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췌장염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비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췌장염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비교"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239-245

접수: 2008년 6월 3일, 승인: 2008년 9월 19일 연락처: 이홍식, 425-707,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16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Tel: (031) 412-5580, Fax: (031) 412-5582 E-mail: hslee@kumc.or.kr

Correspondence to: Hong Sik Lee,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san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516, Gojan-dong, Danwon- gu, Ansan 425-707, Korea

Tel: +82-31-412-5580, Fax: +82-31-412-5582 E-mail: hslee@kumc.or.kr

췌장염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비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박선민ㆍ이홍식ㆍ김승영ㆍ안재홍ㆍ김정한ㆍ구자설ㆍ임형준ㆍ이상우ㆍ최재현ㆍ김창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Pancreatiti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ancreatitis

Sun Min Park, M.D., Hong Sik Lee, M.D., Seung Young Kim, M.D., Jae Hong Ahn, M.D., Jeong Han Kim, M.D., Ja Seol Koo, M.D., Hyung Joon Yim, M.D., Sang Woo Lee, M.D.,

Jai Hyun Choi, M.D., and Chang Duck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stitute of Digestive Disease and Nutrition,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san, Korea

Background/Aims: Chronic pancreatitis (CP) is characterized clinically by a broad spectrum of variable features depending on many factors such as etiology, stage of the disease, and the presence of local complication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spect of CP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ancreatitis. Methods: Eighty nine medical records from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P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January 1997 through December 200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fter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vious history of pancreatitis: the group I (n=34, no history of pancreatitis) and II (n=43, history of pancreatitis more than onc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was 50±13.2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5:1. Alcohol was the cause of CP in 71.9%, and 23.6% had no evident cause. Age (53.4±15.5 vs. 46.2±11.5, p=0.021), etiol- ogy (idiopathic 41.2% vs. 11.6%, p=0.004), and the presence of abdominal pain (73.5% vs. 100%, p=0.03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II. However, in comparison of other factors that reflected the ad- vanced stage of CP such as presence of pancreatic calcification, complications, and Cambridge grade on ERC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Since CP which present, as the first manifestation shows much an advanced stage, the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CP is particularly needed.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39-245)

Key Words: Chronic pancreatitis; Cholangiopancreatography, endoscopic retrograde; Diagnosis

서 론

만성 췌장염은 점진적으로 췌장 조직의 영구,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염증 질환으로 병변이 진행된 경우에 췌관 의 불규칙한 협착 또는 확장, 췌관내 결석, 췌선의 염증을 동반한 경화 등의 형태 변화와 췌장의 내분비 및 외분비 기

(2)

240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3권 제4호, 2009

Table 1.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Age No. of patients (%)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1 (1.1) 3 (3.4) 11 (12.4) 36 (40.4) 18 (20.2) 13 (14.6) 4 (4.5) 3 (3.4)

Total 89 (100)

능 부전과 같은 생리적인 기능 장애를 동반한다.1 만성 췌장 염 진단의 기준척도는 조직 소견을 바탕으로 하지만 췌장 조직을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임상, 실험실, 방사 선 결과들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된다.

현재까지 만성 췌장염은 만성 석회화 췌장염, 만성 폐쇄 췌장염, 만성 염증 췌장염으로 분류되지만2 확실하게 정립 되어 있지 않으며 만성 췌장염의 원인 중 30-40%는 특발 만 성 췌장염으로 그 원인을 알 수 없다.3

이러한 진단과 분류, 치료에 있어 논란의 중심에 있는 것 은 만성 췌장염의 병태생리 및 자연 경과를 밝히는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은 원인, 질 병 단계, 국소 합병증 유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므로4 제 시되고 있는 여러 가지 분류법이나 발생기전들 중 어느 한 가지만으로는 만성 췌장염을 설명하기 부족한 상황이다.

전형적으로 만성 췌장염은 반복적인 췌장염의 경과 이후 에 발생하지만 많은 횟수의 췌장염을 앓고 난 이후에도 만 성 췌장염으로 진행하지 않는 환자들이 있으며 임상적인 췌 장염 없이 발생하기도 한다.5,6

이에 저자는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의무기 록을 검토하여 만성 췌장염의 전반적인 임상양상을 고찰하 고, 과거 췌장염의 병력 유무에 따른 특징적인 임상양상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 였다.

2. 방법

1) 만성 췌장염의 진단

입원 당시 혹은 과거력에서 수시간 내지 수일간 지속되고 종종 배부 특히 하부 흉추 부위로의 방사통이 동반되며 음 식물 섭취 후 악화되는 특징을 보여 췌장질환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복통이 있으면서, 첫째, 단순 복부촬영이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췌장의 석회화가 관찰되는 경우, 둘째,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췌관의 불규칙한 확장 및 협착이 나 췌실질의 위축이 관찰되는 경우, 셋째, 내시경역행췌담 관조영술이나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에서 췌관의 불규칙한 확장 및 협착이 관찰되는 경 우, 넷째, 내시경초음파에서 췌석이나 췌관의 확장, 췌실질 의 불균일한 에코를 보이는 경우 등 형태 변화가 있는 경우 에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하였다.7 알코올 만성 췌장염은 1

일 평균 80 g 이상, 음주 기간 5년 이상의 알코올 섭취력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8 특징적인 복통이 없는 경우는 위의 4 가지 항목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하였다.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조영술에서 나타난 췌관 의 형태 변화는 Cambridge 분류에 따라 구분하였다.9

2) 분석

총 89명의 대상 환자들에서 연령과 성별, 원인, 진단 방 법, 임상증상, 검사실 소견과 방사선 소견 그리고 임상경과 및 췌장염의 과거력에 대해 의무기록과 방사선 검사를 후향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과거 췌장염의 병력 유무가 모호한 12명을 제외한 77명의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누어 I군은 과 거 췌장염의 병력 없이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된 34명으로, II군은 1회 이상의 췌장염 병력이 있었던 43명으로 분류하 여 원인, 흡연 유무, 입원병력 및 횟수, 증상, 합병증 및 검 사실 소견 등을 변수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 통계 분석

통계 처리 및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PSS 12.0k for windows, SPSS Korea)을 이용하여 Chi-square 및 t-test 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1) 대상의 특성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0±13.2세였고, 40-50대가 가장 많았다(Table 1). 남녀비는 각각 76예와 13예로 약 5:1이었 다. 흡연력은 비흡연자가 14예(15.7%), 흡연자 75예(84.3%) 였으며 평균 입원횟수는 2.8±9.4회였다.

(3)

박선민 외 9인. 췌장염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비교 241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Characteristic Patients in

study (n=89) Mean age (years)

Male sex Smoking No. of admission

No. of pancreatitis before Dx. of CP (n=77) 0

1-2 ≥3

Duration for diagnosis (years)*

Symptoms Abdominal pain Weight loss Jaunduce Steatorrhea Etiology Alcohol Idiopathic Autoimmune Congenital

Calcification or stone Cambridge grade (n=70) I (equivocal)

II (mild to moderate) III (severe)

Complications Diabetes Pseudocyst CBD stricture Pleural effusion Endoscopic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50±13.2 76 (85.4%) 75 (84.3%) 2.8±9.4

34 (44.2%) 33 (42.9%) 10 (12.9%) 4.8±4.5

77 (86.5%) 20 (22.5%) 6 (6.7%) 1 (1.1%)

64 (71.9%) 21 (23.6%) 2 (2.2%) 2 (2.2%) 48 (53.9%)

6 (8.6%) 24 (34.3%) 40 (57.1%)

36 (40.4%) 26 (29.2%) 10 (11.2%)

5 (5.6%) 24 (27.0%) 20 (22.5%) CP, chronic pancreatitis; Dx, diagnosis; CBD, common bile duct.

* the time interval between initial attack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pancreatitis.

the pancreatic calcification or duct stone.

Cambridge classification of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 cholangiography (1983): I - fewer than three abnormal side branches, II - more than three abnormal side branches or abnormal main duct and side branches, III - as above with one or more of; large cavity, ductal obstruction with stric- ture, intraductal calculi, gross irregularity of main pancreatic duct.

Table 3. Comparisons of Computed Tomograph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Endoscopic Ultra- sound for Diagnosing Chronic Pancreatitis

Methods Total number No. of CP Sensitivity (%) CT

ERCP EUS

76 70 26

50 67 22

65.8 95.7 84.6 CP, chronic pancreatitis; CT, computed tomography;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US, endo- scopic ultrasound.

2) 원인

대상 환자 89예 중 64예(71.9%)에서 알코올이 원인이었고 이들 중 4예만이 여성이었다. 21예(23.6%)에서는 특별한 원 인을 찾을 수 없어 특발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하였다. 그 외 에 자가면역 만성 췌장염이 2예, 선천 기형인 췌-담관 합류

이상이 원인인 경우가 2예였다(Table 2).

3) 진단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을 시행했던 70예 중에서 만성 췌장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던 경우가 67예였다. 단순 복 부촬영이나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췌장의 석회화가 관 찰되었던 경우는 89예 중에서 37예(41.6%)였고 석회화를 포 함하여 췌실질의 위축이나 췌관 확장 등의 소견으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만성 췌장염을 진단할 수 있었던 경우 는 76예 중 50예였다. 내시경초음파에서 만성 췌장염의 소 견을 보였던 경우는 26예 중에서 22예였다. 만성 췌장염에 대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 내시 경초음파의 진단 민감도는 각각 65.8%, 95.7%, 84.6%였다 (Table 3).

4) 임상증상

입원 당시 주 증상으로는 복통이 77예(86.5%)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 체중감소가 20예(22.5%)를 보였으며, 드문 증상으로 각각 6예와 1예에서 황달 및 지방변을 나타냈다.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당뇨병이 40.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성낭종(29.2%)과 담관 협착(11.2%) 순이었으며 췌장암은 2예에서 발생하였다. 당뇨병이 동반되어 있던 환 자 36예 중 18예에서는 경구 혈당강하제를 복용 중이었고, 나머지는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었다.

5) 검사실 및 방사선 소견

내원 당시 혈청 아밀라아제치는 86예 중 47예(54.7%), 혈 청 리파아제치는 64예 중 50예(78.1%)에서 정상보다 높았으 나 정상의 3배 이상 상승한 경우는 각각 24.4%, 56.3%에 불 과하였다. 췌장의 석회화는 단순 복부촬영에서 20예(22.5%),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76예 중 32예(42.1%)에서 관 찰되었다. 내시경역행성췌담관조영술을 시행한 70예를 Cam- bridge 분류에 따라 그 중증도를 나누었을 때, 의심예인 Cambridge I이 6예(8.7%), 경도와 중등도 소견을 보이는

(4)

24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3, No. 4, 2009

Table 4. Compariso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ancreatitis

Group I*

(n=34)

Group II

(n=43) p-value Age

Male sex Smoking No. of admission

Duration for diagnosis (year) Symptoms

Abdominal pain Weight loss Etiology Alcohol Idiopathic

Calcification or stone Cambridge grade§ I (equivocal) II (mild to moderate) III (severe)

Complications Diabetes Pseudocyst CBD stricture

53.4±15.5 27 (79.4%) 26 (76.5%) 2.1±1.5

-

25 (73.5%) 10 (29.4%)

18 (52.9%) 14 (41.2%) 20 (58.8%)

1 (3.8%) 9 (34.6%) 16 (61.5%)

15 (44.1%) 6 (17.6%) 6 (17.6%)

46.2±11.5 38 (88.4%) 38 (88.4%) 3.4±2.8 4.2±3.5

43 (100%) 8 (18.6%)

36 (83.7%) 5 (11.6%) 20 (46.5%)

3 (8.3%) 14 (38.9%) 19 (52.8%)

13 (30.2%) 16 (37.2%) 4 (9.3%)

0.021 NS NS 0.022

<0.001 NS 0.004

NS NS

NS 0.077 NS NS, not significant; CBD, common bile duct.

* the group I have no history of pancreatitis and the group II have history of pancreatitis at least more than once.

the time interval between initial attack and the development of chronic pancreatitis.

the pancreatic calcification or duct stone.

§Cambridge classification of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 cholangiography (1983): I - fewer than three abnormal side branches, II - more than three abnormal side branches or abnormal main duct and side branches, III - as above with one or more of; large cavity, ductal obstruction with stricture, intraductal calculi, gross irregularity of main pancreatic duct.

Cambridge II가 24예(34.3%), 중증 소견을 나타내는 Cam- bridge III가 40예(57.1%)였다.

6) 임상경과

내시경 치료는 24예(27.0%)에서 시행하였다. 22예에서 내 시경 췌관괄약근절개술을 시술하였고, 9예에서 췌석제거술 을 시행하였으며 5예에서는 췌관내 플라스틱배액관 삽입을 시도하였다. 이들 중 18예(75.0%)에서 단기적으로 복통이 호전되었으나 장기적으로는 반복적인 내시경 치료 시술이 필요하였다.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나 췌장종양을 배제하지 못한 20예(22.5%)에서는 수술 치료를 시행하였다.

2. 췌장염의 병력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처음 발생한 췌장염이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된 I군과 과 거 췌장염의 병력이 1회 이상 있었던 II군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나이가 각각 53.4±15.5세, 46.2±11.5세로 과거 췌장염의 병력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21). 알코올 만성 췌장염은 각각 52.9%와 83.7%로 II군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 고 특발성이 원인인 경우는 각각 41.2%와 11.6%로 I군에서 많아 발생 원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4). 진 단 당시 복통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는 I군에서 26.5%로 II 군에서 한 예도 없었던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를 보였다(p

<0.001). 하지만 췌장염의 형태 변화를 반영하는 내시경역 행췌담관조영술 Cambridge 분류의 중증도는 두 군에서 차이 가 없었고, 중증으로 분류된 비율 또한 각각 61.5%와 52.8%

로 높게 나타났다. 진행된 만성 췌장염을 시사하는 췌장의 석회화(58.8% vs. 46.5%) 및 당뇨병의 유무(44.1% vs. 30.2%) 도 두 군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4).

고 찰

최근 음주에 의한 췌장염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만성 췌 장염의 영상 진단 능력이 향상되어 우리나라의 만성 췌장염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보고하고 있다.10

이번 연구에서 환자의 평균 연령은 50세였고 40세 이상이 8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성비는 5:1로 기존의 국내 보고와 비슷하였다.1,7 원인은 알코올이 차지하는 비중이 조 금씩 증가하고 특발성으로 분류된 예는 다소 감소하는 양상 을 보이고 있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특발 만성 췌장염의 비율이 23.6%였고, 그 외 췌담관계 선천 이상, 자가면역 췌 장염이 각각 2예씩 진단되었다. 최근 자가면역 췌장염은 새 롭게 진단 기준들이 제시되고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적용한 다면 이전에 특발성으로 분류된 예 중 자가면역 췌장염으로 진단되는 경우들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

만성 췌장염의 진단방법 중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인 검사방법은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이 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아직까지도 만성 췌장염의 진단이 주로 침습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 이다. 비록 소규모 연구지만 MRCP와 같은 비침습적인 검사 가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에서 췌관의 형태 변화와 높은 일치도를 보이고 있으므로11 이후 영상 진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점차 침습적인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을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내시경초음파의 경우 아직까지 진단 기준에 모호함이 있지만12 조기 만성 췌장염을 진단하는 진 단율은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조영술과 비슷하거나 민감도 가 높다.13,14 이번 연구에서도 내시경초음파의 만성 췌장염

(5)

Park SM,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Pancreatiti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ancreatitis 243

진단에 대한 민감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내시경역행췌담 관조영술을 시행할 수 없는 환자나 만성 췌장염의 조기 진 단에 있어 역할이 기대된다.

만성 췌장염의 임상증상으로 복통이 가장 흔하게 나타났 고,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의 동반이 가장 많았는데, 절반에 서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어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다른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혈청 아밀라아제치나 리파 아제치의 상승은 내원 당시 정상인 경우가 많아 만성 췌장 염의 진단에 있어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1,7

췌장의 석회화는 시간에 따른 동적 경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개 만성 췌장염의 자연 경과 중 후반에 나 타나며, 진단 후 5.5-8.7년에 발생한다는 점에서 진행된 만 성 췌장염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15,16 이번 연구에서는 53.9%에서 석회화가 관찰되어 상당수에서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경과를 보이고 있는 양상을 일관되게 반영하고 있었 다. 이는 Cambridge 분류에 의한 중증도를 보더라도 중증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57.1%로 절반 이상에서 췌관의 심한 변형을 나타냈다.

만성 췌장염의 병태생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 만,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알코올 만성 췌장염을 중심 으로 몇 가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반복적인 급성 췌장염의 결과로 점진적인 췌장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만성 췌장염이 발생한다는 “괴사-섬유화 가설(necrosis-fibrosis hy- pothesis)”은 근래의 대규모 전향 연구17 및 동물실험18 등을 통해 더욱 신빙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19 이번 연구의 II 군에 해당하는 환자들은 반복적인 췌장염의 병력 후 만성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로 이러한 가설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들 환자의 대부분(83.7%)은 알코올이 원인이었고 모든 환자 가 복통을 호소하였으며, 유의하진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가 성낭종의 발생도 빈번히 동반되어, 가성낭종이 급성과 만성 췌장염 모두에서 비슷한 병인을 가지는 병변이라는 보고와 일치하였다.17 또한 처음 췌장염 이후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 되기까지 평균 기간이 4.2±3.5년으로 Ammann 등20이 발표 한 코호트 연구에서의 5.7년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진행성의 만성 췌장염에 합당하였다.

I군의 환자들은 병력에서 뚜렷한 췌장염이 없었던 경우로 임상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경미한 췌장염이 있었다 하더라 도 그것을 진단하지 못한 채 만성 췌장염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현재까지 발표된 만성 췌장 염의 진단 방법들이 대부분 췌관의 변화에 바탕을 둔 것들

이므로,21,22 임상적으로 중기 혹은 말기의 췌장염만을 진단

할 수 있어 치료가 힘들고 이미 비가역 상태로 만성 췌장염 의 예후를 바꿀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II군 과 비교하였을 때 진단 당시의 나이, 복통의 동반 비율, 원

인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였지만, 진행된 만성 췌장염을 시 사하는 췌장의 석회화나 당뇨 합병증의 동반 유무는 각각 58.8%, 44.1%로 II군의 46.5%, 30.2%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 었고,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에서 췌관의 중증 변형을 나 타내는 비율이 61.5%로 II군의 52.8%와 비슷하였다. 만성 췌장염에서 발생하는 통증은 다양한 유발 기전이 알려져 있 고, 췌관의 석회화나 췌관의 변형 같은 형태 변화와 통증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에서23,24 I군과 II군에서 통증 의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I군의 복통 을 호소하지 않았던 9명의 환자들은 앞서 추정하였듯이 증 상 없이 진행되는 일부 췌장염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국 이는 병력만으로 만성 췌장염의 중증도나 진행 경과를 예측할 수 없고, 최초 임상발현이 만성 췌장염인 환자군이 라도 이미 진행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아서 실제 임 상에서 만성 췌장염 진단의 한계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보고들에 의하면 만성 췌장염은 샘꽈리세포의 변화 에서부터 시작하며,21 이런 변화를 반영하는 생물, 임상 지 표들이 개발된다면 가역적인 조기 만성 췌장염을 진단할 수 있고, 따라서 만성 췌장염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25 하지만 이러한 지표들은 아직 연구 단 계에 있으므로 현재까지는 췌장염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나 만성 음주력과 함께 반복적인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에26 적 극적으로 내시경초음파,13,27 MRCP,28,29 내시경역행췌담관조 영술30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면 보다 조기 만성 췌장염을 진 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분류법과 진단법에 따른 만성 췌장 염 환자들의 전반적인 임상양상과 검사소견을 분석하였을 때 기존의 보고와1,7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 나 만성 췌장염 환자 중 이전 췌장염의 과거력 없이 최초 임상발현이 만성 췌장염인 환자군이 존재하며, 췌장염의 과 거력이 있는 군과 비교하였을 때 다른 임상양상을 보이지만 이미 진행된 경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이 필요하다.

요 약

목적: 만성 췌장염은 점진적으로 췌장 조직의 영구, 비가 역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염증성 질환으로 원인, 질병의 단 계, 국소 합병증 유무에 따라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특 징을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후향 조사를 통해 만성 췌장 염의 전반적인 임상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 과거 췌장 염의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특징들을 조사하여 이들이 임상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

(6)

244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3권 제4호, 2009

병원에서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상 으로 의무기록을 후향 검토하였다. 과거 췌장염의 병력이 확인된 77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I군은 과거 췌장염의 병력 이 없는 34명, II군은 1회 이상의 췌장염 병력이 있는 43명 으로 하여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0±13.2세였고 남녀비는 5:1이었다. 원인으로 는 알코올 만성 췌장염이 71.9%로 가장 많았고 23.6%에서 는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어 특발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 하였다. 췌장염의 과거력이 없는 I군과 췌장염의 병력이 있 는 II군을 비교하였을 때 진단 당시의 나이 (53.4±15.5 vs.

46.2±11.5, p=0.021), 원인(특발성 41.2% vs. 11.6%, p=0.004) 과 복통 유무(73.5% vs. 100%, p=0.030)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췌장 석회화의 유무, 합병증의 발생, 내시경 역행췌담관조영술에서 췌관 변화의 중증도는 서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최초 임상발현이 만성 췌장염인 환자군도 이 미 진행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이들을 조기에 진단 할 수 있는 방법이 더욱 필요하다.

색인단어: 만성 췌장염,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조영술, 진단

참고문헌

1. Chun MK, Kim CD, Hyun JH. Clinical study of chronic pancreatitis. Korean J Gastroenterol 1997;30:247-256.

2. Sarles H, Adler G, Dani R, et al. The pancreatitis classi- fication of Marseilles-Rome 1988. Scand J Gastroenterol 1989;24:641-642.

3. Steer ML, Waxman I, Freedman S. Chronic pancreatitis. N Engl J Med 1995;332:1482-1490.

4. Ammann RW. The natural history of alcoholic chronic pancreatitis. Intern Med 2001;40:368-375.

5. Chari ST. Chronic pancreatitis: classification, relationship to acute pancreatitis, and early diagnosis. J Gastroenterol 2007;

42(suppl 17):58S-59S.

6. Ammann RW, Buehler H, Bruehlmann W, Kehl O, Muench R, Stamm B. Acute (nonprogressive) alcoholic pancreatiti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144 patients with recurrent alcoholic pancreatitis. Pancreas 1986;1:195-203.

7. Kim HY, Seo DW, Lee TY, et al. A clinical review on chronic pancreat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2;40:191-196.

8. Ammann RW. A clinically ba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l- coholic chronic pancreatitis: summary of an international workshop on chronic pancreatitis. Pancreas 1997;14:215-221.

9. Sarles H.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f pancreatitis.

Pancreas 1991;6:470-474.

10. Lee DK. Epidemiology, etiology, and treatment of chronic

pancreatitis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2002;39:315- 323.

11. Calvo MM, Bujanda L, Calderon A, et al. Comparison be- tween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ERCP for evaluation of the pancreatic duct. Am J Gastroenterol 2002;97:347-353.

12. Raimondo M, Wallace MB. Diagnosis of early chronic pan- creatitis by endoscopic ultrasound. Are we there yet? JOP 2004;5:1-7.

13. Kahl S, Glasbrenner B, Leodolter A, Pross M, Schulz HU, Malfertheiner P. EUS in the diagnosis of early chronic pan- creatitis: a prospective follow-up study. Gastrointest Endosc 2002;55:507-511.

14. Buscail L, Escourrou J, Moreau J, et al. Endoscopic ultra- sonography in chronic pancreatitis: a comparative prospective study with conventional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 raphy, and ERCP. Pancreas 1995;10:251-257.

15. Ammann RW, Akovbiantz A, Largiader F, Schueler G.

Course and outcome of chronic pancreatitis. Longitudinal study of a mixed medical-surgical series of 245 patients.

Gastroenterology 1984;86:820-828.

16. Layer P, Yamamoto H, Kalthoff L, Clain JE, Bakken LJ, DiMagno EP. The different courses of early- and late-onset idiopathic and alcoholic chronic pancreatitis. Gastroenterology 1994;107:1481-1487.

17. Ammann RW, Heitz PU, Kloppel G. Course of alcoholic chronic pancreatitis: a prospective clinicomorphological long- term study. Gastroenterology 1996;111:224-231.

18. Perides G, Tao X, West N, Sharma A, Steer ML. A mouse model of ethanol dependent pancreatic fibrosis. Gut 2005;

54:1461-1467.

19. Witt H, Apte MV, Keim V, Wilson JS. Chronic pancreatitis:

challenges and advances in pathogenesis, genetics, diagnosis, and therapy. Gastroenterology 2007;132:1557-1573.

20. Ammann RW, Muellhaupt B, Meyenberger C, Heitz PU.

Alcoholic nonprogressive chronic pancreatitis: prospective long-term study of a large cohort with alcoholic acute pan- creatitis (1976-1992). Pancreas 1994;9:365-373.

21. Otsuki M. Chronic pancreatitis. The problems of diagnostic criteria. Pancreatology 2004;4:28-41.

22. Otsuki M. Symposium 3. Chronic pancreatitis: current prob- lems of the diagnostic criteria. J Gastroenterol 2007;42(suppl 17):52S-54S.

23. Lankisch PG. Natural course of chronic pancreatitis. Pancrea- tology 2001;1:3-14.

24. Sakorafas GH, Tsiotou AG, Peros G. Mechanisms and natural history of pain in chronic pancreatitis: a surgical perspective.

(7)

박선민 외 9인. 췌장염 병력 유무에 따른 만성 췌장염의 임상양상 비교 245

J Clin Gastroenterol 2007;41:689-699.

25. Lohr JM. What are the useful biological and functional mark- ers of early-stage chronic pancreatitis? J Gastroenterol 2007;

42(suppl 17):66S-71S.

26. Sata N, Koizumi M, Nagai H. Alcoholic pancreatopathy: a proposed new diagnostic category representing the preclinical stage of alcoholic pancreatic injury. J Gastroenterol 2007;

42(suppl 17):131S-134S.

27. Catalano MF. Diagnosing early-stage chronic pancreatitis: is endoscopic ultrasound a reliable modality? J Gastroenterol

2007;42(suppl 17):78S-84S.

28. Del Frate C, Zanardi R, Mortele K, Ros PR. Advances in imaging for pancreatic disease. Curr Gastroenterol Rep 2002;

4:140-148.

29. Czako L. Diagnosis of early-stage chronic pancreatitis by se- cretin-enhance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J Gastroenterol 2007;42(suppl 17):113S-117S.

30. Kamisawa T, Matsukawa M. Possibility of diagnosing ear- ly-stage chronic pancreatitis by endoscopic retrograde pan- creatography. J Gastroenterol 2007;42(suppl 17):103S-107S.

수치

Table  1.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Characteristic Patients  in
Table  4.  Compariso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ancreatitis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Long-term outcomes of short dental implants supporting single crowns in posterior region: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5-10 years.. Osteotome sinus

“Transition-based dependency parsing with stack long short-term memory”, Proceedings of the 53 rd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The AST levels in the male KRG administration group at 4 and 8 mo decreased sig- 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 Table 4, for the problems with 10, 20, and 30 nodes, the computational results of tabu search are shown with a recency based short term memory, a frequency based long term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ng- term acid suppression with tegoprazan 25 mg or lansoprazole 15 mg on the maintenance of endoscopic remission

1 reported the usefulness of the metabolic score for insulin resistance (METS-IR) in the screening and prediction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middle-aged

○ (Proposal for Jeollabuk-do's long-term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future transportation policie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long-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