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10-9025-5025, 02-551-7130 GCC 산유국의 개발정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010-9025-5025, 02-551-7130 GCC 산유국의 개발정책"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용칠 Yong chil Chung 한아랍소사이어티 사무총장 ycchung54@hanmail.net 010-9025-5025, 02-551-7130

GCC산유국의 개발정책

(2)

Ⅰ. GCC국가별 주요 통계

<GCC국가들의 원유 확인 매장량>

(단위: 억배럴)

순위 국가 매장량 점유율(%)

1 사우디아라비아 2,645 19.1

2 쿠웨이트 1,015 7.3

3 UAE 978 7.1

4 카타르 259 1.9

5 오만 55 -

6 바레인 1.3 -

GCC전체 4,953.3 35.4

중동전체(마그레브포함) 8,590 52.0

전세계 13,832 100.0

자료: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3)

<전세계 원유 확인 매장량>

(단위: 십억배럴)

순위 국가 물량 점유율(%)

1 사우디 264.5 19.1

2 베네수엘라 211.2 15.3

3 이란 137.0 9.9

4 이라크 115.0 8.3

5 쿠웨이트 101.5 7.3

6 UAE 97.8 7.1

7 러시아 77.4 5.6

8 리비아 46.4 3.4

9 카자흐스탄 39.8 2.9

10 나이지리아 37.2 2.7

(4)

순위 국가 물량 점유율(%)

11 캐나다 32.1 2.3

12 미국 30.9 2.2

13 카타르 25.9 1.9

14 중국 14.8 1.1

15 브라질 14.2 1.0

16 앙골라 13.5 1.0

17 알제리 12.2 0.9

중동전체(마그레브지역 포함) 859 52

전세계 1,383.2 100.0

<전세계 원유 확인 매장량>

(단위: 십억배럴)

자료: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5)

<우리의 에너지 도입현황>

순위 원유 천연가스

국가 물량 비중 국가 물량 비중

1 사우디 303,049 31.9 카타르 10,587 30.2 2 쿠웨이트 137,647 14.5 인도네시아 6,206 17.7 3 카타르 103,825 10.9 오만 4,164 11.9 4 이라크 93,122 9.8 말레이시아 4,036 11.5 5 UAE 86,536 9.1 예멘 2,604 7.4 6 이란 56,146 5.9 러시아 2,050 5.8 7 러시아 30,551 3.2 브루나이 837 2.3 중동 전체 811,950 85.7 17,355 48.7

총액 947,292 100.0 34,970 100.0 KITA∙한국석유&가스공사, 2012년 기준

(단위: 물량 천Bbl/천톤, 비중 %)

(6)

<해외건설 수주 실적>

(단위: 억불, 건, %)

순위 국가명 금액 건수 비중(%)

1 사우디 1,188 1,708 20.9

2 UAE 650 250 11.4

3 리비아 366 296 6.4

4 쿠웨이트 309 225 5.4

5 싱가포르 288 282 5.0

6 이라크 222 149 39.

7 베트남 220 815 3.8

8 인도 163 175 2.8

9 카타르 142 91 2.4

10 중국 137 790 2.4

중동전체 3,304 3,208 58.1

총계 5,680 9,324 100.0

해외건설협회, 2013.6월 현재 누계기준

(7)

Ⅱ. 중동건설 진출 역사

1. 진출역사

• 1974. 삼환기업, 최초로 사우디 젯다 공항→

메카 공항로 확장공사

• 1976-80 현대건설 사우디 주베일 산업항 건설공사- 20세기 최대 항만공 사(9.5억불)

• 1984-2003 동아건설 리비아 대수로공사 (106억불)- 당시 세계 최대 토목공사

• 1970-80년대 중동 진출, 우리경제 도약의 발판

• 대규모 국제 입찰 참여와 공사과정 경험으로 국제경쟁력 배양에 크게 기여

• 우리국민의 외국=서양이라는 서구 중심의

문화인식에서 아랍세계와 이슬람에 대한 관심과 이해 증가.

(8)

사우디 주베일 항만 공사

(9)

리비아 대수로 공사

(10)

2. 제2의 중동붐

• 1990년대 저유가로 인해 주춤했던 중동건설 진출은 2000년 이후 고유가로 다시 활기.

- 최근 10년간 전체 해외공사 수주액의 63%을 중동지역에서 수주.

• 진출분야: 산유국 중심의 석유화학, 발전, 가스플랜트, 대규모 신도시개발, 유전, 가스개발참여.

• 주요프로젝트

- 사우디 라빅 화력발전소 (2010- 두산중공업, 36억불, 단일 화력발전소 세계최대)

- UAE 원전건설 (2009- 한전컨소시엄, 200억불, 단일프로젝트 수주사상 최대)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건설 (2012- 한화건설, 약80억불, 이라크 최초의 신도시개발)

(11)

Ⅲ. 국별 진출방안

1. 사우디

가. 사우디 시장의 중요성

• 우리나라의 지속적, 안정적 에너지 확보를 위한 핵심국가 - 우리 원유 소요량의 1/3공급(2012년 3억배럴)

• 핵심 건설 수주 국가

- 2010년 이후 100억불 이상 수주

· 10년 105억불→11년 166억불→12년 162억불

• 2012년 기준 사우디와 우리나라는 상호 4대 교역대상국 - 수출 2005년 21억불→2012년 91억불

- 수입 2005년 161억불→2012년 397억불

(12)

나. 유망 진출분야

1) 건설, 플랜트산업

• 2013년 사우디 예산중 건설재정지출 19% 증가 - 철도, 경전철 건설추진

• 2013.9 현재 87개사 132건 프로젝트(약578억불) 시공중, 주재 건설 인력 5,655명

(13)
(14)

다. 보건 의료산업

• 사우디정부 연간 11,000명(약 3600억원 규모) 환자 해외이송치료

• “아랍의 봄” 영향 차단 위해 대국민 복지정책

강화 - 2013년 예산 2211억불 중 보건·복지 예산 267억불 전년대비 16% 증가

• 2012.2 한·사우디 보건 의료분야 협력 시행계획서 체결, 2013.9 보건복지부 장관 사우디 방문시 시행협약 체결

- 사우디 의료진 연수 프로그램 (서울대 병원 등 5개 병원 연 평균 100명 사 우디 의사 연수 추진)

- 사우디 병원 정보화 사업·시행협약 체결 추진중

(15)

라. 에너지 산업

• 매년 7%이상 전력수요증가, 전력인프라·투자확대중

- 2032년까지 전체 전력수요의 50%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원자력으로 공급 한다는 계획, SMART GRID 도입 추진

(16)

2. 쿠웨이트

가. 쿠웨이트 정치·경제의 특성

• 세계5위 원유 부존국(매장량 1015억배럴, 일일생산량 300만배럴)

• 재정,무역수지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공무원 임금인상, 보조금 확대 등 경상지출 급등세로 조만간 재정적자 우려

- IMF 2017년 재정적자 발생가능성 경고

• 인프라 투자 미흡(GCC국가중 가장 낙후)

• 정부와 의회간 갈등에 따른 잦은 의회해산으로 정치불안정 (2006-13년간 의회해산, 총선 6회실시)

- 대규모 국책프로젝트 지연 빈발:

민자담수발전소(15억불), 코즈웨이(26억불)취소, 착공지연, 도하링크(10억불), 국제공항터미널(32억불)

(17)

Corniche of Kuwait

(18)

Corniche of Kuwait

(19)

나. 쿠웨이트 경제개발 추진동향

• 국가비전(Kwait 2035): 막대한 재정흑자를 토대로 경제 도약 추진중 - 원유생산 증대 (2020년까지 300만b/d→400만b/d)

- 정유생산 증대 (2020년까지 90만b/d→150만b/d) - 걸프지역 금융·물류 허브화

• 담수, 발전 등 민자사업 활성화

• 신도시개발(민자방식), 주택 17만호 건설계획

다. 쿠웨이트 경제개발 추진동향

• 16개 건설사, 30여개 현장(145억불 규모), 우리 인력 1,100여명, 외국인 23,000여명 근무

• 2012년 총교역규모 198.8억불

- 수출 15.8억불(자동차, 휴대폰, 전자제품) - 수입 183억불(원유, 석유류제품)

(20)

라. 유망 진출분야

• 에너지, 과학·기술 협력

- 에너지효율 등급제: 태양광 패널시범사업 쿠웨이트 공무원 연수 - 쿠 국영석유공사와 한국 석유협회, 정유사간 공동세미나

- 3차 한-쿠 에너지 협력위

• 인프라, 플랜트 건설협력

- 4차 한-쿠 건설협력위 계기 아국기술소개 - 신도시 협력 MOU

- 쿠웨이트 토목전문가 12명 자비 방한연수

• 환경분야 기술협력

- 쿠웨이트 토양오염 복원사업

• 보건의료부문 협력

- 한국 보건복지부 대표단 방문(2013.6), 보건협력 MOU협의

(21)

3. UAE

가. 대 UAE 협력 추진 여건

• 전략적 동반자관계

- 2009년 원전수주계기 실질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급속히 발전

• 에너지 안정적 공급국이자 건설, 플랜트 수주 대상국

- 매년 8700만 배럴(전체의 9.1%) 원유도입 및 30-60억불 규모 건설, 플랜트 수주

• Post-oil시대의 발전전략을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벤치마킹하려는 인식 확산 - 전자정부, 중소기업, 보건의료, 교육, 문화, 특허, 치안, 방산 등 분야에서도 한국과 협력 강화

• 160여개 한국기업, 10,000여명 우리국민진출, 삼성, LG, 현대차 등 중동·북 아프리카지역 본부운영

(22)

UAE 원전 수주

(23)
(24)

나. 대 UAE 진출 방안

• 「우리의 강점+상대국 필요」에 기초한 신 시장 진출 기회 창출 - 우리의 IT강점을 살려 UAE의 전자정부 및

정보화관련 사업에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 창출 (CCTV, 병원진료 시스템, 스마트스쿨 등)

• 양국 보건 의료 분야 협력을 통한 UAE 환자 방한 치료 유치, 우리 병원, 의료 인력의 UAE진출 사업도 추진

• 원자력, 항공(조종사, 승무원, 정비), 보건, 의료, 금융, 특허 등 UAE 인력수요 가 많은 분야 우리 전문인력 현지 취업 확대

• 우리 ‘아크부대’의 UAE파견을 우리나라 고등훈련에 무인기, 복합소총 등 방산물자 수출 기회로 활용

(25)

4. 카타르

가. 카타르 정세

• 95년 하마드 국왕 집권이래 가장 부유하고 안정적인 국가로 급부상한 카타르는 독자적 실리외교, 구사 등을 통해 GCC내 영향력 확대에 성공 - 2011년, 1인당 GDP $97,967(세계 최고)

- ‘아랍의 봄’ 여파로 인한 국내 시위 전무

• 2013년 걸프 왕정국가로는 최초로 국왕 생존시 왕위 Hamad→Tamim

• 독자적인 외교행보

- 2013.2. 카타르 국왕의 Gaza 방문, 하마스 지도자와 회동 - 시리아내전에 있어서 순니 반정부 세력에 무기지원

-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출신 Mohamed Morsi대통령 축출 후 신군부지지

(26)
(27)

나. 카타르 진출 방안

• 카타르 진출 한국기업: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삼성물산, SK건설, 쌍용건설, 삼우건축, 현대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등 20여개 건설사

·2013.5 우리기업이 수행중인 공사는 총 16건 46억불 규모

• 대형프로젝트

- 2022년 월드컵 때 인프라 공사, 경기장, 호텔, 석유화학

※ 카타르 국가 비전 2030

• 현대화와 전통보존

• 관리 성장과 자유로운 확장

- 과열 경기, 불균형으로 인한 급속한 물가 상승

• 환경보존과 경제성장, 사회개발

- 경제성장에 따른 환경문제 최소화를 위한 환경개선 - 기술투자 확대

(28)

• 노동력 개발 및 노동시장균형 유지

- 외국인 노동인구의 증가에 따른 문제 해결 노력 (190만명 중 순수 카타르 인구 30만명)

• 유망 진출분야

- 도시계획, 철도건설, 물, 환경분야협력

(29)

5. 오만

가. 오만의 최근 대외 관계

• 최근 이란 정부의 태도변화와 관련, 일부 외국 언론은 오만 정부의 역할론 제기 - 카부스 국왕, 로하니 대통령취임 후 외국 국가 원수로는 최초로 이란 방문 (2013.8.25-27)

- 일부 이란언론, 카부스 국왕이 이란 핵 문제 관련 서방측의 의문을 전달했을 가능성 보도

※ 과거에도 오만은 이란과 우호관계 유지.

2009년 이란에서 간첩혐의로 체포된 미국인 3명에 대한 석방노력

※ 1975년 Dhofar지역 반란진압시 이란의 군사적 지원

• 오만은 이란과 서방간의 중재자 역할 수행

-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시 무스카트에서 정전협상 주최 - 최근 주 영 오만대사관은 영국에서 이란 대표역할 수행

(30)

• 오만의 대 이란 제재 참여

- 타국 국내 정세 불간섭 및 중립 원칙에 따라 이란 제재에 대한 공식 입장 미발표 (적극적인 제재시행 않는 것으로 관측)

- 최근 4년간 오만을 통해 이란으로 재수출하는 무역량 증가 추세 (주요 재수출품목: 자동차부품, 담배, 의류, 신발)

<오만의 대 이란 수출 현황>

(단위: 백만US$)

구분 2007 2008 2009 2010

수출 19.0 55.4 14.9 7.1

재수출 323.1 415.9 638.1 483.3

- 오만이 우회 교역경로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 가능

(31)
(32)
(33)

6. 바레인

가. 바레인 정세

• 불안정한 종파구성(시아 60%)

• 금융산업 거점 두바이로 이동

• 정치적 불안정

- ‘아랍의 봄’ 당시 GCC반도방위 군 바레인 파견)

• 석유자원 빈약

- 바레인은 GCC지역에서 최초로 석유발견(1932), 부존량은 빈약(4-5만b/d)

나. 바레인 비즈니스 환경

• GCC국가중 경제 자유도 및 최고의 양호한 비즈니스 환경 - 스폰서 제도 폐지

• 기존 사우디와 연육교 및 카타르와 연결중인 연육교 완성시 역내 물류 거점 발전 가능성

(34)
(35)

참고: GCC국가의 對이란 문제 입장

국가 기본 입장 특이 사항

사우디 ㅇ 이란의 핵무기 개발 가능성 이 높다고 보며, 이 경우

사우디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 는 입장

ㅇ 이란의 핵개발을 종파(순니

↔시아)간 대립, 역내패권장악 의도로 파악

- 페르시아만을 사이 로 양국은 OPEC내 제 1,2위 산유국

UAE ㅇ 지정학·종교적 이유로 이란 을 최대 위협국으로 인식

- 다만, UAE 경제에서 이란계 비중이 높고, UAE가 이란의 주요 재수출 시장이라는

점에서 실질관계 간과 불가

- 이란과는 40년간

호르무즈해협 Abu

Musa 등 3개 도서

영유권분쟁 진행중

(36)

참고: GCC국가의 對이란 문제 입장

국가 기본 입장 특이 사항

카타르 ㅇ 핵무기 보유를 역내 불안정 야기 요인으로 간주

-다만, 이란과의 관계 악화시 가스전 안정 개발에 대한

우려로 이란 핵문제에 대해서 는 중립적 입장

※ 카타르 국왕, 테헤란 비동맹 회의 참석

- 세계최대 단일 가스전인 북부가 스전(north field) 을 이란과 공유

오만 ㅇ 이란과의 우호관계.

오만은 이란의 몇 안되는 대외 창구 역할

※ ’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시 양측과 비밀 정전협상 전개

-’09년 간첩 협의

로 체포된 이란내

장기수감자 (미국

인3명) 석방 중재

(37)

참고: GCC국가의 對이란 문제 입장

국가 기본 입장 특이 사항

쿠웨이트 ㅇ 국내 이란인 규모가 GCC중 최대로, 경제관계 활발 - 이란 핵개발로 인한 걸 프 해수오염 가능성 우려 바레인 ㅇ ‘11 이란의 바레인 시

아파 시위대 옹호시 이란 을 강력 비판

- 투명하고 평화적인 핵 이용은 찬성

-19세기부터 이란은 바레인(1601-1783 페 르시아 지배)영유권 주장.

그러나 ’70바레인 주 민들이 이란 귀속을 원치 않는다는 UN

보고서에 이란이 승복

참조

관련 문서

∙ 아래 제시한 학과(전공) 외에 지원 가능 학과(전공)와 관련한 문의 사항은 본교 컴퓨터공학과(02-901-8341), IT미디어공학과(02-901-8646)로

○ 2009년에는 균특법 개정에 의해 기초생활권정책 및 포괄보조금제도를 도입하 여 ‘우리 국민이 국토 내 어디에 살든지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한다는 지역

문의하기 01 실시간 문의하기 02 이웃추가하고 소식받기 03 무료

- 이에 Union Fenosa Gas는 지난 4월 이집트 정부 상대로 국제상업회의소에 제소한 바 있음.. - 이집트 정부는 이번 광구분양의 입찰 마감일이 연기된 정확한 이유에 대해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대상으로 고려해야 하는 온라인자료의 영역 및 유형을 파악하고 해당 자료유형들을 수집할 수 있는 접근 점을 제시하였으 며,

[r]

이번 주 모스크바에서 투르크메니스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Gurbanguly Berdimuhamedov) 대통 령이 러시아 드리트리 메드베데프(Dmitri

Section 02 CMOS 인버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