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6 장 보의 전단 강도 장 보의 전단 강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66 장 보의 전단 강도 장 보의 전단 강도"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66 장 보의 전단 강도장 보의 전단 강도

6.1 개요   

R.C. 구조물의 전단 해석 : 보의 휨이론과 같이 이론적 근거가 아직 정립되지 못한 상태 .

      → 현재 truss 이론 및 소성이론으로 이론이 개발되는 단계 설계규준 : 실험식을 설계에 적용하고 있슴

전단 보강되지 않은 부재

균열 전에는 콘크리트의 전단저항에 의하여 지지되지만 균열 후에는 전단저항이 감소하여 취성파괴 초래 .

       ⇒ 전단보강으로 전단저항 능력과 연성을 증가 .

(2)

6.2 6.2 전단응력 및 휨응력의 주응력 전단응력 및 휨응력의 주응력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동시에 받은 보의 탄성 거동 휨 응력도 전단응력도

        S1  : 중립축으로부터 y 만큼 떨어진 바깥에 있는 단면의 단면 1 차모멘트

I y

M

Ib

VS

1

 

(3)

휨응력과 전단응력에 의한 복합응력상태에서의 휨응력과 전단응력에 의한 복합응력상태에서의 최대 및 최소 수직응력도

최대 및 최소 수직응력도

최대 주응력 :          

최소 주응력 :

   

최대 주응력의 방향은 수평축 에 대하여

tan2θ=2υ/σ

2 2

1

2 4

1   

   

2 2

2 2 4

1  

   

(4)

6.3 6.3 전단에 대한 보의 거동 전단에 대한 보의 거동

6.3.1 전단보강되지 않은 보 (a) 전단 경간과 파괴형태

전단 경간 (shear span)

부재내에 발생하는 최대 휨모멘트와 최대 전단력의 비 즉 , a=Mmax/Vmax=Mu/Vu

전단 경간비 (shear span ratio):

   전단 경간을 보의 유효 깊이로 나눈 값 .     즉 , a/d= Mmax/(Vmaxd)=Mu/(Vu d)

(5)

파괴형식 파괴형식

a/d = 3~4 : 사인장 파괴

a/d = 1~2.5 : 전단압축 파괴 a/d≦1: 쪼갬파괴 or 압축파괴 보단면의 평균전단응력

          

보단면의 휨응력       

직사각형보에서 K1=1.5, K2=6   =K3× 전단 span

비    

즉 , 전단 경간비는 휨응력과 전단응력의 비로서 전단 경간비가 크다는 것은 사 인장력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

bd K1 V

2 2

bd K M

Vd K M Vd

M K K

3 1

2

(6)

(b) (b) 전단 균열전단 균열이 생긴이 생긴 보의 거동 보의 거동

전단 보강되지 않은 보에 휨전단 균열이 발생하였을 때 , ( 그림 6-6)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 V            ║

        균열이 생기지 않은 압축측 콘크리트가 저항하는 전단력         +

        균열이 생긴 부위에서 골재의 맞물림 작용 (interlock action)        +

         인장 주철근의 장부작용 (dowel action)    

       즉 , V=Vc+Vay+Vd

       사인장 균열 직후 40~60% 차지 .

       축방향 철근 ( 주근 ) 이 항복한 후 급격히 감소 .

(7)

6.3.2

6.3.2 전단 보강된 보 전단 보강된 보

(a) 전단 보강된 보의 거동

전단 보강근 (stirrup) 의 종류

 - 수직 전단 보강근

- 경사 전단 보강근

- 구부림 (bent up) 철근

전단 보강근의 역할

- 균열의 확대를 억제

- 골재의 맞물림작용 효율 증대 - 인장 주근을 수직으로 지지하여

장부작용에 의한 전단 저항성 능을 증대 .

(8)

전단 보강된 보에서의 전단력 전단 보강된 보에서의 전단력

V=V

c

+V

ay

+V

d

+V

s

V

c

: 균열이 생기지 않은 압축측 콘크리트가 저항하는 전단력

V

ay

 : 균열이 생긴 부위에서 골재의 맞물림 작용 (interlock action) V

d

 : 인장 주철근의 장부작용 (dowel action)

V

s

=nA

v

f

v

 : 전단 보강근에 생기는 수직력          A

v

  : 전단 보강근 단면적

        f

v

 : 전단 보강근의 인장응력

         n : 균열을 가로지르는 전단보강근 수 =p/s          p : 균열의 수평 투영길이

         s : 전단 보강근 간격

(9)

6.4 6.4 규준에 의한 보의 전단 설계 규준에 의한 보의 전단 설계

6.4.1 기본 설계 조건

фV

n

≧V

u

    

       ф   : 강도 감소계수

=0.85

       V

n

 =V

c

+V

s

   : 공칭 전단강도

       V

u

  : 계수하중에 의한 소요 전단강도        V

c

  :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

       V

s

    : 전단 보강근에 의한 전단강도

(10)

6.4.2

6.4.2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a)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부재

전단보강되지 않은 보의 전단강도 V=Vc+Vay+Vd

인장철근비 ρ=As/bwd 에 의한 실험결과 전단강도에 미치는 인장철근의 영향

▶ 인장철근비가 높을수록 전단강도가 증가 - 인장철근의 dowel action 작용

(11)

설계규준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설계규준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a) 인장 철근비의 영향을 고려하여

여기서 ,  

           : 전단 경간비의 역수

d b f

V

c ck w

6

 1

d b f d

M b d f V

V

w ck w

u u w ck

c

 ( 0 . 16  17 . 6  )  0 . 29

1

u u

M d V

u u

M d V

(12)

(b) (b) 전단력전단력 ++ 휨모멘트휨모멘트 ++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 축력이 작용하는 부재

축력의 영향

축 압축력 : 휨인장 균열이 억제되어 , 균열의 확대를 저지 .        축 인장력 : 휨인장 균열을 증대시키고 , 균열의 확대를 증폭 .

(13)

실험결과에 따른 설계규준식 실험결과에 따른 설계규준식

(ⅰ) 축 압축력 작용부재 ( )             

(ⅱ) 축 인장력 작용 부재

Ag : 콘크리트 전 단면적

(iii)

축력과 모멘트가 작용하는 부재

d b A f

V N

ck w

g u

c

)

1 14 6 (

1 

d b A f

V N

ck w

g u

c

)

5 . 1 3

6 (

1 

g u w

ck

c

A

d N b f

V  ( 0 . 29 1  3 . 5

(14)

6.4.3

6.4.3 전단 보강근 전단 보강근

(a) 최소 전단 보강근

전단 보강되지 않은 보 : 취성 파괴를 일으키고 ,

전단강도 산정식에 불확실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 .     ∴ 규준에서는 최소 전단 보강근을 규정하고 있다 .

         예외 구조물 ) 슬래브와 기초판

장선 (joist) 구조물 ( 바닥 , 천정하중의 지지에 사용하는 보 )        보의 높이 250mm

       플랜지 두께의 2.5 배 중 최대값 이하인 T 형 보나 I 형 보 웨브 폭의 1/2

최소 전단 보강근을 배근해야하는 조건

Vu>ф(0.5Vc) 가 작용하는 모든 철근 콘크리트 휨 부재 . 최소 전단 보강근량

        Avmin : u 자형 보강근인 경우 2× 철근의 단면적 (Av)

y v w

f S A min

 0 . 35

b min

w y v

b f S A

35 . 0

min min

(15)

(b) (b) 전단 보강근의 전단강도 전단 보강근의 전단강도

설계조건 V

u

>фV

c

일 때 , 전단 보강근 보강이 필요 .          ф V

n

= ф(V

s

+ V

c

)≧V

u

 

     ∴ 전단 보강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 V

s = Vu/ф- Vc      

전단 보강근에 의한 전단 강도

그림에서 , 전단 보강근의 경사각 α, 균열의 경사각 β, 균열에 걸쳐 있는 보강근의 수 n, 보강근 간격 S 라 하면 ,     

sinβ=d/a

n s=asinβ(cotα+cotβ)

        =d(cotα+cotβ)

(16)

(b)(b) 전단 보강근의 전단강도전단 보강근의 전단강도

전단 보강근 1 개가 발휘하는 전단력 =A

v

f

y

  n 개의 전단 보강근에 의한 전단력의 수직 성분 V

s

는 V

s

=nA

vfysinα

n=d(cotα+cotβ)/S

규준식은 β=45°, α=90° 에 대하여

또는 α≠90°

) cot (cot

sin ) sin

cot

(cot     

 

S

d f f A

S A

Vs d v y v y

S d f VsAv y

d b S f

d f

Vs Av y ck ) w

3 (2 ) cos

(sin  

  

(17)

(c) (c) 전단 보강근 간격 전단 보강근 간격

(ⅰ) 수직 보강근의 간격 : 45° 방향으로 생긴 균열에 보강근이 1 개 이상 걸치도록 S<d/2 또는 600mm 이하 (ⅱ) 경사 전단 보강근 간격 : 보의 중심 d/2 로부터 인장철근까지 45° 경

사선을 보의 지점 방향으로 그었을 때 적어도 1 개의 전단 보강근이 경 사선과 교차하도록 배근간격 결정 .

(ⅲ) 전단 보강근의 전단강도 Vs≥ 인 부재인 경우 (ⅰ), (ⅱ)1/2 이하

d b fck /3) w (

(18)

(c) (c) 전단 보강근 간격 전단 보강근 간격

식 (6.30) 과 식 (6.32a) 및 식 (6.32b) 로부터 정리하면    (ⅰ) 수직 보강근의 간격

(ⅱ) 경사 전단 보강근 간격

전단 보강근의 최대 간격은

Vs≤ 인 경우 다음 값 중에 작은 값 이하

Vs≥ 인 경우

c u

y v

V V

d f S A

 

) cos (sin  

 

 

c u

y v

V V

d f S A

이하 또는

또는 d mm

b f S A

w y

v ,   / 2, 600

35 .

max  0

d b fck /3) w (

d b fck /3) w

( Smaxd / 4,또는,300mm이하

(19)

(d)

(d)

보의 전단설계시 최대 전단력 발생 위치

보의 전단설계시 최대 전단력 발생 위치

(

(

전단 위험 단면

전단 위험 단면

)

)

보의 최대 전단력 : 지지점의 면에 작용 .  그러나 , 사인장균열은 45°

방향으로 발생 .

 ⇒ 지지면으로부터

d

만큼 떨어진 부재단면에 최대전단력이 작용한다 .

배근은 지지면으로부터 

d/2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배근이 시작된다 .

(20)

(d)

(d)

보의 전단설계시 최대 전단력 발생 위치

보의 전단설계시 최대 전단력 발생 위치

(

(

전단 위험 단면

전단 위험 단면

)

)

(21)

예제 6.1) 보폭 b=400mm, 유효깊이 d=600mm 인 직사각형 단순보의 순경간 8m 에 w

u

=110kN/m 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전단 보강 설계를 하시오 . f

ck

=27MPa, 보강근 SD40, D10 을 사용한다 .

Vu=440kN

Vud=440-110x0.6=374kN φVc=

(22)

예제 6-2) 교재 137 페이지 단순보의 전단설계

보폭 b=300mm, d=600mm, 경간ℓ =8m, 고정하중 w

D

=20kN/m,

활하중 w

L

=24kN/m, f

ck

=24MPa, SD30 의 D10 사용 .

전단 보강설계

전단 보강근 배근도

참조

관련 문서

▪ 실세계의 객체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클래스 로 만드는 작업. ▪

므로 Y축의 방향으로 만큼, Z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축이 Z축의 오른쪽에

예를 들어 프 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 콘크리트의 접촉면 또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촉면 등은 전단에 취약한 부분이며,

공명이 TMS에서 얼마나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지를 기기의 기본 작동진동수의 ppm으로 나타낸 것4. 공명이 TMS에서 얼마나 떨어진 곳에서

(바) “액체 밀봉드럼 (Liquid seal drum)”이라 함은 플레어스택의 화염이 플레어시 스템으로 거꾸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플레어헤더에

콘크리트의 압축영역에 비해 과다하게 철근이 배근되면 철근의 인장보다 콘크리트의 압축에 의해 휨부재의 파괴가 발생하며, 콘크리트의 파괴 양상은

[r]

Shear stress and skin friction in Pipes (전단 응력 및 표면 마찰) (2)... Shear stress and skin friction in Pipes (전단 응력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