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2)

2 0 14 월8

학위 Fa

Du

두경 세포 암에 enosine ad

의한

항암 효과

2014년 8월 박사학위논문

FaDu 사람 두경부세포암에서 adenosine에 의한 항암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생명공학과

최 미 숙

(3)

FaDu 사람 두경부세포암에서 adenosine에 의한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2014년 8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생명공학과

최 미 숙

(4)

FaDu 사람 두경부세포암에서 adenosine에 의한 항암효과

지도교수 김 춘 성

이 논문을 치의학 박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4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생명공학과

최 미 숙

(5)

최미숙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김 흥 중 (인) 위 원 초당대학교 교 수 안 훈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 수 관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 도 경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 춘 성 (인)

2014년 6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I.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II. 재료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Ⅲ.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Ⅳ.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Ⅳ.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7)

List of figures

Figure 1.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by adenosine in human oral fibroblast and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 · · · · · · · · · · · · · · · · · · · 5

Figure 2. Activation of mitochondria related proteins by treatment of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Figure 3. Fragmentation of genomic DNA and condensation of nuclei by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Figure 4. Adenosine induced apoptosis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8)

ABSTRACT

Anti-cancer effect of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Mi Suk Choi

Advisor : Kim, chun sung,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worldwide with 600,000 cases diagnosed per year. HNSCC is responsible for high death rates worldwide every year. Adenosine, a purine nucleoside present in plasma and other extra-cellular organism acts as a regulatory molecule, by binding to G-protein associated cell-surface receptors, A1, A2 and A3. It is a regulatory factor with widespread physiological effects in almost every cells and acts as a potent regulator of cell growth. It has been shown to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the several cancer cells via intrinsic and extrinsic caspases dependent path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 adenosine-induced apoptosis in the FaDu human HNSCC. MTT viability was used to confirm the cell proliferation. Genomic DNA fragmentation and Hoechest staining were used to study the apoptotic morphology change of cells by adenosine treatment. Apoptosis analysis, annexin V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Bax, Bcl-2, cleaved caspase-3 and PARP protein expressions were assessed to detect apoptosis.

(9)

Adenosine significantly reduc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FaDu human HNSCC. However, normal oral fibroblast cell is not changed cell proliferation. It is investigated that down-regulation of Bcl-2 protein expression, up-regulation of Bax protein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caspase-3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adenosine treatment. It is also confirmed to apoptotic property by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genomic DNA fragmentation and nuclei condensation. Moreover, adenosine induced apoptosis in FaDu human HNSCC which was determined by Annexin V- FlTC/PI stain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enosine induce apoptosis in FaDu human HNSCC via the mitochondrial pathway. These data might suggest that adenosine could be used as a chemotherapy agent and adiuvent for human HNSCC

(10)

I. 서 론

두경부란 뇌 아래에서 가슴 윗부분을 통칭하며 상부 호흡기관과 소화기계가 위치하는 곳으로 두경부암은 생리적으로 숨 쉬고 먹고 말하는 중요한 여러 기 관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환자의 식생활, 흡연, 음주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인구의 노령화로 두경부암 발생빈도는 증가하는 추세 이며 장기별 암발생 기준으로 보면 7위, 남자환자 기준으로 보면 5위에 해당하 며 발생빈도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습니다. 또한 특징적인 증상이 없거나, 증상 이 있는 경우에는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아 조기발견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치 료방법의 선택이나 치료과정에 있어 어려움이 많으며 진행된 암의 경우에는 후 두, 인두, 혀, 안면의 일부 등의 결손이 불가피하여 환자에게는 공포의 대상이 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2). 원인인자로는 흡연, 음주, 만성적 자극, 인간 유 두종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이나 자외선, 식습관과 영양결핍, 유전적 감수성 등 이 거론되고 있으며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정상에 비해 2배 높은 두 경부암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3). 최근 발표된 중앙암 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 우리나라에서는 연 218,071건의 암이 발생되었으며, 그 중 두경부암은 남 녀를 합쳐서 연 533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2%를 차지하였고 남녀의 성비는 1.9 : 1로 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 했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남녀를 합쳐서 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8.0%로 가장 많고, 70대가 25.0%, 50대가 22.0%의 순으로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두경부암은 다른 부위의 암 과는 달리 대부분 육안으로 판별이 가능하며 조기진단이 비교적 다른 암에 비 해 용이하며 화학방사선요법 혹은 유전자치료법의 대상으로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암에 비해 발생기전 및 분자생물학적 접근이 되어 있지 않은 암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4). 현재까지 두경부암 치료는 방사선요법 과 5-FU, 시스플라틴, 파클리탁셀과 같은 기존항암제를 병행하여 치료하고 있으 나 소화기계 합병증, 면역력 저하, 골수 기능저하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 타나고 있다(5, 6).

진핵세포에서 세포사멸의 정의는 우리 몸 안에 입력되어 있는 생체 프로그램 으로 비정상세포, 손상된 세포, 노화된 세포가 체계적인 분자 신호전달 체계에

(11)

의해 세포가 스스로 자살해 사멸하거나 화상과 타박, 독극물 등의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의 죽음으로 세포의 사고사 또는 돌연사에 의해 세포 밖에서 수 분이 유입됨으로써 세포가 팽창하여 죽은 세포괴사의 두 형태로 구별된다(7, 8).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 또는 반대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활성 변화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단백질들의 변화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caspase family 단백질이 존재한다(9, 10). 세포사멸의 외형적 형태로는 초 기 염색사의 응축과 더불어 건강한 세포의 경우 세포막 안쪽으로 노출되는 포 스파딜세린 막지질이 세포막 바깥쪽으로 노출되며 annexin-V와 PI와 같은 염 색약을 세포에 직접 처리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세포사멸을 확인할 수 있 으며, 또한 정상세포에서 염색체 DNA는 분해되지 않고 단일한 형태를 뛰는 반 면 세포사멸이 일어나면 염색체 DNA가 분절화 되기 때문에 세포의 염색체 DNA를 뽑아 아가로즈 상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세포사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1).

세포사멸 과정에서 세포 외 액으로 알려져 있는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은 세포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신경 전달 물질로서 세포의 기능과 조직 내 다양한 생리적 현상에 관여한다(12). 아데노신 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로 흡수되며 A1, A2a, A2b 그리고 A3의 총 4가지 아데노신 수용체가 존재하고 있다(13, 14). 이 중 A2a와 A2b는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를 증가시켜서 A1과 A3는 cAMP의 농도를 감 소시키고 세포 내 Ca2+의 농도를 시키느냐에 따라 세포 내 신호 전달이 영향을 받게 되며 세포사멸에 이르게 된다(15, 16). 최근 연구에서 유방암세포나 골수암 세포에서 아데노신이 다양한 아데노신 수용체를 통하여 세포내로 유입되어 G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질 키나아제을 활성화 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보 고 된 바 있다(17, 18). 또한 간암세포에서는 Fas 외부 자극 인자에 의해 caspase-8의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미토콘드리아 extrinsic 경로를 통해 PARP가 절단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20).

이와 같이 아데노신은 다양한 암에서 서로 다른 기작을 통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 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래 두경부세포암종인 FaDu 하인두암세포에 아데노신을 처리하여 세포 성장억제 및 분자적 기전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2)

Ⅱ. 재료 및 방법

1. Adenosine preparation and cell culture

Sigma에서 아데노신을 구입하여 DMSO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두경부세포암 종인 FaDu 암세포(ATCC No, CCL17)는 10% fetal bovine serum(FBS, Gibco BRL, Rockville, MD, USA) 및 항생제(100 ㎍/㎖ penicillin, 100 Unit streptomysin)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BRL, Rockville, MD, USA)을 사용하였다.

2. MTT assay

FaDu 암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12 well culture plate에 3×105 cells/well 세포를 seeding 하고 24 시간 후에 아데노신을 처리하였다. 12 well plate에 있는 배양액을 제거 한 후 450 ㎕ DMEM 배양액과 50 ㎕ MTT 용액를 첨가 한 후 12 well plate을 37℃, 5% CO2 배양기에서 4 시간 반응하였다. 배양 액을 제거하고 DMSO 500 ㎕ 첨가하여 96 well culture plate에 100 ㎕를 분주 한 후 Microplate Autoreader ELISA(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를 사용하여 562 ㎚ 흡광도를 이용하여 세포생존률을 확인하였다.

3. DNA fragmentation assay

DNA 분절화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3×105 FaDu 암세포를 12 well plate에 배양 후 아데노신 1 mМ을 처리하여 24 시간 후 1500 rpm으로 5 분 동안 원심 분리 후 세포를 수집하여 500 ㎕ lysis buffer로 용해시켜 37℃ incubator에 2 시 간 동안 반응 시킨 후 12,000 rpm으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새로 운 튜브에 옮겨 동량의 PCI solution을 넣고 -20℃ 에서 1 시간 동안 보관한 뒤 12,000 rpm으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genomic DNA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genomic DNA를 ethidium bromide가 포함된 1.2% agarose gel을 이용하여 150 voltage에서 30분 전기영동하여 UV transilluminator(Spectronics Corporation Westbury, NY, USA)하에서 genomic DNA 분절을 관찰하였다.

(13)

4. Western blot analysis

3×105 FaDu 암세포를 12 well plate에 배양 후 아데노신 1 mM을 처리하여 24 시간 후 1500 rpm으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집하여 인산완충 용액으로 두 번 세척하고, protein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후 BCA Protein Assay Kit(Pierce, Rockgord, IL, USA)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 량 하였다. 50 ㎍의 단백질을 12% SDS-PAGE에 loading 한 후 120 voltage에 서 2 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였다. 젤 상에서 분리된 단백질은 western blot analysis를 수행하기 위해 polyvinylidene fluoride(PVDF) membrane에 transfer 한 후, blocking solution(5% nonfat dried milk in TBS-T containing 0.1%

Tween-20)을 이용하여 1 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1차 항체 Bax, Bcl-2, cleaved caspase-3 그리고 PARP(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와 actin(Santa cruz Biotechnology, Inc)를 TBS-T를 이용하여 1:1000 비율로 희석 한 후 4℃ 조건 하에 16 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TBS-T를 이용하여 3번 세척 후 2차 항체 anti-rabbit 또는 anti-mouse antibody(Amersham Biociences, UK)는 TBS-T를 이용하여 1:5,000 비율로 희석하여 1 시간 반응 후 ECL kit (Amersham Life Sciences, Arlington Heights, IL, USA)을 이용하여 western blot을 수행 하였다.

5. Annexin V/propidium iodide(PI) double staining flow cytometry

Annexin V는 phosphatidylserine(PS)과 높은 결합력을 갖는 칼슘의존성 인지 질 결합 단백질이다. 그것은 세포외막의 PS 노출에 대한 민감한 표시제이기 때 문에 세포사멸 측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annexin V와 PI을 동시에 처리 했을 때 세포사멸과 세포괴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는 annexin V와 PI을 아데노신을 처리한 FaDu 암세포에 동시에 처리하여 유세 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6. 실험자료의 통계학적 검정

모든 실험성적은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냈고,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 은 ANOVA 검증 후에 student t-test를 하였으며, p-value가 0.05 미만(*, p<0.05)과 0.01 미만(**, p<0.05)의 경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 하였다

(14)

Ⅲ. 결 과

1. 아데노신에 의한 FaDu 암세포 성장억제

아데노신에 의한 FaDu 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아데노신을 인간 유래 구강섬유모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 성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250 µМ, 500 µМ, 1 mМ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 성장억제가 없음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 구강섬유모세포에서 1 mМ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Fig. 1). 또한 FaDu 암세포에 세포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 구강섬유아세포에 처리한 동일한 농도의 아데노신을 24 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250 µ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확인 하였으며, 세포 반수치사량 IC50은 1 mМ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1.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by adenosine in human oral fibroblast and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The effect of adenosine on cell viability in human oral fibroblast (A) and FaDu human HNSCC (B)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250-1,000 µМ) of adenosine alone for 24 h, and viability was assessed by MTT assay. Adenosine reduced cell viability in FaDu human HNSCC in a dose-dependent manner. Results (mean ± SD) were calculated as percent of corresponding control values. *P<0.05, **P<0.01, are significa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NOVA. Each point represents four repeats, each triplicate.

(15)

2. FaDu 암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

FaDu 암세포에서 아데노신의 세포사멸 유도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존재하는 세포사멸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는 Bax 단백질 과 세포사멸 억제인자로 알려져 있는 Bcl-2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아데노 신을 24 시간 처리 후 미토콘드리아와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미토 콘드리아 외막에 존재하는 Bax 단백질 발현은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Bcl-2 단 백질의 발현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Fig. 2A). 이러한 결과는 아데노신을 처리 하였을 때 미토콘드리아와 연관성이 있는 세포 사멸 분자적 기전임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세포사멸 경로의 하방에서 신호 전달의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cleaved caspase-3의 발현이 증가하고 PARP가 활성화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Fig. 2B).

Figure 2. Activation of mitochondria related proteins by treatment of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denosine for an indicated time.

Total proteins (50 ug) were prepared and the expressions of Bax, Bcl-2 (A), cleaved caspase-3 and PARP (B) proteins were analyzed using Western blot.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ponse to the treatment with adenosine. Actin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16)

3. FaDu 암세포 사멸에 의한 핵 내 형태학적 변화

세포사멸 유도에서 나타나는 형태학적 특성으로 알려져 있는 DNA 분절화 및 핵 내 DNA 응축을 확인하기위해 DNA fragmentation assay 및 hochest 염 색약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FaDu 암세포에 아데노신 1 mМ을 처리하 여 24 시간 후 세포를 수집하여 genomic DNA을 분리하여 1.2% 아가로즈 젤에 전기 영동하여 DNA가 분절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Fig. 3A), 호훼스트 염색 을 통해 암세포의 핵 내 DNA 응축됨을 확인하였다(Fig. 3B).

Figure 3. Fragmentation of genomic DNA and condensation of nuclei by adenosine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were seeded at 3×105 and then treated with 1 mМ of adenosine for 24 h.

Genomic DNA was subjected to 1.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

Adenosine treated cells were stained with 1 ㎍/㎖ of Hoechest solution (B).

(17)

4.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FaDu 암세포 사멸유도

FaDu 암세포에 아데노신 1 mМ를 24 시간 처리하여 Anexxin V와 PI을 동 시에 염색하여 세포사멸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 보다 아데노신을 처리한 세포군 에서 초기 세포사멸(lower right quadrant)이 7% 증가하였으며, 후기세포사멸 (upper right quadrant)은 23%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데노신이 FaDu 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 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Fig. 4).

Figure 4. Adenosine induced apoptosis in FaDu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 mM adenosine for 24 h. The cells stained using Annexin V/PI. The apoptotic cells were then analyzed by FACS analysis. This was determined by FACS analysis showing the percentage of early (lower right quadrant) and late (upper right quadrant) apoptotic cells.

(18)

Ⅳ. 고 찰

최근 연구보고에 의하면 아데노신이 유방암 세포주인 MDA-MB 361과 MDA-MB 438 세포에 아데노신을 처리한 결과 세포주기 억제에 관여하는 cyclic dependent kinase(CDK)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G1 arrest가 유도 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보고하였다(21). 또한 간암 세포주인 HuH-7에서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cytochrome C가 방출되어 AIF-1의 발현을 증가시 켜 caspase family 단백질들의 발현을 활성화시켜 PARP를 cleaved하여 세포사 멸을 유도하는 분자적 기전을 보고하였다(22, 23). 위와 같이 최근에는 다양한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주기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에 의한 성장 억제에 대한 다양한 분자적 기전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지만 두경부암세포를 이 용한 세포성장 억제 및 분자적 기전에 대한 실험은 보고 된 바 없다. 본 연구에 서 두경부암세포 중에 하나인 FaDu 하인두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아데노신에 의 한 세포사멸 효과 및 분자적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aDu 암세포 성장 억 제효과 및 분자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사멸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 및 세포수준에서 세포사멸에 의해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화 및 세포 내에서 직접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Annexin V와 PI 염색을 수행하여 실험하였다. 아데노신 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구강 내 표피를 이용하여 구강섬유모세포 를 배양한 후 250 µМ에서 1 mM까지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후 MTT assay을 수행하여 세포성장에 대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세포에서 아데노신의 세포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두경부 암세포종인 FaDu 암세포에 아데노신 250 µМ에서 1 mM까지 처리하여 24 시 간 후 MTT assay을 이용하여 성장억제를 확인한 결과 250 µМ 농도에서 세 포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Fig. 1A, B). 암세포의 성장억제는 세포주기의 진행 억제 또는 세포사멸 유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아데노신에 의한 FaDu 암 세포의 성장억제가 세포사멸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백질 면역 발색 법, DNA 분절화, 호홰스트 염색을 수행하였다. 암세포 사멸에 대표적인 형태학 적 현상으로 염색체 DNA의 분절화 및 핵 내 DNA가 응축됨을 확인하였다(Fig.

3). 또한 세포 내 직접 Annexin V와 PI 염색약을 처리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통

(19)

해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Fig. 4).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이 FaDu 암세포의 성장 억제는 세포사멸에 의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 포사멸에 관여하는 분자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Bax와 Bcl-2 항체를 이용하 여 단백질 면역 발색법을 수행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외막에는 세포사멸 촉진인 자와 억제인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세포사멸이 유도되면 미토콘드리아 내에 존 재하는 cytochrome C가 세포질로 방출되어 외막에 존재하는 세포사멸 촉진인 자로 알려져 있는 Bax, Bad, Bak, Bim등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며, 세포사멸 억제인자로 알려져 있는 Bcl-2, Bcl-xL, Mcl-1등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한 다(24). 이러한 단백질들이 세포사멸 유도인자인 AIF-1 발현을 유도하고 AIF-1는 caspase family 단백질들과 결합하게 된다. Caspase family 단백질의 활성화는 세포사멸을 유도시키는 세포 내 중요한 신호전달 기전으로 알려져 있 다. Caspase family 단백질은 효소 활성부위에 모두 cysteine을 가지고 있는 단 백질 분해효소로서 지금까지 14 가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spase family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불활성화된 pro-enzyme으로 존재하다가 세포사 멸 신호에 의해 스스로 또는 다른 caspase에 의해 활성화 된다. 우선 AIF-1 인 자에 의해 caspase-9을 절단하여 활성화된 cleaved caspase-9이 발현을 유도하 여 caspse-3을 활성화시키고 최종적으로 PARP의 절단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 게 된다(25). 본 연구에서도 아데노신에 의해 Bax 단백질 발현을 증가하는 반 면, Bcl-2 단백질 발현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화된 caspase-3는 PARP의 절단에 의하여 기능적 활성화가 일어나서 세포사멸를 유 도하였다(Fig. 2).

(20)

Ⅴ. 결 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데노신에 의한 세포사멸은 미토콘드리아 의존성 신 호전달과정에 의해서 세포사멸이 일어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아데노신은 정상 구강섬유모세포에서 1 mM까지 세포성장 변화가 없었으며, 인간 유래 두경부세포암종인 FaDu 세포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성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IC50 1 mM임을 확인하였다.

2. 아데노신은 인간 유래 두경부세포암종인 FaDu 세포의 핵 내 존재하는 염색 체 DNA 분절화 및 핵을 응축시킴으로서 세포사멸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3. 살아있는 인간 유래 두경부세포암종인 FaDu 세포에 아데노신을 처리한 후 annexin-V와 PI 염색약을 동시에 처리하여 유세포분석(FACS)을 이용하여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4. 인간 유래 두경부세포암종인 FaDu 세포의 세포사멸 기작은 미토콘드리아 외 막에 존재하는 Bax의 증가 및 Bcl-2의 감소에 의해 cleaved caspase-3가 활 성화 되고 PARP의 절단에 의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미토콘드리아 intrinsic 분자적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론은 토대로 아데노신은 두경부암 치료제 및 보조제 개발에 대 한 연구에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21)

참고문헌

1. Schliephake H. Prognostic relevance of molecular markers of oral cancer­a review,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3;32:233-245.

2. Hopper C, Kü bler A, Lewis H, Tan I.B, Putnam G. mTHPC-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for early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t J Cancer. 2004;111:138-146.

3. Bodin I, Jä ghagen EL, Isberg A. Intraoral sensation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and surgery for and pharynegal cancer, Head and Neck. 2004;26:923-929.

4. Yamachika E, Habte T, Oda D. Artemisinin: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ticancer Res. 2004;24:2153-2160.

5. Crown J, O'Leary M, Ooi WS. Docetaxel and paclitaxel in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a review of clinical experience, Oncologist, 2004;2:24-32.

6. Datta R, Kojima H, Yoshida K, Kufe D. Caspase-3-mediated cleavage of protein kinase C theta in induction of apoptosis, J Biol Chem.

1997;272:20317-20320.

7. Wang H, Jiang X, Mu H, Liang X, Guan H. Structure and protective effect of exopolysaccharidefromP.agglomeransstrain KFS-9against UV radiation, Microbiol Res. 2007;162:124–129.

8. Tsai, I L, W Y Lin, C T Chang, I S Chen. Peroxycoumarius from the root bark of Zanthoxylum schinifolium, Journal of Chinese Society.

(22)

1998;45:99-101.

9. Cho EJ, Oh JY, Chang HY, Yun JW.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s by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a mushroom Tremella fuciformis, J Biotechnol. 2006;127:129–140.

10. Mun SI, HS Ryu, JS Choi. Inhibition effec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its active principle on liquid peroxidation and liver damage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mice, Hanguk Sikpum Yongyang Kwahak Hoech., 1997;126:943-951.

11. Shoff SM, Grummer M, Yatvin MB, Elson CE.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of murine P388 abd B16 population doubling time by the acyclic monoterpene geraniol, Cancer Res. 1991;51:37-42.

12. Gessi S, Merighi S, Sacchetto V, Simioni C, Borea PA. Adenosine receptors and cancer, Biochim Biophys Acta., 2011;1808:1400–12.

13. Dunwiddie TV, Masino SA. The role and regulation of adenosin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nu Rev Neurosc.. 2001;24:31–55.

14. Fredholm BB, Ijzerman AP, Jacobson KA, Klotz KN, Linden J.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XXV.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adenosine receptors, Pharmacol Rev. 2001;53:527–52.

15. Sai K, Yang D, Yamamoto H, Fujikawa H, Yamamoto S, Nagata T, et al. A1 adenosine receptor signal and AMPK involving caspase-9/-3 activation are responsible for adenosine-induced RCR-1 astrocytoma cell death, Neurotoxicology. 2006;27:458–67.

(23)

16. LT, Knowles AF. Extracellular ATP and adenosine induce cell apoptosis of human hepatoma Li-7A cells via the A3 adenosine receptor, Br J Pharmcol. 2003;140:1009–18.

17. J, Pierron A, Ravid K. An adenosine analogue, IB-MECA, down-regulates estrogen receptor a and suppresses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Cancer Res. 2003;63:6413–23.

18. Z, Kapoian T, Sheparo M, Lianos EA. Adenosine- induced apoptosis in glomerular mesangial cells, Kidney Int. 2002;61:1276–85.

19. Barry CP, Lind SE. Adenosine-mediated killing of cultured epithelial cancer cells, Cancer Res. 2000;60:1887–94.

20. Schrier SM, van Tilburg EW, van der Meulen H, Ijzerman AP, Mulder GJ, Nagelkerke JF. Extracellular adenosine- induced apoptosis in mouse neuroblastoma cells: studies on involvement of adenosine receptors and adenosine uptake, Biochem Pharmacol. 2001;61:417–25.

21. Saitoh M, Nagai K, Nakagawa K, Yamamura T, Yamamoto S, Nishizaki T. Adenosine induces apoptosis in the human gastric cancer cells via an intrinsic pathway relevant to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iochem Pharmacol. 2004;67:2005–11.

22. Ishizaki Y, Cheng L, Mudge AW, Raff MC. Programmed cell death by default in embryonic cells, fibroblasts, and cancer cells, Mol Biol Cell.

1995;6:1443–58

23. Weil M, Jacobson MD, Coles HS, Davies TJ, Gardner RL, Raff KD, et

(24)

al. Constitutive expression of the machinery for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Biol. 1996;133:1053–9.

24. Schneider P, Tschopp J. Apoptosis induced by death receptors, Pharm Acta Helv. 2000;74:281–6

25. Scaffidi C, Fulda S, Srinivasan A, Friesen C, Li F, Tomaselli KJ, et al.

Two CD95 (APO-1/Fas) signaling pathways, EMBO J, 1998;17:1675–87.

참조

관련 문서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lobalide inhibits the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the apoptotic cell death in FaDu human 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via both

Detec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DNA sequences in oral squ- amous cell papillomas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Mandible fracture resulting from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 Panoramic view showing pathologic fracture and bony destruction resulting from oral squamous

new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CNUH-HNSCC-1) by using samples from six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in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 gery,

salivary gland origin. Head Neck Surg. Squamous carcinoma in a major salivary gland : A re- view of the diagnostic considerations. Arch Pathol Lab Med. Primary squamous

MDSCs and restored antitumor T cell immunity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14,15] and metastatic melanoma [16]. Although overall increase in survival

Gene Therapy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KITENIN (KAI1 COOH-Terminal Interacting..

Effect of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of paedoksans on cell growth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and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 cells.. Cell v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