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in Korean Adul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in Korean Adult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비만은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이며,1)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여서 1988년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비만을 ‘the global epidemic’으로 정의하였고, 여러 연구들에서 그 원인으로 신체활동, 식사, 수면,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의 생활습관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1-7)

비만의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4) 여러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체중 감량 방법으로는 생활습 관 교정, 인지행동치료, 약물요법, 수술 등이 있다.4,8,9) 그 중 부작용 없 이 체중을 감량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활습관 교정을 다른 치료에 앞서 가장 먼저 시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4,8) 특히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량 감소를 체중 감량에 가장 효 과적인 방법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7,8,10)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체중 감량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중 감량에 실패를 하거나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게 된다.9,11-13) 일반적으로 체중 감량 후 약 1/3에서 1년 이내에 체중 증가가 이루어 지고, 그 이후에도 체중 증가는 지속되어 대부분 3–5년 후 체중 감량 이전 혹은 그 이상의 체중으로 돌아간다고 한다.14) 체중 감량 후 포 만감의 감소, 공복감 증가, 대사 효율 증가, 지방세포의 영양분 섭취 효율 증가 등의 초기 체중 감량에 대한 생리적 변화와 식이, 음주, 흡 연, 운동량, 활동량, 자가체중측정 등의 생활습관 요인이 그 원인이

Original Article

한국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와 관련된 요인

조상익, 이정권*, 신진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교실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in Korean Adults

Sang-Ik Jo, Jung-Kwon Lee*, Jin-Young Shi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People often fail to reduce or maintain their weight despite making an effor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y they fail.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2,114 people aged 19 years or more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o had indicated the desire to lose or maintain weight. We defined failure of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as weight gain after 1 year and examined the factors related to this failure, especially the frequency of drinking or cessation of smoking.

Results: Weight gain after 1 year was reported by 31.2% of the participant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frequent drinking, a subjective body perception as being fat or very fat, medication for weight loss, and dyslipidemia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weight gain after 1 year. Meanwhile, cessation of smoking, undergoing a medical exam within the past 2 years, and being employed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weight gain after 1 year.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odds ratio [OR], 1.4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 to 2.01) and cessation of smoking (OR, 0.60; 95% CI, 0.43 to 0.83) were associated with weight gain after 1 year.

Conclusion: The frequency of drinking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weight reduction failure, while cessation of smoking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Keywords: Drinking; Smoking Cessation; Obesity; Weight Loss

https://doi.org/10.21215/kjfp.2017.7.1.72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1):72-79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March 8, 2016 Revised July 11, 2016 Accepted July 27, 2016 Corresponding author Jung-Kwon Lee

Tel: +82-2-3410-2441, Fax: +82-2-3410-0388 E-mail: jungkwon.lee@samsung.com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조상익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와 관련된 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될 수 있다.15) 또한 이렇게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지 못하고 체중이 증

가하여 반복적으로 체중 감량을 시도하게 되면 신체적, 대사적, 정 신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체중 감량에 또 다시 실패하는 원 인이 된다고 보고된다.16,17) 따라서 성공적인 체중 감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3개월 이내의 단기간의 체중 감량과 1–5년 후의 지속적인 체중 감량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중 감량 및 유지와 관련된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수준, 건강행태 등의 다양한 요인에 대해서 많 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4,8,11)

이 연구는 효과적인 체중 감량 및 유지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체 중 감량을 시도한 군에서 1년 뒤 체중 증가를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로 보고,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 용하여 음주 빈도, 흡연, 수면 시간 등 다양한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 amination Survey) 제6기 1, 2차년도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국민건 강 영양조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시행한 조사로, 제6기에는 매년 192개의 표본조사구를 추출하여 3,840가구의 만 1 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대상으로 1–12월까지 시행하여 총 7,5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은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에 대해 체중 유지 노력, 체중 증가 노력, 체중 조절 노력해본 적 없음, 만 19세 미만, 그리고 모름, 무응답으로 답변한 대상자를 제외한 2,114명을 분석 대 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 소속 기관인 삼성서울병원 기관윤 리심의위원회를 통해 심사면제 심의(IRB No. 2016-02-116)를 통과하 였다.

2. 자료 수집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들 중, 인구사회학 특성으로 연령, 성별, 결 혼, 취업 여부가 포함되었고, 건강 수준과 관련하여 관절염, 협심증, 만성 신부전,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뇌졸중, B형 간염, 치매, 천식, 갑상선질환, 우울증,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 폐암, 갑상선 암, 기타암 중의 한 가지 이상의 암 진단 여부를 포함하였다. 건강 행 태에 대해 음주 빈도, 흡연 상태, 체중 감소를 위한 운동, 식사량 감 소, 단식, 결식, 처방된 체중 감량제 복용 여부, 수면 시간, 주관적 체 형 인식, 수진 여부를 포함하였다.

3. 변수의 정의

비만 및 체중 조절 설문을 바탕으로 최근 1년간 체중 조절 여부에 체중 감소 노력이라고 응답한 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최근 1 년간 체중 변화 여부에 체중 증가라고 응답한 군을 체중 감량 및 유 지에 실패한 군으로 정의하였다. 대한민국의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 상으로 하여, 19–29세, 30–39세, 40–64세, 65세 이상의 네 군으로 분 류하였다. 성별은 남자와 여자로 분류하였다. 흡연 및 금연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흡연 여부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피움과 가끔 피움이라고 응답한 군을 흡연군으로, 비해당이라고 응답한 군 을 비흡연군으로 분류하였고, 과거엔 피웠으나 현재 피우지 않음이 라고 응답한 군을 금연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음주 빈도에 대해서는 1년간 음주 빈도 설문을 바탕으로 전혀 마시지 않음, 월 1회–주 1회, 주 2회 이상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수면 시간에 대해서는 수면 시 간 7시간 미만과 7시간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주관적 체형 인식에 대 해 몹시 마름에서 마름군, 정상군, 약간 비만에서 매우 비만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결혼 여부에 대해 결혼과 미혼으로 구분하였다.

건강검진 수진 여부에 대해서는 최근 2년간의 건강검진 수진 여부에 따라 수진자와 비수진자로 분류하였다. 체중 감량 노력에 대해서 최 근 1년 동안 몸무게를 줄이거나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운동을 하는 군과 하지 않는 군, 단식을 하는 군과 하지 않는 군, 식사량 감소를 하는 군과 하지 않는 군, 결식을 하는 군 과 하지 않는 군, 의사처방을 받아서 살 빼는 약을 복용하였느냐는 설문에 따라 처방된 체중 감량제를 복용한 군과 하지 않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취업 상태에 따라서 취업과 실업으로 분류하였다. 그 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치매, 관절염, 천식, 갑상선질환, 우울증, 뇌 혈관질환, 협심증, 만성신부전, B형 간염, 암은 위암, 간암, 대장암, 유 방암, 자궁암, 폐암, 갑상선 암, 기타 암 중 한 개 이상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것을 기준으로 유병 여부를 분류하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2014년까지 수행한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는 국민건 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분석지침에 따라 통합하였고, 복합표본 설계 에 의하여 표본이 설계된 자료임을 감안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체중 감소 노력 에도 체중이 증가하는 그룹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정하기 위 하여 각각의 변수들에 대하여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s, CIs) 을 산출 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여러 관련 요인들과 체중 증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나이, 흡연, 음주, 7시간 이상의 수면 여부, 결 혼 상태, 건강검진 수진 여부, 주관적인 체형 인식, 체중 감소를 위한

(3)

Sang-Ik Jo, et al.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Characteristic Subgroup No (n=1,470) Yes (n=644) P-value* for weight gain

Age (y) 44.63±0.527 39.31±0.657 <0.001

19–29 18.8 27.4

30–39 19.3 27.7

40–64 51.9 39.7

65 or more 10.0 5.3

Sex Male 45.6 33.1 <0.001

Female 54.4 66.9

Smoking Never smoker 60.1 67.8 0.001

Current smoker 18.4 18.5

Ex smoker 21.5 13.6

Drinking Never 22.4 16.0 0.005

1/mo–1/wk 56.0 61.1

2/wk or over 21.6 22.9

Over 7 hours sleep (h/d) 0–6 40.6 44.3 0.176

Over 7 59.4 55.7

Subjective body perception Very thin–thin 3.4 1.7 <0.001

Normal 34.1 22.6

Fat–very fat 62.6 75.7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21.0 30.7 <0.001

Married 79.0 69.3

Medical exam No 38.8 52.6 <0.001

Yes 61.2 47.4

Exercise for weight loss No 27.1 25.4 0.454

Exercise 72.9 74.6

Fasting No 95.9 92.5 0.006

Fasting 4.1 7.5

Kcal reduction No 32.9 34.5 0.523

Kcal reduction 67.1 65.5

Skip eating No 86.7 77.7 <0.001

Skip eating 13.3 22.3

Weight loss medication No 98.0 92.4 <0.001

Medication 2.0 7.6

Hypertension No 84.0 90.6 <0.001

Hypertension 16.0 9.4

Diabetes mellitus No 94.0 98.1 <0.001

Diabetes mellitus 6.0 1.9

Dyslipidemia No 89.4 91.1 0.221

Dyslipidemia 10.6 8.9

Dementia No 99.9 99.9 0.784

Dementia 0.1 0.1

Arthritis No 91.2 94.4 0.007

Arthritis 8.8 5.6

Asthma No 97.0 96.5 0.677

Asthma 3.0 3.5

Thyroid disease No 97.2 97.9 0.272

Thyroid disease 2.8 2.1

Depression No 95.7 93.8 0.103

Depression 4.3 6.2

Chronic kidney disease No 99.8 99.8 0.967

Chronic kidney disease 0.2 0.2

Hepatitis B No 99.1 99.8 0.116

Hepatitis B 0.9 0.2

Cerebral vascular accident No 99.2 99.0 0.558

Cerebral vascular accident 0.8 1.0

Angina No 99.0 98.7 0.626

Angina 1.0 1.3

Cancer No 97.0 98.3 0.065

Cancer 3.0 1.7

Employed status Unemployment 37.3 46.1 0.001

Employment 62.7 53.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percent only.

*P-value was estimated by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ferent groups are presented as (referent group) in subgroups of characteristics fields.

Including any history of gastric cancer, liver cancer, colon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thyroid cancer, and other type of cancer.

(4)

조상익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와 관련된 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운동, 체중 감소를 위한 단식, 체중 감소를 위한 결식, 처방된 체중 감 량제 복용,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절염, 암의 유병 여부, 취업상태 를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분석은 P<0.05를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PASW Statistics ver.18.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

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제6기 국민건강영 양조사에 참여하였던 최근 1년간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19세 이 상 성인 총 2,114명의 평균 연령은 42.98세였고, 이 중 738명(35.5%)이 남성, 1,376명(64.5%)이 여성으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체중 감소 노 력을 하였으나 1년 뒤 체중이 증가한 군은 644명(31.2%)으로 67.8%는 비흡연자, 18.5%는 흡연자, 13.6%는 금연자였고, 16.0%가 술을 전혀 마 시지 않았으며, 61.1%가 월 1회–주 1회, 22.9%가 주 2회 이상 음주를 한다고 답변하였다. 1년 뒤 체중 증가가 나타난 군과 체중 감소를 유 지한 군을 비교하면, 연령, 성별, 흡연, 음주, 주관적인 체형인식 정도, 결혼 여부, 건강검진 수진 여부, 체중 조절을 위한 금식, 결식, 처방된 체중 감량제 복용 여부,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의 진단 여부, 취업 여 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여성, 월 1회 이상의 음주, 자신을 비만에서 심 한 비만이라고 인식, 체중 감량을 위해 단식을 하거나 결식, 처방된 체중 감량제를 복용한 경우가 1년 뒤 체중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Tables 1, 2).

또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주 2회 이상의 음주, 자신을 비만에서 심한 비만이라고 인식, 처방된 체중 감량제 복용, 고지혈 증이 1년 뒤 체중을 다시 증가시키는 위험 요인이었고, 금연, 건강검 진 수진, 고용된 경우가 1년 뒤 체중의 증가 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 다(Table 3).

2. 음주 횟수에 따른 1년 뒤 체중 증가

다른 교란 요인을 보정하지 않은 경우 남성(OR, 2.76; 95% CI, 1.46–

5.22)과 여성(OR, 1.38; 95% CI, 1.03–1.86) 모두 월 1회 이상 음주 시 1년 뒤 체중이 증가할 위험을 높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음 주를 전혀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월 1회–주 1회 음주를 하는 군에서, 남 성의 경우 OR이 2.26 (95% CI, 1.18–4.32), 여성의 경우는 OR이 1.18 (95%

CI, 0.86–1.62)이었다. 주 2회 이상 음주를 하는 군에서는, 남성의 경우 OR이 2.64 (95% CI, 1.38–5.07), 여성의 경우는 OR이 1.76 (95% CI, 1.10–

2.81)이었다. 따라서 남성의 경우는 월 1회 이상 음주, 여성의 경우는 주 2회 이상의 음주에서 1년 뒤 체중 증가 위험이 증가하였다(Table 4).

Table 2. Univariate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Characteristic Subgroup Odds

ratio* 95% CI

Age (y) 19–29 1

30–39 0.98 0.72–1.35

40–64 0.53 0.38–0.72

65 or more 0.36 0.24–0.54

Sex Male 1

Female 1.70 1.32–2.18

Smoking Never smoker 1

Current smoker 0.90 0.64–1.24

Ex smoker 0.56 0.42–0.76

Drinking Never 1

1/mo–1/wk 1.52 1.18–1.97

2/wk or over 1.48 1.08–2.01

Over 7 hours sleep (h/d) 0–6 1

Over 7 0.86 0.69–1.07

Subjective body perception Very thin–thin 1

Normal 1.35 0.61–2.99

Fat–very fat 2.45 1.10–5.47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1

Married 0.60 0.47–0.77

Medical exam No 1

Yes 0.57 0.46–0.70

Exercise for weight loss No 1

Exercise 1.09 0.87–1.38

Fasting No 1

Fasting 1.92 1.21–3.03

Kcal reduction No 1

Kcal reduction 0.93 0.75–1.16

Skip eating No

Skip eating 1.87 1.41–2.47

Weight loss medication No 1

Medication 4.03 2.33–6.97

Hypertension No 1

Hypertension 0.55 0.41–0.72

Diabetes mellitus No 1

Diabetes mellitus 0.29 0.17–0.51

Dyslipidemia No 1

Dyslipidemia 0.83 0.61–1.12

Dementia No 1

Dementia 0.73 0.07–7.17

Arthritis No 1

Arthritis 0.62 0.44–0.88

Asthma No 1

Asthma 1.14 0.61–2.15

Thyroid disease No 1

Thyroid disease 0.75 0.45–1.26

Depression No 1

Depression 1.48 0.92–2.37

Chronic kidney disease No 1

Chronic kidney disease 1.04 0.14–7.88

Hepatitis B No 1

Hepatitis B 0.19 0.02–1.52

Cerebral vascular accident No 1

Cerebral vascular accident 1.26 0.58–2.70

Angina No 1

Angina 1.27 0.49–3.30

Cancer No 1

Cancer 0.55 0.30–1.04

Employed status No 1

Employment 0.70 0.56–0.86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estimated by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ny history of gastric cancer, liver cancer, colon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thyroid cancer, and other type of cancer.

(5)

Sang-Ik Jo, et al.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3. 흡연과 금연 여부에 따른 1년 뒤 체중 증가

다른 교란 요인을 보정하지 않은 흡연하는 군에서 남성의 경우 유 의하지 않았으며, 여성의 경우 OR이 1.81 (95% CI, 1.01–3.23)이었다. 금 연한 군에서 남성의 경우 OR이 0.50 (95% CI, 0.32–0.80)이었고, 여성 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금연하는 경우 OR이 0.60 (95% CI, 0.43–0.83)이었다(Table 5).

고 찰

19세 이상의 성인에서 체중 감소 노력을 하지만 1년 뒤 체중이 증 가하는 것을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로 보고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음주, 자신을 비만에서 심한 비만이라고 인식, 처방된 체중 감 량제 복용, 고지혈증은 체중 감량 및 유지에 실패할 위험을 증가시 키는 요인이었으며, 금연, 건강검진 수진, 고용된 상태는 체중 감량 및 유지에 실패할 위험을 낮추는 요인이었다.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Characteristic Subgroup Odds ratio 95% CI P-value for weight gain

Age (y) 19–29 1 0.018

30–39 1.11 0.68–1.81

40–64 0.72 0.42–1.24

65 or more 0.59 0.29–1.22

Smoking Never smoker 1 0.010

Current smoker 0.79 0.56–1.12

Ex smoking 0.60 0.43–0.83

Drinking Never 1 0.045

1/mo–1/wk 1.32 1.00–1.75

2/wk or over 1.54 1.08–2.21

Over 7 hours sleep (per day) 0–6 1 0.073

Over 7 0.81 0.64–1.02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1 0.626

Married 0.90 0.58–1.39

Medical exam No 1 0.004

Yes 0.71 0.56–0.90

Subjective body perception Very thin–thin 1 <0.001

Normal 1.29 0.54–3.04

Fat–very fat 2.31 1.00–5.35

Exercise for weight loss No 1 0.549

Exercise 1.08 0.84–0.39

Fasting No 1 0.118

Fasting 1.47 0.91–2.38

Skip eating No 1 0.083

Skip eating 1.30 0.97–1.76

Weight loss medication No 1 0.001

Medication 2.68 1.54–4.66

Hypertension No 1 0.146

Hypertension 0.79 0.58–1.08

Diabetes mellitus No 1 0.002

Diabetes mellitus 0.38 0.21–0.69

Dyslipidemia No 1 0.024

Dyslipidemia 1.53 1.06–2.20

Arthritis No 1 0.434

Arthritis 0.85 0.57–1.28

Cancer No 1 0.218

Cancer 0.67 0.35–1.28

Employed status No 1 0.04

Employment 0.71 0.56–0.90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I), P-value were estim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ed by age, smoking, drinking, over 7 hour sleep, marital status, regular medical exam, subjective body perception, exercise for weight loss, fasting, skip eating, weight loss medication,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rthritis, cancer, employed status.

Including any history of gastric cancer, liver cancer, colon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thyroid cancer, and other type of cancer.

(6)

조상익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와 관련된 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체중 감량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와 관련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보편적인 요 인을 분석하고자 최근 1년 이내 체중 감소의 의지가 있었던 19세 이 상의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중 감량뿐 아니라 체중 유지 여부를 알기 위해 1년 뒤 체중의 증가 여부를 평가하였고, 체중 증가의 정도는 구분하지 않았다.

기존의 몇몇의 연구에서 음주가 비만의 원인 중 하나이며 금주가 체중 감량에 유효하다고 제시되었다.7,11,18-20) 본 연구에서도 음주 빈 도가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 성에 비해 음주 빈도에 따른 1년 뒤 체중 증가의 위험도가 더 많이 증 가하였다(주 1회 이하의 경우, OR이 남성 2.26, 여성 1.18; 주 2회 이상 인 경우, OR이 남성 2.64, 여성 1.76).

음주 빈도가 1년 뒤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술과 안주로 직접 적으로 섭취하게 되는 열량뿐 아니라, 음주 빈도 증가로 인한 운동계 획 차질, 숙취로 인한 활동량 감소, 술자리에서 동료들로부터 받는 체중 감량 노력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 등의 간접적인 원인도 있는 것 으로 추정된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음주 빈도에 따른 1년 뒤 체중 증 가의 위험도가 더 증가한 원인으로는, 성별에 따른 음주량과 안주 섭

취량의 차이, 사회적 성향 및 동료에 의한 영향력의 차이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음주 빈도 증가에 따른 운동계획 실천 여부, 활동량 변화, 스트레스 등의 체중 감량 및 유지를 위한 건강 행 태 변화에 대한 연구와,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 있지 않은 1회 음주량 및 술과 안주의 종류에 따른 남녀간 kcal 섭취량 및 1년 뒤 체중 증가 의 위험도 차이에 대해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흡연은 니코틴의 식욕 억제 효과와 기초 대사량 상승 효과로 체중 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22) 다수의 기존 연구에서도 흡 연 시 체중 감소를 유발하였고 금연 시 체중은 증가되었다.22,23) 따라 서 금연은 체중 증가의 한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한 연구에서는 금 연 후 1년 내에 5 kg 이상의 체중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한다.21,24-26) 이러한 체중 증가가 재흡연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

다.22,26) 그러나 체중 감량 및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군에서 금연이 장

기적인 체중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가 불충분 하고 의견이 분분하다.21,23,24,26) 본 연구에서는 금연을 한 경우 1년 뒤 체중 증가에 대한 OR이 0.60 (95% CI, 0.43–0.83)으로 체중 감량 및 유 지 실패 위험을 낮추는 요인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에는 본 연구에 서 흡연 및 금연의 정도에 대한 세부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한 Table 4. The risk of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according to drinking

Drinking frequency Odds ratio for weight gain (95% CI)

Total Men Female

Unadjusted* Never 1 1 1

1/mo–1/wk Over 2/wk

1.52 (1.18–1.97)

1.48 (1.08–2.01) 2.76 (1.46–5.22)

2.28 (1.17–4.42) 1.38 (1.03–1.86)

2.14 (1.45–3.18)

Pvalue for trend 0.005 0.008 0.001

Adjusted 1/mo–1/wk

Over 2/wk

1.32 (1.00–1.75) 1.48 (1.08–2.01)

2.26 (1.18–4.32) 2.64 (1.38–5.07)

1.18 (0.86–1.62) 1.76 (1.10–2.81)

P-value for trend 0.045 0.014 0.061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I), P-value were estimated by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95% CI, P-value were estim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ed by age, smoking, drinking, over 7 hour sleep, marital status, medi- cal exam, subjective body perception, exercise for weight loss, fasting, skip eating, weight loss medication,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rthritis, can- cer, employed status.

Table 5. The effect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according to smoking cessation

Smoking cessation Odds ratio for weight gain (95% CI)

Total Men Female

Unadjusted* Never smoker 1 1 1

Current smoker Ex smoker

0.89 (0.64–1.24) 0.56 (0.42–0.76)

0.87 (0.54–1.40) 0.50 (0.32–0.80)

1.81 (1.01–3.23) 1.27 (0.78–2.01)

P-value for trend 0.001 0.008 0.004

Adjusted Current smoker

Ex smoker

0.79 (0.56–1.12)

0.60 (0.43–0.83) 1.07 (0.61–1.88)

0.73 (0.42–1.26) 1.02 (0.54–1.93)

1.04 (0.63–1.71)

P-value for trend 0.010 0.255 0.987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I), P-value were estimated by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95% CI, P-value were estim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ed by age, smoking, drinking, over 7 hour sleep, marital status, medi- cal exam, subjective body perception, exercise for weight loss, fasting, skip eating, weight loss medication,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rthritis, can- cer, employed status.

(7)

Sang-Ik Jo, et al. Factors Related to Failure in Weight Reduction or Maintena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점이 작용했을 수도 있지만,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하는 군에서 금연 으로 인한 운동 시간 확보, 폐활량 증가로 운동량 및 운동 효율 증가, 활동량 증가, 금주 의지에 기여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이 있으며, 체중 감량을 위해 노력하는 군에서는 금연이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흡 연 및 금연과 체중 조절 및 유지의 관련성에 대해서 추가 연구가 필 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면접 및 자가기입방식으로 실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단면 연구이므로 현 시점에서의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와 관련 요인간의 선후 관계를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 과거 흡연 정도의 차이 및 금연 시기와 기간에 대한 분석이 없어 금연 시 기와 기간에 따른 차이점을 알 수 없었다는 점, 그리고 현재 흡연량 및 간접 흡연 여부가 평가되지 않아서 흡연량에 따른 차이점을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1년 이내 본인의 의지로 몸무게를 줄이려고 노력한 사람 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체중 감량 노력을 한 기간이 개인에 따라 1 년까지 차이가 있을 수 있었고 체중 감량 노력의 지속성에 대한 평가 도 할 수 없었다. 또한 체중 감량 전 체중 및 감소된 체중을 알 수 없 기 때문에, 체중 감량에 실패한 경우와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 가한 경우를 구분할 수 없어서 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체중 감량 및 유지에 의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이는 비만의 위험요인 분석과 치료 방법 결정에 고려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또한 음주 빈도, 흡연, 처방된 체중 감량제 복용, 고지혈증, 주관적 체형인식, 건강검진 수진 여부, 고용상태에 대해서 체중 감소 를 위해 노력한 군에서 1년 뒤 체중 증가와의 관련성은 파악하였지 만 체중 증가의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단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 및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요 약

연구배경:

적정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체중 감량을 시도하지만, 체 중이 감량되지 않거나, 감량 이후 다시 증가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 감량 및 유지의 실패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하였던 2,114명의 최근 1년간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 였다. 분석을 위해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했음에도 1년 뒤 체중이 증 가한 644명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동반질환, 직업과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결과: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집단의 31.2%에서 1년 뒤 체중이 증

가하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음주 빈도, 자신을 비만에서 심한 비만 이라고 인식, 처방된 체중 감량제 복용, 고지혈증은 1년 뒤 체중 증가 위험 요인이었다. 반면에 금연, 건강검진 수진, 취업은 1년 뒤 체중 증 가 위험을 낮추는 요인 이었다. 하위 그룹 분석에서 주2회 이상 술을 마시는 군에서 체중 증가 교차비는 1.4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2.01)이었고, 금연한 군에서 1년 뒤 체중 증가 교차비는 0.60 (95%

CI, 0.43–0.83)이었다.

결론:

음주와 음주 빈도 증가는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율을 높이는 요인이며, 금연은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율을 낮추는 요인이다. 따 라서 효과적인 체중 감량 및 유지를 위해서 금주 또는 음주 빈도 감 소, 그리고 흡연자의 경우 금연이 도움이 되겠다.

중심단어:

음주; 금연; 비만; 체중 감량

REFERENCES

1. Kang JK. Lifestyle disease. J Korean Med Assoc 2004; 47: 188-94.

2. Ogunbode AM, Ladipo M, Ajayi IO, Fatiregun AA. Obesity: an emerging disease. Niger J Clin Pract 2011; 14: 390-4.

3. Colon-Gonzalez F, Kim GW, Lin JE, Valentino MA, Waldman SA. Obesity pharmacotherapy: what is next? Mol Aspects Med 2013; 34: 71-83.

4. Tanaka K, Nakanishi T.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various diseases: necessity of lifestyle changes for healthy aging. Appl Human Sci 1996; 15: 139-48.

5. Kim GW, Lin JE, Blomain ES, Waldman SA. New advances in model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anti-obesity drugs. Expert Opin Drug Discov 2013;

8: 655-71.

6. Schwingshackl L, Dias S, Hoffmann G. Impact of long-term lifestyle pro- grammes on weight lo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verweight/

obese participan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Syst Rev 2014; 3: 130.

7. Suastika K. Update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Acta Med Indones 2006;

38: 231-7.

8. Cowburn G, Hillsdon M, Hankey CR. Obesity management by life-style strategies. Br Med Bull 1997; 53: 389-408.

9. Jensen MD, Ryan DH, Apovian CM, Ard JD, Comuzzie AG, Donato KA, et al.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 ety. J Am Coll Cardiol 2014; 63: 2985-3023.

10. Baillot A, Romain AJ, Boisvert-Vigneault K, Audet M, Baillargeon JP, Di- onne IJ, et al.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that include a physical activity component in class II and III obese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5; 10: e0119017.

11. Berke EM, Morden NE. Medical management of obesity. Am Fam Physi- cian 2000; 62: 419-26.

12. Koritzky G, Rice C, Dieterle C, Bechara A. The biggest loser thinks long- term: recency as a predictor of success in weight management. Front Psy- chol 2015; 6: 1864.

(8)

조상익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유지 실패와 관련된 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13. Anastasiou CA, Karfopoulou E, Yannakoulia M. Weight regaining: From statistics and behaviors to physiology and metabolism. Metabolism 2015;

64: 1395-407.

14. Sciamanna CN, Kiernan M, Rolls BJ, Boan J, Stuckey H, Kephart D, et al.

Practice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versus weight-loss maintenanc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Am J Prev Med 2011; 41: 159-66.

15. Leibel RL, Seeley RJ, Darsow T, Berg EG, Smith SR, Ratner R. Biologic re- sponses to weight loss and weight regain: report from a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search Symposium. Diabetes 2015; 64: 2299-309.

16. Bray GA, Gray DS. Obesity. Part I--Pathogenesis. West J Med 1988; 149:

429-41.

17. Jahae L. Related factors of long-term maintenance of weight loss in obese patients 2014. Ulsan: University of Ulsan; 2014.

18. Lyznicki JM, Young DC, Riggs JA, Davis RM. Obesity: assessment and man- agement in primary care. Am Fam Physician 2001; 63: 2185-96.

19. Kim YN, Lee KM, Jung SP.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maintenance.

J Korean Acad Fam Med 2006; 27: 294-301.

20. Gurevich-Panigrahi T, Panigrahi S, Wiechec E, Los M. Obesity: pathophysi-

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Curr Med Chem 2009; 16: 506-21.

21. Klesges RC, Meyers AW, Klesges LM, La Vasque ME. Smoking, body weight, and their effects on smoking behavi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 ture. Psychol Bull 1989; 106: 204-30.

22. Audrain-McGovern J, Benowitz NL. Cigarette smoking, nicotine, and body weight. Clin Pharmacol Ther 2011; 90: 164-8.

23. Farley AC, Hajek P, Lycett D, Aveyard P.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weight gain afte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1:

CD006219.

24. Aveyard P, Lycett D, Farley A. Managing smoking cessation-related weight gain. Pol Arch Med Wewn 2012; 122: 494-8.

25. Russo C, Cibella F, Caponnetto P, Campagna D, Maglia M, Frazzetto E, et al.

Evaluation of post cessation weight gain in a 1-year randomized smoking cessation trial of electronic cigarettes. Sci Rep 2016; 6: 18763.

26. Spring B, Howe D, Berendsen M, McFadden HG, Hitchcock K, Rademaker AW, et al. Behavioral intervention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and pre- vent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ddiction 2009;

104: 1472-86.

수치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Table 2. Univariate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  of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over 19 years old, Korean
Table 5. The effect to weight gain after 1-year weight reduction effort according to smoking cessation

참조

관련 문서

활력징후 및 신체계측 측정일시 신장 체중 혈압 맥박 호흡 체온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Korean adul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Association of stress

이러한 결과는 필라테스 기구를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이 아닌 리포머 운동기구 하나만을 사용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의 경우 유산소성 효과 가 떨어져 체중

골다공증은 성별 연령 체중 흡연 여부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 , , 연구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점수와의 관계를 단순상관관계 분석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본 연구의 결과 1주일 동안 하루 10분 이상 걷은 날 수에 따른 비만율은 남학생 에서는 걷은 횟수가 많을수록 비만율이 유의하게 낮았고,여학생에서는

본 연구 결과 도출된 볼락에서의 산출 기일에 따른 전장과 체중 성장 그리 고 이들의 상대성장 결과 및 전장에 대한 안경 두장 주둥치강 안경 이후 두 장 결과는 차후