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一講. 病因의 황제내경 강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一講. 病因의 황제내경 강독"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一講. 病因의 황제내경 강독

학습목표 :

1. 病因과 관련된 黃帝內經의 기록을 살핀다.

2. 外感內傷, 所傷異類, 貧富貴賤, 淫氣, 五臟生病등 다양한 病因의 개념을 파악한다.

1) 外感內傷 ; 外因, 內因, 不內外因의 구분

原文1) 靈樞・順氣一日分爲四時第四十四

夫百病之所始生者 必起于燥濕寒暑風雨 陰陽喜怒 飮食居處하야 氣 合而有形하고 得藏而有名하니이다.

2) 所傷異類 ; 外感 陽邪와 陰邪, 內傷 七情이 인체의 上下部와 陰部를 각각 침범함

原文2) 靈樞・百病始生第六十六

黃帝問於歧伯하야 曰夫百病之始生也 皆生於風雨寒暑1)濕喜怒하니, 喜怒不節則傷藏하고 風雨則傷上하고1)濕則傷下하니이다. 三部之氣 所 傷異類하니 願聞其會하노이다.

歧伯 曰三部之氣 各不同하야 或起於陰하고 或起於陽하니, 請言其方 리이다.

喜怒不節하면 則傷藏하고 藏傷하면 則病起於陰也,

1)濕襲2)하면 則病起於下 風雨襲2)하면 則病起於上하니 是謂三部

, 至於其淫泆하얀 不可勝數하니이다.

3) 貧富貴賤

1) 淸 : 凊(서늘하다, 춥다. 정, 청.)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1) 淸 : 凊(서늘하다, 춥다. 정, 청.)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1) 淸 : 凊(서늘하다, 춥다. 정, 청.)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2) 襲 : ‘엄습하다, 불시에 침범하다, 습격하다’의 의미이다.

2) 襲 : ‘엄습하다, 불시에 침범하다, 습격하다’의 의미이다.

(2)

原文3) 素問・疏五過論篇第七十七

故貴脫勢하면 雖不中邪라도 精神內傷하야 身必敗亡하고 始富後貧하면 雖 不傷邪라도 皮焦筋屈하야 痿躄爲攣하니이다.

4) 淫氣 ; 外感邪氣가 發病하기 위한 조건

原文4) 素問・生氣通天論篇第三

風客淫氣하면 精乃亡하야 邪傷肝也, 因而飽食하면 筋脈橫解하야 腸澼爲 痔하고 因而大飮하면 則氣逆하고 因而强力하면 腎氣乃傷하야 高骨乃壞하니 이다.

5) 五臟生病 ; 五臟 각각의 보편 病因

原文5) 靈樞・百病始生篇第六十六

黃帝曰其生於陰者 奈何니잇고.

歧伯 曰憂思 傷心이오 重寒 傷肺 忿怒 傷肝이오 醉以入房커나

汗出當風하면 傷脾 用力過度커나 若入房하야 汗出하고하면 則傷腎 니이다.

6) 五味傷 ; 五味入五臟, 五味過傷五臟

原文6) 素問・生氣通天論篇第三

陰之所生 本在五味하니 陰之五宮 傷在五味. 是故 味過於酸이면 肝氣以津하고 脾氣乃絶하니이다. 味過於鹹이면 大骨氣勞하고 短肌하며 心氣抑하니이다. 味過於甘이면 心氣喘滿하며 色黑하고 腎氣不衡하니이다. 味過於苦 脾氣不濡하고 胃氣乃厚하니이다.

味過於辛이면 筋脈沮弛하며 精神乃央하니이다.

(3)

是故 謹和五味하면 骨正筋柔하며 氣血以流하며 腠理以密하니, 如是則骨 氣以精하야 謹道如法하면 長有天命하리이다.

原文7) 素問・五臟生成篇第十

是故 多食鹹하면 則脈凝泣而變色하고

多食苦하면 則皮槁而毛拔하고

多食辛하면 則筋急而爪枯하고

多食酸하면 則肉胝3)4)而脣揭하고

多食甘하면 則骨痛而髮落하나니 此五味之所傷也니이다.

7) 居處動靜勇怯 ; 過用 + 勇 = 不病, 過用 + 怯 = 發病

原文8) 素問・經脈別論篇第二十一

黃帝問曰人之居處動靜勇怯 脈亦爲之變乎잇가. 歧伯 對曰凡人之驚恐恚勞動靜 皆爲變也니이다. 是以 夜行하면 則喘出於腎하고 淫氣病肺하니이다. 有所墮恐이면 喘出於肝하고 淫氣害脾하니이다. 有所驚恐이면 喘出於肺하고 淫氣傷心하니이다. 度水跌仆하면 喘出於腎與骨하니이다.

當是之時하야 勇者 氣行則已 怯者 則着而爲病也하니, 故曰診病之道

觀人勇怯骨肉皮膚하야 能知其情하야 以爲診法也하니이다. 故 飮食飽甚하면 汗出於胃하고

驚而奪精하면 汗出於心하고

持重遠行하면 汗出於腎하고

疾走恐懼하면 汗出於肝하고

搖體勞苦하면 汗出於脾

春秋冬夏 四時陰陽 生病 起於過用하니, 此爲常也니이다.

3) 胝 : 굳은 살. 지.

4) 䐢 : 주름살. 추.

(4)

8) 九氣 ; 怒, 喜, 悲, 恐, 寒, 炅, 驚, 勞, 思에 따른 인체 氣의 변화상

原文9) 素問・擧痛論篇第三十九

帝曰善하노이다.

余知百病 生於氣也하나니,

怒則氣上하고 喜則氣緩하고 悲則氣消하고 恐則氣下하고 寒則氣收하고 炅 則氣泄하고 驚則氣亂하고 勞則氣耗하고 思則氣結하야 九氣 不同이니 何 病之生하니잇고.

歧伯 曰怒則氣逆하고 甚則嘔血及飱泄하니 故氣上矣니이다. 喜則氣和志達하고 榮衛通利하니 故氣緩矣니이다.

悲則心係急하고 肺布葉擧하야 而上焦不通하고 榮衛不散하야 熱氣在中하니

故氣消矣니이다.

恐則精却하고 却則上焦閉하며 閉則氣還하고 還則下焦脹하니 故氣不行矣 이다.

寒則腠理閉하야 氣不行하니 故氣收矣니이다.

炅則腠理開하야 榮衛通하고 汗大泄하니 故氣泄하니이다.

驚則心無所倚하고 神無所歸하며 慮無所定하니 故氣亂矣니이다. 勞則喘息汗出하야 內外皆越하니 故氣耗矣니이다.

思則心有所存하고 神有所歸하야 正氣留而不行5)하니 故氣結矣니이다.

9) 膏粱, 暴憂, 內氣, 外風寒濕, 久逆, 六府閉塞

原文10) 素問・通評虛實論篇第二十八

凡治消癉仆擊 偏枯痿厥 氣滿發逆 肥貴人이니, 則高粱之疾也니이다.

隔塞閉絶하야 上下不通 則暴憂之病也니이다. 暴厥而聾 偏塞閉不通 內氣暴薄也니이다.

不從內하고 外中風之病 故瘦留著6), 蹠跛 寒風濕之病也니이다. 黃帝曰黃疸暴痛 癲疾厥狂 久逆之所生也,

5) 神有所歸하야 正氣留而不行 : 新校正에 “甲乙經을 살펴 보건데 ‘歸正’ 두 글자는 ‘止’로 되어 있다.”

라고 하였다.

6) 著 : ‘붙는다’는 의미로 쓰였으며, ‘착’으로 읽는다.

(5)

五藏不平 六府閉塞之所生也,

頭痛耳鳴 九竅不利 腸胃之所生也니이다.

10) 胎病 ; 先天病因

原文11) 素問・奇病論篇第四十七

帝曰人生而有病巓疾者 病名 曰何 安所得之니잇고.

歧伯 曰病名 爲胎病이며 此得之在母腹中時 其母有所大驚하야 氣上 而不下하고 精氣幷居하야 故令子 發爲巓疾也하니이다.

[참고문헌]

類編黃帝內經, 전국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주민출판사, 2009. ISBN: 9788989390725

注解補注 黃帝內經 素問 上․下, 김달호,이종형 共編譯, 의성당, 2001. ISBN: 8988676114

注解補注 黃帝內經 靈樞, 김달호 편譯, 김중한 감수, 의성당, 2002. ISBN: 8988676181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朴贊國 譯注, 집문당, 2005. ISBN: 8930311296

참조

관련 문서

Flavor는 후각과 미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것으로 단맛과 어울리는 sweet flavor와 짠맛과 어울리는 savory flavor로 분류된다... 아직까지는 flavor 비중이 fragrance 에

以古法으로 爲其國이면 與此 同이라.. 時已徙矣어늘 而法不徙하니

自此三國歸於晉帝司馬炎,爲一統之基矣. 此所謂天下大勢, 合久必分, 分久必合者也. 後來後漢 皇帝劉禪亡於晉太始七年,

내등호차랑 ( 內藤虎次郞 ) 의 연구는 금과 고려 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닌 단순히 사실과 전설 사이에는 다른 점이 많다고 설명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이를

[r]

19) 是故人物之生也 其得陰陽之正氣者爲人 其得陰陽之偏氣者爲物 人旣得陰陽之正氣 則其氣質之通 且明可知也 物旣陰陽之偏氣 則其氣質之塞且暗可知也 然就人物而觀之

補中治濕湯과 마찬가지로 脾土異常으로 因한 浮腫治療에 利用한다.. 脾土로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