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s of domestic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role-pl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s of domestic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role-pl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9, 30

(

2)

,

309–321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ᅥ윤암

1

· 윤상후

2

· 김영아

3

1국립기상과학원 ·2대구대학교 수리빅데이터학부 ·3제주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ᄌ ᅥ

ᆸᄉ ᅮ 2018ᄂ ᅧ ᆫ 12ᄋ ᅯ ᆯ 20ᄋ ᅵ ᆯ, ᄉ ᅮᄌ ᅥ ᆼ 2019ᄂ ᅧ ᆫ 1ᄋ ᅯ ᆯ 23ᄋ ᅵ ᆯ, ᄀ ᅦᄌ ᅢ ᄒ ᅪ ᆨᄌ ᅥ ᆼ 2019ᄂ ᅧ ᆫ 1ᄋ ᅯ ᆯ 31ᄋ ᅵ ᆯ

요 약

ᅩ ᆫ ᄋ ᅧ ᆫᄀ ᅮᄋ ᅴ ᄆ ᅩ ᆨᄌ ᅥ ᆨᄋ ᅳ ᆫ ᄀ ᅮ ᆨ ᄂ ᅢᄋ ᅦᄉ ᅥ ᄉ ᅮᄒ ᅢ ᆼᄃ ᅬ ᆫ ᄋ ᅧ ᆨᄒ ᅡ ᆯᄀ ᅳ ᆨᄋ ᅳ ᆯ ᄒ ᅪ ᆯᄋ ᅭ ᆼ ᄒ ᅡ ᆫ ᄀ ᅡ ᆫᄒ ᅩᄉ ᅵ ᆯᄉ ᅳ ᆸ ᄀ ᅭᄋ ᅲ ᆨ ᄋ ᅴ ᄒ ᅧ ᆫᄒ ᅪ ᆼᄋ ᅳ ᆯ ᄑ ᅡᄋ ᅡ ᆨᄒ ᅡᄀ ᅩ ᄀ ᅭᄋ ᅲ ᆨ ᄋ ᅴ ᄒ ᅭᄀ ᅪ ᄅ

ᅳ ᆯ ᄋ ᅡ ᆯᄋ ᅡᄇ ᅩᄀ ᅵ ᄋ ᅱᄒ ᅡ ᆷᄋ ᅵᄃ ᅡ. 2018ᄂ ᅧ ᆫ 4ᄋ ᅯ ᆯᄁ ᅡᄌ ᅵ ᄇ ᅩᄀ ᅩ ᄃ ᅬ ᆫ ᄀ ᅮ ᆨ ᄂ ᅢ ᄒ ᅡ ᆨᄋ ᅱ ᄆ ᅵ ᆾ ᄒ ᅡ ᆨᄉ ᅮ ᆯ ᄌ ᅵ ᄂ ᅩ ᆫᄆ ᅮ ᆫ ᄌ ᅮ ᆼ, 13ᄑ ᅧ ᆫᄋ ᅴ ᄉ ᅵ ᆯᄒ ᅥ ᆷᄋ ᅧ ᆫᄀ ᅮᄅ ᅳ ᆯ ᄉ ᅥ ᆫ ᄇ ᅧ

ᆯᄒ ᅡᄋ ᅧ ᄎ ᅬᄌ ᅩ ᆼ ᄇ ᅮ ᆫᄉ ᅥ ᆨᄒ ᅡᄋ ᅧ ᆻᄃ ᅡ. ᄆ ᅩᄃ ᅳ ᆫ ᄋ ᅧ ᆫᄀ ᅮᄋ ᅴ ᄉ ᅥ ᆯᄀ ᅨᄂ ᅳ ᆫ ᄇ ᅵᄃ ᅩ ᆼᄃ ᅳ ᆼᄉ ᅥ ᆼ ᄃ ᅢᄌ ᅩᄀ ᅮ ᆫᄌ ᅥ ᆫᄒ ᅮᄉ ᅵ ᆯᄒ ᅥ ᆷᄉ ᅥ ᆯᄀ ᅨᄋ ᅧ ᆻᄃ ᅡ. ᄋ ᅧ ᆫᄀ ᅮᄃ ᅢᄉ ᅡ ᆼᄌ ᅡᄂ ᅳ ᆫ ᄀ ᅡ ᆫᄒ ᅩ ᄉ

ᅡ ᄃ ᅡ ᆫᄃ ᅩ ᆨ ᄃ ᅢᄉ ᅡ ᆼᄋ ᅧ ᆫᄀ ᅮᄀ ᅡ 1ᄑ ᅧ ᆫ, ᄀ ᅡ ᆫᄒ ᅩᄉ ᅡᄋ ᅪ ᄋ ᅴᄉ ᅡᄅ ᅳ ᆯ ᄀ ᅡ ᇀᄋ ᅵ ᄆ ᅩᄌ ᅵ ᆸᄒ ᅡ ᆫ ᄋ ᅧ ᆫᄀ ᅮᄀ ᅡ 1ᄑ ᅧ ᆫ, ᄀ ᅡ ᆫᄒ ᅩᄒ ᅡ ᆨᄀ ᅪ ᄆ ᅵ ᆾ ᄉ ᅡᄒ ᅬᄇ ᅩ ᆨ ᄌ ᅵᄒ ᅡ ᆨᄀ ᅪ ᄃ ᅢᄒ ᅡ ᆨᄉ ᅢ ᆼ ᄋ

ᅳ ᆯ ᄃ ᅢᄉ ᅡ ᆼᄋ ᅳᄅ ᅩ 1ᄑ ᅧ ᆫ, ᄀ ᅡ ᆫᄒ ᅩᄒ ᅡ ᆨᄀ ᅪ ᄃ ᅢᄒ ᅡ ᆨᄉ ᅢ ᆼᄆ ᅡ ᆫᄋ ᅳ ᆯ ᄃ ᅢᄉ ᅡ ᆼᄋ ᅳᄅ ᅩ 10ᄑ ᅧ ᆫᄋ ᅵ ᄉ ᅮᄒ ᅢ ᆼᄃ ᅬᄋ ᅥ ᆻᄃ ᅡ. ᄑ ᅭᄇ ᅩ ᆫ ᄏ ᅳᄀ ᅵᄂ ᅳ ᆫ ᄉ ᅵ ᆯᄒ ᅥ ᆷᄀ ᅮ ᆫ 20∼136ᄆ ᅧ ᆼ (ᄑ ᅧ ᆼᄀ ᅲ ᆫ 46.1), ᄃ ᅢᄌ ᅩᄀ ᅮ ᆫ 20∼136ᄆ ᅧ ᆼ (ᄑ ᅧ ᆼᄀ ᅲ ᆫ 45.2) ᄋ ᅵᄋ ᅥ ᆻᄀ ᅩ, ᄋ ᅧ ᆨᄒ ᅡ ᆯᄀ ᅳ ᆨ ᄉ ᅵᄂ ᅡᄅ ᅵᄋ ᅩᄋ ᅴ ᄉ ᅮᄂ ᅳ ᆫ 1∼8 ᄀ ᅢ (ᄑ ᅧ ᆼᄀ ᅲ ᆫ 3.6) ᄋ ᅧ ᆻᄃ ᅡ.

ᅡᄌ ᅡ ᆼ ᄆ ᅡ ᆭᄋ ᅵ ᄎ ᅳ ᆨᄌ ᅥ ᆼᄃ ᅬ ᆫ ᄌ ᅩ ᆼᄉ ᅩ ᆨᄇ ᅧ ᆫᄉ ᅮ 6ᄀ ᅡᄌ ᅵᄂ ᅳ ᆫ ᄃ ᅢᄋ ᅵ ᆫᄀ ᅪ ᆫ ᄀ ᅨᄂ ᅳ ᆼᄅ ᅧ ᆨ, ᄋ ᅴᄉ ᅡᄉ ᅩᄐ ᅩ ᆼ ᄀ ᅵᄉ ᅮ ᆯ, ᄆ ᅮ ᆫ ᄌ ᅦᄒ ᅢᄀ ᅧ ᆯᄂ ᅳ ᆼᄅ ᅧ ᆨ, ᄌ ᅡᄀ ᅵᄌ ᅮᄃ ᅩᄌ ᅥ ᆨ ᄒ ᅡ ᆨᄉ ᅳ ᆸᄂ ᅳ ᆼ ᄅ

ᅧ ᆨ, ᄌ ᅡᄀ ᅵᄒ ᅭᄂ ᅳ ᆼ ᄀ ᅡ ᆷ, ᄌ ᅵ ᆨᄆ ᅮᄆ ᅡ ᆫᄌ ᅩ ᆨ ᄃ ᅩᄋ ᅧ ᆻᄃ ᅡ. ᄌ ᅡᄀ ᅵᄌ ᅮᄃ ᅩᄌ ᅥ ᆨ ᄒ ᅡ ᆨᄉ ᅳ ᆸᄂ ᅳ ᆼᄅ ᅧ ᆨᄀ ᅪ ᄌ ᅵ ᆨᄆ ᅮᄆ ᅡ ᆫᄌ ᅩ ᆨ ᄃ ᅩᄅ ᅳ ᆯ ᄌ ᅦᄋ ᅬᄒ ᅡ ᆫ 4ᄀ ᅡᄌ ᅵ ᄌ ᅩ ᆼᄉ ᅩ ᆨᄇ ᅧ ᆫᄉ ᅮᄂ ᅳ ᆫ ᄆ ᅦ ᄐ

ᅡᄇ ᅮ ᆫᄉ ᅥ ᆨ ᄀ ᅧ ᆯᄀ ᅪ ᄆ ᅩᄃ ᅮ ᄐ ᅩ ᆼ ᄀ ᅨᄌ ᅥ ᆨᄋ ᅳᄅ ᅩ ᄋ ᅲᄋ ᅴᄆ ᅵᄒ ᅡ ᆫ ᄏ ᅳ ᆫ ᄉ ᅮᄌ ᅮ ᆫ ᄋ ᅴ ᄒ ᅭᄀ ᅪᄀ ᅡ ᄒ ᅪ ᆨ ᄋ ᅵ ᆫᄃ ᅬᄋ ᅥ ᆻᄃ ᅡ. ᄇ ᅩ ᆫ ᄋ ᅧ ᆫᄀ ᅮᄂ ᅳ ᆫ ᄋ ᅵ ᆷᄉ ᅡ ᆼᄀ ᅡ ᆫᄒ ᅩᄉ ᅵ ᆯᄉ ᅳ ᆸ ᄀ ᅭᄋ ᅲ ᆨ ᄋ

ᅳ ᆯ ᄋ ᅱᄒ ᅢ ᄉ ᅡᄋ ᅭ ᆼ ᄒ ᅡᄂ ᅳ ᆫ ᄃ ᅡᄋ ᅣ ᆼᄒ ᅡ ᆫ ᄉ ᅵᄆ ᅲ ᆯ ᄅ ᅦᄋ ᅵᄉ ᅧ ᆫ ᄉ ᅵ ᆯᄉ ᅳ ᆸ ᄇ ᅡ ᆼᄇ ᅥ ᆸ ᄌ ᅮ ᆼ ᄒ ᅡᄂ ᅡᄋ ᅵ ᆫ ᄋ ᅧ ᆨᄒ ᅡ ᆯᄀ ᅳ ᆨᄋ ᅳ ᆯ ᄒ ᅪ ᆯᄋ ᅭ ᆼ ᄒ ᅡ ᆫ ᄀ ᅡ ᆫᄒ ᅩᄉ ᅵ ᆯᄉ ᅳ ᆸ ᄀ ᅭᄋ ᅲ ᆨ ᄋ ᅴ ᄒ ᅭᄀ ᅪᄅ ᅳ ᆯ ᄒ ᅪ ᆨ ᄋ

ᅵ ᆫᄒ ᅡᄋ ᅧ ᆻᄃ ᅡ. ᄋ ᅵᄂ ᅳ ᆫ ᄎ ᅬᄌ ᅥ ᆨᄋ ᅴ ᄀ ᅡ ᆫᄒ ᅩᄉ ᅵ ᆯᄉ ᅳ ᆸ ᄀ ᅭᄋ ᅲ ᆨᄋ ᅳ ᆯ ᄀ ᅮᄉ ᅥ ᆼᄒ ᅡᄀ ᅵ ᄋ ᅱᄒ ᅡ ᆫ ᄀ ᅮᄎ ᅦᄌ ᅥ ᆨᄋ ᅵ ᆫ ᄀ ᅳ ᆫ ᄀ ᅥᄀ ᅵᄇ ᅡ ᆫᄌ ᅡᄅ ᅭᄅ ᅩ ᄒ ᅪ ᆯᄋ ᅭ ᆼᄃ ᅬ ᆯ ᄉ ᅮ ᄋ ᅵ ᆻᄋ ᅳ ᆯ ᄀ ᅥ ᆺᄋ ᅵ ᄃ

ᅡ.

ᅮᄋ ᅭᄋ ᅭ ᆼ ᄋ ᅥ: ᄀ ᅡ ᆫᄒ ᅩ, ᄀ ᅡ ᆫᄒ ᅩᄉ ᅵ ᆯᄉ ᅳ ᆸ, ᄀ ᅭᄋ ᅲ ᆨ, ᄆ ᅦᄐ ᅡᄇ ᅮ ᆫᄉ ᅥ ᆨ.

1. 서론 ᄎ

ᅬ근 국내에서는간호서비스 요구도 증가에 따라 간호 인력이 양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양 지

ᆯ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의 역량을기르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증가되는 ᄀ

ᅡᆫ호교육기관에 비해 실습기관이확보되어 있지 않아,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교육의 질 저하 문제가 대 ᄃ

ᅮ되고 있다 (Song과 Kim, 2013). 또한 대상자의 질적 간호 요구 증가와 권리에 대한 강조 등은 임상 시

ᆯ습에서 간호학생들의 직접적인 수행을 어렵게 하여, 관찰 위주의 실습이 운영되고 있다 (Waldner와 Olson, 2007; Song 등, 2012). 이에 따라 임상실습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기관에서는 ᄃ

ᅡ양한 과목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습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Brown 등, 2012; Lim, 2011; Ha, Lee와 Lee, 2017). 교육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방법 중 하나가 역할극이다.

ᅡᆨ습자들이 직접 수행하는역할극은 팀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과 문제해결 노력을함께 하게 되므로, 비 ᄑ

ᅡᆫ적인 사고를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han, 2012). 또한 상대가 사람이므

1

(63568) ᄌ ᅦᄌ ᅮᄐ ᅳ ᆨᄇ ᅧ ᆯᄌ ᅡᄎ ᅵᄃ ᅩ ᄉ ᅥᄀ ᅱᄑ ᅩᄉ ᅵ ᄉ ᅥᄒ ᅩᄇ ᅮ ᆨ ᄅ ᅩ 33, ᄀ ᅮ ᆨᄅ ᅵ ᆸᄀ ᅵᄉ ᅡ ᆼᄀ ᅪᄒ ᅡ ᆨᄋ ᅯ ᆫ, ᄋ ᅧ ᆫᄀ ᅮᄉ ᅡ.

2

(38453) ᄀ ᅧ ᆼᄉ ᅡ ᆼᄇ ᅮ ᆨ ᄃ ᅩ ᄀ ᅧ ᆼᄉ ᅡ ᆫᄉ ᅵ ᄌ ᅵ ᆫᄅ ᅣ ᆼᄋ ᅳ ᆸ ᄃ ᅢᄀ ᅮᄃ ᅢᄅ ᅩ 201, ᄃ ᅢᄀ ᅮᄃ ᅢᄒ ᅡ ᆨᄀ ᅭ ᄉ ᅮᄅ ᅵᄇ ᅵ ᆨᄃ ᅦᄋ ᅵᄐ ᅥᄒ ᅡ ᆨᄇ ᅮ, ᄌ ᅩᄀ ᅭᄉ ᅮ.

3

(63243) ᄌ ᅦᄌ ᅮᄐ ᅳ ᆨᄇ ᅧ ᆯᄌ ᅡᄎ ᅵᄃ ᅩ ᄌ ᅦᄌ ᅮᄉ ᅵ ᄌ ᅦᄌ ᅮᄃ ᅢᄒ ᅡ ᆨᄅ ᅩ 102, ᄌ ᅦᄌ ᅮᄃ ᅢᄒ ᅡ ᆨᄀ ᅭ ᄀ ᅡ ᆫᄒ ᅩᄒ ᅡ ᆨᄀ ᅪ, ᄌ ᅩᄀ ᅭᄉ ᅮ.

E-mail: yakim@jejunu.ac.kr

(2)

ᅩ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or를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달리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에 자연스럽게 ᄇ

ᅡᆫ응하고, 의사소통기술을향상시키며, 학교에서 배운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된다 (Kim과 Lee, 2012; Park, 2013; Crofts 등, 2008). 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이러한 장점은학 ᄉ

ᆸ자에게 제한된임상실습환경을극복하여, 흔히 겪을수 있는상황에 대한 반복연습또는 흔히 겪어볼 ᄉ

ᅮ 없는가상의 상황을설정하여 주어진 역할을체험할 수 있게 돕는다. 이는 궁극적으로 간호 전문가로 ᄉ

ᅥ의 임상실무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것이다.

ᅡᆫ호는의미 있고 치료적인 대인관계 과정이며 (Peplau, 1952),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으

ᆯ 통해 임상적으로 중요한환자의 문제를정확하게 파악해 상호 신뢰를형성하고 마찰을 중재할 수 있 ᄃ

ᅡ (Salmon과 Young, 2009). 즉, 간호사에게 의사소통은 환자와의 대인관계 형성을 통해 간호목적을 ᄃ

ᆯ성하도록하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ravelbee, 1971).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양질의 간호서비스 르

ᆯ제공하기 위해서는간호사 및 간호학생이 단순한 지식을 습득하는것 이상으로, 치료적인 목표 달성 으

ᆯ위한 기술과 태도를 습득하도록해야 한다. 이는간호역량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간호역량 ᄋ

ᅵ란 자신이 맡은 직무를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행동특성으로,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이고 간호 ᄋ

ᅧᆨ할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다 (Campbell과 Mackay, 2001). 간호 ᄋ

ᅧ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실제로 많은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수업의 일환으로 동료 역할극 (peer-role play)을시행하여 표준화환자 역할을대신하고 있다 (Ryoo, Ha와 Cho, 2013). 역할극을활 ᄋ

ᆼ한 간호실습교육은 임상실습환경의 제한점을극복하고자, 현재는 물론미래교육에서도 상당히 사용될 거

ᆺ으로 예상되는바, 특히 국내 상황에 적합한 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효과를구체적으로 밝히 느

ᆫ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보

ᆫ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역할극을활용하여 간호실습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ᄉ

ᅮ행된실험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주요 변수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ᄀ

ᅭ육환경에 적합한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이는간호실습교육의 효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필요 ᄒ

ᅡᆫ 지침을제공하고, 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을구성할 때 이용가능한 구체적인근거자 ᄅ

ᅭ로 사용될수 있을것이다.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보

ᆫ연구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진술지 치

ᆷ에근거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Kim 등, 2011; Liberati 등, 2009).

2.2. 연구대상 ᄇ

ᅩᆫ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은 PICO-SD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 sign) 기준에 의거하여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선정기준은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제공된역할 그

ᆨ을활용하여 간호실습교육의 효과를검증한 국내 연구 (검색사이트 상 2018년 4월 업데이트 기준) 중 ᄋ

ᅦ서 1) 연구대상 (P)은 간호사 및 간호학과 대학생, 2) 중재방법 (I)은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실습교 ᄋ

ᆨ프로그램을 실험중재로 수행한 연구, 3) 대조군 (C)은대조군이 없거나, 대조군에게 실험중재가 수 ᄒ

ᅢᆼ되지 않은연구, 4) 결과 (O)는 실험중재 후 효과를 측정한 연구, 5) 연구유형 (SD)은유사실험연구 (quasi-experimental research)와 실험연구 (experimental research)를수행한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 ᄅ

ᅩ, 실험중재 후 종속변수들의 효과크기를산출하는데 필요한 통계수치 (평균,표준편차)를보고한 연구 ᄅ

ᅩ 한정하였다. 따라서 조사연구나 방법론적 연구, 단일 초록 및 학술대회 자료집 등의 연구는배제되었

(3)

ᄃ ᅡ.

2.3. 연구대상 논문의 질 평가 ᄋ

ᅧᆫ구대상 논문의 질 평가는한국보건의료연구원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 ing Agency)의 RoBANS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도구를사용하여 평가하였다 (Kim ᄃ

ᅳᆼ, 2011). 방법론적 질 평가는연구자 2인이 개별 수행하였고, 일치되지 않은사항에 대해서는 원문을 거

ᆷ토한 후 합의를 통한 재평가를하였다.

2.4. 자료 검색방법 ᄀ

ᆨ내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제공된역할극을 활용한 간호실습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찾 ᄀ

ᅵ 위해 2018년 4월까지 수행된간호 역할극 실습과관련된실험연구 및 조사연구를 포함한 문헌을 검 새

ᆨ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한국학술정보 (KISS)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간호’와 ‘역 ᄒ

ᅡᆯ극’또는 ‘간호’와 ‘상황극’으로 한 결과 97편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Google scholar와 참고문헌의 검 ᄐ

ᅩ를 통해 32편의 연구를 추가하였다. 따라서 총 129편의 연구가 1차 선정되었고, 중복된 문헌 및 관 ᄅ

ᅧᆫ 없는 문헌 77편을배제한 52편에 대해 제목과 초록을검토하여 PICO-SD 기준에 따라 19편 (대상자 ᄀ

ᅡ 부합되지 않은연구 2편, 중재방법이 부합되지 않은연구 1편, 비실험연구 13편, 학술대회 발표자료 3편)을배제하였다. 남은 33편의 문헌은전문을검토하여 적합성을확인하였는데, 부적절한 중재, 부적 저

ᆯ한 대조군 및 부적절한 결과로 20편을배제하고, 최종적으로 13편의 문헌을선정하였다. 문헌의 검색 ᄀ

ᅪ 선정은연구자 중 2명이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일치되지 않는부분에 대해서는 원문을함께 검토 ᄒ

ᅡ여 최종결정하였다 (Figure 2.1).

2.5. 자료 분석방법 ᄀ

ᅡ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다룬 연구의 특성은 15문항 (연구설계, 연구대상, 표본크기, 표본크기 ᄀ

ᅨ산, 척도의 신뢰도 제시, 관련 교과, 중재이름, 중재유형, 중재횟수, 중재기간, 중재시간, 역할극 시 ᄂ

ᅡ리오 개수, 종속변수, 결과, 동질성검정)의 틀을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중재시간은평균치로 조사하였 ᄃ

ᅡ.

ᄌ ᅩ

ᆼ합적인 효과크기 분석에는 R프로그램의 “meta” 패키지를이용하였다. 연구의 연구방법, 대상, 중 ᄌ

ᅢ방법 등이 다양하므로 모집단이 동일하지 않은 임의효과모형 (random effects model)로 통합효과크 ᄀ

ᅵ를계산하였고, 모집단의 동질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고정효과모형 (fixed effects model)을사 ᄋ

ᆼ하여 효과크기를산출하였다 (Borenstein 등, 2009). 분석대상연구들의 동질성 여부는 Q통계량과 검 저

ᆼ량으로 확인하였다. 통계량의 유의확률이 0.1 이하이고, 이 50%를 넘으면 이질성이 상당하다고 해 ᄉ

ᅥᆨ할 수 있다 (Higgins와 Green, 2011). 선택문헌들의 출판편향을 분석하기 위해 깔때기 그림 (funnel plot)이 대칭적으로 분포하는지 살피고, 깔때기 그림의 대칭 여부를가설 검정하는 Egger’s test를 실 ᄉ

ᅵ하였으며, 안전계수를추가적으로확인하였다. 또한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위해 ᄆ

ᅦ타 아노바와 메타 회귀분석을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2.6. 자료 분석방법 보

ᆫ연구는기존에 보고된 연구논문을 분석하는 2차 자료 분석연구로 소속기관의 생명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를 통해 정식으로 심의면제를받았다 (****-IRB-2018-001).

(4)

Figure 2.1 Flow of studies included from database search.

3. 연구결과

3.1. 선택연구의 일반적 특성 ᄇ

ᅩᆫ연구에서 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 실험연구 13편의 특성을 분석 ᄒ

ᅡᆫ 결과는다음과 같다 (Table 3.1). 출판년도는 2006, 2009, 2010, 2014, 2015년에 각 1편, 2011년에 2편, 2013년과 2016년에 각 3편이확인되었다. 미간행 학위논문이 3편, 학술지논문이 10편이었고, 연 ᄀ

ᅮ설계는 13편 모두 비동등성대조군전후설계였다. 가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수 6가지는대인관계능력, ᄋ

ᅴ사소통기술,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었고, 전체 대상자는 총 1,141명 (실험군 553,대조군 588)이었다.

(5)

Table 3.1 Information on the anemometers and wind vanes mounted at 10-m height at the 13 surface stations

Variable Category n %

2006 1 7.7

2009 1 7.7

Published 2010 1 7.7

year 2011 2 15.5

2013 3 23.0

2014 1 7.7

2015 1 7.7

2016 3 23.0

Journal type Journal article 10 77.0

Unpublished thesis 3 23.0

Study desig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13 100.0

Subjects Registered nurse 1 7.7

Registered nurse & Medical doctor 1 7.7 Student nurse & Social-welfare students 1 7.7

Student nurse 10 76.9

Interpersonal ability 5 38.5

Communication skill 3 23.0

Dependent Problem solving ability 2 15.4

variabl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2 15.4

Self-efficacy 2 15.4

Job satisfaction 2 15.4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 (total N=553) mean: 46.1 Control group (total N=588) mean: 45.2

*Multiple response

3.2. 선택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결과 ᄉ

ᅥᆫ택한 13편의 논문에 대해 RoBANS (Kim 등, 2011)를이용한 방법론적 질 평가를한 결과, ‘대상군 ᄇ

ᅵ교가능성’과 ‘대상군선정’은 1편 (ID 8)의 연구가 사전 동질성 검정을수행하지 않았지만, 실험군과 ᄃ

ᅢ조군이 중재에 대한 노출의 가능성에 차이가 없는것으로 판단되어 모든 연구의 비뚤림 위험이 낮았 ᄃ

ᅡ. ‘중재 측정’, ‘결과 평가’와 ‘선택적 결과보고’는모든연구에서 비뚤림 위험이 낮았다. ‘평가자의 눈 ᄀ

ᅡ림’ 항목은모든 연구가 평가자 맹검을제시하지 않아 비뚤림 위험이 높았다. ‘교란변수’ 항목은 1편 (ID 1)의 연구만 기술되었고, 나머지 12편의 연구는기술하지 않아 비뚤림 위험이 높았다. ‘불완전한 결 ᄀ

ᅪ자료’ 항목에서는 5%이상의 철회 및 탈락률이 보고된 연구가 5편 (ID 1, 3, 5, 9, 11)확인되어 비뚤 리

ᆷ 위험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판단하였고, 나머지 8편의 연구는비뚤림 위험이 낮았다 (Table 3.2).

Table 3.2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ies

Item Risk of bias

Unclear Low High

Comparability 1 12 -

Selection of participants 1 12 -

Confounding variables - 1 12

Measurement of intervention (exposure) - 13 -

Blinding of the outcome assessment - - 13

Outcome evaluation - 13 -

Incomplete outcome data 5 8 -

Selective outcome reporting - 13 -

(6)

3.3. 선택연구의 내용분석 ᄋ

ᅧᆨ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효과를 측정한 국내 실험연구들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총 13편 ᄋ

ᅵ 있었다. 연구대상을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간호사 단독대상연구가 1편, 간호사와 의사를같이 모집 ᄒ

ᅡᆫ 연구가 1편, 간호학과 및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을대상으로 1편, 간호학과 대학생만을대상으로 10편 ᄋ

ᅵ 수행되었다. 표본크기는 실험군 20∼136명 (평균 46.1), 대조군 20∼136명 (평균 45.2)으로 1개 그 루

ᆸ에 2∼21명으로 구성되었고, 표본크기를산출한근거를제시한 연구가 6편 있었다. 학생 대상의 연구 11편과관련된교과목은의사소통론이 3편으로 가장 많았고, 정신간호학이 2편, 건강사정, 간호윤리, 다 무

ᆫ화의 이해, 호스피스간호, 전공기초프로젝트, 창의성통합교육이 각 1편이 있었고, 간호사 및 의사의 지

ᆨ무교육연구가 2편 있었다. 중재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역할극 시나리오의 수는 1∼8개 (평균 3.6) 였 ᄀ

ᅩ, 중재프로그램은 총 1∼15주/1∼15회/40∼420분 (평균 6.8주/8.1회/140분) 동안 제공되었다. 가장 ᄆ

ᆭ이 측정된 종속변수 6가지는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 ᄒ

ᅭ능감, 직무만족으로 모든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치가 제시되었다. 총 13편의 연구 중, 실험군과 통 ᄌ

ᅦ군간의 사전 동질성검정 검사여부를제시하지 않은연구가 1편 있었다 (Table 3.3).

3.4. 주요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ᄎ

ᅦ계적인 연구결과를얻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대상자 수, 평균과 표준편차를이용한 교정된 표 주

ᆫ화된 평균효과크기를계산하여 프로그램의 주요 종속변수인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능 ᄅ

ᅧ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을살펴보았다 (Figure 3.1).

ᅥᆫ저 대인관계능력을다룬 5편의 연구에 대해 논문간 이질성을확인한 결과 Q = 38.40 (p < .001), I2 = 89.6으로 통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다. 각 연구들의 대상자와 중재방법, 관련교과목 등이 다르 ᄆ

ᅳ로 임의효과모형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균효과크기 Hedges’ g = 3.600 (95% CI:

2.485, 4.714)이고 Z = 6.33 (p < .001)으로 유의미한 실험결과가확인되었다. Egger’s test 결과 출판 ᄑ

ᅧᆫ향은대체로 없었으며 (Z = 1.53, p = .128), 안전계수 (Nfs)는 738이었다.의사소통기술을다룬 3편 ᄋ

ᅴ 연구에 대해 논문간 이질성을확인한 결과 Q = 3.86 (p = .145), I2 = 48.1로 동질적이다. 측정도 ᄀ

ᅮ의 차이가 있긴 하였으나, 중재대상자가 모두 간호학과 1∼2학년 학생이며 의사소통론이라는 동일교 ᄀ

ᅪ에서 적용되었으므로 연구특성이 동질하다고 판단되어 고정효과모형으로 효과크기를산출하였다. 산 추

ᆯ된 평균효과크기는 4.136 (95% CI: 3.555, 4.717)이고 Z = 13.95 (p < .001)이므로 유의미한 실험결 ᄀ

ᅪ가확인되었다. Egger’s test 결과 출판편향은대체로 없는것으로 나타났으며 (Z = 0.61, p = .539), ᄋ

ᅡᆫ전계수 (Nfs)는 225이었다.

ᅮᆫ제해결능력을 다룬 2편의 연구에 대해 논문 간 이질성을 확인한 결과 Q = 10.59 (p = .001), I2 = 90.6으로 통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다. 2편 모두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했으나, 2학년 대 3∼4학년이었고, 관련교과 등이 달라 임의효과모형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균효과크기 ᄂ

ᅳᆫ 5.225 (95% CI: 3.634, 6.816)이고 Z = 6.44 (p < .001)로 유의미한 실험결과가확인되었다. 안전계 ᄉ

ᅮ (Nfs)는 344로확인되었다.

ᅡ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다룬 2편의 연구에 대해 논문 간 이질성을 확인한 결과 Q = 87.73 (p <

.001), I2 = 98.9으로 통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다. 각 연구의 대상자들의 전공, 학년, 관련교과 등의 ᄎ

ᅡ이가 있어 임의효과모형으로 효과크기를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균효과크기는 3.619 (95% CI: -1.015, 8.253)이고 Z = 1.53 (p = .126)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안전계수(Nfs)는 174로확인되 ᄋ

ᅥᆻ다.

ᅡ기효능감을다룬 2편의 연구에 대해 논문간 이질성을 확인한 결과 Q = 14.46 (p < .001), I2 = 93.1로 통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다. 연구 간 대상자와 중재방법, 관련교과 등의 차이로 임의효과모형

(7)

Table 3.3 Descriptive summary of selected studies

ID First Jou- Sample sizes Interventions Depe- Homoge-

Author rnal Sub- Exp.Con.DropCal. Related Name Format Weeks/ Senario ndent neity

(year) type jects (n) (n) (n) course (n) No. of No. vari- test

sessions/Min ables

1 Jeong UT SN 23 23 5 ○ Mental Empathy Group 3/6/150 6 IA O

(2016) health education (12∼14)

nursing program

2 Cho UT RN 20 21 2 ○ Job Competence Group 4/7/60∼150 1 IA, SE, JS O

(2016) education enhancement (6∼7) (111.4)

program

3 Lee UT SN 30 26 3 ○ Understanding Cultural Group 7/7/100 1 Non-main O

(2016) of competence (2∼3) variables

multi-culture program

4 Kang JA SN 28 28 1 X Mental Counseling unclear 2/2/420 7 SE O

(2013) health challenges

nursing coping training

5 Kang JA SN 32 36 4 X Communication Facilitative Group 5/10/50 8 CS O

(2009) CS (5∼6) ∼100 (91)

training

6 Shin JA SN 20 20 2 X Communication Communication Group 8/8/120 4 IA, CS O

(2011) training (5)

program

7 Song JA SN 23 22 0 X Communication Communication Group 6/6/120 2 IA, CS O

(2006) training (3∼4)

program

8 Park JA SN, SWS 136 116 4 X Foundation Key competency Group 15/15/120 2 IA, SDLA X

(2010) studies improvement (7∼8)

program

9 Kim JA SN 27 26 7 ○ Hospice Death unclear 1/5/120 1 Non-main O

(2015) nursing education variables

program

10 Choi JA SN 84 136 6 X Health Situated Group 15/15 1 PSA O

(2014) assessment learning (4∼5) /unclear

11 Kim JA SN 45 42 30 X Nursing Theatre of Group 1/1/150 4 Non-main O

(2013) ethics situations and (5∼6) variables

pro-con debate

12 Kang JA SN 43 54 3 ○ PBL Creativity Group 15/15/120 1 PSA, SDLA O

(2011) integrated (7∼8)

PBL

13 Han JA RN, MD 42 38 0 ○ Job Job stress Group (21) 6/8/40∼90 6 JS O

(2013) education management & (57.5)

program Individual

*Cal.=Calculation; Con.=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P=Program.;JA=Journal article;

UT=Unpublished thesis; SN=Student nurse; RN=Registered nurse; MD=Medical doctor;

SWS=Social-welfare students; PBL=Problem-based learning; IA=Interpersonal ability; CS=Communication skill;

PSA=Problem solving ability; SDLA=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Self-efficacy; JS=Job satisfaction.

ᅳ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균효과크기는 2.147 (95% CI: 0.025, 4.268)이고 Z = 1.98 (p = .047)이므로 유의미한 실험결과가확인되었다. 안전계수 (Nfs)는 41로확인되었다.

지

ᆨ무만족도를다룬 2편의 연구에 대해 논문간 이질성을 확인한 결과 Q = 26.77 (p < .001), I2 =

(8)

96.3으로 통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다. 연구 간 대상자와 중재방법 등의 차이로 임의효과모형으로 효과 ᄏ

ᅳ기를산출하였다. 산출된 평균효과크기는 1.218 (95% CI: -1.220, 3.656)이고 Z = 0.98 (p = .328)이 ᄆ

ᅳ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안전계수 (Nfs)는 12로확인되었다.

3.5. 조절효과 분석 ᄃ

ᅢ인관계능력을 다룬 5편의 연구논문간 이질성이 I2=89.6으로 연구대상자, 중재횟수, 시나리오 개 ᄉ

ᅮ를 조절변수로 하여 메타아노바와 메타회귀분석을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분류하는데 있어, 학생간호 ᄉ

ᅡ와 간호사로만 나누었는데, 1편의 연구 (ID 8)가 사회복지학과 학생과 간호학과 학생이 공동으로 참 ᄋ

ᅧ했지만, 간호학과 학생의 비율이 86.1%로 대부분을차지하여 학생간호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조 저

ᆯ효과를 확인한 결과, I2은 0이고 R2는 100%로 투입된 조절변수들로 효과크기가 잘 설명되고 있고 ᄐ

ᆼ계적 이질성 역시 해결되었다. 조절변수들을개별적으로확인한 결과, 연구대상자와 시나리오 개수는 ᄐ

ᆼ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중재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최종모형에서 삭제하였다. 간호사 ᄋ

ᅴ 회귀계수는 0.9851 (95% CI: 0.2184, 1.7518),간호사 대비 학생간호사는 1.0329 (95% CI: 0.1509, 1.9149),시나리오 개수는 0.6264 (95% CI: 0.3245, 0.9283)였다 (Table 3.4).

Table 3.4 Category analysis of main variable

Main variables Category estimate se Z p Qb(p)

intercept 0.985 0.391 2.518 0.012

Interpersonal Subjects (SN) 1.033 0.450 2.295 0.022 39.71(<.001)

ability Senario No. 0.626 0.154 4.066 <0.001

4. 논의 보

ᆫ연구는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을다룬 국내 실험연구를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주 ᄋ

ᅭ 종속변수들의 효과를밝혀 연구결과를 종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선택한 실험연 ᄀ

ᅮ 13편은모두 비동등성대조군전후 실험설계였다. 문헌들의 방법론적 질 평가에서는사전 동질성 검정 으

ᆯ수행을하지 않은연구가 1편 (7.7%), 5% 이상의 철회 및 탈락률이 보고된 연구가 5편 (38.5%) 있었 ᄀ

ᅩ, 교란변수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1편 (7.7%)만 언급하였으며, 모든연구가 평가자의 눈가림을알 수 어

ᆹ거나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표본크기를산출한근거를제시하지 않은연구가 7편 (53.8%)확인되었 ᄃ

ᅡ. 이는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이 대부분 학교 교육과정 및 직무교육 중에 수행되어 저

ᆼ해진 교육인원을모두 포함시켜야 하고 교육자와 평가자가 동일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국내 선 ᄒ

ᅢᆼ연구 (Kim과 Yoon, 2018)의 결과와 일치한다. 추후 실험연구의 설계 시 이 부분의 방법론적인 보완 ᄋ

ᅵ 필요함을알 수 있었다.

ᅧᆫ구대상자는간호사, 간호사와 의사를대상으로 한 연구가 각 1편 있었는데, 모두 직무교육의 일부 ᄅ

ᅩ 수행되었다. 간호학과 및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을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으로 대학생들의 직업기초 ᄂ

ᅳᆼ력을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고, 간호학과 대학생만을대상으로 한 연구는 10편 ᄋ

ᅳ로 모두 간호학 기초 및 전공과목을 위한 실습교육프로그램으로 수행되었다. 중재프로그램에서 사용 되

ᆫ 역할극 시나리오의 수는평균 3.6개, 중재프로그램은평균 6.8주/8.1회/140분 동안 제공되었다. 역 ᄒ

ᅡᆯ극 시나리오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의 효과크기가 증가되었음을고려할 때, 반복연구를 ᄐ

ᆼ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최적의 시나리오의 수와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을밝혀낼 필요가 있겠다.

ᅡ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수들의 평균효과크기는 의사소통기술이 4.16, 대인관계능력은 3.60으로 둘 ᄃ

ᅡ 높은 효과크기로 확인되었다. 대인관계능력의 forest plot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연구 2편과 상대적

(9)

(a) Interpersonal ability

(b) Communication skill

(c) Problem solving ability

(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 Self-efficacy

(f) Job satisfaction

Figure 3.1 Forest plots of main variables

ᅳ로 낮은연구 2편을 비교했을때, 높은효과크기를 가진 논문들의 평균 시나리오 개수가 더 많았다.

ᅵ는 조절효과분석에서도확인되었는데,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능력은 학생에 대한 중재효과가 일반

(10)

ᅡᆫ호사에서 보다 높았다. 원만한 대인관계는 개인에게는 심리적인 안녕감과 만족감을주며, 조직 차원 ᄋ

ᅦ서는조직의 성과와 인력관리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Segrin과 Taylor, 2007; Tourangeau 등, 2010;

Lee, 2015). 또한 의사소통기술은 의료일상의 핵심요소이며, 의료진과 환자와의관계의 질을결정지을 ᄉ

ᅮ 있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증진될수 있다 (Rotthoff 등, 2011). 이로 미루어 볼때, 간호학생 및 임 ᄉ

ᅡᆼ간호사를대상으로 한 실습교육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기술의 효과성이 입증된 역할극간호실 ᄉ

ᆸ프로그램이 지금보다확대될필요가 있겠다.

ᄌ ᅩ

ᆼ속변수들가운데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은모두 0.8 이상의 높 ᄋ

ᆫ 평균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Cohen, 1977). 그러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의 평균효과크기의 95% CI는각각 0을미포함해서 효과가 의미 있었지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직무만족의 평균효과크 ᄀ

ᅵ의 95% CI가 각각 0을포함하고 있어 효과가 의미 없다고 판단되었다. 다만 네 가지 변수들을다룬 노

ᆫ문이 각 2편씩으로 평균효과크기를 분석할 때 상반된 결과가 나오는근거를명확히 하고, 분석결과를 이

ᆯ반화하기 위해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ᅡᆫ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 기반학습을전반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의사소통능력과 무

ᆫ제해결능력, 대인관계이해는 높은효과크기로,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만족도는 중간 효 ᄀ

ᅪ크기가확인된바 있다 (Kim과 Ham, 2015). 또한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기술은전문가로써의 역 ᄒ

ᅡᆯ을수행하기 위한 전문직 상위역량의 핵심요인에 속한다 (Cheetham과 Chivers, 1996). 역할극은병 ᄋ

ᆫ과 기타 의료환경에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일환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ᄀ

ᅵ술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학제간의 의사소통교육은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Kesten, 2011). 본연구는시뮬레이션 기반학습 중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에 초점을두었으므로, 추가연 ᄀ

ᅮ를 통해 역할극을활용한 실습교육이 어떤 부분에서 두드러진 교육효과가 있는지 밝혀낸다면, 보다 적 ᄒ

ᅡᆸ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제공할 수 있는기준이될수 있을것이다.

보

ᆫ연구에서 유의미한 효과크기가확인된 종속변수는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능력, 자 ᄀ

ᅵ효능감이었으며, 간호사에 비해 간호학생에 있어 교육의 효과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전체 분석연구의 ᄉ

ᅮ가 다소 작았다는제한점이 있다. 앞으로 역할극을 사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을수행할 때 본 연 ᄀ

ᅮ를 통해 높은효과크기가확인된 종속변수들을포함할 뿐아니라, 보다 다양한 종속변수들을활용하여 ᄒ

ᅭ과성을 입증해나갈 필요가 있겠다. 또한 많은후속 실험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를 바탕으로 조절변 ᄉ

ᅮ들을추가적으로 고려한 메타분석을시도할 수 있을것이며, 간호사 및 간호학생에게 제각각 적합하고 ᄒ

ᅭ과적인 변인들을밝혀낼 수 있을것이다. 본연구는 국내 간호사 및 간호학과 대학생을대상으로 시행 되

ᆫ 역할극을활용한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살펴보고 후속연구를위한 기초자료를마련한 점에 ᄋ

ᅴ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 결론 보

ᆫ연구는역할극을활용한 국내 간호실습교육프로그램 가운데 실험연구들을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주 ᄋ

ᅭ 종속변수들의 교육효과를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의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기술, 문 ᄌ

ᅦ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이는큰효과크기로확인되었다. 본 ᄋ

ᅧᆫ구결과를기초로 하여 간호사 및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역할극을 활용한 실습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되 ᄀ

ᅩ, 교육의 효과가 검증된다면 이는 임상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근거기반자료로활용될 ᄉ

ᅮ 있을것이다.

(11)

References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and Rothestein, H. R.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New York.

Brown, R. A., Guinea, S., Crookes, P. A., McAllister, M., Levett-Jones, T., Kelly, M., Reid-Searl, K., Churchouse, C., Andersen, P., Chong, N. and Smith, A. (2012). Clinical simulation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hrough the lens of an advisory group. Collegian, 19, 177-186.

Campbell, B. and Mackay, G. (2001). Continuing competence: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5, 22-30.

Chan, Z. C. (2012). Role-playing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2, 21-27.

Cheetham, G. and Chivers, G. (1996). Towards a holistic mod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0, 20-30.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cademic Press, New York.

Crofts, J. F., Ellis, D., Winter, C., Donald, P., Hunt, L. P. and Draycott, T. J. (2008). Patient-actor perception of care: A comparison of obstetric emergency training using manikins and patient actor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7, 20-24.

Ha, Y. K., Lee, Y. J. and Lee, Y. H. (2017). 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8, 407-419.

Higgins, J. P. and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 The cochrane collaboration.

Kesten, K. S. (2011). Role-play using SBAR technique to improve observed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0, 79-87

Kim, S. H. and Ham, Y. S.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 308-319.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Suh, H. S. and Shin, C. M.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Seoul.

Kim, Y. A. and Yoon, S. H. (2018).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 125-140.

Kim, Y. H. and Lee, Y. M. (2012).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147-155.

Lee, J. E. (2015). The structural modeling for nurses’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in an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366-374.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øtzsche, P. C., Ioannidis, J. P., Clarke, M., De- vereaux, P. J., Kleijnen, J. and Moher, D.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 tion. PLOS Medicine, 6, e1000100.

Lim, K. C. (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246-256.

Park, E. Y. (2013). Effects of family nursing practicum using role play on emotional intelligence, com- munication ability, and family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656-662.

Peplau, H. E. (1952). Interpersonal relations in nursing., New York: G. P. Putnam’s Sons.

Rotthoff, T., Baehring, T., David, D. M., Bartnick, C., Linde, F., Willers, R., Schafer, R. D. and Scherbaum, W. A. (2011). The value of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4, 170-175.

Ryoo, E. N., Ha, E. H. and Cho, J. Y. (2013).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using high-fidelity and multi-mode simulation: An application of emergency care for a patient with cardiac arr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185-193.

Salmon, P. and Young, B. (2009). Dependence and caring in clinical communication: the relevance of attachment and other theo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4, 331-338.

Segrin, C. and Taylor, M. (2007).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637-646.

Song, J. H. and Kim, M. W. (2013).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12)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251-264.

Song, K. A., Park, H. J., Yeom, H. A., Lee, J. E., Joo, G. E. and Kim, H. J. (2012).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educational program, introduction to clinical nursing, for third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 322-333.

Tourangeau, A. E., Cummings, G., Cranley, L. A., Ferron, E. M. and Harvey, S. (2010). Determinants of hospital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99, 22-32.

Travelbee, J. (1971). Interpersonal aspect of nursing (2nd ed.), Davis Company.

Waldner, M. H. and Olson, J. K. (2007). Taking the patient to the classroom: Applying theoretical frame-

works to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4,

Article 18.

(13)

2019, 30

(

2)

,

309–321

The effects of domestic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role-pl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Yun Am Seo

1

· Sanghoo Yoon

2

· Young A Kim

3

1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2Division of Mathematics and Big data science, Daegu University

3College of Nursing, Jeju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20 December 2018, revised 23 January 2019, accepted 31 January 2019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role-plays performed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irteen experimental studies were finally analyzed out of the reported journal articles and unpublished thesis by April 2018. The design of all studies was non-equivalent con- 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studied only nurses, recruited nurses and doctors together, studied nursing and social welfare for college students, and conducted 10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ample size was 20∼136 people (mean: 46.1) and 20∼136 controls (mean: 45.2), and the number of role-play scenarios was 1∼8 (mean: 3.6). The six most frequently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were in- terpersonal ability, communication skill,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meta-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 nificant high-level effect sizes on the four dependent variables ex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role-play as one of the more popular methods of simulated practical education. Thi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evidence necessary to optimiz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practice education.

Keywords: Education, meta-analysis, nursing, practical nursing, students.

1

Research scientis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Seogwipo 63568, Korea.

2

Assistant professor, Division of Mathematics and Big data science, Daegu University, Gyeongsan 38453, Korea.

3

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E-mail: yakim@jejunu.ac.kr

(14)

수치

Figure 2.1 Flow of studies included from database search. 3. 연구결과 3.1. 선택연구의 일반적 특성 본 여 ᆫᄀ ᅮᄋ ᅦᄉ ᅥ 여 ᆨ하 ᆯ그 ᆨ을 화 ᆯ용 하 ᆫ 가 ᆫᄒ ᅩ시 ᆯ습 ᄀ ᅭ육 ᄑ ᅳᄅ ᅩᄀ ᅳ래 ᆷᄋ ᅴ ᄒ ᅭᄀ ᅪ르 ᆯ 츠 ᆨ저 ᆼ하 ᆫ 시 ᆯ허 ᆷ여 ᆫᄀ ᅮ 13펴 ᆫᄋ ᅴ 트 ᆨ서 ᆼ으 ᆯ 부 ᆫ석 하 ᆫ 겨 ᆯᄀ ᅪ는
Table 3.2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ies
Table 3.3 Descriptive summary of selected studies
Table 3.4 Category analysis of main variable
+2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and work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In this study, using concept mapping of a variety of learning techniques in the area of science, especially bi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

data mining - process of applying machine learning, visualization, statistical analysis. knowledge discovery &amp; construction - evaluation &amp; interpretation of the extra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