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화와 한국경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세계화와 한국경제"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세계화와 한국경제

국제/개방경제시대의 시작

(2)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세계화와 한국

(3)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세계정치

• 독일의 통일과 구소련의 붕괴

- 냉전시대의 종말과 자본주의 사회의 확대 - 이념 대신 경제문제에 관심

- 많은 신생독립국 탄생

- 국제사회에서 평화의 분위기

• Global Standard

- 정치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국제기준들의 조화, 통일, 단순화 경향

- 국제규범/정책의 조화와 타협

- 미국 주도의 새로운 질서 탄생: “American Standard”?

(4)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세계경제

• 석유파동 영향에서 탈출한 세계경제 -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 개방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 우루과이 라운드(Uruguay Round) - 1986~1992

- GATT 체제의 마지막 다자간 무역협상

- 1947년 시작된 GATT 시대를 마무리/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국제 무역질서 확립을 위해 국제기구(WTO) 설립(1994)

• 보다 긴밀한 국제관계

- 각국의 경제활동이 다른 국가들과 무한관계/영향

(5)

1980년대 후반 이후의 한국

• 정치

-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 대통령 직선제 선거(군부-

민간정권 교체)와 자유화 - 서울올림픽(1988) 이후

개방화시대

- UN 가입(남한/북한, 1991) - 지방자치제 실시(1995)

• 경제

- 수출 20억달러 달성(1987) - 경제개발 5개년 계획(6차:

1987~1991 / 7차: 1992~1996) - 개방화에 따른 외국인투자 확대

및 자유화

- 우루과이 라운드 이후 WTO 출범 회원국(1994)

- 새로운 경제/무역 관계 형성(구 소련, 중국 등)

- OECD 가입(1996)과 아시아

외환위기(1997)

(6)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경제발전

1980년대 3저 호황

- 금리, 유가, 달러의 하락으로 수출에 유리한 조건 조성

한국 최대의 초고속성장시기 - 경제규모가 비약적으로 성장(매년

경제성장률 8~9%)

- 정치적 변화와 민주화 이후 지속적 성장 - 경제호황과 개방화로 외국인투자 확대 - Mcdonalds, Pizza hut 등 국제적 기업과

브랜드의 한국 진출

- 1986년 아시안게임/1988년 올림픽 개최

(7)

1988 서울올림픽

• 경제성장과 외국인투자의 절정

- 올림픽 개최 후에는 일자리, 국민소득 증가,

외국인투자자가 대폭증가

• 실질적인 경제효과 - 경제성장률: 10~11%

- 외국인관광객: 올림픽 기간 200만명

- 서울이 국제적 도시로

성장/세계속의 한국

(8)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의 경제

• 88올림픽 성공으로 선진국 진입에 대한 환상 - 지속적인 호황과 외국인투자 확대

- 민주화/개방화와 함께 국민들의 자유의식 - 국민소득 10,000달러 돌파(1995)

• 문제점

- 과소비와 무리한 고속 성장 - 부실채권, 제품의 원가상승 등

- 1990년대 이후 신용불량자 속출과 외국기업의 적자

• 결 과

- 외국투자자들의 감소와 외환위기(1997)

- 국민소득감소와 자본시장 파괴/IMF 구제금융 실시

(9)

개발독재와 경제민주화

1960-1980년대

개발형 경제정책과 한계

(10)

정경유착과 성장제일주의

개발독재의 폐해

(11)

정경유착과 성장제일주의 1

개발독재의 폐해

• 정경유착을 통한 불법지배체제 형성 - 부패와 독재/권력-재벌 공생관계 형성

• 빈부격차

- 성장제일주의/정부의 경제통제 - 관치금융/특정 재벌지원

• 부동산과 증권에서의 지하경제

- 부동산/증권 가격 폭등: 부동산과 증권시장(지하경제)

• 경제력 집중 - 재벌 집중지원

- 재벌 중심의 산업기반/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

(12)

정경유착과 성장제일주의 2

개발독재의 폐해

• 지역격차

- 동남부 지역 중심의 산업 발전: 동서지역 사이의 경제력 격차/지역감정 - 도시와 농촌 사이의 경제력 차이: 비효율적/불균형 발전

• 천민자본주의

- 경제성장우선의 물질만능주의/사치와 낭비

• 관료주의 확대

- 행정부 중심의 계획경제: 입법부/사법부의 약화

• ‘빚경제’

- 금융특혜와 무리한 사업확장: 부채비율/부실기업 증가

(13)

잠깐 쉬어요!

(14)

한국의 경제개방화 정책

유통시장개방과 자본시장개방

제조업 경쟁력강화 대책

(15)

유통시장개방과 대책

3단계 유통시작개방계획과

유통산업합리화촉진법

(16)

유통시장개방과 정책의 배경

•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방법 - 개방화: 국내적 요구

• 개방의 세계적 추세

- 우루과이라운드(1986): 세계시장질서의 기본원칙 확인 - 서비스 부문에 대한 개방요구 증가

• 경쟁력강화 필요

- 개방화의 국내/국외의 요구에 따른 정책추진

- 국내 유통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방계획과

개방범위, 개방에 대한 부문별 대책마련/추진

(17)

정책의 추진

• 개방화 진행

- 외국자본투자에서 네거티브리스트제도(negative list system)도입(1984) - 제조업의 경우 92.5%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개방

• 유통산업개방에 대한 정책

- 도소매진흥법(1986): 도·소매업의 진흥과 소비자 보호,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 목적

- 도·소매업진흥종합계획 수립

• 유통산업의 개방진행과 대응정책 강화 - 1987년: 170개 품목 추가로 개방

- 3단계 개방계획 수립(1988)

- 유통산업합리화촉진법 제정(1988)과 유통시장개방대책(1991)

(18)

유통시장개방의 부문별 대책 1

• 유통기능의 효율적인 분담과 상호경쟁적인 발전 유도

- 제조업 주도형 유통구조의 폐해를 방지하고 중소유통업의 경쟁력 강화

• 유통부문의 비용절감과 거점의 마련

- 수송, 보관, 하역, 배송, 정보 등 유통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유통의 효율화 - 공동 집/배송단지 건립

• 효율적인 상품기획 및 판매, 재고 관리와 고객서비스 향상

- 유통산업의 정보화: POS(Point of Sales)시스템 및 유통 VAN의 확산

• 유통전문인력의 양성

(19)

유통시장개방의 부문별 대책 2

• 선진유통기술도입 확산

• 유통산업 국제화 전략

- 선진유통기법의 도입, 국산품의 해외유통망 확보 등 추진

• 유통근대화 재정자금 지원규모 확대

- 부문별 정책방안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유통산업에 대한 자금 지원

• 도소매업진흥법 개정추진 등 유통관련제도를 정비

- 유통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완화

(20)

자본시장 국제화 중기계획

(21)

정책의 배경과 대응

• 선진 경제구조로 이동 필요

• 자본시장 개방여건 성숙

• 자본시장 개방의 단계적 확대 필요

• 고임금 상황에서 국내기업의 국제경쟁력 유지 필요 - 저렴한 해외자금의 조달

• 자본시장 국제화 중기계획 수립(1988)

- 단계적으로 자본시장의 국제화 추진

- 기업금융의 국제화를 위한 상황조성

(22)

정책의 내용 1

외국인의 국내시장 진출 확대

• 외국인 투자펀드 확대

- 발행제한 완화와 해외주식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주 식예탁증서(DR) 등 다양한 금융상품의 발행 유도(1989)

- 국내증권과 해외증권에 동시에 투자하는 국내외 혼합펀드(matching fund)를 설정(1990)

- 증권의 각종 전환 허용(1991)

- 외국인 직접증권투자를 일반 외국인에게 확대(1992)

• 증권산업 개방

- 외국 증권사의 기존 국내 증권사에 대한 지분참여 범위 확대(1989)

- 외국 증권사의 국내사무소/지점 설치 단계적 허용(1989-1992)

(23)

정책의 내용 2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 확대

• 해외증권 투자 펀드의 신설 허용(1989)

• 해외증권 투자기관의 범위와 투자한도 확대(1989)

• 제한적인 범위에서 일반법인의 해외증권 투자 허용(1990)

• 기관투자가의 해외투자 완화

- 외화 보유한도 철폐, 해외증권 투자 펀드의 다양화, 기존 해외증권 투자

펀드의 추가 설정, 국내외 혼합 증권투자 펀드(matching fund) 설정의 허용 등 추진(1990)

• 일반법인의 해외 증권투자 제한을 완화하고, 국내증권사의 해외사무소 추가 설치를 허용하며 국내증권사의 국제업무 허용 범위를 확대(1991)

(24)

제조업 경쟁력강화 대책

경제안정과 성장기반 확충대책

(25)

제조업강화 정책들

• 경제사회 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면대책(1989)

- 금리인하, 통화의 신축적 운용과 자금흐름의 정상화, 특별설비자금 신설, 수출과 투자 촉진을 위한 금융, 세제지원

• 과학 및 산업기술발전 기본계획(1990) - 장기적인 산업경쟁력 강화

• 경제안정과 성장기반 확충대책(1991. 1) - 제조업경쟁력 강화대책, 수출활성화 대책

• 제조업경쟁력 강화대책(1991. 3) - 제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 정부/기업의 장기적 공동정책

(26)

정책의 기본방향

• 기업과 정부의 역할분리

- 정부: 기업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해결에 주력 - 기업: 자생력 강화

• 기업을 규모에 따라 분리하여 정책실시

• 중소기업 관련 정책

- 직접적인 재정, 금융상의 지원

• 대기업 관련 정책

- 자율적인 노력으로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지원

(27)

정책의 구체적 내용 1

생산기술개발 촉진

-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공동기술개발 - 919개 생산기술과제를 민간과 공동으로 개발

- 1991-1995년간 정부와 민간의 부담을 50:50으로 투자

금융세제지원 확대

- 국산기계 수요확충을 위한 금융지원 강화

- 제조업경쟁력 강화와 전문화를 위한 중소기업자금의 지원

산업인력 공급양성

- 고급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이공계 대학 정원을 1995년까지 16천명 증원 - 1995년까지 공업계 전문대학 정원을 36천명 증원

- 공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확대/기업의 사내훈련 강화

(28)

정책의 구체적 내용 2

공장용지 공급 및 사회간접자본(Infrastructure)의 확대

- 공장용지 공급을 확대: 공업단지 신규지정 및 공업용지 확대 - 사회간접자본확충 수송시설 확대를 위한 자금 투입

과학기술개발

- 인력난 및 고임금 추세를 극복하기 위해 자동화/정보화 기술 개발 - 첨단기술의 기업화 촉진

보완대책

- 조세감면 등의 기술개발 촉진 대책

- 변형근로시간제 채택 등 인력공급확대 대책

- 공단개발사업시행자 요건완화 등 공장건설 원활화 대책 - 중소기업과 각종기업 지원 행정규제완화 대책

- 관세인하를 포함한 업종별 경쟁력 향상 대책

(29)

참조

관련 문서

경쟁력을 판단하는데 있어 다양한 방법 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수출입 단위가격 (unit value, 단가 ) 과 수출입 수지를 이용하여 수출경 쟁력을 파악한다.

자원순환사회 구축을 위한 수도권매립지 자원화 추진현황 및 대책.. K-BIZ 중소기업중앙회관

위에서 살펴본 Solow나 Cass-Koopmans의 모형에서 정상상태 에 있어서의 성장은 기술진보의 결과이며 그와 같은 기술진보는 외생적 exogenous 으로

∙“Although the labor productivity measure presented in this release relates output to the hours worked of persons employed in manufacturing, it does not

Third, it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effects of monetary policy changes in terms of call interest rate rather than monetary aggregates on the real economy and the

Maksimovic, “Financial and Legal Institutions and Firm Size,”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2997, The World Bank, 2003.. Brown, Charles, James Medoff, and Jay

거의 공기과잉 상태로 운전되므로 NOx 배출이 과다 하며, 급격한 부하 증가 시 연료 분사량의 증가로 불완 전 연소에 기인한 매연과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

Copenhagen Climate Change Sum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