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조선시대자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조선시대자기"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담당 교수: 김세기

제13강 한국의 도자기(2)

(2)

1. 조선시대자기

가. 분청사기(粉靑沙器)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 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 [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 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 분청박지모란문병,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3)

1. 조선시대자기

분청사기의 특징은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다. 백 토분장의 동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 철분이나 잡물이 많이 섞인 조잡한 청 자가 제작되자 이러한 잡물을 감추기 위하여 백토로 분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또 한 14세기 당시 중국도자가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에서도 백자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표면을 백색화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 분청사 기는 이 백토분장을 어떻게 구사하느냐에 따라 분청상감, 분청인화, 분청박지, 분청 음각[彫花], 분청철회, 분청귀얄, 분청담금[덤벙]으로 구분된다.

(좌) 분청음각어문편병, 조선, 16세기, 호암미술관

(중) 분청인화국화문'내섬(內贍)'명 접시.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우) 분청철회당초문항아리, 조선, 16세기. 개인소장

(4)

1. 조선시대자기

가. 분청사기(粉靑沙器)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 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 [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 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 분청박지모란문병,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5)

1. 조선시대자기

분청사기의 특징은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다. 백 토분장의 동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 철분이나 잡물이 많이 섞인 조잡한 청 자가 제작되자 이러한 잡물을 감추기 위하여 백토로 분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또 한 14세기 당시 중국도자가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에서도 백자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표면을 백색화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 분청사 기는 이 백토분장을 어떻게 구사하느냐에 따라 분청상감, 분청인화, 분청박지, 분청 음각[彫花], 분청철회, 분청귀얄, 분청담금[덤벙]으로 구분된다.

(좌) 분청음각어문편병, 조선, 16세기, 호암미술관

(중) 분청인화국화문'내섬(內贍)'명 접시.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우) 분청철회당초문항아리, 조선, 16세기. 개인소장

(6)

1. 조선시대자기

가. 분청사기(粉靑沙器)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 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 [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 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으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 분청박지모란문병,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7)

1. 조선시대자기

분청사기의 특징은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다. 백 토분장의 동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 철분이나 잡물이 많이 섞인 조잡한 청 자가 제작되자 이러한 잡물을 감추기 위하여 백토로 분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또 한 14세기 당시 중국도자가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에서도 백자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표면을 백색화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 분청사 기는 이 백토분장을 어떻게 구사하느냐에 따라 분청상감, 분청인화, 분청박지, 분청 음각[彫花], 분청철회, 분청귀얄, 분청담금[덤벙]으로 구분된다.

(좌) 분청음각어문편병, 조선, 16세기, 호암미술관

(중) 분청인화국화문'내섬(內贍)'명 접시. 조선, 15세기, 호암미술관 (우) 분청철회당초문항아리, 조선, 16세기. 개인소장

참조

관련 문서

개시 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디엔 함량이 낮을수록, 용매 양이 적을수록 총고형량(TSC, Tatal Solid Contents)이 증가하였다.. 한편, 교반속도를 높이고, 분자량 조절제의

DFC, DEG의

13 이 글은 구체적인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 내 는 귀납적 추리 방식을 통해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15 (다)에서 글쓴이는 기술 의존 현상은 인간 진화의 자연스러

[r]

협의와 합의 법적 의미 차이를 고려해 볼 때 경영상 해고의 요건 구비 판단에

플록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폴리머를 일차 응집제로 사용하면 플록 강도와 크기가 향상되었지만, 다른 처리 옵션과 비교해 볼 때 플록 침전 속도에는 개선이 없었으며 유기 물질

9특히 대(중견)기업의 프린터 사용대수는 평균 3명당 1대로 분석되고 있 으며, 회사전체 사무기기 비용으로 볼 때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어 면밀한 비용구조 파악이 필요한

기존 허가사항 내 ‘이반드로네이트를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 치명적인 경우를 포함한 아나필락시스반응/쇼크 및 천식 악화를 포함한 알레르기반응’이 이상반응으로 포함되어 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