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장 다이오드와 그 응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장 다이오드와 그 응용"

Copied!
4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장 다이오드와 그 응용

2.1 다이오드의 동작

◉ 다이오드(Diode)

- 그림 2.1(a)와 같이 다이오드는 pn접합에 금속단자를 접촉하고 리드선을 연결

⇒ 그림 2.1(b)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의 도식적 기호를 표시

⇒ p영역은 양극(anode) 단자, n영역은 음극(cathode) 단자

⇒ 화살표는 순방향 전류의 방향을 표시

A (Anode)

K (Cathode)

(a) 기본 구조 (b) 기호

음극 공핍영역

금속 단자 양극

그림 2.1 다이오드의 구조와 기호

◉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

- 그림 2.3과 같이 다이오드의 p영역에 (), n영역에 ()의 전압 를 인가

⇒ 바이어스 전압 는 장벽전위보다 크게 인가,  0.7V

⇒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

- 그림 2.3에서 저항 는 과전류에 의한 pn접합의 파괴를 막기 위한 제한저항





p영역 n영역 금속단자와 배선

그림 2.3 순방향 바이어스 회로

(2)

- 그림 2.4는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 전자와 정공의 이동 상태를 표시

⇒ n영역의 전자들은 ()전압에 밀려 접합면을 넘어 p영역으로 이동

⇒ p영역으로 이동한 전자들은 에너지를 잃고 가전자대의 정공과 결합

⇒ 가전자대의 전자들은 ()전압에 끌려 p영역의 왼쪽 끝으로 이동

⇒ 전자의 이동과 반대로 정공들은 접합면을 향해 오른쪽으로 이동

⇒ 전원의 음의 단자를 통해 전자들은 n영역으로 계속해서 공급

⇒ 전자의 흐름은 전자전류, 정공의 흐름은 정공전류를 형성

공핍영역

p영역 n영역

그림 2.4 순방향 바이어스 시 다수캐리어의 이동

- 그림 2.5(b)와 같이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공핍영역 내로 전자들이 공급

⇒ n영역의 양이온들은 전자와 재결합하여 도너원자로 환원

⇒ p영역의 음이온들은 전자를 잃고 억셉터원자로 환원

⇒ 접합부 근방의 이온층이 감소하여 공핍영역이 축소

공핍영역

(a) 바이어스가 없는 경우 (b)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

공핍영역

그림 2.5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할 경우의 공핍영역

-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n영역의 전자들이 전위장벽을 넘어 p영역으로 이동

⇒ 전자가 공핍영역을 통과할 때 장벽전위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손실

⇒ pn접합에서 장벽전위(0.7V)와 같은 크기의 전압강하가 발생

- 반도체 내부의 동적저항(dynamic resistance)으로 인해 추가적인 전압강하 발생

(3)

2.1 다이오드의 동작 17

◉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

- 역방향 바이어스는 본질적으로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조건

⇒ 그림 2.6과 같이 p영역에 (), n영역에 ()의 전압 를 인가

⇒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





p영역 n영역

그림 2.6 역방향 바이어스 회로

- 그림 2.7은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 전자와 정공의 이동 상태를 표시

⇒ ()전압에 끌려 접합면 부근의 전자들이 ()단자 쪽으로 이동

⇒ n영역의 도너원자들은 전자를 잃고 도너이온(양이온)으로 전이

⇒ 전압원의 ()단자로부터 전자들이 p영역의 가전자대로 유입

⇒ 가전자들은 정공에서 정공으로 접합부(공핍영역) 쪽으로 이동

⇒ 공핍영역 부근의 억셉터원자와 결합하여 억셉터이온(음이온)을 생성

⇒ 접합부를 중심으로 이온층이 증가하여 공핍영역이 확대

⇒ 가전자들의 흐름과 반대로 정공은 ()단자 쪽으로 이동

공핍영역

p영역 n영역

그림 2.7 역방향 바이어스 시 다수캐리어의 이동

(4)

- 그림 2.8과 같이 공핍영역이 확대되면서 캐리어인 전자와 정공의 이동이 감소

⇒ 이온층의 전계는 공핍영역 양단의 전위가 와 같아질 때까지 증가 - p영역의 소수캐리어인 전자는 () 바이어스 전압에 밀려서 공핍영역으로 이동

⇒ 에너지 언덕을 내려와 가전자로서 n영역의 소수캐리어 정공과 결합

⇒ () 바이어스 단자 쪽으로 이동하면서 작은 정공전류를 생성

⇒ p영역과 n영역의 소수캐리어에 의한 약간의 역전류만 존재

공핍영역

p영역 n영역

그림 2.8 역방향 바이어스된 다이오드의 역전류

•역방향 항복(Reverse Breakdown)

- 역방향 바이어스가 한계전압 이상이 되면 원자의 공유결합이 연쇄적으로 파괴

⇒ 급격히 자유전자가 증가하여 과도한 전자전류를 생성

⇒ 전자사태항복(avalanche breakdown)

- 전자사태항복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의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

⇒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

- 전자사태항복이 시작되면 급격한 자유전자의 증가로 역방향 단락 상태에 도달

⇒ 다이오드는 큰 역방향 전류로 인한 심한 열 손상 때문에 파손

(5)

2.2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19

2.2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 순방향 바이어스 시 V-I 특성

- 그림 2.9와 같이 다이오드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순방향 전류가 발생

⇒ 회로의 저항은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여 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

⇒ 그림 2.9(a)와 같이 를 점차 증가시키면도 증가

⇒ 그림 2.9(b)와 같이  (0.7V)가 되면 는 급격히 증가

⇒ 가 계속 증가해도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은 0.7V로 일정

(a) 순방향 전압  0.7V





(b) 순방향 전압  0.7V





0.7V

그림 2.9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의 측정 결과

- 그림 2.10은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했을 때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표시

⇒ 가 곡선의 변곡점인 0.7V에 이르기까지 는 미소 증가

⇒ 0.7V가 되면 순방향 전류 는 급격히 증가

⇒ 동적저항에서의 전압강하로 인해 는 0.7V보다 약간 증가

- 그림 2.10(a)에서 점 A는 바이어스 전압   0V인 바이어스 조건을 표시

⇒ 점 B는  0.7V, 점 C는  ≥0.7V의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 - 그림 2.10(b)는 동적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2.10(a)의 확대 그래프를 표시

⇒ 다이오드의 동적저항은 에 대한의 변화의 비,   



⇒ 동적저항은 변곡점 아래에서 극대, 변곡점 이상에서 극소

(6)

C

변곡점 0.7V

[mA]

0 0

A B

[mA]

(a) V-I 특성 곡선 (b) 그림 (a)의 곡선 부분 확대도 그림 2.10 순방향 바이어스된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관계

◉ 역방향 바이어스 시 V-I 특성

- 그림 2.11과 같이 역방향 바이어스를 증가시키면 역방향 전압 이 증가

⇒ 이 항복전압에 이르기 전까지 역전류 은 미소

⇒ 이 되면 역방향 전류 이 급격히 증가

-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 를 계속 증가시켜보다 증가, 

⇒ 큰 역방향 전류 이 발생하여 다이오드는 과열되어 파손

[A]

0

0

변곡점



그림 2.11 역바이어스 시의 V-I 특성곡선

- 다이오드의 항복전압 은 일반적인 정류 다이오드의 경우에 50V 이상

⇒ 제너 다이오드와 같은 특수 다이오드의 경우에는 5V 정도

(7)

2.2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21

◉ 완전한 V-I 특성곡선

- 그림 2.12는 순방향 및 역방향 바이어스 시의 전압-전류 특성곡선을 표시

⇒ 순방향 전류 는 [mA], 역방향 전류 은 [A]

0.7V

[A]

0

변곡점



[mA]

장벽전위

바이어스순방향

바이어스역방향

그림 2.12 다이오드의 V-I 특성곡선

- 그림 2.13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다이오드의 V-I 특성 곡선의 변화를 표시

⇒ 청색 곡선은 상온 25°C, 적색 곡선은 25°C에서의 특성곡선

⇒ 온도가 증가하면 장벽전위가 감소하여 순방향 전압은 감소

⇒ 온도가 증가하면 순방향 전류 및 역방향 전류는 증가

0.7V

[A]

 0

[mA]

25°C 

25°C

1A 1mA

0.7 

그림 2.13 V-I 특성곡선의 온도 효과

(8)

2.3 다이오드의 등가모델

◉ 다이오드의 바이어스

- 그림 2.14(a)와 같이 전압원이 연결되었을 때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

⇒ 전압원의 ()단자를 양극(A)에 연결, ()단자를 음극(K)에 연결

⇒ 다이오드의 양극(A)에서 음극(K)으로 순방향 전류 가 형성

⇒ 다이오드에 장벽전위로 인한 순방향 전압강하 가 발생

(a) 순방향 바이어스

 0

(b) 역방향 바이어스 그림 2.14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바이어스

- 그림 2.14(b)와 같이 전압원이 연결되었을 때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

⇒ 전압원의 ()단자를 음극(K)에 연결, ()단자를 양극(A)에 연결

⇒ 역방향 전류는 ≃0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무시 가능

⇒ ≃이므로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압강하는 ≃

(9)

2.3 다이오드의 등가모델 23

◉ 다이오드의 근사해석

•이상 다이오드 모델

- 다이오드를 이상적인 전자스위치로 간주하고 회로의 동작이나 원리를 해석

⇒ 그림 2.15(a)와 같이 순방향 바이어스시 단락스위치(ON)로 동작

⇒ 그림 2.15(b)와 같이 역방향 바이어스시 개방스위치(OFF)로 동작

⇒ 장벽전위(0.7V), 순방향 동적저항(내부저항), 역전류는 무시 - 그림 2.15(c)는 이상적인 다이오드 모델의 전압-전류(V-I) 특성곡선을 표시

⇒ 장벽전위 0.7V와 순방향 동적저항 는 무시,   0A

⇒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는   0V

ON OFF

A K

(a) 순방향 바이어스

(b) 역방향 바이어스 (c) 이상적인 V-I 특성곡선



 0



 0

A K

그림 2.15 이상적인 다이오드 모델

- 순방향 전류 는 제한저항와 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식 (2.1)로 결정

⇒ 역방향 전류는 무시, ≃0A

 



(2.1)

-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압강하는 바이어스 전압과 동일, ≃

(10)

•실용 다이오드 모델

- 이상 다이오드 모델에서 장벽전위에 대응하는 전압강하(0.7V)를 고려한 모델

⇒ 순방향 바이어스시 단락스위치와 장벽전위의 직렬접속으로 표시

⇒ 역방향 바이어스시 이상적인 모델과 같이 개방스위치로 취급 - 그림 2.16(c)는 실용 다이오드 모델에 대한 전압-전류(V-I) 특성곡선을 표시

⇒ 장벽전위 0.7V는 포함되고 순방향 내부저항 는 무시

⇒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는   0.7V

(a) 순방향 바이어스 (b) 역방향 바이어스 (c) V-I 특성곡선



A

K



 0

A K

ON OFF

0.7V

그림 2.16 실용 다이오드 모델

- 그림 2.16(a)에서 순방향 전류 는 KVL을 적용하여 식 (2.2)에 의해 결정

⇒ 이상적인 모델과 같이 역방향 전류는 무시, ≃0A

, 

 





 



 

 

(2.2)

-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압강하는 바이어스 전압과 동일, ≃

(11)

2.3 다이오드의 등가모델 25

•완전 다이오드 모델

- 그림 2.17과 같이 순방향 동적저항 , 역방향 동적저항 , 장벽전위로 구성

⇒ 순방향 바이어스시 장벽전위, 동적저항 , 단락스위치의 직렬접속

⇒ 역방향 바이어스시 동적저항 과 개방스위치의 병렬접속

⇒ 순방향 동적저항 는 극소, 역방향 동적저항 은 극대

- 그림 2.17(c)는 완전 다이오드 모델에 대한 전압-전류(V-I) 특성곡선을 표시

(a) 순방향 바이어스 (b) 역방향 바이어스



A

0.7V  K

(c) V-I 특성곡선



A K

[A]

[mA]

0.7V

그림 2.17 완전 다이오드 모델

- 그림 2.17(a)에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 는 다음 식에 의해 결정

   

- 순방향 전류 는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KVL)을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유도

 

  

 

- 그림 2.17(c)에서 역방향 전류 은 수 A정도의 매우 작은 크기, ≃0A

⇒ 역방향 전압강하 이 주어지면 다음 식에 의해서 계산

, 

(12)

【예제 2.1】(a) 각 다이오드의 모델에 대해 그림 2.18(a)의 다이오드에 대한 순방향 전압 과 전류를 구하고, 각 경우에 대해 제한저항 양단의 전압을 구하라. 단, 순방 향 내부저항 는 순방향 전류에서 10Ω으로 가정한다.

(a)



10V 1kΩ

(b)



10V 1kΩ

그림 2.18 예제 2.1의 회로

- 이상 다이오드 모델,   0V

 V

 





 

   × A  mA

- 실용 다이오드 모델,   0.7V

        V

 





 

   × A  mA

- 완전 다이오드 모델,  

 

 

 

   

  

  × A  mA

  × ×   V

      V

(13)

2.3 다이오드의 등가모델 27

(b) 다이오드의 각 모델에 대해 그림 2.18(b)의 다이오드에 흐르는 역방향 전류와 전 압을 구하고, 각 경우에 대해 제한저항 양단의 전압을 구하라.  1A.

- 이상 다이오드 모델

 A,  V,  V

- 실용 다이오드 모델

 A,  V,  V

- 완전 다이오드 모델

 A   A

 ×   V  mV

     V

(14)

2.4 반파 정류기

◉ 직류 전원공급장치

- 220[V], 60[Hz]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 직류전원공급장치(DC power supply)

- 그림 2.19는 정류기, 필터,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직류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정류기

0 0

 

교류전압 정류된 파형 필터링된 파형 직류전압

직류전원공급장치

필터 레귤레이터

그림 2.19 정류기와 부하를 가진 직류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 교류전압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된 맥류(脈流)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 정류기(rectifier)

- 정류된 전압에서 파동을 줄여 비교적 평탄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 필터(filter)

- 필터링된 전압을 평탄한 정전압, 즉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 입력전압이나 부하의 변화에 대해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 레귤레이터(regulator)

◉ 반파 정류기(Half-Wave Rectifier)

- 그림 2.2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사인파 전압이 반파 정류되는 과정을 표시

⇒ 다이오드는 교류전원과 부하저항을 연결하여 반파 정류기를 구성

⇒ 이상적인 다이오드 모델을 사용하여 출력전압에 대해 고찰

(15)

2.4 반파 정류기 29

(a) 반파 정류회로의 양()의 반주기 동안의 동작

(b) 반파 정류회로의 음()의 반주기 동안의 동작

(c) 입력의 3주기 동안의 반파 출력전압

0





A K

0  0 

 0





A K

0  0 

그림 2.20 이상적인 다이오드 반파 정류기 회로의 동작

- 그림 2.20(a)와 같이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동안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  0

⇒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동일,  

- 그림 2.20(b)와 같이 입력전압의 음의 반주기동안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  0이므로 다이오드 양단의 역방향 전압 

⇒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은  0

- 그림 2.20(c)와 같이 입력전압의 3주기 동안 출력전압은 맥동하는 직류전압

- 그림 2.21과 같이 반파 정류된 전압의 평균값은 파형의 면적을 주기로 나눈 값

⇒ 첨두값 에 대해 평균값는 식 (2.3)으로 표시

0 2

 면적

그림 2.21 반파 정류된 신호의 평균값

(16)

 



  

sin  

  cos

  

cos  cos   

⋅ 

 

(2.3)

【예제 2.2】그림 2.22와 같이 반파 정류된 파형의 평균값은 얼마인가?

50V

0V

그림 2.22 반파 정류된 파형

 

 

 ≒ V

◉ 반파 정류기의 출력에서 장벽전위의 영향

- 그림 2.5에서 실용 다이오드 모델을 적용할 경우, 즉 장벽전위 0.7V를 고려

⇒ 입력전압이 0.7V이상일 때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

⇒ 출력전압의 첨두값은 입력전압의 첨두값보다 0.7V 작은 값

⇒ 출력전압의 첨두값은 식 (2.4)로 표시

 0.7V (2.4)



0.7V



0

0.7V

0

(17)

2.4 반파 정류기 31

【예제 2.3】그림 2.24에 주어진 입력전압에 대해서 각 실리콘 정류기 회로의 출력전압의 파형을 그려라.

0 +5V

-5V



1N4001 1kΩ

(a)

0 +100V

-100V

  1N4003

1kΩ

(b) 그림 2.24 예제 2.3의 회로

  V       V

  V       V

0 4.3V

(a)

0 99.3V

(b) 그림 2.25 그림 2.6의 회로에 대한 출력전압

◉ 최대 역전압(PIV)

- 그림 2.26에서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되었을 때 인가전압의 음의 첨두값

⇒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 PIV)

PIV (2.5)

-  

 0

에서 PIV

 0

그림 2.26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되었을 때 PIV

(18)

◉ 변압기를 사용한 반파 정류기

- 그림 2.27와 같이 변압기는 전원전압을 필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하는 장치

⇒ 변압기는 교류전원을 정류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분리



F

그림 2.27 변압기를 사용한 반파 정류기

-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은 1차측 전압과 권선비의 곱으로 계산 가능,  

⇒ 1차측 권선수 , 2차측 권선수 , 권선비   일 경우

⇒ 이므로 식 (2.4)와 (2.5)에서 로 대체

 0.7V(순방향), PIV(역방향)

【예제 2.4】그림 2.28에서 권선비가 0.5일 때 출력전압의 첨두값을 구하라.

1kΩ 2:1

 0 156V

1N4002



F

그림 2.28 예제 2.4의 회로

  V,   

 

  

×   V

  V       V

(19)

2.5 전파 정류기 33

2.5 전파 정류기

- 그림 2.29와 같이 전파 정류기는 입력의 반주기마다 맥동하는 직류전압이 출력

⇒ 양의 출력전압이 반파 정류에 비해 2배이므로 평균값도 2배

⇒ 전파 정류의 평균값 는 첨두값의 63.7%(2/)

 



  

sin 

  cos

  

cos  cos   

⋅ 

 

 (2.6)

0 전 파

정류기 0

그림 2.29 전파 정류 작용

【예제 2.5】그림 2.30에서 전파 정류된 전압의 평균값을 구하라.

0 15V

그림 2.30 예제 2.4의 파형

 

 

×   V

(20)

◉ 중간탭 전파 정류기(Center-taped Rectifier)

- 그림 2.31과 같이 변압기의 2차 측에 중간탭을 달고 2개의 다이오드를 연결

⇒ 입력신호는 변압기를 통해 중간탭의 2차 측에 결합

⇒ 2차 전압의 반이 중간탭과 2차 권선의 양끝에 표시

 



CT

D1

D2

그림 2.31 중간탭 전파 정류기



D1

D2

0 0



F

(a) 양의 반주기 동안 D1은 순방향 바이어스, D2는 역방향 바이어스

(b) 음의 반주기 동안 D1은 역방향 바이어스, D2는 순방향 바이어스 D1

F



D2

0 0



그림 2.32 중간탭 전파 정류기의 기본 동작

(21)

2.5 전파 정류기 35

- 그림 2.32(a)에서 입력의 양의 반주기 동안 D1은 순방향, D2는 역방향 바이어스

⇒ 전류는 부하저항 을 통해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

- 그림 2.32(b)에서 입력의 음의 반주기 동안 D1은 역방향, D2는 순방향 바이어스

⇒ 전류는 부하저항 을 통해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

- 그림 2.33과 같이 변압기의 권선비가 1일 경우의 정류된 출력전압의 첨두값

⇒ 1차 전압의 첨두값의 반에서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뺀 전압

1:1

-  

  

 





CT D1

D2

-



-





  

 

0 0

F

그림 2.33 변압기의 권선비가 1인 중간탭 전파 정류기

- 그림 2.34와 같이 권선비가 2인 변압기를 사용하면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동일

⇒ 2차 전압 가 1차 전압의 2배이므로 중간탭에 의해 양분

⇒ 출력전압은 전체 2차 전압의 1/2에서 0.7V를 뺀 값

⇒ 중간탭 전파 정류기의 출력전압은 식 (2.7)로 표시

  

    (2.7)



1:2

-  

  







CT D1

D2

-

   

0 0

F

-

그림 2.34 변압기의 권선비가 2인 중간탭 전파 정류기

(22)

- 그림 2.35와 같이 다이오드 D1은 순방향, D2는 역방향 바이어스된 경우

⇒ D1의 최대 양극전압은 



, D2의 경우는  



⇒ D1의 음극전압은 



 이 되어 출력전압을 형성

⇒ D1의 양단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D2 양단의 전위차

D1

D2

F





 

-





 



    

  

 

그림 2.35 다이오드의 역전압

  



 ,   ,    

PIV 



 

 



 



 



 

       

PIV    (2.8)

(23)

2.5 전파 정류기 37

【예제 2.6】(a) 그림 2.36과 같이 첨두값이 100V인 사인파가 1차 권선에 인가되었을 때, 2차 권선의 1/2 양단과 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 파형을 그려라.

2:1



F

10kΩ



+100V 0 -100V

D1

1N4001

D2

1N4001 그림 2.36 예제 2.6의 회로

  

,     

×   V

  



   

    V

0 +25V

-25V

0 +24.3V

 

그림 2.37 그림 2.36의 회로에 대한 출력전압

(b) 20%의 오차를 감안할 때, 다이오드의 최소 PIV는 얼마인가?

PIV      ×     V

- 20% 이상의 오차를 고려한 다이오드의 PIV 정격은 49.3×1.2≒60V

(24)

◉ 전파 브리지 정류기(Full-Wave Bridge Rectifier)

- 그림 2.38(a)와 같이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 D1, D2는 순방향 바이어스

⇒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 D3, D4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

⇒ D2→D1→로 구성된 회로를 통해 전류가 형성

- 그림 2.38(b)와 같이 입력전압의 음의 반주기 동안 D3, D4는 순방향 바이어스

⇒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 D1, D2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

⇒ D3→D4→로 구성된 회로를 통해 전류가 형성

⇒ 전파 정류된 전압이  양단에 출력

(a) 입력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의 동작

(b) 입력전압의 음의 반주기 동안의 동작





D1

D2 D4

0 F

D3





D1

D2

D4

D3

0 F

그림 2.38 전파 브리지 정류기의 동작

- 그림 2.39(a)와 같이 2차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 D1, D2는 순방향 바이어스

⇒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무시하면 출력전압의 첨두값은  

⇒ 2차 전압의 음의 반주기 동안에도 동일한 특성 표시

- 그림 2.39(b)와 같이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면  은 식 (2.9)로 표시

    (2.9)

(25)

2.5 전파 정류기 39

      D1

D2 D4

D3

0

F

(b) 실용 다이오드 모델 (a) 이상적인 다이오드 모델

      

0.7V 0

F

0.7V

그림 2.39 1차측 및 2차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의 출력전압

(a) 이상적인 다이오드 모델

(b) 실용 다이오드 모델 D1

D2 D4

D3

F

     0V

0V PIV

PIV

    0V



0.7V F

   

    

0.7V PIV

PIV -0.7V



0V

그림 2.40 2차측 전압의 양의 반주기 동안의 PIV

(26)

- 그림 2.40(a)와 같이 D1, D2는 순방향, D3, D4는 역방향 바이어스인 경우

⇒ D1과 D2는 단락 상태, D3와 D4에는 최대 역전압(PIV)이 인가

⇒ 다이오드의 PIV는 2차 전압(출력전압)의 첨두값과 동일

⇒ PIV 

- 그림 2.40(b)와 같이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경우의 다이오드의 PIV

⇒ 중간탭 정류기의 최대 역전압 PIV   보다 小

⇒ 중간탭 정류기의 PIV 정격의 1/2의 다이오드가 사용

PIV   (2.10)

【예제 2.7】그림 2.41에서 브리지 정류기에 대한 출력전압을 구하라. 실용 다이오드 모 델의 실리콘 다이오드에서 요구되는 PIV 정격은 얼마인가? 변압기는 1차 전 압의 실효값은 120V이고, 2차 전압의 실효값은 12V이다.

  



120V

D1

D2 D4

D3

F

    10kΩ

그림 2.41 예제 2.7의 회로

  ≒ V

         V ⋯ (2.9) PIV         V ⋯ (2.10)

(27)

2.6 전원공급장치의 필터와 레귤레이터 41

2.6 전원공급장치의 필터와 레귤레이터

- 그림 2.42는 정류된 전압의 변동을 줄이기 위한 필터회로의 블록도를 표시

⇒ 리플(ripple)은 필터 출력의 적은 양의 변화 성분을 표시

0 전 파

정류기 필 터 0

그림 2.42 전원공급장치의 필터

◉ 커패시터 필터(Capacitor Filter)

- 그림 2.43은 커패시터 필터와 부하저항을 가진 반파 정류회로의 동작을 표시

(b) 커패시터의 방전 구간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a) 커패시터의 초기 충전 구간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  

0 

  

0 

(c) 커패시터의 재충전 구간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0

0 





0

0 



그림 2.43 커패시터 필터를 가진 반파 정류기의 동작 (이상적인 다이오드)

(28)

- 그림 2.43(a)와 같이 입력전압의 1/4주기 동안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다이오드는 ON 상태, 커패시터는 입력전압의 첨두값까지 충전

⇒   에서 ,   ≤ 에서  

- 그림 2.43(b)와 같이 , 일 때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 다이오드는 OFF 상태, 커패시터는 부하저항 을 통해 방전

⇒    에서 출력전압은 커패시터 전압과 동일,  - 그림 2.43(c)와 같이 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  일 때 

⇒   ≤ 에서  이 되면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다이오드는 ON 상태, 커패시터는 다시 충전 시작

⇒   ≤ 에서 출력전압은  

- 그림 2.44과 같이 회로의 시정수가 클수록 커패시터의 방전시간이 長

⇒ 필터링된 전압의 리플은 작아지고, 필터의 효율은 증가

(a) 리플이 크면 필터 효과가 작은 것을 의미 0

(b) 리플이 작으면 필터 효과가 큰 것을 의미 0

그림 2.44 반파 리플전압

- 그림 2.45와 같이 전파 정류파의 주파수가 반파 정류파의 주파수의 2배

⇒ 전파 정류기의 필터링 효과가 반파 정류기보다 大

(a) 반파 정류된 파형 0

(b) 전파 정류된 파형 0

그림 2.45 전파 및 반파 정류된 전압의 주파수

(29)

2.6 전원공급장치의 필터와 레귤레이터 43

- 그림 2.46과 같이 동일한 부하저항과 동일한 커패시터로 필터링할 경우

⇒ 출력 펄스 사이의 간격이 전파 정류파가 반파 정류파보다 短

⇒ 커패시터의 방전시간은 전파 정류기가 반파 정류기보다 短

⇒ 전파 정류기의 리플전압이 반파 정류기의 리플전압보다 小

(a) 반파 정류된 파형

동일 기울기

0

리플(ripple)

(b) 전파 정류된 파형 0

리플(ripple)

그림 2.46 반파 및 전파의 리플 전압 비교

- 리플계수(ripple factor; )는 필터의 효율을 나타내며, 식 (2.11)과 같이 정의

⇒  는 첨두간(peak to peak)값, 는 필터링된 직류전압의 평균값

⇒ 리플계수는 부하 저항값이나 커패시턴스를 크게 하면 감소

⇒ 리플계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필터의 효율이 양호

  

 

(2.11)

0



 

 

그림 2.47 리플계수의 결정

- 충분히 큰 커패시터를 가진 전파 정류기의  는 식 (2.12)과 식 (2.13)

 

  (2.12)



  

      (2.13)

(30)

【예제 2.8】그림 2.48에 표시된 필터를 가진 브리지 정류기의 리플계수를 구하라.

1000F

   F

D2 D4

D3

10:1

   120Vrms

60Hz

D1

 

220Ω

그림 2.48 예제 2.8의 회로

- 1차 및 2차 전압의 첨두값 , 전파 정류된 전압의 첨두값  

 ×   ≒ V

  

  



 ×   V

          V ⋯ (2.9)

- 출력전압의 주파수  120Hz,  , , 은 식 (2.11)~(2.12)에 의해 계산

 

   × × × 

 ×   V

≅  

     

× ≒ V

  

 

 



 ,    

(31)

2.6 전원공급장치의 필터와 레귤레이터 45

◉ 정전압조정기(Voltage Regulator)

- 필터에 연결되어 입력이나 부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출력을 유지

⇒ 그림 2.50은 고정된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3단자 정전압조정기

접지

정전압 조정기

입력 출력

그림 2.50 입력 및 출력 커패시터를 가진 정전압조정기

◉ 전압변동율(Voltage Regulation)

- 무부하에서 최대 부하까지 출력전압의 변화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를 표시

⇒ 식 (2.15)에서 은 무부하 출력전압, 는 최대부하 출력전압

전압변동률 



× (2.15)

12.6Vac F

T 120Vac

6800F D2 D4

D3 D1

0.1A

정전압 조정기

1F

+5V

그림 2.51 기본적인 +5V 정전압조정 전원공급장치

【예제 2.9】특정 5V 조정기가 5.18V의 무부하 출력전압, 5.15V의 최대부하 출력전압을 가지고 있다. 퍼센트로 표현된 부하전압 변동률은 얼마인가?

전압변동률 



×  

  

×  

(32)

2.7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 다이오드 리미터(Limiter)

- 그림 2.52(a)에서 입력전압이 ≥ 0.7V일 때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입력전압이 ≥ 0.7V일 때 출력전압은   0.7V로 제한

⇒ 입력전압이 -≤ 0.7일 때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 -≤ 0.7일 때 출력전압은 ≃≫







,

(a) 양()의 주기 제한



A

0

-

0

- +0.7V

(b) 음( )의 주기 제한



A

0

-

0

-0.7V

그림 2.52 다이오드 리미터(클리퍼)의 예

- 그림 2.52(b)에서 입력전압이 ≤-0.7V일 때 다이오드는 순방향 바이어스

⇒ 입력전압이 ≤-0.7V일 때 출력전압은   -0.7V

⇒ 입력전압이 -0.7≤일 때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 -0.7≤일 때 출력전압은≃≫

참조

관련 문서

호흡 음식물로부터의 에너지 생성에 산소 이용, 이산화탄소 제거 순환 체액에 의해 물질의 이동, 균형 유지. 생식 새로운 개체나 세포의 균형

• Floating Wave Power Vessel(FWPV): 스웨덴의 Sea Power Int’l사가 수심 500m의 스코틀랜드 근해에 제작 설치한 부유식 TAPCHAN.. 서로 연결된 12개의 공 기

액체 내의 인력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이상의 운동 에너지를 가진 분자의 비율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증가 → 온도 상승에 따라 증기압 증가...

그리고 선형동 작을 위한 베이스

증폭기가 선형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동작점을 설정 부적절한 바이어스는 출력의 왜곡을 초래.. 부적절한

 케이준 음악에는 자이디코(zydeco)와 스왐프 팝 (swamp pop) 장르로 나눠지기도 하지만 전자는 빠른템포의 댄스 곡으로 리듬에 스타카토가 자주

 선택한 데이터를 드래그하여

제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