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장 ‘신고고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장 ‘신고고학’"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장 ‘신고고학’

유물을 배제한 고고학이란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유물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과거 에 대한 연구로서 고고학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유물은 그 자체로 과거에 대해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물들은 실제로 현재에 속하는 것이며 그 유물들에 대한 모든 정보와 평가는 우리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곧, 우리가 생각하고, 만들어 내는 과거 또한 현재에 속하므로 과거에 대한 명확한 사실은 결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이 러한 간극을 메우는 것이 고고학자의 역할이며 현재의 시점에서 여러 증거를 통해 정보를 얻어, 일관성이 있는 가장 최선의 설명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고고학이 단순한 호 고주의에 의해 유물을 수집하는 것으로 전락할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고고학 자료의 물질적 특징이 과거의 본질을 말해줄 것이라는 오류에 빠지는 것이다. 과거는 우리의 관념과 추론에 의해 형성되는 현재이며 과거의 사람들의 눈이 아닌 우리의 눈을 통해 유물을 본다는 것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신고고학의 출발점 중 하나는 지금까지의 단순한 자료수집의 축적이 본질적으로 과 거를 더욱 잘 이해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계속해서 더 많은 유물을 발굴하면서 유물에 대한 지식은 많아졌지만 과거와의 간극을 메우지 못했기 때문에 과거를 이해함에 있어서 발전은 뒤따라오지 못했다.

이러한 전통고고학의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는 가장 기초소재 중의 하나는 ‘고고학 적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전통고고학자들은 유물은 과거 사람들의 관념인 문화적 규범의 표현이며 그러한 규범들은 문화가 무엇인지를 정의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문화는 함께 발 생하는 다수의 다른 특징에 따라 구분되었다. 이것은 우리가 유물을 수집하고, 그룹화하여 고고학적 문화로 지칭하는 것에 의해 인간의 문화사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결과에 이른다. 하 지만 문화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과거를 일반화하여 이해하기 보다는 특수화하려는 경향을 가지는데 각각의 문화를 구분 짓기 위한 차이점을 애써 찾으려는 의도가 개입될 수 있다.

또한 유물을 집단의 공유된 관념의 표현이며 이는 외부의 힘이 유입되지 않으면 공유된 관 념은 바뀔 수 없다고 생각해 문화를 정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징화 과정 은 너무 간략하며 지나치게 단순하다. 신고고학의 입장에서 이전까지의 고고학은 특징화와 단순한 자료수집에 불과하며 문화간의 확산이나 변화에 대한 이유를 전혀 설명하고 있지 못 하다.

신고고학은 1960년대의 고고학에 관한 새로운 사조로서 지금은 더 이상 새로운 것 이 아니다. 고고학은 인간에 관한 학문이지만 이전의 문화사는 사물들 너머에 있는 인간과 문화체계에 대한 고려 없이 사물들의 움직임을 기술하는 것에 머물렀다. 전통고고학이 말하 는, 특징들의 결합체인 문화와 과거 인간들의 공동체와의 관계에 대해 의문이 생기면서 신 고고학자들은 문화에 대한 규범적인 개념, 특수주의로부터 벗어나 대안을 찾게 되었다. 이 러한 흐름으로 볼 때 신고고학은 특정한 신념들의 집합이라기보다는 기존의 전통고고학에 대한 개혁의 분위기로 이해되어야 하며 데이비드 클라크는 신고고학을 일련의 대답들로 보 기보다는 질문들의 집합이라고 불렀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신고고학은 단일의 신념이나 이론이 아닌 흐름이지만 발전과정 을 거치면서 공통적이며 핵심적인 주제들이 나타나는데 다음의 일곱 가지로 요약할 수 있 다. 일곱 가지로 나누었지만 각각의 사항들은 서로 연계되며 상호 보완적이다.

(2)

1. 문화적 진화

문화는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진화하는데 이것은 전통고고학에서 이주나 전파만으로 설명이 가능했던 문화변동의 관점을 사회발전의 일반적 방향을 향해 발전해 가는 내부적 역 동성으로 설명한다. 또한 문화를 결정짓는 특수한 것들보다는 상위단계의 사회로 진화해가 는 과정과 같은 보편적인 것에 중심을 둔다.

2. 체계에 대한 고려

전통고고학에서의 문화는 단지 다른 규범들의 집합에 불과하지만 신고고학에서의 문화는 각 기 다른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체계로서 기능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말해 전체적인 체계를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을 말한다. 이는 기존 의 전통고고학이 인지체계를 밝히는데 있어서 고고학 자료는 적합하지 않다는 비관적인 한 계를 넘어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당시 사회의 총체와 인간행위를 밝히는 낙관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3. 외부환경의 중요성

문화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통고고학의 방식대로 유물의 형식분류나 그게 기준한 편년과 같 은 것만을 통해서는 전체적인 복원이 불가능하다. 신고고학은 과거의 인간과 유물을 넘어 외부화경을 포함한 전체 생태학적 체계의 복원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들은 동물화석분석 이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같은 과학적 기술들에 의해 더욱 발전 할 수 있었다.

4. 과학적 접근

전통고고학자들은 계속되는 발굴과 유물의 형식분류, 편년 등으로 많은 정보를 쌓아왔지만 그러한 고고학 자료들을 이미 특수화를 거쳐 정해진 똑같은 문화들의 순서에 끼워 넣는 퍼 즐 맞추기를 반복해 왔다. 이러한 정보의 축적만으로는 과거에 대한 더 명확한 해석이 불가 능하다. 신고고학자들은 과거의 정보로부터 도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또한 이러한 결론 으로부터 일반화를 하기 위해 가설을 고안하고 모델을 구축하며 결론을 연역적으로 추론하 는 자연과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5. 과정의 중요성

신고고학이 과정주의고고학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경제·사회체계 내의 변동이 어떻게 일어났 는가 와 같은 문화과정에 대한 강조 때문이다. 단순한 기술보다는 ‘왜’라는 질문을 통하여 설명하는 것을 추구하고, 표면적으로 드러나 이목을 끄는 특징보다는 그러한 특징이 생겨난 이유 즉, 저변에 깔려있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경향이나 흐름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것은 과학에서처럼 타당성 높은 일반화를 끌어 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3)

6. 명시성

네 번째 특징인 과학적 접근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통고고학에서 계속된 형식분류나 이에 기 초한 편년들은 대개 소수의 형식분류가에 의해 결정되며 그 기준은 명확하게 설명될 수 없 다. 애매모호하고 암묵적인 가정과 편견, 또한 전통고고학의 큰 문제점중 하나인 연구자의 권위나 지위에 의한 결론수용여부를 배제하고 명확하고 정확한 과학적 검증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신고고학의 핵심개념이다.

7. 통계적 관점(?)

글쓴이가 말하는 변이성의 이해라는 것이 정확히 무슨 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고고학적 자 료를 접근할 때는 통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계량적인 자료는 표본추출 및 유의 성 검정을 할 수 있으므로 단순 질적인 전통적 방식보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추론에서 훨씬 정확한 결론을 낼 수 있다.

이전의 전통고고학이라고 해서 모든 부분에서 비판받을 것은 아니다. 1960년대 이 전의 이론들도 충분히 창조적이고 역동적인 모델을 보여주지만 신고고학에 의해 문화사 자 체가 부분적으로 격하되었다. 또한 신고고학은 고고학에서 새로울 뿐이지 신지리학과 같은 다른 학문에 있었던 유사한 흐름과도 같으며 특히 인류학에 많은 부분을 의존해왔다. 이것 은 북미와 특히 관계가 깊은데 신대륙의 문화를 자신들의 역사가 아닌 관찰자의 입장에서 연구했고, 이로써 고고학이 인류학의 한 범주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영국은 자신들 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명백한 이론적 일반화의 필요를 크게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북미보다 는 신고고학의 충격이 크진 않았으며 고고학을 역사학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신고고학의 등장은 혁명이라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시대적 흐름이자 학문적 요구라고 생각한다. 전통고고학과 신고고학은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듯이 합 리적이고, 이상적인 방향으로의 발전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전통고고학에서도 신고고학적인 요소가 분명히 존재했으며 문화사 고고학의 자료축적이 있었기에 신고고학의 등장도 가능했 던 것이다. 또한 신고고학의 비판자들도 과거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기술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설명하는 것까지도 고고학의 목적이라는 점에 동의함으로써 묵시적으로라도 신고고학의 영향을 인정하고 있다. 신고고학이 등장한 이상 전통고고학의 시대로 돌아갈 가 능성은 없다.

하지만 고고학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그 효용성을 아는 것뿐만 아니라 한계와 문제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신고고학이라고 해서 효용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분명 한 한계와 문제점이 있다. 이를 잘 파악해서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 다.

문제제기

1. 영국과 미국 고고학의 수준이 한국보다 높다면 우리가 가야할 길은 어느 쪽이며 그 이유 는 무엇인가?

(4)

2. 전통고고학의 문제점인 연구자의 권위나 지위에 의한 결론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일이 한국 고고학계에서 일어나고 있지는 않은가?

3. 신고고학에서 중요시 하지 않는 토기의 세부 편년이나 형식분류 등을 하지 않는다면 한 국 고고학에서의 연구 과제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참조

관련 문서

매우

판례 31) 는 허위공문서작성죄와 동행사죄가 수뢰 후 부정처사죄와 각각 “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을 때에는 허위공문서작성죄와 동행사죄 상호간은

잔여기간 동안 계약서에 명시된 계약조건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때

(Heat Conduction on the Steady State Condition)...

[r]

[r]

- 단발수 및 배치는 전기발파와 같음. 발파공과 발파공간의 연결용 뇌관은 0~176 ms까지 7가지로 되어 있으며, 기폭용 뇌관의 연결이나 Bunch용 연결뇌관으로도

사업전략: 기업전략의 하위전략으로서 사업부 수준에서 사업영역의 정의, 목표의 설정, 경쟁우위의 성취방안에 관한 전략.. 기능별 전략: 사업전략의 하위전략으로서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