outsourcing” practices.

I see outsourcing arguments as little better than neo-mercantilist thinking, previously limited to failed economic policy rationale in Japan. It′s disheartening to see the sentiment to rise up as it has in America but so far indications are that this is mainly rhetoric. As long as technological advanced industries in the US and other major high-tech economies like Korea focus on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and position themselves as appropriate in major developing markets like China and India, these countries economies can enjoy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continued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Ki: Today, various policy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gaining cutting edges in the competitive knowledge-based economy. For example, Korea government actively employs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licy and biotechnology cluster development plans for the last few years. What should universities and local and business communities take action to maximize such governmental efforts?

(16)

시 협조해 나가는 것이 실질적인 열쇠입니다. 이는 어느 한 부분의 역할이 아니라 정부, 대학, 기업이 상호간의 필요들과 목적들을 이해하고 공통적인 기초를 찾아서 세워나가야 하는 것입 니다. 실리콘 밸리와 같은 지역의 비밀은 이러한 모든 요소들(정부, 대학들, 그리고 기업)이 협 력하여 나아갈 때에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기: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립니다.

▶▶코에프:감사합니다. 제가 경제성장이나 첨단산업 기능에 대해 높이 평가하는 한국에 대해 조만간 저의 연구가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Rob Koepp 교수의 최근 저서

Biopharmaceutical Industry Contributions to State and U.S. Economies (with R. DeVol, P. Wong, A. Bedroussian, L. Wallace, J.

Ki, and D. Murphy),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4.

America’s Biotech and Life Science Clusters: San Diego’s Position and Economic Contributions, (with R. DeVol, P. Wong, J.

Ki, and A. Bedroussian),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4.

Expanding Affordable Homeownership with Private Capital: A Study of the Nehemiah Down Payment Assistance Program, (with P. Wong, D. Murphy, and F. Fogelbach),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4.

California’s Position in Technology and Science: A Comparative Benchmarking Assessment, (with R. DeVol, J. Ki, and F.

Fogelbach),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4.

State Technology and Science Index: Enduring Lessons for the Intangible Economy, (with R. DeVol, and J. Ki), Santa Monica:

Milken Insitute, 2004.

The Illinois Pharmaceutical Industry: Survey of Economic Impact and Importance, (with R. DeVol, K. Klowden, and A.

Bedroussian),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4.

Nebraska’s Position in Technology & Science, (with R. DeVol, and J. Ki),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3.

The Economic Contributions of Health Care to New England, (with R. DeVol, P. Wong, and A. Bedroussian),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3.

State Technology and Science Index: Comparing and Contrasting California, (with R. DeVol, and F. Fogelbach),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2.

Manufacturing Matters: California’s Performance and Prospects, (with R. DeVol, A. Bedroussian, and P. Wong), Santa Monica:

Milken Institute, 2002.

Clusters of Creativity: Enduring Lessons on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from Silicon Valley and Europe’s Silicon Fen, John Wiley & Sons, 2002.

(17)

▶▶Koepp: In most societies, universities view themselves (and they in turn are viewed by the

outside) as “Ivory Towers” that are distinctly set apart form ordinary life and thought. Although academic independence is vital to university′s functioning, universities nevertheless are inseparably integral to local and national economies.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faculty should make sure practices are in place for recognizing the opportunities afforded by government policy. Grants and other forms of research funding, technology transfer programs, support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specialized industrial infrastructure (such as research parks) and areas of government efforts that academic communities in particular should be aware. Businesses and industry also need to adopt this kind of awareness.

In the end, the real key is to make sure that government, universities, and business are in synch in regards to mutual objectives for creating a high-tech cluster. It′s not so much any one party′s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another, but rather for government, universities, and business to understand each other′s needs and objectives and search out common ground to build upon. The magic of a place like Silicon Valley is that when it functions well, all these components work in tandem.

Ki: Thank you again for your time and answers to the interview.

▶▶Koepp: Thank you. I hope that one day soon my research work will allow me to do more extensive work in Korea, a nation whose economic growth and high-tech industrial capacity I greatly admire.

참조

관련 문서

12) Maestu I, Gómez-Aldaraví L, Torregrosa MD, Camps C, Llorca C, Bosch C, Gómez J, Giner V, Oltra A, Albert A. Gemcitabine and low dose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

This includes every kind of organization represented here today – from media owners to media agencies to a host of agencies that have capabilities in public

Levi’s ® jeans were work pants.. Male workers wore them

Home delivery of newspapers will end. with so many people getting their information online, there may not be a need for traditional newspapers at all.

③ A student who attended Korean course at KNU Korean Language Program and holds TOPIK Level 3 or a student who completed Korean course Level 4 at the KNU Korean Language

· 50% exemption from tuition fee Ⅱ for the student with a TOPIK score of level 3 or higher or completion of level 4 or higher class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the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a virtual experience sports facility business in the reported sports facility business, the standards for screen golf course facilities

클라우드 매니지드 DDI는 기업이 클라우드를 통해 모든 위치의 통합 DDI 서비스를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여 지사에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 한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