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Spiral CT and MR Findings: Case Repor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Spiral CT and MR Findings: Case Report"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흑색종은 원발성 식도암으로는 드문 종양이다. 과거 수 년 동안 식도 원발성 흑색종의 존재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어 왔 으나 식도 점막 부검 상 4-8%의 환자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 가 발견되고(1, 2) 다른 부위의 흑색종 환자에서 식도로의 전 이가 매우 드물게 발견 되고 있어(3) 현재는 식도 원발성 흑 색종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1995년 까지 약 180예가 세계 문 헌에 보고 되었으며(4) 방사선과 문헌에는 Gollub 와 Prowda 가 1999년 6예를 모아 발표한 논문 외에는 대부분이 산발적 인 증례 보고만이 있어왔다(5). 저자들은 생검 및 수술로 진 단된 원발성 식도 흑색종 증례를 경험하여 CT 및 MR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보고

58세 남자가 4개월간 지속된 연하 곤란 및 흉골 뒤쪽으로 불편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증상은 진행되는 양상을 보였다.

내원 당시 전신 상태는 양호 하였으며 체중 감소는 없었다. 과 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다. 1주에 3회, 소주 1병 정 도를 마시며 10년간 금연 상태였다. 이학적 검사 상 피부나 눈 에 색소성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 만져지는 임파절은 없었다.

간 기능을 포함한 혈액 화학적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고 CEA 는 1.29 ng/ml, CA19-9은 0.21 U/ml 로 정상 이었다. 위식 도 내시경 검사 상 하부 식도에 약 3 cm 크기의 유동성 종괴 가 있고 종괴 표면과 주위 점막에 까만 색소성 침착이 관찰되 었다. 점막 궤양은 보이지 않았다.

단순 흉부 사진 상 심장 뒤쪽 척추 옆으로 종괴양 음영이 관 찰되었다. 폐 실질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

바륨 식도 조영술상 약간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내강 내의 폴립양 종괴가 관찰되었고 종괴 주변의 점막 병변은 보이지 않았다(Fig. 1A).

흉부 CT 상 비교적 조영 증강이 잘되는 내강 내의 폴립양 종괴로 주변으로의 침윤은 보이지 않았다(Fig. 1B). 종격동에 의미 있게 커져 있는 임파절은 보이지 않았고 폐 및 상복부로 의 전이도 보이지 않았다.

MRI 상 T1강조 영상에서 색소성 흑색종 (melanocytic melanoma) 에서 특징적인 고신호 강도를 보였으며(Fig. 1C) T2 강조 영상에서는 비 특이적인 고신호 강도를 보였다(Fig.

1D). 복부 골반 CT 상 이상 소견 없었다. 직장 내시경상 점 막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골 스캔 검사 상 뼈 전이 소견도 없었다. 내시경 당시 시행한 조직 면역 검사 상 Ki-67 index가 50%이상으로 매우 높았고 S-protein 양성, HMV45 (melanoma marker) 양성, Vimentin 양성으로 악성 흑색종에 합당한 소견으로 확진 되었다(Fig. 2A, B).

환자는 타 병원에서 전 식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본원에 서 추적 검사 받았으며 9개월 뒤 뇌, 간, 폐전이 진단을 받은 뒤 더 이상의 추적은 되지 않았다.

식도의 원발성 흑색종은 전 식도 악성생성물의 0.1-0.5%미 만을 차지하는 드문 종양이다(6). 1906년 Baur 등에 의해 처 음 기술된 이래로 약 180예가 보고 되고 있으나(4) CT 와 MRI 소견을 분석한 보고는 별로 없다. 1963년 De La Pava 등이 식도 점막 부검 상 4%의 환자에서 식도 점막에서 전형 적인 멜라닌 생성 세포를 발견하여 기술하기 전까지 과거 수 년 동안 식도 원발성 흑색종의 존재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1). Ohashi 등은 일본인의 정상 식도 생검상 7.7%에서 상피-간질이행부위에서 melanocyte가 발견되었고 대부분 하 부 식도에 위치한다고 보고하였다(2). 피부 흑색종의 경우 48%에서 위장관계로 전이가 발견되며 호발 부위는 소장, 위, 대장 순이다. 식도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며 흑색종으로 죽은 환자의 부검 상 약 4%에서 발견된다(3). Kato등은 점막 흑색

─ 445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445-448

식도의 원발성 악성 흑색종: 나선식 CT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의 증례 보고

1

김수영・김미영・황윤준・서정욱・한윤희・김용훈・차순주・허 감

원발성 식도 흑색종은 매우 드물지만 방사선학적으로 폴립양 식도 종괴의 감별에 반드시 포 함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T1 강조 영상에서 특징적 고신호 강도를 보이고 CT에서 조영 증강 이 잘되는 원발성 식도 흑색종 1예를 보고 한다.

1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방사선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4년 3월 29일 접수하여 2004년 8월 30일에 채택되었음.

(2)

종은 백인의 경우 전 흑색종의 3%를 차지하는 반면 일본인의 경우 전 흑색종의 13%를 차지한다고 보고 하였다(7).

남자에서 두 배 정도 흔하며 호발 연령은 50-60대이다. 흔 한 발생부위는 중간 또는 하부 1/3위치이다(4). 식도 상피암 과는 달리 담배, 술 혹은 흑색종의 가족력과는 관련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은 80%정도에서 나타나며 연하 곤란이 가 장 흔하다. 종양은 대개 단일성이며 다발성인 경우가 12%에 서 보고 되고 있다(4). 조기에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더라도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평균 생존율 7-12개월, 5년 생존율이

4.2%이다(8). 흔한 전이 부위는 간(31%), 종격동(29%), 폐 (17.7%), 뇌(13.2%) 순이다(8).

비록 생존율에 있어 수술적 절제의 효과가 제한적이기는 하 나 전 환자에서 고식적 혹은 완치적 수술적 절제가 1차적 방 법으로 시행된다. 식도의 광범위 절제 후 장기 생존의 경우가 때로 보고 되고 있다. 현재 항암 및 면역 치료는 원발성 식도 암 치료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발성 식도 흑색종의 진단은 피부, 눈, 직장에 의심스러운 색소성 병변이 없고 이외 다른 부위의 면밀한 관찰 후 다른 원

─ 446 ─

김수영 외: 식도의 원발성 악성 흑색종

A B

C D

Fig. 1. A 58-year-old man with primary malignant melanocytic melanoma in esophagus.

A. Barium esophagoram shows intraluminal polypoid mass in the distal esophagus with linear surface collection, which represent- ing barium trapped between lobulations. There is no obstruction sign.

B. Contrast-enhanced chest CT scan demonstrates relatively well enhancing intraluminal mass.

C. T1-weighted image shows the mass is high signal intensity compared with muscle.

D. The mass appears high sigh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3)

발성 부위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만 받아들여진다. Allen과 Spitz는 원발성 식도 흑색종의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 다(9): 1)멜라닌 색소를 포함하고 흑색종의 특징적 구조를 나 타내야하며 2) 인접 상피세포에서 melanocyte 가 발견 되어 야 하고 3)종양이 폴립양이며 4) 편평 상피내 junctional activity area로부터 기원해야 한다. 그러나 오직 40% 정도에 서 이 기준을 만족 시킨다(10). 식도 원발성 흑색종중 무색소 성 흑색종은 9.4%로 보고 되어 있다(11).

식도 내시경상 병변은 폴립양 종괴로 종괴 및 주변 점막에 색소성 침착을 동반하거나 하지 않으며 종괴를 덮는 점막은 대 개 정상이거나 때로 궤양을 보일 수 있다. 바륨 식도 조영술상 병변은 대개 폴립양으로 심각한 폐쇄 소견은 드물다. 때로 협 착성, 환상성의 종괴로 보일 수도 있다. 폴립성 종양의 감별 진 단에는 악성 병변으로 방추상 세포암(spindle cell carcinoma), 평활 근육종(leiomyosarcoma), 암양종(carcinoid) 등이 있고 양 성 병변에는 평활 근종 (leiomyoma), 유두종 (squamous papilloma), 유관속 용종(fibrovascular polyp) 등이 포함된다.

CT 상 내강 내 폴립성 종괴로 비교적 조영 증강이 잘 되며 크기가 큰 경우 주변 구조물을 압박할 수 있다. MR상 색소성 흑색종의 경우 멜라닌 성분에 의한 T1 단축 효과에 의해 T1 강조영상에서 특징적으로 고신호 강도를 보여 다른 종괴와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T2 영상에서는 비 특이적인 고신호 강도 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원발성 식도 흑색종은 매우 드물지만 방사선학 적으로 폴립 양 식도 종괴의 감별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MR T1 강조 영상에서 특징적 고신호 강도를 보이면 정확한 진단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e La Pava S, Nigogosyan G, Pickren JW, Cabrera A. Melanosis of the esophagus. Cancer 1963;16:48-50

2. Ohashi K, Kato Y, Kanno J, Kasuga T. Melanocytes and melanosis of the esophagus in Japanase subjects-analysis of factors effecting their increase. Virchows Arch A Pathol Anat Histopathol 1990;41:

137-143

3. Wood CB, Wood RA.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Am J Dig Dis 1975;20:786-789

4. Joob AW, Haines GK 3rd, Kies MS, Shields TW. Primary malig- 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Ann Thorac Surg 1995;60:217- 222

5. Gollub MJ, Prowda JC. Primary melanoma of the esophagus: radi- ologic and clinical findings in six patients. Radiology 1999;213:97- 100

6. Caldwell CB, Bains MS, Burt M. Unusual malignant neoplasms of the esophagus. Oat cell carcinoma, melanoma and sarcoma. J Thorac Cardiovasc Surg 1991; 101:100-107

7. Joob AW, Haines GK 3rd, Kies MS, Shields TW. Primary malig- 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Ann Thorac Surg 1995;60:217- 222

8. Chalkiadakis G, Wihlm JM, Morand G, Weill-Bousson M, Witz JP.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Ann Thorac Surg 1985;39:472-475

9. Allen AC, Spitz S. Malignant melanoma: a clinicopathologic analy- sis of the criteria for diagnosis and prognosis. Cancer 1953;6:1-45 10. DeMatos P, Wolfe WG, Shea CR, Prieto VG, Seigler HF.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J Surg Oncol 1997;66:201- 206

11. Taniyama K, Suzuki H, Sakuramachi S, Toyoda T, Matsuda M, Tahara E. Amelanotic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pn J Clin Oncol 1990;20:286- 295

─ 447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445-448

A B

Fig. 2. A. Pleomorphic tumor cells with abundant mitoses and coarse melanin pigment granules are shown H & E, ×400).

B. The majority of tumor cells are positive for melanoma antigen, HMB-45 (×400).

(4)

─ 448 ─

김수영 외: 식도의 원발성 악성 흑색종

J Korean Radiol Soc 2004;51:445-448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Spiral CT and MR Findings: Case Report

1

Su Young Kim, M.D., Mi Young Kim, M.D., Yoon Joon Hwang, M.D., Jung Wook Seo, M.D., Yoon Hee Han, M.D., Yong Hoon Kim, M.D., Soon Ju Cha, M.D., Gham Hur, M.D.

1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esophagus is extremely rare, but must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 agnosis of polypoid esophageal mass, when such a lesion is observed on radiological examination. We report here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elanoma in the esophagus that was noted to have strong enhancement on CT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T1 weighted MR image.

Index words :Esophagus, neoplasms Melanoma

Esophagus, CT Esophagus, M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Su Young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240, DaeHwa-dong,Ilsan-gu, GoYang-si, Kyunggi-do, 411-410, Korea.

Tel. 82-31-910-7397 Fax. 82-31-910-7369 E-mail: sykim@ilsanpaik.ac.kr

수치

Fig. 1. A 58-year-old man with primary malignant melanocytic melanoma in esophagus.
Fig. 2. A. Pleomorphic tumor cells with abundant mitoses and coarse melanin pigment granules are shown H & E, ×400).

참조

관련 문서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renal cell carcinoma; pancreatic neuroendocrine cancer; colorectal cancer; head and neck cancer; non-small cell lung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Anoxic

9-11 그러나 복강경하 부신절제술이 모든 부신질환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고 악성 종양이나 크기가 큰 부신 종양은 일반적인 금기증으로 알려져 있다.악성 종양의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by adenosine in human oral fibroblast and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The melanoma cell line WM793 was employed for the Fascin and MST2 knock-down and then analyzed by the Western blot assay, and the melanoma xenograft followed by Fascin

Differential Expression of Desmoglein1, Desmoglein3, Epithelial Membrane Antigen, Ber-EP4 and CD10 in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fter the implants were inserted, the Periotest Ⓡ value (PTV, MEDIZINTECHNIK GULDEN, GERMANY) to measure the primary stability and the histologic findings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